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970B1 - 피킹 작업용 단말 - Google Patents

피킹 작업용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970B1
KR101182970B1 KR1020127001513A KR20127001513A KR101182970B1 KR 101182970 B1 KR101182970 B1 KR 101182970B1 KR 1020127001513 A KR1020127001513 A KR 1020127001513A KR 20127001513 A KR20127001513 A KR 20127001513A KR 101182970 B1 KR101182970 B1 KR 10118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icking
main body
termin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1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538A (ko
Inventor
요시히로 이께다
아쯔시 가도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가부시끼가이샤 원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가부시끼가이샤 원에이 filed Critical 파나소닉 디바이스 썬크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55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9/00Indexing codes relating to order picking devices in General
    • B65G2209/04Indication loc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조작을 빈번하게 행하는 피킹 작업에 사용해도,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는 레버 스위치를 구비한 피킹 작업용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작업자에게 피킹 타이밍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100)과, 상기 피킹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버 스위치(200)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스위치(200)는, 레버 본체(210)와, 상기 레버 본체(210)의 동작에 의해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스위칭 가능한 비접촉식 스위칭 소자(250)와, 레버 본체(210)의 일부를 끼워 상기 레버 본체(210)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레버 본체(210)를 대기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 수단(260)이며, 스위칭 소자(250)를 온 상태 혹은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레버 본체(210)의 동작을 허용 가능하게 레버 본체(210)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26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킹 작업용 단말{TERMINAL FOR PICKING OPERATION}
본 발명은, 작업자에게 피킹(부품의 취출) 타이밍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과, 상기 피킹의 완료 확인을 위해 사용되는 레버 스위치를 구비하는 피킹 작업용 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조립 생산이 행해지는 공장에 있어서, 각 제품을 조립하는 데 필요해지는 부품은, 각 부품을 수납한 부품 선반으로부터 피킹되어(취출되어), 각 제품의 조립 라인으로 배송된다. 다품종의 제품을 조립 제조하는 경우, 부품 선반으로부터 피킹하는 부품은 제품마다 다르므로, 작업자는 제품마다 정해진 부품을 부품 선반으로부터 피킹해야 한다.
이러한 피킹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많은 공장에서는, 부품 선반의 부품마다의 취출 위치에 1개 또는 1개 이상의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다. 피킹 장치는, 각 표시기를 점등 제어하기 위해 도입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피킹 장치는, 조립 제품마다 피킹이 필요해지는 부품을 점등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그 부품을 통지한다. 또한, 피킹 장치는, 그 부품의 피킹 타이밍을 지시한다. 이 피킹 장치에는, 표시기마다 레버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레버 스위치는, 점등한 표시기에 대응하는 부품의 피킹이 완료되었을 때에, 피킹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조작되는 스위치이다. 피킹 장치는, 점등한 표시기에 대응하는 모든 레버 스위치로부터 피킹의 완료 확인의 응답을 수취하면(레버 스위치가 조작되면), 모든 부품이 피킹되었다고 인식하여, 그 취지를 작업자에게 통지한다. 그리고 피킹 장치는, 다음에 조립할 제품의 피킹 작업으로 옮겨진다.
여기서 사용되는 레버 스위치에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2에 언급하는 것과 같은 간이 접점 스위치가 있다. 이 간이 접점 스위치는, 조작 레버와, 상기 조작 레버의 선단부에 접속되고, 중도부에 플랜지 형상 부분이 형성된 막대 형상의 전극과, 상기 전극과 절연된 원통 형상의 원통 내면 전극과, 상기 원통 내면 전극의 저부에 설치된 원통 저부 전극을 구비한다. 조작 레버를 주위 방향으로 틸팅 동작시킴으로써, 전극은 원통 내면 전극 내에서 경사진다. 그리고 전극이 경사져, 전극의 플랜지 형상 부분과 원통 내면 전극이 접촉함으로써, 간이 접점 스위치는 도통한다. 또한, 조작 레버를 축 방향으로 이동 조작함으로써, 전극은, 원통 내면 전극의 통심 방향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전극이 인출되어, 전극의 플랜지 형상 부분과 원통 저부 전극이 접촉함으로써, 간이 접점 스위치는 도통한다. 이와 같이, 간이 접점 스위치는, 접촉형 스위칭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06316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6-294574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피킹 장치에서 사용되는 레버 스위치는, 피킹이 완료되면 그 완료 확인시마다 조작된다. 그로 인해, 레버 스위치는, 빈번히 동작되는 것이다. 특허 문헌 2에 언급하는 레버 스위치는, 접촉형의 스위칭 소자에 의해 스위칭되므로, 접촉 불량이나 접점 부분의 마모 등의 원인에 의해 내구성이 높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용도로 사용하는 레버 스위치에는, 보다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높은 내구성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에 비추어, 조작을 빈번하게 행하는 피킹 작업에 사용해도,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는 레버 스위치를 구비한 피킹 작업용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은, 작업자에게 피킹 타이밍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과, 상기 피킹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버 스위치를 구비하는 피킹 작업용 단말에 있어서, 상기 레버 스위치는,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의 동작에 의해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스위칭 가능한 비접촉식 스위칭 소자와, 레버 본체의 일부를 끼워 상기 레버 본체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레버 본체를 상기 대기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 수단이며, 스위칭 소자를 온 상태 혹은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레버 본체의 동작을 허용 가능하게 상기 레버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레버 스위치는, 레버 본체의 일부가 끼워져 상기 대기 위치에서 지지 수단에 지지되는 레버 본체의 동작에 의해 온 상태와 오프 상태가 스위칭된다. 이와 같이, 피킹이 완료될 때마다 레버 스위치가 조작되는 피킹 작업에 사용해도, 피킹 작업용 단말은, 비접촉으로 온 상태와 오프 상태로 스위칭한다. 따라서, 이 피킹 작업용 단말은,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레버 본체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자석과, 레버 본체의 일단부의 위치를 변위시키는 것에 의한 자계의 변화를 검지 가능한 자기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레버 본체가 상기 대기 위치에서 지지되는 상태에서 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자기 센서가 위치하도록 레버 본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레버 본체의 일단부측을 제1 지지부에 접촉 가능한 상태에 위치되도록 레버 본체를 제1 지지부를 향해 가압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에 의해 레버 본체의 일부를 끼워 레버 본체를 지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스위칭 소자는, 레버 본체의 상기 일단부에 설치되는 자석과 제1 지지부에 설치되는 자기 센서의 위치 관계에 의해, 비접촉으로 그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피킹이 완료될 때마다 레버 스위치를 조작시키는 피킹 작업에 사용해도, 이 피킹 작업용 단말은,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탄성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레버 본체는, 상기 레버 본체의 일부에 설치된 자석과 제1 지지부에 설치된 자기 센서의 위치 관계를 탄성체에 의한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피킹 작업용 단말은, 레버 본체의 동작에 자유도를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환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본체의 일부는, 환 형상의 돌기부의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 가능하게 플랜지가 설치되는 원판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레버 스위치는, 원판부가 돌기부와 제2 지지부(또는 탄성체) 사이에 끼워져 상기 대기 위치에서 지지 수단에 지지되는 레버 본체의 동작에 의해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스위칭시킨다. 이 레버 본체의 동작에 따라서, 제1 지지부는, 레버 본체의 원판부를 환 형상의 돌기부에 접촉시키도록 할 수 있다. 제1 지지부는, 레버 본체의 축심 방향의 전체 주위 방향의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피킹이 완료될 때마다 레버 스위치를 조작시키는 피킹 작업에 사용해도, 이 피킹 작업용 단말은,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구비한다.
