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828B1 - 스프 밀착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스프 밀착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828B1
KR101177828B1 KR1020100073398A KR20100073398A KR101177828B1 KR 101177828 B1 KR101177828 B1 KR 101177828B1 KR 1020100073398 A KR1020100073398 A KR 1020100073398A KR 20100073398 A KR20100073398 A KR 20100073398A KR 101177828 B1 KR101177828 B1 KR 10117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n
soup
roller
bel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537A (ko
Inventor
진견영
Original Assignee
진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견영 filed Critical 진견영
Priority to KR1020100073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828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828B1/ko

Links

Images

Abstract

스프 밀착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스프 밀착이송장치는, 본체부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시일링부로 연이져 있는 다수 개의 스프를 양면에서 밀착하여 이송하는 피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주동공급벨트를 구동하도록 본체부에 설치되는 주동공급부와; 상기 주동공급벨트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동력전달부에 의하여 구동하는 피동공급벨트로 주동공급벨트와 함께 스프와 시일링부를 이송하는 피동공급부와; 상기 주동공급부와 피동공급부의 밀착 간격을 조절하여 스프와 시일링부에 최적의 이송 마찰력을 제공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프 밀착이송장치{SOUP CLOSE ADHERENCE AND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스프 밀착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되게 공급되는 스프를 양측에서 탄성적으로 긴밀하게 밀착하여 이송하므로 스프 이송을 유동이나 흐들림 없이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스프 밀착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국수를 증숙시킨 후 기름에 튀겨서 만든 유탕면에 분말 스프를 별첨한 인스턴트 건조식품으로 수분이 많은 식품에 비해 단위 중량당 영양분이 많으며, 튀긴 식품이므로 지방이 많아 120g당 약 500kcal의 열량을 내는 고칼로리 식품이다.
이러한 라면의 종류에는 봉지에 면과 스프가 같이 포장되어 소비자가 냄비에 스프를 넣어 직접 끓여서 먹는 봉지면과, 라면을 별도의 냄비에 끓이지 않고 용기에 담아 스프를 넣어주고 뜨거운 물만 부으면 조리되는 용기면이 있다.
이와 같이, 봉지면에는 양념을 건조시켜 비닐봉지에 넣어 포장된 스프가 각각 한개 씩 투입되어지고, 컨베이어로 라면을 이송하면서 라면면에 개별로 커팅되어 분리된 스프를 공급하고 포장하므로 봉지라면이 완성된다.
스프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긴 봉투에 단위 별로 라면 한개 분량의 양념을 투입하고, 연결 부위에 열을 가하여 시일링부를 융착 형성하여 각각 하나씩의 스프가 제조되는 것으로, 길이가 긴 상태로 연속 공급되는 스프와 시일링부에서 시일링부를 커팅기로 커팅하여 개별 분리된 스프를 하나씩 라면에 공급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에는 연속해서 공급되는 스프를 단위별로 커팅하여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라면에 공급하는 스프 공급기는 스프 및 시일링부가 저속으로 공급되므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스프와 시일링부를 양측에서 제대로 잡아주지 않아도 스프와 시일링부의 이송에는 지장이 없었다.
그러나, 종래의 저속 스프공급기보다 개선된 고속 스프공급기를 개발하는 경우, 고속으로 이송되는 스프와 시일링부를 양측에 긴밀하게 밀착하여 안정적으로 잡아주지 않으면 고속 이송을 인한 진동으로 흔들려서 스프와 시일링부의 이송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닌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본 발명은 고속으로 이송되는 스프와 시일링부를 양측에 긴밀하게 밀착하여 안정적으로 잡아주어 고속 이송을 인한 진동으로 흔들림을 방지하므로 스프와 시일링부의 이송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는 스프 밀착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프와 시일링부를 이송할 때, 주동공급벨트와 피공급벨트을 상호 당겨주어 밀착력을 갖는 스프 밀착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발명은 스프 및 시일링부를 밀착하여 이송하는 주동공급벨트와 피공급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스프 밀착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되는 다양한 사이즈의 스프 및 시일링부의 마크부 위치에 맞추어 마크감지센서의 위치를 전후좌우로 각각 효율적으로 조절하는 스프 밀착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는 본체부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시일링부로 연이져 있는 다수 개의 스프를 양면에서 밀착하여 이송하는 피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주동공급벨트를 구동하도록 본체부에 설치되는 주동공급부와; 상기 주동공급벨트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동력전달부에 의하여 구동하는 피동공급벨트로 주동공급벨트와 함께 스프와 시일링부를 이송하는 피동공급부와; 상기 주동공급부와 피동공급부의 밀착 간격을 조절하여 스프와 시일링부에 최적의 이송 마찰력을 제공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발생부는, 모터 또는 서보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발생부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 맞물려서 제1주동로울러와 제1피동로울러를 각각 구동시키는 피동풀리와;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를 구비하는 장력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동공급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주동공급벨트를 구동하는 제1주동로울러와; 상기 제1주동로울러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주동공급벨트에 의해 회동되는 제2주동로울러와; 상기 제1,제2주동로울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주동플레이트와; 상기 주동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주동공급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주동텐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주동텐션부는, 상기 주동공급벨트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로울러와; 상기 장력로울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주동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에서 상기 롤러축이 이동되도록 가압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가 나사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주동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동공급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피동공급벨트를 구동하는 제1피동로울러와; 상기 제1피동로울러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피동공급벨트에 의해 회동되는 제2피동로울러와; 상기 제1,제2피동로울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피동플레이트와; 상기 피동플레이트에 구비되어 피동공급벨트를 구동하는 제3피동로울러와; 상기 제2피동로울러에 설치되어 상기 피동공급벨트에 장력을 제공하는 피동텐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동텐션부는, 상기 제2피동로울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장력을 제공하는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피동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에서 상기 롤러축이 이동되도록 가압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가 나사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피동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에는 나사 체결되어 상기 고정체로 밀착되므로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주동플레이트와 피동플레이트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축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나사 