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2375B1 -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및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및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2375B1
KR101212375B1 KR1020107027987A KR20107027987A KR101212375B1 KR 101212375 B1 KR101212375 B1 KR 101212375B1 KR 1020107027987 A KR1020107027987 A KR 1020107027987A KR 20107027987 A KR20107027987 A KR 20107027987A KR 101212375 B1 KR101212375 B1 KR 101212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specification information
message transmission
termin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7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701A (ko
Inventor
야스유키 혼다
시게루 이와시나
노부오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1000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2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2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G08G1/093Data selection, e.g. prioritizing information, managing message queues, selecting the information to be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42Mailbox-related aspects, e.g. synchronisation of mail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short real-time information, e.g. alarms, notifications, alerts, upd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1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using selective forwa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동일한 착신측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발신측이 수신처로서 지정한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전송처로서 미리 지정한 소정의 다른 단말장치에 전송하여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사업자가 운용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사이에 개재하는 프로바이더의 통신중계 설비에, 쇼트 메시지의 일시적 저장기능과, 쇼트 메시지의 전송상태를 규정하는 정보를 유지하는 기능을 설치하여, 쇼트 메시지의 송신이 행하여지는 데 있어서, 당초 예정된 수신처가 만일 착신 불능 상태에 있어도, 쇼트 메시지의 전송 형태를 규정하는 정보로 의거하여, 그에 대신할 수신처에 쇼트 메시지의 전송을 행한다.

Description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및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System for Managing Short Message Service, Device for Transferring Short Message, Device for Supplying Information Specifying Transfer Mode of Short Messag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hort Message}
본 발명은,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는 발신자로부터 발송된 쇼트 메시지를, 수신측이 동일한, 유저가 가입 계약하고 있는 복수의 통신 업자의 운영망에 각별히 속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선택한 어느 하나의 단말장치에 있어서, 또는, 모든 단말장치에 있어서 수신할 수 있도록 한,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및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문자에 의한 메시지를, 발신측 단말장치로부터, 하나 또는 복수의 다른 네트워크 및 프로바이더의 통신중계 설비를 통하여, 착신측 단말장치를 향해서 축적 교환 방식으로 전송한다고 하는 통신 서비스는, 예를 들면 쇼트 메시지 서비스로 불리는 공지의 통신 서비스에서의 하나의 형태로서 다수의 국가에서 이미 실시되고 있다.
다른 한편, 동일한 가입자가 복수의 통신 업자의 운영망에 각별히 속하는 복수의 단말장치를 이용하거나, 단일의 단말장치로 복수의 가입자 번호를 이용한다고 한 것도 이미 보급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동일한 단말장치에 의해서 복수의 가입자 번호를 이용하기 위한 제안도 여러 가지 이루어져 있고, 예를 들면, 통상의 단말장치에서, 완전히 서비스 내용이 다른 가입자 번호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어느 쪽의 가입자 번호에도 선택적으로 착신시키거나 메시지를 받는 것을 가능하게 한 통신방법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기재된 특허문헌 1의 제안에서는, 메인 가입자 번호와 서브 가입자 번호를 미리 고쳐 쓰기 가능한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하고, 적절히 등록 내용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각각 서비스 계약이 다른 복수의 가입자 번호를 구분하여 사용 가능하게 한다고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2003-111140호(청구항 1, 단락 0006, 단락0017~단락 0018 등)
한편, 현행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에서는, 착신측의 가입자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통신사업자의 운영망에 각별히 속하는 복수의 단말장치를 이용 가능한 상황에서도, 발신자측이 쇼트 메시지의 수신처로서 지정한 가입자 번호의 단말장치와는 다른 단말장치에서의 착신하거나 메시지를 받지 못하고, 또한, 상기 다른 단말장치에의 전송을 행하는 것도 할 수 없다.
따라서, 착신측의 가입자에 있어서, 발신자측이 쇼트 메시지의 수신처로서 지정한 가입자 번호의 단말장치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 있거나 권외(圈外)에 있어 수신할 수 없을 때에, 전환에 다른 가입자 번호의 단말장치로 수신할 수 없다고 하는 기술 과제가 남아 있다.
또한, 상기 기재된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원래 쇼트 메시지의 전송 등을 예정한 기술에서는 없기 때문에, 통화에서의 착신이나 메시지 수신을, 복수의 단말장치 중 임의로 선택한 하나의 단말장치에서 행할 수 있어도, 발신자측이 수신처로서 지정한 가입자 번호의 단말장치와는 다른 단말장치에 상기 쇼트 메시지를 전송한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의 제안은 없다.
본원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동일한 착신측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발신측이 수신처로서 지정한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전송처로서 미리 지정한 소정의 다른 단말장치에 전송하여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및,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본원에서는 다음에 열거하는 시스템 및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동일한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와,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유지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와,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하여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에 공급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 공급부와,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에 의해서 규정된 수신처에 전송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한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동일한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에,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유지한다.
한편,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 공급부에서,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하여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에 공급한다.
쇼트 메시지 전송부는,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에 의해서 규정된 수신처에 전송한다.
이상에 있어서, 쇼트 메시지 저장부,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 및, 규정된 수신처에 전송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부의 각 부는, 상기 쇼트 메시지의 전송 계통에서의, 예를 들면, 통신사업자가 관리하는 쇼트 메시지 서비스용의 통신설비나 프로바이더의 중계장치 등에서의 각 해당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동일한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와,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유지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와,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에 의해서 규정된 수신처에 전송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에서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동일한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하나의 단말장치 앞의 쇼트 메시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에,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유지한다.