이상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은, 조작을 빈번하게 행하는 피킹 작업에 사용해도,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갖는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의 정면 외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의 측면 외관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의 레버 스위치(레버 본체가 대기 위치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의 레버 스위치(레버 본체가 틸팅 동작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의 레버 스위치(레버 본체가 인장 동작된 상태에 있는 경우)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을 제어하는 피킹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피킹 장치는, 조립 제조하는 제품을 조립하는 데 필요해지는 부품 및 그 부품이 격납된 위치를 관리하는 피킹 장치 본체(도시하지 않음)와, 부품마다 설치되는 동시에, 대응하는 부품이 피킹 대상인지 여부를 작업자에게 통지하는 피킹 작업용 단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다.
피킹 장치 본체는, 각 피킹 작업용 단말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피킹 작업용 단말마다 일 부품을 대응시킴으로써, 피킹 장치 본체는 그 부품의 위치를 특정하고 있다. 피킹 작업용 단말은, 대응하는 부품이 피킹 대상인 경우에 피킹 타이밍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100)(도 1 및 도 2 참조)과, 대응하는 부품을 피킹한 취지의 완료 확인을 행하는 레버 스위치(200)(도 1 및 도 2 참조)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피킹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피킹 장치 본체는, 피킹 대상으로 되는 부품에 대응하는 피킹 작업용 단말로 신호를 송신한다. 신호를 수신한 각 피킹 작업용 단말은, 피킹 대상 부품을 작업자에게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피킹 장치는, 일 제품을 조립하기 위해 필요해지는 1종류 또는 다종류의 부품과 상기 부품의 위치를 작업자에게 통지하는 동시에, 피킹 타이밍을 지시한다.
작업자는, 부품을 피킹 종료하면, 당해 부품에 대응하는 피킹 작업용 단말의 레버 스위치(200)를 조작한다. 피킹 장치 본체는, 피킹 대상이었던 부품에 대응하는 모든 피킹 작업용 단말로부터의 피킹 완료 확인의 응답을 수취함으로써 모든 부품이 피킹되었다고 인식한다. 부품이 피킹되면, 피킹 장치 본체는, 다음 제품을 조립하기 위한 부품의 피킹 작업으로 이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의 구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피킹 작업용 단말은, 조립 제조할 제품의 부품을 수납한 부품 선반에 장착된다. 이 부품 선반은, 예를 들어 파이프에 의해 짜여진 파이프 랙이다. 피킹 작업용 단말은, 부품[또는 일식(一式)의 부품군]마다 1대씩 할당되어 있다. 부품 선반에는, 각 부품에 대응하도록 피킹 작업용 단말이 복수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은, 부품마다 파이프와 판재에 의해 구획되는 파이프 랙에 설치되고, 대응하는 부품을 구획하는 정면측 상단부의 파이프에 장착된다. 즉, 피킹 작업용 단말은, 대응하는 부품의 상방에 배치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은, 작업자에게 피킹 타이밍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100)과, 상기 피킹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버 스위치(200)와, 지시 수단(100) 및 레버 스위치(200)가 장착되는 단말 본체(300)를 구비한다.
지시 수단(100)은, 작업자에 대해 점등 표시함으로써 피킹 타이밍을 시각적으로 통지하는 통지 수단(110)과, 작업자에 대해 대응하는 부품의 피킹을 규제하는 피킹 규제 수단(120)을 구비한다. 또한, 지시 수단(100)은, 통지 수단(110) 및 피킹 규제 수단(120) 중 어느 한쪽만을 구비하는 것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통지 수단(110)은, LED나 전구 등을 내장한 램프(110)(이하, 통지 수단과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함)이다. 상기 램프(110)는, 단말 본체(300)의 정면측(도 1의 전방측, 도 2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램프(110)는 단말 본체(300)의 정면에 서는 작업자에게 눈으로 확인하기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램프(110)는, 단말 본체(300)에 내장된 제어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램프(110)는, 이 제어 기판에 의해 점등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램프(110)는, 점등 표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램프(110)는, 점멸 표시 등, 작업자의 시각에 호소하는 어떠한 통지 수단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램프(110)는, 단말 본체(300)의 제어 기판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점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램프(110)는, 레버 스위치(200)의 동작에 의해 소등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규제 수단(120)은, 작업자가 대응하는 부품을 피킹할 때에 방해로 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셔터(120)(이하, 피킹 규제 수단과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함)이다. 상기 셔터(120)는, 그 부품의 피킹이 필요한 경우에만 작동함으로써, 그 부품의 피킹을 허용한다. 셔터(120)는, 중도부를 절곡한 형상을 한 한 쌍의 장척(長尺) 형상의 아암(121, 121)과, 상기 한 쌍의 아암(121, 121)에 설치되는 판 형상의 셔터 본체(122)를 구비한다.
