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499B1 - 연약지반 배수처리용 연직드레인, 연직드레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배수처리용 연직드레인, 연직드레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499B1
KR101180499B1 KR1020090002644A KR20090002644A KR101180499B1 KR 101180499 B1 KR101180499 B1 KR 101180499B1 KR 1020090002644 A KR1020090002644 A KR 1020090002644A KR 20090002644 A KR20090002644 A KR 20090002644A KR 101180499 B1 KR101180499 B1 KR 101180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oir
vertical drain
jute
coconut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3318A (ko
Inventor
신현정
전주한
Original Assignee
전주한
신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한, 신현정 filed Critical 전주한
Priority to KR102009000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499B1/ko
Publication of KR20100083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9Arecaceae, Palmae or Palmaceae (Palm family), e.g. date or coconut palm or palmetto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6Vegetal fibres
    • B32B2262/062Cellulose fibres, e.g. cotton
    • B32B2262/065Lignocellulosic fibres, e.g. jute, sisal, hemp, flax, bamboo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2Cellul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Soi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은, 연약지반의 지표면으로부터 지중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연약지반의 지중에 포함된 간극수를 수직으로 배수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에 천연라텍스를 혼합시킨 상태에서 압축 성형되어 제작되는 코이어시트와, 코이어시트를 감싸는 황마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배수성능을 확보한 상태에서,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90002644
연약지반, 드레인, 배수

Description

연약지반 배수처리용 연직드레인, 연직드레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VERTICAL DRAIN FOR SOFT FOUNDATION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어 연약지반의 지중에 포함된 간극수를 지표면으로 상승시켜 배출시키는 연직드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척지나 해안지대 등 토양 중에 수분(간극수)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지대는 지반이 연약하여 지반 상부에 토목구조물이나 건축물 등이 안정되게 건설될 수 없다. 따라서, 연약지반에 토목공사나 건축공사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간극수를 배수 처리하고 연약지반을 압밀 침하시켜 안정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연약지반을 안정화하는 공법중의 하나인 PBD(plastic board drain)공법은 수직배수공법으로서 연약지반의 지중에 배수재인 플라스틱 드레인보드를 지반에 수직으로 삽입하여 설치한 후, 연약지반의 지중에 내재되어 있는 간극수를 수직으로 삽입 설치한 연직드레인을 통하여 지표면으로 상승시켜 배출하게 하는 시공방법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직드레인(100)은 야자라고 불리는 코코 넛의 열매의 외피섬유를 꼬아서 제조한 로프(101)를 대략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복수로 배치한 후 이를 황마섬유(102)로 감싸고 복수의 로프(101) 사이를 길이방향으로 재봉(103)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다.
한편, 연약지반에 대한 연직드레인(100)의 시공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직드레인(100)은 소정의 직경(D)으로 감긴 형상으로 시공장비에 투입된다. 따라서, 연직드레인(100)의 시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는 연직드레인(100)의 감겨진 상태에서의 직경(D)이다. 즉, 연직드레인(100)의 감겨진 상태에서의 직경(D)이 커지면 연직드레인(100)의 운반, 시공장비로의 투입 및 시공이 어렵게 되고, 반대로 연직드레인(100)의 감겨진 상태에서의 직경(D)이 작아지면 연직드레인(100)의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연직드레인(100)의 운반 및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연직드레인(100)의 감겨진 상태에서의 직경(D)를 줄이기 위해서는 감겨지게 되는 연직드레인(100)의 길이를 줄이는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는 연직드레인(100)의 시공장비로의 일회의 투입으로 시공할 수 있는 연약지반의 시공면적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공되어야 할 연직드레인(100)의 길이를 줄일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연직드레인(100)의 운반 및 시공상의 어려움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성능을 확보한 상태에서,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직드레인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직드레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직드레인을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는 연직드레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은, 연약지반의 지표면으로부터 지중으로 수직으로 설치되어 연약지반의 지중에 포함된 간극수를 수직으로 배수시키기 위하여, 복수의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에 천연라텍스를 혼합시킨 상태에서 압축 성형되어 제작되는 코이어시트와, 코이어시트를 감싸는 황마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코이어시트와 황마시트를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켜 연직드레인의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직드레인의 두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도록 