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199B1 -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중공 성형체 및 용기 - Google Patents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중공 성형체 및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199B1
KR101178199B1 KR1020117027052A KR20117027052A KR101178199B1 KR 101178199 B1 KR101178199 B1 KR 101178199B1 KR 1020117027052 A KR1020117027052 A KR 1020117027052A KR 20117027052 A KR20117027052 A KR 20117027052A KR 101178199 B1 KR101178199 B1 KR 101178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erture
clamped
hollow molded
aroun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537A (ko
Inventor
사다키 야마모토
가즈유키 오기
Original Assignee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듀폰-미츠이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7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29C33/14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against the mould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336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 B29C2045/1445Coating a portion of the article, e.g. the edge of the article injecting a part onto a blow moulded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6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friction, e.g. spin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81Bottles of non-circular cross-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수지 성형 장치(200)는, 용기 형상의 본체부와 원통 형상의 구경부(2)를 가지는 중공 성형체를 구경부(2)의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다. 구경부(2)의 주위에는, 수지 성형 장치(200)의 금형(11, 12)의 구경 협지부(13, 14)에 의해 협지되는 피협지부(4)가 형성되어 있다.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은 비원형이다.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은,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금형(11, 12)을 서로 접근시켜서 조합함과 함께 구경 협지부(13, 14)가 피협지부(4)를 협지할 때에, 구경 협지부(13, 14)가 피협지부(4)를 가압함으로써 중공 성형체를 회전운동시켜, 그 회전 각도를 보정한다.

Description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중공 성형체 및 용기{RESIN MOLDING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MOLDING, HOLLOW MOLDING, AND CONTAINER}
본 발명은,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중공 성형체 및 용기에 관한 것이다.
각종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수지에 의해 구성된 중공 성형체(인너 셀)의 외측에 수지 외장체(아우터 셀)를 오버 몰드 성형한 수지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이러한 용기는, 인너 셀과 아우터 셀을 서로 다른 재료에 의해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인너 셀에는 내식성을 요구하고, 아우터 셀에는 기계 강도를 요구하는 등, 피수용물의 특성에 따른 용기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중공 성형체의 외측에 수지 외장체를 오버 몰드 성형함에 있어서는, 금형에 대한 중공 성형체의 흔들림을 억제한 상태에서 행할 필요가 있다.
또, 중공 성형체 및 수지 외장체의 각각에 방향의 지향성이 있는 경우에는, 금형 및 수지 외장체에 대한 중공 성형체의 방향을 정하여 오버 몰드 성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중공 성형체가 두꺼운 방향과 얇은 방향을 가지고 있는 등 그 형상에 방향의 지향성이 있거나, 혹은 중공 성형체의 특정 부분에 장식이 되어 있는 경우에, 수지 외장체도 방향의 지향성이 있는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수지 외장체에도 특정 부분에 장식을 하는 경우에, 그와 같은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중공 성형체의 구경부(口頸部)는, 스크루 캡 등을 장착할 필요성 등에서, 원통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구경부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금형 및 수지 외장체에 대한 중공 성형체의 방향을 정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수지 성형 방법에서는, 중공 성형체의 구경부와 금형에 각각 나사 형상을 형성해 두고, 양자를 서로 나사 결합함으로써 중공 성형체를 금형에 장착하여 오버 몰드 공정에 제공한다.
국제공개 제2008/010597호 팜플렛 국제공개 제2008/010600호 팜플렛
그러나,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수지 성형 방법에서는, 금형에 대한 중공 성형체의 장착 또는 금형으로부터 중공 성형체를 떼어냄에 있어서, 중공 성형체 또는 성형 후의 용기를 회전시켜서, 구경부를 금형에 나사 결합 또는 금형으로부터 탈리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중공 성형체 또는 성형 후의 용기를 회전시키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또, 중공 성형체의 구경부에 형성된 나사 형상의 위치나 나사의 토크에는 불균일이 있기 때문에, 오버 몰드 성형시에 있어서의 금형(및 수지 외장체)에 대한 중공 성형체의 각도 정밀도와 그 재현성을 충분히 얻기 위해서는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오버 몰드 성형시에 있어서의 중공 성형체의 흔들림를 용이하게 억제하고, 또한, 오버 몰드 성형시에 있어서의 금형 및 수지 외장체에 대한 중공 성형체의 각도 정밀도와 그 재현성을 용이하면서 또한 충분하게 얻는 것이 가능한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중공 성형체 및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용기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로 연통하는 원통 형상의 구경부를 가지는 중공 성형체를,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와,
서로 조합됨으로써, 상기 유지부에 의해 유지된 상기 중공 성형체의 적어도 상기 본체부를 포위하는 1세트의 금형과,
상기 1세트의 금형과 상기 중공 성형체 사이에 수지를 충전하여, 상기 중공 성형체의 외측에 수지 외장체를 오버 몰드 성형하는 수지 충전부를 가지고,
상기 중공 성형체는, 상기 구경부의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1세트의 금형 중 복수의 금형에 의해 협지되는 피협지부를 더 가지고,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피협지부의 외주(外周)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斷面)이 비원형이고,
상기 복수의 금형은, 상기 피협지부를 협지하는 구경 협지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복수의 금형의 상기 구경 협지부를 맞춘 내주 형상은, 상기 피협지부의 상기 외주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유지부에 의해 유지된 상기 중공 성형체의 회전 각도가 상기 축 주위에 있어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상기 피협지부의 주위에 각각 배치한 상기 1세트의 금형을 서로 접근시켜서 조합함과 함께 상기 구경 협지부가 상기 피협지부를 협지할 때에, 상기 구경 협지부가 상기 피협지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중공 성형체를 회전운동시켜, 상기 회전 각도를 상기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용기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로 연통하는 원통 형상의 구경부를 가지는 중공 성형체를,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1 공정과,
1세트의 금형을 상기 중공 성형체의 주위로부터 서로 접근시킴으로써 조합하고, 당해 1세트의 금형에 의해 상기 중공 성형체 중 적어도 상기 본체부를 포위하는 제2 공정과,
상기 1세트의 금형과 상기 중공 성형체 사이에 수지를 충전하여, 상기 중공 성형체의 외측에 수지 외장체를 오버 몰드 성형하는 제3 공정을 이 순서대로 행하고,
상기 중공 성형체는, 상기 구경부의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1세트의 금형 중 복수의 금형에 의해 협지되는 피협지부를 더 가지고,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피협지부의 외주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고,
상기 복수의 금형은, 상기 피협지부를 협지하는 구경 협지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복수의 금형의 상기 구경 협지부를 맞춘 내주 형상은, 상기 피협지부의 상기 외주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1세트의 금형을 서로 접근시켜서 조합함과 함께 상기 구경 협지부가 상기 피협지부를 협지할 때에, 상기 구경 협지부가 상기 피협지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중공 성형체를 회전운동시켜, 상기 회전 각도를 상기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용기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로 연통하는 원통 형상의 구경부와,
상기 구경부의 주위에 형성되어, 복수의 금형이 각각 가지는 구경 협지부에 의해 협지되는 피협지부를 가지고,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피협지부의 외주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면서, 또한, 상기 피협지부의 주위에 각각 배치된 상기 1세트의 금형이 서로 접근하여 조합됨과 함께 상기 구경 협지부가 당해 협지부를 협지할 때에, 당해 피협지부가 상기 구경 협지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당해 중공 성형체가 회전운동되어, 상기 복수의 금형에 대한 당해 중공 성형체의 회전 각도가 상기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되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체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용기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로 연통하는 원통 형상의 구경부와, 상기 구경부에 형성되어 캡이 장착되는 캡 장착부를 가지는 중공 성형체와,
적어도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당해 본체부와 일체로 설치된 수지 외장체를 구비하는 용기로서,
상기 구경부에 있어서 상기 캡 장착부 이외의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외주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임과 함께, 당해 일부분이 상기 수지 외장체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주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라는 제1 조건과,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특정 부분에 장식이 되어 있고, 당해 장식이 상기 수지 외장체를 통해 당해 용기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는 제2 조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조건과,
상기 수지 외장체의 외주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라는 제3 조건과, 상기 수지 외장체에는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특정 부분에, 당해 용기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장식이 되어 있다는 제4 조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 성형체를 구경부의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1세트의 금형을 중공 성형체의 주위로부터 서로 접근시켜서 조합할 때에, 그것들 중 복수의 금형의 구경 협지부에 의해 중공 성형체의 구경부의 피협지부를 협지하는 것만으로, 1세트 금형에 대한 중공 성형체의 회전 각도를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오버 몰드 성형시에 있어서의 중공 성형체의 흔들림를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오버 몰드 성형시에 있어서의 금형 및 수지 외장체에 대한 중공 성형체의 각도 정밀도와 그 재현성을 용이하면서 또한 충분하게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설명하는 적절한 실시형태, 및 그것에 부수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해진다.
