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0056B1 -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0056B1
KR101180056B1 KR1020090117619A KR20090117619A KR101180056B1 KR 101180056 B1 KR101180056 B1 KR 101180056B1 KR 1020090117619 A KR1020090117619 A KR 1020090117619A KR 20090117619 A KR20090117619 A KR 20090117619A KR 101180056 B1 KR101180056 B1 KR 101180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late
roll
mesh
bead process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082A (ko
Inventor
차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90117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056B1/ko
Priority to EP10834768.3A priority patent/EP2508273B1/en
Priority to US13/512,932 priority patent/US8959976B2/en
Priority to PCT/KR2010/008553 priority patent/WO2011068353A2/ko
Priority to CN2010800543968A priority patent/CN102665954A/zh
Priority to ES10834768.3T priority patent/ES2669559T3/es
Publication of KR20110061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4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4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4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dim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3/00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 B21D53/02Making other particular articles heat exchangers or parts thereof, e.g. radiators, condensers fins, hea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 표면에 규칙적인 요철 형상의 격자무늬인 메쉬형 비드를 형성시켜 덕트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를 줄여 덕트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고, 덕트의 외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금속편재를 박스형태로 연결하여 구성된 프레임(F); 상기 프레임(F)의 상판에 수직되게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롤스탠드(F2); 상기 롤스탠드(F2)에 양단의 축(S1,S2)이 결합되며, 외면에 메쉬형 비드 형상이 음·양각된 상,하부 비드 가공롤(2,4);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후방에서 금속 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다수의 아이들롤러(110)로 구성된 공급부(100);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축(S1,S2)에 결합된 제1 및 제 2기어(S1-1,S2-2); 상기 제 2기어(S2-2)에 결합된 풀리(76); 상기 풀리(76)와 체인(74)으로 연결된 구동모터(72)로 구성된 구동부(7)로 구성된다.
Figure R1020090117619
메쉬, 비드, 금속플레이트, 롤러

Description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Producing Apparatus for Metal Plate having Mesh-Type Bead used for Duct}
본 발명은 덕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속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 표면에 규칙적인 요철 형상의 격자무늬인 메쉬형 비드를 형성시켜 덕트의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를 줄여 덕트의 제조 원가를 절감시키고, 덕트의 외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 기술의 발전과 함께 땅의 효율적 사용을 위하여 현대의 건축물은 고층화하고 있다. 특히, 사무용 고층 건축물의 경우에는 철골조 건물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건물의 냉난방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밀폐형 창문을 채택하거나, 개폐형 창문을 채택하여도 그 크기를 작게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사무용 고층 건물의 경우 자연적인 공조보다는 인위적인 공조시스템을 채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공조 시스템에서 냉난방용 공기의 순환을 위한 공기 통로인 덕트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현대의 건축물에서 없어서는 안되는 종래 덕트는 일반적으로 아연도금 강판을 단면이 사각형상이 되도록 절곡하여 제조하는 바, 덕트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강판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덕트의 제조원가가 높아지고, 덕트의 자중이 증가함으로써 건축물의 강성도 높여 주어야 하기 때문에 덕트의 강성 증대는 건축비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더욱이, 건축물이 대형화되고, 고층화 됨에 따라 상기 종래 덕트 역시 그 크기가 커져야 하는데, 이러한 덕트의 강성 보강을 위해서는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한다. 그러나, 두께 증가에 의한 덕트 강성의 개선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덕트의 길이를 짧게 하고, 그 수를 늘림과 동시에 보강재를 다량 사용해야 하는 등 결국, 덕트 전체의 자중이 증가하게 되고, 운반과 시공이 복잡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인 덕트 설치비의 증가를 초래하게 된다.
그리고, 건축물의 내, 외장재에 의하여 눈에 보이지 않게 되는 상기 공조용 덕트 외에 외부로 드러나는 공업용 덕트의 경우에는, 상기 강성의 문제 뿐 아니라 외관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즉, 종래 덕트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 플레이트는 단순한 평판 내지는, 다소의 덕트 강성 향상을 위하여 덕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일직선형의 비드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로서, 덕트 설치 후 드러나는 미관에 대한 측면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단점이 있다.
