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9226B1 -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 - Google Patents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9226B1
KR101179226B1 KR1020110125172A KR20110125172A KR101179226B1 KR 101179226 B1 KR101179226 B1 KR 101179226B1 KR 1020110125172 A KR1020110125172 A KR 1020110125172A KR 20110125172 A KR20110125172 A KR 20110125172A KR 101179226 B1 KR101179226 B1 KR 101179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self
thermoplastic polyolefin
modified asphal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5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 브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 브이
Priority to KR102011012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92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9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9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 B32B11/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bituminous or tarry substances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1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Abstract

본 발명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은 자착식 복합 방수용 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방수 시공을 목적으로 하는 대상의 시공면을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 단계; 상기 바탕면 정리 단계에서 정리된 바탕면에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의 점착력 보강을 위한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 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바탕면에 부착이 되는 것으로 자체 접착성을 갖는 개질아스팔트층과 상기 개질아스팔트층에 일면의 일부가 함침되어 결합하는 부직포층 및상기 부직포층의 타면에 함침되어 결합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부착시키는 복합 방수시트 부착 단계; 및 상기 복합 방수시트 부착 단계 이후에 복합 방수시트 간에 형성된 접합부위를 보강하는 보강수단을 부가하여 접합부위를 보강하는 접합부위 보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접합부위로 인한 결함을 원천적으로 해결하며, 시공 시간 단축시키고, 신축성과 기밀성이 우수하여 저온에서도 유연성과 탄성을 유지하는 방수층을 제공하고, 상온에서의 보존성과 내후성, 내약품성, 내오염성 등이 우수한 방수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Combined with the thermoplastic polyolefin and modified asphalt waterproofing sheet waterproofing compound method using}
본 발명은 자착식 복합 방수용 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을 갖는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하여 복합 방수를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수 공법은 도막을 형성하는 도막 방수, 방수시트를 이용하는 시트 방수, 방수시트와 도막층을 형성하는 복합 방수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도막 방수 공법은 액상형 방수재를 바탕면에 수회 도포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시공이 간편하고 복잡한 바탕면에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자의 전문성을 요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막 방수 공법은 액상형 방수재를 수회 도포하여 방수층을 경화시키는데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방수층이 균일한 두께로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이와 같은 문제로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방수층에서는 방수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증기압에 따른 부풀음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시트 방수 공법은 기 제작된 방수시트를 이용하고, 상기 방수시트를 열융착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바탕면에 방수시트를 부착하여 시공하는 방수 공법으로 이미 제품이 규격화되어 있어 방수층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장점과 시공이 신속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트 방수 공법은 필연적으로 시트와 시트 간의 접합부위가 발생하고 이와 같은 접합부위에서 잦은 결함이 발생하여 결국 접합부위가 하자포인트가 되는 문제가 있고. 복잡한 부위에 대한 시공이 어렵고 시트 시공을 위해서는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 복합 방수 공법은 도막 방수 공법과 시트 방수 공법의 문제점들을 상호 보완하기 위하여 방수시트와 도막재를 동시에 사용하여 시공하는 공법으로 방수시트의 접합부위의 약점을 도막재로 보완하여 방수시트의 접합부위 결함을 제거하고, 도막재의 불균일한 시공 두께를 방수시트가 보완하여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복합 방수 공법은 방수시트와 도막재가 서로 다른 재료로 이질재료에 의한 화학반응이 발생하여 결함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방수시트와 도막재가 층간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합 방수 공법은 시트 방수를 실시한 후에 도막 방수를 시행함에 따라, 시공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시공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시트 방수 공법에 대해 좀 더 살펴보면, 시트 방수 공법에 사용되는 방수용 자재로 합성고분자 소재를 갖는 방수시트와 개량아스팔트 소재를 갖는 방수시트로 나뉜다.
합성고분자 방수시트에는 뷰틸고무가 주원료인 가황계 방수시트, 폴리아이소뷰틸렌이 주원료인 비가황계 방수시트, 염화비닐수지가 주원료인 염화비닐계 방수시트, 에틸렌아세트산이 주원료인 에틸렌아세트산 수지계 방수시트가 있다.
