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792B1 -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792B1
KR101181792B1 KR1020120033147A KR20120033147A KR101181792B1 KR 101181792 B1 KR101181792 B1 KR 101181792B1 KR 1020120033147 A KR1020120033147 A KR 1020120033147A KR 20120033147 A KR20120033147 A KR 20120033147A KR 101181792 B1 KR101181792 B1 KR 101181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eparator
alarm
main controller
detec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덕흥
박혁주
하동호
박준용
Original Assignee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비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3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1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by comparison with reference light or electric value provisionally voi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를 검출하는 시스템은 차량 대수 분리기로부터 상기 진입 차량의 검출에 따른 차량 검출 신호가 기준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발생되면 상기 차량 대수 분리기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차량 대수 분리기에 장애 발생 시에 경보를 발생시킨다.

Description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SYSTEM FOR ALARMING FAULT OF VEHICLE DETECTOR}
본 발명은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 대수 분리기의 센서 오염 등과 같은 장애 발생 시에 이를 관리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고정식 축중기는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화물 차량에 대하여 축중 및 적재고를 측정하는 기기로서 과적 및 높이초과 차량에 대한 정확한 측정기능 보유로 효율적 단속업무 수행으로 고속도로의 구조물 및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 운영된다.
축중기 시스템은 축하중 검출기, 차량 대수 분리기, 높이 감지기 및 차선 제어기 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차량 대수 분리기는 진입 차량과 후속 차량을 분리하는 장치로서 차량의 검출 유무를 판단한다. 이러한 차량 대수 분리기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한 쌍으로 차량이 진입하는 차선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데, 일측에 설치된 감지 센서의 발광부와 타측에 설치된 감지 센서의 수광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발광부는 발광 렌즈로 구성되고 수광부는 수광 렌즈로 구성되는데 눈이나 비, 먼지 등으로 인해 이들 렌즈에 이물이 쌓일 수 있으며 이들 렌즈에 이물이 쌓이게 되면 발광부에서는 광 신호를 제대로 송출할 수가 없고 수광부에서는 발광부의 광 신호를 제대로 수신할 수 없다. 따라서 차량 대수 분리기는 차량이 차선을 진입하여도 이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대수 분리기의 센서 오염 등과 같은 장애 발생 시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차선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광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및 제2 센서부를 이용하여 진입 차량을 검출하는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를 검출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은 주제어기, 그리고 경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차량 대수 분리기로부터 상기 진입 차량의 검출에 따른 차량 검출 신호가 기준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발생되면 상기 차량 대수 분리기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차량 대수 분리기에 장애 발생 시에 경보를 발생시킨다.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관리자의 작동으로 상기 감지 시간을 설정하는 기준 시간 레버, 상기 관리자의 작동으로 상기 경보가 발생한 후에 상기 경보를 멈추게 하는 경보 복귀 시간을 설정하는 경보 복귀 레버, 그리고 상기 경보를 발생시키는 부저를 포함한다.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기준 시간 이상으로 발생된 차량 검출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패턴과 장애의 종류에 따른 기준 패턴의 비교를 통해 상기 장애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장애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대수 분리기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부에서 수신되는 광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에 상기 차량 검출 신호를 상기 주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가 상기 제1 및 제2 센서부의 오염에 해당하는 경우, 송신되는 광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기준 값을 낮출 수 있다.
상기 주제어기는 설정된 주기로 테스트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장애의 원인에 해당하는 오염도 레벨을 판단하며,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오염도 레벨을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을 통해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은 상기 차선의 주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주변 조도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부에서 송출되는 광 신호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차량 대수 분리기의 감지 센서의 외부 오염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차량 대수 분리기의 외부 오염 등과 같은 장애 발생 시 이를 신속하게 관리자에게 경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신속하게 차량 대수 분리기를 정비할 수 있고,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과적 차량의 진입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결국 과적 차량에 따른 도로 파손 및 도로 보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경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경보 장치의 외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기의 정상 구동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기의 테스트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기에서 차량 대수 분리기의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기에서 차량 대수 분리기의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및 제2 센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은 차량 대수 분리기(100), 주제어기(200) 및 경보 장치(300)를 포함한다.
차량 대수 분리기(100)는 차량이 진입하는 차선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센서부(110, 120)를 포함한다.