특히, 평판을 사용한 덕트의 경우에는 지진이나 기계 등에 의한 진동을 거의 흡수할 수 없는 취약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표면에 규칙적으로 교차하는 비드를 형성시켜 덕트의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비드 형성을 위한 절곡부에 의하여 덕트에 가해지는 진동을 어느 정도 흡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표면에 형성된 규칙적인 패턴 무늬에 의하여 장식적인 외관의 개선 효과도 얻을 수 있는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를 제조하는 제조 장치를 한국등록특허 제0394557호로 등록하였다.
도 8은 상기 선행특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조장치는 구동부인 구동 모터(M)가 안착되고, 네 모서리에 포스트(41A)가 1개씩 직립된 사각 형상의 하부 베이스 플레이트(41B) 및 상기 포스트(41A) 상단부를 연결하는 상부베이스 플레이트(41C)로 구성되는 베이스 프레임(4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 베이스 플레이트(41C)의 양측 단부상에 직립되는 한 쌍의 롤 스탠드(42)와; 양측 롤 스탠드(42)의 쵸크 조립홈(H)에 조립되는 롤쵸크(RC)에 베어링을 매개로 내삽되는 상하 1조의 핀치롤(43)과; 상기 핀치롤(43)과 인접하도록 양측 롤 스탠드(42)에 핀치롤(43)과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조립되며, 표면에 비드 형상이 각각 음·양각된 상하 1조의 비드 가공롤(44)과; 비드 가공롤(44)과 핀치롤(43)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구동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핀치롤(43) 및 비드 가공롤(44)의 일측단부상에 각각 구비된 스프로켓(MS)(43A)(44A)과, 이들 스프로켓을 연결하는 체인(C)으로 이루어지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행특허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된 스프로켓(MS)은, 체인(C)에 의하여 하부 핀치롤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스프로켓(43A) 및 하부 비드 가공롤의 일측단부에 구비된 스프로켓(44A)과 연결되며, 상기 하부 핀치롤의 스프로켓(43A)과 하부 비드 가공롤의 스프로켓(44A) 사이에는 체인(C)에 텐션을 부여하여 정확하고 안정적인 동력 전달을 위한 텐션 스프로켓(TS)이 롤 스탠드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M)가 회전하게 되면, 하부 핀치롤과 하부 비드 가공롤이 체인에 의해서 같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부 핀치롤은 하부 핀치롤과 접촉된 상태일 경우에만 회전되는 비 구동롤이며, 상부 비드 가공롤의 일측단부에는 구비되지 않으나 타측단부에 구비된 스프로켓(44C)이 하부 비드 가공롤의 타측단부에 구비된 스프로켓(44B)과 결합됨으로써 상부 비드 가공롤은 하부 비드 가공롤과 같이 연동되어 구동된다.
즉, 상하 핀치롤의 간격을 비드 가공 대상인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 이하로 조정한 상태에서 구동 모터를 가동한 후, 금속 플레이트(P)를 핀치롤의 롤 바이트에 삽입시키면, 상하 핀치롤(43)에 의하여 금속 플레이트가 비드 가공롤(44)의 롤 바이트내로 이동되어 비드 형상이 음·양각된 상하 비드 가공롤 사이에서 금속 플레이트 표면에 비드의 형상이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DP)로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특허기술은 실제로 사용해본 결과 몇가지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자중에 의해 중앙이 하방으로 처지게 되어 비드 형성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을 통과하여 비드가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가 비드의 형성에 따른 밀도 변화에 의해 상방으로 점차 휘어지면서 인출되므로 길이가 길어질 경우 돌돌 말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에 따라 상,하부 비드 가공롤의 간격을 조절하여야 하는데, 체인과 스프로켓이 허용할 수 있는 이상의 오차가 발생될 경우, 즉 일정 두께 이상 상,하부 비드 가공롤의 간격을 벌릴 경우 동력전달계통이 연결되지 않으므로 불능 상태가 되므로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 선택의 폭이 한정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본 출원인의 한국등록특허 제0394557호를 개량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첫째 목적은, 상,하부 비드 가공롤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조롤러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금속플레이트의 비드 형성이 양호해질 수 있도록 한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둘째 목적은, 비드 가공 후 금속 플레이트가 인출되면서 상방으로 점차 휘어지지 않도록 평탄화하는 누름롤러장치가 더 구비된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셋째 목적은, 상,하부 비드 가공롤의 축에 굴절연결부를 설치함으로써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에 따라 상,하부 비드 가공롤의 간격 조절이 용이하도록 한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금속편재를 