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9853B1 -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9853B1
KR102389853B1 KR1020200144457A KR20200144457A KR102389853B1 KR 102389853 B1 KR102389853 B1 KR 102389853B1 KR 1020200144457 A KR1020200144457 A KR 1020200144457A KR 20200144457 A KR20200144457 A KR 20200144457A KR 102389853 B1 KR102389853 B1 KR 102389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material
transfer
heat
temperatur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44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9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9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9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08Heat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8Rollers for roller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12Covers or shie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는 가열로의 추출구와 압연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추출구로부터 추출된 고온 소재가 압연기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의 상부와의 사이에, 고온 소재가 이송하며 상기 추출구와 연통되고 외부로부터 밀폐되며 단열되는 이송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이송유닛에 연결되는 보열 덮개; 및 서로 연계하여 상기 이송유닛의 하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상기 이송유닛에 연결되며, 고온 소재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모아져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이물질 배출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HOT MATERIAL TRANSFERRING APPARATUS KEEPING HEAT OF HOT MATERIAL}
본 발명은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간압연 공정에서는, 연주기에서 생산된 슬라브 등의 소재를 가열로에서 소정의 가열 온도로 가열한다. 이와 같이, 가열로에서 소정의 가열 온도까지 가열한 슬라브 등의 고온 소재는 롤러테이블 등과 같은 소재 이송장치에 의해서 압연기로 이송되며, 압연기로 이송된 고온 소재는 압연기에서 압연된다.
종래에, 고온 소재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소재 이송장치에 의해서 가열로로부터 압연기로 이송된다. 이에 따라, 고온 소재는 가열로로부터 압연기로 소재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송되면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외기에 의해서 냉각된다.
근래에는, 열간압연 설비가 대형화되어 가열로가 증설됨에 따라, 가열로로부터 압연기까지의 이송거리가 증가하여, 고온 소재의 온도 하락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온 소재가 가열로로부터 압연기로 소재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송되면서 온도가 하락하는 것을 보상하기 위해서, 가열로에서는 고온 소재의 이송 중 온도 하락을 감안하여 가열 온도를 비교적 높게 설정해야만 한다. 이에 따라, 가열로에서 사용되는 연료량이 비교적 많아지게 된다.
또한, 고온 소재가 가열로로부터 압연기로 소재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송되면서 고온 소재의 열이 주변설비에 전달되기 때문에, 주변설비가 열화되어 수명이 단축되며, 작업환경의 온도가 높아져서 작업자의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고온 소재는 소정의 압연 온도에서 압연기에서 압연되어야만 원하는 품질의 압연 제품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고온 소재가 가열로로부터 압연기로 소재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송되면서 외기에 의해서 온도가 하락하는 종래에서는, 고온 소재의 온도 하락의 정도를 예측하기가 어려워서, 고온 소재의 온도가 압연 온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어려웠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작업 능률이 저하되었고, 원하는 품질의 압연 제품을 얻는 것이 어려웠으며, 대형 설비사고의 위험성도 있었다. 또한, 냉각수 등을 분사하여 고온 소재의 온도가 압연 온도가 되도록 하였으나, 다량의 냉각수 분사로 용수 사용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고온 소재가 가열로로부터 압연기로 소재 이송장치에 의해서 이송되면서 외기와 접촉함에 따라, 고온 소재에는 다량의 산화물이 생성되어, 생산 수율이 저하되고 압연 제품의 품질도 저하되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1998-277622호 (1998.10.20.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8-0135326호 (2018.12.20. 