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991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991B1
KR101178991B1 KR1020110101927A KR20110101927A KR101178991B1 KR 101178991 B1 KR101178991 B1 KR 101178991B1 KR 1020110101927 A KR1020110101927 A KR 1020110101927A KR 20110101927 A KR20110101927 A KR 20110101927A KR 101178991 B1 KR101178991 B1 KR 101178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light
moving prism
light module
switch device
se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호준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1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8Operating part movable both angularly and rectilinearly, the rectilinear movement being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angular mov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8Optical grid, collimator or microlou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작 노브와 함께 이동하는 무빙 프리즘에 조명광 모듈을 결합하여 무빙 프리즘과 조명광 모듈이 조작 노브와 함께 일체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작 노브의 조작시 무빙 프리즘을 통해 조명광이 계속해서 외부로 출사되기 때문에, 다수개의 선택 모드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조명 램프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계속해서 조작 노브의 조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부품 개수의 절감으로 인해 더욱 컴팩트한 스위치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 Assembly}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작 노브와 함께 이동하는 무빙 프리즘에 조명광 모듈을 결합하여 무빙 프리즘과 조명광 모듈이 조작 노브와 함께 일체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작 노브의 조작시 무빙 프리즘을 통해 조명광이 계속해서 외부로 출사되기 때문에, 다수개의 선택 모드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조명 램프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계속해서 조작 노브의 조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으며,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부품 개수의 절감으로 인해 더욱 컴팩트한 스위치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은 경우,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가 사용되며, 또한 특정 기능에 대한 단순 온/오프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푸시 버튼 방식의 스위치 장치 등이 사용되고, 특정 기능에 대한 강약 단계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다이알 방식으로 회전하는 다이알 방식의 로터리 스위치 장치 등이 사용된다.
이러한 스위치 장치는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성이나 구조적인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장착되는데, 일반적으로 운전자 내지 탑승자의 조작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스위치 장치의 조작 상태에 따라 해당 선택 모드에 조명광이 출사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최근에는 변속 레인지를 선택하는 변속 레버 스위치 등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로터리 스위치 방식으로 구성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스위치 장치의 케이스에 다수개의 선택 모드가 시각적으로 표시되고, 케이스 내부에는 각 선택 모드에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조명 램프가 장착되며, 조작 노브를 통해 사용자가 특정 선택 모드를 선택하면, 해당 조명 램프가 작동하며 현재 조작된 선택 모드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선택 모드가 많을수록 더 많은 조명 램프가 필요하여 제조 비용의 상승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구조를 달성하기가 어려워 공간 활용에 제한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 조명 램프의 빛이 누광되거나 선택 모드 사이 구간에서 음영이 발생하는 등의 이유로 현재 조작 상태를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게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작 노브와 함께 이동하는 무빙 프리즘에 조명광 모듈을 결합하여 무빙 프리즘과 조명광 모듈이 조작 노브와 함께 일체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작 노브의 조작시 무빙 프리즘을 통해 조명광이 계속해서 외부로 출사되기 때문에, 다수개의 선택 모드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조명 램프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계속해서 조작 노브의 조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개의 조명 램프를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조명광 모듈만 장착하여 조작 노브의 조작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부품 개수의 절감으로 인해 더욱 컴팩트한 스위치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선택 모드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다수개의 선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이동 조작되는 조작 노브; 상기 조작 노브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조작 노브에 의해 선택된 선택 모드를 지시하는 무빙 프리즘; 및 상기 무빙 프리즘을 통해 조명광이 외부로 출사되도록 상기 무빙 프리즘의 일측에 결합되어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조명광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광 모듈은 상기 무빙 프리즘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별도의 연결 단자가 실장되는 메인 PCB 기판이 장착되고, 상기 조명광 모듈은 LED 램프; 상기 LED 램프가 실장되는 서브 PCB 기판; 및 상기 서브 PCB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메인 PCB 기판의 연결 단자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단자와 접속 단자를 연결하는 와이어는 별도의 가이드 튜브에 삽입 관통되는 형태로 위치 가이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무빙 프리즘은 상기 조명광 모듈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 지지부; 상기 조명광 모듈의 조명광이 통과하도록 상기 결합 지지부로부터 상기 조명광 모듈의 조명광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조명광 가이드부; 및 상기 선택 모드를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광 