박스형태로 연결하여 구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판에 수직되게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롤스탠드; 상기 롤스탠드에 양단의 축이 결합되며, 외면에 메쉬형 비드 형상이 음·양각된 상,하부 비드 가공롤;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의 후방에서 금속 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다수의 아이들롤러로 구성된 공급부;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의 축에 결합된 제1 및 제 2기어; 상기 제 2기어에 결합된 풀리; 상기 풀리와 체인으로 연결된 구동모터로 구성된 구동부를 포함하는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하부 비드 가공롤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보조롤러장치를 더 구비함으로써 금속플레이트의 비드 형성이 양호해질 수 있고, 비드 가공 후 누름롤러장치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가 인출되면서 상방으로 점차 휘어지지 않도록 평탄화할 수 있으며, 상,하부 비드 가공롤의 축에 굴절연결부를 설치함으로써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에 따라 상,하부 비드 가공롤의 간격 조절이 용이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는, 가공에 의하여 강성이 증가하는 금속의 가공경화 특성을 이용하고, 비드 형성에 수반되는 절곡부에 의하여 절곡부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부힘에 대한 변형 저항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절곡부의 폭 방향으로 작용하는 진동에 대한 흡수력을 부여함으로써, 덕트의 전체적인 강성과 진동에 대한 흡수 능력을 향상시킨 금속 플레이트이다.
그리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 표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각 비드는 일정 폭과 방향을 가지며, 이와 같이 형성된 비드는 일측 방향으로 평행한 일단의 직선형 비드군과, 이와 다른 타측 방향으로 평행한 타단의 직선형 비드군 즉, 두 비드군이 상호 교차함으로써 형성되는 격자형 내지는 그물 형태의 규칙적인 교차 무늬 형상이 금속 플레이트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덕트용 플레이트는 일방향으로 부여되는 외부 하중이 아닌 모든 방향의 외부 하중과 진동에 대하여 변형 저항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 표면의 비드는, 본 발명의 제조 장치를 통해서 형성되는 바, 비드와 동일한 형상으로 상호 음,양각되어 맞물려 회전하는 한 쌍의 원기둥형 비드 가공 롤 사이로 금속 평판 플레이트를 통과시킴으로써 가공,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A)는,
금속편재를 박스형태로 연결하여 구성된 프레임(F);
상기 프레임(F)의 상판에 수직되게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롤스탠드(F2);
상기 롤스탠드(F2)에 양단의 축(S1,S2)이 결합되며, 외면에 메쉬형 비드 형 상이 음·양각된 상,하부 비드 가공롤(2,4);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후방에서 금속 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다수의 아이들롤러(110)로 구성된 공급부(100);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축(S1,S2)에 결합된 제1 및 제 2기어(S1-1,S2-2);
상기 제 2기어(S2-2)에 결합된 풀리(76);
상기 풀리(76)와 체인(74)으로 연결된 구동모터(72)로 구성된 구동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에는 롤쵸크(23,42)가 결합되며,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상부 및 하부에 처짐을 방지하는 보조롤러장치(9)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전방에는 누름롤러장치(5)가 마련된다.
또,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축(S1,S2)에 형성되며 다수의 마디로 연결되어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굴절연결부(6)가 더 설치된다.
이제 상기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상,하부 비드 가공롤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상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상,하부 비드 가공롤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상세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은 외면에 양각 또는 음각으로 메쉬형 비드 문양이 형성된 것으로, 예를들어 상부 비드 가공롤(2)에 양각의 메쉬형 비드 문양이 형성된다면 이에 대응되도록 하부 비드 가공롤(4)에는 음각의 메쉬형 비드 문양이 형성된다.
이들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사이로 금속 플레이트가 지나가는 동안 가압에 의해 양,음각의 메쉬형 비드 문양이 금속 플레이트에 형성된다.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은 그 양단부의 축(S1,S2)이 롤스탠드(F2)에 끼워진 롤쵸크(23,42)에 베어링이 개재된 채 결합된다.
