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628B1 - 이동통신 시스템, 및,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 및,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628B1
KR101177628B1 KR1020107017461A KR20107017461A KR101177628B1 KR 101177628 B1 KR101177628 B1 KR 101177628B1 KR 1020107017461 A KR1020107017461 A KR 1020107017461A KR 20107017461 A KR20107017461 A KR 20107017461A KR 101177628 B1 KR101177628 B1 KR 101177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connection
identification code
call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2699A (ko
Inventor
야스유키 혼다
다로 오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00102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229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i.e. services related to one subscriber independent of his terminal and/o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40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 H04W12/45Security arrangements using identity modules using multiple identity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04W12/72Subscriber ide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입자의 의지에 기초하여, 단말장치에의 착신시에 그 착신 요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식별부호와 상기 단말장치의 재권 상황에 따라서, 착신 규제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적용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를 실현한다. 주통신 사업자가 운용하는 망으로서의 자망에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0)를 설치하고, 여기에 가입자 정보와, 상기 단말장치에의 접속 요구가 부가입자 식별부호를 접속 대상으로 하여 발생한 경우의 접속허용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를 유지한다. 호처리 장치{310(320)}에서는 유지된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에 기초하여 호접속 제어를 실행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 및,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SUBSCRIBER PROFILE HOLDING DEVICE}
본 발명은,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해 기본 계약의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가입자 식별부호(예를 들면 전화번호)와 다른 통신 사업자에 대응하는 가입자 식별부호와의 복수의 가입자 식별부호가 자단말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가입자 식별부호로서 할당되는 것이 허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1대의 휴대정보 단말장치(휴대전화기 등)에 대해서 복수의 전화번호의 할당을 받아, 가입자가 그 사용 목적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는 이미 상응하는 보급을 보기에 이르고 있다.
상술과 같은 서비스에서는, 하나의 통신 사업자와의 기본 계약에 의해서 당해 단말장치에 할당된 전화번호 외에 같은 통신 사업자와의 기본 계약에 관한 부대적 계약에 따라서 다른 전화번호의 교부를 접수 유저가 적절히 구분하여 사용한다고 하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동시에는 1회선에 대응하여 기능하는 단말장치에 복수의 다른 통신 사업자에 의한 전화번호를 할당하여 이용하는 서비스가 일부에서 이미 실시되기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에서는, 예를 들면, 국내에서, 기본 계약에 관한 주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주가입자 식별부호(주가입자 전화번호) 외에, 해외의 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부가입자 식별부호(부가입자 전화번호)를 이용 가능한 부대 계약이 가능하고, 국내에서 착신하는 경우와, 상기와 같은 계약이 있는 국외에서 착신하는 경우에 따라서 각각 전화번호를 구분하여 사용한다고 하는 이용의 방법이 가능하다.
상술과 같은 경우, 예를 들면 대지(對地) 통신 사업자가 운용하는 망에 로밍아웃한 것과 같은 경우에도, 당해 나라의 특정의 대지 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이 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이용할 수 있는 계약을 해두고, 그 특정의 대지 통신 사업자의 운영하는 망으로 착신하여 단말장치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국내에서 이용하는 전화번호를 그대로 당해 나라에서 사용하여 착신의 접속을 받는 것보다도 통화료가 저렴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단일의 단말장치에서 복수의 가입자 식별부호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서비스에 관련하여, 이미 여러 가지의 제안이 있다.
예를 들면, 1대의 이동통신 단말에 복수의 착신 번호를 부여하는 방식에 있어서도, 이용자에게, 보다 간편하고 적절히 착신 번호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단말장치가 착신을 받아들이지 않는 지역정보에 대응하는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 지역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단말로부터 그 단말장치에 발호 (發呼)되어도, 그 단말장치에의 착호를 억제한다고 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전화번호에 관한 이중 서비스를 실시하는데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여, 착신 규제나 착신 전송의 접속을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게다가,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 단말에의 착신의 전송 방식에 관하여, 전송처나 전송조건 등의 변경을 그때마다 등록하는 일 없이 이동 단말의 위치에 따라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에 관한 제안이 있다(특허문헌 3 참조).
또한, 피호자(被呼者)가 외국으로 이동하고 있는 경우에 피호자와 통화를 개시하기 전에 그 취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착신측 정보 표시 시스템의 제안이 있다(특허문헌 4 참조).
특허문헌 4에 명시된 기술에 의하면, 제1국으로부터 제2국으로 이동한 통신단말에 발호 했을 때에 호접속 전 통지수단에 의해서 호의 접속 전에 그 발호자에게 이 추가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통화요금이 예상했던 것보다도 높아진다고 하는 이유로 전화를 거는 것을 중지하거나, 전자메일의 송신으로 전환하는 등의 대응을 취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18657호 공보(요약, 단락 0005 등)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5-122349호(요약 등)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8-163640호(요약 등)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4-48460호(요약, 단락 0007 등)
상술의 어느 문헌에도, 단말장치에의 착신에 관한 접속 요구의 대상이 되어 있는 식별부호(예를 들면 전화번호)와 상기 단말장치의 재권(在圈)상황에 따라서, 가입자(유저)의 의사에 따른 호접속 제어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사상은 개시되지 않고, 또한, 이러한 점을 기술 과제로 하는 것과 같은 시점을 시사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지 않다.
본안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착신 요구의 대상이 되어 있는 식별부호와 상기 단말장치의 재권상황에 따라서, 가입자의 의사에 적합한 형태에서의 호접속 제어를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적용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본원에서는 다음에 열기(列記)하는 시스템 및 장치를 제안한다.
