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240B1 -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 - Google Patents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240B1
KR101178240B1 KR1020100075255A KR20100075255A KR101178240B1 KR 101178240 B1 KR101178240 B1 KR 101178240B1 KR 1020100075255 A KR1020100075255 A KR 1020100075255A KR 20100075255 A KR20100075255 A KR 20100075255A KR 101178240 B1 KR101178240 B1 KR 101178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hypotenuse
pin
main body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1497A (ko
Inventor
서동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엠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엠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엠티에스
Priority to KR1020100075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240B1/ko
Publication of KR20120021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ortable power-driven percussive tools
    • B25D17/08Means for retaining and guiding the tool bit, e.g. chucks allowing axial oscillation of the tool b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22/00Materials of the tool or the workpiece
    • B25D2222/72Stone, rock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에 결합된 치즐 고정용 스톱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압 브레이커의 치즐을 고정시키는 치즐핀과 결합되는 스톱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본체(1)에 형성된 제1끼움공(10)에 결합되는 것이며, 내주면에 요철(G)가 형성된 제1결합공(60)이 내부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1돌기(61)가 다수 형성된 제1부재(6)와, 상기 제1부재(6)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2돌기(82)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요철(G)이 형성된 제2결합공(80)이 형성된 제2부재(8)로 구성되는 본체(2); 상기 본체(2)의 제1 및 제2결합공(60,80)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요철(G)가 형성되고 내측에 고정용 홈(46)이 형성된 내부체(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질의 제1부재가 스톱핀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전단에 형성된 홈부에 의해서 접촉면적이 감소됨으로써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경도가 높은 제2부재의 치차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MULTIPLE LAYER PIN PLUG}
본 발명은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브레이커의 본체에 결합되는 치즐핀 또는 스톱핀 등 각종 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압 브레이커는 굴삭기의 아암에 버켓 대신에 설치되어 토목 공사나 건물 기초 공사에서 암석 파쇄, 말뚝 박기 등에 사용되는 작업기의 일종이다.
도 1은 종래 유압 브레이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유압 브레이커의 구조를 살펴보면, 피스톤이 설치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치즐(100')과, 상기 본체(1')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케이스(2')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케이스(2')의 하부면에는 상기 치즐(100')이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2')의 내부로 삽입 설치되는 본체의 저면과 하단 외주면에 측면 및 하부 방진판(5')이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피스톤은 본체(1')에 공급되는 유압 및 가스에 의해 상하 왕복 운동을 반복하며, 이에 종동되어 치즐(100')이 대상물을 타격하게 된다.
도 2는 종래 유압 브레이커에서 치즐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측면도, 도 4는 평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1') 내에 치즐(100')이 결합되는데, 상기 치즐(100')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본체(1')의 측면에 형성된 끼움공(미도시)에 복수개의 치즐핀(3')이 끼워지고, 상기 치즐핀(3')이 치즐(100')의 양측 상부홈(102')에 끼워져 거치되도록 한다.
이후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즐핀(3')이 이탈되지 않도록 본체(1')의 양측에 스톱핀(7')을 끼워 치즐핀(3')의 양단부를 막아 차단시킨다.