상기 축(S1,S2)의 일단부에는 제1 및 제 2기어(S1-1,S2-2)가 각기 결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기어(S1-1,S2-2)는 상호 치차 결합되고, 특히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비드 가공롤(4)의 축(S2)에 풀리(76)가 결합되고, 이 풀리(76)와 상기 구동부(7)가 체인(74)에 의해 연결된다.
물론 체인(74) 외에 벨트나 기타 연결수단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롤스탠드(F2)는 프레임(F)의 상부에 직립된 채 이격 형성되며 내측에는 롤쵸크(23,42)가 삽입되도록 수직으로 직사각형의 조정홈(20)이 형성된다.
롤쵸크(23,42)는 조정홈(2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에 의해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조정홈(20)의 상단에는 상단바(F25)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에 결합된 롤쵸크(23,42)는 조정홈(20) 내에서 승강되어 위치가 조정될 수 있고, 조정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하부 비드 가공롤(2,4) 간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과 롤쵸크(23,42) 및 그의 승강 및 고정가능한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 비드 가공롤(2)의 롤쵸크(23)는 장방형 판재이며, 그 양측단에 상기 조정홈(20)에 결합되도록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수직되게 조절나사(232)가 결합되며, 상기 조절나사(232)는 상기 상단바(F25)에 관통하여 나사결합되고, 상기 조절나사(232)의 상부에 핸들(233)이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233)을 회전시키면, 조절나사(232)가 승강되고, 이에 동반하여 롤쵸크(23)가 승강될 수 있고, 이에 종동되어 상부 비드 가공롤(2)이 승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핸들(233)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나사(232)가 상승되어 롤쵸크(23)가 상승되고, 이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나사(232)가 하강되어 롤쵸크(23)가 하강하게 됨으로써 상부 비드 가공롤(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비드 가공롤(4)의 롤쵸크(42)는 상기 상부 비드 가공롤(2)의 롤쵸크(23)와 동일한 형상의 장방형 판재이며, 그 양측단에 상기 조정홈(20)에 결합되도록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 수직되게 조절나사(424)가 결합되며, 상기 조절나사(424)는 프레임(F)의 상판을 관통하여 나사결합되고, 상기 조절나사(424)의 하부에 핸들(426)이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426)의 회전조작에 의해, 조절나사(424)가 승강되고, 이에 동반하여 하부 비드 가공롤(4)의 롤쵸크(42)가 승강될 수 있으며, 이에 종동되어 하부 비드 가공롤(4)이 승강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핸들(426)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나사(424)가 상승되어 롤쵸크(42)가 상승되고, 이와 반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조절나사(424)가 하강되어 롤쵸크(42)가 하강하게 됨으로써 하부 비드 가공롤(4)의 승강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서 보조롤러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상부 및 하부에 외접되어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보조롤러장치(9)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롤러장치(9)는, 하부 비드 가공롤(4)과 외접되는 하부보조롤러(94); 상부 비드 가공롤(2)과 외접되는 상부보조롤러(92);로 구성된다.
즉, 상기 하부보조롤러(94)는, 프레임(F)의 상판에 수직되어 이격 설치된 복수의 브라켓(93)에 축(S6)이 결합된 것으로, 상기 하부 비드 가공롤(4)과 외접된다.
상기 상부보조롤러(92)는 롤스탠드(F2)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대(F22)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브라켓(91)에 축(S5)이 결합된 것으로 상기 상부 비드 가공롤(2)과 외접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서 누름롤러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롤러장치(5)는 금속 플레이트가 상,하부 비드 가공롤(2,4)를 통과하면서 비드 문양이 성형된 후 휘어지면서 인출되는 폐단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전방에 설치된다.
상기 누름롤러장치(5)는 양측의 롤스탠드(F2)의 전방측면을 연결하는 장착대에 설치된 실린더바디(52)와, 상기 실린더바디(52) 내에 삽입된 로드(54)와, 상기 로드(54)에 결합되며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틈새에 대응되게 설치된 롤러(56)로 구성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서 굴절연결부를 나타내기 위한 상세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절연결부(6)는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축(S1,S2)에 형성되며 다수의 마디로 연결되어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굴절연결부(6)는 통상의 유니버셜 조인트와 동일한 구조이다.
즉, 상,하부 비드 가공롤(4)의 축(S1,S2)에 일단이 키 결합된 제1마디체(61)와, 상기 제1마디체(61)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제2마디체(62)와, 상기 제2마디체(62)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 2기어(S1-1,S2-2)의 축(S)과 키 결합된 제3마디체(63)로 구성된다.
