KR101183031B1 -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3031B1
KR101183031B1 KR1020090080650A KR20090080650A KR101183031B1 KR 101183031 B1 KR101183031 B1 KR 101183031B1 KR 1020090080650 A KR1020090080650 A KR 1020090080650A KR 20090080650 A KR20090080650 A KR 20090080650A KR 101183031 B1 KR101183031 B1 KR 101183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oelectric
ferromagnetic
nbo
ferrite
f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3056A (ko
Inventor
남중희
김준희
김기훈
임순호
조정호
전명표
김병익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80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303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3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3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3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Magnetic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유전체 층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자성체 층이 접하도록 교호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다강성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강유전체는 K1-xNaxNbO3 세라믹스, K1-xNaxNbO3 세라믹스, Lix(K0.5Na0.5)1-xNb1-ySbyO3 세라믹스 및 Agx(K0.5Na0.5)1-xNbO3 세라믹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강자성체는 NiFe2O4 페라이트, Ni1-xZnxFe2O4 페라이트, CoFe2O4 페라이트 및 Co1-xZnxFe2O4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다.
다강성구조체

Description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FERROIC STRUCTURE}
본 발명은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또한 납(Pb)이 들어가지 않는 무연(Pb free)의 친환경 조성물로 제조되는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야 비로소 연구되기 시작한 다강성(multiferroic) 물질은 강유전성(ferroelectric)과 강자성(ferromagnetic)의 성질을 동시에 함께 갖는다. 이에 따라, 오직 하나의 물성으로 소자를 구현하였던 종래기술로서는 예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전자소자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다강성 물질은 강유전성, 반강유전성(antiferroelectric), 강자성, 반강자성(antiferromagnetic), 강탄성(ferroelastic) 등과 같은 특성들 중에서 적어도 2개 이상의 거동을 동시에 나타내므로, 이에 따라 자기적, 전기적 또는 구조적 질서 파라미터 상호작용을 한다. 예를 들어, 강유전성 특성과 강자성 특성을 동시에 갖는 다강성 물질은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전하와 스핀을 조정할 수 있어 특히 메모리소자로서 구현될 경우에는 자기 및 전기로 동시에 읽기와 쓰기가 가능해지고 집적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다강성 물질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에 불과하여 용도나 제품구현 측면에서 개발되고 있지 않은 수준이다. 박막의 다강성 물질에 대하여는 자기-전기 소자(magnetoelectric device),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 정보저장기기(information storage), 다상메모리(multiple-state memories)에 대한 응용이 타진되고 있고, 후막 또는 벌크 소재(복합체 포함)의 다강성 물질인 경우는 액츄에이터(actuators), 자기센서(magnetic sensors: ac/dc 자계센서, 전류센서), 트렌스포머(transformers), 자이레이터(gyrators), 마이크로파소자(microwave devices: 가변소자(tunable device), 공진기(resonator), 필터(filter)) 등에 대한 응용이 타진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납(Pb)이 들어가지 않는 무연(Pb free)의 친환경 조성물로 제조되는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한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은 강유전체 분말 및 강자성체 분말을 각각 합성하고, 상기 강유전체는 K1-xNaxNbO3 세라믹스, K1-xNaxNbO3 세라믹스, Lix(K0.5Na0.5)1-xNb1-ySbyO3 