이와 같은 합성고분자 방수시트는 내후성이 우수하며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나 시공면에 접착시키기가 어려워 별도의 고정기구를 사용하여 시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는 합성수지나 합성고무 등의 폴리머를 섞어 성질을 개량시킨 아스팔트를 원지에 붙여 시트를 만드는 공법으로, 내후성과 접착성이 우수하다. 온도에 크게 영향받지 않으며 시트 간의 접착성이 좋은 장점이 있고, 일반 고무처럼 탄성이 우수하며 상처 및 충격에 대한 복원력이 우수하며 재료의 물성이 균질하고 불투수층을 형성하므로 방수 능력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는 원료 자체가 갖는 특성으로 방수성능은 우수하지만, 아스팔트의 특성상 내후성, 내오존성, 감온성 등이 취약하여 공기에 노출시 산화가 이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출원번호 10-2006-0110993호 "복합방수용 고무아스팔트 방수시트"라는 명칭으로 복합 방수시트가 개시된바 있다. 이와 같은 복합 방수시트는 고무아스팔트층과 도막방수층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일체화를 도모함은 물론 균일한 도막방수층의 형성을 가능케 한 복합방수용 고무아스팔트 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함으로 완전한 2중 복합방수층을 완성할 수 있게 되어 방수성능을 극대화시킨 복합방수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종래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아스팔트층(20); 상기 고무아스팔트층(20) 위에 부착되는 합성수지필름(30); 및 상기 합성수지필름(30) 위에 형성되는 제1프라이머코팅층(4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무아스팔트층(20)과 합성수지필름(30) 사이에는, 상기 합성수지필름(30) 아래에 부착되는 섬유포(51);와 상기 섬유포(51) 아래에 형성되는 제2프라이머코팅층(50);이 더 적층되며, 제1프라이머코팅층(40)과 제2프라이머코팅층(50)을 형성하는 프라이머는 주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2성분형으로, 상기 주제는 염화 폴리올레핀 10~20중량%, 용제 80~90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경화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방수용 고무아스팔트 방수시트가 개시된 바 있다.
이처럼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 복합 방수시트는 산화방지처리가 되어진 보강 필름을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에 부가하여 개량아스팔트 방수시트의 산화 문제를 방지하나, 시공이 어렵고 잘못 시공된 부분을 수정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복합 방수시트는 도막방수층의 노화에 따라 두 재료의 층간 일체성이 결여되어 접합계면에서 접착력이 급속히 낮아져 층간 분리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방수부분에 하자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층간 재료의 환경 조건에 따른 수축 및 팽창 발생시 접착계면의 부착력 저하로 인해 박리현상이 발생되고, 이는 누수현상으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재료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시트 방수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접합부위를 일체화시켜 접합부위로 인한 결함을 원천적으로 해결하며 한번으로 시공으로 복합 방수 공법의 장점을 확보할 수 있고, 시공 시간이 상대적으로 단축된 복합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복합 방수 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특징으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자착식 복합 방수 공법에 있어서, 방수 시공을 목적으로 하는 대상의 시공면을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 단계; 상기 바탕면 정리 단계에서 정리된 바탕면에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의 점착력 보강을 위한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 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바탕면에 부착이 되는 것으로 자체 접착성을 갖는 개질아스팔트층과 상기 개질아스팔트층에 일면의 일부가 함침되어 결합하는 부직포층 및상기 부직포층의 타면에 함침되어 결합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상기 프라이머 도포 단계를 통해 프라이머가 도포된 바탕면에 부착시키는 방수시트 부착 단계; 및 상기 방수시트 부착 단계 이후에 방수시트 간에 형성된 접합부위를 보강하는 보강수단을 부가하여 접합부위를 보강하는 접합부위 보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프라이머 도포 단계에서의 프라이머는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의 개질아스팔트층과 동일한 소재인 아스팔트프라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 부착 단계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는 상기 부직포층을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심재로 하고, 상기 부직포층의 상면에는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을 캘런더링 공정 또는 T-DIE 공정으로 상기 두께의 30% ~ 50%를 함침하여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을 형성하고,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에는 상기 개질아스팔트를 상기 두께의 50% ~ 70%를 함침하여 상기 개질아스팔트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질아스팔트층은 두께를 1.0㎜ ~ 2.0㎜로 하고, 스트레이트아스팔트에 합성고무, 프로세스오일, 충진재 및 접착제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고무는 SBS 내지 부틸고무인 것으로 하고, 상기 프로세서오일은 나프텐, 파라핀, 이소파라핀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으로 하고, 상기 접착제는 식물성 재료인 고구마전분 내지 옥수수전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부직포층은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하여 니들펀치법을 통해 제조한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로 그 두께는 0.5㎜ ~ 1.