체결되어 간격을 조절하는 나사조절축과; 상기 나사조절축의 끝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주동플레이트와 피동플레이트중 어느 타측에 구비된 걸이부에 걸려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딩부에는 시일링부에 의해 연속 공급되는 스프의 너비를 조절하도록 너비조절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너비조절부는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고, 조절용슬롯이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조절용슬롯에 좌우로 이동되게 결합되어 스프 및 시일링부의 양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조여지거나 풀려지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딩부의 유입 또는 배출 부분에는 상기 시일링부에 표시된 마크부를 감지하여 상기 커팅부에서 시일링부를 커팅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마크감지센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크감지센서부는, 상기 마크부를 감지하는 마크감지센서와; 상기 마크감지센서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지지하여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고정체와; 상기 제1고정체에 상기 지지체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타단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정체와; 상기 제2고정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체가 상기 연결봉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본체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체, 연결봉, 고정부재를 가압하거나 분리하도록 상기 제1,제2고정체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는 고속으로 이송되는 스프 및 시일링부를 양측에 긴밀하게 밀착하여 안정적으로 잡아주어 고속 이송을 인한 진동으로 흔들림을 방지하므로 스프 및 시일링부의 이송작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는 스프 및 시일링부를 이송할 때, 주동공급벨트와 피공급벨트을 상호 당겨주어 밀착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는 스프 및 시일링부를 밀착하여 이송하는 주동공급벨트와 피공급벨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는 이송되는 다양한 사이즈의 스프 및 시일링부의 마크부 위치에 맞추어 마크감지센서의 위치를 전후좌우로 각각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를 구비한 고속 스프공급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스프공급기의 두께검출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의 피딩부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피딩부의 주동텐션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피딩부의 피동텐션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너비조절부 및 위치조절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너비조절부 및 위치조절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스프공급기의 피딩부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스프공급기의 커팅부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스프공급기의 흡착당김부와 스프이송부를 보인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를 구비한 고속 스프공급기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를 설명하기 이전에 스프 밀착이송장치를 구비하는 고속 스프공급기를 우선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를 구비한 고속 스프공급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스프공급기의 두께검출부의 정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스프공급기의 커팅부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 스프공급기의 흡착당김부와 스프이송부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를 구비한 고속 스프공급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와,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속 스프공급기는, 본체부(4)에 구비되고, 진입로울러(40)에 의하여 이송되는 다수 개의 시일링부(32)로 연이져 있는 다수 개의 스프(30)를 공급하도록 회동축(54)에 의해 회전하는 공급로울러(50), 공급로울러(50)에서 공급되고, 피딩부(200)에 의해 이송된 스프(30)와 시일링부(32) 중에 스프(30)는 통과하고 시일링부(32)는 회전하는 커터(340)로 절단하는 커팅부(300), 커팅부(300)에 의한 시일링부(32)의 정확한 절단을 위해 시일링부(32)를 절단하기 전 스프(30)와 시일링부(32)를 진공 흡착 이송으로 당겨주어 장력을 제공하는 흡착당김부(400) 및 흡착당김부(400)의 하측에 밀착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흡착당김부(400)에 의해 흡착되고 커터(340)에 의해 시일링부(32)가 절단된 스프(30)를 이송 중인 라면에 정확하게 순차 공급하는 스프이송부(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급로울러(50)는 이송되는 스프(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이탈방지턱(52)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체부(4)에는 스프 밀착이송장치(A) 진입 전에 연속 공급되는 스프(30)와 시일링부(32)의 두께를 감지하여 검출하도록 두께검출부(10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검출부(100)는, 본체부(4)에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20)과, 고정프레임(120)에 결합되어 높이조절부(180)에 의해 승강되는 이동프레임(120)과, 이동프레임(120)의 회전축(142)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끝단부에 결합된 제3,제4회동축(144)(152)에 설치된 제3,제4로울러(146)(154)에 의해 스프(30)와 시일링부(32)의 이동에 의해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는 제1,제2지지대(140)(150)와, 제1,제2지지대(140)(1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60)와, 제1,제2지지대(140)(150)에 각각 설치되어 스프(30) 진입시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면서 두께를 감지하는 센서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높이조절부(180)는, 고정프레임(110)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12)와; 돌출부(1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프레임(120)의 나사부(211)에 회동되어 상하로 승강시키는 나사축(191)과, 나사축(191)의 끼움돌부(188)에 결합되는 몸체부(186)를 회동시키는 높이조절핸들(184)과, 나사축(191)의 끝단부를 받쳐주도록 고정프레임(110)에 형성된 받침부(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서부(170)는, 제1지지대(140)에 설치되고, 센서홈(172)을 갖는 센서(171)와; 센서홈(172)에 삽입되는 감지돌부(182)와, 감지돌부(182)와 나사결합되어 간지돌부(182)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축(182)과, 이동축(182)가 회동하도록 지지하고, 제2지지대(150)에 고정되는 고정체(174)와, 이동축(182)을 회전시키는 핸들(176)과; 이동축(182)의 외주에 설치되어, 감지돌부(182)를 밀어주는 스프링(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서홈(172)은 "U"자형 요홈으로 형성되어 핸들(176)을 돌려 이동축(178)을 회동시키므로 함께 나사결합된 감지돌부(182)가 수평으로 이동되며, 이로부터 감지돌부(182)가 센서홈(172)에서 이동되어 제1,제2지지대(140)(150)의 벌림 정도에 따라 센서(171)의 감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제2지지대(140)(150)의 끝단부에 제3,제4회동축(144)(15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3,제4로울러(146)(154)를 지나는 스프(30)의 두께에 의해 제1,제2지지대(140)(150)의 벌어지는 량을 조절하여 스프(30)의 두께를 임의대로 세팅하여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탄성부(160)는, 제1지지대(140)에 고정된 지지판(165)과, 지지판(165)에 나사결합되고, 핸들(167)을 구비한 걸림부재(161)와, 걸림부재(161)의 끝단부에 걸려지고, 타단은 제2지지대(150)에 고정된 지지부재(164)에 걸려져서 제1,제2지지대(140)(15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걸림부재(161)에는 나사 체결되어져 지지판(165)에 조여지므로 걸림부재(161)의 이동을 제어하는 너트부재(168)가 구비된다.