도 2를 보면, 제1 및 제2 센서부(110, 120)는 각각 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는 발광부(1121, 1221)와 수광부(1122, 122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센서(112, 122)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및 제2 센서부(110, 120)는 각각 2개의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차선의 일측에 설치된 제1 센서부(110)의 발광부(1121)와 차선의 타측에 설치된 제2 센서부(120)의 수광부(1222)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고, 차선의 일측에 설치된 제1 센서부(110)의 수광부(1122)와 차선의 타측에 설치된 제2 센서부(120)의 발광부(1221)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센서부(110)의 발광부(1121)에서 송출한 광 신호는 제1 센서부(110)의 발광부(1121)와 마주보는 제2 센서부(120)의 수광부(1222)에서 수신하고, 제2 센서부(120)의 발광부(1221)에서 송출한 광 신호는 제2 센서부(120)의 발광부(1221)와 마주보는 제1 센서부(110)의 수광부(1122)에서 수신한다.
차량 대수 분리기(100)는 제1 및 제2 센서부(110, 120)의 발광부(1121, 1221)의 광 신호 주기를 설정하고, 제1 및 제2 센서부(110, 120)의 수광부(1122, 1222)에서 수신한 광 신호의 크기와 기준 값과의 비교를 통해서 진입 차량을 검출한다. 이때 광 신호의 크기는 전압 단위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량 대수 분리기(100)는 광 신호의 세기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 대수 분리기(100)는 제1 및 제2 센서부(110, 120)의 수광부(1122, 1222)에서 광 신호의 송출 주기보다 길게 광 신호의 수신이 없거나 수신한 광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 미만이 되면 차량의 진입으로 검출한다.
차량 대수 분리기(100)는 차량 검출 신호를 주제어기(200)로 전달한다.
주제어기(200)는 경보 장치(3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대수 분리기(100)를 제어하고, 차량 대수 분리기(100)로부터의 차량 검출 신호를 수신하여 경보 장치(300)로 전달한다.
경보 장치(200)는 차량 대수 분리기(100)로부터의 차량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표시한다.
한편, 제1 및 제2 센서부(110, 120)가 외부의 오염 물질로 인해서 이물이 쌓이게 되면 제1 및 제2 센서부(110, 120)의 수광부(1122, 1222)에 도달하는 광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차선을 차량이 진입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주제어기(200)는 차량 대수 분리기(100)로부터의 차량 검출 신호가 기준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수신되면 차량 대수 분리기(1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장애 검출 신호를 경보 장치(200)로 전달한다.
경보 장치(200)는 주제어기(200)로부터 장애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장애 발생을 표시하고 경보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관리자는 시각 및 청각으로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장애 발생을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보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경보 장치(200)에서 경보가 발생한 후에 자동 복귀 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경보 장치(200)는 자동 복귀 시간이 경과한 후 자동 복귀되면서 표시부가 초기화되고 경보가 멈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경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경보 장치의 외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경보 장치(300)는 입력부(310), 표시부(320), 경보 발생부(330), 전원부(34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한다.
입력부(310)는 관리자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는다. 제어 신호에는 경보 장치(300)의 전원 인가 신호, 경보 일시 정지 신호, 기준 관련 신호 및 경보 복귀 신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310)는 전원 버튼, 경보 일시 중지 버튼, 기준 시간 레버 및 경보 복귀 레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전원 버튼을 통해서 전원 인가 신호가 입력되고, 경보 일시 중지 버튼을 통해서 경보 일시 정지 신호가 입력되며, 기준 시간 레버를 통해서 기준 시간을 나타내는 기준 관련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경보 복귀 레버를 통해서 경보 복귀 시간을 나타내는 경보 복귀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관리자는 기준 시간 레버 및 경보 복귀 레버를 조절하여 기준 시간 및 경보 복귀 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표시부(320)는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전원 온/오프를 표시하고, 차량 대수 분리기(100)로부터의 차량 검출 신호에 따라서 진입 차량의 대수를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주제어기(200)로부터 장애 검출 신호에 따라서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장애 발생을 표시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320)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LED의 점등을 통해서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장애 발생을 시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복수의 LED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전원 온/오프를 나타낼 수도 있다.
경보 발생부(33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경보 발생부(330)로는 부저(Buzzer)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주제어기(200)로부터 장애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부저가 울린다.