이후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톱핀(7')이 삽입되는 끼움공에는 플러그(9')를 결합시켜 밀봉시킨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플러그(9')가 유압 브레이커의 잦은 진동 및 충격과 열화, 오일에 의한 변형에 의해 결합력이 저하되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플러그(9')의 이탈에 의해 스톱핀(7') 및 치즐핀(3')까지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압브레이커의 본체에 결합되는 치즐핀 또는 스톱핀을 비롯한 각종 고정용 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결합되는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 브레이커의 바디에 형성된 끼움공에 결합되어 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내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1결합공이 내부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1돌기가 다수 형성된 제1부재와, 상기 제1외부체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2돌기가 형성되고 내주면에 요철이 형성된 제2결합공이 형성된 제2부재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제1 및 제2결합공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고정용 홈이 형성된 내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우레탄 또는 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경도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재는 제2부재 보다 경도가 약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끼움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돌기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체는 금속재질 또는 강성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재질은 철 또는 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합성수지재질은 엠씨 나일론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돌기는 단면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돌기는 단면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되 수직변과 빗변이 만나는 부위가 둥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돌기와 제2돌기는 단면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질의 제1부재가 스톱핀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전단에 형성된 홈부에 의해서 접촉면적이 감소됨으로써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경도가 높은 제2부재의 치차 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유압 브레이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 유압 브레이커에서 치즐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종래 유압 브레이커에서 치즐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종래 유압 브레이커에서 치즐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통상의 유압 브레이커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에 적용되는 '플러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에 적용되는 '플러그'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상기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에 적용되는 '플러그'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에 적용되는 '플러그'의 다른 실시에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통상의 유압 브레이커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에 적용되는 '플러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에 적용되는 '플러그'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상기 도 7의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에 적용되는 '플러그'의 일부를 확대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 브레이커에 적용되는 '플러그'의 다른 실시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유압 브레이커는, 바디(1) 내에 삽입되는 치즐(100); 상기 치즐(100)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바디(1)의 측면에 형성된 제2끼움공(12)에 결합되어 치즐(100)의 양측 상부홈(102)에 끼워지는 치즐핀(3); 상기 치즐핀(3)이 빠져나오지 않도록 바디(1)에 형성된 제1끼움공(10)에 결합되는 스톱핀(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톱핀(7)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제1끼움공(10)에 플러그(A)가 결합되어 밀봉처리된다.
한편 통상의 유압 브레이커에는 상기한 치즐핀(3), 스톱핀(7) 외에도 고정력을 발휘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핀이 결합될 수 있고, 이 핀이 결합된 끼움공에는 밀봉을 위해 본 발명의 플러그(A)가 결합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주로 스톱핀(7)이 결합되는 제1끼움공(10)에 결합되는 플러그(A)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도 적용 가능한 것임을 밝혀둔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플러그(A)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A)는,
제1결합공(60)이 내부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1돌기(61)가 다수 형성된 제1부재(6)와, 상기 제1부재(6)의 후단과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2돌기(82)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2결합공(80)이 형성된 제2부재(8)로 구성되는 본체(2);
상기 본체(2)의 제1 및 제2결합공(60,80)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요철(G)이 형성되고 내측에 고정용 홈(46)이 형성된 내부체(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끼움공(10)에 플러그(A)가 결합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본체(2)의 제2돌기(82)가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102)이 형성됨으로써 플러그(A)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부재(6)와 제2부재(8)가 분리된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본체(2)는 전방의 제1부재(6)와 후방의 제2부재(8)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부재(6,8)는 제1끼움공(10)에 결합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특히 제1끼움공(10)과 억지끼움이 가능하도록 약간의 탄성을 갖는 우레탄 또는 고무재질이 바람직하고, 내유성을 갖는 재질이면 더욱 좋다.
또한 상기 제1부재(6)와 제2부재(8)는 경도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특히 제1부재(6)는 제2부재(8) 보다 경도가 약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제1부재(6)는 경도 50~60이고, 제2부재(8)는 경도 65~95이다.
상기 제1 및 제2부재(6,8)는 경도가 상이한 재질이므로 몰드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가 되도록 제작된다.
즉 몰드(미도시)에 내부체를 넣고, 경질의 원료를 주입하여 제2부재(8)를 성형하되 경화되기 전에 연질의 제1부재(6)의 원료를 주입하여 동시에 경화시킴으로써 일체가 되도록 성형시킨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부재(6)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돌기(61)는 단면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된다.
즉, 제1돌기(61)는 제1부재(6)가 제1끼움공(10)에 삽입될때는 빗변(ℓ1)이 제1끼움공(10)의 내주면을 타고 삽입되고, 일단 삽입된 후에는 잘 빠지지 않는 마찰력을 갖게 된다.
