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574B1 - 스프 커팅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스프 커팅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574B1
KR101210574B1 KR1020100073399A KR20100073399A KR101210574B1 KR 101210574 B1 KR101210574 B1 KR 101210574B1 KR 1020100073399 A KR1020100073399 A KR 1020100073399A KR 20100073399 A KR20100073399 A KR 20100073399A KR 101210574 B1 KR101210574 B1 KR 101210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p
cutting
belt
unit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538A (ko
Inventor
진견영
Original Assignee
진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견영 filed Critical 진견영
Priority to KR1020100073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57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08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rotary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 B65B35/243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using cooperating conveyors engaging the articles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 B65B57/16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and operating to stop, or to control the speed of, the machine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Abstract

스프 커팅이송장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스프 커팅이송장치는 시일링부에 의해 연이어져 있는 스프를 회전 이송하는 피딩부, 피딩부에 의해 이송된 스프와 시일링부 중에 스프는 통과하고 시일링부는 회전하는 커터로 절단하는 커팅부, 커팅부에 의한 시일링부의 정확한 절단을 위해 시일링부를 절단하기 전 스프와 시일링부를 진공 흡착 이송으로 당겨주어 장력을 제공하는 흡착당김부 및 흡착당김부의 하측에 밀착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흡착당김부에 의해 흡착되고 커터에 의해 시일링부가 절단된 스프를 이송 중인 라면에 정확하게 순차 공급하는 스프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프 커팅이송장치{SOUP CUTTING AND VACUUM ABSORPTION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스프 커팅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속되게 공급되는 스프를 회전하는 커터로 커팅하여 흡착 이송하므로 스프의 커팅작업 및 이송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국수를 증숙시킨 후 기름에 튀겨서 만든 유탕면에 분말 스프를 별첨한 인스턴트 건조식품으로 수분이 많은 식품에 비해 단위 중량당 영양분이 많으며, 튀긴 식품이므로 지방이 많아 120g당 약 500kcal의 열량을 내는 고칼로리 식품이다.
이러한 라면의 종류에는 봉지에 면과 스프가 같이 포장되어 소비자가 냄비에 스프를 넣어 직접 끓여서 먹는 봉지면과, 라면을 별도의 냄비에 끓이지 않고 용기에 담아 스프를 넣어주고 뜨거운 물만 부으면 조리되는 용기면이 있다.
이와 같이, 봉지면에는 양념을 건조시켜 비닐봉지에 넣어 포장된 스프가 각각 한개 씩 투입되어지고, 컨베이어로 라면을 이송하면서 라면면에 개별로 커팅되어 분리된 스프를 공급하고 포장하므로 봉지라면이 완성된다.
스프는 일반적으로 길이가 긴 봉투에 단위 별로 라면 한개 분량의 양념을 투입하고, 연결 부위에 열을 가하여 시일링부를 융착 형성하여 각각 하나씩의 스프가 제조되는 것으로, 길이가 긴 상태로 연속 공급되는 스프의 시일링부를 커팅기로 커팅하여 개별 분리된 스프를 하나씩 라면에 공급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종래에는 연속해서 공급되는 스프를 단위 별로 커팅하여 컨베이어로 이송되는 라면에 공급하는 스프 공급기는 스프 및 시일링부가 저속으로 공급되므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스프와 시일링부에서 시일링부를 커팅할 때 수평으로 작동하는 커터날로 반복적으로 커팅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저속 스프공급기보다 개선된 고속 스프공급기를 개발하는 경우, 종래와 같이 수평으로 작동하는 커터로 일일히 커팅하여서는 고속으로 이송되는 시일링부를 제대로 커팅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녔다.