가이드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선택 지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빙 프리즘의 조명광 가이드부는 상기 조명광 모듈의 조명광이 상기 선택 지시부로 집중되는 광 경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노브와 함께 이동하는 무빙 프리즘에 조명광 모듈을 결합하여 무빙 프리즘과 조명광 모듈이 조작 노브와 함께 일체로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작 노브의 조작시 무빙 프리즘을 통해 조명광이 계속해서 외부로 출사되기 때문에, 다수개의 선택 모드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조명 램프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계속해서 조작 노브의 조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수개의 조명 램프를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조명광 모듈만 장착하여 조작 노브의 조작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부품 개수의 절감으로 인해 더욱 컴팩트한 스위치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사용 태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 대한 조립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성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무빙 프리즘 및 조명광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또 다른 사용 태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사용 태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에 대한 조립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내부 구성 중 일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무빙 프리즘 및 조명광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10)는 다수개의 선택 모드(110)를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스위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다이얼 회전하는 방식으로 조작되는 로터리 스위치 방식이나 또는 직선 이동하는 방식으로 조작되는 레버 스위치 방식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와, 조작 노브(200)와, 무빙 프리즘(300)과, 조명광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는 기어 변속 레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로터리 스위치 방식의 기어 변속 스위치 장치가 도시되는데, 이 경우, 다수개의 선택 모드(110)가 표시되는 로터리 방식의 스위치 장치(10)가 하우징(20)의 일측에 외부 노출되게 장착되며, 타측에는 매뉴얼 모드에서 변속 레인지를 단계적으로 증감 변속할 수 있는 매뉴얼 변속 레버(30)가 장착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수개의 선택 모드(110)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변속단(D), 중립단(N), 후진 변속단(R)과 같이 3개 모드로 구성되거나 또는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속 주행 변속단(DM), 주행 변속단(D), 중립단(N), 후진 변속단(R), 저속 후진 변속단(RM)과 같이 5개 모드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선택 모드(110)에 대한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예시적인 사용 태양을 나타낸 것으로, 이외에도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먼저, 이와 같은 로터리 방식의 스위치 장치에 대해 도 2 내지 도 5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케이스(1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며, 일측에는 다수개의 선택 모드(11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 변속 레인지에 대한 선택 모드(110)가 형성될 수 있다.
조작 노브(2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케이스(100)에 장착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다수개의 선택 모드(11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방식의 스위치인 경우, 조작 노브(200)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 조작되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조작 노브(200)의 회전 조작에 의해 다수개의 선택 모드(110)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무빙 프리즘(300)은 조작 노브(200)와 함께 이동하도록 케이스(100)에 장착되며, 조작 노브(200)에 의해 선택된 선택 모드(110)를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모드(110)가 DM-D-N-R-RM의 5개로 구성된 상태에서, 조작 노브(200)가 회전 조작되면, 조작 노브(200)와 함께 무빙 프리즘(300)이 동시에 회전하며 5개의 선택 모드(110)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선택한 선택 모드(110)가 어느 것인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조명광 모듈(400)은 무빙 프리즘(300)을 통해 조명광이 외부로 출사되도록 무빙 프리즘(3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조명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조명광 모듈(400)은 무빙 프리즘(300)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무빙 프리즘(300)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 노브(200)를 회전 또는 직선 이동 방식 등으로 조작하게 되면, 조작 노브(200)와 함께 무빙 프리즘(300)이 동시에 이동하고, 아울러 무빙 프리즘(300)에 결합된 조명광 모듈(400) 또한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조명광 모듈(400)의 조명광이 무빙 프리즘(300)을 통해 계속해서 외부로 출사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조작 노브(200)의 조작 상태는 사용자에게 계속해서 양호하게 인식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무빙 프리즘(300)과 일체로 이동하는 하나의 조명광 모듈(400)을 통해 연속적으로 조명광을 외부로 출사시키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달리 다수개의 선택 모드(110)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조명 램프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계속해서 조작 노브(200)의 조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조명 램프를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조명광 모듈(400)만 장착하면 되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부품 개수의 절감으로 인해 더욱 컴팩트한 스위치 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차량 내부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케이스(100) 내부에는 각종 부품의 전원 공급 및 동작 제어를 위해 메인 PCB 기판(500)이 장착되는데, 이러한 메인 PCB 기판(500)에는 조명광 모듈(40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별도의 연결 단자(510)가 실장된다.