한 쌍의 아암(121, 121) 중 각각의 일단부측은, 단말 본체(300)의 양 측면에 설치된다. 한 쌍의 아암(121, 121)은,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돌출되는 축(123, 12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셔터 본체(122)는, 대응하는 부품의 작업자에 의한 피킹의 방해로 되므로, 작업자가 피킹할 때에 손이 지나가는 범위를 커버 가능한 면적을 갖는다.
한 쌍의 아암(121, 121)은, 셔터 본체(122)에 대해 각각 평행하게 장착된다. 한 쌍의 아암(121, 121)은, 각각 동기하여 회전한다. 한 쌍의 아암(121, 121)이 회전하는 범위는, 아암(121, 121)의 타단부측이 하방을 향하고 또한 셔터 본체(122)의 면이 전후 방향을 향하는 폐쇄 위치[도 2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셔터(120)의 위치]로부터 아암(121, 121)의 타단부측이 전방 방향(도 2의 도면 정면으로부터 보아 좌측)을 향하고 또한 셔터 본체(122)의 면이 상하 방향을 향하는 개방 위치[도 2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셔터(120)의 위치]까지이다.
셔터(120)는, 셔터 본체(122)의 면이 전후 방향을 향함으로써, 작업자가 부품을 피킹하는 데 방해로 되는 상기 폐쇄 위치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하여, 셔터(120)는, 대응하는 부품이 피킹 대상이 아닌 것을 지시한다. 그리고 셔터(120)는 그 피킹을 규제한다. 셔터(120)는 셔터 본체(122)의 면이 상하 방향을 향함으로써, 작업자가 부품을 피킹하는 데 방해로 되지 않는 상기 개방 위치로 회피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셔터(120)는 대응하는 부품이 피킹 대상인 것을 지시한다. 그리고 셔터(120)는 그 피킹을 허용한다.
레버 스위치(200)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레버 스위치(20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레버 스위치(200)가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레버 스위치(200)를 틸팅 동작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레버 스위치(200)를 인장 동작시킨 상태를 도시한다.
레버 스위치(200)는, 레버 본체(210)와, 상기 레버 본체(210)의 동작에 의해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스위칭 가능한 비접촉식 스위칭 소자(250)와, 레버 본체(210)의 일부를 끼워 상기 레버 본체(210)를 지지하고, 또한 레버 본체(210)를 대기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 수단(260)이며, 스위칭 소자(250)를 온 상태 혹은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레버 본체(210)의 동작을 허용 가능하게 레버 본체(210)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260)을 구비한다. 여기서 「대기 위치」라 함은, 레버 본체(210)의 일부를 끼워 레버 본체(210)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260)에 레버 본체(210)의 동작이 부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는 위치이다.
레버 본체(210)는, 일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의 부재이다. 상기 레버 본체(210)는, 3개의 부재를 연결하여 구성되어 있다. 레버 본체(210)는 일단부측에 설치되는 제1 레버 부재(220)와, 중도부에 설치되는 제2 레버 부재(230)와, 타단부측에 설치되는 제3 레버 부재(240)를 구비한다. 레버 본체(210)의 상기 일단부측은, 지지 수단(260)에 지지되는 고정 단부측으로 된다. 레버 본체(210)의 상기 타단부측은, 자유 단부측으로 된다.
제1 레버 부재(220)는, 원기둥 형상의 축부(221)와, 스위칭 소자(250)를 장착 가능한 장착 홈(222)과, 축부(221)의 선단측의 전체 주위에 걸쳐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되는 원판부(223)와, 상기 원판부(223)가 설치된 축부(221)의 선단측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설치되는 원뿔대 형상의 가이드부(224)와, 축부(221)의 타단부측을 제2 레버 부재(230)의 단부에 끼움 삽입 가능한 끼움 삽입부(225)를 구비한다.
축부(221)는 일단부에 장착 홈(222)을 구비한다. 또한, 축부(221)는 타단부에 끼움 삽입부(225)를 구비한다. 축부(221)는 원판부(223)의 외주 직경보다도 직경이 좁게 되어 있다.
장착 홈(222)은, 축부(221)의 선단에 설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홈(222)은, 축부(221)의 축 중심 부분에 설치된다.
원판부(223)는, 소정 두께를 갖고 있으므로, 중심 방향으로부터의 하중에 대해 용이하게 변형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원판부(223)의 적어도 축부(221)의 상기 선단측의 면은, 평탄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원판부(223)의 축부(221)의 양측의 면 모두 평탄하게 되어 있다.
가이드부(224)의 저면(직경이 넓은 면)은, 원판부(223)측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224)의 상면(직경이 좁은 면)은, 제1 레버 부재(220)의 일단부측으로 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부(224)의 중심은, 원판부(223)의 중심과 일치 혹은 대략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가이드부(224)의 상면의 중심에는, 장착 홈(222)이 형성된다.