(1)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해 기본 계약에 관한 주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주가입자 식별부호와 부대 계약에 관한 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부가입자 식별부호와의 복수의 가입자 식별부호가 자단말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가입자 식별부호로서 할당되는 것이 허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주통신 사업자가 운용하는 망에 설치되어 가입자 정보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단말장치에의 접속 요구가 상기 부가입자 식별부호를 접속 대상으로 하여 발생한 경우의 가입자에 있어서의 접속의 승낙여부에 관한 접속허용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를 유지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와,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에 유지된 상기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에 관한 호접속 제어를 실행하는 호(呼)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상기 (1)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해 기본 계약에 관한 주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주가입자 식별부호와 부대 계약에 관한 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부가입자 식별부호와의 복수의 가입자 식별부호가 자단말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가입자 식별부호로서 할당되는 것이 허용된다.
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와 호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호처리 장치는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에 유지된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에 관한 호접속 제어를 실행한다.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는, 주통신 사업자가 운용하는 망에 설치되어, 가입자 정보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단말장치에의 접속 요구가 상기 부가입자 식별부호를 접속 대상으로 하여 발생한 경우의 가입자의 의사에 기초하는 접속의 승낙여부에 관한 접속허용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를 유지한다.
상술의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는, 예를 들면, 상기 접속에 이용하는 것이 예정된 단말장치의 식별부호와 재권상황 등에 따라서, 가입자의 의사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는 것이고, 따라서, 호처리 장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에 유지된 상술과 같은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에 의거하여, 가입자의 의사가 반영된 호접속 제어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2)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해 기본 계약에 관한 주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주가입자 식별부호와 부대 계약에 관한 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부가입자 식별부호와의 복수의 가입자 식별부호가 자단말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가입자 식별부호로서 할당되는 것이 허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접속 제어를 실행하는 호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호접속 제어를 위해서 참조되는 소정의 데이터를 보유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로서,
상기 주통신 사업자가 운용하는 망에 설치되고, 가입자 정보를 상기 호처리 장치로부터 참조 가능하게 유지하는 가입자 정보 유지부와, 상기 단말장치에의 접속 요구가 상기 부가입자 식별부호를 접속 대상으로 하여 발생한 경우의 접속허용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를 상기 호처리 장치로부터 참조 가능하게 유지하는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
상기 (2)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는,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해 기본 계약에 관한 주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주가입자 식별부호와 부대 계약에 관한 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부가입자 식별부호와의 복수의 가입자 식별부호가 자단말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가입자 식별부호로서 할당되는 것이 허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된다.
상술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에는,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접속 제어를 실행하는 호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호접속 제어를 위해서 참조되는 소정의 데이터가 보유되고 있다.
즉,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는, 가입자 정보를 유지하는 가입자 정보 유지부와, 상기 단말장치에의 접속 요구가 상기 부가입자 식별부호를 접속 대상으로 하여 발생한 경우의 가입자의 의사에 기초하는 접속의 승낙여부에 관한 접속허용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를 유지하는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의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는, 예를 들면, 상기 접속에 이용하는 것이 예정된 단말장치의 식별부호와 재권상황 등에 따라서, 가입자의 의사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들 가입자정보 유지부 및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 유지부에 있어서 유지된 데이터는, 상기 호처리 장치가 호접속 제어를 실시하는 데 있어서 참조된다.
이러한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가 설치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호처리 장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에 유지된 상술과 같은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 의거하여, 가입자의 의사가 반영된 착신 규제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3) 상기 (2)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기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접속 요구에 관한 접속 형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접속 허용의 가부를 판정하는 접속 허용 판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유지장치.
상기 (3)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에서는, 그 접속 허용 판정부에 있어서, 상기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 유지부에 유지된 접속허용 조건을 나타내는 데이터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접속 요구에 관한 접속 형태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접속 허용의 가부가 판정되어, 정확하게 가입자의 의사가 반영된 착신 규제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다.
(4) 상기 (2)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기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 유지부는, 상기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로서 가입자의 임의에 의한 선택적인 설정에 따라 형성된 데이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
상기 (4)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가이드 메세지에 의한 대화 형식의 유저 인터페이스 등을 이용하여 가입자의 임의에 의한 선택적인 설정에 따라 접속허용 조건을 나타내는 데이터가 형성되어 있고, 이 때문에, 가입자의 의사가 정확하게 반영된 자동 착신 규제가 행하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착신 요구의 대상이 되어 있는 식별부호와 상기 단말장치의 재권상황에 따라서, 가입자의 의사에 적합한 형태에서의 호접속 제어를 자동적으로 실행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적용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가 실현된다.
[도 1]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로서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 도 1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호접속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5]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호접속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6]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또 다른 호접속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7]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또 다른 호접속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술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을 분명하게 한다. 한편, 이하에 참조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편의상, 설명의 주제가 되는 주요부는 적절히 과장하고, 주요부 이외에 대해서는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개요)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로서의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로서의 이동통신 시스템(10)은,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0)와, 호처리 장치(310 및 320)를 포함한 네트워크로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해 기본 계약에 관한 주통신 사업자의 관리하에 있는 네트워크를 적절히 자망(自網)이라 칭호한다.