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20-0046873호 (2020.05.0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가열로에서 소정의 가열 온도로 가열된 고온 소재가 외부로부터 밀폐되고 단열된 상태로 압연기로 이송되며 고온 소재로부터 낙하하는 산화물 등의 이물질이 모아져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는 가열로의 추출구와 압연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추출구로부터 추출된 고온 소재가 압연기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의 상부와의 사이에, 고온 소재가 이송하며 상기 추출구와 연통되고 외부로부터 밀폐되며 단열되는 이송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이송유닛에 연결되는 보열 덮개; 및 서로 연계하여 상기 이송유닛의 하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상기 이송유닛에 연결되며, 고온 소재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모아져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이물질 배출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송유닛은 가열로의 추출구와 압연기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와,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보열 덮개가 각각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유닛이 각각의 하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열 덮개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열 덮개는 상기 이송유닛에 연결되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측에 연결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피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부재는 세라크울(CERAK WOO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배출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의 하부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연결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며 고온 소재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모아지는 보열 호퍼 및, 상기 보열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열 호퍼에 모아진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열 호퍼의 상부의 일부에는, 상기 연결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상기 보열 호퍼의 상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보열 호퍼의 상부의 부분에는, 겹침부가 상기 보열 호퍼의 상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겹침부는 이웃하는 다른 상기 보열 호퍼의 겹침부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열 호퍼에는 고온 소재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모아지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하부는 상기 배출밸브에 의해서 개폐되는 수집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집공간의 단면은 아래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공간의 상부에는 메쉬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배출유닛 아래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밸브를 통해 배출된 이물질이 처리장소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물질 이송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가열 온도로 가열된 고온 소재가 외부로부터 밀폐되고 단열된 상태로 압연기로 이송되도록 하여, 고온 소재의 이송 중의 온도 하락과 산화물 생성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고온 소재로부터 낙하하는 산화물 등의 이물질이 모아져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의 일실시예가 가열로의 추출구와 압연기 사이에 설치된 것의 가열로 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의 일실시예가 가열로의 추출구와 압연기 사이에 설치된 것의 가열로 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도1의 Ⅰ-Ⅰ'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100)의 일실시예는 이송유닛(200), 보열 덮개(300) 및, 복수개의 이물질 배출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유닛(200)은 가열로(FN)의 추출구(OM)와 압연기(도시되지 않음)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송유닛(200)은 가열로(FN)에서 소정의 가열 온도로 가열되고 가열로(FN)의 추출구(OM)로부터 추출된, 슬라브 등의 고온 소재(HM)가 압연기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가열로(FN)에는 일측에 장입구(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고, 타측에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구(OM)가 형성될 수 있다. 연속주조기(도시되지 않음)에서 만들어진 슬라브 등의 가열될 소재는 장입구를 통해 가열로(FN) 내부에 장입될 수 있다. 가열로(FN) 내부에는 소재이송부재(TF)가 구비될 수 있다. 소재이송부재(TF)의 일부는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가열로(FN) 내부에 구비되며, 나머지는 상승, 전진, 하강 및 후진의 왕복운동을 하도록 가열로(FN)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된 소재이송부재(TF) 사이에 왕복운동을 하는 소재이송부재(TF)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소재는 소재이송부재(TF)에 의해서 가열로(FN) 내부에서 장입구로부터 추출구(OM)로 이송되면서, 소정의 가열 온도로 가열되어 고온 소재(HM)로 될 수 있다.