코이어시트와 황마시트는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재봉되는 것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직드레인의 배수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코이어시트의 적어도 일 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고 코이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수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 제조장치는, 복수의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를 공급하는 코코넛섬유 공급부와, 코코넛섬유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된 코코넛섬유를 이송하는 제1이송부와, 제1이송부로 공급된 코코넛섬유에 천연라텍스를 공급하는 천연라텍스 공급부와, 천연라텍스가 혼합된 코코넛섬유를 가압하여 평판형상의 코이어시트를 제조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코이어시트의 일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고 코이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수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가압부는, 외주의 둘레방향으로 돌기가 구비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 제조장치는, 코이어시트 및 황마시트가 공급되어 이송되는 제2이송부와, 제2이송부로 공급된 황마시트와 코이어시트가 합체되는 합체부와, 합체부에서 합체된 코이어시트 및 황마시트가 재봉되는 재봉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직드레인이 롤의 형태로 감겨진 상태로 운반될 수 있도록, 연직드레인 제조장치는, 재봉부에서 재봉된 연직드레인이 권취되는 권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 제조방법은, 복수의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를 공급하는 단계와, 공급된 코코넛섬유에 천연라텍스를 공급하는 단계와, 천연라텍스가 혼합된 코코넛섬유를 가압하여 평판형상의 코이어시트를 제조하는 단 계와, 제조된 코이어시트의 둘레에 황마시트를 결합하는 단계와, 결합된 코이어시트 및 황마시트를 재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직드레인이 롤의 형태로 감겨진 상태로 운반될 수 있도록, 연직드레인 제조방법은, 재봉된 연직드레인을 권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코이어시트의 일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고 코이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수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천연라텍스가 혼합된 코코넛섬유를 가압하는 단계는 코이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수홈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은 복수의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에 천연라텍스를 혼합시킨 상태에서 압축 성형되어 제작되는 코이어시트와 코이어시트를 감싸는 황마시트로 구성되므로, 연직드레인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연직드레인이 감긴 형상으로 시공장비에 투입되는 경우 감겨진 상태의 직경이 동일한 조건에서 종래에 비하여 연직드레인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연직드레인의 시공장비로의 일회의 투입으로도 종래에 비하여 보다 큰 면적의 연약지반에 대하여 시공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은 종래에 비하여 그 두께를 줄이는 것에 의하여 연직드레인의 길이가 동일한 조건에서 종래에 비하여 연직드레인의 감겨진 형상에서의 직경을 줄일 수 있으므로, 연직드레인의 운반 및 시공장비로의 투 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은 경질성을 가지도록 복수의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를 천연라텍스를 혼합한 후 압축 성형된 코이어시트가 구비하므로 연약지반의 지중의 압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고 항상 수직으로 곧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연약지반의 토양에 포함된 간극수의 배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은 코이어시트와 황마시트가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재봉되므로, 코이어시트와 황마시트를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켜 연직드레인의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직드레인의 두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은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를 응집시키기 위하여 토양 내의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는 성질을 갖는 천연라텍스를 이용하므로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 제조장치는, 평판형상의 코이어시트의 제조과정, 코이어시트와 황마시트의 합체, 재봉과정 및 권취과정을 일련의 공정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연직드레인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10)은 연약지반(G)의 표면에 시공되는 수평드레인매트(20)와 연결되며 연약지반(G)의 지표면으로부터 지중으로 수직으로 삽입 설치되어 연약지반(G)의 토양에 포함된 간극수를 수직으로 배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연약지반(G)의 토양에 포함된 간극수는 연직드레인(10)을 통하여 수직으로 배수되며 수직으로 배수된 간극수는 수평드레인매트(20)를 통하여 수평으로 배수될 수 있다. 연직드레인(10)은 연약지반(G)의 지중에 수직으로 다수개가 삽입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직드레인(10)은 연직드레인(10)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연장되는 평판형상의 코이어시트(11)와, 코이어시트(11)를 감싸는 황마시트(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이어시트(11)는 얇은 필라멘트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코코넛섬유(111)에 천연라텍스를 혼합시켜 복수의 코코넛섬유(111)를 응집시킨 상태에서 롤러 등의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압착시켜 전체적인 형상이 평판형상을 이루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작된 코이어시트(11)는 그 내부의 미세한 공극을 통하여 간극수를 투수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코이어시트(11)는 얇은 필라멘트형상의 복수의 코코넛섬유(111)에 천연라텍스를 혼합한 후 이를 압착시키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므로, 코이어시트(11)를 포함한 연직드레인(10)의 전체적인 두께(T)를 종래에 비하여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연직드레인(10)의 전체적인 두께(T)가 얇아짐에 따라 운반 및 시공에 적합한 직경(D)을 갖는 조건에서 종래에 비하여 연직드레인(10)의 길이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연직드레인(10)의 일회의 투입으로도 종래에 비하여 보다 큰 면적의 연약지반(G)에 대하여 시공을 할 수 있다. 