그리고, 두께검출부(100)에는, 스프(30) 이송시, 내용물이 없는 공피를 감지하는 공피감지부(130)가 더 구비된다.
공피감지부(130)는, 이동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제1회동축(1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로울러(124)와, 이동프레임(120)에 수평으로 가이드되는 가이드부재(131)에 설치되는 제2회동축(132)에 회동가능하게 상기 제1로울러(124)에 밀착 설치되는 제2로울러(134)와, 가이드부재(131)에 돌출된 고정돌부(194)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제2로울러(134)를 제1로울러(124)에 밀착시키는 스프링(192)과, 상기 제1,제2로울러(124)(134)를 통과하는 스프의 유무 감지하는 공피감지센서(1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두께검출부(100)를 통과한 시일링부(32)와 스프(30)는 커팅부(300)로 진입하기전에 피딩부(200)를 거치게 되지만, 피딩부(200)를 포함한 스프 밀착 이송장치(A)에 대한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므로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부(300)는 흡착당김부(400)에서 스프(30)의 측면 시일링부(36)를 잡아당겨 주도록 고정프레임(310)에 설치된 한 쌍의 당김로울러(328)(329)와, 당김로울러(328)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322)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부재(320)와, 당김로울러(328)에서 당겨진 스프(30) 및 시일링부(32) 중에서 시일링부(32)를 커팅하는 다수 개의 커터(340)가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한 쌍의 다각로울러(336)(344)와, 다각로울러(336)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332)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부재(330)를 포함한다.
스프(30)의 측면 시일링부(36)는 스프(30)에서 상하로 연결되는 시일링부(32)가 아닌 좌측 또는 우측에서 스프 봉지를 밀봉하기 위해 시일링된 부위를 지칭한다.
따라서, 한 쌍의 당김로울러(328)(329)의 좌우 너비(판 두께)는 5 ~ 10mm정도 불과할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8mm 정도이고, 외주 면에 측면 시일링부(36)와의 마찰력을 증진하기 위해 너어링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당김로울러(328)(329)와 다각로울러(336)(344)가 서로 밀착되도록 한 쌍 중에서 어느 하나의 당김로울러(329)와 다각로울러(344)를 가압하는 가압부(350)가 더 구비된다.
동력전달부재(332)는 구동모터인 동력발생부재(320) 축결합되는 구동풀리(324)와, 구동풀리(324)이 감겨지는 구동벨트(325)와, 당김로울러(328)에 축결합된 피동풀리(326)를 포함한다.
당김로울러(328) 축에는 미도시된 구동기어가 구비되고, 이 구동기어에 또 다른 당김로울러(329)에 축 결합되고, 구동기어와 동일한 크기의 피동기어가 치합되어 회전하므로 한 쌍의 당김로울러(328)(329)가 서로 동일한 속도로 마주 보게 구동하게 할 수 있다.
커터(340)는 다각로울러(336)의 돌출홈부(338)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각로울러(344)의 돌출홈부(345)에는 커터(340)가 받쳐지는 커터받침부재(34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설치 위치를 반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커터(340)는 3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커터(340)와 커터(340) 사이에는 스프(30)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 간격이 형성되므로 커터(340)가 시일링부(32)를 절단하기 바로 전에 하측에 위치한 흡착당김부(400)의 흡착벨트(432)에 의해 스프(30)가 시일링부(32)를 당겨주는 상태로 흡착이송되어 시일링부(32)에 절단을 용이하도록 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3개의 커터 중 다음에 위치한 커터(340)가 회전하면서 팽팽하게 하측으로 당겨진 시일링부(32)를 커팅하는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흡착벨트(432)의 흡착이송과 동시에 절단된 스프(30)의 저면을 스프이송부(450)의 스프공급벨트(456)를 통해 하측으로 순차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다각로울러(336)(344) 중 어느 하나에 연결 회동되어 시일링부(32)가 커팅되기 전에 하측으로 이동되는 스프(30)를 흡착당김부(400)로 가압시키는 밀착부(36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밀착부(360)는 다각로울러(344)의 풀리(365)에 의하여 구동하는 벨트(361)와, 벨트(361)에 의하여 구동하는 가압로울러(362)와, 가압로울러(362)에 의하여 절단 이송되는 스프(30)를 흡착이 용이하도록 흡착당김부(400)로 밀어주는 밀착솔(364)을 포함한다.
그리고, 흡착당김부(400)는, 본체부(4)에 설치되고, 동력발생부재(412)의 동력을 받아 피동풀리(422)를 구동하는 벨트부재(414)와, 피동풀리(422)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제1벨트이송로울러(430)와, 제1벨트이송로울러(430)에 의해 구동되고, 커팅부(300)에서 커팅되어 이송되는 스프(30)를 공기흡착공(434)으로 흡착하여 이송하는 공기흡착벨트(432)와; 공기흡착벨트(432)가 외측으로 구동되어 가이드되고, 공기흡착공(434)으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공기흡입구(436)가 구비된 공기흡착부재(440)를 포함한다.