끼움 삽입부(225)는, 원뿔대 형상의 정상부(225a)와, 축부(221)의 전체 주위에 걸치는 끼움 삽입 홈부(225b)를 구비한다. 정상부(225a)의 직경은, 통 형상의 제2 레버 부재(230)의 내경 이하로 되어 있다. 끼움 삽입부(225)는, 제2 레버 부재(230)의 내경보다 직경 축소된 양단부의 개구부에 끼움 삽입 홈부(225b)가 끼움 삽입 가능하게 구성된다. 끼움 삽입부(225)는, 제2 레버 부재(230)의 개구부에 정상부(225a)가 걸린다. 따라서, 끼움 삽입부(225)는 제2 레버 부재(230)로부터 빠짐 방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레버 부재(230)는, 제3 레버 부재(240)를 동작시킬 때에 작용하는 하중을 흡수하여 완충하는 완충부(231)와, 제1 레버 부재(220) 또는 제3 레버 부재(240)의 단부를 끼움 삽입 가능한 끼움 삽입구(232, 232)를 구비한다. 제2 레버 부재(23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어 있다. 제2 레버 부재(230)는, 예를 들어 고무 등으로 제조되어 있다. 따라서, 제2 레버 부재(230)는 레버 본체(210)가 동작함으로써 제2 레버 부재(230) 자체 혹은 제3 레버 부재(240)에 작용하는 응력이, 제1 레버 부재(220)에 전달되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완충부(231)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끼움 삽입구(232, 232)는 완충부(231)의 내경보다도 직경 축소되어 있다. 따라서, 끼움 삽입구(232, 232)는, 제1 레버 부재(220)의 끼워 맞춤부(225)를 끼워 넣었을 때에, 끼움 삽입구(232, 232)의 내주면이 끼움 삽입 홈부(225b)에 끼움 삽입된다. 따라서, 정상부(225a)는, 완충부(231)의 내부에서 걸린다. 따라서, 정상부(225a)는, 완충부(231)에 빠짐 방지된다.
제3 레버 부재(240)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분인 막대 형상의 조작부(241)와, 상기 조작부(241)의 일단부측에 설치되고, 제2 레버 부재(230)의 끼움 삽입구(232)에 빠짐 방지되어 끼움 삽입되는 끼움 삽입부(242)를 구비한다.
조작부(241)는 작업자가 축심에 대해 직각 방향측으로부터 눌러 제1 레버 부재(220)의 선단측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시키거나(틸팅 동작), 조작부(241) 자체를 파지하여 축심 방향을 타단부측(도 3의 하측)을 향해 이동시키거나(인장 동작) 하기 위해 설치된다. 또한, 조작부(241)의 길이 방향의 길이는, 그 동작에 맞추어 적절하게 정해진다.
조작부(241)에는, 작업자가 떨어진 장소로부터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 보조 수단(243)이 설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조작 보조 수단(243)은, 조작부(241)의 타단부측[레버 본체(210)의 상기 자유 단부측]에 형성된 관통 구멍(243)[이하, 조작 보조 수단(243)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함]이다. 이 관통 구멍(243)에는 장척 형상의 끈의 일단부가 장착된다. 그리고 관통 구멍(243)은, 끈의 타단부를 당김으로써 조작부(241)를 원격으로 조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피킹 작업용 단말이 작업자에 대해 높은 곳에 설치되거나 하여, 레버 스위치(200)를 직접 조작할 수 없거나, 혹은 조작성이 나쁜 경우에 유효해진다.
끼움 삽입부(242)는, 제1 레버 부재(220)의 끼움 삽입부(225)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끼움 삽입부(242)는 제2 레버 부재(230)의 끼움 삽입구(232)에 빠짐 방지 가능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스위칭 소자(250)는, 레버 본체(210)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자석(251)과, 레버 본체(210)의 상기 일단부의 위치를 변위시키는 것에 의한 자계의 변화를 검지 가능한 자기 센서(252)와, 상기 자기 센서(252)를 제어하는 제어 기판(253)을 구비한다.
스위칭 소자(250)는, 자석(251)과 자기 센서(252)의 위치 관계에 의해, 그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자석(251)과 자기 센서(252)는, 레버 본체(210)가 상기 대기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대향하는 위치 관계에 있다. 자석(251)은, 구체적으로는 장착 홈(222)에 장착된다. 자기 센서(252)는, 자석(251)의 자계를 검지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자기 센서(252)는, 예를 들어 홀 소자 등이다. 제어 기판(253)은, 자기 센서(252)와 단말 본체(30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기판(253)은, 자기 센서(252)가 자석(251)의 자계를 검지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신호를 단말 본체(30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수단(260)은, 레버 본체(210)가 상기 대기 위치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자석(251)과 대향하는 위치에 자기 센서(252)가 위치하도록 레버 본체(21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270)와, 레버 본체(210)의 상기 일단부측을 제1 지지부(270)에 접촉 가능한 상태에 위치되도록 레버 본체(210)를 제1 지지부(270)를 향해 가압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부(280)를 구비한다.
제1 지지부(270)는 단말 본체(300)에 장착하기 위한 기판(271)과, 상기 기판(271)에 접속되는 동시에, 제1 레버 부재(220)의 일단부측을 덮는 피복부(272)를 구비한다.
기판(271)은 자기 센서(252) 및 제어 기판(253)을 구비하고 있다. 기판(271)은, 단말 본체(300)에 장착하는 기판 본체(273)와, 상기 기판 본체(273)로부터 환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274)를 구비한다. 돌기부(274)는 원판부(223)의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74)가 원판부(223)의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함으로써, 제1 레버 부재(220)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자석(251)과 제1 지지부(270)에 설치되는 자기 센서(252)가 대향하는 위치 관계로 되게 된다. 환 형상의 돌기부(274)는, 레버 본체(210)의 동작에 따라서, 원판부(223)를 접촉시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돌기부(274)는 레버 본체(210)의 축심 방향의 전체 주위 방향의 동작에 대응할 수 있다.
돌기부(274)는 주위 방향의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돌기부(274)는 원판부(223)의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하는 경우, 환 형상으로 선 접촉한다. 돌기부(274)는 원판부(223)와 이격된 상태로부터 접촉시키는 경우라도, 가이드부(224)의 경사면이 가이드로 되어, 원판부(223)와의 위치 관계가 보정된다. 따라서, 돌기부(274)는 원판부(223)의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한다. 이 돌기부(274)와 원판부(223)가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하는 위치에 있을 때, 레버 본체(210)의 위치는, 「대기 위치」로 된다. 또한, 이 돌기부(274)와 원판부(223)가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원판부(223)를 돌기부(274)에 대해 축심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동시켜 이격된 위치에 있을 때, 레버 본체(210)의 위치는「인출 위치」로 된다.