상기한 키(Key)는 축이 돌 때 회전체가 미끄럼 없이 돌도록 축과 회전체에 홈을 파고 그 사이에 끼워 넣는 일종의 쐐기로서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마디체(62)의 양단부는 제1 및 제3마디체(61,63)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됨으로써 제 2마디체(62)가 상하로 굴절 및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롤쵸크(23,42)를 승강시켜 상호간의 간격을 조절하면, 이에 종동되어 제1마디체(61) 내지 제3마디체(63)가 굴절된다.
예를들어 상부 비드 가공롤(2)을 상승시키고, 이와 반대로 하부 비드 가공롤(4)을 하강시키면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간격이 벌어지게 될 것이고, 이에 연동되어 상부 비드 가공롤(2)에 연결된 굴절연결부(6)의 제1 내지 제3마디체(61~63)가 경사지게 굴절되며, 이와 상반되게 하부 비드 가공롤(4)에 연결된 굴절연결부(6)의 제1 내지 제3마디체(61~63)는 상이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굴절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굴절연결부(6)가 굴절된 상태라 하더라도 굴절 각도는 미세한 정도이므로 제 2기어(S2-2)의 풀리(76)에 전달된 회전동력은 제1기어(S1-1)에 전달됨으로써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회전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굴절연결부(6)는 유니버설 조인트의 작동원리와 동일하므로 당업자라면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을 인가하고 스위치를 온(on)시켜 구동부(7)를 구동시키면 공급부(100) 의 아이들롤러(110)들이 회전하면서 금속 플레이트를 이송할 준비가 된다.
금속 플레이트를 투입하기 전에 금속 플레이트의 두께에 적합하도록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간격을 조절한다.
즉, 롤쵸크(23,42)의 핸들(233,426)을 회전시켜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을 상호 승강시킴으로써 간격을 조절하고, 하부 비드 가공롤(4)의 축(S)에 결합된 풀리(76)가 상기 구동부(7)에 의해 회전되고, 상부 비드 가공롤(2)은 아이들링하게 된다.
따라서, 금속 플레이트가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틈새로 진입하면 하부 비드 가공롤(4)의 회전에 의해 전진하게 되고, 이렇게 금속 플레이트가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을 지나는 동안 그 외면에 비드 문양이 가압에 의해 형성된다.
비드 문양이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는 상방으로 휘어지려는 성향을 가지나, 누름롤러장치(5)의 롤러(56)에 지지되어 휘어지지 않고 직선으로 전진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길이를 길게 할 경우 하중에 의해 중간부위가 휘어지는 폐단이 발생되었으나, 본 발명은 그 중간부위를 지지하도록 보조롤러장치(9)가 설치되어 있어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진직도를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장치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으며, 불량 발생요인을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 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상,하부 비드 가공롤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상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상,하부 비드 가공롤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상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보조롤러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누름롤러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굴절연결부를 나타내기 위한 상세도.