전원부(340)는 제어부(350)의 제어에 따라 경보 장치(3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350)는 입력부(310)를 통해서 전원 인가 신호가 입력되면 전원부(340)를 제어하여 경보 장치(200)에 전원 전압이 공급되도록 하여 경보 장치(300)를 동작시킨다. 제어부(350)는 입력부(310)를 통해서 경보 일시 중지 신호가 입력되면 경보부(330)를 제어하여 경보를 일시 중단시킨다. 제어부(350)는 입력부(310)를 통해서 기준 관련 신호가 입력되면, 기준 관련 신호에 포함된 기준 시간을 주제어기(200)로 전달하여, 주제어기(200)에서 장애 검출에 기준으로 사용되는 기준 시간을 변경한다. 제어부(350)는 입력부(310)를 통해서 경보 복귀 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따라 경보 복귀 시간을 설정하고, 경보가 울린 후 경보 복귀 시간이 만료되면 표시부(320) 및 경보부(330)를 제어하여 이들을 초기화시킨다. 이와 같이 제어부(350)는 경보 장치(300)의 제반 기능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기의 정상 구동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주제어기(200)는 경보 장치(300)로부터 기준 관련 신호를 수신하고, 기준 관련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기준 신호를 설정한다(S510).
주제어기(200)는 차량 대수 분리기(100)로부터 차량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S520).
주제어기(200)는 차량 대수 분리기(100)로부터 차량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이를 경보 장치(300)로 전송한다(S530). 그러면 경보 장치(300)는 차량 대수를 증가시켜서 표시하게 된다.
한편, 주제어기(200)는 차량 대수 분리기(100)로부터의 차량 검출 신호가 기준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수신되면(S540), 차량 대수 분리기(100)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장애 검출 신호를 생성하고 장애 검출 신호를 경보 장치(200)로 전달한다(S550).
또한 도 6을 보면, 주제어기(200)는 장애 발생 신호가 생성되면(S610), 장애의 종류를 판단할 수도 있다(S620).
주제어기(200)는 판단한 장애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경보 장치(300)로 전송한다(S630). 이렇게 하면, 관리자가 보다 빨리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장애를 복구할 수 있게 된다.
주제어기(200)는 차량 검출 신호가 기준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수신되면 지속적으로 수신된 차량 검출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고, 차량 검출 신호의 패턴을 각 장애 종류에 해당하는 기준 패턴과의 비교를 통해서 장애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수명에 따른 장애의 경우, 차량 검출 신호의 패턴은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수명에 따른 장애에 해당하는 기준 패턴은 차량 검출 신호의 패턴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감지 센서(110, 120)의 오염에 따른 장애의 경우 차량 검출 신호의 패턴은 신호의 크기는 작고 그 크기가 일정한 형태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감지 센서(110, 120)의 오염에 따른 장애에 해당하는 기준 패턴은 작은 크기의 차량 검출 신호가 일정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주제어기(200)는 이러한 기준 패턴을 가지고 분석한 차량 검출 신호의 패턴을 기준 패턴들과 비교함으로써, 가장 유사한 기준 패턴에 해당하는 장애의 종류를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장애 종류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차량 검출 신호의 패턴을 이용하기 때문에 가장 유사한 기준 패턴에 해당하는 장애의 종류가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장애의 종류에 해당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이를 경보 장치(300)를 통해서 관리자에게 알려주면 관리자가 보다 빨리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장애를 복구할 수 있다.
이때 주제어기(200)는 기준 패턴의 정보를 경보 장치(300)로부터 수신하여 설정할 수 있다. 관리자는 장애의 종류에 따른 신호 패턴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기준 패턴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한 기준 패턴의 정보는 입력부(310)를 통해 입력되어 기준 관련 신호로 주제어기(200)에 전송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기의 테스트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주제어기(200)는 정해진 주기 또는 경보 장치(300)를 통한 관리자의 요청에 따라서 차량 대수 분리기(100)를 테스트 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테스트 모드는 일반적으로 진입 차량이 없을 때 수행될 수 있다.
해당 테스트 주기가 되면, 주제어기(200)는 제1 및 제2 센서부(110, 120)의 발광부(1121, 1221)에서 송출하는 광 신호의 세기를 제어 신호로서 제1 및 제2 센서부(110, 120)의 발광부(1121, 1221)로 전달한다(S710).
그러면 발광부(1121, 1221)는 해당 세기의 광 신호를 송출하게 되고, 차량 대수 분리기(100)는 수광부(1122, 1222)에서 수신한 광 신호의 크기로부터 진입 차량을 검출하고, 진입 차량이 검출되면 차량 검출 신호를 주제어기(200)로 전달한다.
주제어기(200)는 광 신호의 세기를 제어 신호로서 차량 대수 분리기(100)로 전달한 후 해당 광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여 차량 검출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720).
