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034B1 - 가정용 박엽지 - Google Patents

가정용 박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034B1
KR101181034B1 KR1020077006830A KR20077006830A KR101181034B1 KR 101181034 B1 KR101181034 B1 KR 101181034B1 KR 1020077006830 A KR1020077006830 A KR 1020077006830A KR 20077006830 A KR20077006830 A KR 20077006830A KR 101181034 B1 KR101181034 B1 KR 101181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aper according
polyester
general formula
house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1834A (ko
Inventor
테츠야 우에하라
아키라 히라사와
히로시 오노
압돌레자 네자몰에슬라미
카즈아키 후지모리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61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1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33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21H17/4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21H17/53Polyethers;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00Paper; Cardboar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8Reinforc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8Reinforcing agents
    • D21H21/20Wet strength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002Tissue paper; Absorbent paper

Abstract

유연성이 뛰어나고 또한 잘 찢어지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정용 박엽지이다
Figure 112010044959916-pct00013
(단, 식 중 R1은 HO- 또는 HO(R2O)a-이고, R2는 탄소수 2~3의 알킬렌기이며, R2O는 1종만이거나 2종의 R2O가 랜덤형상 또는 블록형상으로 부가되어 있어도 되고, a는 1~200으로 동일분자 내에서 모두 동일하거나 달라도 되며, b는 2~100이고, R3은 수소원자 등이다).
박엽지, 유연성, 부드러움, 매끄러움, 평활성

Description

가정용 박엽지{TISSUE FOR HOUSEHOLD USE}
본 발명은 가정용 박엽지(薄葉紙)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드럽고 매끄러운, 보다 바람직하게는 촉촉함을 제공할 수 있는 가정용 박엽지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 박엽지로는 티슈페이퍼나 화장실페이퍼 등을 들 수 있다.
최근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에게 부드러우면서 매끄러운 가정용 박엽지가 선호되는 경향에 있다. 특히 티슈페이퍼의 분야에 있어서 그 경향은 현저하다.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일본국 특허 제3180916호(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제4급 암모늄염을 첨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 제2806974호(특허문헌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폴리실록산 물질을 첨가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유연성의 부여를 위해 유연제를 첨가하여 종이를 부드럽게 하면 지력(紙力)의 저하가 발생하는데, 예를 들면 티슈페이퍼의 경우에 있어서 코를 풀 때나 화장을 지우는 등의 닦아낼 경우 찢어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촉촉함을 부여하기 위해 보습제를 첨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일본국 특허문헌 3은,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저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의 보습제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전분 등의 건조 지력증강제와, 고분자 폴리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수용성 왁스를 포함하는 수해지(水解紙)를 제안한다.
그러나 이 수해지는 화장실페이퍼로서 요구되는 레벨의 수해성(水解性)이 충분하지 않고, 또한 건조 지력증강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종이의 유연성을 저해하는 경향이 있다.
특허문헌 1:일본국 특허 제3180916호 공보
특허문헌 2:일본국 특허 제2806974호 공보
특허문헌 3:일본국 특허 제3454997호 공보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유연성이 뛰어나고 게다가 잘 찢어지지 않는 가정용 박엽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특히 화장실페이퍼로 할 때에 부드럽고 매끄러우며 게다가 촉촉함을 부여하면서도 지력의 저하가 적은 가정용 박엽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음에 기술한 바와 같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
하기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Figure 112007023593362-pct00001
(단, 식 중 R1은 HO- 또는 HO(R2O)a-이고, R2는 탄소수 2~3의 알킬렌기이며, R2O는 1종만이거나 2종의 R2O가 랜덤형상 또는 블록형상으로 부가되어 있어도 되고, a는 1~200으로 동일분자 내에서 모두 동일하거나 달라도 되며, b는 2~100이고, R3은 수소원자 또는 일반식 (2)로 표현되는 기이다.)