도 1은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중공 성형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 중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중공 성형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오버 몰드 성형에 의해 제조된 수지 성형품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수지 성형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특히, 금형을 조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수지 성형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특히, 금형을 조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상태에서의 중공 성형체와 금형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상태에서의 중공 성형체와 금형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9는 수지 성형 장치의 유지부에 의해 중공 성형체를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수지 성형 장치의 금형의 구경 협지부의 평단면도로서, 이 중 (a)는 금형을 조합하기 전의 상태를, (b)는 금형을 조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1은 금형에 대한 중공 성형체의 회전 각도의 보정 동작을 나타내는 구경 협지부의 평단면도로서, 이 중 (a)는 초기의 동작을, (b)는 후기의 동작을, 각각 나타낸다.
도 12는 구경 협지부 및 피협지부의 변형예 1을 나타내는 평단면도로서, 이 중 (a)는 금형을 서로 접근시키는 상태를, (b)는 금형을 조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3은 구경 협지부 및 피협지부의 변형예 2를 나타내는 평단면도로서, 이 중 (a)는 금형을 서로 접근시키는 상태를, (b)는 금형을 조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4는 구경 협지부 및 피협지부의 변형예 3을 나타내는 평단면도로서, 이 중 (a)는 금형을 서로 접근시키는 상태를, (b)는 금형을 조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5는 구경 협지부 및 피협지부의 그 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16은 오버 몰드 성형시의 수지의 흐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중공 성형체(100)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 중 도 1(a)는 정면도, 도 1(b)는 측면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오버 몰드 성형에 의해 제조된 용기(15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수지 성형 장치(200)를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이 중 도 5는 금형(11, 12)을 조합하기 전의 상태, 도 6은 금형(11, 12)을 조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7은 도 5의 상태에서의 중공 성형체(100)와 금형(11, 12)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8은 도 6의 상태에서의 중공 성형체(100)와 금형(11, 12)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9는 수지 성형 장치(200)의 유지부(15)에 의해 중공 성형체(100)를 유지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수지 성형 장치(200)의 금형(11, 12)의 구경 협지부(13, 14)의 평단면도로서, 이 중 (a)는 금형(11, 12)을 조합하기 전의 상태를, (b)는 금형(11, 12)을 조합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1은 금형(11, 12)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의 보정 동작을 나타내는 구경 협지부(13, 14)의 평단면도로서, 이 중 (a)는 초기의 동작을, (b)는 후기의 동작을,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수지 성형 장치(200)는, 용기 형상의 본체부(1)와, 본체부(1) 내로 연통하는 원통 형상의 구경부(2)를 가지는 중공 성형체(100)를, 구경부(2)의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15)를 가지고 있다. 수지 성형 장치(200)는, 또한, 서로 조합됨으로써, 유지부(15)에 의해 유지된 중공 성형체(100)의 적어도 본체부(1)를 포위하는 1세트의 금형[예를 들면, 한 쌍의 금형(11, 12)]을 가지고 있다. 수지 성형 장치(200)는, 또한, 1세트의 금형과 중공 성형체(100) 사이에 수지를 충전하고, 중공 성형체(100)의 외측에 수지 외장체(110)를 오버 몰드 성형하는 수지 충전부(16)를 가지고 있다. 중공 성형체(100)는, 구경부(2)의 주위에 형성되어, 1세트의 금형 중 복수의 금형[예를 들면, 한 쌍의 금형(11, 12)]에 의해 협지되는 피협지부(4)를 더 가지고 있다.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은, 구경부(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다. 복수의 금형은, 피협지부(4)를 협지하는 구경 협지부(13, 14)를 각각 가지고, 복수의 금형의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은,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유지부(15)에 의해 유지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가 축 주위에 있어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피협지부(4)의 주위에 각각 배치한 1세트의 금형을 서로 접근시켜서 조합함과 함께 구경 협지부(13, 14)가 피협지부(4)를 협지할 때에, 구경 협지부(13, 14)가 피협지부(4)를 가압함으로써 중공 성형체(100)를 회전운동시켜, 회전 각도를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한다.
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은, 용기 형상의 본체부(1)와, 본체부(1) 내로 연통하는 원통 형상의 구경부(2)를 가지는 중공 성형체(100)를, 구경부(2)의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1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이 제조 방법은, 1세트의 금형[예를 들면, 한 쌍의 금형(11, 12)]을 중공 성형체(100)의 주위로부터 서로 접근시킴으로써 조합하고, 당해 1세트의 금형에 의해 중공 성형체(100)의 적어도 본체부(1)를 포위하는 제2 공정을 포함한다. 또한, 이 제조 방법은, 1세트의 금형과 중공 성형체(100) 사이에 수지를 충전하고, 중공 성형체(100)의 외측에 수지 외장체(110)를 오버 몰드 성형하는 제3 공정을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공정은 이 순서대로 행한다. 중공 성형체(100)는, 구경부(2)의 주위에 형성되어, 1세트의 금형 중 복수의 금형[예를 들면, 한 쌍의 금형(11, 12)]에 의해 협지되는 피협지부(4)를 더 가지고 있다.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은, 구경부(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다. 복수의 금형은, 피협지부(4)를 협지하는 구경 협지부(13, 14)를 각각 가지고, 복수의 금형의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은,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제2 공정에서는, 1세트의 금형을 서로 접근시켜서 조합함과 함께 구경 협지부(13, 14)가 피협지부(4)를 협지할 때에, 구경 협지부(13, 14)가 피협지부(4)를 가압함으로써 중공 성형체(100)를 회전운동시켜, 회전 각도를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한다.