도 8은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0394557호에 대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상부 비드 가공롤 4 : 하부 비드 가공롤
5 : 누름롤러장치 6 ; 굴절연결부
7 : 구동부 9 : 보조롤러장치
23,42 : 롤쵸크 F2 : 롤스탠드

Claims (9)

  1. 금속편재를 박스형태로 연결하여 구성된 프레임(F);
    상기 프레임(F)의 상판에 수직되게 설치되며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롤스탠드(F2);
    상기 롤스탠드(F2)에 양단의 축(S1,S2)이 결합되며, 외면에 메쉬형 비드 형상이 음·양각된 상,하부 비드 가공롤(2,4);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후방에서 금속 플레이트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다수의 아이들롤러(110)로 구성된 공급부(100);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축(S1,S2)에 결합된 제1 및 제 2기어(S1-1,S2-2);
    상기 제 2기어(S2-2)에 결합된 풀리(76);
    상기 풀리(76)와 체인(74)으로 연결된 구동모터(72)로 구성된 구동부(7) 및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상부 및 하부에 외접되어 처짐을 방지하는 보조롤러장치(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은,
    양단부의 축(S1,S2)이 롤스탠드(F2)에 끼워진 롤쵸크(23,42)에 회전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축(S1,S2)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상호 치차 결합되는 제1 및 제 2기어(S1-1,S2-2);
    상기 하부 비드 가공롤(4)의 축(S2)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7)가 연결되는 풀리(7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롤쵸크(23,42)는,
    상부 및 하부에 수직되게 결합된 조절나사(232,424);
    상기 조절나사(232,424)의 하부에 장착된 핸들(233,426);로 구성되며,
    상기 핸들(233,426)의 조작에 의해 롤쵸크(23,42)가 조정홈(20) 내에서 승강되어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롤러장치(9)는,
    상기 하부 비드 가공롤(4)과 외접되는 하부보조롤러(94);
    상기 상부 비드 가공롤(2)과 외접되는 상부보조롤러(9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전방에 설치되며, 인출되는 금속 플레이트가 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누름롤러장치(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롤러장치(5)는,
    양측의 롤스탠드(F2)의 전방측면을 연결하는 장착대에 설치된 실린더바디(52);
    상기 실린더바디(52) 내에 삽입된 로드(54);
    상기 로드(54)에 결합되며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틈새에 대응되게 설치된 롤러(5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비드 가공롤(2,4)의 축(S1,S2)에 형성되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굴절연결부(6)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연결부(6)는,
    상,하부 비드 가공롤(4)의 축(S1,S2)에 일단이 키 결합된 제1마디체(61);
    상기 제1마디체(61)의 타단에 힌지결합된 제2마디체(62);
    상기 제2마디체(62)의 타단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 2기어(S1-1,S2-2)의 축(S)과 키 결합된 제3마디체(63);로 구성되며,
    상기 제2마디체(62)의 양단부는 제1 및 제3마디체(61,63)와 이격됨으로써 제 2마디체(62)가 상하로 굴절 및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KR1020090117619A 2009-12-01 2009-12-01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KR101180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619A KR101180056B1 (ko) 2009-12-01 2009-12-01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EP10834768.3A EP2508273B1 (en) 2009-12-01 2010-12-01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etal plate for a duct, including mesh-type beads
US13/512,932 US8959976B2 (en) 2009-12-01 2010-12-01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metal plate for a duct, including mesh-type beads
PCT/KR2010/008553 WO2011068353A2 (ko) 2009-12-01 2010-12-01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CN2010800543968A CN102665954A (zh) 2009-12-01 2010-12-01 形成有网格状加强筋的风管用金属板的制造装置
ES10834768.3T ES2669559T3 (es) 2009-12-01 2010-12-01 Aparato para fabricar una plancha de metal para un conducto que incluye nervios de tipo mall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619A KR101180056B1 (ko) 2009-12-01 2009-12-01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082A KR20110061082A (ko) 2011-06-09
KR101180056B1 true KR101180056B1 (ko) 2012-09-04

Family

ID=44115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619A KR101180056B1 (ko) 2009-12-01 2009-12-01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59976B2 (ko)
EP (1) EP2508273B1 (ko)
KR (1) KR101180056B1 (ko)
CN (1) CN102665954A (ko)
ES (1) ES2669559T3 (ko)