Figure 112007023593362-pct00002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이 펄프에 대해 0.05~6.0 질량%의 비율로 첨가되어 있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
또한 보습제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
보습제가 글리세린인 청구항 3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보습제가, 함유시키는 시트 중량에 대해 5~60 질량% 함유되어 있는 청구항 3 또는 5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
피부촉감치(oil KES)가 3.0~6.0인 청구항 1 또는 3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
평활성(MMD)이 5.0~15.0인 청구항 1 또는 3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
소프트니스(softness)가 0.8~1.5g/100mm인 청구항 1 또는 3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
건조 인장강도의 세로가 200~500cN, 가로가 50~200cN인 청구항 1 또는 3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
1겹당 미평(米坪)이 10~40g/㎡인 청구항 1 또는 3에 기재된 가정용 박엽지.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부드러움뿐만 아니라 사용할 때에도 잘 찢어지지 않는 것이 된다. 또한 특히 화장실페이퍼로 할 때에, 부드럽고 매끄러우며 게다가 촉촉함을 부여하면서도 지력의 저하가 적은 것이 된다.
도 1은 MMD 측정단자 및 측정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피부촉감치(oil KES) 측정단자 및 측정시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표면특성의 측정장치의 예의 개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접촉평면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은 가정용 박엽지의 유연성 부여제로서, 상기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펄프원료에 첨가한 것이다. 또한 촉촉함을 부여하는 경우에는 보습제도 첨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은,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와 일반식 HO-(R2O)a-H로 표현되는 글리콜로부터 공지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방향족 디카르복시산으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및 프탈산을 들 수 있으며, 그 유도체로는 예를 들면, 이들 디카르복시산의 디메틸에스테르, 디에틸에스테르, 디프로필에스테르, 디부틸에스테르 등의 저급 알킬에스테르, 이들 디카르복시산의 클로라이드 등, 및 무수프탈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그 유도체는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식 HO-(R2O)a-H로 표현되는 글리콜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양 말단이 수산기인 에틸렌옥사이드와 프로필렌옥사이드의 랜덤형상 또는 블록형상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글리콜은 1종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일반식 (1)에 있어서 a는 1~2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50이다. a가 200을 초과하면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취급이 용이하지 않게 될 염려가 있다. 일반식 (1)에 있어서 a는 동일분자 내에서 모두 동일하거나 달라도 된다. a가 모두 동일한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등의 디메틸에스테르 등과, 일정한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반응시켜 탈(脫)메탄올 등을 수반하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행하여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동일분자 내에 a가 1인 반복단위와, a가 수십 내지 백 수십인 반복단위가 존재하는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등의 디하이드록시에틸에스테르 등과, 일정한 분자량을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을 반응시켜 탈에틸렌글리콜 등을 수반하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행하여 중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일반식 (1)에 있어서 b는 2~1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30이다. b가 100을 초과하면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취급이 용이하지 않게 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의 질량평균분자량은 1,000~20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50,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의 질량평균분자량이 1,000 미만이면 유연성 부여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의 질량평균분자량이 200,000을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취급이 용이하지 않게 될 염려가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의 질량평균분자량은 분자량을 알고 있는 단분산(單分散)의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측정표준물질로 하여 겔침투 크로마토그래피로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나이스폴 PR-86, 나이스폴 PRS, 나이스폴 PR-333, 나이스폴 PR-555(모두 닛카카가쿠(주))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다.
본 발명의 가정용 박엽지에 있어서,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함유량(첨가량)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으나, 통상은 펄프원료에 대해 0.05~10 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5 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함유량이 0.05 질량% 미만이면 충분한 유연성 부여효과가 발휘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펄프원료에의 배합량이 많을수록 유연성 부여효과는 커지지만,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의 함유량이 10 질량%를 초과하면 끈적임을 생기게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일반식 (3)으로 표현되는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시킬 수 있다.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는 펄프원료에 대해 0.05~7 질량% 첨가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과 수용성 폴리우레탄 수지와의 중량비는 100/1~55/45가 바람직하고, 특히 100/1~70/30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이 주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7023593362-pct00003
Figure 112007023593362-pct00004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첨가하면, 펄프섬유 간의 수소결합에 영향을 받지 않고 펄프섬유에 부착하여 유연성 외에 지력저하 방지의 효과가 있다. 게다가 가정용 박엽지에 실리콘 첨가의 경우와 같은 매끄러움도 부여하는 효과가 지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가정용 박엽지로는, 1겹의 미평이 10.0~40.0g/㎡(보다 바람직하게는, 티슈페이퍼로 하는 경우에는 11.0~17.0g/㎡, 화장실페이퍼로 하는 경우에는 12.0g~25.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평이 낮음으로써 종이의 강성을 약하게 할 수 있고, 충분히 유연성이 있는 것이 된다. 다만 과도하게 낮으면 강도의 저하 등을 발생시키고, 또한 상술한 쿠션성을 얻을 수 없다.