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중공 성형체(100)는, 용기 형상의 본체부(1)와, 본체부(1) 내로 연통하는 원통 형상의 구경부(2)와, 구경부(2)의 주위에 형성되고, 복수의 금형[예를 들면, 한 쌍의 금형(11, 12)]이 각각 가지는 구경 협지부(13, 14)에 의해 협지되는 피협지부(4)를 가지고 있다.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은, 구경부(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다.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은, 피협지부(4)의 주위에 각각 배치된 1세트의 금형이 서로 접근하여 조합됨과 함께 구경 협지부(13, 14)가 당해 피협지부(4)를 협지할 때에, 당해 피협지부(4)가 구경 협지부(13, 14)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당해 중공 성형체(100)가 회전운동되어, 복수의 금형에 대한 당해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가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되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용기(150)는, 용기 형상의 본체부(1)와, 본체부(1) 내로 연통하는 원통 형상의 구경부(2)와, 구경부(2)에 형성되어 캡[예를 들면, 스크루 캡(도시 생략)]이 장착되는 캡 장착부[예를 들면, 돌출부(27)]를 가지는 중공 성형체(100)와, 적어도 본체부(1)의 외측에 당해 본체부(1)와 일체로 설치된 수지 외장체(110)를 구비한다. 구경부(2)에 있어서 캡 장착부 이외의 적어도 일부분[피협지부(4)]의, 구경부(2)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외주 형상은, 구경부(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다. 당해 일부분이 수지 외장체(110)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용기(150)는, 이하의 제1 조건과 제2 조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조건과, 제3 조건과 제4 조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제1 조건은, 본체부(1)의 외주 형상은 구경부(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라는 조건이다. 제2 조건은, 본체부(1)에는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특정 부분에 장식이 되어 있고, 당해 장식이 수지 외장체(110)를 통해 당해 용기(150)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는 조건이다. 제3 조건은, 수지 외장체(110)의 외주 형상은 구경부(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라는 조건이다. 제4 조건은, 수지 외장체(110)에는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특정 부분에, 당해 용기(150)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장식이 되어 있다는 조건이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중공 성형체(1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중공 성형체(100)는, 용기 형상의 본체부(1)와, 이 본체부(1) 내로 연통하는 원통 형상의 구경부(2)를 가지고 있다. 이 구경부(2)의 선단의 개구(3)는, 중공 성형체(100)의 외부 공간으로 연통되어 있다.
구경부(2)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면, 스크루 형상의 돌출부(27)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7)이 도시 생략한 스크루 캡의 내주에 형성된 스크루 홈과 나사 결합함으로써, 당해 스크루 캡에 의해 구경부(2)의 개구(3)를 폐색(閉塞)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중공 성형체(100)는, 오버 몰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용기(150)(도 4)의 인너 셀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이 중공 성형체(100)에는, 각종 피수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그 피수용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체, 기체, 고체 중 어느 것이어도 되고, 구체예로서는, 화장수, 약품, 음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공 성형체(100)의 재질은, 수지인 것이 바람직한 일례이나, 용도에 따라, 그 외의 재질(예를 들면, 금속, 유리 등)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구경부(2)의 외주면에 있어서, 돌출부(27)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 즉, 캡 장착부 이외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피협지부(4)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피협지부(4)는, 후술하는 1세트의 금형[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면, 한 쌍의 금형(11, 12)(도 5 내지 도 8)]이 각각 가지는 구경 협지부(13, 14)(도 7)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이다.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은, 구경부(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원형 이외)으로 되어 있다[피협지부(4)의 외주 전체 형상이 원통형 이외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은, 금형(11, 12)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가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피협지부(4)의 주위에 각각 배치된 금형(11, 12)이 서로 접근하여 조합됨과 함께 구경 협지부(13, 14)가 피협지부(4)를 협지할 때에, 피협지부(4)가 구경 협지부(13, 14)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중공 성형체(100)가 회전운동되어, 복수의 금형(11, 12)에 대한 당해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가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되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의 상세는 후술한다.
또, 피협지부(4)에 있어서, 회전운동시에 구경 협지부(13, 14)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는 모따기되어 있다. 즉, 구경부(2)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피협지부(4)의 능선(6)은 모따기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상세한 것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은, 그 단면이, 예를 들면, 정육각형(대략 정육각형)이다. 이 경우, 피협지부(4)의 외주의 6개의 능선(6)이 각각 모따기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협지부(4)는, 예를 들면, 구경부(2)의 기단부(基端部), 즉, 구경부(2)에 있어서의 본체부(1) 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협지부(4)가 돌출부(27)와 간섭하지 않고, 또, 스크루 캡의 장착의 방해도 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 피협지부(4)의 외주면에는,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주회하는 고리 형상의 홈(5)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중공 성형체(100)의 외측에 아우터 셀로서의 수지 외장체(110)를 오버 몰드 성형함으로써, 용기(150)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용기(150)의 디자인상, 당해 용기(150)를 박형화하고 싶다는 요구도 있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의 경우, 본체부(1)에는, 구경부(2)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두꺼운 방향(외경이 큰 직경인 방향)과 얇은 방향(외경이 작은 직경인 방향)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X 방향이 두꺼운 방향이고, Y 방향이 얇은 방향이다. 마찬가지로, 수지 외장체(110)에도 두꺼운 방향과 얇은 방향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이와 같이, 본체부(1) 및 수지 외장체(110)에는 두꺼운 방향과 얇은 방향이 있기 때문에,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수지 외장체(110)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방향(회전 각도)이 소정의 방향(각도)으로 정해져 있다. 즉, 본체부(1)의 두꺼운 방향과 수지 외장체(110)의 두꺼운 방향이 일치하고 있음과 함께, 본체부(1)의 얇은 방향과 수지 외장체(110)의 얇은 방향이 일치하고 있다.
단, 본체부(1) 및 수지 외장체(110)에 두꺼운 방향과 얇은 방향이 있는 형상에 한하지 않고, 이하의 제1 조건과 제2 조건 중 적어도 일방의 조건과, 제3 조건과 제4 조건 중 적어도 일방의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에는,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수지 외장체(110)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를 소정의 각도로 설정한다. 제1 조건은, 본체부(1)의 외주 형상은 구경부(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예를 들면, 정사각기둥 형상 등)이라는 조건이다. 제2 조건은, 본체부(1)에는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특정 부분에 장식이 되어 있고, 당해 장식이 수지 외장체(110)를 통하여 용기(150)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는 조건이다. 예를 들면, 수지 외장체(110)를 투명 수지에 의해 구성하면, 본체부(1)의 장식을 수지 외장체(110)를 통하여 용기(150)의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제3 조건은, 수지 외장체(110)의 외주 형상은 구경부(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라는 조건이다. 제4 조건은, 수지 외장체(110)에는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특정 부분에, 용기(150)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장식이 되어 있다는 조건이다. 수지 외장체(110)의 외면에 장식을 하면, 수지 외장체(110)의 장식을 용기(150)의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다. 본체부(1) 및 수지 외장체(110)의 장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착색, 또는, 오목면 혹은 볼록면의 가공에 의한 모양의 형성 등을 들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본체부(1)가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이고, 수지 외장체(110)도 원통 형상인 경우[본체부(1)와 수지 외장체(110)의 어느 형상에도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방향의 지향성이 없는 경우]이어도, 각각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특정 부분에 장식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지 외장체(110)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를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소정의 각도로 설정한다. 여기서,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특정 부분에 장식을 한다」는 것의 정의를 설명하면, 그 장식에 의해, 본체부(1) 또는 수지 외장체(110)에,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방향의 지향성이 생기도록 장식을 하는 것이,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특정 부분에 장식을 한다」는 것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주회하는 고리 형상의 장식을 하는 것은,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특정 부분에 장식을 한다」는 것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또, 예를 들면, 소정 패턴의 장식을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규칙적으로 배치하는 것도,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특정 부분에 장식을 한다」는 것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중공 성형체(100)의 피협지부(4)의 적어도 일부분(본 실시형태의 경우, 예를 들면, 일부분)은, 수지 외장체(110)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수지 외장체(110)는, 중공 성형체(100)의 외면에 밀착하여 당해 중공 성형체(100)를 덮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용기(150)의 외관 혹은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수지 외장체(110)는, 예를 들면, 고투명성의 합성수지인 것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의 수지 외장체(110)의 재료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오노머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혹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 등의 스티렌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재료 중, 내충격성이나 투명성, 의장성 등의 관점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이오노머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 외장체(110)는 외장체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내상처성의 관점에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오노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오노머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불포화 카르본산 함유가 1~40질량%의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기의 적어도 일부를 금속 이온으로 중화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오노머 수지의 베이스 폴리머가 되는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불포화 카르본산, 또한 임의의 다른 극성 모노머를 공중합체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금속 이온으로서는, 1~3가의 원자가를 가지는 금속 이온, 특히 원소 주기율표에 있어서의 IA, IIA, IIIA, IVA 및 III족의 1~3가의 원자가를 가지는 금속 이온을 들 수 있다.