돌기부(274)는 원판부(223)의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한 상태로부터 상기 돌기부(274)에 대하여 원판부(223)를 기울임으로써, 원판부(223)에 1점으로 접촉시킬 수도 있다. 이때, 돌기부(274)는 원판부(223)에 대하여 점 접촉한다. 이 접촉점은, 제1 레버 부재(220)를 회전시킬 때의 지지점으로 된다. 이 접촉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시켰을 때의 레버 본체(210)의 위치는, 「틸팅 위치」로 된다. 또한, 돌기부(274)가 원판부(223)의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하는 위치는, 가이드부(224)의 효과에 의해 동일한 위치에 맞출 수 있다. 그 상태로부터 원판부(223)를 기울이므로, 원판부(223) 상의 상기 지지점은, 축심 중심으로부터 소정의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이 지지점은, 원판부(223)의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하는 접선 상에 설치되어 있다.
피복부(272)는, 제1 지지부(270)에 접속되고 또한 제1 레버 부재(220)가 동작하는 공간을 확보 가능한 통 형상의 피복부 본체(275)와, 상기 피복부 본체(275)의 기판(271)에 접속된 단부와 반대측에 설치되는 개구 단부(276)를 구비한다.
피복부 본체(275)는, 원판부(223)의 외주 직경 이상의 내주 직경을 갖고 있다. 피복부 본체(27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274)와 원판부(223)를 적어도 1점에서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1 레버 부재(220)를 상기 틸팅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피복부 본체(275)는 이 틸팅 동작시, 제2 지지부(280)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한 상태에서, 원판부(223)의 돌기부(274)로부터 이격되는 원판부(223)의 부분이 돌기부(274)로부터 이동 가능한 통심 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피복부 본체(275)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274)와 원판부(223)가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한 위치로부터, 원판부(223)를 돌기부(274)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 가능하고, 또한 제2 지지부(280)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이동 가능한 상기 통심 방향의 길이를 갖도록 되어 있다.
개구 단부(276)는, 상기 틸팅 동작시, 제1 레버 부재(220)의 축부(221)가 이동하는 범위 이상의 크기의 개구이다. 또한, 개구 단부(276)는, 상기 통심 방향의 내측을 향해 그 단부가 절곡된다. 그 단부의 내측은, 제2 지지부(280)의 타단부측을 걸기 위해 환 형상의 걸림부(277)를 구비한다.
제2 지지부(280)는, 탄성체[이하, 제2 지지부(280)와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함]에 의해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탄성체(280)는, 원뿔 압박 스프링(테이퍼 압박 스프링)이다. 탄성체(280)는 축부(221)의 직경보다도 긴 직경의 스프링이다. 탄성체(280)는 축부(221)에 삽입되고, 원판부(223)를 축부(221)측으로부터 축심 방향 선단측을 향해 접촉시켜 지지하고 있다. 탄성체(280)는 직경이 짧은 단부를 원판부(223)에 접촉시킨다. 탄성체(280)는 직경이 긴 단부를 개구 단부(276)의 걸림부(277)에 접촉시킨다.
단말 본체(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시 수단(100) 및 레버 스위치(200)가 설치되는 케이싱(310)과, 아암(121, 121)을 구동하는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피킹 작업용 단말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도시하지 않음)과, 케이싱(310)을 파이프(P)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320)를 구비한다.
케이싱(310)은, 파이프(P)의 구경과 대략 동등한 높이의 직사각 형상을 하고 있다. 케이싱(310)은, 파이프(P)가 배면측에 오도록 파이프(P)에 장착된다. 램프(110)는, 케이싱(310)의 정면측에 배치된다. 레버 스위치(200)는, 레버 본체(210)의 상기 자유 단부측이 하방을 향하도록 케이싱(310)의 저면에 배치된다. 케이싱(310)의 내부에는, 모터 및 제어 기판이 수납된다.
모터는, 셔터(120)를 상기 개방 위치 또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아암(121, 121)의 축(123, 123)을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상기 제어 기판은, 지시 수단(100) 및 레버 스위치(200)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와, 상기 제어 회로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제어 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와, 피킹 장치 본체 및 레버 스위치(200),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한다.
고정구(320)는 케이싱(310)의 배면측에 설치된다. 고정구(320)는 파이프(P)의 전방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고정구(320)는 작업자가 부품을 취출할 때에 케이싱(310)이 작업의 방해로 되지 않도록 케이싱(310)을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피킹 작업용 단말은, 대응하는 부품이 피킹 대상인 취지의 신호를 피킹 장치 본체로부터 수신하면, 램프(110)를 점등 표시하는 동시에, 아암(121, 121)을 상기 개방 위치(도 2의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셔터(120)를 회전시켜 셔터(120)를 개방한다. 그리고 피킹 작업용 단말은, 대응하는 부품과 상기 부품의 위치를 통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피킹 작업용 단말은, 작업자에게 피킹을 재촉한다.
작업자는, 부품을 피킹 종료하면, 당해 부품에 대응하는 피킹 작업용 단말의 레버 스위치(200)를 조작하여 피킹 작업이 완료된 것을 확인한다. 완료 확인이 된 피킹 작업용 단말은, 피킹 장치 본체에 대해 피킹 완료 확인의 응답을 발신한다. 모든 피킹 작업용 단말로부터 완료 확인의 응답을 수신한 피킹 작업용 단말은, 다음 피킹 작업으로 이행한다.