또한, 쇼트 메시지 전송부에 의해서,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에 의해서 규정된 수신처에 전송한다.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에서는,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 및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부의 각 부가, 쇼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쇼트 메시지의 전송을 담당하는 소정의 쇼트 메시지 중계장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에서는,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 및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부의 각 부는, 쇼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쇼트 메시지의 전송을 담당하는 소정의 쇼트 메시지 중계장치에, 예를 들면, 그 쇼트 메시지 중계장치에서의 각 기능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동일한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하나의 단말장치 앞의 쇼트 메시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와,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유지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에 대해,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공급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로서,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와,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에서 형성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에 송신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송신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는, 동일한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와,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유지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에 대해,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공급한다.
그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에서는,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한다.
그리고,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송신부가,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에서 형성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에 송신한다.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에서,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는, 단말장치에 대한 유저로부터의 외부 조작에 따라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에서,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는, 단말장치에 대한 유저로부터의 외부 조작에 따라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에서,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는, 상기 유저에 의한 서비스 이용 상황의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에서는,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는, 예를 들면, 수신측 유저가 가입자 계약을 맺고 있는 통신사업자의 설비에 축적될 수 있는 상기 유저에 의한 서비스 이용 상황의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에서,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는, 상기 유저가 이용하는 단말장치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말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에서,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는, 예를 들면, GPS 정보나 서비스 영역내 정보 등에 의거한, 유저가 이용하는 단말장치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말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동일한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쇼트 메시지 저장스텝과,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스텝에서 저장한 쇼트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스텝과,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스텝에서 형성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스텝과,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스텝에서 저장한 쇼트 메시지를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스텝에서 저장한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에 의해서 규정된 형태로 수신처에 전송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스텝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에서는, 쇼트 메시지 저장스텝에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된, 상기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스텝에서 형성되어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스텝에서 유지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에 의해서 규정되는 전송 형태로, 쇼트 메시지 전송스텝에서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착신측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발신측이 수신처로서 지정한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전송처로서 미리 지정한 소정의 다른 단말장치에 전송하여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및,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이 실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조건하에서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개요를 표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경우에서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표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조건하에서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개요를 표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경우에서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표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조건하에서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개요를 표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의 경우에서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표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의 개요를 표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술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을 분명히 한다. 한편, 이하에 참조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편의상, 설명의 주제가 되는 주요부는 적절히 과장하고, 주요부 이외에 대해서는 적절히 간략화 내지 생략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조건하에서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개요를 표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의 예에서는, 쇼트 메시지의 발신원인 발신측 단말장치 MS1이 서비스 영역내에 있는 출발지 네트워크 N11로부터, 수신처인 착신측 단말장치 MS2가 서비스 영역내에 있는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축적 교환 방식으로 데이터의 전송을 행하는 경우로서, 후술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 기능이 오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단말장치 MS3이 서비스 영역내에 있는 다른 네트워크 N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정한 조건에 있어서는 쇼트 메시지의 송수신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도시와 같이, 이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출발지 네트워크 N11과 도착지 네트워크 N12와의 사이에 제 1 프로바이더 P11(그 통신 중계설비 PF)이 개재하는 것이 상정되고, 또한, 도착지 네트워크 N12와 다른 네트워크 N13과의 사이에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가 개재하는 것이 상정되어 있다.
이 중, 제 1 프로바이더 P11(그 통신중계 설비 PF11)은, 본 예에 있어서, 단순히 정보(쇼트 메시지)를 중계하는 기능부로서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에 대해서 필수가 되는 요소는 아니다.
한편,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는 상술과 같은 형태로 쇼트 메시지의 전송 계통 중에 설치되고, 통신중계 설비 PF12에는, 후에 상세히 서술하는 바와 같이, 쇼트 메시지 저장부와 쇼트 메시지 전송부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를, 단순히 정보(쇼트 메시지)를 중계하는 기능부로서 설치하는 동시에, 후에 상세히 서술하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와, 쇼트 메시지 전송부를, 네트워크 N12(상술한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설치하는 형태를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는, 동일한 유저(예를 들면 단말장치 MS2의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하나의 단말장치(예를 들면 MS2)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가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또한, 쇼트 메시지 전송부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에 따라서, 상기 규정된 수신처에 전송한다.
상술에서의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는, 예를 들면, 유저로부터 단말장치(예를 들면 MS2)를 이용하여 수동 조작에 의해서 임의로 설정되고, 혹은 또한, 통신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설정된다.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는, 이상과 같이 기능하는 것이고, 도 1의 배치에 있어서, 도착지 네트워크 N12 및 다른 네트워크 N13의 쌍방의 회선, 그 사용자 계정 정보 등을 관리하는 사업자에 의해서 운영되어,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속하는 단말장치의 번호(또는 IMSI :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및 다른 네트워크 N13에 속하는 단말장치의 번호(또는 IMSI)로서 관리하고 있다.
이들 단말장치의 번호(또는 IMSI)에 의해서,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은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가 이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인식되어, 이 정보에 기초하여, 쇼트 메시지에 관한 필요한 전송이 실행된다.
쇼트 메시지의 전송에 관해서는, 적절히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서술한다.
한편,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경우에서는, 쇼트 메시지 전송 기능이 오프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있고, 따라서, 발신원인 발신측 단말장치 MS1(출발지 네트워크 N11)로부터 발신된 쇼트 메시지는, 당초부터의 수신처인 착신측 단말장치 MS2(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 경유하여, 특별한 전송의 취급을 받는 일 없이 송신된다.