한편, 중공 성형체(100)를 수지에 의해 구성하는 경우, 그 재료로서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혹은 폴리아미드 등의 수지 재료를 들 수 있고, 내용물의 시인성으로부터 투명성 합성수지가 적절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내열성이나 내충격성, 내식성, 장식성 등의 관점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융 온도의 높이로부터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아미드, 내식성의 높이로부터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혹은 상기 이오노머 수지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수지 재료에는, 광반사분을 혼합하여, 용기(150)의 장식성을 향상해도 된다. 또, 이들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된 수지층을 복수 조합한 적층 구조의 중공 성형체(100)이어도 상관없다.
중공 성형체(100)는, 예를 들면, 블로우 성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미리 2분할하여 사출 성형된 반할의 성형체를 서로 진동 융착해도 된다. 또한, 블로우 성형법이나 진동 융착법 대신, 다른 성형 방법에 의해 중공 성형체(100)를 제조해도 된다. 또, 중공 성형체(100)의 표면에는, 장식을 해도 된다. 또한, 스크루 캡(도시 생략)은, 중공 성형체(100)와 같은 재료로 성형해도 되고, 중공 성형체(100)와는 다른 재료로 성형해도 된다.
이와 같은 중공 성형체(100)와 수지 외장체(110)를 가지는 용기(150)의 제조는, 예를 들면, 이하에 설명하는 수지 성형 장치(200)를 사용하고, 후술하는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을 실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수지 성형 장치(200)의 개요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수지 성형 장치(200)는, 중공 성형체(100)의 외측에 수지 외장체(110)를 오버 몰드 성형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중공 성형체(100)는, 수지제인 것으로 하고, 수지 성형 장치(200)는, 수지제의 중공 성형체(100)를 사용한 오버 몰드 성형용의 장치인 것으로 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수지 성형 장치(200)는, 중공 성형체(100)를 유지하는 유지부(15)와, 한 쌍의 금형(11, 12)과, 수지 충전부(16)와, 내압 가스 공급부(17)와, 냉각액 공급부(18)와, 배출부(19)를 가지고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15)는, 중공 성형체(100)의 구경부(2)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삽입부(41)와, 구경부(2)의 선단이 부딪치게 되는 구경 충돌 금구(42)를 가지고 있다. 구경부(2)의 선단이 구경 충돌 금구(42)에 부딪칠 때까지 삽입부(41)를 구경부(2)보다 중공 성형체(100) 내에 넣음으로써, 유지부(15)가 중공 성형체(100)를 유지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삽입부(41)의 외주에는 O링(23)이 감입되어 있고, 삽입부(41)가 구경부(2) 내에 넣어지면, 당해 O링(23)이 구경부(2)의 내주면에 대하여 밀착되어, 오버 몰드 성형시에 있어서의 본체부(1) 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단, 유지부(15)에 의해 중공 성형체(100)를 유지한 상태에 있어서, 중공 성형체(100)가 삽입부(4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구경부(2)의 축 주위(도 9의 화살표 A방향 및 B방향)에 회전운동 가능하게 되는 정도의 밀착력으로, O링(23)은 구경부(2)에 밀착한다.
삽입부(41)의 선단부는, 노즐(24)을 구성하고 있다. 내압 가스 공급부(17)는, 구경 충돌 금구(42) 및 삽입부(41)의 내부를 통하여, 노즐(24)로부터 중공 성형체(100)의 본체부(1) 내에 내압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냉각액 공급부(18)는, 구경 충돌 금구(42) 및 삽입부(41)의 내부를 통하여, 노즐(24)로부터 중공 성형체(100)의 본체부(1) 내에 냉각액(예를 들면, 냉각수)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배출부(19)는, 중공 성형체(100) 내의 냉각액 및 내압 가스를 노즐(24)로부터 삽입부(41) 및 구경 충돌 금구(42)의 내부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압 가스의 공급 경로와, 냉각액의 공급 경로와, 이들 냉각액 및 내압 가스의 배출 경로는, 서로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내압 가스는, 오버 몰드 성형시에 중공 성형체(100)의 외측으로부터 중공 성형체(100)에 가해지는 수지 압력에 저항하기 위한 내압을 부여하는 것이다. 또, 냉각액은, 오버 몰드 성형시에 오버 몰드 성형 수지로부터 중공 성형체(100)에 가해지는 열에 의한 중공 성형체(100)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하여 공급된다. 또, 중공 성형체(100)로부터의 냉각액 및 내압 가스의 배출은, 중공 성형체(100) 내부의 압력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행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금형(11, 12)에는, 각각 캐비티(21, 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금형(11, 12)은, 도시 생략한 이동 기구에 의해, 서로 접근하는 방향(도 5의 화살표 C 방향, D 방향) 및 서로 멀어지는 방향(도 6의 화살표 G 방향, H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금형(11, 12)을 중공 성형체(100)의 양측에 배치한 상태로부터, 금형(11, 12)을 각각 화살표 C 방향, D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6과 같이 금형(11, 12)을 서로 조합하여, 유지부(15)에 의해 유지된 중공 성형체(100)의 본체부(1)를 캐비티(21, 22)에 의해 포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금형(11, 12)은, 예를 들면, 본체부(1)뿐만 아니라, 구경부(2)의 일부분도 포위한다(도 8 참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캐비티(21)는, 중공 성형체(100)에 있어서의 얇은 방향에 있어서의 절반부(100A, 100B)[도 1(b), 도 2 참조] 중, 일방의 절반부(100B)를 수용하고, 캐비티(22)는, 타방의 절반부(100A)를 수용하게 되어 있다.
금형(12)에는, 수지의 유로[이하, 수지 공급로(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지 공급로(26)는, 금형(12)의 외측과 캐비티(21, 22) 내를 연통시키는 경로로 설정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 수지 공급로(26)의 경로는, 예를 들면, 용기(150)의 바닥면에 상당하는 부위로부터 수지를 캐비티(21, 22) 내에 도입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수지 충전부(16)는, 수지 공급로(26)를 통하여, 캐비티(21, 22)의 내주면과 중공 성형체(100)의 외주면의 클리어런스[금형(11, 12)과 중공 성형체(100)의 사이]에, 수지 외장체(110)를 구성하는 수지를 충전한다(도 6 참조).
또, 금형(12)에는, 충전된 수지에 의해 압출되는 기체를 배출하기 위한 기체 배출로(28)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캐비티(21, 22) 내의 기체는, 당해 캐비티(21, 22) 내에 충전되는 수지의 수지압을 이용하거나, 혹는, 그 수지압뿐만 아니라 도시 생략한 흡인 수단에 의한 흡인력을 아울러 이용함으로써, 기체 배출로(28)를 통하여 캐비티(21, 22)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비티(21, 22) 내의 기체를 기체 배출로(28)을 통하여 배출함으로써, 캐비티(21, 22) 내에 있어서의 기체(기포)의 잔존율을 저감하여 수지의 충전율을 높일 수 있다.