가열로(FN)의 추출구(OM)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FN)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추출도어(DR)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추출도어(DR)에는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WR)가 연결되고, 와이어(WR)는 가열로(FN)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권취롤(RW)에 감길 수 있다. 또한, 권취롤 구동모터(MT)가 권취롤(RW)에 연결되며, 권취롤 구동모터(MT)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에 의해서 권취롤 구동모터(MT)를 구동하여 권취롤(RW)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서, 와이어(WR)가 권취롤(RW)에 감기거나 풀리어, 추출도어(DR)가 승강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가열로(FN)의 추출구(OM)가 추출도어(DR)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이송유닛(200)은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210)와, 복수개의 이송롤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송유닛(200)은 롤러테이블일 수 있다. 그러나, 이송유닛(200)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가열로(FN)의 추출구(OM)와 압연기 사이에 구비되며 추출구(OM)로부터 추출된 고온 소재(HM)가 압연기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210)는 가열로(FN)의 추출구(OM)와 압연기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롤러지지부재(210)는 복수개의 단위품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용접 등에 의해서 연결되어 이루어지거나, 단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이송롤러(220)는 일측과 타측이 각각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210) 각각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축지지구멍(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고, 축지지구멍에는 베어링(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송롤러(220)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회전축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롤러(220)의 일측의 회전축은 한 롤러지지부재(210)의 축지구멍에 삽입되어 베어링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이송롤러(220)의 타측의 회전축은 다른 롤러지지부재(210)의 축지구멍에 삽입되어 베어링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복수개의 이송롤러(22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개의 이송롤러(22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가열로(FN) 내부에서 슬라브 등의 소재는 소재이송부재(TF)에 의해서 추출구(OM)로 이송되면서 소정의 가열 온도로 가열되어 고온 소재(HM)로 된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도어(DR)에 의해서 가열로(FN)의 추출구(OM)가 열린 상태에서, 고온 소재(HM)는 가열로(FN)나 이송유닛(200)에 설치되는 추출기(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가열로(FN)의 추출구(OM)로부터 추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기에 의해서 가열로(FN)의 추출구(OM)로부터 추출된 고온 소재(HM)는 추출기에 의해서 복수개의 이송롤러(220) 위에 놓여질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이송롤러(220) 위에 놓여진 고온 소재(HM)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이송롤러(220)의 회전에 의해서 압연기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유닛(200)은 한 쌍의 연결지지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지지부재(230)는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21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연결지지부재(230)는 한 롤러지지부재(210)의 외측에 용접이나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되고, 다른 연결지지부재(230)는 다른 롤러지지부재(210)의 외측에 용접이나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연결지지부재(230)는 복수개의 단위품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거나, 단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연결지지부재(230)의 상부 각각에는 보열 덮개(300)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지지부재(230)의 상부에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구멍(23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열 덮개(300)에는 후술할 끼움돌기(3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열 덮개(300)의 끼움돌기(311)가 연결지지부재(230)의 끼움구멍(231)에 끼워지는 것으로, 보열 덮개(300)가 한 쌍의 연결지지부재(230) 각각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보열 덮개(300)가 한 쌍의 연결지지부재(230) 각각의 상부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 쌍의 연결지지부재(230) 각각의 하부에는 이물질 배출유닛(400)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지지부재(230)의 하부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멍(HC)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배출유닛(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보열 호퍼(410)에 형성되는 연결부(411)에도 연결구멍(H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볼트(BT)가 이물질 배출유닛(400)의 보열 호퍼(410)의 연결부(411)의 연결구멍(HC)과 연결지지부재(230)의 연결구멍(HC)을 통과하여 