이 이동통신 시스템(10)은, 그 네트워크에 수용되어 있다, 혹은, 그 네트워크의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복수의 단말장치(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101 및 102) 사이에서의 호의 설정 및 해제를 제어하는 동시에, 이하에 설명하는 특징적 기능을 영위한다.
특히 이 이동통신 시스템(10)에서는, 하나의 단말장치(예를 들면 휴대전화기)(101,102)에 대해 기본 계약에 관한 주통신 사업자(즉, 상술의 자망을 운영하는 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주가입자 식별부호와 부대 계약에 관한 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부가입자 식별부호와의 복수의 가입자 식별부호가 자단말장치{(예를 들면 휴대전화기(101 또는 102)}를 나타내기 위한 가입자 식별부호로서 할당되는 것이 허용된다.
여기에 가입자 식별부호는, 예를 들면, 전화번호 혹은 메일 어드레스로서 할당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이동통신 시스템(10)에서는, 현행 시스템의 HLR(Home Location Register)에 대략 상당하는 통신설비를 이루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 (200)내에 가입자 정보 유지부(210) 및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 유지부(271)가 실장되어 있다.
한편, 호처리 장치(310)는, 예를 들면, 관문 교환기와 같이, 다른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망과 자망내의 각 노드와의 접속을 행하도록 설치되고, 호처리 장치 (320)는, 이 하위에 복수의 기지국 내지 기지국 제어장치가 접속되고, 자망내에서의 이동통신을 조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0)에는, 가입자 정보 유지부(210), 재권통신 사업자 판정부(220), 통지 기회 판정부(230), 식별부호 통지 상태 갱신 처리부 (240), 식별부호 통지 지시부(250), 가입자 정보 응답부(260), 접속 허용 판정부 (270), 및, 접속 가부 지시부(280)가 설치되어 있다.
가입자 정보 유지부(210)에는 가입자가 할당되어 있는 가입자 식별부호를 유지하는 가입자 식별부호 유지장치(211)가 실장되어 있다.
가입자 정보 유지부(210)에는, 가입자 식별부호 유지장치(211)에 유지된 이미 서술된 바와 같은 가입자 식별부호(전화번호 혹은 메일 어드레스 등)가, 하나의 가입자의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해서 복수 할당되는 것이 허용되는 형태로 유지되는 것 외, 서비스 계약에 관한 소정의 가입자 정보가 유지된다.
재권통신 사업자 판정부(220)는, 단말장치가 재권하는 영역을 조달하는 설비 (예를 들면 기지국 장치 및 상위 노드 등)를 운영하는 통신 사업자를 판정한다.
통지 기회 판정부(230)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조건에 합치했을 때에, 복수의 식별부호의 이용 계약을 체결하고 있는 해당하는 단말장치에 대해서 자(自)장치의 식별부호를 통지할 기회의 도래를 인식한다.
식별부호 통지 상태 갱신 처리부(240)는, 해당하는 단말장치에 대한 식별부호의 통지 상태를 거쳐 경시적으로 감시하여 적절한 시간적 간격을 유지하면서 식별부호의 통지가 반복하여 실행되도록, 식별부호의 통지가 일단 실행된 이후는, 기본 계약의 통신 사업자가 운영하는 네트워크에의 상기 단말장치의 재권복귀가 검지될 때까지 통지 기회 도래의 인식 형성을 억제하고, 예를 들면, 재권복귀가 검지되었을 때에 통지 완료의 이력을 갱신한다.
식별부호 통지 지시부(250)는, 해당하는 단말장치에 대한 식별부호의 통지를 행하는 조건이 만족된 상태에 있다고 판정될 때 식별부호의 통지를 지시한다.
가입자 정보 응답부(260)는, 외부로부터의 가입자 정보의 조회에 응답하여 가입자 정보를 공급한다.
접속 허용 판정부(270)는, 서비스 계약에 비추어 상기 착신의 접속이 허용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접속 허용 판정부(270)에 설치된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 유지부(271)에 설정 등록되어 유지된 접속허용 조건에 비추어 실행된다.
접속 가부 지시부(280)는, 접속 허용 판정부(270)에 있어서의 상기 착신의 접속이 허용되는지 아닌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접속의 가부를 지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의 개요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 중, 오른쪽 위의 서클은, 가입자(그 단말장치)에 관한 기본 계약에 관한 통신 사업자 d의 망(네트워크)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기본 계약에 관한 통신 사업자의 망(11)을 적절히 '자망'이라 칭호한다.
단말장치(102)에는 자망(11)의 통신 사업자 d가 발행원이 되어 있는 기본 계약 번호(즉, 주가입자 식별부호)로서의 식별부호 D가 할당되는 동시에, (예를 들면 해외의) 다른 통신 사업자 a가 발행원이 되어 있는 부대 계약 번호(즉, 부가입자 식별부호)로서의 식별부호 A가 할당되어 있다.
식별부호 A의 발행원이 되어 있는 다른 통신 사업자(이하의 설명에서는 적절히 '대지 통신 사업자'라 칭호 한다) a가 운영하는 대지 통신 사업자망(12)은, 도면 중, 왼쪽 아래의 서클로 개념적으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면 중, 왼쪽 위의 서클은, 발신원의 단말장치(101)가 재권하는 다른 통신 사업자 b의 망(13)이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 단말장치(101)가 이곳으로부터 발신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고, 이 망(13)을 적절히 '발망'(發網)이라 칭호한다.
한편, 도면 중, 오른쪽 아래의 서클은, 상술의 단말장치(102)가 이동하여 재권하는 다른 통신 사업자 c의 망(14)이다.
