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3900B1 -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 - Google Patents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3900B1 KR101403900B1 KR1020127026929A KR20127026929A KR101403900B1 KR 101403900 B1 KR101403900 B1 KR 101403900B1 KR 1020127026929 A KR1020127026929 A KR 1020127026929A KR 20127026929 A KR20127026929 A KR 20127026929A KR 101403900 B1 KR101403900 B1 KR 1014039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tection
- detection factor
- factor
- swinging member
- switch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8—Arrangements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a switch, e.g. cartridge hou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7—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a magnetic movable el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Landscapes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umbler Switch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전기 신호의 온 오프를 비접촉으로 수행할 수 있고, 조작부의 손모 부분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한 감도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에서는, 설치 부위에 탈부착 가능해지는 교환부의 끝면에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끝면의 상기 개구가 설치된 부분의 가상 경계면을 사이에 두고, 검출 인자가 상기 교환부 측에, 검출부가 상기 설치 부위 측에, 정상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근접 배치된다. 상기 교환부는, 가요성 통체와, 봉재와, 요동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검출 인자는, 상기 봉재의 베이스단으로부터 상기 가요성 통체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끝면을 향해 연장되는 상기 요동 부재의 상기 끝면측에 고정되며, 상기 봉재에 상기 봉재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가상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교환부 측에 있어서, 상기 가상 경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 인자가 이격된 것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에서는, 설치 부위에 탈부착 가능해지는 교환부의 끝면에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끝면의 상기 개구가 설치된 부분의 가상 경계면을 사이에 두고, 검출 인자가 상기 교환부 측에, 검출부가 상기 설치 부위 측에, 정상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근접 배치된다. 상기 교환부는, 가요성 통체와, 봉재와, 요동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검출 인자는, 상기 봉재의 베이스단으로부터 상기 가요성 통체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끝면을 향해 연장되는 상기 요동 부재의 상기 끝면측에 고정되며, 상기 봉재에 상기 봉재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가상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교환부 측에 있어서, 상기 가상 경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 인자가 이격된 것을 검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점등 소등, 동작 기기의 개시 정지 등 정해진 두 개의 동작의 전환을 수행하는 온 오프 스위치로서, 특히, 전환 동작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유접점을 갖지 않는 비접촉형 스위치에 적합한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점등 소등, 동작 기기의 개시 정지 등 미리 정해진 두 개의 동작의 전환 조작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온 오프 스위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최근에는 전환 동작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유접점(有接點)을 갖지 않는 비접촉형(非接觸型) 스위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그 비접촉형 스위치에서의 스위치 레버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본 출원인도 일본 특허 공개 2009-2650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임의의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는 조작성이 뛰어난 스위치 레버를 구비한 비접촉형 온 오프 스위치를 제안한 바 있다. 이 비접촉형 온 오프 스위치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며 정상 상태로 복원 가능하게 신장하는 통체의 일단을 기재에 고정하고, 가요성을 갖는 봉재를 상기 통체에 삽입 관통하고, 그 봉재의 일단을 상기 통체의 기재에 고정되지 않은 단부에 고정하고 타단을 통체로부터 돌출시킨 것이다. 