또한, 스프를 커팅한 후, 낙하슈트로 안내하므로 낙하 도중에 스프가 걸려 라면에 투입되지 못하여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지녔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본 발명은 피딩부의 피딩로울러에 의해 스프와 시일링부를 고속으로 당겨주면서 이송되는 시일링부를 서로 회전하는 한 쌍의 다각 로울러에 설치된 다수 개의 커터로 커팅하므로 커팅작업을 고속으로 신속하게 수행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피딩작업과 커팅작업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피딩로울러와 한 쌍의 다각로울러의 간격을 각각의 가압부로 조절하므로 이송마찰력과 절단력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커팅이 이루어진 스프를 이동하는 흡착당김부의 진공흡착벨트로 흡착하여 당겨주어 스프의 시일링부의 절단이 커팅부에 의해 정확하게 이루어지는 스프 커팅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진공흡착벨트의 흡착된 스프의 저면을 스프이송부의 스프공급벨트로 밀착시켜 이송하여 스프를 라면에 정확하게 자유 낙하시키므로 스프의 이송불량을 해소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는 시일링부에 의해 연이어져 있는 스프를 회전 이송하는 피딩부; 상기 피딩부에 의해 이송된 스프와 시일링부 중에 상기 스프는 통과하고 상기 시일링부는 회전하는 커터로 절단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에 의한 시일링부의 정확한 절단을 위해 시일링부를 절단하기 전 스프와 시일링부를 진공 흡착 이송으로 당겨주어 장력을 제공하는 흡착당김부; 및 상기 흡착당김부의 하측에 밀착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흡착당김부에 의해 흡착되고 상기 커터에 의해 시일링부가 절단된 스프를 이송 중인 라면에 정확하게 순차 공급하는 스프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딩부는, 본체부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시일링부와 스프의 일 측면에 위치한 측면 시일링부의 양측 면을 밀착하여 이송하는 한 쌍의 피딩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발생부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감겨져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 맞물려서 어느 하나의 상기 피딩로울러의 축에 구비되어 구동하는 피동풀리와; 상기 피동풀리 내측의 어느 하나의 상기 피딩로울러에 축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피딩로울러에 축 결합되어 한 쌍의 피딩로울러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하는 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딩부에는, 상기 한 쌍의 당김로울러 중 어느 하나의 당김로울러를 가압 또는 가압을 해제하여 시일링부의 밀착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1가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압부는, 상기 당김로울러를 지지하여 이동하도록 지지프레임의 제1공간부에 설치된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를 가압하여 밀어주는 제1푸시부재와; 상기 제1푸시부재를 가압하는 제1가압축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제1위치고정판과; 상기 제1이동부재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1가압축의 끝단 나사부에 체결되어 조여주거나 풀어주어 상기 제1가압축을 동작하는 제1조임부재와; 상기 제1가압축 주위에 설치되어 일단이 제1푸시부재를 밀어주고, 타단이 제1위치고정판에 지지되어 제1푸시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팅부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스프와 시일링부 중 시일링부를 커팅하는 다수 개의 커터가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한 쌍의 다각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발생부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서 어느 하나의 상기 다각로울러를 구동하는 제1피동기어와; 상기 제1피동기어에 맞물려서 다른 하나의 상기 다각로울러를 구동하는 제2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팅부에는, 상기 한 쌍의 다각로울러 중 어느 하나의 다각로울러를 가압 또는 가압을 해제하여 시일링부의 커팅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2가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다각로울러를 지지하여 이동하도록 지지프레임의 제2공간부에 설치된 제2이동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를 가압하여 밀어주는 제2푸시부재와; 상기 제2푸시부재를 가압하는 제2가압축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제2위치고정판과; 상기 제2이동부재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2가압축의 끝단 나사부에 체결되어 조여주거나 풀어주어 상기 제2가압축을 동작하는 제2조임부재와; 상기 제2가압축 주위에 설치되어 일단이 제2푸시부재를 밀어주고, 타단이 제2위치고정판에 지지되어 제2푸시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제2위치고정판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당김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동력발생부재의 동력을 받아 피동풀리를 구동하고, 상기 스프이송부를 함께 구동하는 벨트부재와; 상기 피동풀리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제1벨트이송로울러와; 상기 제1벨트이송로울러에 의해 구동되고, 커팅된 스프를 흡착공으로 흡착하여 이송하는 흡착벨트와; 상기 흡착벨트가 외측으로 구동되어 가이드되고, 흡착공으로 공기를 진공으로 흡입하도록 흡입구가 구비된 흡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이송부는 상기 제1피동풀리에서 설정 거리를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에 감겨져 구동하는 제2피동풀리와; 상기 제2피동풀리에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벨트이송로울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벨트이송로울러와; 상기 제2벨트이송로울러에 의해 무한궤도상으로 구동하고, 상기 흡착벨트에 흡착 이송되는 스프의 저면을 지지하는 상태로 흡착벨트와 대응되는 속도로 스프를 밀착 이동하는 스프공급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착당김부의 흡착벨트에는 높낮이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이송부의 공급벨트에는 높낮이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로울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는 피딩부의 피딩로울러에 의해 스프와 시일링부를 고속으로 당겨주면서 이송되는 시일링부를 서로 회전하는 한 쌍의 다각 로울러에 설치된 다수 개의 커터로 커팅하므로 커팅작업을 고속으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는 피딩작업과 커팅작업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피딩로울러와 한 쌍의 다각로울러의 간격을 각각의 가압부로 조절하므로 이송마찰력과 절단력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는 커팅이 이루어진 스프를 이동하는 흡착당김부의 진공흡착벨트로 흡착하여 당겨주어 스프의 시일링부의 절단이 커팅부에 의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는 진공흡착벨트의 흡착된 스프의 저면을 스프이송부의 스프공급벨트로 밀착시켜 이송하여 스프를 라면에 정확하게 자유 낙하시키므로 스프의 이송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를 구비한 고속 스프공급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의 두께검출부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고속 스프공급기의 두께검출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의 피딩부와 커팅부 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따른 피딩부의 제1가압부의 확대도.