자망(11)은, 예를 들면 교환기의 형태를 취하는 호처리 장치(1101), 예를 들면 HLR의 형태를 취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 및, 도시 생략된 무선계의 통신설비를 포함한 이동통신설비(121)가 설치되고, 이 이동통신설비(121)에 의해서 이동통신 서비스가 조달되지만, 각 망에 있어서 이것들은 통상의 망의 설비와 같이, 도시와 같은 상징적인 표기에 머물러 있다.
한편, 이 도 3에 있어서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0)에 상응한다.
마찬가지로, 대지 통신 사업자망(12)에는 이동통신설비(122)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것에는 호처리 장치(1201) 및 호처리 장치(1202)가 포함된다. 이들 호처리 장치(1201) 및 호처리 장치(1202)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호처리 장치(310) 및 호처리 장치(320)에 상응하는 것이다.
발망(13)에는 이동통신설비(123)가, 망(14)에는 이동통신설비(124)가 각각 설치되고, 이동통신 서비스가 조달된다.
지금, 발망(13)에 재권하는 단말장치(101)로부터의 발신에 관해서, 단말장치 (102)가 망(12)에 재권하는 상태에 있어서 이 단말장치(102)에서 착신을 받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착신시에 통신 사업자 d가 발행원이 되는 식별부호 D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단말장치(102)가 자망(11) 외에 있을 때는, 현행의 이 종류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규약에 준거하여, 그 재권의 여하에 의하지 않고 발망(13)으로부터 자망(11)에의 접속 경로(R11)를 경유하게 된다.
즉, 통신 사업자 a의 망(12)에 재권하고 있어도, 식별부호 A가 아니라 D로 착신을 받을 때는 접속 경로(R10)가 아니라 접속 경로(R11)와 접속 경로(R12)를 거치게 된다.
한편, 단말장치(102)에서, 대지 통신 사업자망(12)을 운영하는 통신 사업자 a가 발행원이 되어 있는 식별부호 A에서 착신을 받는 경우에는, R10에서 나타내는 접속 경로에서, 발망(13)으로부터 망(12)으로 자망(11)을 통하지 않고 접속이 이루어져, 통화에의 과금은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된다. 즉, 식별부호 D에서 착신을 받는 것보다도, 식별부호 A에서 착신을 받는 쪽이 단말장치(102)에서의 착신은 염가로 실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발망(13)에 재권하는 단말장치(101)로부터의 발신에 관해서, 단말장치(102)에 의해, 착신용으로 식별부호 A가 이용되면서도, 식별부호 A의 발행원인 대지 통신 사업자망(12)에 재권하는 상태에 없고, 예를 들면, 통신 사업자 d의 망 (11)이나 통신 사업자 c의 망(14)에 재권하고 있는 경우에는, 통신 사업자 a의 망(12) 경유에서의 접속 경로가 강제적으로 채용되기 때문에, 통신에 대한 과금은 상대적으로 고액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착신에 관한 경로는, 경우에 따라서, 최단 경로는 아니고 감히, 예를 들면, 접속 경로(R11)와 접속 경로(R12)를 거치는 경우가 있지만, 현행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접속 경로(R11)에 관한 통화요금은 발신원의 단말장치 (101)측에 대해 과금되지만, 접속 경로(R12)에 관해서는 착신측의 단말장치(102)에 대해서 과금된다.
이 경우, 착신측의 단말장치(102)의 가입자에게 있어서는 스스로 의도하지 않는 과금이 부주의하게 발생하게도 되어, 이러한 착신을 바라지 않는 가입자도 적지 않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이, 단말장치의 재권상황과 착신시에 적용하는 식별부호의 발행원의 통신 사업자가 어느 쪽인가에 따라서 착신을 접속하는 것에 대한 가부가 가입자의 의사가 반영된 호접속 제어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단적으로는, 가입자가 미리 착신의 접속을 허용하는 조건을 설정하여 자망 (11)(그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에 등록해 두는 것에 의해, 이 조건을 충족하는 착신만이 접속되도록, 호접속 제어가 실행된다.
상술의 호접속 제어는, 기술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0)와 호처리 장치(400)와의 제휴에 의해서 영위된다.
즉, 접속 요구에 관한 상기 접속의 상황을, 기술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에 있어서의 접속 허용 판정부(270)의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 유지부(271)에 유지된 착신 허용 조건과 조합하는 것에 의해서, 이 호접속 제어가 실행된다.
한편, 이 접속의 가부에 관한 지시는 도 2를 참조하여 이미 서술된 접속 가부 지시부(280)로부터 외부에 발해지지만, 이 점은 이하의 각 예에 대해 마찬가지이고, 각 예마다 감히 상세하게 설명하는 것은 생략한다.
이것에 의해, 착신측의 단말장치(102)의 가입자에게 있어서는 스스로 의도하지 않는 과금이 부주의하게 발생한다는 사태가 유효하게 회피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호접속 제어 동작)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호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이다.
이들 각 도면에 나타난 동작은, 도 3의 시스템에서의 각 해당하는 기능부에 있어서 각 도면의 실시예마다 상정된 조건하에서 실행된다.
도 4는, 단말장치(102)가 착신에 이용하는 식별부호 A의 발행원은 통신 사업자 a로서 통신 사업자 a의 망에서 착신의 접속을 행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통신 사업자 a의 망(12)에 설비된 호처리 장치(1201)가, 발망으로부터 발해진 접속 요구를 받는다(스텝 S401).