조명광 모듈(400)은 LED 램프(410)와, LED 램프(410)가 실장되는 서브 PCB 기판(420)과, 서브 PCB 기판(420)에 실장되어 메인 PCB 기판(500)의 연결 단자(510)와 와이어(600)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LED 램프(410)는 일반 조명 램프로 적용될 수도 있으나, 전력 절감 및 광도 향상을 위해 LED 램프(410)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조명광 모듈(400)은 서브 PCB 기판(420)에 LED 램프(410)와 연결 단자(510)가 실장된 상태로 무빙 프리즘(300)에 결합된다.
따라서, 무빙 프리즘(300)과 함께 조명광 모듈(400)이 일체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무빙 프리즘(300)에는 무빙 프리즘(300)의 조작 위치와 무관하게 조명광 모듈(400)의 조명광이 계속 출사된다. 이때, 메인 PCB 기판(500)의 연결 단자(510)와 조명광 모듈(400)의 접속 단자(430)가 와이어(600)로 연결되기 때문에, 조명광 모듈(400)이 무빙 프리즘(300)과 함께 이동하게 되면, 이러한 이동에 의해 와이어(600)가 꼬이는 현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와이어(600)의 꼬임 방지를 위해 연결 단자(510)와 접속 단자(430) 사이에는 별도의 가이드 튜브(610)가 구비되고, 와이어(600)는 가이드 튜브(610)를 삽입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꼬임 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무빙 프리즘(300)은 조명광 모듈(400)의 조명광이 외부로 출사될 수 있도록 빛이 통과하는 재질로 형성되며, 조명광 모듈(400)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 지지부(310)와, 상기 조명광 모듈(400)의 조명광이 통과하도록 결합 지지부(310)로부터 조명광 모듈(400)의 조명광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조명광 가이드부(320)와, 선택 모드(110)를 지시할 수 있도록 조명광 가이드부(3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선택 지시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무빙 프리즘(300)은 적어도 선택 지시부(330)가 조작 노브(2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조작 노브(200)와 결합된다.
결합 지지부(310)는 조명광 모듈(400)이 용이하게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일측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바닥면에는 조명광 모듈(400)의 서브 PCB 기판(420)을 고정시키는 별도의 고정 후크(311)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광 가이드부(320)는 결합 지지부(310)로부터 조명광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이러한 조명광 가이드부(320)의 일측에 선택 지시부(330)가 돌출 형성되어 조작 노브(2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조명광 가이드부(320)는 결합 지지부(310)에 삽입 결합된 조명광 모듈(400)의 LED 램프(410)로부터 발생되는 조명광이 입사되도록 LED 램프(410)의 연직 상부에 배치되며, 입사된 조명광이 선택 지시부(330)로 집중되는 광 경로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광 가이드부(320)는 선택 지시부(3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만곡지게 형성되어 조명광 모듈(400)의 조명광이 이를 통해 선택 지시부(330)로 집중 유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명광 가이드부(320)는 중간 구간에서 2개 경로로 분할되도록 형성되어 선택 지시부(330)의 특정 영역에 더욱 많은 조명광이 집중 유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 노브(200)를 회전 조작하게 되면, 무빙 프리즘(300)과 조명광 모듈(400)이 함께 이동하며 조명광이 외부 출사되는 상태로 계속해서 현재의 선택 모드(110)를 지시하게 된다. 