그리고, 통체의 자유단(봉재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단부)에 굽힘력이 가해지면, 통체 및 봉재가 구부러진 상태로 되고, 통체로부터 돌출된 봉재의 단부(이동단부)가 봉재의 축선을 따라 자유단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축선에 대해 경사진다. 이 봉재의 이동단부의 움직임은 자유단에 가해지는 굽힘력이 어떠한 방향이 되어도 같아지기 때문에 이 단부의 동작을 전기적 신호 2치(2値)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하면, 자유단을 어느 방향으로 굽혀도 동일한 출력을 얻는 것, 즉 온 오프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기 비접촉형 온 오프 스위치는 유지에 품이나 비용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예컨대, 봉재의 이동단부의 움직임을 전기적 신호 2치로 변환하는 원리로서, 빛의 반사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한데, 이 빛의 반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반사량의 열화로 인해 수광 소자의 검출 레벨이 바뀌어 버리기 때문에 반사량이 열화된 경우에 교환의 필요성이 발생하고, 그 유지에 품이나 비용이 들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추가로 일본 특허 공개 2010-12332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비접촉형 온 오프 스위치의 스위치 레버 구조를 제안한 바 있다. 이 스위치 레버 구조는, 가요성을 가지며 정상 상태로 복원 가능하게 신장하는 통체에 봉재의 일단이 삽입 고정되고, 통체로 포위된 봉재의 끝면(端面)에 거울면이 형성되며, 거울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검출부가 배치된 것이다. 그리고, 검출부는 수광 소자에서 받는 광량의 봉재단부 거울면의 경사에 따른 변화를 수광 소자가 기동시에 받은 광량을 기준으로 검지한다. 즉, 기본이 되는 검지 레벨을 그 때마다 리셋하기 때문에 거울면의 세월 경과에 따른 열화의 영향이 작아져 내구성을 올릴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는 조작성을 유지하면서 고장의 빈도를 줄이고, 유지에 드는 품이나 비용을 저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 스위치 레버 구조에서는 봉재를 연직 방향(鉛直 方向)을 따라 배치했을 때 반사면 상방에 형성된 공간에 먼지 등이 침입하여 반사면 상에 퇴적되어 감도를 저하시키거나, 기능 불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통체에 삽입 관통한 봉재의 일단을 통체로부터 돌출시키고, 그 돌출시킨 단부의 동작을 전기적 신호 2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상기 비접촉형 온 오프 스위치에서는 그러한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단, 통체로부터 돌출되는 단부는 그 동작을 전기적 신호 2치로 변환하기 위해 스위치가 설치되는 장치 내에 삽입되어야 하여 탈부착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가요성을 가지며 변형을 반복하는 통체가 손모(損耗)되었을 때의 교환 작업에 시간이나 품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기 신호의 온 오프를 비접촉으로 수행할 수 있고, 조작부의 손모 부분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한 감도의 저하가 일어나지 않는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에서는, 설치 부위에 탈부착 가능해지는 교환부의 끝면에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끝면의 상기 개구가 설치된 부분을 가상 경계면으로 하고, 상기 교환부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상기 가상 경계면을 사이에 두고 검출 인자가 상기 교환부 측에, 검출부가 상기 설치 부위 측에, 상기 교환부의 정상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근접 배치된다. 상기 교환부는 임의의 모든 방향으로 자유로이 휘는 가요성 통체와, 상기 가요성 통체의 자유단에 부착된 봉재와, 상기 봉재의 베이스단으로부터 상기 가요성 통체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끝면을 향해 연장되는 요동 부재(搖動 部材)로 구성된다. 상기 검출 인자는 상기 요동 부재의 상기 끝면측에 고정되며, 상기 봉재에 상기 봉재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가상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교환부 측에 있어서, 상기 가상 경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 인자가 이격된 것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검출 인자란, 예컨대, 검출부가 자기 센서를 구비하고, 자력의 변화를 이용하여 스위치 동작의 유무를 검출하는 경우의 검출 인자는 자성체로 구성되는 것이 된다. 또한, 검출부가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구비하고, 광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스위치 동작의 유무를 검출하는 경우의 검출 인자는 빛의 반사체로 구성된 것이 된다. 마찬가지로 검출부가 초음파 송파(送波) 소자부와 초음파 수파(受波) 소자부를 구비하고, 음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스위치 동작의 유무를 검출하는 경우의 검출 인자는 소리의 반사체로 구성된 것이 된다. 나아가, 검출부가 인덕턴스(L)의 변화를 이용하여 스위치 동작의 유무를 검출하는 경우의 검출 인자는 금속체로 구성된 것이 되며, 검출부가 커패시턴스(C)의 변화를 이용하여 스위치 동작의 유무를 검출하는 경우의 검출 인자는 정전체(靜電體)로 구성된 것이 된다. 