스텝 S401의 접속 요구를 받은 호처리 장치(1201)는, 그 접속 요구의 대상이 되어 있는 가입자의 자망(11)에 설비된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에, 스텝 S401의 접속 요구로 접속처가 되어 있는 단말장치(102)에 관한 가입자 정보를 문의한다(스텝 S402).
스텝 S402에서의 문의를 받은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는, 자장치 (201)내에 유지되어 있는 가입자 프로파일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102)에 관한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여 이 정보를 제공할 준비를 행하고, 또한,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단말장치(착신을 접속하는 대상)(102)의 재권망의 통신 사업자가 어느 쪽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403).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상술의 가입자 정보의 검색과 함께, 이 가입자에 있어서의 접속의 승낙여부에 관한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에 기초하는 접속 허용 판정 정보를 검색한다.
이 스텝 S403에 있어서 착신에 이용하는 식별부호(전화번호) A의 발행원의 통신 사업자 a가 운영하는 망(12) 외에서의 착신이 되는 경우에도 상기 단말장치 (102)에 그 착신을 접속하는지 아닌지의 접속 허용 판정 정보를 취득하여 이 접속 허용 판정 정보를 제공할 준비를 행한다.
이 도 4에서는, 접속 허용 판정 정보에 의해서, 착신에 이용하는 식별부호(전화번호) A의 발행원의 통신 사업자 a가 운영하는 망(12) 외에서의 착신이 되는 경우에도 상기 단말장치에 그 착신을 접속하는 취지로 접속허용 조건이 규정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이미 서술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장치(102)의 재권이 판정된 통신 사업자가 그 단말장치(102)에서 이용 가능한 식별부호의 발행원이라면, 그 단말장치(102)에의 접속에 대해서는 접속수가 적게 되어, 과금의 액수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것이 된다.
스텝 S403에 이어,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로부터, 스텝 S402에서의 문의원인 호처리 장치(1201)의 망(12)내에서 착신 대상의 단말장치(102)가 재권하고 있는 호처리 장치(1202)에, 현재 시점에서도, 데이터로부터 판단되는 대로 실제로 그 단말장치(102)가 재권하고 있는지를 문의하여, 현실에 재권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을 때에 접속에 필요한 어드레스를 보낸다(스텝 S404).
이 스텝 S404의 처리는, 현행의 시스템에서의 표준으로서도 정의되고 있는 것이어, 발신측의 정보도 통지된다.
스텝 S404에서의 확인에 관한 착신측 단말장치(102)의 탐색이 호처리 장치 (1202) 및 상기 단말장치(102) 사이에 실행되어(스텝 S405), 이 단말장치(102)의 재권이 확인되면, 이 재권의 취지, 상술한 자망(11)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 (201)에 응답이 되돌려진다(스텝 S406).
스텝 S406의 응답을 받은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는, 망(12)의 호처리 장치(1201)에 앞의 스텝 S402에서의 문의에 대응하는 착신자에 관한 가입자 정보를 되돌리지만, 이 때에,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도 2: 200)의 접속 허용 판정부(270)에 의한 접속 허용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접속 허용 판정 정보(즉, 접속의 지시 또는 절단의 지시)를 송신한다(스텝 S407).
호처리 장치(1201)는, 스텝 S407에서 얻은 가입자 정보 및 접속 허용 판정 정보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착신의 접속을 허용하는 취지로 판정되고 있는 경우에는, 호처리 장치(1202)에 접속 요구를 발한다(스텝 S408).
스텝 S408에서의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호처리 장치(1202)와 단말장치(102) 사이에서의 접속 처리가 실행된다(스텝 S409).
도 5는, 단말장치가 통신 사업자 a가 발행원인 식별부호 A에서의 착신을 받고, 또한, 착신을 받는 단말장치가 통신 사업자 a의 망외에 있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통신 사업자 a의 망(12)에 설비된 호처리 장치(1202)가, 발망으로부터 발해진 접속 요구를 받는다(스텝 S501).
스텝 S501의 접속 요구를 받은 호처리 장치(1202)는, 그 접속 요구로 대상이 되어 있는 가입자의 자망(11)에 설비된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에, 스텝 S501의 접속 요구로 접속처가 되어 있는 단말장치(102)에 관한 가입자 정보를 문의한다(스텝 S502).
스텝 S502에서의 문의를 받은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는, 자장치 (201)내에 유지되어 있는 가입자 프로파일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102)에 관한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여 이 정보를 제공할 준비를 행하고, 또한,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단말장치(착신을 접속하는 대상)(102)의 재권망의 통신 사업자가 어느 쪽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503).
또한 스텝 S503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술의 스텝 S403과 같이, 접속 허용 판정 정보를 제공할 준비를 행한다.
다만, 이 도 5에서는, 접속 허용 판정 정보에 의해서, 착신에 이용하는 식별부호(전화번호) A의 발행원의 통신 사업자 a가 운영하는 망(12)외에서의 착신이 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말장치(102)에 그 착신을 접속하지 않고, 절단 처리하는 취지가 규정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스텝 S503에 이어,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는, 망(12)의 호처리 장치 (1202)에 앞의 스텝 S502에서의 문의에 대응하는 착신자에 관한 가입자 정보를 되돌리지만, 이때에, 상술한 접속 허용 판정 정보의 지령도 발한다(스텝 S504).