표면이 매끄러운 감촉이나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필요하다면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유화(乳化) 등의 수단으로 미립자화하여 파우더입자로서 사용 할 수 있다. 특히 평균입자경 0.1~30㎛의 파우더입자로 하는, 혹은 상기 파우더입자의 응집입자로서 그 응집입자의 평균입자경이 10~100㎛인 것도 사용가능하다.
한편,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과 함께, 실리콘엘라스토머로 형성된 실리콘파우더를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메틸실리콘엘라스토머를 유화 등의 수단으로 미립자화한, 실리콘엘라스토머로 형성된 실리콘파우더를 함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평균입자경 0.1~30㎛의 파우더입자, 혹은 그 응집입자의 평균입자경이 10~100㎛인 실리콘파우더입자, 예를 들면 디메틸실리콘 가교 엘라스토머(예를 들면 토레이 다우 코닝사 제품 "BY29-119", "BY29-122") 등을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실리콘파우더입자 외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등의 파우더입자도 병용가능하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끈적임 방지를 위해 25cst 이하의 실리콘오일과의 병용으로, 0.1~30㎛의 상기 실리콘파우더를 건조섬유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05~5%의 비율로 함유시키는 것이 흡유성(吸油性) 및 흡수성(吸水性)을 소정의 정도로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소망하는 표면의 매끄러운 감촉이나 유연성을 부여하고 또한 경제성이 있는 배합이 된다.
통상은 첨가가 불필요하지만, 다른 유연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유연제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양성(兩性) 이온 계면활성제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경우, 기재지(基材紙)의 강성(굽힘 강성)을 상술한 범위까지 저하시킬 수 있고 따라서 보습제에 의한 보습감이나 유연제에 의한 부드러움을 조장할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는 카르복시산염계, 설폰산염계, 황산에스테르염계, 인산에스테르염계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알킬인산에스테르염이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올레에이트,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모노올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모노지방산에스테르, N-(3-올레일옥시-2-하이드록시프로필)디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트 밀랍,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세스퀴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올레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모노라우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화합물과 함께 바람직하게 병용할 수 있는 유연제로는 양이온 계면활성제가 있다. 이 양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제4급 암모늄염, 아민염, 또는 아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양성 이온 계면활성제로는 카르복시, 설포네이트, 설페이트를 함유하는 제2급 또는 제3급 아민의 지방족유도체, 또는 복소환식 제2급 또는 제3급 아민의 지방족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유연제의 사용에 의해 지력의 저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요소-포름알데히드 수지, 멜라민-포름알데히드 수지 등의 아미노 수지, 폴리아미드에피클로로히드린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디알데히드전분, 특히 전분 등을 지력제(습윤지력 증강제)로서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특히 촉촉함을 얻기 위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과 함께 보습 제를 첨가하는 것이 유효하다. 특히 글리세린이 유효하다. 글리세린을 첨가함으로써 촉촉함 등의 피부촉감성이 향상하는 반면, 보습제의 작용에 의해 수분이 증가하여 지력이 저하하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섬유 간에 수소결합에 영향을 주지 않고 뛰어난 매끄러움을 부여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글리세린의 첨가량을 적게 할 수 있고, 지력의 저하가 없거나 또는 적은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보습제가, 함유시키는 대상의 시트(일반적으로 5~6% 정도 수분을 포함하는 시트) 중량에 대해 5~60 질량%, 특히 10~30 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보습제로서 글리세린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사용할 수 있는 보습제로서 디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소르비톨, 