즉, 도 5의 (a),(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노브(200)의 회전 조작에 따라 무빙 프리즘(300) 및 조명광 모듈(400)이 동시에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조명광 모듈(400)의 조명광은 중간 차단되는 과정없이 계속해서 무빙 프리즘(300)을 통해 외부로 출사되므로, 사용자는 현재의 선택 모드(110)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조명광 모듈(400)과 메인 PCB 기판(5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와이어(600)는 별도의 가이드 튜브(610)에 삽입 가이드됨으로써, 무빙 프리즘(300) 및 조명광 모듈(400)의 이동시에도 그 꼬임이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또 다른 사용 태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또 다른 사용 태양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6에는 직선 이동 조작되는 레버 타입의 스위치 장치에 적용되는 형태가 도시되고, 도 7에는 회전 이동 조작되는 또 다른 로터리 방식의 스위치 장치에 적용되는 형태가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는 기어 변속 스위치로서, 케이스(100)의 일측에 기어 변속 레인지를 표시하는 선택 모드(110)가 표시되고, 조작 노브(200)는 이러한 케이스(100)에 직선 이동 방식으로 조작되도록 결합되며, 무빙 프리즘(300)은 조작 노브(200)의 일측에 외부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선택 모드(110)를 지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6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노브(200)가 직선 이동 조작되면, 무빙 프리즘(300)이 함께 이동하며 선택 모드(110)를 지시하게 된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무빙 프리즘(300)의 일측에 조명광 모듈(400)이 일체로 이동하도록 결합되며, 이에 따라 조작 노브(200)의 조작시 계속해서 무빙 프리즘(300)을 통해 조명광이 출사된다. 따라서, 각 선택 모드(110)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조명 램프가 없이도 무빙 프리즘(300)과 함께 이동하는 조명광 모듈(400)을 통해 현재의 조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스위치 장치는 스티어링 칼럼(40)의 일측에 장착되는 레버 스위치에 적용되는 형태로서, 스티어링 칼럼(40)에 케이스(100)가 결합되고, 케이스(100)의 일측에 다수개의 선택 모드(110)가 표시되며, 조작 노브(200)는 이러한 케이스(100)에 회전 조작 가능한 형태로 결합된다. 조작 노브(200)의 일측에는 다수개의 선택 모드(110)를 지시할 수 있도록 무빙 프리즘(300)이 외부 노출되게 장착되며, 무빙 프리즘(300)은 조작 노브(200)와 함께 회전 이동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무빙 프리즘(300)과 함께 회전 이동하도록 조명광 모듈(400)이 장착되며, 이를 통해 조작 노브(200)의 회전 조작시 계속해서 조명광 모듈(400)의 조명광이 무빙 프리즘(300)을 통해 외부로 출사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선택 모드(110)에 대응되는 다수개의 조명 램프가 없이도 무빙 프리즘(300)과 함께 이동하는 조명광 모듈(400)을 통해 현재의 조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식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스위치 장치 100: 케이스
110: 선택 모드 200: 조작 노브
300: 무빙 프리즘 400: 조명광 모듈
500: 메인 PCB 기판 600: 와이어
610: 가이드 튜브

Claims (5)

  1. 다수개의 선택 모드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어 다수개의 선택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이동 조작되는 조작 노브;
    상기 조작 노브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조작 노브에 의해 선택된 선택 모드를 지시하는 무빙 프리즘; 및
    상기 무빙 프리즘을 통해 조명광이 외부로 출사되도록 상기 무빙 프리즘의 일측에 결합되어 조명광을 발생시키는 조명광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조명광 모듈은 상기 무빙 프리즘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는 별도의 연결 단자가 실장되는 메인 PCB 기판이 장착되고,
    상기 조명광 모듈은
    LED 램프;
    상기 LED 램프가 실장되는 서브 PCB 기판; 및
    상기 서브 PCB 기판에 실장되어 상기 메인 PCB 기판의 연결 단자와 와이어로 연결되는 접속 단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단자와 접속 단자를 연결하는 와이어는 별도의 가이드 튜브에 삽입 관통되는 형태로 위치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리즘은
    상기 조명광 모듈이 삽입 결합되는 결합 지지부;
    상기 조명광 모듈의 조명광이 통과하도록 상기 결합 지지부로부터 상기 조명광 모듈의 조명광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조명광 가이드부; 및