제1돌기(61)의 빗변(ℓ1)과 대향변인 제1부재(6)의 외면이 이루는 각도(α), 즉 끼임각(α)은 약 15~30°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부재(6)의 전단면에는 오목하게 홈부(22)가 형성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부재(8)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2돌기(82)는 제2부재(8)의 외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빗변(ℓ2)과, 상기 빗변(ℓ2)의 끝부분에서 수직되게 형성되어 제2부재(8)의 외면에 연결되는 수직변(V)으로 형성되어 단면이 삼각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제2부재(8)의 외면과 수직변(V)이 이루는 각도(β)는 약 70~90°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돌기(82)는 빗변(ℓ2)과 수직변(V)이 만나는 끝부분이 둥근형태 또는 사선형태로 깍여져 모따기부(823)가 형성된다.
따라서 경도가 높은 제2부재(8)가 제1끼움공(10)에 삽입될때는 제2돌기(82)의 끝부분이 제1끼움공(10) 부분에 형성된 나사산(102)에 강제 결합됨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돌기(61)와 제2돌기(82)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빗변이 전방, 즉 제1끼움공(10)을 향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돌기(61')와 제2돌기(82')가 상호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돌기(61')는 빗변이 후방을 향하도록 하여 형성되고, 제2돌기(82')는 빗변이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결합공(60,80)에는 내부체(4)가 결합되는데, 상기 내부체(4)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결합공(60,80)의 내주면에 오목한 요홈과 볼록한 돌부가 연속 형성되어 이루어진 요철(G)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체(4)는 형상 변화가 거의 없도록 강도를 갖는 금속재질 또는 강성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재질은 철 또는 알루미늄이 바람직하고, 합성수지재질은 엠씨 나일론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러그(A)를 제1끼움공(10)에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키면 강성을 갖는 내부체(4)가 심재 역할을 하게 되므로 재질이 연한 본체(2)가 내측으로 수축되는 폐단을 방지할 수 있어 결합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내부체(4)의 일단에는 고정용 홈(46)이 형성되는데 상기 고정용 홈(46)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용 홈(46)에 볼트(미도시)를 결합시킨 후 이 결합된 볼트를 공구로 협지한 후 잡아당김으로써 플러그(A)를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내부체(4)는 본체(2)의 길이에 대해 1/2 정도의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내부체(4)의 외주면에 다수의 요홈과 돌부로 구성된 요철(G)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부재(6)와 제2부재(8)의 내주면에서는 상기 내부체(4)의 요철(G)에 대응하는 요철(G)이 형성된다.
따라서 요철(G) 간의 결합에 의해 제1 및 제2결합공(60,80)에 결합된 내부체(4)의 결합력이 견고해질 수 있다.
물론 요철(G)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은 반원형으로만 한정될 필요는 없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의 하부로부터 치즐(100)을 결합하고, 일측면의 제2끼움공(12)을 통해 다수의 치즐핀(3)을 결합시킨 후 상기 치즐핀(3)이 이탈되지 않도록 타측면의 제1끼움공(10)을 통해 스톱핀(7)을 결합시킨다.
이후 상기 스톱핀(7)이 결합된 제1끼움공(10)에 플러그(A)를 결합시켜 밀봉시킨다.
즉, 플러그(A)를 제1끼움공(10) 내에 밀어 넣되, 외부에서 공구를 이용하여 타격시키면서 강제로 억지끼움시킨다.