공기흡착부재(440)는 저면으로 호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공기흡착부재(440)의 저면에는 흡착벨트(432)에 형성된 공기흡착공(434)를 통하여 절단된 스프(30)를 진공흡착하도록 이동하는 공기흡착공(434)과 연통되는 공기흡입구(43)가 호 중심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
벨트부재(414)에는 벨트부재(414)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접촉되는 롤러의 높낮이를 이용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4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흡착벨트(432)에는 흡착벨트(432)에 접촉되는 롤러를 이용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4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프이송부(450)는 흡착당김부(400)의 하측에 밀착 이동되어 흡착당김부(400)에 의해 흡착되고, 커터(340)에 의해 시일링부가 절단된 스프를 이송 중인 라면에 정확하게 순차 공급한다.
스프이송부(150)는 제1피동풀리(422)로부터 설정 거리를 갖도록 배치되고, 벨트부재(414)에 감겨져 구동하는 제2피동풀리(452)와, 제2피동풀리(452)에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하고, 제1벨트이송로울러(43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벨트이송로울러(454)와, 제2벨트이송로울러(454)에 의해 무한궤도상으로 구동하고, 흡착벨트(432)에 흡착 이송되는 스프의 저면을 지지하는 상태로 흡착벨트(432)와 대응되는 속도로 스프(30)를 밀착 이동하는 스프공급벨트(456)를 포함한다.
스프이송부(450)의 스프공급벨트(456)는 흡착벨트(432)를 구동하는 동력발생부(412)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부재(414)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도록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별도의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흡착당김부(400)와 구동력을 분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벨트이송로울러(430)와 제2벨트이송로울러(454)는 반경과 원주 거리가 서로 같아서 마주보는 흡착벨트(432)와 스프공급벨트(456)의 이동속도가 같도록 해준다.
만약, 흡착벨트(432)와 스프공급벨트(456)의 이동속도가 서로 다르다면, 이 사이에서 밀착되거나 흡착되어 이동하는 스프(30)의 측면에 마찰력이 발생할 것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스프공급벨트(456)의 저면에는 상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스프공급벨트(45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로울러(46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흡착벨트(432)에서 흡착이송되는 스프(30)의 저면은 스프공급벨트(456)가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상태로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제1벨트이송로울러(430)에서 흡착벨트(432)가 상측으로 감겨지더라도 스프(30)는 보조로울러(458) 까지 스프공급벨트(456)를 따라 이동하고, 비로서 스프공급벨트(456)가 보조로울러(458)에서 하측으로 감겨지면서 자유 낙하하여 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되는 흡착이송부재(12)에 의해 안치된 라면(20)에 정확하게 담겨지므로 낙하정확도가 증가하게 된다.
이하, 고속 스프공급기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A)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 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의 피딩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피딩부의 주동텐션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서 피딩부의 피동텐션부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너비조절부 및 위치조절부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너비조절부 및 위치조절부 확대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부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스프 밀착이송장치(A)는, 도 1에서 일 실시예로 제시한 고속 스프공급기 뿐만아니라 다양한 스프 제조장치에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A)는, 본체부(4) 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210); 동력발생부(21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211); 및 동력전달부(211)에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시일링부(32)로 연이어져 있는 스프(30)를 밀착하여 안정적으로 이송하는 피딩부(200)를 포함하고. 피딩부(200)는, 동력전달부(211)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주동공급벨트(224)를 구동하도록 본체부(4)에 설치되는 주동공급부(220)와; 주동공급벨트(224)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동력전달부(211)에 의하여 구동하는 피동공급벨트(254)로 주동공급벨트(224)와 함께 스프(30)와 시일링부(32)를 이송하는 피동공급부(240)와; 주동공급부(220)와 피동공급부(240)의 밀착 간격을 조절하여 스프(30)와 시일링부(32)에 최적의 이송 마찰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간격조절부(260)를 포함한다.
그리고, 동력발생부(210)는, 모터 또는 서보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전달부(211)는, 동력발생부(210)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212)와; 벨트(212)에 맞물려서 제1주동로울러(222)와 제1피동로울러(242)를 각각 반대방향으로 구동시키는 피동풀리(217)(218)와; 벨트(212)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216)를 구비하는 장력로울러(214)를 포함한다.
주동공급벨트(224)와 피동공급벨트(254)는 타이밍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주동공급부(220)는, 피동풀리(217)에 의하여 구동되고, 주동공급벨트(224)를 구동하는 제1주동로울러(222)와; 제1주동로울러(222)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주동공급벨트(224)에 의해 회동되는 제2주동로울러(226)와; 제1,제2주동로울러(222)(226)가 설치되는 한 쌍의 주동플레이트(226)와; 주동플레이트(226)에 구비되어 주동공급벨트(224)의 장력을 조절하는 주동텐션부(2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주동텐션부(230)는, 상기 주동공급벨트(224)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로울러(232)와; 장력로울러(232)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축(234)을 가이드하도록 주동플레이트(226)에 형성된 가이드공(233)과; 가이드공(233)에서 롤러축(234)이 이동되도록 가압하는 작동부재(238)와; 작동부재(238)가 나사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주동플레이트(226)에 고정되는 고정체(236)를 포함한다.