도 6은 도 4에 따른 커팅부의 제2가압부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의 피딩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의 흡착당김부와 스프이송부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부와 커팅부의 요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를 구비한 고속 스프공급기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를 구비한 고속 스프공급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의 두께검출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고속 스프공급기의 두께검출부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를 구비한 고속 스프공급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A)를 구비한 고속 스프공급기는, 본체부(4)에 구비되고, 진입로울러(40)에 의하여 이송되는 다수 개의 시일링부(32)로 연이져 있는 다수 개의 스프(30)를 공급하도록 회동축(54)에 의해 회전하는 공급로울러(50), 공급로울러(50)에서 연속 공급되는 스프(30)와 시일링부(32)의 두께를 감지하여 검출하도록 두께검출부(100), 두께검출부(100)에서 이송되는 스프(30)와 시일링부(32)를 피딩부(320)로 공급하여 시일링부(32)를 커팅부(300)의 커터(340)로 커팅하며, 분리된 스프(30)를 흡착당김부(400)로 흡착 이송하여 라면(20)에 공급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공급로울러(50)는 이송되는 스프(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양측으로 돌출된 이탈방지턱(52)을 구비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검출부(100)는, 본체부(4)에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120)과; 고정프레임(120)에 결합되어 높이조절부(180)에 의해 승강되는 이동프레임(120)과; 이동프레임(120)의 회전축(142)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끝단부에 결합된 제3,제4회동축(144)(152)에 설치된 제3,제4로울러(146)(154)에 의해 스프(30)와 시일링부(32)의 이동에 의해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는 제1,제2지지대(140)(150)와; 제1,제2지지대(140)(15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60)와; 제1,제2지지대(140)(150)에 각각 설치되어 스프(30) 진입시 벌려지거나 오므려지면서 두께를 감지하는 센서부(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높이조절부(180)는, 고정프레임(110)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12)와; 돌출부(1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프레임(120)의 나사부(211)에 회동되어 상하로 승강시키는 나사축(191)과; 나사축(191)의 끼움돌부(188)에 결합되는 몸체부(186)를 회동시키는 높이조절핸들(184)과; 나사축(191)의 끝단부를 받쳐주도록 고정프레임(110)에 형성된 받침부(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서부(170)는, 제1지지대(140)에 설치되고, 센서홈(172)을 갖는 센서(171)와; 센서홈(172)에 삽입되는 감지돌부(182)와; 감지돌부(182)와 나사결합되어 간지돌부(182)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축(182)과; 이동축(182)가 회동하도록 지지하고, 제2지지대(150)에 고정되는 고정체(174)와; 이동축(182)을 회전시키는 핸들(176)과; 이동축(182)의 외주에 설치되어, 감지돌부(182)를 밀어주는 스프링(1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서홈(172)은 "U"자형 요홈으로 형성되어 핸들(176)을 돌려 이동축(178)을 회동시키므로 함께 나사결합된 감지돌부(182)가 수평으로 이동되며, 이로부터 감지돌부(182)가 센서홈(172)에서 이동되어 제1,제2지지대(140)(150)의 벌림 정도에 따라 센서(171)의 감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제2지지대(140)(150)의 끝단부에 제3,제4회동축(144)(15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3,제4로울러(146)(154)를 지나는 스프(30)의 두께에 의해 제1,제2지지대(140)(150)의 벌어지는 량을 조절하여 스프(30)의 두께를 임의대로 세팅하여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탄성부(160)는, 제1지지대(140)에 고정된 지지판(165)과; 지지판(165)에 나사결합되고, 핸들(167)을 구비한 걸림부재(161)와; 걸림부재(161)의 끝단부에 걸려지고, 타단은 제2지지대(150)에 고정된 지지부재(164)에 걸려져서 제1,제2지지대(140)(150)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6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걸림부재(161)에는 나사 체결되어져 지지판(165)에 조여지므로 걸림부재(161)의 이동을 제어하는 너트부재(168)가 구비된다.
그리고, 두께검출부(100)에는, 스프(30) 이송시, 내용물이 없는 공피를 감지하는 공피감지부(130)가 더 구비된다.
공피감지부(130)는, 이동프레임(120)에 설치되는 제1회동축(122)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로울러(124)와; 이동프레임(120)에 수평으로 가이드되는 가이드부재(131)에 설치되는 제2회동축(132)에 회동가능하게 제1로울러(124)에 밀착 설치되는 제2로울러(134)와; 가이드부재(131)에 돌출된 고정돌부(194)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고정프레임(110)에 고정되어 제2로울러(134)를 제1로울러(124)에 밀착시키는 스프링(192)과; 제1,제2로울러를 통과하는 스프의 유무를 감지하는 공피감지센서(1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A)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의 피딩부와 커팅부 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피딩부의 제1가압부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4에 따른 커팅부의 제2가압부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의 피딩부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의 흡착당김부와 스프이송부의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딩부와 커팅부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A)는, 시일링부(32)에 의해 연이어져 있는 스프(30)를 회전 이송하는 피딩부(320), 피딩부(320)에 의해 이송된 스프(30)와 시일링부(32) 중에 스프는 통과하고 시일링부는 회전하는 커터(340)로 절단하는 커팅부(300), 커팅부(300)에 의한 시일링부(32)의 정확한 절단을 위해 시일링부(32)를 절단하기 전 스프(30)와 시일링부(32)를 진공 흡착 이송으로 당겨주어 장력을 제공하는 흡착당김부(400) 및 흡착당김부(400)의 하측에 밀착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흡착당김부(400)에 의해 흡착되고 커터(340)에 의해 시일링부(32)가 절단된 스프(30)를 이송 중인 라면에 정확하게 순차 공급하는 스프이송부(4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피딩부(320)는, 본체부(4)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321)와, 동력발생부(321)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22) 및 동력전달부(322)에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시일링부(32)와 스프(30)의 일 측면에 위치한 측면 시일링부(36)의 양측면을 밀착하여 이송하는 한 쌍의 당김로울러(328)(329)를 포함한다.
