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045B1 -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045B1
KR101182045B1 KR1020040112810A KR20040112810A KR101182045B1 KR 101182045 B1 KR101182045 B1 KR 101182045B1 KR 1020040112810 A KR1020040112810 A KR 1020040112810A KR 20040112810 A KR20040112810 A KR 20040112810A KR 101182045 B1 KR101182045 B1 KR 101182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rolled
less
rolled coil
cooling rate
h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4163A (ko
Inventor
유도열
정상열
우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40112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045B1/ko
Publication of KR20060074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35Forging or pressing devices as units
    • B21B15/005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21B37/76Cooling control on the run-out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3/00Cooling beds, whether stationary or moving; Means specially associated with cooling beds, e.g. for braking work or for transferring it to or from the b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3/00Cooling beds, whether stationary or moving; Means specially associated with cooling beds, e.g. for braking work or for transferring it to or from the bed
    • B21B43/10Cooling beds with other work-shifting elements projecting through the 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열연코일이 진행하는 진행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열연코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보온후드; 상기 보온후드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된 개폐문; 및 상기 보온후드가 상기 진행경로의 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온후드의 측면하부에 제공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열연코일을 보온설비에서 냉각하여 상소둔공정을 생략하고서도 열연코일이 연질로 박물생산이 가능하며, 또한 상소둔 생략을 통해 생산성을 높일수 있으며, 최종 냉연소둔판의 강도 및 연신율을 개선시킨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페라이트 인자, 예측경도, 냉연소둔온도, 보온설비

Description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 및 그 제어방법{Thermo-instrument for controlling the cooling rate of the hot coil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보온후드
12 : 외장재
14 : 보온재
16 : 반사판
18 : 롤러
19 : 레일
20a, 20b : 개폐문
본 발명은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용 열연코일의 냉각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보온설비에 관한 것이고, 더 상세하게 상소둔 공정없이 열연코일에서 내/외권부 사이의 재질편차를 개선시키고 HRB 83 이하의 외권부 경도값을 확보하여 냉각압연이 가능하도록 열연코일의 냉각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보온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강은 열간압연 및 냉간압연을 통해서 코일형태로 제조된다. 이때, 열간압연으로 생긴 코일 내부에 형성된 응력을 제거하고 또한 내부결정을 재결정조직으로 변화시켜 연질의 재질을 확보할 목적으로 열연코일을 소둔처리한다. 이러한 소둔조업공정은 연속소둔조업과 상소둔조업으로 구분된다.
소둔조업공정에 있어서, 소둔조업조건은 스테인리스강의 강종별, 요구특성에 따라서 달리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연속소둔조업은 약 1050~1150℃ 고온의 대기분위기하에서 단시간(약 3분)동안 강판을 열처리하는 조업인 반면에, 상소둔조업은 약 750~850℃ 온도범위의 약환원성 분위기 하에서 장시간(총 48시간 소요) 동안 강판을 열처리를 수행하는 조업이다. 상소둔조업에 사용되는 강종은 STS430강과 같은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STS410L, 420강과 같은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으로 구성된다.