    상기 선택 모드를 지시할 수 있도록 상기 조명광 가이드부의 일측에 돌출 형성되는 선택 지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리즘의 조명광 가이드부는 상기 조명광 모듈의 조명광이 상기 선택 지시부로 집중되는 광 경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110101927A 2011-10-06 2011-10-06 스위치 장치 KR101178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927A KR101178991B1 (ko) 2011-10-06 2011-10-06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927A KR101178991B1 (ko) 2011-10-06 2011-10-06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8991B1 true KR101178991B1 (ko) 2012-08-31

Family

ID=46888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927A KR101178991B1 (ko) 2011-10-06 2011-10-06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9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941B1 (ko) 2013-09-24 2015-03-16 주식회사 대동 자동차의 스위치 어셈블리 및 자동차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포함된 인디게이터
KR102263770B1 (ko) * 2020-03-02 2021-06-11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회전형 표시등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552A (ja) 1999-05-20 2000-11-30 Yazaki Corp スイッチ照明構造
JP2007194079A (ja) 2006-01-19 2007-08-02 Canon Inc 照明付スイッチ操作装置
JP2008311056A (ja) 2007-06-14 2008-12-25 Sumitomo Wiring Syst Ltd 表示装置
KR101065088B1 (ko) 2004-10-29 2011-09-16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스위치 인디케이터 조명용 조명램프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1552A (ja) 1999-05-20 2000-11-30 Yazaki Corp スイッチ照明構造
KR101065088B1 (ko) 2004-10-29 2011-09-16 한라공조주식회사 자동차용 공조스위치 인디케이터 조명용 조명램프 전원공급장치
JP2007194079A (ja) 2006-01-19 2007-08-02 Canon Inc 照明付スイッチ操作装置
JP2008311056A (ja) 2007-06-14 2008-12-25 Sumitomo Wiring Syst Ltd 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941B1 (ko) 2013-09-24 2015-03-16 주식회사 대동 자동차의 스위치 어셈블리 및 자동차의 스위치 어셈블리에 포함된 인디게이터
KR102263770B1 (ko) * 2020-03-02 2021-06-11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회전형 표시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1425B2 (ja) 車両室内意匠の発光構造
JP5878721B2 (ja) 照明部を有する自動車用マルチファンクションスイッチ
KR20110046445A (ko) 차량 제어 패널의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대응하는 제어 패널
KR20100006834U (ko) 시트 온도 조절 스위치 장치
CN104002645B (zh) 车辆和用于车辆的车窗遮阳板组件
JP4735983B2 (ja) 車室内用照明装置
KR101178991B1 (ko) 스위치 장치
JP5866978B2 (ja) 車両のシフト操作装置
JP2008047370A (ja) プッシュ式スイッチ、及びこれを含む複合スイッチ
KR101857369B1 (ko) 차량용 룸램프 장치
WO2011118769A1 (ja) スイッチ付き照明ユニット
KR100691765B1 (ko) 자동차 공조패널의 중공스위치
JP2004210019A (ja) 車両空調用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CN107298048B (zh) 汽车照明系统
JP2883870B1 (ja) 自動車用ランプユニット
KR200468483Y1 (ko)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101645187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콘트롤러
JP2009255646A (ja) 変速操作装置
JPH0355986Y2 (ko)
CN216010591U (zh) 一种大按钮式后顶灯总成
KR100721236B1 (ko) 이중 부위 조명 타입 로타리 스위치를 구비한 차량용전장품
CN219446733U (zh) 触摸式换挡器及汽车
JP5218936B2 (ja) ダイヤル式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WO2017175593A1 (ja) 操作装置の照明構造
JP2008276983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