동력발생부(321)는, 모터 또는 서보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동력전달부(322)는, 동력발생부(321)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풀리(324)와, 구동풀리(324)에 감겨져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325)와, 벨트(325)에 맞물려서 어느 하나의 피딩로울러(328)에 구비되어 구동하는 피동풀리(326)와. 피동풀리(326) 내측의 어느 하나의 피딩로울러(328)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기어(327)와, 구동기어(327)에 치합되고 다른 하나의 피딩로울러(329)에 축 결합되어 한 쌍의 피딩로울러(328)(329)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하는 피동기어(323)를 포함한다.
벨트(325)는 타이밍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딩부(320)에는, 한 쌍의 당김로울러(328)(329) 중 어느 하나의 당김로울러(329)를 가압 또는 가압을 해제하여 스프(30)와 시일링부(32)의 측면에 형성된 측면 시일링부(36)의 밀착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1가압부(37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부(370)는 피딩로울러(329)의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모두 2개가 형성되어 한 쌍의 피딩로울러(329)(328)에 가압력을 균등하게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압부(370)는, 피딩로울러(329)를 지지하여 이동하도록 지지프레임(302)의 제1공간부(304)에 설치된 제1이동부재(372)와, 제1이동부재(372)를 가압하여 밀어주는 제1푸시부재(374)와, 제1푸시부재(374)를 가압하는 제1가압축(376)이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프레임(302)에 고정된 제1위치고정판(375)과, 제1이동부재(372)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제1가압축(376)의 끝단 나사부에 체결되어 조여주거나 풀어주어 제1가압축(376)을 동작하는 제1조임부재(378)와, 제1가압축(376) 주위에 설치되어 일단이 제1푸시부재(374)를 밀어주고, 타단이 제1위치고정판(375)에 지지되어 제1푸시부재(374)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스프링(377)을 포함한다.
제1위치고정판(375)은, 지지프레임(302)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379)에 의해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공간부(304)는 제1위치고정판(375) 방향으로 개방되어져 있다.
커팅부(300)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330)와, 동력발생부(330)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332) 및 동력전달부(332)에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스프(30)와 시일링부(32)중 시일링부(32)를 커팅하는 다수 개의 커터(340)가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한 쌍의 다각로울러(336)(344)를 포함한다.
동력발생부(330)는, 모터 또는 서보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전달부(332)는, 동력발생부(330)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기어(333)와, 구동기어(333)에 맞물려서 어느 하나의 다각로울러(336)를 구동하는 제1피동기어(334)와, 제1피동기어(334)에 맞물려서 다른 하나의 다각로울러(344)를 구동하는 제2피동기어(342)를 포함한다.
커터(340)는 좌측의 다각로울러(336)의 돌출홈부(338)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우측의 다각로울러(344)의 돌출홈부(345)에는 커터(340)가 받쳐지는 커터받침부재(34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설치 위치를 반대로 구성할 수도 있다.
커터(340)는 3개가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부(320)에는, 한 쌍의 다각로울러(336)(344) 중 어느 하나의 다각로울러(344)를 가압 또는 가압을 해제하여 시일링부(32)의 커팅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2가압부(38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가압부(380)는 다가로울러(344)의 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하나씩 모두 2개가 형성되어 한 쌍의 다각로울러(344)(336)에 가압력을 균등하게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가압부(370)는, 다각로울러(344)를 지지하여 이동하도록 지지프레임(302)의 제2공간부(306)에 설치된 제2이동부재(382)와, 제2이동부재(382)를 가압하여 밀어주는 제2푸시부재(384)와, 제2푸시부재(384)를 가압하는 제2가압축(386)이 슬라이딩되도록 지지프레임(302)에 고정된 제2위치고정판(385)과, 제2이동부재(382)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제2가압축(386)의 끝단 나사부에 체결되어 조여주거나 풀어주어 제2가압축(386)을 동작하는 제2조임부재(388)와, 제2가압축(386) 주위에 설치되어 일단이 제2푸시부재(384)를 밀어주고, 타단이 제2위치고정판(385)에 지지되어 제2푸시부재(384)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스프링(387)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위치고정판(385)은, 상기 지지프레임(302)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389)에 의해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프레임(302)는 본체부(4)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공간부(306)는 제2위치고정판(385) 방향으로 개방되어져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당김부(400)는, 본체부(4)에 설치되고, 동력발생부재(412)의 동력을 받아 피동풀리(422)를 구동하는 벨트부재(414)와, 피동풀리(422)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제1벨트이송로울러(430)와, 제1벨트이송로울러(430)에 의해 구동되고, 커팅된 스프(30)를 흡착공(434)으로 흡착하여 이송하는 흡착벨트(432)와, 흡착벨트(432)가 외측으로 구동되어 가이드되고, 흡착공(434)으로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구(436)가 구비된 흡착부재(440)를 포함한다.