그러나, 검출 인자가 반사면을 가지며, 정전체와 자기성 금속체로 구성되는 것이라면, 검출부가 어느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라도 대응하는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근접 배치란, 검출부가 검출 인자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고, 쌍방이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띄우고 배치하는 것이다. 검출부와 검출 인자가 접촉하면 검출 인자의 이동이나, 교환부의 설치 부위에 대한 탈부착의 방해가 되기 때문에, 쌍방은 간격을 띄우고 배치할 필요가 있다. 단, 간격이 너무 크면 그 틈새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개재될 가능성이 높아지거나 검출부의 검출 감도가 낮아지므로, 그 간격은 최대한 작게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검출 인자의 가상 경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의 이동이란, 가상 경계면의 법선 방향으로의 이동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검출 인자가 가상 경계면으로부터 설치 부위 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라면, 가상 경계면과 평행한 방향과 동시에 법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가상 경계면으로부터 이격되며 검출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즉, 교환부의 정상 상태에서의 위치로부터 봉재를 향해 비스듬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교환부는, 상기 교환부의 정상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검출 인자 또는 상기 요동 부재의 일부를 소정 위치에서 유지하고, 상기 검출 인자의 이동을 허용하는 유지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유지부는, 그 형상에 제한은 없으며, 예컨대, 상기 검출 인자 또는 상기 요동 부재의 일부를 상기 소정 위치에서 유지하는 나사선형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특정 평면 영역에서 상기 검출 인자 또는 상기 요동 부재의 일부를 상기 소정 위치에서 유지하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선형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검출 인자 또는 상기 요동 부재의 일부를 상기 소정 위치에서 유지하는 가요성 원반으로 구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그 경우의 가요성 원반은 동심의 복수 개의 고리형(環狀) 돌출부를 갖는 것일 수도 있고, 나선형 돌출부를 갖는 것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에 따르면, 검출 인자가 가상 경계면으로부터 교환부 측에 있어서 가상 경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검출부가 검출 인자의 이격을 검출한다. 즉, 스위치 동작의 유무를 비접촉으로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신호의 온 오프를 비접촉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동작의 유무의 검출에 관여하는 검출 인자는, 가요성 통체의 자유단에 부착된 봉재가 조작될 때, 봉재의 베이스단으로부터 뻗어나오는 요동 부재와 함께 봉재의 베이스단을 받침점으로 하여 요동한다. 이 때, 그 이동 범위는 교환부 끝면의 가상 경계면(끝면에 있어서 개구가 설치된 부분)으로부터 교환부 측으로 제약된다. 즉, 검출 인자는 가상 경계면으로부터 교환부 측에 있어서 가상 경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가상 경계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설치 부위에 대한 교환부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교환부가 포함하는 손모부를 교환부 전체적으로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나아가, 스위치 동작의 유무의 검출에 관여하는 검출 인자와 검출부는 가상 경계면을 사이에 두고 근접 배치되기 때문에 그들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개재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물질에 의한 감도의 저하가 생기지도 않는다.
또한, 검출 인자가 반사면을 가지며, 정전체와 자기성 금속체로 구성되는 것이면, 검출부가 자력, 광량, 음량, 인덕턴스(L), 커패시턴스(C)의 어느 변화를 이용하는 것이어도 이들 모두에 대응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검출부의 검출 원리와 관계 없이 교환할 수 있다.
나아가, 교환부의 정상 상태에 있어서 검출 인자 또는 요동 부재의 일부를 소정 위치에서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함으로써, 검출 인자와 검출부를 확실하게 근접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교환부를 설치했을 때에 검출 인자와 검출부의 위치 어긋남에 기인하는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를 채용한 비접촉형 스위치를 도시하며, (a)는 정상 상태의 측면도, (b)는 조작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교환부 가상 경계면에 대한 검출 인자의 움직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며, (a)는 정상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b)는 봉재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검출 인자의 움직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검출 인자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 접촉형 스위치 구조를 채용한 비 접촉형 스위치가 사용되어 있는 피킹 터미널의 정면도이다.