연결지지부재(2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물질 배출유닛(400)이 한 쌍의 연결지지부재(230) 각각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물질 배출유닛(400)이 한 쌍의 연결지지부재(230) 각각의 하부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외에, 이송유닛(200)은, 이송롤러(220)에 연결되어 이송롤러(220)를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롤러구동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롤러구동모터는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복수개의 롤러구동모터를 제어하여 복수개의 이송롤러(220) 각각의 회전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고온 소재(HM)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열 덮개(300)는 이송유닛(200)에 연결되어, 이송유닛(200)의 상부와의 사이에, 고온 소재(HM)가 이송하며 추출구(OM)와 연통되고 외부로부터 밀폐되며 단열되는 이송공간(ST)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온 소재(HM)가 가열로(FN)의 추출구(OM)를 통해 가열로(FN)로부터 추출된 후 이송유닛(200)에 의해서 압연기로 이송되는 동안에, 고온 소재(HM)의 열이 이송유닛(200)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고온 소재(HM)의 압연기로의 이송 중에 고온 소재(HM)의 온도 하락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가열로(FN)에서의 소재의 가열 온도를 고온 소재(HM)의 이송 중 온도 하락을 감안하여 비교적 높게 설정하지 않아도 되어, 가열로(FN)에서 사용되는 연료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고온 소재(HM)의 이송 중에 고온 소재(HM)의 열이 주변설비에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기 때문에, 주변설비의 열화가 최소화 되어, 주변설비의 수명이 단축되는 것이 최소화 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환경의 온도가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더불어, 고온 소재(HM)의 이송 중 온도 하락의 예측이 용이하여, 고온 소재(HM)의 온도가 용이하게 압연 온도가 되도록 할 수 있으며, 대형 설비사고의 위험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고온 소재(HM)의 온도가 압연 온도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분사되는 냉각수의 사용이 최소화되어, 용수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고온 소재(HM)의 이송 중에 고온 소재(HM)가 외기와 접촉하는 것이 최소화되어, 산화물 생성이 최소화될 수 있어서, 생산 수율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압연 제품의 품질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보열 덮개(300)는 단면이, 예컨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역 U자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보열 덮개(300)의 양측 단부가 이송유닛(200)의 한 쌍의 연결지지부재(230) 각각의 상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이송유닛(200)의 상부에, 고온 소재(HM)가 이송하며 외부로부터 밀폐되며 단열되는 이송공간(ST)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열 덮개(30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구(HE)가 형성되어 이송공간(ST)이 가열로(FN)의 추출구(OM)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송유닛(200)의 상부에, 고온 소재(HM)가 이송하며 추출구(OM)와 연통되고 외부로부터 밀폐되며 단열되는 이송공간(ST)이 형성되도록 하는 보열 덮개(300)의 단면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보열 덮개(3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310)와, 단열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310)는 이송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외피(310)의 단면은 대략 역 U자 형상일 수 잇다. 또한, 외피(310)의 양 측단부에는, 각각 복수개의 끼움돌기(311)가, 서로 외피(310)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외피(310)의 측단부로터 아래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외피(310)의 끼움돌기(311)가 이송유닛(200)의 연결지지부재(230) 상부의 끼움구멍(231)에 끼워지는 것으로, 외피(310)가 이송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외피(310)가 이송유닛(20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외피(310)는, 예컨대 강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외피(31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송유닛(200)에 연결되어 이송유닛(200)의 상부와의 사이에 고온 소재(HM)가 이송되며 외부로부터 밀폐되는 이송공간(ST)을 형성할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외피(310)의 상부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3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열 덮개(300)의 수리나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크레인(도시되지 않음) 등이 고리(312)를 통해 보열 덮개(300)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단열부재(320)는 외피(310) 내측에, 예컨대 볼트 등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이송유닛(200)의 상부와 보열 덮개(300) 사이의 외부로부터 밀폐되는 이송공간(ST)이 단열될 수 있다. 그리고, 고온 소재(HM)가 이송공간(ST)을 통해 이송유닛(200)에 의해서 압연기로 이송되는 동안에, 고온 소재(HM)로부터 외부로 전달되는 열이 최소화될 수 있다. 단열부재(320)는, 예컨대 세라크울(CERAK WOOL)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단열부재(320)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외피(310) 내측에 연결되어, 이송유닛(200)의 상부와 보열 덮개(300) 사이의 외부로부터 밀폐되는 이송공간(ST)이 단열될 수 있는 소재라면, 주지의 어떠한 소재라도 가능하다.