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 부착 단계의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은 열가소성폴리올레핀에 소정의 색상을 발현시키는 안료를 첨가하여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이 소정의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 부착 단계의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은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친환경 소재를 30%이상 함유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방수시트 부착 단계의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은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의 두께를 0.5㎜ ~ 1.0㎜로 하고, 상기 부직포에 함침되어지는 두께는 0.2㎜ ~ 0.3㎜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합부위 보강 단계의 보강수단은 열가소성폴리올레핀 소재로 이루어지고, 중심 보강재로 플리에스터 메쉬 또는 글라스화이버 메쉬를 사용한 소정의 두께와 너비를 갖는 조인트 시트로 하고, 상기 접합부위에 상기 조인트 시트를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 시트는 열풍을 이용하는 열풍용접 방식으로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통해 본 발명은 기존 복합 방수시트 공법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가 있고, 특히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재료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시트 방수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접합부위를 일체화시켜 접합부위로 인한 결함을 원천적으로 해결하며 한번으로 시공으로 복합 방수 공법의 장점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시공 시간을 상대적으로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색상으로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일반적인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신축성과 기밀성이 우수하여 저온에서도 유연성과 탄성을 유지하는 방수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고, 상온에서의 보존성과 내후성, 내약품성, 내오염성 등이 우수한 방수층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의 공정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에 사용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에 사용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의의 실험 결과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의 공정을 통해 형성된 방수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의 공정을 통해 형성된 방수층의 실시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 2는 본 발명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의 공정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에 사용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의 구조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에 사용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의의 실험 결과표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의 공정을 통해 형성된 방수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도 6은 본 발명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의 공정을 통해 형성된 방수층의 실시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공법은 바탕면 정리 단계(S10), 프라이머 도포 단계(S20),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 부착 단계(S30) 및 접합부위 보강 단계(S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탕면 정리 단계(S10)는 방수 시공을 하려는 대상의 시공면(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로 바탕면(1)에 형성된 단차, 요철, 레이턴스 등을 제거하고, 만일 바탕면(1)에 움푹한 부분이 있으면 움푹한 부분을 메울 수 있는 소재로 메움으로써 바탕면(1)이 평평한 상태가 되도록 정리를 한다.
이와 같이 바탕면을 정리하는 것은 자체 점착력을 갖는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를 바탕면(1)에 부착함에 따라 바탕면(1)이 제대로 정리가 되지 않을 경우 향후 하자가 발생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탕면(1)의 정리는 가능한 방수 시공을 하려는 면 자체가 평평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물질 등이 없도록 한다.
상기 프라이머 도포 단계(S20)는 바탕면(1)과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바탕면(1)에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를 바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이런 경우 향후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의 점착력 저하로 인해 방수시트의 들뜸 현상 등 하자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바탕면(1)에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의 점착력을 보강할 수 있는 프라이머(2)를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를 부착하기 전에 바탕면(1)에 도포함으로써 자착식 방수시트(3)의 점착력을 보강한다.
따라서, 상기 프라이머(2)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의 개질아스팔트층(100)과 동일한 소재인 아스팔트 소재의 아스팔트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아스팔트프라이머는 KS M 2270 방습 방수공사용 아스팔트프라이머 품질기준에 맞는 아스팔트프라이머를 사용한다.
이와 같은 프라이머(2)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탕면(1) 전체에 도포를 하거나,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인트 부분에만 도포를 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 부착 단계(S30)에서는 상기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머(2)가 도포된 바탕면(1)에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를 부착한다.