글루코오스, 크실리톨, 말토오스, 말티톨(maltitol), 만니톨, 트레할로스(trehalose) 등의 당류, 글리콜계 용제 및 그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의 보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세탄올(cetanol), 스테아릴알코올, 올레일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유동 파라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첨가제로 특히 티슈페이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첨가제로서, 글리신, 아스파라긴산, 아르기닌, 알라닌, 시스틴, 시스테인 등의 아미노산; 알로에엑기스, 감차엑기스, 모과엑기스, 오이엑기스, 아위(ferula assa foetida)뿌리엑기스, 토마토엑기스, 들장미엑기스, 수세미엑기스, 백합엑기스, 연화초엑기스 등의 식물추출엑기스; 올리브유, 호호바유, 로즈힙유, 아몬드유, 유칼리유, 아보카도유, 동백유, 대두유, 홍화유, 참깨유, 월견초유 등의 식물유; 비타민, 가수분해 콜라겐, 가수분해 케라틴, 가수분해 실크, 키토산, 요소, 벌꿀, 로얄제리, 히알루론산나트륨, 세라미드(ceramide), 스쿠알렌, 바셀린, 비타민 C, 비타민 E, 콜라겐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여기서 비타민 C, 비타민 E, 콜라겐은 보습감을 높이는 기능이 있다. 비타민 C 및 비타민 E는 항산화제로서도 기능한다. 비타민 E는 환원력이 강한 성분으로 활성산소?자유라디칼을 제거하거나, 과산화지질의 발생을 방지하는 항산화작용이 있다. 따라서 비타민 E는 약액의 안정화제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박엽지를 사용한 사람의 피부에 부여되면 당해 피부의 피지의 산화방지효과 및 혈행촉진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보습기능도 있다. 비타민 C는 비타민 E와 마찬가지로 피지의 항산화작용이 있다. 또한 비타민 C는 비타민 E를 환원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비타민 C, E의 양쪽을 이용하면 비타민 C가 비타민 E의 조제(助劑)로서 작용하여 활성산소 등에 의해 산화된 비타민 E를 환원시키고, 비타민 E의 강력한 피지의 항산화작용을 유지하는 작용이 일어난다. 콜라겐은 피부의 진피의 90%를 형성하고 있어, 이것이 감소하면 피부에 보습이나 탄력이 없어진다. 따라서 박엽지에 함유시켜 둠으로써 이것이 피부와 접촉했을 때에 피부에 보습을 주는 보습효과를 발휘하는 동시에, 박엽지에 대해서도 보습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가정용 박엽지의 기재지로는 NBKP 배합률이 30~80%, LBKP 20~70%의 펄프섬유를 주원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펄프원료에 대해 고지(古紙)펄프를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배합할 수 있으나, 버진펄프를 100% 배합한 것이 유연성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건조 인장강도의 세로가 200~500cN/25㎜ 폭이고, 가로가 50~200cN/25㎜ 폭인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인장강도가 낮으면 찢어짐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특히 코를 풀 때 등 실제 사용시에 있어서의 파단(破斷)이 잘 생기지 않는 것이 된다. 또한 상자에서 매끈하게 꺼낼 수 있고, 게다가 꺼낼 때의 파단이 잘 일어나지 않는 것이 된다.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의 건조 인장강도는 JIS P 8113에 기초하여 측정한다.
또한 소프트니스(JAPAN TAPPI 종이펄프 시험방법 No.34:2000에 따른 손촉감 측정기에 의한 시험)는 0.8~1.5g/10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정용 박엽지로는 표면이 매끄러운 것이 특히 중요하다. KES 시험기를 사용한 표면특성에 있어서의 마찰계수의 평균편차로 표현되는 평활성(MMD)이 5.0~15.0(보다 바람직하게는 8.0~1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표면특성의 시험에는 카토텍(KATO TECH) 주식회사 제품 "마찰감 테스터 KES SE"를 이용할 수 있다. 측정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단면 직경 0.5㎜의 피아노선으로 이루어지고, 그 접촉면의 길이는 5㎜인 마찰자를 종이시료에 10g의 접촉압으로 접촉시키고 이동방향으로 20g/㎝의 장력을 종이시료에 가하면서 0.1㎝/초의 속도로 2㎝ 이동시켰을 때의 마찰계수를 측정한다. 즉, 마찰계수의 평균편차 MMD는 마찰자를 이동시켰을 때의 표면두께의 변동량의 면적을 이동거리(2㎝)로 나누어 계산한 값이다. 여기서는 이 MMD는 매끄러움에 대응한다.
또한 인공피혁으로 구성한 10㎜의 4방의 접촉평면에 올리브오일 4㎎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이 접촉평면 전체를 50gf/㎠의 접촉압으로 인공피혁에 의해 구성한 수평측정면 상에 고정한 종이시료에 접촉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종이시료에 이동방향으로 20gf/㎝의 장력을 가하면서 상기 접촉평면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0.1㎝/초의 속도로 상기 종이시료를 상기 수평측정면마다 2㎝ 이동시켰을 때의 마찰계수의 평균편차로 표현되는 표면특성의 가로세로 평균을, 본 발명의 피부촉감치(oil KES)로 하는 경우, 그 값은 3.0~6.0이 바람직하다.