보열 덮개(300)는 복수개의 단위품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거나, 단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열 덮개(300)가 복수개의 단위품이 길이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경우에, 복수개의 단위품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도2의 원안에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턱질 수 있다. 예컨대, 보열 덮개(300)의 한 단위품의 일단부에는 단열부재(320)가 더 돌출되도록 단턱지고, 이와 이웃하여 연결되는 다른 단위품의 일단부에는 외피(310)가 더 돌출되도록 단턱질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보열 덮개(300)의 복수개의 단위품이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통해 고온 소재(HM)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복수개의 이물질 배출유닛(400)은 서로 연계하여 이송유닛(200)의 하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이송유닛(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온 소재(HM)가 이송유닛(200)의 상부와 보열 덮개(300) 사이의 외부로부터 밀폐되고 단열된 이송공간(ST)을 통해 이송되는 동안에, 고온 소재(HM)의 열이 이송유닛(200)의 하부를 통해서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이물질 배출유닛(400)은 고온 소재(HM)로부터 낙하하는 산화물 등의 이물질이 모아져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고온 소재(HM)가 이송유닛(200)의 상부와 보열 덮개(300) 사이의 이송공간(ST)을 통해 이송되는 동안에, 고온 소재(HM)에는 산화물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산화물은 고온 소재(HM)의 이송 중에 고온 소재(HM)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온 소재(HM)로부터 분리된 산화물 등의 이물질은 이물질 배출유닛(400)으로 낙하하여 모여진 후 배출될 수 있다. 이물질 배출유닛(400)은 보열 호퍼(410)와, 배출밸브(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열 호퍼(410)는 이송유닛(200)의 하부의 일부를 덮도록 이송유닛(200)의 연결지지부재(23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보열 호퍼(410)의 상부의 일부에는 연결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열 호퍼(410) 상부의 양 연결지지부재(230) 방향 측의 부분에 각각 연결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11)는 보열 호퍼(410)의 상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11)는 이송유닛(200)의 연결지지부재(23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411)에는 연결구멍(HC)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11)의 연결구멍(HC)은 이송유닛(200)의 연결지지부재(230)의 하부에 형성된 연결구멍(HC)에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BT)가 연결부(411)의 연결구멍(HC)과 연결지지부재(230)의 연결구멍(HC)을 통과하여 연결지지부재(230)에 연결되는 것으로, 연결부(411)가 연결지지부재(2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411)가 연결지지부재(23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연결부(411)가 형성되지 않은 보열 호퍼(410)의 상부의 부분에는 겹침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열 호퍼(410) 상부의 양 이송롤러(220) 방향 측의 부분에 각각 겹침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겹침부(412)는 보열 호퍼(410)의 상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겹침부(412)는 이웃하는 다른 보열 호퍼(410)의 겹침부(412)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연결부(411)와 겹침부(412)에 의해서, 보열 호퍼(410)가 이송유닛(200)의 하부의 일부를 덮도록 이송유닛(200)의 연결지지부재(23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보열 호퍼(410)가 이송유닛(200)의 연결지지부재(230)의 하부에 연결되어, 이송유닛(200)의 하부가 외부로터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보열 호퍼(410)에는 고온 소재(HM)로부터 낙하하는 산화물 등의 이물질이 모아질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보열 호퍼(410)에는 수집공간(SC)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집공간(SC)은 고온 소재(HM)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모아지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하부는 배출밸브(42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또한, 수집공간(SC)의 단면은 아래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밸브(420)에 의해서 수집공간(SC)의 개방된 하부가 폐쇄된 상태에서, 고온 소재(HM)로부터 낙하하는 산화물 등의 이물질이 수집공간(SC)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집공간(SC)에 유입되고 수집공간(SC)에 모아질 수 있다.
보열 호퍼(410)의 수집공간(SC)의 상부에는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부재(4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온 소재(HM)로부터 낙하하는 산화물 등의 이물질 이외에, 설비 가동이나 정비 수리 작업 중 대형 부품이나 작업자, 정비 자재 또는 공구 등이 수집공간(SC)에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배출밸브(420)는 보열 호퍼(410)의 하부에 구비되어 보열 호퍼(410)에 모아진 산화물 등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배출밸브(420)는 보열 호퍼(410)의 수집공간(SC)의 개방된 하부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배출밸브(420)는 제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는 이송유닛(200)과 보열 덮개(300) 사이의 이송공간(ST)에 고온 소재(HM)가 이동하는 동안에는 배출밸브(420)를 닫아서 보열 호퍼(410)의 수집공간(SC)의 개방된 하부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온 소재(HM)로부터 보열 호퍼(41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고온 소재(HM)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어부는 보열 호퍼(410)의 수집공간(SC)에 스케일 등의 이물질이 소정의 배출량 만큼이나 소정 시간 모아지면, 이송유닛(200)과 보열 덮개(300) 사이의 이송공간(ST)에 고온 소재(HM)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에, 배출밸브(420)를 열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보열 호퍼(410)의 수집공간(SC)에 모아진 산화물 등의 이물질이 배출밸브(420)를 통해 보열 호퍼(41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100)의 일실시예는 이물질 이송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이송부재(500)는 이물질 배출유닛(400)의 아래, 예컨대 이물질 배출유닛(400)의 배출밸브(420) 아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이송부재(500)는 배출밸브(420)를 통해 배출되는 산화물 등의 이물질이 처리장소(도시되지 않음)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이물질 이송부재(500)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U자 형상이며, 가열로(FN)로부터 압연기 방향으로 복수개의 이물질 배출유닛(400)의 각 배출밸브(420) 아래에 길게 그리고 압연기 측이 낮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물질 처리장소는 이물질 이송부재(500)의 압연기 측의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에 의해서 복수개의 이물질 배출유닛(400)의 각 배출밸브(420)가 열리면, 복수개의 이물질 배출유닛(400)의 각 보열 호퍼(410)의 수집공간(SC)에 모아진 산화물 등의 이물질이 이물질 이송부재(500)로 배출되며, 이물질 이송부재(500)로 배출된 산화물 등의 이물질은 이물질 이송부재(500)를 통해 이물질 처리장소로 이송될 수 있다.