페라이트계 및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페라이트와 오스테나이트의 2상 영역이 존재하는 고온에서 열간압연을 행하기 때문에 압연 후 잔존하는 오스테 나이트상이 냉각시에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게 되어 열연판의 강도 및 경도를 증가시킨다.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열연코일을 Ac1 온도 이하의 온도에서 장시간 상소둔조업으로 열처리하여 서냉시키면 압연 후 코일에 형성된 오스테나이트상은 페라이트(α) + 탄화물로 변태되어 마르텐사이트상의 생성이 억제되므로 재질이 연질화되고 결과적으로 후속 냉간압연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소둔조업에 있어서, 장시간이 소요되어 한정된 상소둔설비에서 생산량이 증가되면 공정에 부하를 유발하여 증산을 못하게 되는 생산성 저하 문제와 열처리 분위기 가스로 수소, 질소 가스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공정비가 많이 들어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약 10~25톤의 하중을 갖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열연코일은 열연 스트립이 약 150~300여겹으로 권취된 상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열간압연 후에 상소둔을 생략하고 공냉하면 코일의 내권부와 외권부에 있어서 냉각속도가 달라 코일의 길이 방향 및 폭방향의 재질편차를 유발한다. 이는, 후 공정인 냉간압연 시에 두께편차 및 형상불량이 심해지는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종래예에 따르면, 화학조성으로 계산한 페라이트 인자(FF: ferrite factor)를 8~12로 조절한 강종을 감마(γ)상이 페라이트상과 탄화물로 변태되는 온도, A3 온도범위(650~850℃)에서 열간압연한 경우에는 냉각속도를 5(℃/min) 이하로 유지하는 반면에, A3 온도범위 이상에서 열간압연한 경우에는 냉각속도를 1~10(℃/min) 으로 유지하여 마르텐사이트상이 없는 조직을 얻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있어서, 페라이트 인자가 12 이하이므로 고온에서 감마(γ)상이 많아 열연판 경도가 매우 높고, 또한 경도값(HRB)이 약 85 수준이므로 탠덤 냉간압연기(TCM)에서 냉간압하율을 높일수가 없어 박물 생산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상소둔공정 없이도 열연코일의 내권부 및 외권부의 재질편차를 개선시켜 냉연연속압연기, 즉 탠덤 냉간압연기(TCM)에서 압연이 가능한 HRB 83이하의 목표경도를 확보하고, 냉간압연 후 냉연연속소둔공정(CAL)에서 소둔온도를 제어하여 일정수준의 재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합금성분을 조정하여 페라이트 인자값을 최적화한 열연코일의 냉각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보온설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르텐사이트계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는,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는 열연코일이 진행하는 진행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열연코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보온후드; 상기 보온후드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된 개폐문; 및 상기 보온후드가 상기 진행경로의 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온후드의 측면하부에 제공된 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온후드는 외장재와, 보온재와, 반사판이 외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다층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열연코일은 중량%로 0% 초과 0.03% 이하의 C; 0% 초과 0.7% 이하의 Si; 0% 초과 0.5% 이하의 Mn; 0% 초과 0.035% 이하의 P; 10% 이상 13% 이하의 Cr; 0% 초과 0.5% 이하의 Mo; 0% 초과 0.030% 이하의 N; 0% 초과 0.5% 이하의 Cu; 0% 초과 0.02% 이하의 Al; 0% 초과 0.3% 이하의 Ni, 나머지 Fe 및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불순물로 이루어진 합금성분들을 갖고, 상기 합금성분들의 조성범위를 함수로 하는 하기 식,
FF = Cr% + 6Si% + 4Mo% + 2Al% - 2Mn% - 4Ni% - 40(C%+N%) - 20P% - 5Cu%;
으로 표현되는 페라이트 인자(FF; Ferrite Factor)가 9.0 이상이 되도록 상기 합금성분들의 조성범위가 조절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연코일은 상기 보온후드의 수용공간 내에서 2(℃/분) 이하의 냉각속도로 냉각된다.
페라이트 인자, 권취온도 및 열연코일의 냉각속도를 함수로 하는 하기 식으로 표현되는 상기 열연코일의 외권부 경도(HRB)는 83 이하의 값을 갖도록 상기 페라이트 인자, 권취온도 및 열연코일의 냉각속도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RB = 221 - 17.66x(FF) - 0.062 x [권취온도; ℃] + 4.575 x [냉각속도; ℃/분] + 0.8321x[FF]2 - 0.368 x [FF] x [냉각속도; ℃/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는 열연코일(3)이 이송되는 이송라인(1) 상에 설치되는 보온후드(10)를 갖는다. 보온후드(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이송라인(1) 상에 반원통형상으로 이루어 져서, 복수개의 열연코일(3)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내부에 갖는다. 보온후드(10)는 외부에 위치하는 외장재(12)와, 외장내(12)의 내측면에 제공된 보온재(14)와, 보온재(14)의 내측면에 제공된 반사판(16)으로 이루어진다.