주제어기(200)는 광 신호의 세기를 점차적으로 높이면서 해당 광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여 차량 검출 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730).
테스트 모드는 진입 차량이 없을 때 수행되므로, 차량 검출 신호가 수신되면 이는 감지 센서(110, 120)의 오염 등에 따른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장애가 감지 센서(110, 120)의 오염에 해당하는 경우, 차량 검출 신호가 수신된 해당 광 신호의 세기가 높을수록 오염도 레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차량 검출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는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장애가 없음을 나타낸다.
반면, 차량 검출 신호가 수신되고(S740),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장애가 감지 센서(110, 120)의 오염에 해당하는 경우(S750), 주제어기(200)는 차량 검출 신호의 수신 여부로부터 오염도 레벨을 판단하고(S760), 오염도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경보 장치(300)로 전송한다(S770).
그러면 경보 장치(300)는 오염도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320)를 통해서 나타낸다. 예를 들어, 경보 장치(300)는 복수의 LED 중 오염도 레벨을 나타내는 개수의 LED만을 점등시킬 수 있다.
한편 차량 검출 신호가 수신되고(S740),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장애가 감지 센서(110, 120)의 오염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S750), 차량 검출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경보 장치(300)로 보고함으로써(S780), 테스트 모드에서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장애 발생을 검출하였음을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이 단계(S740~S750)은 도 6에서 설명한 정상 구동 모드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러면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장애가 감지 센서(110, 120)의 오염에 해당하는 경우에 차량 대수 분리기(100)의 진입 차량 감지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기에서 차량 대수 분리기의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주제어기(200)는 차량 검출 신호의 수신 여부로부터 오염도 레벨을 판단하고 나면(S810), 판단한 오염도 레벨이 설정된 기준 레벨 이상인지 판단한다(S820).
주제어기(200)는 판단한 오염도 레벨이 설정된 기준 레벨 이상이면 제1 및 제2 센서부(110, 120)의 발광부(1121, 1221)에서 송출하는 광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킨다(S830).
이때 복수의 오염도 레벨에 따라 광 신호의 세기가 다르게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주제어기(200)는 제1 및 제2 센서부(110, 120)의 발광부(1121, 1221)에서 송출하는 광 신호의 세기를 해당 오염도 레벨에 해당하는 광 신호의 세기로 제어할 수 있다.
수광부(1122, 1222)에서 수신되는 광 신호의 크기는 발광부(1121, 1221)에서 수신한 광 신호의 세기보다 훨씬 작다. 따라서 광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면 감지 센서(110, 120)의 오염에 의해 광 신호의 감쇄가 일어나지만 수광부(1122, 1222)에서 수신되는 광 신호의 크기 또한 증가되므로, 진입 차량의 검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증가시킨 광 신호의 세기는 관리자가 감지 센서(110, 120)를 복구한 경우 경보 장치(300)의 경보 복귀 신호에 따라서 주제어기(200)는 제1 및 제2 센서부(110, 120)의 발광부(1121, 1221)에서 송출하는 광 신호의 세기를 원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주제어기에서 차량 대수 분리기의 감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주제어기(200)는 복수의 오염도 레벨에 따른 기준 값을 설정한다(S910). 이때 오염도 레벨이 높을수록 기준 값이 낮아지도록 설정된다.
주제어기(200)는 차량 검출 신호의 수신 여부로부터 오염도 레벨을 판단하고 나면(S920), 판단한 오염도 레벨에 해당하는 기준 값으로 기준 값 변경을 차량 대수 분리기(100)로 요청한다(S930).