이물질 이송부재(500)에는 물 등의 액체가 흐르도록 하여, 이물질 이송부재(500)를 통한 산화물 등의 이물질의 처리장소로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이물질 이송부재(500)를 세척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를 사용하면, 소정의 가열 온도로 가열된 고온 소재가 외부로부터 밀폐되고 단열된 상태로 압연기로 이송되도록 하여, 고온 소재의 이송 중의 온도 하락과 산화물 생성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고온 소재로부터 낙하하는 산화물 등의 이물질이 모아져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200 : 이송유닛
210 : 롤러지지부재 220 : 이송롤러
230 : 연결지지부재 231 : 끼움구멍
300 : 보열 덮개 310 : 외피
311 : 끼움돌기 312 : 고리
320 : 단열부재 400 : 이물질 배출유닛
410 : 보열 호퍼 411 : 연결부
412 : 겹침부 413 : 메쉬부재
420 : 배출밸브 500 : 이물질 이송부재
FN : 가열로 OM : 추출구
HM : 고온 소재 ST : 이송공간
SC : 수집공간 HE : 연통구
HC : 연결구멍 BT : 볼트
TF : 소재이송부재 DR : 추출도어
RW : 권취롤 WR : 와이어
MT : 권취롤 구동모터

Claims (12)

  1. 가열로의 추출구와 압연기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추출구로부터 추출된 고온 소재가 압연기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의 상부와의 사이에, 고온 소재가 이송하며 상기 추출구와 연통되고 외부로부터 밀폐되며 단열되는 이송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이송유닛에 연결되는 보열 덮개; 및
    서로 연계하여 상기 이송유닛의 하부가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상기 이송유닛에 연결되며, 고온 소재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모아져서 배출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이물질 배출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가열로의 추출구와 압연기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이송롤러; 및
    상기 한 쌍의 롤러지지부재의 외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지지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연결지지부재는,
    상기 보열 덮개가 각각의 상부에 연결되고 상기 이물질 배출유닛이 각각의 하부에 연결되는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열 덮개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지지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형성되는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열 덮개는 상기 이송유닛에 연결되는 외피와, 상기 외피 내측에 연결되는 단열부재를 포함하는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는 강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부재는 세라크울(CERAK WOOL)로 이루어지는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유닛은 상기 이송유닛의 하부의 일부를 덮도록 상기 연결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며 고온 소재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모아지는 보열 호퍼 및, 상기 보열 호퍼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보열 호퍼에 모아진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밸브를 포함하는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열 호퍼의 상부의 일부에는, 상기 연결지지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상기 보열 호퍼의 상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보열 호퍼의 상부의 부분에는, 겹침부가 상기 보열 호퍼의 상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겹침부는 이웃하는 다른 상기 보열 호퍼의 겹침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열 호퍼에는 고온 소재로부터 낙하하는 이물질이 모아지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하부는 상기 배출밸브에 의해서 개폐되는 수집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집공간의 단면은 아래로 갈수록 작아지는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공간의 상부에는 메쉬부재가 구비되는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배출유닛 아래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밸브를 통해 배출된 이물질이 처리장소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물질 이송부재를 더 포함하는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KR1020200144457A 2020-11-02 2020-11-02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KR102389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457A KR102389853B1 (ko) 2020-11-02 2020-11-02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457A KR102389853B1 (ko) 2020-11-02 2020-11-02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9853B1 true KR102389853B1 (ko) 2022-04-22