도 2는, 도 1의 경우에서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표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도 2의 경우는, 특히, 출발지 네트워크 N11로부터 다른 네트워크 N13 사이의 접속이, 제 1 프로바이더 P11(그 통신중계 설비 PF11) 및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 경유하여 행하여지고, 출발지 네트워크 N11은, 전송 대상인 데이터(쇼트 메시지 서비스의 경우는, 쇼트 메시지)의 송신에 앞서 서비스 영역내 조회를 실행하여, 접속 판정을 행하는 형태가 취해지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출발지 네트워크 N11 및 다른 네트워크 N13 사이의 접속이 허용되는 경우에 대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도 2에는, 다른 네트워크 N13이 표기되어 있지만, 이것은 후술하는 다른 예와 대조하기 위해서이고, 출발지 네트워크 N11로부터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의 쇼트 메시지의 통상의 송신에 대해서는 관여하지 않는다.
다음에, 도 1 및 도 2를 적절히 참조하여 본 발명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대해 더 설명한다.
출발지 네트워크 N11(발신측 단말장치 MS1)로부터 도착지 네트워크 N12(착신측 단말장치 MS2)를 향해서 쇼트 메시지가 발신되는데 있어서, 먼저 상기 쇼트 메시지가 제 1 프로바이더 P11의 통신중계 설비 PF11에 송신된다(스텝 S201).
스텝 S201에서 쇼트 메시지를 받은 제 1 프로바이더 P11의 통신중계 설비 PF11에서는, 출발지 네트워크 N11로부터의 발신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고쳐 쓰는 일 없이 유지한다(스텝 S202).
이어서, 제 1 프로바이더 P11의 통신중계 설비 PF11로부터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대해서 서비스 영역내 조회 요구가 발신된다(스텝 S203).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서는, 출발지 네트워크 N11 및 도착지 네트워크 N12 사이에서의 상호 접속 판정을 행하여(스텝 S204), 출발지 네트워크 N11 및 도착지 네트워크 N12 사이에서는 정규의 통신이 행하여지는 조건이 확립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 또한, 착신번호의 유저에 관해서는, 제 2 프로바이더에서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의 계약이 체결되어 있는 것을 인식한다(스텝 S205).
스텝 S205에서의 인식에 기초하여, 쇼트 메시지는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송신되어야 한다고 인식된다(스텝 S206).
스텝 S206에서의 인식에 의해, 도착지 네트워크 N12로부터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서비스 영역내 조회 요구를 발한다(스텝 S207).
본 예에서는, 이 경우도, 출발지 네트워크 N11로부터의 발신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고쳐 쓰는 일 없이 유지한다.
스텝 S207의 조회를 받은 도착지 네트워크 N12는, 서비스 영역내 조회 응답을 제 1 프로바이더 P11의 통신중계 설비 PF11에 되돌린다(스텝 S208).
스텝 S208에서의 서비스 영역내 조회 응답은, 수신처가 되는 착신 유저는 도착지 네트워크 N12이며, 서비스 영역내의 단말장치의 IMSI, 및, 제 2 프로바이더 P12에서 관리의 취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스텝 S208의 응답을 받은 제 1 프로바이더 P11의 통신중계 설비 PF11에서는, 쇼트 메시지를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송신한다(스텝 S209).
스텝 S209에서 송신된 쇼트 메시지를 받은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서는, 그 쇼트 메시지를 소정의 기억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격납한다(스텝 S210).
스텝 S210에서의 쇼트 메시지 격납 후,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는 제 1 프로바이더 P11(그 통신중계 설비 PF11)에 메시지 송신 완료 응답을 되돌린다(스텝 S211).
스텝 S211에 이어,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서는, 전송에 관한 유저의 설정을 확인한다(스텝 S212).
스텝 S212에서의 확인은,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참조하여, 쇼트 메시지의 전송의 형태를 확인하는 처리이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정보이며, 하나의 형태로서는, 유저가 단말장치 등으로부터 수동 조작에 의해서 설정된다.
이어서,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서는, 발신원을 제 2 프로바이더 P12로서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서비스 영역내 조회를 실행한다(스텝 S213).
스텝 S213에서의 제 2 프로바이더 P12로부터의 신호를 인식한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서는, 본래의 수신처인 자신의 장치에 대해서 전송이라고 하는 형태에서의 송신을 기동시키는 일은 없다(스텝 S214).
이어서, 도착지 네트워크 N12로부터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로 서비스 영역내 조회 응답이 되돌려진다(스텝 S215).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서는, 스텝 S215의 응답에 따라서, 상술한 스텝 S210에서 격납되어 있던 쇼트 메시지를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송신한다(스텝 S216).
스텝 S216에서 송신한 쇼트 메시지가 수신되면(스텝 S217), 도착지 네트워크 N12로부터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송신 완료 응답이 되돌려진다(스텝 S218).
이상과 같이 하여, 발신측 단말장치 MS1(출발지 네트워크 N11)로부터 발신된 쇼트 메시지는, 당초의 수신처인 착신측 단말장치 MS2(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 경유로, 특별한 전송의 취급을 받는 일 없이 송신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조건하에서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개요를 표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의 예에서는, 쇼트 메시지의 발신원인 발신측 단말장치 MS1이 서비스 영역내에 있는 출발지 네트워크 N11로부터, 수신처인 착신측 단말장치 MS2에 쇼트 메시지를 송신하려고 하는 경우에 있어서, 착신측 단말장치 MS2가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있지 않는 등의 이유로 송신할 수 없지만, 쇼트 메시지 전송 기능에 의해서, 다른 도착지 네트워크(전송처) N13에 서비스 영역내에 있는 단말장치 MS3에의 상기 쇼트 메시지의 전송이 완수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도 3의 예에서는, 도 1의 예와의 비교에 있어서, 상정한 조건을 달리하고 있지만,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인, 단말장치, 네트워크 및 프로바이더(그 통신중계 설비)는 같고, 이들 각 구성요소에 도 1의 경우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붙이고, 각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정한 조건하에서,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가 완수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다음의 도 4를 참조하여 그러한 동작을 설명하는 것에 의해 분명히 한다.