이와 같이 오염도 레벨에 따라서 차량 대수 분리기(100)에서 진입 차량의 검출에 사용되는 기준 값을 낮춤으로써, 진입 차량의 검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은 조도 검출 센서(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도 검출 센서(400)는 주변 조도를 검출하며, 주제어기(200)는 검출된 주변 조도에 따라서 발광부(1121, 1221)에서 송출하는 광 신호의 세기를 제어하거나 기준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도가 매우 높은 여름의 경우, 주변 광에 의해 감지 센서(110, 120)가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진입 차량이 없을 때 조도 검출 센서(400)는 주변 조도를 검출하고, 주제어기(200)는 검출된 주변 조도가 높은 경우 발광부(1121, 1221)에서 송출하는 광 신호의 세기를 높이거나 기준 값을 낮추면 주변 광에 의한 오동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차선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광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및 제2 센서부를 이용하여 진입 차량을 검출하는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를 검출하는 시스템에서,
    상기 차량 대수 분리기로부터 상기 진입 차량의 검출에 따른 차량 검출 신호가 기준 시간 이상 지속적으로 발생되면 상기 차량 대수 분리기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주제어기; 및
    상기 차량 대수 분리기에 장애 발생 시에 경보를 발생시키 것으로서, 관리자의 작동으로 차량 감지를 위한 기준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 시간 레버, 상기 관리자의 작동으로 상기 경보가 발생한 후에 상기 경보를 멈추게 하는 경보 복귀 시간을 설정하는 경보 복귀 레버 및 상기 경보를 발생시키는 부저를 포함하는 경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기준 시간 이상으로 발생된 차량 검출 신호의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한 패턴과 장애의 종류에 따른 기준 패턴의 비교를 통해 상기 장애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장애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차량 대수 분리기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부에서 수신되는 광 신호의 크기가 기준 값 미만인 경우에 상기 차량 검출 신호를 상기 주제어기로 전송하며,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가 상기 제1 및 제2 센서부의 오염에 해당하는 경우, 송신되는 광 신호의 세기를 증가시키거나 상기 기준 값을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제1 및 제2 센서부의 오염도 레벨을 판단하고 상기 차량 대수 분리기에 설정된 광 신호의 세기 및 기준 값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오염도 레벨에 따른 광 신호의 세기 및 기준 값 중 적어도 하나로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
  5. 제1항에서,
    상기 주제어기는 설정된 주기로 테스트 모드를 수행하여 상기 장애의 원인에 해당하는 오염도 레벨을 판단하며,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오염도 레벨을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을 통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테스트 모드는 진입 차량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광 신호의 세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켜서 각 광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 검출 신호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모드이며,
    상기 주제어기는 차량 검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광 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상기 오염도 레벨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
  7. 제1항에서,
    상기 차선의 주변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제어기는 상기 주변 조도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센서부에서 송출되는 광 신호의 세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
KR1020120033147A 2012-03-30 2012-03-30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 KR101181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147A KR101181792B1 (ko) 2012-03-30 2012-03-30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147A KR101181792B1 (ko) 2012-03-30 2012-03-30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792B1 true KR101181792B1 (ko) 2012-09-11

Family

ID=4707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147A KR101181792B1 (ko) 2012-03-30 2012-03-30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7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116B1 (ko) * 2003-03-18 2005-08-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차량 검출 장치에 구비된 센서부의 오염 여부 판별를 위한장치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116B1 (ko) * 2003-03-18 2005-08-2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차량 검출 장치에 구비된 센서부의 오염 여부 판별를 위한장치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45079B (zh) 汽车驾驶员鞋子检测系统和控制方法
CN104361768A (zh) 一种智能l形弯道交通警示装置
KR101225055B1 (ko) 항공장애등 점검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공장애등 점검 시스템
US20190198946A1 (en) Damage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of a battery pack
CN115691032A (zh) 光学烟感探测器及其方法
KR102126118B1 (ko) 지그비통신과 높이측정을 이용한 차량 통제 시스템
CN105438912A (zh) 一种位置监控方法及系统
JP2013246552A (ja) 火災報知システム、火災報知システムの火災判断方法、及び火災報知システムの火災判断プログラム
KR101430592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led 도로 표지판 관리 시스템
KR102220672B1 (ko) 고장 감지 기능을 구비한 역주행 경고 장치
KR20180126199A (ko) 도로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0977562B1 (ko) 온도센서 기반의 화재 이상징후 판별시스템
KR100977561B1 (ko)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 기반의 화재 이상징후 판별시스템
KR102097148B1 (ko) 고장 감지 기능을 구비한 차량 과속 경보 장치
US9046624B2 (en) Infrared security sensor
KR101181792B1 (ko) 차량 대수 분리기의 장애 경보 시스템
KR101596270B1 (ko) 충전전로용 안전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2208651B1 (ko) 과속 방지턱 알림용 IoT 기반의 LED 조명
CN218809736U (zh) 一种电梯维保信息采集系统
KR101770986B1 (ko) 사고 발생 경고용 무선 전광시스템
CN207458346U (zh) 一种隧道安全防护装置以及系统
KR101347274B1 (ko) 하이패스 차량감지장치를 감시하는 감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474408B1 (ko) 다중센서 지능형 저전력 철도 터널 환경 데이터 측정 시스템 및 방법
JP2006112910A (ja) 赤外線検知装置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2022121650A (ja) 防災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