피동공급부(240)는, 피동풀리(218)에 의하여 구동되고, 피동공급벨트(254)를 구동하는 제1피동로울러(242)와, 제1피동로울러(242)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피동공급벨트(254)에 의해 회동되는 제2피동로울러(252)와, 제1,제2피동로울러(242)(252)가 설치되는 한 쌍의 피동플레이트(244)와, 피동플레이트(244)에 구비되어 피동공급벨트(254)를 구동하는 제3피동로울러(253)와, 제2피동로울러에 설치되어 피동공급벨트(254)에 장력을 제공하는 피동텐션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동텐션부(250)는, 제2피동로울러(252)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장력을 제공하는 롤러축(251)과, 롤러축(251)을 가이드하도록 피동플레이트(244)에 형성된 가이드공(249)과, 가이드공(249)에서 롤러축(251)이 이동되도록 가압하는 작동부재(246)와, 작동부재(246)가 나사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피동플레이트(244)에 고정되는 고정체(2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공(233)(249)는 일측으로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작동부재(238)(246)에는 나사 체결되어 고정체(236)(248)로 밀착되므로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재(237)(247)가 더 구비된다. 위치고정부재(237)(247)는 너트로서, 나사부재인 작동부재(238)(246)에 체결되어 이동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조절부(260)는, 주동플레이트(226)와 피동플레이트(244)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262)와, 실린더(262)의 축(264)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66)와, 고정부재(266)에 나사 체결되어 간격을 조절하는 나사조절축(265)과, 나사조절축(265)의 끝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주동플레이트(226)와 피동플레이트(244)중 어느 타측에 고정되는 걸이부(269)에 걸려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68)과, 실린더(262)의 당김작용에 의해 피동공급부(240)가 회동하도록 제1피동로울러(217)에 구비된 회동축(241)을 포함한다.
피동공급부(249)에는 회동축(241)을 중심으로 회동시, 회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회동방지부(202)를 더 구비한다.
회동방지부(202)는, 회동축(241)의 회동에 따라 함께 회동하는 회동방지돌기(208)와; 회동방지돌기(208)의 회동을 가이드하고,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방지공(206)을 형성하는 회동방지부재(2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딩부(200)에는 시일링부(32)에 의해 연속 공급되는 스프(30)의 너비를 조절하도록 너비조절부(270)를 더 구비된다.
너비조절부(270)는 본체부(4)에 고정되고, 조절용슬롯(276)이 형성되는 지지대(274)와, 조절용슬롯(276)에 좌우로 이동되게 결합되어 스프(30) 및 시일링부(32)의 양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272)와, 가이드롤러(272)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조여지거나 풀려지는 조임부재(2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딩부(220)의 유입 또는 배출 부분에는, 상기 시일링부(32)에 표시된 마크부(34)를 감지하여 상기 커팅부(300)에서 시일링부(32)를 커팅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마크감지센서부(280)가 더 구비된다.
마크감지센서부(280)는, 마크부(34)를 감지하는 마크감지센서(278)와, 마크감지센서(278)를 지지하는 지지체(281)와, 지지체(281)를 지지하여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고정체(282)와, 제1고정체(282)에 지지체(281)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봉(284)과, 연결봉(284)의 타단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정체(286)와, 제2고정체(286)에 결합되고, 제2고정체(286)가 연결봉(284)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본체부(4)에 설치되는 고정부재(288)와, 지지체(281), 연결봉(284), 고정부재(288)를 가압하거나 분리하도록 상기 제1,제2고정체(282)(286)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2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께감지부(100)의 센서(171)는 스프(30)가 진입하는 순간 스프(30)의 두께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마크감지센서(278)는 시일링부(32)에 표시된 마크부(34)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스프(30)의 시일링부(30)에 마크부(34)를 갖는 경우, 두께감지부(100)의 센서(171)는 사용되지 않고, 마크감지센서(278)가 작동되어 시일링부(32)의 커팅 위치를 제어하게 된다.
즉, 시일링부(32)에 마크부(34)가 없는 경우에만 두께감지부(100)의 센서(171)가 작동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작동이 정해진 것은 아니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마크부(34)의 유무에 관계 없이 임의대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작동은 모두 사용자가 조작부(6)에 미리 신호를 입력하므로 커팅부(300)의 커터(340) 위치가 시일링부(32)에 위치하도록 당김로울러(328) 및 다각로울러(336)를 각각 구동하는 동력발생부재(320)(330)를 두께감지부(100)의 센서(171)와 마크감지센서(278) 중에 선택되어진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각각 제어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를 구비한 고속 스프공급기의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1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진입로울러(40)를 거쳐 시일링부(32)에 의하여 연결된 스프(30)를 공급로울러(50)로 이송하도록 한다.
공급로울러(50)에는 스프(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5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이탈이 방지된 스프(30)는 두께검출부(100)로 이동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검출부(100)의 사용상태를 살펴 보도록 한다.
두께검출부(100)의 제1,제2이동로울러(124)(134)를 스프(30)와 시일링부(32)가 번갈아서 이동하므로 이동프레임(120)에 대하여 가이드부재(131)가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돌부(194)와 고정프레임(110)에 고정된 스프링(192)에 의하여 벌려진 가이드부재(131)를 원상 복귀시키게 된다.
한편, 스프(30)와 시일링부(32)가 번갈아가면서 이동하다가 스프(30)가 들어 있지 않는 공피 부분이 발생되는 경우, 스프(30)의 두께가 없음을 공피감지센서(136)가 감지하여 내고, 조작부(6)내에 구비된 큰트롤러에서 알람신호를 발생하거나 고속 스프공급장치를 정지하는 등의 조처를 취하게 된다.
스프(30)가 없는 공피가 그대로 라면(20)에 공급되는 경우, 소비자가 스프가 없는 라면을 구입하여 먹게 되는 불량품을 양산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2로울러(124)(134)를 지난 스프 및 시일링부(32)는 제3,제4로울러(146)(154)를 거치면서, 스프(30)가 통과하면 제1,제2지지대(140)(150)가 회전축(142)을 기준으로 벌려지게 되고, 시일링부(32)가 통과하면 제1,제2지지대(140)(150)가 거의 벌려지지 않게 된다.