흡착부재(440)는 저면으로 호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흡착부재(440)의 저면에는 흡착벨트(432)에 형성된 흡착공(434)를 통하여 절단된 스프(30)를 진공흡착하도록 이동하는 흡착공(434)과 연통되는 흡입구(43)가 호 중심방향으로 다수 형성된다.
벨트부재(414)에는 벨트부재(414)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접촉되는 롤러의 높낮이를 이용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4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흡착벨트(432)에는 흡착벨트(432)에 접촉되는 롤러를 이용하여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4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스프이송부(450)는 흡착당김부(400)의 하측에 밀착 이동되어 흡착당김부(400)에 의해 흡착되고, 커터(340)에 의해 시일링부가 절단된 스프를 이송 중인 라면에 정확하게 순차 공급한다.
스프이송부(150)는 제1피동풀리(422)로부터 설정 거리를 갖도록 배치되고, 벨트부재(414)에 감겨져 구동하는 제2피동풀리(452)와, 제2피동풀리(452)에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하고, 제1벨트이송로울러(43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벨트이송로울러(454)와, 제2벨트이송로울러(454)에 의해 무한궤도상으로 구동하고, 흡착벨트(432)에 흡착 이송되는 스프의 저면을 지지하는 상태로 흡착벨트(432)와 대응되는 속도로 스프(30)를 밀착 이동하는 스프공급벨트(456)를 포함한다.
스프이송부(450)의 스프공급벨트(456)는 흡착벨트(432)를 구동하는 동력발생부(412)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부재(414)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도록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별도의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흡착당김부(400)와 구동력을 분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벨트이송로울러(430)와 제2벨트이송로울러(454)는 반경과 원주 거리가 서로 같아서 마주보는 흡착벨트(432)와 스프공급벨트(456)의 이동속도가 같도록 해준다.
만약, 흡착벨트(432)와 스프공급벨트(456)의 이동속도가 서로 다르다면, 이 사이에서 밀착되거나 흡착되어 이동하는 스프(30)의 측면에 마찰력이 발생할 것이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스프공급벨트(456)의 저면에는 상하 높낮이를 조절함에 따라 스프공급벨트(456)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로울러(46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흡착벨트(432)에서 흡착이송되는 스프(30)의 저면은 스프공급벨트(456)가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상태로 이송하게 된다.
그리고, 제1벨트이송로울러(430)에서 흡착벨트(432)가 상측으로 감겨지더라도 스프(30)는 보조로울러(458) 까지 스프공급벨트(456)를 따라 이동하고, 비로서 스프공급벨트(456)가 보조로울러(458)에서 하측으로 감겨지면서 자유 낙하하여 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되는 흡착이송부재(12)에 의해 안치된 라면(20)에 정확하게 담겨지므로 낙하정확도가 증가하게 된다.
특히, 지유낙하시, 스프(30)가 걸리는 부분이 없으므로 종래와 달리 낙하되지 못하는 스프(30)가 발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를 구비한 고속 스프공급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진입로울러(40)를 거쳐 시일링부(32)에 의하여 연결된 스프(30)를 공급로울러(50)로 이송하도록 한다.
공급로울러(50)에는 스프(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52)이 형성되어져 있으며, 이탈이 방지된 스프(30)는 두께검출부(100)의 제1,제2로울러(124)(134)를 거쳐 이동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검출부(100)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두께검출부(100)의 제1,제2이동로울러(124)(134)를 스프(30)와 시일링부(32)가 번갈아서 이동하므로 이동프레임(120)에 대하여 가이드부재(131)가 좌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고정돌부(194)와 고정프레임(110)에 고정된 스프링(192)에 의하여 벌려진 가이드부재(131)를 원상 복귀시키게 된다.
한편, 스프(30)와 시일링부(32)가 번갈아가면서 이동하다가 스프(30)가 들어 있지 않는 공피 부분이 발생되는 경우, 스프(30)의 두께가 없는 공피임을 공피감지센서(136)가 감지하여 내고, 조작부(6)내에 구비된 콘트롤러에서 알람신호를 발생하거나 고속 스프공급장치를 정지하는 등의 조처를 취하게 된다.
스프(30)가 없는 공피가 그대로 라면(20)에 공급되는 경우, 소비자가 스프가 없는 라면을 구입하여 먹게 되는 불량품을 양산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제2로울러(124)(134)를 지난 스프(30)와 시일링부(32)는 제3,제4로울러(146)(154)를 거치면서, 스프(30)가 통과하면 제1,제2지지대(140)(150)가 회전축(142)을 기준으로 벌려지게 되고, 시일링부(32)가 통과하면 제1,제2지지대(140)(150)가 거의 벌려지지 않게 된다.