본 예에서는, 이미 서술된 바와 같이 접속 허용 판정 정보의 데이터에 의해서, 상기 단말장치(102)에 그 착신을 접속하지 않고, 절단 처리하는 취지가 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스텝 S504에서의 응답은 절단 지시의 응답이 되어, 이것을 받은 망(12)의 호처리 장치(1201)는, 접속 요구원에 대해서 절단하는 뜻인 '권외'의 접속 응답을 행한다(스텝 S505).
도 6은, 단말장치가 통신 사업자 a가 발행원인 식별부호 A에서의 착신을 받고, 또한, 착신을 받는 단말장치가 통신 사업자 a의 망외에 있는 경우이더라도 식별부호 A에서의 착신을 접속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통신 사업자 a의 망(12)에 설비된 호처리 장치(1202)가, 발망으로부터 발해진 접속 요구를 받는다(스텝 S601).
스텝 S601의 접속 요구를 받은 호처리 장치(1202)는, 그 접속 요구로 대상이 되어 있는 가입자의 자망(11)에 설비된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에, 스텝 S601의 접속 요구로 접속처가 되어 있는 단말장치(102)에 관한 가입자 정보를 문의한다(스텝 S602).
스텝 S602에서의 문의를 받은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는, 자장치 (201)내에 유지되어 있는 가입자 프로파일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102)에 관한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여 이 정보를 제공할 준비를 행하고, 또한,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단말장치(착신을 접속하는 대상)(102)의 재권망의 통신 사업자가 어느 쪽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603).
또한 스텝 S603에서는, 도 4의 스텝 S403과 같이, 접속 허용 판정 정보를 제공할 준비를 행한다.
다만, 이 도 6의 예에서는, 접속 허용 판정 정보에는, 착신에 이용하는 식별부호(전화번호) A의 발행원의 통신 사업자 a가 운영하는 망(12)외에서의 착신이 되는 경우에, 통신 사업자 d가 운영하는 자망(11) 및 통신 사업자 c가 운영하는 망 (14)에 착신하는 경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102)에 대해서 그 착신을 접속하는 취지가 규정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스텝 S603에 이어,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는, 망(12)의 호처리 장치 (1202)에 앞의 스텝 S602에서의 문의에 대응하는 착신자에 관한 가입자 정보를 되돌리지만, 이때에,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도2: 200)의 접속 허용 판정부 (270)에 의한 접속 허용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접속 허용 판정 정보(즉, 접속의 지시 또는 절단의 지시)를 송신한다(스텝 S604).
망(12)의 호처리 장치(1202)는, 스텝 S604에서 취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망(11)의 호처리 장치(1101)에 접속 요구를 발한다(스텝 S605).
자망(11)의 호처리 장치(1101)는, 스텝 S605의 접속 요구를 받고, 자망(11)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에 착신자 정보의 문의를 실행한다(스텝 S606).
스텝 S606에서의 착신자 정보의 문의를 받는 이후의 시점에서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는, 조건에 적합한 단말장치의 재권을 탐색하여(스텝 S607), 적합한 단말장치가 검색되었을 때에는, 자망(11)의 호처리 장치(1101)에 상기 단말장치에 관한 가입자 정보를 공급한다(스텝 S608).
스텝 S608에서의 가입자 정보의 공급을 받은 호처리 장치(1101)는 상기 단말장치를 향하여 접속 요구를 발한다(스텝 S609).
도 7은, 도 6의 경우와 같이, 단말장치가 통신 사업자 a가 발행원인 식별부호 A에서의 착신을 받고, 또한, 착신을 받는 단말장치가 통신 사업자 a의 망외에 있는 경우이더라도 식별부호 A에서의 착신을 접속하도록 하면서, 도 6과는 다른 방법으로 접속하도록 조건 설정되어 있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차트이다.
통신 사업자 a의 망(12)에 설비된 호처리 장치(1202)가, 발망으로부터 발해진 접속 요구를 받는다(스텝 S701).
스텝 S701의 접속 요구를 받은 호처리 장치(1201)는, 그 접속 요구로 대상이 되어 있는 가입자의 자망(11)에 설비된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에, 스텝 S701의 접속 요구로 접속처가 되어 있는 단말장치(102)에 관한 가입자 정보를 문의한다(스텝 S702).
스텝 S702에서의 문의를 받은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는, 자장치 (201)내에 유지되어 있는 가입자 프로파일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102)에 관한 가입자 정보를 검색하여 이 정보를 제공할 준비를 행하고, 한편, 현재 시점에서의 상기 단말장치(착신을 접속하는 대상)(102)의 재권망의 통신 사업자가 어느 쪽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703).
또한 스텝 S703에서는, 도 4의 스텝 S403과 같이, 접속 허용 판정 정보를 제공할 준비를 행한다.
다만, 이 도 7의 예에서는, 접속 허용 판정 정보에 의해서, 착신에 이용하는 식별부호(전화번호) A의 발행원의 통신 사업자 a가 운영하는 망(12)외에서의 착신이 되는 경우에, 통신 사업자 d가 운영하는 자망(11) 및 통신 사업자 c의 망(14)에 착신하는 경우를 포함하여 상기 단말장치(102)에 그 착신을 접속하도록 조건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스텝 S703에 이어,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는, 망(12)의 호처리 장치 (1202)에 앞의 스텝 S702에서의 문의에 대응하는 착신자에 관한 가입자 정보를 되돌리지만, 이 때에,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도 2: 200)의 접속 허용 판정부(270)에 의한 접속 허용 판정 결과를 나타내는 접속 허용 판정 정보(즉, 접속의 지시 또는 절단의 지시)를 송신한다(스텝 S704).