또한, 연직드레인(10)의 전체적인 두께(T)가 얇아지므로, 시공에 적합한 길이를 갖는 조건에서 연직드레인(10)의 감겨진 형상에서의 직경(D)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직드레인(10)의 운반 및 시공장비로의 투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111)를 천연라텍스로 응집시킨 후 압착하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는 코이어시트(11)는 단순히 야자섬유의 가닥을 꼬아서 만든 종래의 로프(101)에 비하여 그 자체로서 월등한 경질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10)은 평판형상의 코이어시트(11)가 황마시트(12)의 내부공간을 완전히 채우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10)은, 동일한 폭의 조건에서, 황마섬유(102)의 내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는 로프(101)를 구비하고 로프(101)와 로프(101) 사이에 소정의 공극이 존재하는 구조를 갖는 종래의 연직드레인(100)에 비하여 향상된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10)은 연약지반의 지중의 압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고 항상 수직으로 곧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연약지반의 토양에 포함된 간극수의 배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10)은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111)를 응집시키기 위하여 토양 내의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는 성질을 갖는 천연라텍스를 이용하므로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한편, 코이어시트(11)가 복수의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111)와 천연라텍스를 혼합하여 압축 성형되는 경우, 코이어시트(11)의 단면상에는 미세한 기공들이 형성되므로, 연직드레인(10)은 이러한 기공들을 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된 간극수는 투수시키고 연약지반(G)의 토사가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는 필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황마시트(12)는 황마를 원료로 한 위사와 경사를 직조방식으로 재직한 것으로, 코이어시트(11)의 외부를 둘러 싸도록 배치되어 코이어시트(11)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연약지반(G)의 토사가 연직드레인(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필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코이어시트(11)의 둘레에 하나의 층을 갖는 황마시트(12)가 구비되는 구성에 대하여 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두 겹 이상의 황마시트(12)가 코이어시트(11)의 둘레를 감싸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이어시트(11)와 황마시트(12)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연직드레인(10)의 전체적인 두께(T)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도록 연직드레인(10)은 코이어시트(11)를 황마시트(12)로 감싼 상태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재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길이방향으로의 재봉선(13)은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직드레인(10)의 전체적인 두께(T)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도록, 연직드레인(10)은 코이어시트(11)를 황마시트(12)로 감싼 상 태에서 그 길이방향뿐만 아니라 그 폭방향으로도 재봉될 수 있으며, 폭방향으로의 재봉선(14)은 복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연직드레인(10)의 길이방향 및/또는 폭방향으로 복수의 재봉선(13)(14)이 구비되므로 코이어시트(11)와 황마시트(12)를 더욱 견고하게 밀착시켜 연직드레인(10)의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직드레인(10)의 두께(T)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연직드레인(10)의 길이방향으로의 재봉선(13) 및 폭방향으로의 재봉선(14)이 구비된 구성이 제시되지만, 연직드레인(10)의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향상시키고 두께(T)를 줄일 수 있도록 경우에 따라 폭방향으로의 재봉선(14)만이 구비된 구성이 연직드레인(10)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10)은 소정의 직경(D)으로 감겨진 상태로 시공장비에 투입되어 연약지반(G)의 지중에 수직으로 다수개가 삽입되며, 이에 따라, 연약지반(G)의 토양에 포함되어 있는 간극수가 연약지반(G)의 지표층으로 수직으로 배수될 수 있다. 한편, 연약지반(G)의 지표면에는 연직드레인(10)과 연결되어 연직드레인(10)을 통하여 수직으로 배수된 간극수를 지표면과 수평으로 배수시키는 수평드레인매트(20)가 시공될 수 있으며, 수평드레인매트(20)의 상부에는 성토층(70)이 소정의 높이로 포설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공과정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10) 그 두께(T)가 종래에 비하여 감소되므로, 동일한 길이조건에서 연직드레인(10)의 감겨진 형상에서의 직경(D)을 종래에 비하여 줄일 수 있으므로, 연직드레인(10)의 운반 및 시공장비로의 투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직드레인(10)의 감겨진 형 상에서의 직경(D)이 동일하다는 조건에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10)은 종래에 비하여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연직드레인(10)의 시공장비로의 일회의 투입으로도 종래에 비하여 보다 큰 면적의 연약지반(G)에 대하여 시공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10)은 복수의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에 천연라텍스를 혼합하여 응집시킨 후 압축 성형하여 제조되는 코이어시트(11)를 구비하므로 그 인장강도 및 