도 6은 광량의 변화에 따른 검출 원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인덕턴스(L)의 변화에 따른 검출 원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유지부를 구성하는 가요성 원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유지부를 구성하는 가요성 원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교환부 가상 경계면에 대한 검출 인자의 움직임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며, (a)는 정상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b)는 봉재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검출 인자의 움직임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검출 인자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 접촉형 스위치 구조를 채용한 비 접촉형 스위치가 사용되어 있는 피킹 터미널의 정면도이다.
도 6은 광량의 변화에 따른 검출 원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인덕턴스(L)의 변화에 따른 검출 원리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유지부를 구성하는 가요성 원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유지부를 구성하는 가요성 원반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헤드 구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를 채용한 비접촉형 스위치가 사용되어 있는 피킹 터미널의 정면도이다. 이 피킹 터미널(20)은, 물품을 수용하는 선반을 구성하는 파이프 랙(21)에 고정되어 있으며, 피킹 터미널(20)의 하측이 물품 수용부로 되어 있다. 이 물품 수용부에 수용된 물품의 꺼냄 지시는 피킹 터미널(20)의 지시 램프(22)의 점등에 의해 수행되며, 꺼냄 작업을 마친 작업자가 스위치 레버(11)(본 발명의 봉재에 해당)를 조작함으로써, 그 정보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전달된다. 스위치 레버(11)는, 임의의 모든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꺼냄 작업의 흐름 중에서 그 조작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스위치 레버(11)를 포함하는 교환부(10)는, 피킹 터미널(20)의 케이싱(23)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어, 조작 횟수 수명에 따른 고장시에는 교환부(10)만을 교환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교환부(10)에 있어서 케이싱(23)에 대한 접속 부분을 이루는 접속 통체(13)는, 그 일단이 케이싱(23)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통형상 돌출부에 삽입되고, 박스 너트(24)를 사용하여 케이싱(23)에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접속 통체(13)에 있어서 케이싱(23) 측의 단부를 베이스단으로, 그 반대측의 단부를 자유단으로 하고, 교환부(10)를 구성하는 그 밖의 부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한다. 이 접속 통체(13)의 베이스단측 끝면(13a)은 교환부(10)의 끝면이 되며, 접속 통체(13) 내부의 개구 부분이 가상 경계면(10a)이 된다.
접속 통체(13)의 자유단에는 벨로즈가 형성되어 있는 고무로 된 가요성 통체(12)가 부착되며, 나아가, 가요성 통체(12)의 자유단에는 스위치 레버(11)의 베이스단이 부착되어 있다. 스위치 레버(11)의 베이스단은 가요성 통체(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그로부터 가요성 통체(12)의 내부를 통과하여, 가상 경계면(10a)을 향해 요동 부재(14)가 뻗어나와 있다. 그리고, 요동 부재(14)의 단부에는 자기성 금속체(15b) 및 정전체(15c)로 구성된 검출 인자(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검출 인자(15)의 끝면(15a)은 반사면으로 되어 있다.
나아가, 요동 부재(14)에는, 일단이 접속 통체(13)에 고정된 스프링재(18)가 복수 개 고정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재(18)는 동일 평면 상에서 요동 부재(14)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며, 본 발명의 유지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교환부(10)의 정상 상태(스위치 레버(11)에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검출 인자(15)의 위치 결정을 이룸과 아울러, 스위치 레버(11)에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요동 부재(14) 및 거기에 부착된 검출 인자(15)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케이싱(23)에 있어서 접속 통체(13)를 받아들이는 통형상 돌출부의 바닥면에는, 가상 경계면(10a)과 포개지는 개구(2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25)를 건너질러 케이싱(23) 내부에 배치된 기판(17)에 장착되어 있는 검출부(16)가 개구(25)를 통해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교환부(10)를 케이싱(23)에 설치하면, 스위치 레버(11)가 조작되지 않은 정상 상태(도 1(a)에 도시한 상태)에 있어서, 검출 인자(15)와 검출부(16)가 가상 경계면(10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근접 배치되게 된다.