한 쌍의 금형(11, 12)은, 구경부(2)의 피협지부(4)를 협동에 의해 협지하는 구경 협지부(13, 14)를 각각 가지고 있다. 한 쌍의 금형(11, 12)의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은,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유지부(15)에 의해 유지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가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피협지부(4)의 주위에 각각 배치한 한 쌍의 금형(11, 12)을 서로 접근시켜서 조합함과 함께 구경 협지부(13, 14)가 피협지부(4)를 협지할 때에, 구경 협지부(13, 14)가 피협지부(4)를 가압함으로써 중공 성형체(100)를 회전운동시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를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할 수 있도록, 각 구경 협지부(13, 14)의 내주 형상이 설정되어 있다. 이들 구경 협지부(13, 14)는, 금형(11, 12)에 있어서, 캐비티(21, 22)에 인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금형(11, 12)에 있어서, 구경 협지부(13, 14)에 인접하는 부위로서, 캐비티(21, 22) 측과는 반대측의 부위에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경부(2)에 있어서의 피협지부(4)보다 선단측의 부위를 협동에 의해 수용하는 구경 수용부(43, 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있어서는, 도면을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유지부(15)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금형(11, 12)에 있어서, 구경 수용부(43, 44)에 인접하는 부위로서, 구경 협지부(13, 14)와는 반대측의 부위에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경 충돌 금구(42)를 협동에 의해 수용하는 금구 수용부(45, 46)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구경 협지부(13, 14)와 피협지부(4)의 형상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의 단면도는, 구경부(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은, 구경부(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원형 이외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원형 이외의 형상의 예로서는, 다각형, 타원형, 장원형, 그 외, 여러가지 형상이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경우, 한 쌍의, 즉 2개의 금형(11, 12)을 조합하여 오버 몰드 성형을 행한다. 이 경우,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은, 예를 들면,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경 협지부(13, 14)에 의해 피협지부(4)를 협지한 상태에 있어서 구경 협지부(13, 14)끼리의 분할 경계를 이루는 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함에 따라 지름 확대하는 형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함에 따라 피협지부(4)의 직경(32)이 확대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 쌍의 금형(11, 12)의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은, 예를 들면,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경 협지부(13, 14)에 의해 피협지부(4)를 협지한 상태에 있어서, 이들 구경 협지부(13, 14)끼리의 분할 경계를 이루는 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함에 따라 지름 확대하는 형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함에 따라 구경 협지부(13, 14)의 개구(31)가 확대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과 구경 협지부(13, 14)의 내주 형상을 설정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형(11, 12)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가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피협지부(4)의 주위에 각각 배치한 금형(11, 12)을 서로 접근시켜서 조합하고, 구경 협지부(13, 14)에 의해 피협지부(4)를 협지할 때에, 구경 협지부(13, 14)가 피협지부(4)를 가압함으로써 중공 성형체(100)를 회전운동시켜, 금형(11, 12)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를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구경 협지부(13, 14)의 모서리(33)가 피협지부(4)의 외주면에 파고들지 않고, 구경 협지부(13, 14)의 내주면에 의해 피협지부(4)의 모서리(34)[능선(6)]를 도 11의 화살표 E 방향 및 F 방향, 즉 금형(11, 12)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를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하는 방향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경부(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정육각형이 되는 형상(즉 정육각통)으로 되어 있다. 또,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은,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경부(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내공 단면이 정육각형이 되는 형상(즉 정육각통)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각 구경 협지부(13, 14)의 내주 형상은,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피협지부(4)의 외주면 중,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는 3개의 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함에 따라 구경 협지부(13, 14)의 개구(31)와 피협지부(4)의 직경(32)이 넓어진다는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금형(11, 12)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가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어긋나 있는 경우에, 금형(11, 12)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를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할 수 있다.
또한, 구경부(2)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협지부(4)의 능선(6)은 모따기되어 있기 때문에, 피협지부(4)와 구경 협지부(13, 14)의 마찰을 저감하여, 이러한 보정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여기서, 구경 협지부(13, 14)와 피협지부(4)의 형상을,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3으로서 도 14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설정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서는, 금형(11, 12)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의 편차량, 및, 금형(11, 12)과 피협지부(4)의 클리어런스 여하에 따라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이유에서, 금형(11, 12)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를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것은,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과,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의 쌍방이, 구경부(2)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정육각형인 예이다. 단, 구경 협지부(13, 14)끼리의 분할 경계를 이루는 직선 내지 평면(30)은, 피협지부(4)의 외주의 6개의 변 중 대향하는 2변의 각각의 중점을 통과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이 경우,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은,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경 협지부(13, 14)에 의해 피협지부(4)를 협지한 상태에 있어서 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함에 따라 지름 확대된다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해도 개구(31)가 변화되지 않는 범위가 존재한다]. 마찬가지로,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은, 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경 협지부(13, 14)에 의해 피협지부(4)를 협지한 상태에 있어서 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함에 따라 지름 확대된다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해도 직경(32)이 변화되지 않는 범위가 존재한다]. 이 경우, 도 1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금형(11, 12)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가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어긋나 있으면, 피협지부(4)의 주위에 각각 배치한 금형(11, 12)을 서로 접근시킬 때에, 구경 협지부(13)의 모서리(33)가 피협지부(4)의 외주면에 파고드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금형(11, 12)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를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하는 것과는 역방향(도 14의 화살표 E 방향, F 방향)으로 중공 성형체(100)를 회전시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를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그뿐만 아니라, 중공 성형체(100)가 보정의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결과, 구경 협지부(13, 14)에 의해 피협지부(4)를 바르게[도 1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할 수 없어, 금형(11, 12)을 바르게 조합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구경 협지부(13, 14)와 피협지부(4)의 형상이 도 14에 나타내는 형상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금형(11, 12)과 피협지부(4)의 클리어런스를 가능한 한 크게 설정할 필요가 생긴다. 예를 들면, 이와 같이 클리어런스를 설정함으로써, 변형예 3(도 14)의 경우에도, 금형(11, 12)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를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할 수 있다. 구경 협지부(13, 14)의 내주 형상과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이 상기의 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과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이 각각 정육각형인 경우에 한하지 않고, 동일하게 말할 수 있다.
여기서,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과,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이 각각 다각형인 경우, 삼각형, 오각형 등, (2n+1)각형(n은 정의 정수)을 선택하면, 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함에 따라 구경 협지부(13, 14)의 개구(31)와 피협지부(4)의 직경(32)이 확대된다는 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다.