다음에, 작업자가 피킹 작업용 단말의 레버 스위치(200)를 조작하였을 때의 레버 스위치(2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버 스위치(200)는 레버 스위치(200)의 레버 본체(210)를 지지 수단(260)에 대해 틸팅 동작함으로써도, 혹은 지지 수단(260)에 대해 인장 동작함으로써 스위칭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틸팅 동작 및 상기 인장 동작시의 각각의 레버 스위치(2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레버 스위치(200)의 레버 본체(210)를 지지 수단(260)에 대해 틸팅 동작함으로써, 스위칭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말 본체(300)에 대해 연직 하향으로 레버 스위치(200)의 레버 본체(210)의 상기 자유 단부가 오도록 배치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단말 본체(300)에 대해 수평 횡방향으로 레버 스위치(200)의 레버 본체(210)의 상기 자유 단부가 오도록 배치되는 예도 마찬가지이다. 즉, 레버 스위치(200)의 레버 본체(210)의 제1 레버 부재(220)는, 지지 수단(260)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레버 본체(210)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틸팅된 상태에서 유지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레버 스위치(200)의 레버 본체(210)가 조작되기 전[레버 본체(210)가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레버 부재(220)의 원판부(223)는 탄성체(280)의 가압력에 의해 제1 지지부(270)의 돌기부(274)측으로 밀어 올려진다. 원판부(223)는 돌기부(274)와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하고 있다. 레버 본체(210)의 자세는, 환 형상의 돌기부(274)의 중심 방향을 따른 상태로 된다. 이때, 제1 레버 부재(220)의 선단에 설치되는 자석(251)은 제1 지지부(270)에 설치되는 자기 센서(252)와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스위칭 소자(250)는 온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대기 위치에 있는 레버 스위치(200)의 레버 본체(210)를 틸팅 동작하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레버 부재(220)의 원판부(223)는 탄성체(280)의 가압력에 의해 돌기부(274)측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원판부(223)는, 돌기부(274)와 1점에서 접촉하면서, 상기 접촉점을 지지점으로 돌기부(274)를 탄성체(280)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회전시켜, 지지점 이외의 돌기부(274)의 부분과 이격시킨다. 레버 본체(210)의 자세는, 환 형상의 돌기부(274)의 중심 방향으로부터 기울어진 상태로 된다.
이때, 제1 레버 부재(220)의 선단에 설치되는 자석(251)도, 돌기부(274)와 원판부(223)의 접촉점을 지지점으로 회전하므로, 자석(251)은, 제1 지지부(270)에 설치되는 자기 센서(252)와의 거리가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스위칭 소자(250)는 오프 상태로 스위칭된다.
레버 본체(210)가 상기 틸팅 동작으로부터 개방시키면, 제1 레버 부재(220)의 원판부(223)는 접촉점을 지지점으로 탄성체(280)의 가압력에 의해 돌기부(274)측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원판부(223)는, 돌기부(274)와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레버 본체(210)의 자세도 환 형상의 돌기부(274)의 중심 방향을 향한 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제1 레버 부재(220)의 선단에 설치되는 자석(251)은, 제1 지지부(270)에 설치되는 자기 센서(252)와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스위칭 소자(250)는 온 상태로 스위칭된다. 스위칭 소자(250)가 온 상태로 스위칭됨으로써, 피킹 작업의 완료 확인이 행해진다.
다음에, 레버 스위치(200)의 레버 본체(210)를 지지 수단(260)에 대해 인장 동작함으로써, 스위칭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대기 위치에 있는 레버 스위치(200)의 레버 본체(210)를 인장 동작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레버 부재(220)의 원판부(223)는, 탄성체(280)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제1 지지부(270)의 돌기부(274)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원판부(223)는 환 형상의 돌기부(274)의 중심 방향에 평행하게 이동한다. 레버 본체(210)의 자세는, 환 형상의 돌기부(274)의 중심 방향을 향한 채 지지 수단(260)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된다. 이때, 제1 레버 부재(220)의 선단에 설치되는 자석(251)은, 제1 지지부(270)에 설치되는 자기 센서(252)와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그러나 자석(251)은, 자기 센서(252)와의 거리가 이격되어 있고, 스위칭 소자(250)는 오프 상태로 스위칭된다.
레버 본체(210)를 상기 인장 동작으로부터 개방시키면, 제1 레버 부재(220)의 원판부(223)는 탄성체(280)의 가압력에 의해 돌기부(274)측으로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원판부(223)는, 돌기부(274)와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또한, 레버 본체(210)의 인장 방향이 돌기부(274)의 중심에 대해 레버 본체(210)의 축 중심이 어긋난 경우라도, 제1 레버 부재(220)의 원판부(223)는, 가이드부(224)에 의해 가이드되어, 돌기부(274)와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하는 상태로 복귀된다. 레버 본체(210)의 자세도 환 형상의 돌기부(274)의 중심 방향을 향한 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제1 레버 부재(220)의 선단에 설치되는 자석(251)은, 제1 지지부(270)에 설치되는 자기 센서(252)와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고, 스위칭 소자(250)는 온 상태로 스위칭된다. 스위칭 소자(250)가 온 상태로 스위칭됨으로써, 피킹 작업의 완료 확인이 행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에 따르면, 스위칭 소자(250)는 레버 본체(210)가 상기 대기 위치에 있는 경우, 온 상태로 된다. 레버 본체(210)를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틸팅 동작 혹은 상기 인장 동작시키면, 스위칭 소자(250)는 이 레버 본체(210)의 동작과 연동하여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하여, 레버 스위치(200)는 레버 본체(210)의 원판부(223)가 끼워져 상기 대기 위치에서 지지 수단(260)에 지지되는 레버 본체(210)의 동작에 의해,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스위칭시킨다. 이와 같이, 피킹이 완료될 때마다 레버 스위치가 조작되는 피킹 작업에 사용해도, 이 피킹 작업용 단말은, 비접촉으로 온 상태와 오프 상태가 스위칭된다. 