스위치 레버(11)에 힘이 가해지면 가요성 통체(12)가 변형되고, 도 1(a)에 도시한 정상 상태에서, 스위치 레버(11)가 경사진 도 1(b)의 상태가 된다. 이 때, 스위치 레버(11)의 베이스단(11a)으로부터 뻗어나오는 요동 부재(14)도 경사진 상태가 되고, 검출 인자(15)는 가상 경계면(10a)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멀어진, 벗어난) 위치로 이동한다. 검출부(16)는, 스위치 레버(11)가 정상 상태일 때에 검출 인자(15)와 서로 마주보는 위치, 즉 가상 경계면(10a)의 중심과 포개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 레버(11)가 경사졌을 때, 검출 인자(15)는 검출부(16)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검출부(16)는, 검출 인자(15)가 이격된 것을 검출함으로써, 스위치 레버(11)의 조작에 의한 전기 신호의 온 오프를 비접촉으로 수행할 수 있다.
검출부(16)가 검출 인자(15)가 이격된 것을 검출하는 원리에 제한은 없으며, 자력, 광량, 음량, 인덕턴스(L), 커패시턴스(C)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변화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검출부(16)가 자기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검출 인자(15)를 구성하는 자기성 금속체(15b)로부터의 자력의 변화에 의해, 검출 인자(15)가 이격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부(16)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발광부로부터의 광량이 검출 인자(15)의 반사면(15a)에서 반사되고, 수광부에 도달하는 광량의 변화에 의해, 검출 인자(15)가 이격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는 생략하지만, 검출부(16)가 초음파 송파 소자부와 초음파 수파 소자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초음파 송파 소자부로부터의 음량이 검출 인자(15)의 반사면(15a)에서 반사되고, 초음파 수파 소자부에 도달하는 음량의 변화에 의해, 검출 인자(15)가 이격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나아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검출부(16)가 근접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검출 인자(15)의 자기성 금속체(15b)에 기인하는 인덕턴스(L)의 변화에 의해, 검출 인자(15)가 이격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검출부(16)가 커패시턴스(C)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검출 인자(15)의 정전체(15c)에 기인하는 커패시턴스(C)의 변화에 의해 검출 인자(15)가 이격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최대 경사가 될 때까지 스위치 레버(11)를 조작한 경우, 검출 인자(15)는 가상 경계면(10a)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검출 인자(15)의 중심의 이동 경로(L)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경계면(10a)과 동심의 원이 된다. 그리고, 이 이동 경로(L) 상에 있는 검출 인자(1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 경계면(10a)으로부터 자유단측(도 3에 있어서 하방)으로 이격되게 된다. 즉, 가상 경계면(10a)으로부터 케이싱(23) 측(도 3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케이싱(23)에 대한 교환부(1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요성 통체(12)의 재질은, 필요한 가요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면 제한은 없으며, 합성 수지로 구성할 수도 있다. 벨로즈도 필요에 따라 설치하면 된다. 또한, 접속 통체(13)는, 가요성 통체(12)보다 강성이 높은 것이면 그 재질에 제한은 없으며, 합성 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프링재(18)로 구성되어 있는 유지부는, 교환부(10)의 정상 상태에 있어서 검출 인자(15) 또는 요동 부재(14)의 일부를 소정 위치에서 유지하고, 검출 인자(15)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면, 그 구성에 제한은 없다. 스프링재(18) 대신 나사선형 스프링이나,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가요성 원반(19)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요성 원반(19)에는, 도 8에 도시한 동심의 복수 개의 고리형(환상) 돌출부(19a)나 나선형 돌출부(19b)를 설치할 수도 있다. 나아가, 요동 부재(14)를 유지하는 위치도 적당히 변경할 수 있으며, 검출 인자(15)를 유지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나아가, 요동 부재(14)의 일부 혹은 검출 인자(15)를 유지하는 위치를 접속 통체(13)의 축선으로부터 편심시킬 수도 있다.