도 4는, 도 3의 경우에서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표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출발지 네트워크 N11(발신측 단말장치 MS1)로부터 도착지 네트워크 N12(착신측 단말장치 MS2)를 향해서 쇼트 메시지가 발신되는데 있어서, 먼저 상기 쇼트 메시지가 제 1 프로바이더 P11의 통신중계 설비 PF11에 송신된다(스텝 S401).
스텝 S401에서 쇼트 메시지를 받은 제 1 프로바이더 P11의 통신중계 설비 PF11에서는, 출발지 네트워크 N11로부터의 발신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고쳐 쓰는 일 없이 유지한다(스텝 S402).
이어서, 제 1 프로바이더 P11의 통신중계 설비 PF11로부터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대해서 서비스 영역내 조회 요구가 발신된다(스텝 S403).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서는, 출발지 네트워크 N11 및 도착지 네트워크 N12 사이에서의 상호 접속 판정을 행하여(스텝 S404), 출발지 네트워크 N11 및 도착지 네트워크 N12 사이에서는 정규의 통신이 행하여지는 조건이 확립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 또한, 착번호의 유저에 관해서는, 제 2 프로바이더에서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의 계약이 체결되고 있는 것을 인식한다(스텝 S405).
스텝 S405에서의 인식에 기초하여, 쇼트 메시지는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송신되어야한다고 인식된다(스텝 S406).
스텝 S406에서의 인식에 의해, 도착지 네트워크 N12로부터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서비스 영역내 조회 요구를 발한다(스텝 S407).
본 예에서는, 이 경우도, 출발지 네트워크 N11로부터의 발신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고쳐 쓰는 일 없이 유지한다.
스텝 S407의 조회를 받은 도착지 네트워크 N12는, 서비스 영역내 조회 응답을 제 1 프로바이더 P11의 통신중계 설비 PF11에 되돌린다(스텝 S408).
스텝 S408에서의 서비스 영역내 조회 응답은, 수신처가 되는 착신 유저는 도착지 네트워크 N12이며, 서비스 영역내의 단말장치의 IMSI, 및, 제 2 프로바이더 P12에서 관리의 취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스텝 S408의 응답을 받은 제 1 프로바이더 P11의 통신중계 설비 PF11에서는, 쇼트 메시지를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송신한다(스텝 S409).
스텝 S409에서 송신된 쇼트 메시지를 받은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서는, 그 쇼트 메시지를 소정의 기억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격납한다(스텝 S410).
스텝 S410에서의 쇼트 메시지 격납 후,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는 제 1 프로바이더 P11(그 통신중계 설비 PF11)에 메시지 송신 완료 응답을 되돌린다(스텝 S411).
스텝 S411에 이어,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서는, 전송에 관한 유저의 설정을 확인한다(스텝 S412).
스텝 S412에서의 확인은,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참조하여, 쇼트 메시지의 전송의 형태를 확인하는 처리이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정보이며, 하나의 형태로서는, 유저가 단말장치 등으로부터 수동 조작에 의해서 설정된다.
이어서,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서는, 발신원을 제 2 프로바이더 P12로서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서비스 영역내 조회를 실행한다(스텝 S413).
스텝 S413에서의 제 2 프로바이더 P12로부터의 신호를 인식한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서는, 본래의 수신처인 자신의 장치에 대해서 전송이라고 하는 형태에서의 송신을 기동시키는 일은 없다(스텝 S414).
이어서, 도착지 네트워크 N12로부터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로 서비스 영역내 조회 응답이 되돌려진다(스텝 S415).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서는, 스텝 S415의 응답에 따라서, 상술한 스텝 S410에서 격납되어 있던 쇼트 메시지를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송신하는 동작을 일으킨다(스텝 S416).
그러나, 이 도 4 (따라서, 도 3)의 경우는,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은 조건이 가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텝 S416에서 송신하려고 한 쇼트 메시지는, 권외(혹은 단말장치의 전원 오프) 등에 기인하여, 송신되지 않고, 착신 NG가 검출된다(스텝 417).
이 때문에, 도착지 네트워크 N12로부터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송신 NG 응답이 되돌려진다(스텝 S418).
스텝 S418에서의 NG 응답을 받은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서는, 쇼트 메시지의 당초의 수신처이었던 단말장치 MS2의 네트워크 N12에서의 번호(또는 IMSI)로부터, 이것에 대응하는 전송처인 단말장치 MS3의 네트워크 N13에서의 번호(또는 IMSI)를 검출한다(스텝 S419).
스텝 S419에서의 번호(또는 IMSI)의 대조가 가능한 것인 것은 다음의 이유에 의한다
즉,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는, 그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에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가 유지되어 있고, 상기 유지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에 기초하여, 스텝 S419에서와 같은 번호(또는 IMSI)의 대조가 가능하게 된다.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는, 본 예에서는,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설치된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일단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착신측의 가입자인 유저가 각각 가입 계약하고 있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정보이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는, 도 1의 배치에 있어서, 도착지 네트워크 N12 및 다른 네트워크 N13의 쌍방의 회선, 그 사용자 계정 정보 등을 관리하는 사업자에 의해서 운영되고,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속하는 단말장치의 번호(또는 IMSI) 및 다른 네트워크 N13에 속하는 단말장치의 번호(또는 IMSI)로서 관리하고 있다.