세라믹스 및 Agx(K0.5Na0.5)1-xNbO3 세라믹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강자성체는 NiFe2O4 페라이트, Ni1-xZnxFe2O4 페라이트, CoFe2O4 페라이트 및 Co1-xZnxFe2O4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강유전체 분말 및 강자성체 분말 각각에 분산제, 소결조제, 가소제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혼합하여 강유전체 페이스트 및 강자성체 페이스트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강유전체 페이스트 및 강자성체 페이스트를 각각 테이프 캐스팅하여 형성된 강유전체 필름 및 강자성체 필름을 접하도록 적어도 1회 이상 교호 적층하여 적층형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적층형 구조체를 성형하고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성 온도는 1000℃ 내지 1200℃로 될 수 있고, 상기 소성은 환원분위기로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결조제는 SiO2 및 ZnO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강유전체 층과 강자성체 층이 이종접합되어 교호 적층되는 다강성 구조체에서 특히 상기 강유전체 층과 강자성체 층 간에 소성 후 수축율 차이가 거의 없도록 조절함으로써 이들 간의 상기 수축율을 완충하는 버퍼층을 생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강유전체 층을 무연의 친환경 조성물로 제조하는 친환경 제조기술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강성 구조체는 자기-전기 복합체(Magnetoelectric Composites)로서 강유전체 조성물과 강자성체 조성물이 이종접합되는 구조에 기초한다. 특히 상기 강유전체 조성물은 Pb가 들어가지 않는 무연(Pb free)의 친환경 조성물로 되며, 상기 강유전체 조성물과 강자성체 조성물 간에는 소성 후의 수축율 차이가 없도록 하는 각각의 조성을 갖는다. 또한, 이러한 다강성 구조체는 강유전성 특성과 강자성 특성을 동시에 갖는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다강성 구조체의 개략 구조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a 및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다강성 구조체(1)는 강유전체 조성물로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유전체층(2)과 강자성체 조성물로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자성체층(3)이 교호 적층되고, 상기 다강성 구조체(1)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입출력단자로서 그 상면 및 배면에 Ag 등의 전극(6)이 각각 코팅된다.
이때, 상기 강유전체층(2)은 무연 소재들로 되며, 예를 들어 K1-xNaxNbO3 , K1-xNaxNbO3 , Lix(K0 .5Na0 .5)1- xNb1 ySbyO3 및 Agx(K0 .5Na0 .5)1- xNbO3 세라믹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강자성체층(3)은 강자성 세라믹스 조성물로 되며, 특히 상기 강유전체층(2) 조성물과 소성 후의 수축율 차이가 거의 없는 조성들, 예를 들어 NiFe2O4 , Ni1 xZnxFe2O4 , CoFe2O4 및 Co1 xZnxFe2O4 스피넬계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이리하여, 강유전체층(2)과 강자성체층(3)은 소성 후의 수축율 차이가 거의 없게 되며, 이로써 이들 간에 별도의 버퍼층을 두어 이들의 수축율 차이를 완충하여 줄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강유전체층(2)과 강자성체층(3) 간에는 별도의 버퍼층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강유전체층(2)의 세라믹스 조성에는 소결조제가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소결조제로는 SiO2, ZnO가 있으며, 특히 ZnO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종접합된 다강성 구조체(1)의 소결온도는 1000-1200℃이다. 또한, 강자성체층(3)의 두께는 제한이 없으나, 강유전체층(2)의 두께는 20-100㎛로 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결시 발생하는 입자의 조대화를 억제함으로써 수축률을 제어하기 위해 수소가 첨가된 질소 분위기 등과 같은 환원분위기에서 소결 공정을 행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하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들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Nb2O5, K2CO3, Na2CO3의 시료분말을 조성식 K0 .5Na0 .5NbO3에 맞추어 칭량한 후, 850℃에서 5시간 동안 하소하여 K0 .5Na0 .5NbO3(이하, "KNN")로 합성하였다. 또한, NiO, Fe2O3의 시료분말을 조성식 NiFe2O4(이하, "NFO")에 맞추어 칭량한 후, 900℃에서 2시간 동안 하소하여 NiFe2O4로 합성하였다.