즉, 측정은 도 2~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통상의 MMD 시험기, 예를 들면 카토텍 주식회사 제품의 마찰감 테스터(KES SE)의 기대(基台) 상에 인공피혁(서프라레(SUPPLALE): 이데미츠 테크노파인사 제품)을 깔아 고정하는 동시에, 측정단자 T를 인공피혁(서프라레: 이데미츠 테크노파인사 제품)으로 피복하여 그 측정단자의 측정면의 인공피혁으로 피복된 부분(접촉평면)에 올리브오일(BOSCO 엑스트라 버진오일: 닛신세이유) 4㎎을 균일하게 도포하고, MMD의 측정순서와 동일하게 하여 행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인공피혁으로 구성되는 접촉평면은 횡단면 직경 0.5㎜에 피아노선으로 이루어지고, 선단(先端)의 곡률반경이 0.25㎜인 단위 팽출부(膨出部)가 인접하고 있으며, 전폭(全幅)이 10㎜인 연속한 측정면을 가지며, 그 측정면의 길이가 10㎜가 되는 거의 10㎜ 4방의 측정면을 가지는 MMD 측정용 단자를, 상기 인공피혁으로 피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인공피혁에 의한 상기 단자의 피복은 10㎜ 4방의 접촉평면이 형성되도록 단자의 측정면에 대해 인공피혁이 딱 맞게 접촉하도록, 혹은 약간의 장력을 가지게 하여 딱 맞게 피복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인공피혁을 단자에 고정하는데 있어서는, 측정시, 즉 종이시료를 이동시켰을 때에 인공피혁과 내부의 단자가 어긋나 인공피혁의 접촉평면에 일그러짐이 생기지 않도록 꽉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정은 예를 들면, 상기 접촉평면이 구성되도록 상기 단자를 피복한 후, 접촉평면을 구성하지 않는 부위를 고무밴드 등으로 장치의 측정에 영향이 생기지 않는 부위, 예를 들면 단자의 지지재 등에 꽉 고정한다. 또한 MMD 시험기의 기대 상에는 인공피혁을 깔아 접착테이프 등으로 고정한다. 이때, 측정시에 일그러지지 않도록 기대에 인공피혁을 꽉 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기대 상에 까는 인공피혁은 상기 접촉평면을 구성하는 인공피혁과 동일한 것을 이용한다. 또한 종이시료는 10㎝ 4방으로 재단(裁斷)하여 이용하고, 인공피혁을 깐 기대에 고정한다. 측정에 있어서는 종이시료의 위에 시료 누름용 추(약 100g)로 누른다. 또한 시험기의 측정단자에의 하중을 50g으로 하여 인공피혁으로 구성되는 접촉평면 전체가 50gf/㎠의 접촉압으로 종이시료에 접촉하도록 하는데, 이는 MMD 측정과 마찬가지로 원반형상의 추를 단자 상부에 장착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물론, 지지재의 한쪽의 단부(종이시료의 이동방향과 반대의 단부)를 고정하는 방법은 MMD의 측정에 준한다. 측정은 종이시료의 세로방향에 대해 3회, 가로방향에 대해 3회의 총 6회를 행하고, 측정치에 대해서는 그 6회의 평균치로 한다. 또한 인공피혁 및 올리브오일에 대해서는 동등품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정용 박엽지의 표면특성은 펄프배합, 카렌더 조건, 초지(抄紙) 수분, 닥터의 날끝 각도, 칼날 각도, 접착?박리 강도의 밸런스, 크레이프율, 상기 첨가제(보습제도 포함)의 첨가 및 그 양 등에 의해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은 수용성이므로 물에 용해 또는 분산할 수 있지만, 고분자량이기 때문에 이소프로필알코올,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의 용제에 용해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박엽지는 기지(旣知)의 설비 및 제조공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즉, 원료펄프를 초지기로 초지하는 동시에, 바람직하게는 크레이프 처리 및 카렌더 처리를 실시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은(필요에 따라 보습제(특히 글리세린과 함께)) 다음과 같이 도포할 수 있다. 즉, 초조(抄造) 후에 있어서 스프레이 도포할 수 있다. 티슈페이퍼의 경우에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펄프섬유를 초조한 원지(原紙)를 제품의 폭으로 감아놓은 롤로부터 연속시트를 각각 되감아, 인터폴더에 있어서, 이들을 접어 포개서 제품화하는 가정용 위생 박엽지의 제조시에, 되감기에서 접어 포개는 공정의 사이에서, 상기 연속시트에 상기 약액을 롤 전사로 연속적으로 도포하는 방법이다.