이들 단말장치의 번호(또는 IMSI)에 의해서,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은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가 이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인식되어 이 정보에 기초하여, 쇼트 메시지에 관한 필요한 전송이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속하는 단말장치를 수신처로 하는 쇼트 메시지를, 그 단말장치로 바꾸고, 혹은, 그 단말장치와 병행하여, 네트워크 N13의 단말장치에 전송하는 경우에, 양 네트워크에 관한 단말장치의 대응 관계가 이들 단말장치의 번호(또는 IMSI)에 의해서 대조 가능하게 준비되어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N12측의 단말장치의 번호(또는 IMSI)에 의해서, 이것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N13측의 단말장치가 특정되고, 반대로, 네트워크 N13측의 단말장치의 번호(또는 IMSI)에 의해서, 이것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N12측의 단말장치가 특정될 수 있다.
스텝 S419에서 검출된 단말장치 MS3의 네트워크 N13에서의 번호(또는 IMSI)를 전송처로 인식하고,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는, 네트워크 N13에 서비스 영역내 조회를 행한다(스텝 S420).
네트워크 N13에서는, 출발지 네트워크 및 도착지 네트워크 사이에서의 상호 접속 판정을 행하여(스텝 S421), 양자 사이에 정규의 통신을 행하는 조건이 확립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서비스 영역내 응답을 되돌린다(스텝 S422).
스텝 S422에서의 서비스 영역내 응답을 받은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는, 스텝 S410에서 일단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쇼트 메시지를 네트워크 N13 (단말장치 MS13)에 송신한다(스텝 S423).
네트워크 N13(단말장치 MS13)은, 스텝 S423에서 송신된 쇼트 메시지를 수신하고(스텝 S424), 쇼트 메시지 수신 완료 응답을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되돌린다(스텝 S425).
이상과 같이 하여, 출발지 네트워크 N11(단말장치 MS11)로부터 발신된 쇼트 메시지는, 당초의 수신처인 도착지 네트워크 N12(단말장치 MS12)에 착신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 MS12에 대응하는 전송처가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에 의해서 규정되고 있는 것에 의해서, 상기 규정된 전송처로의 전송이 완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조건하에서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개요를 표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5의 예에서는, 쇼트 메시지의 발신원인 발신측 단말장치 MS1이 서비스 영역내에 있는 출발지 네트워크 N11로부터 단말장치 MS2(네트워크 N12)를 하나의 수신처로 하고, 또한, 다른 단말장치 MS3(네트워크 N13)도 다른 수신처로 하여, 같은 쇼트 메시지의 사본(replica)을 전달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도 5의 예에서는, 도 1의 예와의 비교에 있어서, 상정한 조건을 달리하고 있지만,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인, 단말장치, 네트워크 및 프로바이더(그 통신중계 설비)는 같고, 이들 각 구성요소에 도 1의 경우와 같은 참조 부호를 붙이고, 각각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정한 조건하에서,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가 완수하는 기능에 대해서는, 다음의 도 6을 참조하여 그러한 동작을 설명하는 것에 의해 분명히 한다.
도 6은, 도 5의 경우에서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동작을 표시하는 시퀀스 차트이다.
출발지 네트워크 N11(발신측 단말장치 MS1)로부터 도착지 네트워크 N12(착신측 단말장치 MS2)를 향하여 쇼트 메시지가 발신되는데 있어서, 먼저 상기 쇼트 메시지가 제 1 프로바이더 P11의 통신중계 설비 PF11에 송신된다(스텝 S601).
스텝 S601에서 쇼트 메시지를 받은 제 1 프로바이더 P11의 통신중계 설비 PF11에서는, 출발지 네트워크 N11로부터의 발신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고쳐 쓰는 일 없이 유지한다(스텝 S602).
이어서, 제 1 프로바이더 P11의 통신중계 설비 PF11로부터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대해서 서비스 영역내 조회 요구가 발신된다(스텝 S603).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서는, 출발지 네트워크 N11 및 도착지 네트워크 N12 사이에서의 상호 접속 판정을 행하여(스텝 S604), 출발지 네트워크 N11 및 도착지 네트워크 N12 사이에서는 정규의 통신이 행하여지는 조건이 확립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 경우에, 또한, 착신번호의 유저에 관해서는, 제 2 프로바이더에서 쇼트 메시지 서비스(SMS)의 계약이 체결되고 있는 것을 인식한다(스텝 S605).
스텝 S605에서의 인식에 기초하여, 쇼트 메시지는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송신되어야 한다고 인식된다(스텝 S606).
스텝 S606에서의 인식에 의해, 도착지 네트워크 N12로부터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서비스 영역내 조회 요구를 발한다(스텝 S607).
본 예에서는, 이 경우도, 출발지 네트워크 N11로부터의 발신인 것을 표시하는 정보를 고쳐 쓰는 일 없이 유지한다.
스텝 S607의 조회를 받은 도착지 네트워크 N12는, 서비스 영역내 조회 응답을 제 1 프로바이더 P11의 통신중계 설비 PF11에 되돌린다(스텝 S608).
스텝 S608에서의 서비스 영역내 조회 응답은, 수신처가 되는 착신 유저는 도착지 네트워크 N12이며, 서비스 영역내의 단말장치의 IMSI 및 제 2 프로바이더 P12에서 관리의 취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스텝 S608의 응답을 받은 제 1 프로바이더 P11의 통신중계 설비 PF11에서는, 쇼트 메시지를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송신한다(스텝 S609).
스텝 S609에서 송신된 쇼트 메시지를 받은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서는, 그 쇼트 메시지를 소정의 기억장치 등으로 구성되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격납한다(스텝 S610).
스텝 S610에서의 쇼트 메시지 격납 후,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는 제 1 프로바이더 P11(그 통신중계 설비 PF11)에 메시지 송신 완료 응답을 되돌린다(스텝 S611).
스텝 S611에 이어,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서는, 전송에 관한 유저의 설정을 확인한다(스텝 S612).