보온재(14)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온재질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유리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온재(14)는 하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열연코일(3)로부터 발산되는 열이 보온후드(10)의 외부로 발산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반사판(16)은 열연코일(3)로부터 발산되는 복사열을 보온후드(10)의 수용공간으로 반사시키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반사판(16)은 반사효율을 극대화시키면서 열연코일(3)로부터의 복사열을 견딜 수 있는 재질, 예를 들어 STS430강으로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수소분위기 하에서 BA(bright annealing) 처리된 STS430강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온후드(10)의 전방과 후방에는 개폐문(20a, 20b)이 각각 제공된다. 개폐문(20a, 20b)들은 열연코일(3)이 보온후드(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보온후드(10)의 전방과 후방을 폐쇄시켜 열연코일(3)로부터의 열이 외부로 방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보온후드(10)의 전방에 제공된 입구 개폐문(20a)이 개방된 상태에서 열연코일(3)은 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보온후드(10)의 수용공간으로 진입하고, 이송라인(1)을 따라서 이송되는 열연코일(3)의 진입이 완료되면 입구 개폐문(20a)은 폐쇄된다. 마찬가지로, 보온후드(20)의 후방에 제공된 출구 개폐문(20b)은 열연코일 (3)이 보온후드(10)의 수용공간으로 진입하는 동안 폐쇄되어 있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열연코일(3)이 목표온도로 냉각되면 이송라인(1)을 따라서 열연코일(3)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개방된다.
개폐문(20a, 20b)들은 구동수단(미도시)의 동작에 의해서 보온후드(10)의 전방과 후방을 개폐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라인(1)의 양측에는 레일(19)이 설치되어 있고, 보온후드(10)의 하부 측면에는 레일(19)을 따라서 구동하는 복수개의 롤러(18)가 제공된다. 따라서, 보온후드(10)는 이송라인(1)의 설치방향을 따라서 양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설비에서 열연코일을 냉각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중량%로 C: 0% 초과 0.03% 이하, Si: 0% 초과 0.7% 이하, Mn: 0% 초과 0.5% 이하, P: 0% 초과 0.035% 이하, Cr: 10% 이상 13% 이하, Mo: 0% 초과 0.5% 이하, N: 0% 초과 0.030% 이하, Cu: 0% 초과 0.5% 이하, Al: 0% 초과 0.02% 이하, Ni: 0% 초과 0.3% 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불순물로 조성된다.
상술된 합금성분들의 조성범위 한정이유는 다음과 같다.
C 및 N는 탄질화물 형성원소로 침입형으로 존재하며, C, N 함량이 높아지면 고온에서 γ상 증가로 열간압연후 코일을 공냉하는 경우 마르텐사이트상 증가와 생성된 마르텐사이트상 때문에 경도 및 강도가 높아 연신율이 저하되기 때문에 목표 열연판의 목표 경도값(HRB) 83 이하로 만족시키고, 최종 냉연제품의 재질확보를 위해 그 함량은 C의 경우는 0.03% 이하, N은 0.03% 이하로 한정한다.
Si은 페라이트상 형성원소로 함량 증가시 페라이트 상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되고 내산화성이 향상되나 0.7% 이상 첨가하면 제강성 Si 개재물 증가로 표면결함이 발생하기 쉽고, 경도, 항복강도, 인장강도를 높이고 연신율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가공성에 불리하여 0.7% 이하로 한정한다.
Mn은 함량이 높아지면 MnS를 용출하여 내공식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0.5% 이하로 한정한다.
P는 내식성 및 열간가공성을 저해하므로 가능한 낮게 관리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P :0.035% 이하로 한정한다.
Cr은 함량이 10% 이하로 너무 낮으면 내식성이 저하하고 함량이 13% 이상이면 내식성은 향상이 되나 강도가 높고 연신율이 낮아 가공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그 함량은 10 ~ 13%로 한정한다.
Mo는 함량이 증가하면 내식성은 현저하게 향상시키지만 강도를 높여 가공성이 나빠진다. 따라서 내식성 및 가공성을 고려하여 Mo 함량을 0.5% 이하로 한정한다.
Al은 탈산제로 첨가되는 원소로 다량 첨가하면 표면결함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0.02% 이하로 한정한다.
Cu 및 Ni은 감마(γ)상 생성원소로서 많이 첨가하면 γ상이 증가하여 열간압연 후 코일을 공냉하는 경우에 마르텐사이트상 생성이 촉진되어 강도 및 경도가 증 가하는 반면에 연신율이 저하된다. Cu는 0.5% 이하, Ni은 0.5% 이하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된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합금성분들의 조성범위를 함수로 하는 페라이트 인자(FF)는 하기 식 1로 표현된다.
FF = Cr% + 6Si% + 4Mo% + 2Al% - 2Mn% - 4Ni% - 40(C%+N%) - 20P% - 5Cu% ‥‥‥‥ (1)
그리고, 상기 합금성분들의 조성범위는 상기 페라이트 인자(FF; Ferrite Factor)가 9.0 이상이 되도록 조절된다.