즉, 제3,제4로울러(146)(154)를 스프(30)가 지나게 되면, 스프(30)의 두께로 인하여 제1,제2지지대(140)(150)가 벌려지고, 제1,제2지지대(140)(150)에 설치된 센서(171)가 감지돌부(182)의 이동상태를 파악하여 스프(30)가 지나가는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이때, 스프(30)의 두께가 감지될 경우, 후속하는 다각로울러(366)에 설치된 커터(340)의 시일링부(32) 커팅위치와 일치하도록 다각로울러(366)를 구동시키는 동력발생부재(330)을 제어하게 된다. 이 두께감지부(100)는 시일링부(32)에 마크부(34)가 없는 경우에만 사용하도록 작업하기 전 미리 마크부(34)의 유무를 조작부(6)에 미리 세팅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제2,제3,제4로울러(124)(134)(146)(154)의 높낮이를 조절하고자하는 경우에는 높이조절핸들(184)를 원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일체로 결합된 나사축(191)이 돌출부(112)에서 회동되어져 나사부(211)와 체결된 이동프레임(120)이 고정프레임(110)에 대하여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가 조절된다.
계속하여, 두께검출부(100)를 지난 스프(30) 및 시일링부(32)를 한 쌍의 가이드로울러(272)의 사이를 통해 하측으로 공급한다.
한편, 한 쌍의 가이드로울러(272)의 사이에는 마크감지센서(278)가 설치되어져서 시일링부(32)에 마크부(34)가 있는 경우, 감지하여서 후속하는 피딩로울러(329)와 다각로울러(336)를 구동하는 동력발생부재(320)(330)를 각각 제어하여서 다각로울러(336)에 설치된 커터(340)의 위치가 정확하게 시일링부(32)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마크감지센서(278)는 두께감지부(100)의 센서(171)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시일링부(32)에 마크부(34)가 있는 경우에는 마크감지센서(278)를 인용하고, 마크부(34)가 없는 경우에는 두께감지부(100)의 센서(171)를 이용하도록 한다.
마크감지센서(278)와 두께감지부(100)의 센서(171)의 사용 여부는 조작자가 스프(30)의 시일링부(32)에 마크부(34)가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보고 판단한 후, 조작부(6)에 신호를 입력하므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프 커팅이송장치(A)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크감지센서(278)를 지난 스프(30) 및 시일링부(32)는 동력발생부(320)에 의해 구동하는 동력전달부(322)인 구동풀리(324), 벨트(325)와 피동풀리(326)에 의하여 당김로울러(328)(329)를 구동하여 시일링부(32)와 스프(30)의 측면에 구비되는 측면 시일링부(34)를 잡아당겨 이송하도록 한다.
피딩로울러(328)(329)의 마찰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표면에는 너어링 돌출부를 형성하도록 한다.
피딩로울러(328)(329)가 측면 시일링부(34)를 잡아당기는 힘에 의하여 이동된 스프(30) 및 시일링부(32)는 동력발생부(330)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기어(333), 제1피동기어(334) 및 제2피동기어(342)에 의해 다각로울러(336)(344)가 마주보면서 회동하게 되고, 3개의 돌출홈부(338)(345)에 각각 설치된 커터(340) 및 커터(340)를 받쳐주는 커터받침부재(346)가 회동하면서 1회전에 3번의 시일링부(32) 커팅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종래에는 커터가 일일히 한 번씩 작동하여 커팅하므로 커팅작업이 늦어지는 데 반하여, 본 발명은 회전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회전속도에 따라 커팅작업이 고속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지닌다.
커터(340)는 톱니처럼 형성된 웨이브(WAVE)형 커터를 사용하므로 시일링부(32)의 커팅부분이 톱날형상으로 커팅되어 사용자가 스프(30)를 개봉할 때, 톱날 홈부분이 절개되므로 스프(30)가 잘 절개되어져 소비자에게 사용상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당김로울러(328)(329)와 한 쌍의 다각로울러(336)(344)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제2가압부(370)(380)의 사용 상태를 살펴본다.
먼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당김로울러(328)(329)와 한 쌍의 다각로울러(336)(344)의 간격을 좁혀주고자 한다면, 제1,제2가압축(376)(386)에 체결된 제1,제2조임부재(378)(388)를 풀어주게 되면, 제1,제2가압축(376)(386)이 풀어지면서 제1,제2스프링(377)(387)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제2푸시부재(374)(384)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제2이동부재(372)(382)를 밀어준다.
따라서, 제1,제2이동부재(372)(382)에 고정된 당김로울러(329)와 다각로울러(344)가 접촉한 다른 당김로울러(328)와 다각로울러(336) 측으로 이동하여 밀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한 쌍의 당김로울러(328)(329)와 한 쌍의 다각로울러(336)(344)의 간격을 넓혀주고자 한다면, 제1,제2가압축(376)(386)에 체결된 제1,제2조임부재(378)(388)를 잠궈주게 되면, 제1,제2가압축(376)(386)이 당겨지면서 제1,제2스프링(377)(387)이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제1,제2가압축(376)(386)와 같이 제1,제2푸시부재(374)(384)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1,제2이동부재(372)(382)의 가압력을 완화시킨다.