10…교환부
11…스위치 레버
12…가요성 통체
13…접속 통체
14…요동 부재
15…검출 인자
15a…끝면
15b…자기성 금속체
15c…정전체
16…검출부
17…기판
18…스프링재
19…가요성 원반
19a…고리형 돌출부
19b…나선형 돌출부
20…피킹 터미널
21…파이프 랙
22…지시 램프
23…케이싱
24…박스 너트
25…개구
11…스위치 레버
12…가요성 통체
13…접속 통체
14…요동 부재
15…검출 인자
15a…끝면
15b…자기성 금속체
15c…정전체
16…검출부
17…기판
18…스프링재
19…가요성 원반
19a…고리형 돌출부
19b…나선형 돌출부
20…피킹 터미널
21…파이프 랙
22…지시 램프
23…케이싱
24…박스 너트
25…개구
Claims (8)
- 설치 부위에 탈부착 가능해지는 교환부의 끝면에 개구가 설치되고, 상기 끝면의 상기 개구가 설치된 부분을 가상 경계면으로 하고, 상기 교환부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상기 가상 경계면을 사이에 두고, 검출 인자가 상기 교환부 측에, 검출부가 상기 설치 부위 측에, 상기 교환부의 정상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근접 배치되고, 상기 교환부는, 임의의 모든 방향으로 자유로이 휘는 가요성 통체와, 상기 가요성 통체의 자유단에 부착된 봉재와, 상기 봉재의 베이스단으로부터 상기 가요성 통체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끝면을 향해 연장되는 요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 인자는, 반사면을 가지며, 정전체와 자기성 금속체를 포함하고, 상기 요동 부재의 상기 끝면측에 고정되고, 상기 봉재에 상기 봉재의 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졌을 때, 상기 가상 경계면으로부터 상기 교환부 측에 있어서, 상기 가상 경계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 인자가 이격된 것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구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환부는 상기 교환부의 정상 상태에 있어서 상기 검출 인자 또는 상기 요동 부재의 일부를 소정 위치에서 유지하고, 상기 검출 인자의 이동을 허용하는 유지부를 구비하는 스위치 구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검출 인자 또는 상기 요동 부재의 일부를 상기 소정 위치에서 유지하는 나사선형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위치 구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특정 평면 영역에서 상기 검출 인자 또는 상기 요동 부재의 일부를 상기 소정 위치에서 유지하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선형 탄성체를 포함하는 스위치 구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검출 인자 또는 상기 요동 부재의 일부를 상기 소정 위치에서 유지하는 가요성 원반을 포함하는 스위치 구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원반은 동심의 복수 개의 고리형 돌출부를 갖는 스위치 구조.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원반은 나선형 돌출부를 갖는 스위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1/057485 WO2012131859A1 (ja) | 2011-03-26 | 2011-03-26 | 非接触型スイッチ構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6394A KR20120136394A (ko) | 2012-12-18 |
KR101403900B1 true KR101403900B1 (ko) | 2014-06-09 |
Family
ID=4679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7026929A KR101403900B1 (ko) | 2011-03-26 | 2011-03-26 |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836457B2 (ko) |
JP (1) | JP4994526B1 (ko) |
KR (1) | KR101403900B1 (ko) |
CN (1) | CN102906841B (ko) |
WO (1) | WO2012131859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9994B1 (ko) * | 2012-11-21 | 2014-04-02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비접촉식 스위치 |
JP6302805B2 (ja) * | 2014-09-12 | 2018-03-28 |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 位置検出装置 |
DE102016108472B4 (de) * | 2015-05-11 | 2021-03-04 | Grammer Aktiengesellschaft | Steuersystem für Fahrzeuge |
CN106849930A (zh) * | 2015-12-03 | 2017-06-13 |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 非接触式开关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49342U (ja) * | 1982-09-24 | 1984-04-02 |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ジヨイステイツク |
JPH07210311A (ja) * | 1994-01-20 | 1995-08-11 | Fujitsu General Ltd | カーソル位置指示入力装置 |