이렇게 압입된 플러그(A)는 치즐(100)의 타격에 의해 발생된 진동이 스톱핀(7) 또는 치즐핀(3)을 통해 플러그(A)에 직접 전달되나 연질의 제1부재(6)에 의해 충격이 흡수될 수 있고, 또한 본체(2)의 전단에 형성된 홈부(22)에 의해서 접촉면적이 감소됨으로써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경도가 높은 제2부재(8)의 제2돌기(82)가 제1끼움공(10)의 나사산(102)에 물려져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A)의 헐거워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플러그(A)를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고정용 홈(46)에 볼트를 결합시킨 후 이 볼트를 공구로 협지한 채 잡아당겨 빼내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본체 4 : 내부체
6 : 제1부재 8 : 제2부재
10 : 끼움공 60 : 제1결합공
61 : 제1돌기 80 : 제2결합공
82 : 제2돌기

Claims (7)

  1. 유압 브레이커의 바디에 형성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제1끼움공에 결합되어 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에 있어서,
    제1결합공이 내부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1돌기가 다수 형성된 제1부재와, 상기 제1부재의 후단과 일체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2돌기가 형성되고 내부에 제2결합공이 형성된 제2부재로 구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제1 및 제2결합공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내측에 고정용 홈이 형성된 내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결합공의 내주면에도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돌기는 단면이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돌기의 빗변이 상기 제1끼움공을 향하도록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제1돌기의 빗변이 제2돌기의 빗변과 대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와 제2부재는 경도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부재는 연질재이며, 제2부재는 경질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는 경도 50~60이고, 제2부재는 경도 65~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기의 빗변과 제1부재의 외면이 이루는 각도는 15~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기는
    제2부재의 외면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빗변과, 상기 빗변의 끝부분에서 수직되게 형성되어 제2부재의 외면에 연결되는 수직변을 포함하며,
    상기 빗변과 수직변이 만나는 끝부분이 둥근형태 또는 사선형태로 깍여져 모따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의 외면과 수직변이 이루는 각도는 7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
KR1020100075255A 2010-08-04 2010-08-04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 KR101178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255A KR101178240B1 (ko) 2010-08-04 2010-08-04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255A KR101178240B1 (ko) 2010-08-04 2010-08-04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497A KR20120021497A (ko) 2012-03-09
KR101178240B1 true KR101178240B1 (ko) 2012-08-29

Family

ID=4612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255A KR101178240B1 (ko) 2010-08-04 2010-08-04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2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825B1 (ko) 2015-12-17 2017-01-13 권오흥 유압브레이카용 프런트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773B1 (ko) * 2020-06-08 2022-01-27 디앤에이중공업 주식회사 유압브레이커의 치즐핀 고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065Y1 (ko) 1999-12-29 2000-06-01 박재유 나사 체결용 인서트
JP2002089527A (ja) 2000-09-18 2002-03-27 Reliance Inc プラグ部材
KR200364534Y1 (ko) * 2004-07-26 2004-10-15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품조립용 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핀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4065Y1 (ko) 1999-12-29 2000-06-01 박재유 나사 체결용 인서트
JP2002089527A (ja) 2000-09-18 2002-03-27 Reliance Inc プラグ部材
KR200364534Y1 (ko) * 2004-07-26 2004-10-15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부품조립용 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핀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825B1 (ko) 2015-12-17 2017-01-13 권오흥 유압브레이카용 프런트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497A (ko) 201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7919B1 (ko) 치즐 고정장치
JP6162530B2 (ja) 防振装置
JP5581539B2 (ja) 油圧ブレーカ
KR101178240B1 (ko) 다층구조의 핀 플러그
KR101038197B1 (ko) 치즐 고정구조를 갖는 유압브레이커
BR102016016899B1 (pt) Mecanismo de trava para um sistema de retenção de membro de desgaste para um implemento
KR102279468B1 (ko) 댐퍼 구조물
CN203098710U (zh) 一种保护式减震器
JP4662783B2 (ja) まくら木
KR101026130B1 (ko) 유압 브레이커
KR101141539B1 (ko) 치즐 고정장치
KR100893827B1 (ko) 치즐 고정장치
KR101753798B1 (ko) 브레이커
KR101545943B1 (ko) 유압브레이커용 치즐고정장치
KR101297132B1 (ko) 유압브레이커의 위치고정장치
EP2657390B1 (en) Packing spacer for washing machines with preset collapsible portion
JPS61188089A (ja) 打撃装置と支持ユニツトとから成る装置
KR101061454B1 (ko) 무한궤도 차량용 슈패드 어셈블리
KR200352134Y1 (ko) 브레이커의 방진구
KR101532364B1 (ko) 유압브레이카 프런트헤드에 장착되는 고정스톱핀 없는 치즐 핀
KR101581370B1 (ko) 충격완화 장치가 구비된 유압브레이커
KR101262818B1 (ko) 가구용 탄성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하는 가구
KR102355773B1 (ko) 유압브레이커의 치즐핀 고정장치
JP6998837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1695825B1 (ko) 유압브레이카용 프런트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