이 때문에,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과,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이 각각 다각형인 경우,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과,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으로서는, 예를 들면, 각각, 정사각형, 정육각형, 정팔각형 등, 정2(n+1)각형(n은 정의 정수)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내주 형상 및 외주 형상도,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다. 그리고, 구경 협지부(13, 14)의 각각의 내주 형상을,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피협지부(4)의 외주면 중,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는 (n+1)개의 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 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함에 따라 구경 협지부(13, 14)의 개구(31)와 피협지부(4)의 직경(32)이 확대된다는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1)에는 두꺼운 방향(X 방향)과 얇은 방향(Y 방향)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용기(150)의 박형화 등의 목적으로, 구경부(2)로부터의 피협지부(4)의 돌출량을 얇은 방향(Y 방향)에 있어서는 최대한 작게 억제하고 싶다는 요구가 생기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과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으로서, 정육각형을 선택한 경우에는, 도 2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돌출량을 실질적으로 없앨 수 있다. 왜냐하면, 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함에 따라 구경 협지부(13, 14)의 개구(31)와 피협지부(4)의 직경(32)이 확대된다는 상기 서술의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한 경우, 정육각형에 있어서의 2변이 본체부(1)의 얇은 방향(Y 방향)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1로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과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으로서, 예를 들면, 정사각형을 선택한 경우에, 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함에 따라 구경 협지부(13, 14)의 개구(31)와 피협지부(4)의 직경(32)이 확대된다는 상기 서술한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하면, 얇은 방향(Y) 및 두꺼운 방향(X)에 있어서의 구경부(2)로부터의 피협지부(4)의 돌출량이, 정육각형의 경우보다 커진다. 또,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 2로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과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으로서, 예를 들면, 정팔각형을 선택한 경우에, 상기 서술한 조건을 만족시키도록 하면, 얇은 방향(Y) 및 두꺼운 방향(X)에 있어서의 구경부(2)로부터의 피협지부(4)의 돌출량은, 정사각형의 경우보다는 작게 할 수 있지만, 정육각형의 경우와 비교하면 커진다. 왜냐하면, 도 12, 도 13의 어느 경우에도, 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함에 따라 구경 협지부(13, 14)의 개구(31)와 피협지부(4)의 직경(32)이 확대된다는 상기 서술한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하면, 본체부(1)의 얇은 방향(Y 방향)에 있어서, 정사각형, 정팔각형의 2변이 대향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의 것을 고려하면, 구경부(2)로부터의 피협지부(4)의 돌출량을 얇은 방향(Y 방향)에 있어서 최대한 억제하면서, 또한, 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함에 따라 구경 협지부(13, 14)의 개구(31)와 피협지부(4)의 직경(32)이 확대된다는 상기 서술한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하기 위해서는,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과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으로서, 정육각형, 정십각형, 정십이각형 등, 정2m(2n+1)각형(m, n은 정의 정수)을 선택하면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내주 형상 및 외주 형상도,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다. 그리고, 구경 협지부(13, 14)의 각각의 내주 형상을,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피협지부(4)의 외주면 중,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는 m(2n+1)개의 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 다각형상에 있어서의 2변을 본체부(1)의 얇은 방향(Y 방향)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대향시켜, 구경부(2)로부터의 피협지부(4)의 돌출량을 얇은 방향에 있어서 억제할 수 있다(실질적으로 0으로 할 수 있다). 단, 정2m(2n+1)각형 중에서는 가장 변의 수가 적은 육각형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피협지부(4)의 외형 치수가 동일한 조건이면, 변의 길이를 가장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금형(11, 12)에 의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의 보정 동작을 가장 확실하면서 또한 적절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과,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은, 다각형에 한하지 않는다. 다각형 외에는, 예를 들면, 그 외의 변형예로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원형[도 15(a)] 및 장원형[도 15(b)]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그 장축을 분할 경계로서 2분할 한 형상의 구경 협지부(13, 14)로 함으로써, 직선 내지 평면(30)으로 접근함에 따라 구경 협지부(13, 14)의 개구(31)와 피협지부(4)의 직경(32)이 확대된다는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구경 협지부(13, 14)를 맞춘 내주 형상과, 피협지부(4)의 외주 형상은, 그 외에도, 예를 들면, 다각형에 컷팅(36) 내지 돌출(37)이 형성된 형상[도 15(c)]이어도 되고, 타원 혹는 장원에 컷팅(36) 내지 돌출(37)이 형성된 형상[도 15(d)]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미리 제조된 중공 성형체(100)를 수지 성형 장치(200)의 유지부(15)에 의해 유지한다. 즉, 구경부(2)의 선단이 구경 충돌 금구(42)에 부딪칠 때까지 삽입부(41)를 구경부(2)보다 중공 성형체(100) 내에 넣는다. 이 넣는 동작은, 예를 들면, 도시 생략한 작업 로봇이 행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금형(11, 12)은 중공 성형체(100)의 양측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금형(11, 12)을 서로 접근시켜서 조합하고, 중공 성형체(100)를 캐비티(21, 22)에 의해 포위한다. 금형(11, 12)을 조합한 상태에서는, 도 8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경 협지부(13, 14)가 피협지부(4)의 외주를 따라 맞닿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중공 성형체(100)의 흔들림이 적절히 억제되어, 당해 축 주위에 있어서의 중공 성형체(100)의 각도를 재현성 좋게 고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유지부(15)에 의해 중공 성형체(100)를 유지한 단계에서는 금형(11, 12)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가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어긋나 있었을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경우,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경 협지부(13, 14)의 각각의 내주면에 의해 피협지부(4)의 모서리(34)로 들어가서,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피협지부(4)의 회전 각도, 나아가서는 중공 성형체(100) 전체의 회전 각도를 보정할 수 있다. 그 결과, 도 8 및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경 협지부(13, 14)가 피협지부(4)의 외주를 따라 맞닿은 상태가 된다. 또한, 이때, 구경 협지부(13, 14)의 내주면에 의해 피협지부(4)의 모서리(34)를 가압하기 때문에, 구경 협지부(13, 14)의 모서리(33)[도 11(a)]가 피협지부(4)의 외주면에 파고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경 협지부(13, 14)는, 피협지부(4)에 있어서, 홈(5)보다 구경부(2)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부분만을 협지한다. 이 때문에, 홈(5)은 캐비티(21, 22) 내에 수용된다.
다음으로, 수지 충전부(16)는, 수지 외장체(110)를 구성하는 수지를, 수지 공급로(26)(도 6)를 통해 캐비티(21, 22) 내에 충전한다. 여기서, 충전되는 수지는 고온임과 함께, 소정의 압력으로 캐비티(21, 22) 내에 공급된다. 이 때문에, 이 열 및 압력의 영향에 의한 중공 성형체(100)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하여, 수지의 충전 작업 중에는, 중공 성형체(100) 내에 내압 가스 및 냉각액을 공급한다. 즉, 내압 가스 공급부(17)에 의해 중공 성형체(100) 내에 내압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중공 성형체(100) 내의 압력을, 중공 성형체(100)에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저항할 수 있을 정도로 높임과 함께, 냉각액 공급부(18)에 의해 중공 성형체(100) 내에 냉각액을 공급함으로써, 중공 성형체(100)가 열 변형하지 않는 정도의 온도로 당해 중공 성형체(100)를 냉각한다. 또, 배출부(19)에 의해 내압 가스 및 냉각액을 중공 성형체(100) 내로부터 적당하게 배출함으로써, 중공 성형체(100)의 내압이 과도하게 높아지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중공 성형체(100)의 내압과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수지를 캐비티(21, 22)와 중공 성형체(100)의 클리어런스에 충전한다. 또한, 수지는, 본체부(1)의 주위로부터, 구경부(2)에 있어서 구경 협지부(13, 14)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으로부터 본체측(1) 부분의 주위에 걸쳐, 충전된다.
여기서, 도 16을 참조하여, 이러한 수지 충전 동작시에 있어서의 홈(5)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캐비티(21, 22) 내에 도입된 수지는, 도 16에 화살표 I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비티(21, 22)와 중공 성형체(100)의 클리어런스를 따라 유동하여, 구경부(2)의 근방에 도달한다. 여기서, 수지는, 본체부(1)의 어깨 부분에 있어서 예를 들어 캐비티(21)의 형상을 따라 우회한다. 이때에, 수지는 중공 성형체(100)의 어깨 부분의 근방 위치(51)에 충전되기 전에, 먼저, 상기 클리어런스를 따른 유동의 기세 그대로, 구경 협지부(13)의 근방 위치(52)를 향하여, 이 부분에 충전되는 경우도 있다. 그 결과, 수지는 구경 협지부(13)의 근방 위치(52)로부터 피협지부(4)의 주위를 따르도록 하여 화살표 J방향으로 되돌아와, 중공 성형체(100)의 어깨 부분의 근방 위치(51)을 향하여, 이 부분에 충전된다. 이와 같이, 중공 성형체(100)의 어깨 부분의 근방 위치(51)는, 가장 나중에 수지가 충전되는 경우도 있어서, 기포가 가장 잔류하기 쉬운 장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상정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협지부(4)에 있어서, 구경 협지부(13, 14)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보다 본체부(1) 측의 부분에, 홈(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공 성형체(100)의 어깨 부분의 근방 위치(51)보다 오히려 홈(5) 내에 기포가 잔류하기 쉬워진다. 반대로 말하면, 홈(5) 내에는, 가장 나중에 수지가 충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캐비티(21, 22) 내에 대략 수지의 충전을 끝낸 후에, 수지의 충전을 더 계속하면서, 기체 배출로(28)을 통하여 수지를 흡인 배출함으로써, 가령 홈(5) 내에 기포가 잔류하고 있어도, 이 기포를 화살표 K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홈(5)을 따라 이동시킨 후, 수지와 함께 캐비티(21, 22)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캐비티(21, 22) 내에 있어서의 수지의 충전율을 높일 수 있다.