WO (1) WO2011068353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785B1 (ko) * 2020-03-31 2021-08-02 (주)세일기계 보강 덕트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63340A (zh) * 2013-01-30 2014-08-06 成都科盛石油科技有限公司 具有调整位置功能的石油加工设备
CN103331383B (zh) * 2013-07-17 2015-04-08 成都中电锦江信息产业有限公司 滚槽机用滚轮架
CN103736801A (zh) * 2014-01-12 2014-04-23 北京淮海电力科技有限公司 导流瓦压槽机
KR101638958B1 (ko) * 2015-12-23 2016-07-12 이순태 공중투하 폭탄용 안전핀 접기장치
KR101888892B1 (ko) * 2016-04-04 2018-08-16 주식회사 테크녹스 엠보싱 패턴 제조 장치
US10953446B2 (en) * 2017-03-16 2021-03-23 Jose Rossi Apparatus for forming round and flat-oval shaped HVAC ducts
CN112675785A (zh) * 2021-01-05 2021-04-20 北京新龙立自动化技术有限公司 一种干法制粒机
CN115555447A (zh) * 2022-10-27 2023-01-03 湖北铜都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铝合金模板加工用压槽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557B1 (ko) * 2000-10-16 2003-08-19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65258A (en) * 1920-04-03 1921-01-11 Standard Crayon Mfg Company Corrugating-machine
US3306188A (en) * 1965-09-22 1967-02-28 Dietz Machine Works Inc Embossing machine
US3686917A (en) * 1971-04-06 1972-08-29 Toyoda Chuo Kenkyusho Kk Roll forming apparatus
US3724250A (en) * 1971-10-04 1973-04-03 A Molino Rolling and beading machine
US4020666A (en) * 1976-04-15 1977-05-03 Beymer Glen E Mobile forming machine with embossing rolls
DE3527210A1 (de) * 1985-07-30 1987-02-12 Georg Baumann Profilwalzmaschine fuer bleche
US4732082A (en) * 1986-06-25 1988-03-22 Carl Iret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embossing rollers in a press line
JPH07205B2 (ja) * 1988-03-25 1995-01-11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螺旋リブ付き管の製造方法
JP3243699B2 (ja) 1993-06-11 2002-01-07 鈴木総業株式会社 凹凸成形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219928Y1 (ko) 2000-10-16 2001-04-16 주식회사진웅상사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
CN2592300Y (zh) * 2002-12-20 2003-12-17 宝钢集团上海梅山有限公司 一种花纹板轧制装置
JP2005193243A (ja) * 2003-12-26 2005-07-21 Toyota Auto Body Co Ltd コルゲート成形装置、コルゲート成形方法およびコルゲート成形方法により成形される燃料電池用メタルセパレータ
KR200394557Y1 (ko) 2005-04-12 2005-09-02 오상문 오물제거장치를 구비하는 수문
CN201283365Y (zh) * 2008-10-23 2009-08-0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防缠辊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557B1 (ko) * 2000-10-16 2003-08-19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4785B1 (ko) * 2020-03-31 2021-08-02 (주)세일기계 보강 덕트 제조장치
WO2021201348A1 (ko) * 2020-03-31 2021-10-07 (주)세일기계 보강 덕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65954A (zh) 2012-09-12
WO2011068353A2 (ko) 2011-06-09
EP2508273A4 (en) 2013-06-12
WO2011068353A3 (ko) 2011-09-09
US8959976B2 (en) 2015-02-24
ES2669559T3 (es) 2018-05-28
KR20110061082A (ko) 2011-06-09
EP2508273A2 (en) 2012-10-10
US20120234065A1 (en) 2012-09-20
EP2508273B1 (en) 201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056B1 (ko)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KR100394557B1 (ko) 메쉬형 비드가 형성된 덕트용 금속 플레이트의 제조 장치
CN101085457A (zh) 一种金属线材调直机
JP4012407B2 (ja) ハット型鋼矢板の製造方法
CN201313125Y (zh) 电动煨弯机
CN201280895Y (zh) 一种无轨电动直线门
CN216764692U (zh) 一种多级在线连续可调u型玻璃生产装置
CN111530956B (zh) 一种彩钢瓦楞板生产制造工艺
CN216276897U (zh) 一种变形缝内可调节的定型模板
CN215473052U (zh) 一种建造装配式墙板的外面平整装置
CN213591451U (zh) 一种不锈钢装饰管的定径矫直装置
CN213530249U (zh) 一种h型钢加工用板材矫直装置
CN213945483U (zh) 一种装配式钢构建筑用h型钢组立机的门架导向机构
CA2557013A1 (en) A roll-forming machine for forming smooth curves in profiled panel sections and method of forming curved panels
KR100421450B1 (ko) 곡면유리 성형장치
JPS62156025A (ja) 彎曲状建築用板の製造法及びその製造装置
CN211194672U (zh) 一种多辊连续式橡胶压延机
WO2001087785A1 (en) Curved glass forming machine
KR200308074Y1 (ko) 건축용 금속패널 성형장치
CN218591493U (zh) 一种制管板材矫正装置
KR102437549B1 (ko) 스틸하우스 패널 벤딩용 코일 이송장치
CN219616415U (zh) 一种高长径比型材的微型辊压矫直装置
CN212190690U (zh) H型钢液压矫正机的伸缩机构
CN220951894U (zh) 一种水暖面板铜带加工用退火装置
CN2286435Y (zh) 两辊式瓦楞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