그리고, 페이스트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 KNN 및 NFO 각각을 톨루엔과 에탄 올을 혼합한 용매에 분산제로서 SN 그리고 도펀트로서 SiO2를 1wt% 첨가하여 24시간 볼밀링하여 균질하게 1차혼합하였다. 그리고, 이에 가소제로서 디부틸 프탈레이트(DBP) 그리고 바인더로서 폴리비닐부티랄(PVB)을 각각 첨가하여 24시간 볼밀링하여 균질하게 2차혼합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제조된 두 KNN, NFO 슬러리는 각각 메쉬를 통해 기포를 제거한 후, 2m/min의 속도로 테이프 캐스팅하였고 6kgf, 60℃로 도 1b와 같이 라미네이팅하였다. 이렇게 적층된 시트는 250bar, 80℃로 30분간 정수압성형을 하였고, 대기중에서 1050℃, 3시간 동안 대기중 소결하였다. 이렇게 소결된 시편은 120℃에서 1-3kV로 분극(poling) 처리하여 KNN-NFO 다강성 구조체 완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먼저, Nb2O5, K2CO3, Na2CO3의 시료분말을 조성식 K0 .5Na0 .5NbO3에 맞추어 칭량한 후, 850℃에서 5시간 동안 하소하여 K0 .5Na0 .5NbO3(이하, "KNN")로 합성하였다. 또한, Co3O4, Fe2O4의 시료분말을 조성식 CoFe2O4에 맞추어 칭량한 후, 900℃에서 2시간 동안 하소하여 CoFe2O4(이하, "CFO")로 합성하였다. 그리고, 이후의 제조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행하여 KNN-CFO 다강성 구조체 완제품을 제조하였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KNN-NFO) 및 실시예 2(KNN-CFO)의 자기-전기 전압계수(magnetoelectric voltage coefficient: αE) 특성을 각각 나타낸다. 자기-전기 전압계수(αE)는 고체 내에 인가된 자장과 전기적 분극변화 간의 커플링 현상을 나타내며, 특히 실시예 1 및 2의 분극된 구조체 시편에 대해 자기장이 가해진 경우 유기된 전압을 측정하여 얻어진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의한 다강성 구조체는 자기-전기성 혼합물로서 대체로 압전소자 및 자기변형소자가 결합되어 각각 왜(strain)로 매개됨으로써 자기장 내의 길이변화가 압전소자의 길이변화로 이어지고, 이로부터 전압이 유기됨으로써 결국 자기-전기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이상, 상술된 본 발명의 구현예 및 실시예에 있어서, 조성분말의 평균입도, 분포 및 비표면적과 같은 분말특성과, 원료의 순도, 불순물 첨가량 및 소결 조건에 따라 통상적인 오차범위 내에서 다소 변동이 있을 수 있음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지극히 당연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 및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고, 이러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은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다강성 구조체의 개략 구조도.
도 1b는 도 1a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KNN-NFO) 및 실시예 2(KNN-CFO)의 자기-전기 전압계수(magnetoelectric voltage coefficient: αE) 특성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다강성 구조체, 2: 강유전체층, 3: 강자성체층, 6: 전극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강유전체 분말 및 강자성체 분말을 각각 합성하고, 상기 강유전체는 K1 -xNaxNbO3 세라믹스, K1 xNaxNbO3 세라믹스, Lix(K0 .5Na0 .5)1- xNb1 ySbyO3 세라믹스 및 Agx(K0.5Na0.5)1- xNbO3 세라믹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고, 상기 강자성체는 NiFe2O4 페라이트, Ni1 xZnxFe2O4 페라이트, CoFe2O4 페라이트 및 Co1 - xZnxFe2O4 페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단계와;
    상기 강유전체 분말 및 강자성체 분말 각각에 분산제, 소결조제, 가소제 및 바인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혼합하여 강유전체 페이스트 및 강자성체 페이스트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제조된 강유전체 페이스트 및 강자성체 페이스트를 각각 테이프 캐스팅하여 형성된 강유전체 필름 및 강자성체 필름을 접하도록 적어도 1회 이상 교호 적층하여 적층형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적층형 구조체를 성형하고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의 온도는 1000℃ 내지 1200℃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성은 환원분위기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조제는 SiO2 및 ZnO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 구조체를 성형하고 소성하는 단계는 소성 후 전계를 인가하여 분극처리를 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8. 삭제
KR1020090080650A 2009-08-28 2009-08-28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KR101183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650A KR101183031B1 (ko) 2009-08-28 2009-08-28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650A KR101183031B1 (ko) 2009-08-28 2009-08-28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056A KR20110023056A (ko) 2011-03-08
KR101183031B1 true KR101183031B1 (ko) 2012-09-14

Family