이때, 고온 및 냉각중의 상변태 거동을 나타내는 페라이트 인자의 값을 한정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열간압연을 위해 슬라브를 고온에서 가열하면 γ상이 다량 생성된다. 따라서, 열간압연 후 코일을 급냉하면 다량의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어 경도가 매우 높아진다.
한편, 열간압연 후 열연코일을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설비에 통과시켜 냉각속도가 가장 빠른 코일외권부의 경도값이 탠덤 냉간압연기로 박물생산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경도 HRB 83 이하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소재의 합금성분 조성범위(중량%)로 계산한 페라이트 인자가 9.0 미만으로 낮아지면 열간압연 후 열연코일을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설비에서 냉각시켜도 다량의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어 경도값 (HRB)이 83을 초과한다. 따라서, 탠덤 냉간압연기에서의 박물압연이 가능해지도록 코일 외권부에서의 경도값(HRB)을 83 이하로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페라이트 인자가 9.0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합금성분들의 조성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은 코일 외권부에서의 경도값(HRB)을 83 이하로 만족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식 1로 표현되는 페라이트 인자가 9.0 이상이 되도록 상기 식 1의 함수를 구성하는 합금성분들의 조성범위가 조절된 슬라브를 준비한다. 이는, 상술된 바와 같이, 탠덤 냉간압연기에서의 박물압연이 가능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후에, 상기 슬라브는 1230℃ 이상의 가열온도에서 가열된다. 이는 열연판 경도 및 최종 냉연제품의 고객사 요구수준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고온의 권취온도 확보 및 상소둔을 생략하고도 열연판의 경도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가열된 슬라브는 통상의 압연조건 하에서 열간압연되고 760℃ 이상의 권취온도에서 열연코일로 권취된다. 이는 고온에서 생성된 γ상이 페라이트+탄화물로 변태시키는 시간을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이 후에, 상기 열연코일은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설비에 장입되고 상기 권취온도에서부터 γ상이 페라이트+탄화물로 변태완료되는 온도, 즉 650℃까지 냉각되도록 약 50분 내지 120분 동안 유지시킨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설비 내에서 열연코일의 냉각속도를 약 2(℃/분) 이하로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열연코일은 상소둔 공정없이 냉각된다.
이때, 열연코일의 외권부 경도(HRB)는 상기 페라이트 인자, 권취온도 및 열연코일의 냉각속도를 함수로 하는 하기 식 2로 표현된다.
HRB = 221 - 17.66x(FF) - 0.062 x [권취온도; ℃] + 4.575 x [냉각속도; ℃/분] + 0.8321x[FF]2 - 0.368 x [FF] x [냉각속도; ℃/분] ‥‥‥‥ (2)
상기 식 2로부터 열연코일의 외권부 경도(HRB)가 83 이하를 만족시키도록 상기 페라이트 인자, 권취온도 및 공냉에서의 냉각속도를 조절함으로써 탠덤 냉간압연기에서의 박물생산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슬라브 가열온도를 1230℃ 이상으로 유지하고, 열간압연후 권취온도를 760℃ 이상으로 유지하고,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설비 내에서 열연코일의 냉각속도를 약 2(℃/분) 이하로 유지함으로써, 열연코일 외권부에서의 경도(HRB)가 83 이하로 유지되고, 코일의 재질편차가 적기 때문에 탠덤 냉간압연기에서의 박물생산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열연코일은 탠덤 냉간압연기에서 통상의 압연조건으로 압연된 후에 소둔처리된다. 이때, 냉연강판의 소둔온도는 합금성분들의 조성범위를 함수로 하는 하기 식 3으로 표현되는 Ac1 예측온도(℃) 이하로 유지된다.
Ac1 예측온도(℃) = 310 + 35xCr% + 3.5x(Cr-17)2 + 60xMo(%) + 73xSi(%) + 310 + 750xAl(%) - 250xC(%) - 280xN(%) - 115xNi(%) - 12xMo(%) - 52x(Al%) ‥ ‥‥(3)
상기 식 3으로부터, 상술된 합금성분들의 조성범위를 갖는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용 냉연강판의 소둔온도는 약 750~820(℃)의 범위 내에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하, 상술된 적정 냉연소둔조건과 관련하여, 소재의 합금성분의 조성범위를 대입하여 구한 Ac1 예측온도(℃)의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 있어서, 통상의 열연 및 냉연소둔온도가 소재의 Ac1 이상의 온도로 유지되는 경우에, 고온에서 γ상이 다시 생성되어 열처리 후 냉각 중에 마르텐사이트상이 생성된다. 그 결과, 스테인리스강의 강도가 상승하여 연신율이 급격하게 저하된다. 따라서, 소재의 Ac1 예측온도 이하인 750~820℃에서 냉연소둔하면 최종 냉연제품의 강도 및 연질 확보가 가능하다.