스텝 S612에서의 확인은,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참조하여, 쇼트 메시지의 전송의 형태를 확인하는 처리이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정보이며, 하나의 형태로서는, 유저가 단말장치 등으로부터 수동 조작에 의해서 설정되지만, 특히, 이 도 6(따라서, 도 5)의 경우는, 먼저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하는 단말장치에는 발신된 쇼트 메시지의 사본이 배달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단말장치에도 배달이 행해하여지게 된다.
우선은, 하나의 수신처로서, 단말장치 MS2에 쇼트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도록,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서는, 발신원을 제 2 프로바이더 P12로서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서비스 영역내 조회를 실행한다(스텝 S613).
스텝 S613에서의 제 2 프로바이더 P12로부터의 신호를 인식한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서는, 본래의 수신처인 자장치에 대해서 전송이라고 하는 형태에서의 송신을 기동시키는 일은 없다(스텝 S614).
이어서, 도착지 네트워크 N12로부터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로부터 서비스 영역내 조회 응답이 되돌려진다(스텝 S615).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서는, 스텝 S615의 응답에 따라서, 상술한 스텝 S610에서 격납되어 있던 쇼트 메시지를 도착지 네트워크 N12에 송신한다(스텝 S616).
스텝 S616에서 송신한 쇼트 메시지는,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로 수신되어(스텝 S617), 상기 수신이 완료한 취지의 완료 응답이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되돌려진다(스텝 S618).
이어서, 스텝 S610에서 일단 격납된 쇼트 메시지(앞에서 사본이라 부름)의 전송을 행할 수 있도록, 전송처인 단말장치 MS3의 네트워크 N13에 서비스 영역내 조회를 행한다(스텝 S619).
네트워크 N13에서는, 출발지 네트워크 및 도착지 네트워크 사이에서의 상호 접속 판정을 행하여(스텝 S620), 양자 사이에 정규의 통신을 행하는 조건이 확립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면,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서비스 영역내 응답을 되돌린다 (스텝 S621).
스텝 S621에서의 서비스 영역내 응답을 받은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는, 스텝 S610에서 일단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던 쇼트 메시지(사본)를 네트워크 N13(단말장치 MS13)에 송신한다(스텝 S622).
네트워크 N13(단말장치 MS13)은, 스텝 S622에서 송신된 쇼트 메시지를 수신하고(스텝 S623), 쇼트 메시지 수신 완료 응답을 제 2 프로바이더 P12(그 통신중계 설비 PF12)에 되돌린다(스텝 S624).
이상과 같이 하여, 출발지 네트워크 N11(단말장치 MS11)로부터 발신된 쇼트 메시지는, 당초의 수신처인 도착지 네트워크 N12(단말장치 MS12)에 송신되는 동시에, 전송형태 규정 정보에 의해서 규정되고 있는 각 대응하는 전송처에도, 그 쇼트 메시지(사본)의 전송이라고 하는 형태로 전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하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이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700)은, 주로 통신사업자의 관리하에 놓여지는 쇼트 메시지 전송 설비(short message transmission equipment)(710)와, 주로 프로바이더의 관리하에 놓여지는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short message forwarding device)(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72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2 프로바이더 P12가 운영하는 제 2 프로바이더 통신 전송장치 PF12에 대응하는 장치이며, 쇼트 메시지 저장부(721),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722)와 쇼트 메시지 전송부(7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쇼트 메시지 저장부(721)는 동일한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722)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721)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착신측의 가입자가 가입 계약을 체결하고 있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유지한다.
쇼트 메시지 전송부(723)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721)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722)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에 의해서 규정된 수신처에 전송한다.
한편, 쇼트 메시지 전송 설비(710)에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711)가 설치되어 있다.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711)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712)와,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712)에서 형성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720)의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722)에 공급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송신부(7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형태로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711)는, 그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712)가, 통신사업자에 의해서 파악되는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포함한 서비스의 이용 상황의 이력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로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711)는, 그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712)가, 수신에 이용하는 단말장치의 위치를 표시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정보나 서비스 영역내 상황에 따라 검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이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800)은, 주로 프로바이더의 관리하에 놓여지는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820)와,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하여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에 공급하기 위한 기능을 완수하기 위한 단말장치 MS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820)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2 프로바이더 P12가 운영하는 제 2 프로바이더 통신 전송장치 PF12에 대응하는 장치이며, 쇼트 메시지 저장부(821),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822)와, 쇼트 메시지 전송부(8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쇼트 메시지 저장부(821)는 동일한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822)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의 형성과, 상기 형성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의 유지를 행한다.
즉, 단말장치 MS80에 대해 입력 조작에 관한 안내 표시를 행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이러한 안내 표시에 따라서 유저가 단말장치 MS80에 대해서 행한 외부 조작에 따라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가 형성된다.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822)와 단말장치 MS80과의 협동에 의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형성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는, 단말장치 MS80으로부터 쇼트 메시지의 형태로 발신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발신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가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822)로 수신되어, 유지된다.
한편, 단말장치 MS80에 관한 정보의 수발신은 무선공간을 거쳐 행하여지지만, 그 자체는 주지와 같은 형태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쇼트 메시지 전송부(823)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821)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822)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에 의해서 규정된 수신처에 전송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의 개요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방법이 실시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쇼트 메시지의 수신이 있는 것을 대기하고(스텝 S901 No), 수신이 있으면(스텝 S901 : Yes), 그 쇼트 메시지를 접수하고, 저장한다(스텝 S902).
한편, 이 시스템에 있어서, 쇼트 메시지의 전송의 형태를 규정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하고(스텝 S903), 스텝 S903에서 형성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유지한다(스텝 S904).