롤 전사에 의해 약액을 도포하면, 스프레이 도포에 의한 경우보다 기재지에의 약액의 도포량을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인터폴더에 있어서 온라인 도포를 행하므로 종이의 신장을 생기게 하지 않고 미평을 낮은 것으로 할 수 있으며, 종이의 강성이 적거나 혹은 질감이 뛰어난 것으로 할 수 있고, 따라서 적은 약액 도포량이어도 유연성이 풍부한 것을 얻을 수 있다. 이 미평을 낮게, 약액 도포량을 적게 하는 것은 경제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의미한다. 약액의 롤 전사 도포는 그라비아 롤이 바람직하지만 플렉소(Flexo) 롤이어도 된다.
상기 예에 있어서 1겹의 물성에 대해서 설명했으나, 본 발명의 가정용 박엽지는 2겹 외에 3겹 이상의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한 지력이 요구되는 티슈페이퍼일 때에 특히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지만, 화장실페이퍼여도 된다.
[실시예]
(티슈페이퍼의 경우에 있어서의 예)
시판의 티슈페이퍼 제품과 본 발명에 따른 티슈페이퍼 제품에 관하여 물성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유연제로는, 표 중의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1)은 닛카카가쿠사 제품 "에폴 ES-500",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2)는 닛카카가쿠사 제품 "L-4328"이다. 폴리에스테르 화합물 (1) 및 (2)는 일반식 (1)로 표현되는 것이다.
비교예로는 소위 소프트타입으로서의 시판품을 나타냈다. 비교예 1의 유연제는 양이온계 지방산에스테르(니혼 PMC사 제품 "SFS 1002")이다.
Figure 112007023593362-pct00005
여기서 실사용 평가 및 관능평가는, 성인 30명에 대해 "코 풀 때의 피부촉감의 양호"(매끄러움), "폭신한 두께감", 코 풀 때의 "찢어짐 빈도"의 각 항목에 대해, 가장 양호한 것:5점, 양호한 것:4점, 보통:3점, 나쁜 것:2점, 가장 나쁜 것:1점의 5단계 평가를 행하여, 그 평균점이 4.0 이상을 ◎, 3.0~4.0 미만을 ○, 2.0~3.0 미만을 △, 1.0~2.0 미만을 ×로 해서 나타낸 것이다.
〈고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품은, 시판품과의 비교에 있어서, 모든 실사용 평가 및 관능평가 항목에서도 충분한 평가가 이루어져 있으며, 시판품과 비교해 뛰어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품은 인장강도 및 찢어짐 빈도에 있어서, 다른 유연제를 사용한 것과 비교해 보다 뛰어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나이스폴 PR" 시리즈의 것에 대해서도 동일한 결과가 얻어졌다.
(화장실페이퍼의 경우에 있어서의 예)
대조예 및 비교예 4로서, 글리세린 보습제를 함유하는 것으로서의 시판의 화장실페이퍼 제품과,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페이퍼 제품에 관하여 물성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표 중의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은 닛카카가쿠사 제품 "에폴 ES-500"을 사용했다(또한 닛카카가쿠사 제품 "L-4328"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Figure 112007023593362-pct00006
여기서 실사용 평가 및 관능평가는, 성인 30명에 대해 "부드러움", "매끄러움", "촉촉함", "강고함"의 각 항목에 대해, 가장 양호한 것:5점, 양호한 것:4점, 보통:3점, 나쁜 것:2점, 가장 나쁜 것:1점의 5단계 평가를 행하여, 그 평균점이 4.0 이상을 ◎, 3.0~4.0 미만을 ○, 2.0~3.0 미만을 △, 1.0~2.0 미만을 ×로 해서 나타낸 것이다.
〈고찰〉
본 발명의 실시예 4, 5에 따른 제품은, 시판품과의 비교에 있어서, 모든 실사용 평가 및 관능평가 항목에서도 충분한 평가가 이루어져 있으며, 시판품과 비교해 뛰어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4, 5의 제품은 관능특성이 뛰어난 동시에 평활성의 값이 작고, 게다가 잘 찢어지지 않는 것을 지표로 하는 "강고함" 및 인장강도에 있어서, 다른 유연제를 사용한 것과 비교해 보다 뛰어난 것이다.