압축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직드레인(10)을 연약지반(G)의 지표면으로부터 지중을 향하여 수직방향으로 삽입하는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연약지반(G)의 지중의 압력에 의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고 항상 수직으로 곧은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연약지반의 토양에 포함된 간극수의 배수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이어시트(11)의 제작 시 복수의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111)와 토양 내의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되는 성질을 갖는 천연라텍스가 이용되므로 보다 환경친화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10)은, 연직드레인(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판형상의 코이어시트(11)와, 코이어시트(11)를 감싸는 황마시트(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이어시트(11)는 얇은 필라멘트형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코코넛섬유(111)에 천연라텍스를 혼합시켜 복수의 코코넛섬유(111)를 응집시킨 상태에서 압착되어 평판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코이어시트(11)의 일면에는 소정의 깊이를 갖고 코이어시트(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수홈(1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유수홈(112)은 코이어시트(11)의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유수홈(112)은 연직드레인(10)이 연약지반(G)에 수직으로 매설되는 경우, 황마시트(12)를 통과한 간극수가 수직으로 배수되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유수홈(112)은 코이어시트(11)의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코이어시트(11)의 일면에 코이어시트(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113)를 형성하는 것을 통하여 유수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유수홈(112)과 황마시트(1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간극수가 원활하게 수직으로 배수될 수 있다.
이때, 유수홈(112)의 폭, 즉, 돌출부(113) 사이의 간격은 대략 4~5mm로 형성되는 것이 모세관현상에 의한 간극수의 배출을 원활하게 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유수홈(112)은 코이어시트(11)의 양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라, 유수홈(112)의 수가 증가하므로, 간극수를 원활하게 연약지반(G)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유수홈(112)이 코이어시트(11)의 양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형성되는 하나의 유수홈(112)이 타면에 형성된 두 개의 유수홈(112)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 즉, 복수의 유수홈(112)을 코이어시트(11)의 폭방향으로 지그재그의 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코이어시트(11)의 두께를 일정하게 하여 코이어시트(11)의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10)은, 코이어시트(11)의 적어도 일면에 코이어시트(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수홈(112)이 형성되므로, 황마시트(12)를 통과한 간극수가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유수홈(112)을 따라 유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약지반(G)내의 간극수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10)의 제조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 제조장치는, 평판형상의 코이어시트(11)를 제조하는 코이어시트 제조유닛(50)과, 코이어시트(11)와 황마시트(12)를 합체하는 합체유닛(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코이어시트 제조유닛(50)은, 복수의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111) 및 코이어시트(11)를 이송하기 위하여 복수의 이송롤러(511) 및 이송롤러(511)상에 설치되는 이송패드(512)를 포함하는 제1이송부(51)와, 제1이송부(51)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이송부(51)에 복수의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111)를 공급하는 코코넛섬유 공급부(52)와, 제1이송부(51)로 공급된 코코넛섬유(111)에 천연라텍스를 공급하는 천연라텍스 공급부(53)와, 천연라텍스가 혼합된 코코넛섬유(111)를 가압하는 가압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압부(54)는 가압롤러(541)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 른 유수홈(112)을 갖는 코이어시트(11)가 제조될 수 있도록,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롤러(541)의 외주에는 둘레방향으로 돌기(54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압부(54)를 통과하여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코이어시트(11)의 운반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코이어시트(11)를 롤형상으로 권취하는 권취릴(56)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코코넛섬유 공급부(52)에 의하여 제1이송부(51)의 이송패드(512)상에 복수의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111)가 공급되고, 천연라텍스 공급부(53)에 의하여 이송패드(512)상의 코코넛섬유(111)에 천연라텍스가 공급되고, 가압부(54)에 의하여 천연라텍스가 혼합된 코코넛섬유(111)가 가압되는 과정을 통하여 두께(T)가 대략 2~3mm인 얇은 평판형상의 코이어시트(11)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합체유닛(60)은, 평판형상의 코이어시트(11) 및 황마시트(12)가 공급되어 이송되는 제2이송부(61)와, 제2이송부(61)로 공급된 코이어시트(11) 및 황마시트(12)가 합체되는 합체부(62)와, 합체부(62)에서 합체된 코이어시트(11) 및 황마시트(12)가 재봉되는 재봉부(63)와, 코이어시트(11) 및 황마시트(12)가 재봉된 연직드레인(10)이 권취되는 권취부(6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황마시트(12)는 코이어시트(11)의 폭에 비하여 큰 폭으로 공급되며, 합체부(62)를 통과하면서 코이어시트(11)의 둘레를 감싸게 된다.