따라서, 제1,제2이동부재(372)(382)에 고정된 당김로울러(329)와 다각로울러(344)가 접촉한 다른 당김로울러(328)와 다각로울러(336) 측에 떨어지므로 밀착력을 완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커팅이 이루어지기 바로 전의 스프(30)는 다각로울러(344)의 풀리(365) 및 벨트(261)로 회전되는 밀착로울러(362)의 밀착솔(364)에 의해 흡착벨트(432)의 표면에 잘 흡착되도록 밀착되어 시일링부(32)가 팽팽하게 당겨지는 것을 도와주는 역활을 한다. 물론, 시일링부(32)의 커팅이 이루진 스프(30) 역시 진공흡착되는 것을 도와주는 역활을 수행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솔(364)에 의해 밀착된 스프(30)는 흡착부재(440)의 흡입구(436)로 흡입된 공기에 의해 흡착벨트(432)의 흡착공(434)에 흡착되어 흡착벨트(432)의 이동에 따라 하측으로 이송된다.
흡착벨트(432)를 구동하는 제1벨트이송로울러(430)는 동력발생부재(412)의 동력과, 벨트부재(414)의 동력전달에 의해 회전하는 피동풀리(422)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한편, 흡착당김부(400)의 저면에는 스프이송부(450)가 구비되어 있으며, 흡착벨트(432)에 의하여 하측으로 이송하는 스프(432)의 저면을 스프공급벨트(456)가 받쳐주는 상태로 흡착벨트(432)와 동일 속도로 이송한다.
그리고, 스프공급벨트(456)가 회전하다가 보조벨트(458)에서 감겨지는 순간 스프(30)를 더 이상 받쳐 주지 못하므로 자중에 의하여 스프가 하측으로 낙하되고, 컨베이어(10)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부재(12)에 안치된 라면(20)에 놓여 지고 후속하는 포장공정으로 이송된다.
스프이송부(450)의 스프공급벨트(456)는 흡착벨트(432)를 구동하는 동력발생부(412)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부재(414)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하도록 구성되지만, 필요에 따라 별도의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흡착당김부(400)와 구동력을 분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거치면서 스프(30) 및 시일링부(32)를 연속 공급하고, 시일링부(32)를 고속으로 커팅하여 스프(30)를 고속으로 공급하여 종래와 달리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4 : 본체부 10 : 컨베이어
20 : 라면 30 : 스프
32 : 시일링부 34 : 마크부
40 : 진입로울러 50 : 공급로울러
100 : 두께검출부 110 : 고정프레임
112 : 돌출부 120 : 이동프레임
124 : 제1로울러 130 : 공피감지부
134 : 제2로울러 136 : 공피감지센서
140 : 제1지지대 142 : 회전축
146 : 제3로울러 150 : 제2지지대
154 : 제4로울러 160 : 탄성부
162 : 스프링 164 : 지지부재
165 : 지지판 170 : 센서부
300 : 커팅부 320,330 : 동력발생부
322,332 : 동력전달부 338,345 : 돌출홈부
340 : 커터 336,344 : 다각로울러
370 : 제1가압부 371 : 제1푸쉬부재
381 : 제2푸쉬부재 400 : 흡착당김부
414 : 벨트부재 430 : 제1벨트이송로울러
440 : 흡착부재 450 : 스프이송부
454 : 제2벨트이송로울러 456 : 스프공급벨트
458 : 보조롤러 460 : 장력조절로울러

Claims (13)

  1. 시일링부에 의해 연이어져 있는 스프를 회전 이송하는 피딩부;
    상기 피딩부에 의해 이송된 스프와 시일링부 중에 상기 스프는 통과하고 상기 시일링부는 회전하는 커터로 절단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에 의한 시일링부의 정확한 절단을 위해 시일링부를 절단하기 전 스프와 시일링부를 진공 흡착 이송으로 당겨주어 장력을 제공하는 흡착당김부; 및
    상기 흡착당김부의 하측에 밀착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흡착당김부에 의해 흡착되고 상기 커터에 의해 시일링부가 절단된 스프를 이송 중인 라면에 정확하게 순차 공급하는 스프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팅부는,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스프와 시일링부 중 시일링부를 커팅하는 다수 개의 커터가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한 쌍의 다각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는, 본체부에 설치되고,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부와;
    상기 동력발생부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전달받은 동력으로 시일링부와 스프의 일 측면에 위치한 측면 시일링부의 양측 면을 밀착하여 이송하는 한 쌍의 피딩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발생부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에 감겨져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와;
    상기 벨트에 맞물려서 어느 하나의 상기 피딩로울러의 축에 구비되어 구동하는 피동풀리와;
    상기 피동풀리 내측의 어느 하나의 상기 피딩로울러에 축 결합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치합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피딩로울러에 축 결합되어 한 쌍의 피딩로울러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하는 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에는, 상기 한 쌍의 당김로울러 중 어느 하나의 당김로울러를 가압 또는 가압을 해제하여 시일링부의 밀착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1가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부는, 상기 당김로울러를 지지하여 이동하도록 지지프레임의 제1공간부에 설치된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1이동부재를 가압하여 밀어주는 제1푸시부재와;
    상기 제1푸시부재를 가압하는 제1가압축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제1위치고정판과;
    상기 제1이동부재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1가압축의 끝단 나사부에 체결되어 조여주거나 풀어주어 상기 제1가압축을 동작하는 제1조임부재와;
    상기 제1가압축 주위에 설치되어 일단이 제1푸시부재를 밀어주고, 타단이 제1위치고정판에 지지되어 제1푸시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발생부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서 어느 하나의 상기 다각로울러를 구동하는 제1피동기어와;