즉, 제3,제4로울러(146)(154)를 스프(30)가 지나게 되면, 스프(30)의 두께로 인하여 제1,제2지지대(140)(150)가 벌려지고, 제1,제2지지대(140)(150)에 설치된 센서(171)가 감지돌부(182)의 이동상태를 파악하여 스프(30)가 지나가는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스프(30)의 두께가 감지될 경우, 후속하는 다각로울러(366)에 설치된 커터(340)의 시일링부(32) 커팅위치와 일치하도록 다각로울러(366)를 구동시키는 동력발생부재(330)을 제어하게 된다. 이 두께감지부(100)는 시일링부(32)에 마크부(34)가 없는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작업하기 전 미리 마크부(34)의 유무를 조작부(6)에 미리 세팅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제2,제3,제4로울러(124)(134)(146)(154)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하는 경우에는 높이조절핸들(184)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일체로 결합된 나사축(191)이 돌출부(112)에서 회동되어져 나사부(211)와 체결된 이동프레임(120)이 고정프레임(1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가 조절된다.
계속하여, 두께검출부(100)를 지난 스프(30)와 시일링부(32)는 스프 밀착이송장치(A)에 의해 하측으로 이송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프 밀착이송장치(A)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30)와 시일링부(32)는 주동공급벨트(224)와 피동공급벨트(254)에 의해 하측으로 이송되어진다.
주동공급벨트(224)와 피동공급벨트(254)는, 동력발생부(210)에 의해 벨트(212)를 구동하여 피동풀리(218)(219)를 회전하고, 피동풀리(218)(219)에 일체로 고정된 제1주동로울러(222)와 제1피동로울러(242)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한다.
한편, 제1주동로울러(222)와 제1피동로울러(242)에서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 제2주동로울러(228)와 제2피동로울러(252)가 같이 회전하면서 주동공급벨트(224)와 피동공급벨트(254)가 구동하게 된다.
주동공급벨트(224)의 양측에 있는 주동플레이트(226)에 간격조절부(260)의 실린더(262)가 설치되어져 있고, 실린더(262)의 축(264)은 고정부재(266)에 고정되어져 있고, 이 고정부재(266)에서 연결된 스프링(268)은 피동공급벨트(254)의 양측에 설치된 피동플레이트(244)의 걸이부(269)에 걸려지게 설치된다.
즉, 실린더(264)의 축(264)를 작동하여 잡아 당기는 경우, 스프링(268) 역시 같이 당겨지면서 피동공급부(240)가 회동축(241)을 기준으로 당겨지면서, 주동공급벨트(224)와 피동공급벨트(254) 사이로 이동하는 스프(30) 및 시일링부(32)를 밀착하여 이송하게 된다.
주동공급벨트(224)와 피동공급벨트(254) 사이를 이동하는 스프(30)의 두께가 약간 두꺼운 경우에는 스프링(268)이 약간 탄성적으로 벌려지거나 당겨지면서 스프(30) 및 시일링부(32)의 이동에 따른 두께 오차를 보정하게 된다.
한편, 주동공급벨트(224)의 장력을 조절하고자 한다면, 2개의 주동플레이트(226)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체(236)에 나사결합된 작동부재(238)을 조여주거나 풀어주면, 고정체(226)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작동부재(238)의 끝단부분이 장력로울러(232)을 지지하는 롤러축(234)을 밀어주거나 당겨주게 되므로 장력로울러(232)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피동공급벨트(234)의 장력을 조절하고자 한다면, 2개의 피동플레이트(244)의 하측에 설치된 고정체(248)에 나사결합된 작동부재(246)을 조여주거나 풀어주면, 고정체(248)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작동부재(246)의 끝단부분이 제2피동로울러(252)을 지지하는 롤러축(251)을 밀어주거나 당겨주게 되므로 제2피동로울러(252)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작동부재(238)(246)에는 너트역할을 하는 위치고정부재(247)를 조여주므로 작동부재(238)(246)가 고정체(226)(248)에서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주동로울러(228)와 제2피동로울러(252) 하측부분에는 스프(30) 및 시일링부(32)의 너비 부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로울러(272)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한 쌍의 가이드로울러(272)는 조임부재(277)를 풀어서 지지대(274)의 조절용슬롯(276)으로 이동하여 간격을 조절한 후 다시 조임부재(277)을 조여주므로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한 쌍의 가이드로울러(272)의 사이에는 마크감지센서(278)가 설치되어져서 시일링부(32)에 마크부(34)가 있는 경우, 감지하여서 후속하는 당김로울러(329)와 다각로울러(336)를 구동하는 동력발생부재(320)(330)를 각각 제어하여서 다각로울러(336)에 설치된 커터(340)의 위치가 정확하게 시일링부(32)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마크감지센서부(280)의 마크감지센서(278)는 두께감지부(100)의 센서(171)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시일링부(32)에 마크부(34)가 있는 경우에는 마크감지센서(278)를 인용하고, 마크부(34)가 없는 경우에는 두께감지부(100)의 센서(171)를 이용하도록 한다.
마크감지센서(278)와 두께감지부(100)의 센서(171)의 사용여부는 조작자가 스프(30)의 시일링부(32)에 마크부(34)가 있는 지 여부를 육안으로 보고 판단한 후, 조작부(6)에 신호를 입력하므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마크감지센서(278)는 스프(30)와 시일링부(32)의 크기 변동에 따른 너비가 변동하는 경우, 마크부(34)의 위치가 변화되므로 이를 감지하는 마크감지센서(278)의 위치 역시 전후좌우로 이동어져야 한다.