또, 피협지부(4)에 홈(5)이 있는 것에 의해, 수지가 홈(5) 내로 들어가서, 중공 성형체(100)에 대한 수지 외장체(110)의 앵커 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중공 성형체(100)로부터의 수지 외장체(110)의 박리를 적절하게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이와 같이 수지를 캐비티(21, 22) 내에 충전한 후, 그 수지를 냉각 경화시킴으로써, 중공 성형체(100)의 외측에 수지 외장체(110)를 오버 몰드 성형할 수 있다. 즉, 본체부(1)로부터, 구경부(2)에 있어서 구경 협지부(13, 14)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보다 본체측(1)의 부분에 걸쳐, 수지 외장체(110)가 오버 몰드 성형된다. 또한, 기체 배출로(28) 및 수지 공급로(26) 내의 수지는, 수지 외장체(110)와 일체적으로 경화되어 러너(도시 생략)를 구성하지만, 그 러너는 절단 제거한다. 이상에 의해, 용기(150)를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공 성형체(100)를 구경부(2)의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한 쌍의 금형(11, 12)을 중공 성형체(100)의 주위로부터 서로 접근시켜서 조합할 때에, 한 쌍의 금형(11, 12)의 구경 협지부(13, 14)에 의해 구경부(2)의 피협지부(4)를 협지하는 것만으로, 한 쌍의 금형(11, 12)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회전 각도를 구경부(2)의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오버 몰드 성형시에 있어서의 중공 성형체(100)의 흔들림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오버 몰드 성형시에 있어서의 금형(11, 12) 및 수지 외장체(110)에 대한 중공 성형체(100)의 각도 정밀도와 그 재현성을 용이하면서 또한 충분히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금형(11, 12)을 사용하여 오버 몰드 성형을 행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금형의 수(분할 수)는 3 이상이어도 된다. 또, 구경 협지부를 가지는 금형도 한 쌍의 금형(11, 12)인 예를 설명하였으나, 3개 이상의 금형이 각각 구경 협지부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한, 금형의 수(분할 수)와 구경 협지부를 가지는 금형의 수와는 일치하고 있어도 되고, 금형의 수보다 구경 협지부를 가지는 금형의 수 쪽이 적어도 된다.
또한, 중공 성형체(100)가 수지가 아니라, 예를 들면, 금속 등, 오버 몰드 성형시의 열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재질인 경우에는, 수지 성형 장치(200)에는, 내압 가스 공급부(17), 냉각액 공급부(18) 및 배출부(19)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 출원은, 2009년 7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2009-166344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전부를 여기에 편입한다.

Claims (15)

  1. 용기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로 연통하는 원통 형상의 구경부를 가지는 중공 성형체를,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유지부와,
    서로 조합됨으로써, 상기 유지부에 의해 유지된 상기 중공 성형체의 적어도 상기 본체부를 포위하는 1세트의 금형과,
    상기 1세트의 금형과 상기 중공 성형체 사이에 수지를 충전하고, 상기 중공 성형체의 외측에 수지 외장체를 오버 몰드 성형하는 수지 충전부를 가지고,
    상기 중공 성형체는, 상기 구경부의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1세트의 금형 중 복수의 금형에 의해 협지되는 피협지부를 더 가지고,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피협지부의 외주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고,
    상기 복수의 금형은, 상기 피협지부를 협지하는 구경 협지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복수의 금형의 상기 구경 협지부를 맞춘 내주 형상은, 상기 피협지부의 상기 외주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유지부에 의해 유지된 상기 중공 성형체의 회전 각도가 상기 축 주위에 있어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상기 피협지부의 주위에 각각 배치한 상기 1세트의 금형을 서로 접근시켜서 조합함과 함께 상기 구경 협지부가 상기 피협지부를 협지할 때에, 상기 구경 협지부가 상기 피협지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중공 성형체를 회전운동시켜, 상기 회전 각도를 상기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금형은 한 쌍의 금형이고,
    상기 한 쌍의 금형의 상기 구경 협지부를 맞춘 내주 형상은, 상기 구경 협지부에 의해 상기 피협지부를 협지한 상태에 있어서 이들 구경 협지부끼리의 분할 경계를 이루는 직선에 접근함에 따라 지름 확대하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형의 상기 구경 협지부를 맞춘 내주 형상과,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피협지부의 외주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정2(n+1)각형(n은 정의 정수)이고,
    각 구경 협지부의 내주 형상은, 상기 축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피협지부의 외주면 중, 상기 축 주위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는 (n+1)개의 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두꺼운 방향과 얇은 방향이 있고,
    상기 한 쌍의 금형의 상기 구경 협지부를 맞춘 내주 형상과,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피협지부의 외주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정2m(2n+1)각형(m, n은 정의 정수)이고,
    각 구경 협지부의 내주 형상은, 상기 축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피협지부의 외주면 중, 상기 축 주위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는 m(2n+1)개의 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정2m(2n+1)각형에 있어서의 2변이 상기 얇은 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장치.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금형의 상기 구경 협지부를 맞춘 내주 형상과,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피협지부의 외주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정육각형이고,
    각 구경 협지부의 내주 형상은, 상기 축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피협지부의 외주면 중, 상기 축 주위에 있어서 서로 연속하는 3개의 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협지부는, 상기 구경부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부 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피협지부에는,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주회하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구경 협지부는, 상기 피협지부에 있어서, 상기 홈보다 상기 구경부에 있어서의 선단측의 부분을 협지하고,
    상기 수지 충전부는, 상기 본체부로부터, 상기 구경부에 있어서 상기 구경 협지부에 의해 협지되는 부분보다 상기 본체측의 부분에 걸쳐, 상기 수지 외장체를 오버 몰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 장치.
  7. 용기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로 연통하는 원통 형상의 구경부를 가지는 중공 성형체를,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제1 공정과,
    1세트의 금형을 상기 중공 성형체의 주위로부터 서로 접근시킴으로써 조합하고, 당해 1세트의 금형에 의해 상기 중공 성형체의 적어도 상기 본체부를 포위하는 제2 공정과,
    상기 1세트의 금형과 상기 중공 성형체 사이에 수지를 충전하고, 상기 중공 성형체의 외측에 수지 외장체를 오버 몰드 성형하는 제3 공정을 이 순서대로 행하고,
    상기 중공 성형체는, 상기 구경부의 주위에 형성되고, 상기 1세트의 금형 중 복수의 금형에 의해 협지되는 피협지부를 더 가지고,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피협지부의 외주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고,
    상기 복수의 금형은, 상기 피협지부를 협지하는 구경 협지부를 각각 가지고,
    상기 복수의 금형의 상기 구경 협지부를 맞춘 내주 형상은, 상기 피협지부의 상기 외주 형상을 따르는 형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1세트의 금형을 서로 접근시켜서 조합함과 함께 상기 구경 협지부가 상기 피협지부를 협지할 때에, 상기 구경 협지부가 상기 피협지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중공 성형체를 회전운동시켜, 상기 회전 각도를 상기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정에서는, 상기 구경 협지부의 내주면이 상기 피협지부의 모서리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중공 성형체를 회전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9. 용기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로 연통하는 원통 형상의 구경부와,
    상기 구경부의 주위에 형성되어, 복수의 금형이 각각 가지는 구경 협지부에 의해 협지되는 피협지부를 가지고,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피협지부의 외주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면서, 또한, 상기 피협지부의 주위에 각각 배치된 상기 복수의 금형이 서로 접근하여 조합됨과 함께 상기 구경 협지부가 당해 협지부를 협지할 때에, 당해 피협지부가 상기 구경 협지부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당해 중공 성형체가 회전운동되어, 상기 복수의 금형에 대한 당해 중공 성형체의 회전 각도가 상기 축 주위에 있어서 보정되는 형상으로 설정되고,
    상기 피협지부에는,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주회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협지부는, 한 쌍의 금형이 각각 가지는 상기 구경 협지부에 의해 협지되는 것이고,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상기 피협지부의 외주 형상은, 상기 피협지부가 상기 한 쌍의 금형의 상기 구경 협지부에 의해 협지된 상태에 있어서 이들 구경 협지부끼리의 분할 경계를 이루는 직선에 접근함에 따라 지름 확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정육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체.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협지부는, 상기 구경부에 있어서의 상기 본체부 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체.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협지부에 있어서 상기 회전운동시에 상기 구경 협지부에 의해 가압되는 부위는 모따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체.