Family

ID=81452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457A KR102389853B1 (ko) 2020-11-02 2020-11-02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985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7622A (ja) 1997-04-04 1998-10-20 Nippon Steel Corp 保温カバーの構造及び鋼材キャンバーの検出方法
KR20000013988U (ko) * 1998-12-29 2000-07-15 이구택 컨베이어 시스템의 더스트 커버장치
KR20030046249A (ko) * 2001-12-05 2003-06-12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대기재 보열 및 예열장치
KR20060074163A (ko) * 2004-12-27 2006-07-03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
KR20130023687A (ko) * 2011-08-29 2013-03-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동식 낙광 배출장치
KR101298993B1 (ko) * 2013-07-02 2013-08-23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KR20180135326A (ko)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보열설비 및 그 제어방법
KR102020947B1 (ko) * 2018-12-21 2019-11-04 주식회사 태웅 대상물 이송용 보관장치
KR20200046873A (ko)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가열장치 및 연속주조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7622A (ja) 1997-04-04 1998-10-20 Nippon Steel Corp 保温カバーの構造及び鋼材キャンバーの検出方法
KR20000013988U (ko) * 1998-12-29 2000-07-15 이구택 컨베이어 시스템의 더스트 커버장치
KR20030046249A (ko) * 2001-12-05 2003-06-12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대기재 보열 및 예열장치
KR20060074163A (ko) * 2004-12-27 2006-07-03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 냉각속도 조절용 보온설비
KR20130023687A (ko) * 2011-08-29 2013-03-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이동식 낙광 배출장치
KR101298993B1 (ko) * 2013-07-02 2013-08-23 한일종합기계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의 낙탄 회수 처리시스템
KR20180135326A (ko) 2017-06-12 2018-12-20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 보열설비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46873A (ko) 2018-10-26 2020-05-07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가열장치 및 연속주조장치
KR102020947B1 (ko) * 2018-12-21 2019-11-04 주식회사 태웅 대상물 이송용 보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25791B (zh) 一种真空加热炉
EP2649209B1 (en) Apparatus for pre-heating a metal charge for a melting plant and connected method
JP2002045950A (ja) ストリップ連続鋳造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N104254406B (zh) 用于制造金属带材的方法和设备
CN101272873B (zh) 用于通过连铸轧法制造金属带的方法和装置
CN209935518U (zh) 一种自动快速出坯热送直轧系统
KR100749017B1 (ko) 금속 스트립 제조용 스트립 주조기 및 스트립 주조기제어방법
CN101586908B (zh) 冶金炉
EA024683B1 (ru) Стан для прокатки магния
KR102389853B1 (ko) 고온 소재 보열 이송장치
US5564178A (en) Process of producing a hot coil and a production system of producing the same
US3716222A (en) Heating furnace
EP0124541B1 (en) Processing of metal
CN105983637A (zh) 一种挖掘机斗齿的制造方法
CN100577823C (zh) 内置放热式气体发生装置热处理炉
CN217437768U (zh) 锂电负极材料的连续式石墨化炉及生产系统
ES2965711T3 (es)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alimentar y precalentar una carga metálica en un horno de fusión
CN111961819B (zh) 一种爆炸焊接钢板热处理成套装置
CN211990254U (zh) 一种利用冶炼余热压延生产长型钢材的节能装置
KR101753623B1 (ko) 열간 압연기
CN213778740U (zh) 一种余热回收装置及热轧生产线
US3387834A (en) Hearth firing apparatus
CN218486882U (zh) 带钢原料表面氧化物清除装置及带钢生产线
CN214866151U (zh) 一种棒材线出炉辊道输送装置
CN104661768A (zh) 制造设备列以及热电发电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