한편, 마크감지센서(278)의 이동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마크감지센서(278)의 좌우 이동을 살펴보면, 지지체(281)를 고정하는 제1고정체(282)의 하측에 구비된 체결부재(290)를 풀어주어 지지체(281)를 좌,우로이동하거나, 제2고정체(286)에 상측에 체결된 체결부재(290)를 풀어주어 제2고정체(286)를 좌,우로 이동하여 마크감지센서(278)의 좌,우방향 위치를 맞춘 후에 풀어준 체결부재(290)를 다시 조여주므로 마크감지센서(278)의 좌우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마크감지센서(278)의 전후 이동을 살펴보면, 제1고정체(282)의 상측과 제2고정체(286)의 하측에 체결된 체결부재(290)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풀어주어 연결봉(284)을 제1,제2고정체(282)(286)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마크감지센서(278)의 전,후방향 위치를 맞춘 후, 풀어준 체결부재(290)를 다시 조여주므로 마크감지센서(278)의 전,후 위치를 조절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부(300)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마크감지센서(278)를 지난 스프(30) 및 시일링부(32)는 동력발생부재(322)에 의해 구동하는 동력전달부재(322)인 구동풀리(324), 벨트(325)와 피동풀리(326)에 의하여 당김로울러(328)(329)를 구동하여 시일링부(32)의 측면부분을 잡아당겨 이송하도록 한다.
당김로울러(328)(329)의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표면에는 너어링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당김로울러(328)(329)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하여 이동된 스프(30) 및 시일링부(32)는 동력발생부(330)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기어(333), 제1피동기어(334) 및 제2피동기어(342)에 의해 다각로울러(336)(344)가 마주보면서 회동하게 되고, 3개의 돌출홈부(338)(345)에 각각 설치된 커터(340) 및 커터(340)를 받쳐주는 커터받침부재(346)가 회동하면서 1회전에 3번의 시일링부(32) 커팅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종래에는 커터가 일일히 한 번씩 작동하여 커팅하므로 커팅작업이 늦어지는 데 반하여, 본 발명은 회전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회전속도에 따라 커팅작업이 고속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지닌다.
커터(340)는 톱니처럼 형성된 웨이브(WAVE)형 커터를 사용하므로 시일링부(32)의 커팅부분이 톱날형상으로 커팅되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스프(30)를 개봉할 때, 톱날 홈부분이 절개 되어지게 되어 스프(30)가 잘 절개되어져 소비자에게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커팅이 이루어지기 바로 전의 스프(30)는 다각로울러(344)의 풀리(365) 및 벨트(261)로 회전되는 밀착로울러(362)의 밀착솔(364)에 의해 흡착벨트(432)의 표면에 잘 흡착되도록 밀착되어 시일링부(32)가 팽팽하게 당겨지는 것을 도와주는 역활을 한다. 물론, 시일링부(32)의 커팅이 이루진 스프(30) 역시 진공흡착되는 것을 도와주는 역활을 수행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솔(364)에 의해 밀착된 스프(360)는 흡착부재(440)의 흡입구(436)로 흡입된 공기에 의해 흡착벨트(432)의 흡착공(434)에 흡착되어 흡착벨트(432)의 이동에 따라 하측으로 이송된다.
흡착벨트(432)를 구동하는 제1벨트이송로울러(430)는 동력발생부재(412)의 동력과, 벨트부재(414)의 동력전달에 의해 회전하는 피동풀리(422)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한편, 흡착당김부(400)의 저면에는 스프이송부(450)가 구비되어 있으며, 흡착벨트(432)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송하는 스프(432)의 저면을 스프공급벨트(456)가 받쳐주는 상태로 흡착벨트(432)와 동일 속도로 이송한다.
그리고, 스프공급벨트(456)가 회전하다가 보조벨트(458)에서 감겨지는 순간 스프(30)를 더 이상 받쳐 주지 못하므로 자중에 의하여 스프가 하측으로 낙하되고, 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부재(12)에 안치된 라면(20)에 놓여 지고 후속하는 포장공정으로 이송된다.
스프이송부(450)의 스프공급벨트(456)는 흡착벨트(432)를 구동하는 동력발생부(412)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부재(414)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도록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별도의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흡착당김부(400)와 구동력을 분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거치면서 스프(30) 및 시일링부(32)를 연속 공급하고, 시일링부(32)를 고속으로 커팅하여 스프(30)를 고속으로 공급하여 종래와 달리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A : 스프 밀착이송장치 4 : 본체부
20 : 라면 30 : 스프
32 : 시일링부 34 : 마크부
100 : 두께검출부 110 : 고정프레임
112 : 돌출부 120 : 이동프레임
124 : 제1로울러 130 : 공피감지부
134 : 제2로울러 136 : 공피감지센서
140 : 제1지지대 142 : 회전축
146 : 제3로울러 150 : 제2지지대
154 : 제4로울러 160 : 탄성부
162 : 스프링 164 : 지지부재
165 : 지지판 170 : 센서부
200 : 피딩부 202 : 회동방지부
204 : 회동방지부재 210 : 동력발생부
211 : 동력전달부 220 : 주동공급부
224 : 주동공급벨트 226 : 주동플레이트
232 : 장력로울러 240 : 피동공급부
244 : 피동플레이트 254 : 피동공급벨트
250 : 주동텐션부 260 : 간격조절부
270 : 피동텐션부 280 : 위치조절부
281 : 지지체 282,286 : 제1,제2고정체
300 : 커팅부 310 : 고정프레임
320,330 : 동력발생부재 322,332 : 동력전달부재
328,329 : 이동로울러 336,344 : 다각로울러
360 : 밀착부 361 : 벨트
262 : 밀착로울러 400 : 흡착당김부
414 : 벨트부재 430 : 제1벨트이송로울러
440 : 흡착부재 450 : 스프이송부
4454 : 제2벨트이송로울러 456 : 스프공급벨트
458 : 보조롤러 460 : 장력조절로울러

Claims (11)

  1. 본체부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시일링부로 연이져 있는 다수 개의 스프를 양면에서 밀착하여 이송하는 피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주동공급벨트를 구동하도록 본체부에 설치되는 주동공급부와;
    상기 주동공급벨트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동력전달부에 의하여 구동하는 피동공급벨트로 주동공급벨트와 함께 스프와 시일링부를 이송하는 피동공급부와;
    상기 주동공급부와 피동공급부의 밀착 간격을 조절하여 스프와 시일링부에 최적의 이송 마찰력을 제공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부에는 시일링부에 의해 연속 공급되는 스프의 너비를 조절하도록 너비조절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너비조절부는 본체부에 고정되고, 조절용슬롯이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조절용슬롯에 좌우로 이동되게 결합되어 스프 및 시일링부의 양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조여지거나 풀려지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밀착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모터 또는 서보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밀착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발생부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 맞물려서 제1주동로울러와 제1피동로울러를 각각 구동시키는 피동풀리와;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를 구비하는 장력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밀착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공급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주동공급벨트를 구동하는 제1주동로울러와;
    상기 제1주동로울러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주동공급벨트에 의해 회동되는 제2주동로울러와;