상기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탕면에 부착이 되는 것으로 자체 접착성을 갖는 개질아스팔트층(100)과 상기 개질아스팔트층(100)에 일면의 일부가 함침되어 결합하는 부직포층(200) 및 상기 부직포층(200)의 타면에 함침되어 결합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300)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로 한정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와 같은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의 접착면에 부착된 이형지 또는 이형필름을 제거한 후, 방수 시공을 하려는 전체 면(바탕면)에 맞대기 형식으로 다수의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를 부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바탕면(1)에 부착이 되는 것으로 자체 접착성을 갖는 개질아스팔트층(100)과 상기 개질아스팔트층에 일면의 일부가 함침되어 결합하는 부직포층(200) 및 상기 부직포층에 타면에 함침되어 결합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300)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는 바탕면에 부착이 되는 것으로 자체 접착성을 갖는 개질아스팔트층(100); 상기 개질아스팔트층에 일면의 일부가 함침(d2)되어 결합하는 부직포층(200); 및 상기 부직포층(200)의 타면에 함침(d1)되어 결합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30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부직포층(200)을 소정의 두께(d)를 갖는 중심재로 하고, 상기 부직포층(200)의 상면에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을 캘런더링 공정또는 T-DIE 공정으로 상기 두께(d)의 30% ~ 50%를 함침(d1)하여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300)을 형성한 후, 상기 부직포층(200)의 하면에 개질아스팔트를 상기 두께(d)의 50% ~ 70%를 함침(d2)하여 상기 개질아스팔트층(100)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개질아스팔트층(100)은 일반 자착식 방수시트의 고무화 아스팔트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접착 기능과 방수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부직포층(200)의 두께(d)의 50% ~ 70% 가량(d2) 스며들어 형성이 된다.
이와 같은 개질아스팔트층(100)은 종래 고무화 아스팔트층에 비해 바탕면에 부착되는 부착력(점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 성질을 개선한 아스팔트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와 같이 접착력이 개선된 아스팔트는 스트레이트아스팔트에 SBS(styrene-butadiene-styrene), 부틸고무 등과 같은 합성고무를 혼합한 후, 나프텐, 파라핀, 이소파라핀과 같은 프로세스오일을 첨가하고, 탈크, 샌드, 탄산칼슘, 카본블랙, 돌로마이트와 같은 충진재 및 석유수지 내지 고구마 전분 내지 옥수수 전분 등과 같은 식물성 재료인 접착제를 혼합하여 KS F 4934(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품질기준에 만족함과 동시에 점착력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개질아스팔트층(100)의 두께는 1.0㎜ ~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상기 부직포층(200)에 함침되어지는 두께는 0.3㎜ ~ 0.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직포층(200)은 상기 개질아스팔트층(100)과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300)을 결합시켜 일체화시키기 위한 중심재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 개질아스팔트층(100)과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300)의 이질감을 없애고,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소재의 이질감이 없도록 하여 서로 다른 성질의 재료가 결합하여 야기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즉, 개질아스팔트층(100)과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300)이 상기 부직포층(200)에 의해 결합이 되도록 한다.
결국, 상기 부직포층(200)에 의해 개질아스팔트층(100)과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300)은 직접적으로 접하는 부분을 최소화하면서 결합이 가능하고, 맞닿는 부분을 최소화함으로써 이질 재료 간의 화학적 반응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하자 발생의 비율을 줄일 수 있으며 두 재료 간 물리적 성질에 의한 기계적 특성들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200)은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하여 니들펀치법을 통해 제조한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폴리에스터 섬유가 타 섬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고, 내약품성과 내후성이 우수하고, 탄성 내열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드시 여기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레이온 섬유, 나일론 섬유, 폴리에스터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의 합성섬유를 carding, 영융착법, 니들펀치법, 수류결합법, 스티치법 등의 방법으로 제조한 다양한 부직포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부직포층(200)은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하여 니들펀치법을 통해 제조한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로 하고, 그 두께는 0.5㎜ ~ 1.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300)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직포층(200)의 상부에 부직포층(200)의 두께(d) 대비 30% ~ 50% 가량(d1) 스며들어 형성이 되며, 방수층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300)은 열가소성폴리올레핀(TPO/Thermoplastic-Polyolefin)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 소재가 갖는 특성인 탄성이 우수한 성질, 저온에서도 유연성과 탄성을 유지하는 성질 등을 갖는다.
따라서,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300)은 일반 합성수지 방수층에 비해 충격에 강해 방수층이 깨지거나 파손되지 않으며, 인장력에 의해 방수층이 터지지 않는 장점이 있고, 저온에서도 유연성과 탄성을 유지하여 보존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이와 같은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300)은 열가소성폴리올레핀에 소정의 색상을 발현시키는 안료를 첨가하여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300)이 소정의 색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소정을 색상을 발현하는 안료를 열가소성폴리올레핀에 1 중량%에서 3 중량%로 첨가하여 원하는 다양한 컬러를 발현시킨다.