ID=4393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650A KR101183031B1 (ko) 2009-08-28 2009-08-28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30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438B1 (ko) * 2013-06-10 2015-02-23 한국세라믹기술원 근접장 통신용 페라이트 자성 복합시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666B1 (ko) * 2013-03-29 2017-02-01 니뽄 도쿠슈 도교 가부시키가이샤 무연 압전 자기 조성물, 그것을 사용한 압전 소자, 장치 및 무연 압전 자기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8557B1 (ko) * 2018-08-16 2019-10-04 울산과학기술원 상온 다강성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KR102100436B1 (ko) 2018-10-30 2020-04-13 울산과학기술원 강자성 원소 치환형 상온 다강성 물질 및 그 제조 방법
CN113698194A (zh) * 2021-06-16 2021-11-26 中国科学院深圳先进技术研究院 柔性自支撑BaTiO3-CoFe2O4多铁自组装纳米结构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017B1 (ko) * 2000-10-07 2003-09-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유전체와 강자성체의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145693A1 (en) * 2006-12-19 2008-06-19 Yingyin Kevin Zou Heterostructure of ferromagnetic and ferroelectric and the method to make 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017B1 (ko) * 2000-10-07 2003-09-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유전체와 강자성체의 복합체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145693A1 (en) * 2006-12-19 2008-06-19 Yingyin Kevin Zou Heterostructure of ferromagnetic and ferroelectric and the method to make 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438B1 (ko) * 2013-06-10 2015-02-23 한국세라믹기술원 근접장 통신용 페라이트 자성 복합시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3056A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516B1 (ko) 세라믹, 압전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06419B1 (ko) 온도안정성이 우수한 전왜성 무연 세라믹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010949B (zh) 陶瓷材料和包括陶瓷材料的电容器
CN103102154B (zh) Bi0.5Na0.5TiO3-BaTiO3–BiMg0.5Ti0.5O3无铅压电陶瓷材料
KR101318088B1 (ko) 변형율이 높은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KR101183031B1 (ko) 다강성 구조체의 제조방법
US9105845B2 (en) Piezoelectric ceramic comprising an oxide and piezoelectric device
JP2011518757A (ja) セラミック材料、セラミック材料の製造方法およびセラミック材料からなる部品
Kumar et al. Magnetic enhancement of ferroelectric polarization in a self-grown ferroelectric-ferromagnetic composite
JPWO2018180770A1 (ja) 圧電組成物および圧電素子
WO2017203211A1 (en) Temperature stable lead-free piezoelectric/electrostrictive materials with enhanced fatigue resistance
US20160149119A1 (en) Piezoelectric ceramic composition, piezoelectric element, and method for the same
KR101310450B1 (ko) 기계적 품질계수가 우수한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Kim et al. Effect of various sintering aids on the piezoelectric and dielectric properties of 0.98 (Na0. 5K0. 5) NbO3–0.02 Li0. 04 (Sb0. 06Ta0. 1) O3 ceramics
US20220199298A1 (en) Room-temperature multiferroicity material,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160064969A (ko)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압전 소자
KR101349335B1 (ko) 센서 및 액추에이터용 비납계 압전 세라믹
US11329213B2 (en) Magnetoelectric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Hong et al. Effect of LiBiO2 on low-temperature sintering of PZT-PZNN ceramics
KR101024391B1 (ko) 다강성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68585B1 (ko) 비납계 압전체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압전체
CN105218092B (zh) 一种同时具备大位移及低滞后的锆钛酸铅基压电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840659A (zh) 一种钨青铜纯相室温多铁性陶瓷及其制备方法
KR20220169975A (ko) 배향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75479B1 (ko) 비납계 압전 세라믹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