이로 인해, 피킹 작업용 단말은, 장기간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내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소자(250)는 레버 본체(210)의 상기 일단부에 설치되는 자석(251)과 제1 지지부(270)에 설치되는 자기 센서(252)의 위치 관계에 의해, 비접촉으로 그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레버 본체(210)를 상기 대기 위치로부터 상기 틸팅 동작 혹은 상기 인장 동작을 함으로써, 스위칭 소자(250)는 레버 본체(210)의 상기 일단부에 구비되는 자석(251)의 위치가 변위되어, 자기 센서(252)와의 거리의 변화를 자석(251)으로부터의 자계의 변화로서 자기 센서(252)에서 검지한다. 스위칭 소자(250)는, 자석(251)과 자기 센서(252)를 접촉시키는 일 없이, 이 자계의 변화에 의해 온 상태와 오프 상태가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지지부(280)가 제1 지지부(270)측을 향해 레버 본체(210)의 일부를 가압하면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레버 본체(210)는 오프 상태로 전환하는 상기 틸팅 동작 혹은 상기 인장 동작을 제2 지지부(280)에 의한 가압에 저항하면서 행한다. 레버 본체(210)가 이 제2 지지부(280)에 의한 가압에 저항하는 동작으로부터 해방되면, 레버 본체(210)는 제2 지지부(280)에 의한 가압에 의해, 레버 본체(210)의 원판부(223)가 상기 대기 위치로 변위되도록 동작하고, 원판부(223)가 제1 지지부(280)에 접촉할 때까지 동작한다. 레버 본체(210)에 설치되는 자석(251)과 제1 지지부(280)에 설치되는 자기 센서(252)가 대향하는 위치 관계로 복귀되면, 스위칭 소자(250)는 레버 본체(210)가 상기 대기 위치에 있을 때의 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스위칭 소자(250)는 비접촉으로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동시에, 온 상태와 오프 상태의 위치 관계가 확실하게 전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레버 본체(210)는 상기 레버 본체(210)의 일부에 설치된 자석(251)과 제1 지지부(270)에 설치된 자기 센서(252)의 위치 관계를 탄성체(280)에 의한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버 본체(210)를 상기 인장 동작시킴으로써도, 레버 본체(210)의 자석(251)과 제1 지지부(270)의 자기 센서(252)의 위치 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레버 본체(210)를 상기 틸팅 동작을 행함으로써도, 레버 본체(210)의 자석(251)과 제1 지지부(270)의 자기 센서(252)의 위치 관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피킹 작업용 단말은, 레버 본체의 동작에 자유도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은,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은,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에 있어서, 지지 수단(260)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본체(210)의,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부(223)를 끼워 레버 본체(210)를 지지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레버 본체의 일부는, 플랜지 형상의 원판부라도 좋다. 또한, 레버 본체의 일부는, 원판부가 돌기부와 접촉하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은 평면 형상의 접촉면을 갖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버 본체의 일부는, 오목 형상의 오목부를 환 형상으로 갖고, 또한 지지점의 직경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레버 본체의 원판부는, 지지 수단에 의해 끼울 수 있는 위치이면 레버 본체의 어느 위치라도 좋다. 원판부는, 제1 레버 부재의 축심 방향의 중도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원판부는, 축심 방향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에 있어서, 스위칭 소자(250)가 자석(251)과 자기 센서(홀 소자)(252)로 구성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위칭 소자는, 광(전자파)을 발광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광을 수광하는 수광부와,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광을 반사하는 반사경을 구비하는 광학식의 비접촉 스위칭 소자라도 좋다. 여기서 말하는 광은, 가시광선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에는, 적외선이나 자외선도 포함된다. 이 스위칭 소자는, 제1 지지부(270)측에 발광부 및 수광부를 설치하고, 제1 레버 부재(220)의 상기 선단부에 반사경을 설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에 있어서, 제2 지지부(280)가 원뿔 압박 스프링인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부는, 원뿔 압박 스프링 이외의 압박 스프링이나, 축 중심에 개구를 갖는 원기둥 형상 또는 원뿔대 형상의 고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에 있어서, 상기 인장 동작된 제1 레버 부재(220)를 상기 대기 위치로 복귀시킬 때에, 제1 레버 부재(220)의 원판부(223)가 제1 지지부(270)의 돌기부(274)와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하는 위치로 복귀되도록, 제1 레버 부재(220)를 가이드하는 원뿔대 형상의 가이드부(224)를, 제1 레버 부재(220)의 선단에 구비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224)는 그 원뿔대 형상의 경사면이 외경 방향으로 휜 형상이라도 좋고, 내경 방향으로 휜 형상이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에 있어서, 레버 본체(210)가 상기 대기 위치일 때에 온 상태로 되고, 상기 틸팅 동작 혹은 상기 인장 동작을 하고 있을 때에 오프 상태로 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피킹 작업용 단말은, 레버 본체(210)가 상기 대기 위치일 때에 오프 상태로 되고, 상기 틸팅 동작 혹은 상기 인장 동작을 하고 있을 때에 온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에 있어서, 조작 보조 수단이 관통 구멍(243)인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조작 보조 수단은, 끈 등을 걸 수 있는 후크라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피킹 작업용 단말에 있어서, 파이프 랙에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 랙의 파이프(P)에 고정구(320)를 사용하여 장착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피킹 작업용 단말은, 스틸 랙 등의 부품 선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부품마다 구비되는 동시에 대응하는 부품이 피킹 대상인지 여부를 작업자에게 통지하는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
100 : 지시 수단, 110 : 램프(통지 수단), 120 : 셔터(피킹 규제 수단),
121 : 아암, 122 : 셔터 본체, 123 : 축, 200 : 레버 스위치,
210 : 레버 본체, 220 : 제1 레버 부재, 221 : 축부, 222 : 장착 홈,
223 : 원판부, 224 : 가이드부, 225 : 끼움 삽입부, 225a : 정상부,
225b : 끼움 삽입 홈부, 230 : 제2 레버 부재, 231 : 완충부,
232 : 끼움 삽입구, 240 : 제3 레버 부재, 241 : 조작부,