그러나, 최종 냉연제품의 소둔온도가 상기 식 3의 계산식에 의한 Ac1 예측온도 보다 너무 낮아 750℃ 미만으로 되면 소둔온도가 낮아 열연변형조직이 충분히 재결정되지 못하여 연신율이 매우 낮아진다. 따라서, 최종 냉연제품의 고객사 요구재질 확보를 위해서는 냉연소둔 온도는 750℃ 이상의 온도로 유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식 3으로부터 구한 820℃ 이하의 온도에서 냉연소둔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최종 냉연제품의 재질확보를 위한 냉연소둔온도는 750℃에서부터 각 코일의 합금성분의 조성범위를 상기 식 3에 대입하여 계산하여 구한 Ac1 예측온도, 즉 820℃ 이하까지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연소둔결과,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냉연강판은 최종 고객사의 재질요구 수준, 예를 들어 항복강도: 32Kg/㎟ 이상, 인장강도: 46Kg/㎟ 이상, 연신율 25% 이상을 만족시킨다.
즉,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은 열연코일을 본 발명에 따른 보온설비에서 목표 온도까지 2(℃/분) 이하의 냉각속도로 냉각시킴으로써 상소둔공정을 생략하여도 냉동 컨테이너용으로 사용가능한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대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간압연 후 냉각조건에서도 마르텐사이트상 생성을 억제시키기 위해 합금성분 함수의 계산식으로 구한 페라이트 인자를 9.0 이상이 되도록 합금성분을 최적화시킨 열연코일을 보온설비에서 냉각속도를 조절하여 냉각시킴으로써 탄소강 연속냉간압연기(TCM) 또는 지밀(ZM)에서 냉간압연이 가능한 경도 HRB 83 이하로 조절되어 BAF 소둔을 생략하고도 열연코일의 강도 및 경도조절로 TCM 냉간압연으로 박물생산이 가능하였다.
결과적으로, 열연코일의 냉각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보온설비를 제공함으로써 특히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에서 상소둔공정을 생략하고서도 열연코일이 연질로 박물생산이 가능하며, 또한 상소둔 생략을 통해 생산성을 높일수 있으며, 최종 냉연소둔판의 강도 및 연신율을 개선시킨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제조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1. 열연코일이 진행하는 진행경로에 설치되고 상기 열연코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갖는 보온후드;
    상기 보온후드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설치된 개폐문; 및
    상기 보온후드가 상기 진행경로의 방향을 따라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보온후드의 측면하부에 제공된 롤러;를 포함하는 마르텐사이트계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후드는 외장재와, 보온재와, 반사판이 외부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다층구조로 구성되는 마르텐사이트계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BA 처리된 STS430강으로 이루어진 마르텐사이트계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
  4. 중량%로 C: 0% 초과 0.03% 이하, Si: 0% 초과 0.7% 이하, Mn: 0% 초과 0.5% 이하, P: 0% 초과 0.035% 이하, Cr: 10% 이상 13% 이하, Mo: 0% 초과 0.5% 이하, N: 0% 초과 0.030% 이하, Cu: 0% 초과 0.5% 이하, Al: 0% 초과 0.02% 이하, Ni: 0% 초과 0.3% 이하, 나머지 Fe 및 불가피하게 첨가되는 불순물로 조성되고, 하기 식 1로 표현되는 페라이트 인자(FF)가 9.0 이상인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슬라브를 1230℃ 이상의 가열온도에서 가열하는 제1 단계;
    상기 슬라브를 열간압연하는 제2 단계;
    상기 슬라브를 760℃ 이상의 온도에서 권취하여 열연코일로 제조하는 제3 단계;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보온설비를 통하여 상기 열연코일을 650℃ 까지 0 초과 2 ℃/분의 냉각속도로 냉각하여 하기의 식 2로 표현되는 외권부 경도(HRB)가 83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제4 단계;를 포함하는 마르텐사이트계 열연코일 냉각속도 제어방법.