제2이송부(61)는 복수의 이송롤러(611) 및 이송롤러(611)상에 설치되는 이송패드(6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2이송부(61)로 공급된 코이어시트(11) 및 황마시트(12)가 합체부(62)에 의하여 합체된 후 재봉부(63)에서 재봉되면, 코이어시트(11)와 황마시트(12)가 일체화된 연직드레인(10)이 완성되는데, 이러한 연직드레인(10)은 권취부(64)에서 롤의 형태로 감겨져 운반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 제조장치는, 평판형상의 코이어시트(11)의 제조과정이, 복수의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111)의 공급, 코코넛섬유(111)로의 천연라텍스의 공급, 천연라텍스가 혼합된 코코넛섬유(111)의 가압의 일련의 공정을 통하여 자동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코이어시트(11)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코이어시트(11)의 제조과정에서의 오차를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 제조장치는, 평판형상의 코이어시트(11) 및 황마시트(12)의 합체, 재봉 및 권취과정이 일련의 공정으로 진행되므로, 연직드레인(10)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연직드레인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연직드레인이 감겨진 형상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이 연약지반에 설치된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의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의 또 다른 예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직드레인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직드레인 제조장치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연직드레인 11: 코이어시트
12: 황마시트 13, 14: 재봉선
111: 코코넛섬유 필라멘트 112: 유수홈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복수의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를 공급하는 코코넛섬유 공급부;
    상기 코코넛섬유 공급부에 의하여 공급된 코코넛섬유를 이송하는 제1이송부;
    상기 제1이송부로 공급된 코코넛섬유에 천연라텍스를 공급하는 천연라텍스 공급부; 및
    천연라텍스가 혼합된 코코넛섬유를 가압하여 평판형상의 코이어시트를 제조하며, 상기 코이어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코이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중의 간극수가 통과하는 유수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외주의 둘레방향으로 돌기가 구비되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는 가압부;
    상기 코이어시트 및 황마시트가 공급되어 이송되는 제2이송부;
    상기 제2이송부로 공급된 상기 코이어시트와 상기 황마시트가 합체되는 합체부; 및
    상기 합체부에서 합체된 상기 코이어시트와 상기 황마시트가 재봉되는 재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황마시트 및 상기 코이어시트를 결합하여 연직드레인을 제조하는 연직드레인 제조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부에서 재봉된 연직드레인이 권취되는 권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드레인 제조장치.
  6. (a) 복수의 필라멘트형상의 코코넛섬유를 공급하는 단계;
    (b) 공급된 코코넛섬유에 천연라텍스를 공급하는 단계;
    (c) 천연라텍스가 혼합된 코코넛섬유를 가압하여 평판형상의 코이어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에서 제조된 코이어시트의 둘레에 황마시트를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결합된 상기 코이어시트 및 상기 황마시트를 재봉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에서 재봉된 상기 코이어시트 및 상기 황마시트를 권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코이어시트의 적어도 일면에 상기 코이어시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중의 간극수가 통과하는 유수홈이 형성되도록, 천연라텍스가 혼합된 코코넛섬유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직드레인 제조방법.