스텝 S904에서 유지되어 있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읽어내 참조하여, 이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로 규정된 것에 따라서, 스텝 S902에서 접수하여 저장되어 있던 쇼트 메시지를 전송한다(스텝 S905).
통신 종료까지는(스텝 S906 : No), 스텝 S901로부터 스텝 S905의 처리는 반복되어, 통신 종료의 처치가 취해지면(스텝 S906: Yes), 종료한다.
본 발명은, 동일한 착신측 유저가 이용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발신측이 수신처로서 지정한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전송처로서 미리 지정한 소정의 다른 단말장치에 전송하여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및,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을 실현하기 위해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700 :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
710 : 쇼트 메시지 전송 설비
711 :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712 :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
713 :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송신부
720 :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
721 : 쇼트 메시지 저장부
722 :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
723 : 쇼트 메시지 전송부

Claims (8)

  1. 쇼트 메시지 전송 설비와 쇼트 메시지 전송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 장치는,
    복수의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와,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유지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와,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에 의해서 규정된 수신처에 전송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부를 구비하며,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 설비는,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하고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에 공급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
  2. 복수의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와,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유지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와,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에 의해서 규정된 수신처에 전송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 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 및,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부의 각 부는, 쇼트 메시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쇼트 메시지의 전송을 담당하는 소정의 쇼트 메시지 중계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
  4. 복수의 단말장치 중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쇼트 메시지 저장부와,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부에 저장된 쇼트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유지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에 대해,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공급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로서,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와,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에서 형성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에 송신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송신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는, 단말장치에 대한 유저로부터 입력받은 설정 명령에 기초하여, 쇼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는, 단말장치에 대한 유저에 의한 서비스 이용 상황의 이력에 기초하여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서비스 이용 상황은, 상기 유저가 가입자 계약을 맺고 있는 통신사업자의 설비에 축적되는 상기 유저에 대한 서비스 이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부는, 단말장치에 대한 유저가 이용하는 단말장치의 위치를 표시하는 단말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8. 복수의 단말장치 중 하나의 단말장치 앞으로의 쇼트 메시지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쇼트 메시지 저장스텝과,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스텝에서 저장한 쇼트 메시지를 상기 복수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장치 앞으로 전송하는지를 규정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형성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스텝과,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형성스텝에서 형성한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스텝과,
    상기 쇼트 메시지 저장스텝에서 저장한 쇼트 메시지를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유지스텝에서 저장한 상기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에 의해서 규정된 형태로 수신처에 전송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스텝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


KR1020107027987A 2008-06-18 2009-06-15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및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 KR1012123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59207 2008-06-18
JP2008159207A JP5149709B2 (ja) 2008-06-18 2008-06-18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サービス管理システム、ショートメッセージ転送装置、ショートメッセージ転送形態規定情報供給装置、および、ショートメッセージ転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701A KR20110009701A (ko) 2011-01-28
KR101212375B1 true KR101212375B1 (ko) 2012-12-13

Family

ID=41433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7987A KR101212375B1 (ko) 2008-06-18 2009-06-15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및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270997B2 (ko)
EP (1) EP2291012A1 (ko)
JP (1) JP5149709B2 (ko)
KR (1) KR101212375B1 (ko)
CN (1) CN101990769A (ko)
BR (1) BRPI0915425A2 (ko)
RU (1) RU2476005C2 (ko)
WO (1) WO20091539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8194B1 (en) * 1999-08-31 2003-09-30 At&T Wireless Services, Inc. Filtered in-box for voice mail, e-mail, pages, web-based information, and faxes
US8953581B1 (en) 2009-05-13 2015-02-10 Dust Networks, Inc. Timing synchronization for wireless networks
US8422986B1 (en) 2010-06-03 2013-04-16 8X8, Inc. Systems, methods, devices and arrangements for emergency call services using non-traditional endpoint devices
US9116223B1 (en) 2010-06-03 2015-08-25 8X8, Inc. Systems, methods, devices and arrangements for emergency call services and user participation incentives
US9689988B1 (en) 2010-06-03 2017-06-27 8X8, Inc. Systems, methods, devices and arrangements for emergency call services and emergency broadcasts
US8879540B1 (en) 2010-06-03 2014-11-04 8X8, Inc. Systems, methods, devices and arrangements for emergency call services
CN107071725B (zh) 2010-10-27 2020-12-25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蜂窝网络服务的方法、网络实体、移动终端及介质
GB201222198D0 (en) * 2012-12-11 2013-01-23 Tomtom Int Bv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lert notifications to a vehicle occupant
WO2014174806A1 (ja) 2013-04-22 2014-10-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9433030B2 (en) * 2014-01-14 2016-08-30 Qualcomm Incorporated Volte call setup
CN103796182B (zh) * 2014-02-28 2017-02-15 杭州东信北邮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消息发送系统和方法
JP6509507B2 (ja) * 2014-07-17 2019-05-08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情報表示方法
US9466154B2 (en) 2014-11-21 2016-10-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service management