망(12)의 호처리 장치(1202)는, 스텝 S704에서 취득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망(11)의 호처리 장치(1101)에 접속 요구를 발한다(스텝 S705).
자망(11)의 호처리 장치(1101)는, 스텝 S705의 접속 요구를 받고, 자망(11)의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에 착신자 정보의 문의를 실행한다(스텝 S706).
스텝 S706에서의 착신자 정보의 문의를 받는 이후의 시점에서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는, 조건에 적합한 단말장치의 재권을 탐색하고, 식별부호 A 발행원의 통신 사업자 a의 망(12)에는 조건에 적합한 단말장치의 재권이 없는 것을 확인하여(스텝 S707), 자망(11)의 호처리 장치(1101)에 재접속을 지시한다(스텝 S708).
스텝 S708에서의 재접속 지시를 받은 호처리 장치(1101)는 호처리 장치 (1202)에 재접속 지시를 발한다(스텝 S709).
스텝 S709에서의 재접속 지시를 받은 호처리 장치(1202)는 발망(13)을 향해서 접속 지시를 발한다(스텝 S710).
스텝 S710에서의 접속 요구를 받고, 발망(13)으로부터 자망(11)의 호처리 장치(1101)에 재접속 요구가 발해진다(스텝 S711).
스텝 S711의 재접속 요구를 받은 자망(11)의 호처리 장치(1101)는, 재차,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에 착신자 정보의 문의를 실행한다(스텝 S712).
스텝 S712에서의 착신자 정보의 문의를 받는 이후의 시점에서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201)는, 조건에 적합한 단말장치의 재권을 탐색하여(스텝 S713), 적합한 단말장치가 검색되었을 때에는, 자망(11)의 호처리 장치(1101)에 상기 단말장치에 관한 가입자 정보를 공급한다(스텝 S714).
스텝 S714에서의 가입자 정보의 공급을 받은 호처리 장치(1101)는 상기 단말장치를 향해서 접속 요구를 발한다(스텝 S715).
본 발명은, 가입자의 의사에 기초하여, 단말장치에의 착신시에 그 착신에 관한 접속 요구의 대상이 되어 있는 식별부호와 상기 단말장치의 재권상황에 따라서, 호접속 제어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 시스템에 적용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를 실현하기 위해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10 : 이동통신 시스템
11, 12, 13, 14 : 망
100 : 네트워크
101, 102 : 단말장치
121, 122, 123, 124 : 이동통신설비
200, 201 :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
210 : 가입자 정보 유지부
211 : 가입자 식별부호 유지장치
220 : 재권통신 사업자 판정부
230 : 통지 기회 판정부
240 : 식별부호 통지 상태 갱신 처리부
250 : 식별부호 통지 지시부
260 : 가입자 정보 응답부
270 : 접속 허용 판정부
271 :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 유지부
280 : 접속 가부 지시부
310, 320 : 호처리 장치

Claims (5)

  1.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해 기본 계약에 관한 주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주가입자 식별부호와 상기 주통신 사업자와는 상이한 부대 계약에 관여하는 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부가입자 식별부호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입자 식별부호가 상기 하나의 단말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가입자 식별부호로서 할당되는 것이 허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주통신 사업자가 운용하는 망에 설치되어 가입자 정보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하나의 단말장치에의 접속 요구가 상기 부가입자 식별부호를 접속 대상으로 하여 발생한 경우, 상기 하나의 단말장치의 재권 상황과 착신시 적용하는 상기 부가입자 식별부호의 상기 발행원의 상기 통신 사업자가 어느 쪽인지에 따라, 착신 접속에 대한 가부를 나타내는 접속허용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를 유지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와,
    상기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에 유지된 상기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에 관한 호접속 제어를 실행하는 호처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2. 하나의 단말장치에 대해 기본 계약에 관한 주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주가입자 식별부호와 상기 주통신 사업자와는 상이한 부대 계약에 관여하는 통신 사업자가 발행원인 부가입자 식별부호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입자 식별부호가 상기 하나의 단말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가입자 식별부호로서 할당되는 것이 허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적용되고,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접속 제어를 실행하는 호처리 장치에 있어서의 호접속 제어를 위해서 참조되는 소정의 데이터를 보유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로서,
    상기 주통신 사업자가 운용하는 망에 설치되고, 가입자 정보를 상기 호처리 장치로부터 참조 가능하게 유지하는 가입자 정보 유지부와, 상기 하나의 단말장치에의 접속 요구가 상기 부가입자 식별부호를 접속 대상으로 하여 발생한 경우, 상기 하나의 단말장치의 재권 상황과 착신시 적용하는 상기 부가입자 식별부호의 상기 발행원의 상기 통신 사업자가 어느 쪽인지에 따라 착신 접속에 대한 가부를 나타내는 접속허용 조건을 나타내는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를 상기 호처리 장치로부터 참조 가능하게 유지하는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 유지부는, 상기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로서 가입자의 임의에 의한 선택적인 설정에 따라 형성된 데이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단말장치가 재권하는 영역을 운영하는 통신 사업자를 판정하는 재권통신 사업자 판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권통신 사업자 판정부가 상기 하나의 단말장치가 재권하는 영역을 운영하는 통신 사업자가 상기 부대 계약에 관여하는 통신 사업자가 운용하는 망이라고 판단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에 상기 부가입자 식별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단말장치로의 상기 착신 접속을 허용한다는 취지가 규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호처리 장치는 상기 하나의 단말장치로의 착신을 접속하고,
    상기 접속허용 조건 데이터에 상기 부가입자 식별부호를 이용하여 상기 하나의 단말장치로의 상기 착신 접속을 절단한다는 취지가 규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호처리 장치는 상기 하나의 단말장치로의 착신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
KR1020107017461A 2008-03-26 2009-03-26 이동통신 시스템, 및,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 KR101177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81240 2008-03-26
JP2008081240A JP5427363B2 (ja) 2008-03-26 2008-03-26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加入者プロファイル保持装置
PCT/JP2009/056158 WO2009119755A1 (ja) 2008-03-26 2009-03-26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加入者プロファイル保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699A KR20100102699A (ko) 2010-09-24
KR101177628B1 true KR101177628B1 (ko) 2012-08-27