  7. 삭제
KR1020090002644A 2009-01-13 2009-01-13 연약지반 배수처리용 연직드레인, 연직드레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180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644A KR101180499B1 (ko) 2009-01-13 2009-01-13 연약지반 배수처리용 연직드레인, 연직드레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644A KR101180499B1 (ko) 2009-01-13 2009-01-13 연약지반 배수처리용 연직드레인, 연직드레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318A KR20100083318A (ko) 2010-07-22
KR101180499B1 true KR101180499B1 (ko) 2012-09-07

Family

ID=4264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644A KR101180499B1 (ko) 2009-01-13 2009-01-13 연약지반 배수처리용 연직드레인, 연직드레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067B1 (ko) * 2011-05-23 2013-11-07 조성민 드레인 보드
FR3033585B1 (fr) * 2015-03-10 2017-04-21 Soc Parisienne De Produits Et Materiaux Meche drainante et dispositif de drainage associe
CN106638551A (zh) * 2016-10-21 2017-05-10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海绵蓄水桩改良软土地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666A (ja) * 1997-12-08 1999-06-29 Amano:Kk 水平ドレーンおよびその連結体並びにその施工方法
KR200437256Y1 (ko) * 2006-12-29 2007-11-21 정태진 천연섬유를 이용한 연약 지반 탈수용 드레인
KR100815986B1 (ko) * 2007-11-12 2008-03-24 김문수 드레인 보드 제조장치 및 그 드레인 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2666A (ja) * 1997-12-08 1999-06-29 Amano:Kk 水平ドレーンおよびその連結体並びにその施工方法
KR200437256Y1 (ko) * 2006-12-29 2007-11-21 정태진 천연섬유를 이용한 연약 지반 탈수용 드레인
KR100815986B1 (ko) * 2007-11-12 2008-03-24 김문수 드레인 보드 제조장치 및 그 드레인 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318A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499B1 (ko) 연약지반 배수처리용 연직드레인, 연직드레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9702338B2 (e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mponent for rotor blade lightning protection
JP2011513610A (ja) 鉄道枕木用の枕木基礎
DE3244208A1 (de) Pressfilz fuer papierbereitung und verfahren fuer dessen herstellung
JP2007278008A (ja) 軟弱地盤の改良工法
JPS634913A (ja) 発泡ウエブを表面層と積層させて積層体を連続的に製造する方法、およびラミネ−タ−
JP6811469B2 (ja) 表層崩壊防止用マット、表層崩壊防止兼用緑化構造体及び表層崩壊防止兼用緑化工法
JP2007191856A (ja) 地盤注入工法
US20160101590A1 (en) Composite sheet with embedded mesh layer
CN103987893B (zh) 用于制造薄纸的机器和压带
JP4679271B2 (ja) 強化のり面形成用材料及び強化のり面形成方法
CN105544619A (zh) 一种风机基础防冲刷保护的方法
KR102271040B1 (ko) 터프팅 연결사를 이용한 현장 수화형 보강매트와 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방법
CN1217973A (zh) 纤维增强发泡树脂成形体的制造方法及其制造装置
KR101112087B1 (ko) 신율이 우수하고 변형과 접점 강도를 개선한 지오그리드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오그리드
KR102073814B1 (ko) 이음부위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킨 토목섬유를 활용한 초대형 마대 및 그 제작방법
KR100954527B1 (ko) 연약지반 배수시스템
JP2010084406A (ja) 軟弱地盤の改良工法及びその方法に使用する軟弱地盤の改良施工装置
KR100969513B1 (ko) 2중 구조를 가진 섬유가 혼입된 숏크리트를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
KR100954783B1 (ko) 섬유보강재
JP2008163720A (ja) 埋立地などの軟弱地盤の改良方法に使用のドレーン材
KR200462355Y1 (ko) 연약지반 배수처리용 드레인매트
KR20120065359A (ko) 지면 덮개 구조물과 그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한 플랜트 및 방법
KR100382272B1 (ko) 샌드 블랭킷 매트 포설에 의한 해안 매립지의 초연약지반개량 표층처리공법
KR101336449B1 (ko) 터널의 콘크리트 라이닝과 일체화되는 방수시트를 제조하는 방법과 터널 시공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