EP3304943B1 (en) 2015-06-01 2019-03-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ving device detection
US10326888B1 (en) 2016-05-04 2019-06-18 8X8, Inc. Location updates for call routing decisions
US10542150B1 (en) 2016-05-04 2020-01-21 8X8, Inc. Server generated timing of location updates for call routing decisions
US10530934B1 (en) 2016-05-04 2020-01-07 8X8, Inc. Endpoint location determination for call routing decisions
US11076051B1 (en) 2016-05-04 2021-07-27 8X8, Inc. Endpoint location update control for call routing decisions
US10424197B2 (en) * 2016-08-10 2019-09-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method for supporting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utilizing a base station
CN110049458B (zh) * 2018-01-15 2022-06-07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一种信息传输方法、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CN109862527B (zh) * 2019-01-04 2021-07-09 宁波牛信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短信分发方法、装置、计算机装置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294596B6 (cs) * 1995-03-23 2005-02-16 T-Mobile Deutschland Gmbh Způsob a zařízení ke zjišťování dynamických dopravních informací
US5822523A (en) * 1996-02-01 1998-10-13 Mpath Interactive, Inc. Server-group messaging system for interactive applications
US6853849B1 (en) 1996-05-30 2005-02-08 Sun Microsystems, Inc. Location/status-addressed radio/radiotelephone
JPH10207795A (ja) 1997-01-22 1998-08-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メール転送方法および電子メールサービス提供装置
US7075929B2 (en) * 2001-06-06 2006-07-11 Motorola, Inc. Dense mode IP multicast call scop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289220A1 (en) 2001-09-03 2003-03-05 Alcatel Locally restricted open communication
EP1294201A1 (en) * 2001-09-18 2003-03-19 Lucent Technologies Inc. A method of forwarding text messages,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a register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and a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JP2003111140A (ja) 2001-09-26 2003-04-11 Nec Commun Syst Ltd 移動端末の通信方式及び通信方法
US7072359B2 (en) * 2002-07-09 2006-07-04 Qualcomm, Inc. Short message conversion between different forma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GB0223576D0 (en) * 2002-10-11 2002-11-20 Telsis Holdings Ltd Telecommunications services apparatus
US7248159B2 (en) * 2003-03-01 2007-07-24 User-Centric Ip, Lp User-centric event reporting
US7623878B2 (en) * 2005-04-13 2009-11-2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message to two or more associ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00551142C (zh) * 2003-08-11 2009-10-14 摩托罗拉公司 一种用于从无线设备转发信息的方法及其装置
US7269431B1 (en) * 2004-01-16 2007-09-11 Cingular Wireless Ii, Llc System for forwarding SMS messages to other devices
JP4563839B2 (ja) 2005-02-25 2010-10-1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GB2432480A (en) * 2005-11-16 2007-05-23 Tyntec Ltd Relay for forwarding signals to a destination network not directly reachable
JP2007274524A (ja) 2006-03-31 2007-10-18 Nec Corp Smsメールシステムおよびsmsメール送信方法
US8155636B2 (en) * 2006-05-05 2012-04-10 Mediatek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controlling mobile stations
US20070274271A1 (en) * 2006-05-25 2007-11-29 Motorola, Inc.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dual transceivers for network pairing with another device
US8121626B1 (en) * 2006-06-05 2012-02-21 Callwave, Inc. Method and systems for short message forwarding services
US8204057B2 (en) * 2006-10-26 2012-06-19 Tekelec Global,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n enriched messaging servic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EP3379777B1 (en) * 2006-11-01 2020-12-23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use in forwarding short messages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US8135377B2 (en) * 2007-12-27 2012-03-13 Mitac International Corporation Attaching location data to a SMS mess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76005C2 (ru) 2013-02-20
KR20110009701A (ko) 2011-01-28
US20110143781A1 (en) 2011-06-16
US8270997B2 (en) 2012-09-18
CN101990769A (zh) 2011-03-23
EP2291012A1 (en) 2011-03-02
RU2010154181A (ru) 2012-07-27
WO2009153958A1 (ja) 2009-12-23
JP5149709B2 (ja) 2013-02-20
JP2010004125A (ja) 2010-01-07
US8543145B2 (en) 2013-09-24
BRPI0915425A2 (pt) 2015-11-03
US20110098065A1 (en)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2375B1 (ko) 쇼트 메시지 서비스 관리 시스템, 쇼트 메시지 전송장치, 쇼트 메시지 전송형태 규정 정보 공급장치 및 쇼트 메시지 전송방법
US6600923B1 (en) Method and communication network for administering subscriber data, particularly service data
CN101800980B (zh) 无线通信系统和方法
CN1649371B (zh) 存储查询结果以减少无线网络中的号码移植查询
JP4248146B2 (ja) ショートメッセージ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KR101472511B1 (ko) 다수의 수신기들에게 전자 단문 메시지를 송신하는 방법
KR100466928B1 (ko) 듀얼 스텍 이동 통신 시스템
CN100461879C (zh) 一种短消息被叫业务的实现方法
KR101177628B1 (ko) 이동통신 시스템, 및, 가입자 프로파일 유지장치
KR20100022147A (ko) 해외 로밍된 이동 단말의 위치 등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05538587A (ja) ダイヤル・エラーを通知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886233B2 (en)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system, short message service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relay apparatus, communication service management method, and short message service management method
JP5662170B2 (ja) 事業者毎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及び事業者毎サービス提供方法
KR100931505B1 (ko) 단말 전환 서비스에서 통화 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10133406A (ko) 모드 선택을 통한 해외 로밍 sms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050653B1 (ko) 해외 로밍 서비스에 있어서 발신 번호 문자 메시지 통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9716B1 (ko) 구식별 번호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시지 발신 및 착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76201B1 (ko) 홈망의 가입자와 방문망의 가입자 간 호 처리 방법 및 이를위한 시스템
KR100558998B1 (ko) 이동전화망에서의 아이에스 41 씨 프로토콜 적용에 따른 선불 이동전화서비스 제공방법
KR10089104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스팸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101510300B1 (ko) 전화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3065990A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および接続装置
JP4216172B2 (ja) ホームロケーションレジスタ機能保持装置及び交換機
KR20110133236A (ko) 지원 오류 통보를 통한 해외 로밍 sms 서비스 제공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120023277A (ko) 해외 로밍 가입자에 대한 피처코드 서비스 지원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