또한, 이와 같은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300)은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친환경 소재를 30%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와 같은 자착식 복합 방수 시트(3)는 상기 도 4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의 실험 결과표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강도, 신장률 및 항장적이 일반적인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의 기준에 비해 상당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인열성능, 굴곡 성능, 내열 성능, 내피로 성능 모두 이상이 없음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치수가 매우 안정적이고 접합 성능과 내움푹패임 성능이 우수하고, 특히 부착 성능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위 보강 단계(S40)는 상기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가 맞대기 형식으로 부착됨에 따라 생긴 접합부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 간에 형성된 접합부위에 보강수단을 부가하여 접합부위를 보강한다.
상기 접합부위 보강 단계(S40)의 보강수단은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진 보강수단이 될 수 있으나, 열가소성폴리올레핀 소재로 이루어지고 중심 보강재로 폴리에스터 메쉬 또는 글라스화이버 메쉬를 사용하고 소정의 두께와 너비를 갖는 조인트 시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인트 시트는 너비 100㎜ ~ 150㎜, 두께 0.45㎜, 무게 1㎡당 140그램(g), 인장강도 경사는 75(㎏f/25㎜) 위사는 130(㎏f/25㎜) 스팩으로 한다.
즉, 상기 접합부위 보강 단계(S40)에서는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의 맞대기 부착으로 형성된 접합부위에 상기 조인트 시트(4)를 결합시켜 접합부위를 보강한다.
이때, 상기 조인트 시트(4)의 결합은 열풍을 이용하는 열풍용접 방식을 이용하여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3)와 조인트 시트(4)를 융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바탕면
2 : 프라이머
3 :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
4 : 조인트 시트
100 : 개질아스팔트층
200 : 부직포층
300 :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

Claims (12)

  1. 방수 시공을 목적으로 하는 대상의 시공면을 정리하는 바탕면 정리 단계; 상기 바탕면 정리 단계에서 정리된 바탕면에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의 점착력 보강을 위한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프라이머 도포 단계; 프라이머가 도포된 바탕면에 부착이 되는 것으로 자체 접착성을 갖는 개질아스팔트층과 상기 개질아스팔트층에 일면의 일부가 함침되어 결합하는 부직포층 및 상기 부직포층의 타면에 함침되어 결합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부착시키는 복합 방수시트 부착 단계; 및 상기 복합 방수시트 부착 단계 이후에 복합 방수시트 간에 형성된 접합부위를 보강하는 보강수단을 부가하여 접합부위를 보강하는 접합부위 보강 단계;를 포함하는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도포 단계에서의 프라이머는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의 개질아스팔트층과 동일한 소재인 아스팔트프라이머로 하고,
    상기 복합 방수시트 부착 단계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는 폴리에스터 섬유를 이용하여 니들펀치법을 통해 제조한 폴리에스터 장섬유 부직포로 그 두께는 0.5㎜ ~ 1.2㎜인 부직포층을 형성하고, 상기 부직포층의 상면에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친환경 소재를 30%이상 함유한 열가소성폴리올레핀을 캘런더링 공정 또는 T-DIE 공정으로 부직포층 두께의 30% ~ 50%를 함침하여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을 형성하고,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에는 상기 개질아스팔트를 부직포층 두께의 50% ~ 70%를 함침하여 개질아스팔트층을 형성한 것으로 하고,
    상기 접합부위 보강 단계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 소재로 이루어지고 중심 보강재로 폴리에스터 메쉬 또는 글라스화이버 메쉬를 사용한 소정의 두께와 너비를 갖는 조인트 시트를 결합시켜 접합부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아스팔트층은
    그 두께를 1.0㎜ ~ 2.0㎜로 하고, 스트레이트아스팔트에 SBS 내지 부틸고무인 것으로 하고, 상기 프로세서오일은 나프텐, 파라핀, 이소파라핀 중 어느 하나인 합성고무와 프로세스오일, 충진재 및 식물성 재료인 고구마전분 내지 옥수수전분인 접착제를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방수시트 부착 단계의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은 열가소성폴리올레핀에 소정의 색상을 발현시키는 안료를 첨가하여 상기 열가소성폴리올레핀층이 소정의 색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위 보강 단계의 상기 조인트 시트는
    열풍을 이용하는 열풍용접 방식으로 상기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