Claims (10)

  1. 하기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을 포함하며, 1겹당 미평(米坪)이 10~4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Figure 112012020275531-pct00007
    (단, 식 중 R1은 HO- 또는 HO(R2O)a-이고, R2는 탄소수 2~3의 알킬렌기이며, R2O는 1종만이거나 2종의 R2O가 랜덤형상 또는 블록형상으로 부가되어 있어도 되고, a는 1~200으로 동일분자 내에서 모두 동일하거나 달라도 되며, b는 2~100이고, R3은 수소원자 또는 일반식 (2)로 표현되는 기이다.)
    Figure 112012020275531-pct00008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이 펄프에 대해 0.05~6.0 질량%의 비율로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3. 제1항에 있어서, 또한 보습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가 글리세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 (1)로 표현되는 폴리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보습제가, 함유시키는 시트 중량에 대해 5~60 질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피부촉감치(oil KES)가 3.0~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평활성(MMD)이 5.0~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소프트니스(softness)가 0.8~1.5g/1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건조 인장강도의 세로가 200~500cN, 가로가 50~200c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박엽지.
  10. 삭제
KR1020077006830A 2004-08-25 2005-08-24 가정용 박엽지 KR101181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45005 2004-08-25
JPJP-P-2004-00245005 2004-08-25
JPJP-P-2004-00255106 2004-09-02
JP2004255106 2004-09-02
PCT/JP2005/015335 WO2006022288A1 (ja) 2004-08-25 2005-08-24 家庭用薄葉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1834A KR20070061834A (ko) 2007-06-14
KR101181034B1 true KR101181034B1 (ko) 2012-09-07

Family

ID=35967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830A KR101181034B1 (ko) 2004-08-25 2005-08-24 가정용 박엽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50821B2 (ko)
EP (1) EP1793040B1 (ko)
JP (1) JP4658056B2 (ko)
KR (1) KR101181034B1 (ko)
CN (1) CN101014742B (ko)
AT (1) ATE554225T1 (ko)
WO (1) WO20060222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66482A1 (en) * 2004-02-19 2005-08-24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Use of protein hydrolysate derived from keratin-containing material as a paper product additive
JP4804401B2 (ja) * 2007-03-30 2011-11-02 大王製紙株式会社 拭取り用紙の製造方法及び拭取り用紙
GB0721488D0 (en) * 2007-11-01 2007-12-12 Alstom Technology Ltd Carbon capture system
JP4570669B2 (ja) * 2008-03-31 2010-10-27 大王製紙株式会社 衛生薄葉紙
JP5314065B2 (ja) * 2011-02-22 2013-10-16 大王製紙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ロール製品の製造方法及びトイレットロール製品
JP5983240B2 (ja) * 2012-09-25 2016-08-31 日油株式会社 衛生紙用柔軟剤
JP5495460B1 (ja) * 2012-09-28 2014-05-21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フェイシャルティシュ製品の製造方法
WO2014049838A1 (ja) * 2012-09-28 2014-04-03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ペーパー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602961B2 (ja) * 2014-01-28 2014-10-08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フェイシャルティシュ製品
JP5602962B2 (ja) * 2014-01-28 2014-10-08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トイレットペーパー製品
JP6210567B2 (ja) 2015-09-14 2017-10-1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JP6235674B1 (ja) 2016-09-30 2017-11-22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JP6633564B2 (ja) * 2017-03-31 2020-01-22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及びティシュペーパー製品の製造方法
KR102637760B1 (ko) * 2018-01-25 2024-02-16 메이세이 카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지용 유연제, 종이 및 종이의 제조 방법
JP7133943B2 (ja) 2018-02-28 2022-09-09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6807A (en) * 1974-06-13 1975-07-29 Gilbert Buchalter Article impregnated with skin-care formulations
US4210685A (en) * 1978-05-22 1980-07-01 Basf Wyandotte Corporation Polyester-starch sized paper, sizing composition, and process therefor
EP0347154B1 (en) 1988-06-14 1996-01-0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oft tissue paper
US4977191A (en) 1989-06-27 1990-12-11 The Seydel Companies, Inc. Water-soluble or water-dispersible polyester sizing compositions
JP2801333B2 (ja) 1990-01-18 1998-09-21 帝人株式会社 繊維構造物
JPH05333988A (ja) 1992-05-30 1993-12-1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H05339880A (ja) * 1992-06-10 1993-12-21 Toyobo Co Ltd 防汚性及び撥水性を有する樹脂被覆繊維シート状物
JPH06257098A (ja) 1993-03-04 1994-09-13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紙の柔軟剤
JP2625374B2 (ja) * 1993-12-16 1997-07-02 グンゼ株式会社 耐久柔軟仕上剤
US5624676A (en) 1995-08-03 1997-04-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tioned tissue paper containing an emollient and a polyol polyester immobilizing agent
JP3494418B2 (ja) 1995-08-25 2004-02-09 ユニチカ株式会社 セルロース系繊維含有布帛の加工方法
JP3454997B2 (ja) * 1995-12-06 2003-10-06 河野製紙株式会社 保湿性を有する水解紙及びその製造方法
FR2745013B1 (fr) * 1996-02-19 1998-04-03 James River Composition pour une lotion adoucissante, utilisation de la lotion pour le traitement de fibres et produit papetier absorbant ainsi traite
ES2185950T3 (es) 1996-06-14 2003-05-01 Procter & Gamble Estructura de papel multidensidad, quimicamente mejorada.