    식 1) FF = Cr% + 6Si% + 4Mo% + 2Al% - 2Mn% - 4Ni% - 40(C%+N%) - 20P% - 5Cu%
    식 2) HRB = 221 - 17.66x(FF) - 0.062 x [권취온도; ℃] + 4.575 x [냉각속도; ℃/분] + 0.8321x[FF]2- 0.368 x [FF] x [냉각속도; ℃/분]
KR1020040112810A 2004-12-27 2004-12-27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 및 그 제어방법 KR101182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810A KR101182045B1 (ko) 2004-12-27 2004-12-27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810A KR101182045B1 (ko) 2004-12-27 2004-12-27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163A KR20060074163A (ko) 2006-07-03
KR101182045B1 true KR101182045B1 (ko) 2012-09-11

Family

ID=37166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810A KR101182045B1 (ko) 2004-12-27 2004-12-27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393B1 (ko) * 2011-02-24 2013-04-01 현대제철 주식회사 Trb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trb 제조 방법
CN103157670B (zh) * 2011-12-16 2015-05-20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减少板坯边部温降热轧保温罩及其操作装置
CN110314940B (zh) * 2018-03-30 2020-08-2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热轧钢带卷边部保温的保温罩
KR102389853B1 (ko) * 2020-11-02 2022-04-22 주식회사 포스코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4426A (en) * 1979-12-14 1981-07-09 Nippon Steel Corp Direct heat treatment control method for hot drawn wire material
JPH10156417A (ja) * 1996-11-25 1998-06-16 Kobe Steel Ltd 熱間圧延線材の徐冷装置
KR20000013988U (ko) * 1998-12-29 2000-07-15 이구택 컨베이어 시스템의 더스트 커버장치
KR200285605Y1 (ko) * 2002-05-29 2002-08-13 주식회사 포스코 접이식 방수커버를 이용한 전천후 코일 이송용 팔레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4426A (en) * 1979-12-14 1981-07-09 Nippon Steel Corp Direct heat treatment control method for hot drawn wire material
JPH10156417A (ja) * 1996-11-25 1998-06-16 Kobe Steel Ltd 熱間圧延線材の徐冷装置
KR20000013988U (ko) * 1998-12-29 2000-07-15 이구택 컨베이어 시스템의 더스트 커버장치
KR200285605Y1 (ko) * 2002-05-29 2002-08-13 주식회사 포스코 접이식 방수커버를 이용한 전천후 코일 이송용 팔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163A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88326B (zh) 热轧扁钢产品及其生产方法
KR100796819B1 (ko) 고강도 강 스트립 또는 강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11193189B2 (en) Ultra-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bend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0629988B1 (ko) 가공성이 우수한 Cr 함유 내열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US20230287545A1 (en) High strength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high-temperature elongation characteristic, warm-pressed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the same
JPS5967322A (ja) 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2004010991A (ja) スポット溶接性に優れた超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RU2478729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альной полосы (варианты)
JP5440375B2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22394B1 (ko) 우수한 구상화 소둔 특성을 가지는 고탄소강판 및 그제조방법
KR101182045B1 (ko)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 및 그 제어방법
JP4126007B2 (ja) 形状凍結性と焼付硬化性に優れた冷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15764B1 (ko) 오스템퍼링 열처리 특성이 우수한 열연강판, 열연소둔강판, 부재 및 이들의 제조방법
JP4333356B2 (ja) 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101126927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제조방법
RU2633196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холоднокатаной двухфазной феррито-мартенситной стали, микролегированной ниобием
JP2002226941A (ja) 深絞り性に優れた複合組織型高張力冷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11497B1 (ko) 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186789A (ja) 強度−延性バランスと深絞り性に優れた高強度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18025B2 (ja) 異方性の小さい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101301386B1 (ko) 열연 상소둔 생략에 의한 니켈이 첨가된 마르텐사이트계스테인레스강의 제조방법
KR20010060758A (ko) 저온조직이 없는 고실리콘 첨가 중탄소강 선재의 제조방법
JPH0353025A (ja) 高耐熱耐食性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板の製造方法
JP2010111910A (ja) 強度変動の小さい高強度冷延鋼板の製造方法
JPS6324014A (ja) 耐硫化水素性及び靭性の優れた高強度ホツト・コイル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