242 : 끼움 삽입부, 243 : 관통 구멍(조작 보조 수단),
250 : 스위칭 소자, 251 : 자석, 252 : 자기 센서, 253 : 제어 기판,
260 : 지지 수단, 270 : 제1 지지부, 271 : 기판, 272 : 피복부,
273 : 기판 본체, 274 : 돌기부, 275 : 피복부 본체, 276 : 개구 단부,
277 : 걸림부, 280 : 제2 지지부(탄성체), 300 : 단말 본체, 310 : 케이싱,
320 : 고정구, P : (부품 선반의) 파이프

Claims (4)

  1. 작업자에게 피킹 타이밍을 지시하는 지시 수단과, 상기 피킹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버 스위치를 구비하는, 피킹 작업용 단말에 있어서,
    상기 레버 스위치는, 레버 본체와, 상기 레버 본체의 동작에 의해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스위칭 가능한 비접촉식 스위칭 소자와, 상기 레버 본체의 일부를 끼워 상기 레버 본체를 지지하고, 또한 상기 레버 본체를 대기 위치에서 지지하는 지지 수단이며, 상기 스위칭 소자를 상기 온 상태 혹은 상기 오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상기 레버 본체의 동작을 허용 가능하게 상기 레버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레버 본체의 일단부에 설치되는 자석과, 상기 레버 본체의 상기 일단부의 위치를 변위시키는 것에 의한 자계의 변화를 검지 가능한 자기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레버 본체가 상기 대기 위치에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자석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자기 센서가 위치하도록 상기 레버 본체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레버 본체의 상기 일단부측을 상기 제1 지지부에 접촉 가능한 상태에 위치되도록 상기 레버 본체를 상기 제1 지지부를 향해 가압하여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의해 상기 레버 본체의 상기 일부를 끼워 레버 본체를 지지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지지부는, 환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레버 본체의 상기 일부는, 환 형상의 상기 돌기부의 전체 주위에 걸쳐 접촉 가능하게 플랜지가 설치되는 원판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킹 작업용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탄성체에 의해 구성되는, 피킹 작업용 단말.
  3. 삭제
  4. 삭제
KR1020127001513A 2010-09-13 2011-07-20 피킹 작업용 단말 KR101182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03887A JP4914931B2 (ja) 2010-09-13 2010-09-13 ピッキング作業用端末
JPJP-P-2010-203887 2010-09-13
PCT/JP2011/066481 WO2012035878A1 (ja) 2010-09-13 2011-07-20 ピッキング作業用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538A KR20120055538A (ko) 2012-05-31
KR101182970B1 true KR101182970B1 (ko) 2012-09-18

Family

ID=45831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1513A KR101182970B1 (ko) 2010-09-13 2011-07-20 피킹 작업용 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14931B2 (ko)
KR (1) KR101182970B1 (ko)
CN (1) CN102523743A (ko)
WO (1) WO20120358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6969B2 (ja) * 2015-06-30 2019-12-04 パナソニック デバイスSunx株式会社 蓋開閉装置
JP7133758B1 (ja) * 2021-04-23 2022-09-09 株式会社サムス 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装置を使用したピッキング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912A (ja) 2001-12-19 2003-07-02 Heiwa Corp 遊技機用スイッチ装置
JP2010123320A (ja) 2008-11-18 2010-06-03 Anywire:Kk 非接触型オンオフスイッチのスイッチレバー構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02118C2 (de) * 1996-01-22 1999-12-30 Siemens Ag Elektrisches Schaltgerät
US6175290B1 (en) * 1999-06-30 2001-01-16 Gt Development Corporation Contactless stalk mounted control switch
JP4021239B2 (ja) * 2002-05-10 2007-12-12 Idec株式会社 部材指示装置
JP4823361B2 (ja) * 2007-08-24 2011-11-24 株式会社 エニイワイヤ ターミナル
JP2009134944A (ja) * 2007-11-29 2009-06-18 Alps Electric Co Ltd ストーク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0912A (ja) 2001-12-19 2003-07-02 Heiwa Corp 遊技機用スイッチ装置
JP2010123320A (ja) 2008-11-18 2010-06-03 Anywire:Kk 非接触型オンオフスイッチのスイッチレバー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23743A (zh) 2012-06-27
WO2012035878A1 (ja) 2012-03-22
KR20120055538A (ko) 2012-05-31
JP4914931B2 (ja) 2012-04-11
JP2012056752A (ja)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27448B2 (ja) 車両表示画面を制御する多位置スイッチアセンブリ
US8568066B2 (en) Core hole drilling machine
KR101182970B1 (ko) 피킹 작업용 단말
CN101836276B (zh) 操纵器
US9964689B2 (en)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device
US11387058B2 (en) Input device
KR101403900B1 (ko)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
JP5004929B2 (ja) 非接触型オンオフスイッチのスイッチレバー構造
JP2020140828A (ja) 操作支援機能付き操作スイッチユニット、操作支援機能付き操作ユニットおよび操作支援システム
JP2006000871A (ja) 制御装置
CN107203285B (zh) 指示体
JP2020140838A (ja) 操作支援機能付き操作スイッチユニットおよび操作支援システム
CN113296033A (zh) 一种对接结构及激光设备
JP7054592B2 (ja) 操作支援機能付き停止スイッチユニット
US20110063744A1 (en) Focusing device for beam projector
JP6057234B2 (ja) 物品ピッキングまたは物品仕分けの誤作業防止装置
EP3421958A1 (en) Load fastening member loosening detection device, and load fastening member loosening detection system
JP2013128502A (ja) 電動式移動棚
JP6809934B2 (ja) 通知装置
JP2022092839A (ja) 信号表示装置
JP2015019817A (ja) 遊技機用傾斜角度調整装置
JP6048914B2 (ja) 遊技機用傾斜角度調整装置
JP2021157300A (ja) ジョイスティックコントローラ
JP6478144B2 (ja) リモコンスイッチ
JP2020009727A (ja) 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