  14. 용기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내로 연통하는 원통 형상의 구경부와,
    상기 구경부에 형성되어 캡이 장착되는 캡 장착부를 가지는 중공 성형체와,
    적어도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당해 본체부와 일체로 설치된 수지 외장체를 구비하는 용기로서,
    상기 구경부에 있어서 상기 캡 장착부 이외의 적어도 일부분의,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외주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임과 함께, 당해 일부분이 상기 수지 외장체로부터 노출되고,
    상기 본체부의 외주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라는 제1 조건과,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특정 부분에 장식이 되어 있고, 당해 장식이 상기 수지 외장체를 통해 당해 용기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는 제2 조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조건과,
    상기 수지 외장체의 외주 형상은 상기 구경부의 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단면이 비원형이라는 제3 조건과, 상기 수지 외장체에는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있어서의 특정 부분에, 당해 용기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장식이 되어 있다는 제4 조건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상기 구경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경부의 축 주위에 주회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15. 삭제
KR1020117027052A 2009-07-15 2010-07-01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중공 성형체 및 용기 KR101178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66344 2009-07-15
JP2009166344 2009-07-15
PCT/JP2010/004329 WO2011007515A1 (ja) 2009-07-15 2010-07-01 樹脂成形装置、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中空成形体及び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537A KR20120007537A (ko) 2012-01-20
KR101178199B1 true KR101178199B1 (ko) 2012-08-29

Family

ID=4344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052A KR101178199B1 (ko) 2009-07-15 2010-07-01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중공 성형체 및 용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20094045A1 (ko)
EP (1) EP2455206A1 (ko)
JP (1) JP4676036B2 (ko)
KR (1) KR101178199B1 (ko)
CN (1) CN102470582B (ko)
BR (1) BR112012000979A2 (ko)
WO (1) WO20110075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626A (ko) 2019-11-01 2019-11-13 (주)삼화피앤티 화장품 용기의 오버몰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0737A (ja) * 2010-11-08 2012-05-31 Yoshida Industry Co Ltd 多層化粧料容器
CN203706745U (zh) * 2014-01-27 2014-07-09 叶之谦 一种圆筒母线包覆材料用机头
TW201733558A (zh) * 2016-01-06 2017-10-01 賽諾菲阿凡提斯德意志有限公司 藥劑容器及其製造方法
JP6590458B2 (ja) * 2016-01-11 2019-10-16 ダイヤモンド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用点火コイル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7424A (ja) 2001-05-23 2004-09-09 カラー アクセ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プラスチック製被覆成形瓶
US20060201903A1 (en) 2003-05-28 2006-09-14 Fci, Inc. Plastic water bottle and apparatus and method to convey the bottle and prevent bottle rotation
WO2008010597A1 (en) 2006-07-19 2008-01-24 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Synthetic resin hollow bod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9212A (ja) * 1988-02-29 1990-05-29 Toyo Seikan Kaisha Ltd 把手付延伸ブロー成形容器の製法
JP3310369B2 (ja) * 1993-02-19 2002-08-05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液体用容器
FR2705272B1 (fr) * 1993-05-19 1995-07-28 Sidel Sa Procédé et agencement pour positionner angulairement un récipient ou une préforme de récipient sur un mandrin introduit dans le goulot de celui-ci, et mandrin et récipient associés.
US5498152A (en) * 1994-05-02 1996-03-12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Preform orientation apparatus
JPH08198388A (ja) * 1995-01-27 1996-08-06 Mitsubishi Heavy Ind Ltd 容器およびその容器把持装置
US6772799B1 (en) * 2003-03-21 2004-08-10 Coca-Cola Enterprises Inc. Bottle neck ring and method of its use in the processing of drinks
BRPI0714396A2 (pt) 2006-07-19 2013-04-02 Mitsui Du Pont Polychemical mÉtodo de fabricaÇço de corpo oco de resina sintÉtica
JP5101310B2 (ja) 2008-01-16 2012-12-19 株式会社羽根 発泡成形金型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発泡成形体の成形方法
JP4437833B2 (ja) * 2008-07-23 2010-03-24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樹脂成形装置、樹脂成形方法および樹脂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7424A (ja) 2001-05-23 2004-09-09 カラー アクセ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プラスチック製被覆成形瓶
US20060201903A1 (en) 2003-05-28 2006-09-14 Fci, Inc. Plastic water bottle and apparatus and method to convey the bottle and prevent bottle rotation
WO2008010597A1 (en) 2006-07-19 2008-01-24 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Synthetic resin hollow bod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7626A (ko) 2019-11-01 2019-11-13 (주)삼화피앤티 화장품 용기의 오버몰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07515A1 (ja) 2012-12-20
CN102470582A (zh) 2012-05-23
WO2011007515A1 (ja) 2011-01-20
CN102470582B (zh) 2014-07-02
BR112012000979A2 (pt) 2019-09-24
KR20120007537A (ko) 2012-01-20
JP4676036B2 (ja) 2011-04-27
US20120094045A1 (en) 2012-04-19
EP2455206A1 (en)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199B1 (ko) 수지 성형 장치,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중공 성형체 및 용기
KR101059936B1 (ko) 수지 성형장치, 수지 성형방법 및 수지 용기
CN105979877B (zh) 超声波探头及其射出成形方法
CN107577003B (zh) 光束控制部件、发光装置及光束控制部件的制造方法
KR20050039718A (ko) 단차부를 구비한 점안 용기
CN103424785A (zh) 塑料光学元件及其制造方法
CN103796820B (zh) 用于制造贴眼透镜或眼内透镜的铸模
US200600383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mposite product
US8585394B2 (en) Cooling sleeve with a support element
US20140069943A1 (en) Method for calibration of a pour opening of a plastic container produced in an extrusion-blow-molding method
JP2012121103A (ja) ドライバ用グリ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42685A (ja) 樹脂容器
JP2008006741A (ja) 合成樹脂製成形品の射出成形方法
AU2004293194A1 (en) Mold cavity structure
US20050134009A1 (en) Manufacturing apparatus of resin boot for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esin boot for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and resin boot for constant-velocity universal joint
JP5933367B2 (ja) 扁平ボトルのプリフォーム及び扁平ボトルの製造方法
RU2634884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нтейнера для содержания вещества, подлежащего выдаче безвоздушным насосом, и контейнер, полученный этим способом
CN209753678U (zh) 一种差速器齿轮轴向分流冷挤压成形装置
CN201023290Y (zh) 定位环
US11667064B2 (en) Method for producing a hollow injection-moulded part
JPH0686090B2 (ja) 圧力吸収パネルを備えた合成樹脂製瓶の成形方法と装置
JP5461063B2 (ja) 樹脂成型装置
CN211492554U (zh) 用于模内立体铝箔注塑的转移治具
US20180290287A1 (en) Hand-Held Tool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Hand-Held Tool
CN113071059B (zh) 转芯式双色注塑模及生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