JPH10212496A (ja) * 1997-01-29 1998-08-11 Nikka Chem Co Ltd 洗濯用洗剤及び洗濯方法
US7195771B1 (en) 2000-11-21 2007-03-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ater-soluble lotions for paper products
US20020114933A1 (en) * 2000-12-28 2002-08-22 Gould Richard J. Grease masking packaging materials and methods thereof
US6905697B2 (en) * 2001-01-19 2005-06-14 Sca Hygiene Products Gmbh Lotioned fibrous web having a short water absorption time
JP3950400B2 (ja) 2001-10-24 2007-08-01 河野製紙株式会社 繊維ウェブ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809943B2 (ja) 2001-10-31 2006-08-16 ミヨシ油脂株式会社 紙類処理剤及び紙類
JP3682257B2 (ja) * 2001-12-03 2005-08-10 大王製紙株式会社 衛生用紙
JP4302379B2 (ja) * 2002-08-30 2009-07-22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ィシュペーパーおよびティシュペーパーを収納した製品
JP4450552B2 (ja) 2002-12-13 2010-04-14 大王製紙株式会社 薄葉衛生用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14742A (zh) 2007-08-08
US20080207867A1 (en) 2008-08-28
KR20070061834A (ko) 2007-06-14
JP4658056B2 (ja) 2011-03-23
EP1793040A4 (en) 2010-06-23
WO2006022288A1 (ja) 2006-03-02
ATE554225T1 (de) 2012-05-15
EP1793040B1 (en) 2012-04-18
US7850821B2 (en) 2010-12-14
CN101014742B (zh) 2010-09-08
JPWO2006022288A1 (ja) 2008-05-08
EP1793040A1 (en) 2007-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034B1 (ko) 가정용 박엽지
US8551518B2 (en) Lotioned wipe product to reduce adhesion of soils or exudates to the skin
CA2306594C (en) Lotionized tissue products containing a ph balance compound for the skin
JP4928943B2 (ja) 家庭用衛生薄葉紙
JPH09154764A (ja) 保湿性を有する水解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07073A (ko) 친수성 차단 층을 갖는 냉각 기재 및 그 제조 방법
JPH11510222A (ja) 液体ポリオールポリエステルエモリエント剤および固定化剤を含有するローション付与ティッシュペーパー
JP6105877B2 (ja) 衛生薄葉紙
KR100801828B1 (ko) 수중유 에멀젼으로 처리된 종이 제품
JP4833936B2 (ja) 薄葉紙
KR101299538B1 (ko) 약액 함유 박엽지
JP5721490B2 (ja) シート状化粧料
AU2002232771A1 (en) Paper products treated with oil-in-water emulsions
WO2004022117A1 (en) Moisturizing and lubricating composition
WO2004022115A1 (en) Absorbent product moisturizing and lubricating composition
JP2007063695A (ja) 家庭用衛生薄葉紙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設備
CN112135942A (zh) 经洗剂处理的薄页纸产品
IL195467A (en) A product for wiping the emulsion with an anti-adhesive and accelerating agent
KR20030062348A (ko) 종이 제품을 위한 오일-기재 로션
JP2003020593A (ja) 繊維ウェブ製品
WO2004022116A1 (en) Interlabial pad moisturizing and lubricating composition
JP2007195936A (ja) 衛生薄葉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