Family

ID=41113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7461A KR101177628B1 (ko) 2008-03-26 2009-03-26 이동통신 시스템, 및,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21177A1 (ko)
EP (1) EP2259565A4 (ko)
JP (1) JP5427363B2 (ko)
KR (1) KR101177628B1 (ko)
CN (1) CN101926157B (ko)
WO (1) WO20091197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0178B1 (en) * 2009-04-03 2013-02-19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Presenting an indication of an originating carrier of a wireless call
CN102026183B (zh) * 2009-09-11 2013-01-23 太思科技股份有限公司 中介平台、芯片卡及产生认证密钥的方法
JP5402689B2 (ja) * 2010-02-03 2014-01-29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8657A (ja) * 2001-07-03 2003-01-17 Kansai Nippon Denki Tsushin System Kk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5244463A (ja) * 2004-02-25 2005-09-08 Ntt Docomo Inc 呼接続制御装置、管理サーバ、呼接続制御システム、及び、呼接続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2349A (ja) 1991-09-20 1993-05-18 Nec Corp 二重番号サービス方式
JPH08140136A (ja) * 1994-11-07 1996-05-31 Oki Electric Ind Co Ltd 通信システム
JPH08163640A (ja) 1994-12-01 1996-06-2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移動体着信転送方式
DE19823074C2 (de) * 1998-05-22 2002-08-29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station, Mobilfunk-Kommunikationsnetz und Kommunikationsverfahren unter Verwendung von mehreren Teilnehmerprofilen
NZ530498A (en) * 2001-07-18 2005-01-28 Togewa Holding Ag Method for telecommunication, identification module and computerised service unit
JP4085237B2 (ja) * 2001-12-21 2008-05-14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の利用契約システムと通信方法
JP4059025B2 (ja) 2002-07-12 2008-03-12 日本電気株式会社 着信側情報表示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US20050286702A1 (en) * 2004-06-24 2005-12-29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ed terminal time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4459919B2 (ja) * 2006-03-16 2010-04-28 東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サーバ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20080020773A1 (en) * 2006-07-21 2008-01-24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managing the call routing for multiple services each respectively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one of multiple sets of stored subscriber identity inform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8657A (ja) * 2001-07-03 2003-01-17 Kansai Nippon Denki Tsushin System Kk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5244463A (ja) * 2004-02-25 2005-09-08 Ntt Docomo Inc 呼接続制御装置、管理サーバ、呼接続制御システム、及び、呼接続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239492A (ja) 2009-10-15
KR20100102699A (ko) 2010-09-24
CN101926157A (zh) 2010-12-22
US20110021177A1 (en) 2011-01-27
EP2259565A4 (en) 2014-06-25
JP5427363B2 (ja) 2014-02-26
CN101926157B (zh) 2013-07-31
WO2009119755A1 (ja) 2009-10-01
EP2259565A1 (en)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375B1 (ko)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및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
CN105580444A (zh) 通信系统,基站,通信方法和存储程序的非暂时计算机可读介质
EA010756B1 (ru) Динамическое установление соответствия идентификаторов в беспроводной сети
FI92536B (fi) Menetelmä radiopuhelinjärjestelmässä
CA2129666A1 (en) System for implementating extension phones within a cellular radio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253072B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updating rate center information
KR1011776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
KR102220979B1 (ko) 차세대 메시징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5530632A (zh) 一号多卡实现方法、装置、归属位置寄存器及通信系统
CN101982990B (zh) 呼叫控制方法和装置
JP412718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管理サーバ及び移動体通信方法
KR20000061038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사설교환시스템 및 그에 따른 호 처리방법
JP2006279782A (ja) 移動端末呼び出し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呼び出し方法
KR100811809B1 (ko) 특정 구역 내의 발신 통화에 대한 통합 과금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JP4691992B2 (ja) グループ加入移動機課金システム及びグループ加入移動機課金方法
KR101250747B1 (ko) 망내통화식별음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431735A (zh) 一种语音通信过程中推送用户信息的方法及装置
KR101421491B1 (ko) 해외로밍콜 발신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89194B1 (ko) 착신전환 제어서버, 착신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20723A (ko) 통신 상태 실시간 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80024555A (ko) 선불카드를 이용한 로밍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76201B1 (ko) 홈망의 가입자와 방문망의 가입자 간 호 처리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KR100558998B1 (ko) 이동전화망에서의 아이에스 41 씨 프로토콜 적용에 따른 선불 이동전화서비스 제공방법
KR10115864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착신 통화 호 종료 이벤트에 따른 부가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JP2013065990A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接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