JP2010123320A (ja) | 2008-11-18 | 2010-06-03 | Anywire:Kk | 非接触型オンオフスイッチのスイッチレバー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60918A (en) * | 1990-07-10 | 1992-11-03 | Orvitek, Inc. | Joystick controller employing hall-effect sensors |
JPH09161617A (ja) * | 1995-11-30 | 1997-06-20 | Sega Enterp Ltd | スイッチ装置 |
DE19753867B4 (de) * | 1997-12-04 | 2007-07-05 | Linde Ag | Bedienhebel |
JP4121730B2 (ja) * | 2001-01-19 | 2008-07-23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及び携帯型情報機器 |
DE10128436C1 (de) * | 2001-06-12 | 2003-04-10 | Integrated Electronic Systems Sys Consulting Gmbh | Handsteuergerät mit einem Steuerknüppel |
WO2002005387A2 (de) * | 2001-09-27 | 2002-01-17 | Phonak Ag | Elektromechanischer schalter |
DE102006002634B4 (de) * | 2005-07-19 | 2009-11-26 | Preh Gmbh | Bedienelement mit Kipphaptik |
JP2009026509A (ja) | 2007-07-18 | 2009-02-05 | Anywire:Kk | オンオフスイッチ |
-
2011
- 2011-03-26 CN CN201180025102.3A patent/CN102906841B/zh active Active
- 2011-03-26 KR KR1020127026929A patent/KR10140390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3-26 WO PCT/JP2011/057485 patent/WO2012131859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3-26 US US13/879,680 patent/US8836457B2/en active Active
- 2011-03-26 JP JP2012516243A patent/JP4994526B1/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49342U (ja) * | 1982-09-24 | 1984-04-02 |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 ジヨイステイツク |
JPH07210311A (ja) * | 1994-01-20 | 1995-08-11 | Fujitsu General Ltd | カーソル位置指示入力装置 |
JP2010123320A (ja) | 2008-11-18 | 2010-06-03 | Anywire:Kk | 非接触型オンオフスイッチのスイッチレバー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906841B (zh) | 2015-09-09 |
CN102906841A (zh) | 2013-01-30 |
KR20120136394A (ko) | 2012-12-18 |
US20130206556A1 (en) | 2013-08-15 |
US8836457B2 (en) | 2014-09-16 |
WO2012131859A1 (ja) | 2012-10-04 |
JP4994526B1 (ja) | 2012-08-08 |
JPWO2012131859A1 (ja) | 2014-07-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3900B1 (ko) | 비접촉형 스위치 구조 | |
EP1394830B1 (en) | Composite operation type input device for carrying out pressing and rotation operations with common operation unit | |
US20130135211A1 (en) | Keyboard | |
CN103282988A (zh) | 开关操作面板 | |
US20140151204A1 (en) | Keyswitch | |
CN109155218B (zh) | 静电式开关 | |
US20160189896A1 (en) | Control knob having image output part | |
US20190025944A1 (en) | Input device | |
US8284160B2 (en) | Head-mounted computer mouse | |
US20080048649A1 (en) | Thin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same | |
JP2007227337A (ja) | 多方向入力装置 | |
US8129643B2 (en) | Pushbutton type switch device | |
JP2017157462A (ja) | 入力装置 | |
CN101414515A (zh) | 用于检测接触位置的方法和装置 | |
JP2010123320A (ja) | 非接触型オンオフスイッチのスイッチレバー構造 | |
KR101423073B1 (ko) | 자국 터미널 | |
KR20020050803A (ko) | 광학식 마우스 | |
CN204991511U (zh) | 一种耐恶劣环境的按压式行程开关 | |
JP2007311250A (ja) | キーシート及びスライド入力スイッチ | |
CN216144948U (zh) | 雷达碰撞检测装置和清洁设备 | |
JP2005107672A (ja) |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付き端末装置 | |
JP2008146980A (ja) | タッチ検出機能付きスイッチ装置 | |
CN102523743A (zh) | 拾取作业用终端设备 | |
CN211479907U (zh) | 一种光微动开关及鼠标 | |
KR20100102913A (ko) | 전자제품용 신호입력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