    상기 제1피동기어에 맞물려서 다른 하나의 상기 다각로울러를 구동하는 제2피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에는, 상기 한 쌍의 다각로울러 중 어느 하나의 다각로울러를 가압 또는 가압을 해제하여 시일링부의 커팅 가압력을 조절하도록 하는 제2가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압부는, 상기 다각로울러를 지지하여 이동하도록 지지프레임의 제2공간부에 설치된 제2이동부재와;
    상기 제2이동부재를 가압하여 밀어주는 제2푸시부재와;
    상기 제2푸시부재를 가압하는 제2가압축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제2위치고정판과;
    상기 제2이동부재를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제2가압축의 끝단 나사부에 체결되어 조여주거나 풀어주어 상기 제2가압축을 동작하는 제2조임부재와;
    상기 제2가압축 주위에 설치되어 일단이 제2푸시부재를 밀어주고, 타단이 제2위치고정판에 지지되어 제2푸시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
  10. 제 5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위치고정판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체결되는 다수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당김부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동력발생부재의 동력을 받아 피동풀리를 구동하고, 상기 스프이송부를 함께 구동하는 벨트부재와;
    상기 피동풀리에 일체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제1벨트이송로울러와;
    상기 제1벨트이송로울러에 의해 구동되고, 커팅된 스프를 흡착공으로 흡착하여 이송하는 흡착벨트와;
    상기 흡착벨트가 외측으로 구동되어 가이드되고, 흡착공으로 공기를 진공으로 흡입하도록 흡입구가 구비된 흡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이송부는
    상기 제1피동풀리에서 설정 거리를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벨트부재에 감겨져 구동하는 제2피동풀리와;
    상기 제2피동풀리에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1벨트이송로울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벨트이송로울러와;
    상기 제2벨트이송로울러에 의해 무한궤도상으로 구동하고, 상기 흡착벨트에 흡착 이송되는 스프의 저면을 지지하는 상태로 흡착벨트와 대응되는 속도로 스프를 밀착 이동하는 스프공급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당김부의 흡착벨트에는 높낮이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프이송부의 공급벨트에는 높낮이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로울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 커팅이송장치.
KR1020100073399A 2010-07-29 2010-07-29 스프 커팅이송장치 KR101210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399A KR101210574B1 (ko) 2010-07-29 2010-07-29 스프 커팅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399A KR101210574B1 (ko) 2010-07-29 2010-07-29 스프 커팅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538A KR20120011538A (ko) 2012-02-08
KR101210574B1 true KR101210574B1 (ko) 2012-12-11

Family

ID=4583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399A KR101210574B1 (ko) 2010-07-29 2010-07-29 스프 커팅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5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231A (ko)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다온콘트롤 파우치 커팅기의 오절단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8256B1 (ko) * 2011-08-16 2013-03-27 정효상 진공이송부가 구비된 이송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2267A (ja) 2005-04-05 2006-10-19 Ishida Engineering:Kk 連続小袋の切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2267A (ja) 2005-04-05 2006-10-19 Ishida Engineering:Kk 連続小袋の切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9231A (ko)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다온콘트롤 파우치 커팅기의 오절단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538A (ko) 201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891B1 (ko) 고속 스프공급장치
CN108910187B (zh) 一种智能包装一体机
CN106240902B (zh) 一种基于封切包装机的薄膜封切包装方法
KR0152544B1 (ko) 포장방법 및 그 장치
KR101979660B1 (ko) 자동 포장장치
CN110745297A (zh) 一种基于自动化的食品包装封口装置
CN112278965B (zh) 一种束带机
US10913563B2 (en) Method of operating an apparatus for applying drinking straws to packaging containers and an apparatus operated by the method
KR101210574B1 (ko) 스프 커팅이송장치
CN210653738U (zh) 一种便于更改装包质量的定量膜式包装机
CN113247361A (zh) 一种垃圾袋卷包装机
CN216378640U (zh) 一种带有压边定位机构的编织袋用缝纫机
CN105691694A (zh) 一种彩珠筒外包装薄膜裹包机
CN106240972A (zh) 一种双层纸包装机
KR101177828B1 (ko) 스프 밀착이송장치
KR101335574B1 (ko) 스프 분배 공급장치
US56851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supplying product to an intermittently operating vacuum packaging machine
JP2004182302A (ja) 帯体取付装置および製袋包装機
CA2998302C (en) Sheet product supplying apparatus
KR20070018565A (ko) 포장장치
CN105583868B (zh) 一种定量切割机
CN211618268U (zh) 一种基于自动化的食品包装封口装置
KR20150001554A (ko) 식품 자동정렬 진공포장장치
KR200475934Y1 (ko) 견과류 공급 제어장치
KR101204785B1 (ko) 냉장육 슬라이서의 냉장육 상부 가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