    상기 제1,제2주동로울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주동플레이트와;
    상기 주동플레이트에 구비되어 주동공급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주동텐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밀착이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주동텐션부는, 상기 주동공급벨트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로울러와;
    상기 장력로울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주동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에서 상기 롤러축이 이동되도록 가압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가 나사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주동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밀착이송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공급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피동공급벨트를 구동하는 제1피동로울러와;
    상기 제1피동로울러에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피동공급벨트에 의해 회동되는 제2피동로울러와;
    상기 제1,제2피동로울러가 설치되는 한 쌍의 피동플레이트와;
    상기 피동플레이트에 구비되어 피동공급벨트를 구동하는 제3피동로울러와;
    상기 제2피동로울러에 설치되어 상기 피동공급벨트에 장력을 제공하는 피동텐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밀착이송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텐션부는, 상기 제2피동로울러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여 장력을 제공하는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피동플레이트에 형성된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에서 상기 롤러축이 이동되도록 가압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가 나사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상기 피동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밀착이송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주동플레이트와 피동플레이트 중 어느 일측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축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나사 체결되어 간격을 조절하는 나사조절축과;
    상기 나사조절축의 끝단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주동플레이트와 피동플레이트중 어느 타측에 구비된 걸이부에 걸려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실린더의 당김작용에 의해 상기 피동공급부가 회동하도록 제1피동로울러에 구비된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밀착이송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의 유입 또는 배출 부분에는 상기 시일링부에 표시된 마크부를 감지하여 커팅부에서 시일링부를 커팅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마크감지센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밀착이송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크감지센서부는, 상기 마크부를 감지하는 마크감지센서와;
    상기 마크감지센서를 지지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를 지지하여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고정체와;
    상기 제1고정체에 상기 지지체의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일단이 결합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타단이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고정체와;
    상기 제2고정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2고정체가 상기 연결봉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본체부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지지체, 연결봉, 고정부재를 가압하거나 분리하도록 상기 제1,제2고정체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밀착이송장치.
KR1020100073398A 2010-07-29 2010-07-29 스프 밀착이송장치 KR101177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398A KR101177828B1 (ko) 2010-07-29 2010-07-29 스프 밀착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398A KR101177828B1 (ko) 2010-07-29 2010-07-29 스프 밀착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537A KR20120011537A (ko) 2012-02-08
KR101177828B1 true KR101177828B1 (ko) 2012-08-29

Family

ID=4583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398A KR101177828B1 (ko) 2010-07-29 2010-07-29 스프 밀착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520B1 (ko) * 2020-05-12 2021-05-20 이운선 연속절단공급구조를 갖는 절단공급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0914A (ja) * 1997-02-18 1998-09-02 Mitsuhashi Seisakusho:Kk 小袋自動集積装置
KR100515443B1 (ko) 2003-11-13 2005-09-16 두상수 연속 단위포장팩의 자동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0914A (ja) * 1997-02-18 1998-09-02 Mitsuhashi Seisakusho:Kk 小袋自動集積装置
KR100515443B1 (ko) 2003-11-13 2005-09-16 두상수 연속 단위포장팩의 자동절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520B1 (ko) * 2020-05-12 2021-05-20 이운선 연속절단공급구조를 갖는 절단공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537A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891B1 (ko) 고속 스프공급장치
EP0680880B1 (en) Machine for sealing containers by applying a covering film
US5390475A (en) Packag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MXPA05012590A (es) Aparato sellador lateral de pelicula con control de temperatura de ciclo cerrado de un calentador.
JP5510604B2 (ja) スライス肉片のトレー盛付装置
CN214190243U (zh) 一种束带机的上料环结机构
CN113247361A (zh) 一种垃圾袋卷包装机
CN210653738U (zh) 一种便于更改装包质量的定量膜式包装机
JP2017537855A (ja) 飲用ストローを包装容器に貼付するための装置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って動作させる装置
KR101177828B1 (ko) 스프 밀착이송장치
JPH04242509A (ja) 品物包装装置
KR101210574B1 (ko) 스프 커팅이송장치
JP6590941B2 (ja) 飲用ストローを包装容器に貼付するための装置を動作させる方法、及び、その方法によって動作させる装置
KR101679626B1 (ko) 박스 자동 포장 장치
KR101901882B1 (ko) 파우치 커팅기의 오절단 방지장치
JP2004182302A (ja) 帯体取付装置および製袋包装機
KR101335574B1 (ko) 스프 분배 공급장치
US5296076A (en) Apparatus for applying tape and method therefor
JP2001002033A (ja) 連続した個装袋の分配装置
JP3830437B2 (ja) 製袋包装機
KR870000530Y1 (ko) 음료용기용 스트로오(straw) 첩부장치
JP2005153929A (ja) 連続包装体搬送方法と連続包装体搬送機構および連続包装体断裁装置
JP2010280401A (ja) ストロー貼着装置
JP2004090948A (ja) 製袋包装機
JP2004352367A (ja) 製袋包装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