KR1020110125172A 2011-11-28 2011-11-28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 KR101179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172A KR101179226B1 (ko) 2011-11-28 2011-11-28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5172A KR101179226B1 (ko) 2011-11-28 2011-11-28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9226B1 true KR101179226B1 (ko) 2012-09-03

Family

ID=47073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5172A KR101179226B1 (ko) 2011-11-28 2011-11-28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922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963B1 (ko) * 2019-02-19 2019-08-09 주식회사 에이지엠코리아 방수성과 고내구성을 가지는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2286256B1 (ko) * 2021-03-17 2021-08-09 (주)대림이엔씨 접합홀을 구비한 교면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
CN115387547A (zh) * 2022-09-28 2022-11-25 河南华瑞兴业防水科技有限公司 一种茂金属聚烯烃复合沥青防水卷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935B1 (ko) * 2000-07-06 2003-12-31 주식회사 대흥산업 복합 시트 방수재와 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875893B1 (ko) * 2008-01-07 2008-12-26 김기태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0875897B1 (ko) * 2008-01-07 2008-12-26 김기태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935B1 (ko) * 2000-07-06 2003-12-31 주식회사 대흥산업 복합 시트 방수재와 그 방수재를 이용한 방수방법
KR100875893B1 (ko) * 2008-01-07 2008-12-26 김기태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0875897B1 (ko) * 2008-01-07 2008-12-26 김기태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963B1 (ko) * 2019-02-19 2019-08-09 주식회사 에이지엠코리아 방수성과 고내구성을 가지는 복합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102286256B1 (ko) * 2021-03-17 2021-08-09 (주)대림이엔씨 접합홀을 구비한 교면방수시트 및 그 시공방법
CN115387547A (zh) * 2022-09-28 2022-11-25 河南华瑞兴业防水科技有限公司 一种茂金属聚烯烃复合沥青防水卷材
CN115387547B (zh) * 2022-09-28 2024-04-26 河南华瑞兴业防水科技有限公司 一种茂金属聚烯烃复合沥青防水卷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3988A1 (en) A self-adhering sealing device with an adhesive sealant layer
CN102277945B (zh) 非乙烯基弹性地板产品及其制造方法
JP4716981B2 (ja) 改良された熱可塑性単層保護被膜
ES2718641T3 (es) Uso de una cinta adhesiva para revestir juegos de cables
KR101436550B1 (ko) 복합방수시트
KR101532175B1 (ko) 비노출용 양면 점착형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비노출용 아스팔트 복합방수공법
US20110197427A1 (en) Water-tight membrane
KR102082921B1 (ko) 방수방근용 복합 시트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18082B1 (ko) 양면샌드 방수시트 및 저융점 개질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CN106715111A (zh) 密封膜上的阻挡层
CN103080250B (zh) 粘附增强的密封膜
KR101179226B1 (ko) 열가소성폴리올레핀과 개질아스팔트를 결합한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복합 방수 공법
WO2014043439A1 (en) Waterproof membranes
JP2001241118A (ja) 防水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防水工法
KR20120028434A (ko) 분리방지용 부직포와 이를 구비한 방수시트 및 복합방수공법
KR20100004042U (ko) 교면방수용 자착식교면시트및 이를 이용한 교면 방수공법
KR101179227B1 (ko) 무용제아스팔트도막재와 티피오시트를 이용한 친환경 적층 복합방수 공법
KR100879077B1 (ko) 아스팔트계 점착성 다층 시트와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이용한 방수공법
WO2019185459A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pre-formed bituminous waterproofing membrane
CN212534559U (zh) 一种基于降黏阻燃型非固化橡胶沥青的防水卷材
KR20030028286A (ko) 고분자 합성수지 복합방수시이트, 그 제조방법과 그것을이용한 시공방법
JPH091672A (ja) 遮水シートの接合方法
CN202658735U (zh) 一种高强度自粘聚合物改性沥青防水卷材
KR20150074401A (ko)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WO2022067012A1 (en) Roofing composites with integrated selvage ed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