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464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7464B1 KR101177464B1 KR1020100042001A KR20100042001A KR101177464B1 KR 101177464 B1 KR101177464 B1 KR 101177464B1 KR 1020100042001 A KR1020100042001 A KR 1020100042001A KR 20100042001 A KR20100042001 A KR 20100042001A KR 101177464 B1 KR101177464 B1 KR 1011774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nt
- compression member
- compressor
- remover
- hall sen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08—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using one or more blowing devices, e.g. nozzle bar, the effective area of which is adjustable to the width of the materi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 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포집하며 포집된 린트량을 감지하는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린트필터의 린트를 제거하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Laundry machine)는 세탁이 완료된 세탁대상물을 건조시키는 장치로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건조기는 세탁대상물을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로딩방식(top loading type)과 프론트로딩 방식(front loading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 최근에는 세탁대상물을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할 수 있는 프론트로딩 방식, 일명 드럼 타입의 건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건조기는 외부에서 공기를 유입하여 가열하여 건조를 한 다음 배출하는 배기식과, 유입된 공기를 순환하여 사용하는 순환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건조기에서 세탁대상물을 건조하여 수분을 함유한 공기는 건조를 하는 과정에서 세탁대상물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함유하게 된다. 따라서, 건조기는 일반적으로 드럼에서 배기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를 포함하게 된다.
그런데, 건조기를 계속해서 작동시키는 경우, 필터부에는 계속해서 먼지가 쌓이게 되며, 이에 의해 필터부가 막히게 되어 공기가 순환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필터부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건조기를 사용한 후 매번 린트를 제거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자동으로 린트필터의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제거기를 구비하여 건조기 작동 후 매번 린트를 제거해야할 필요가 없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집된 린트의 양을 감지하여 린트 교체 시기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 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포집하며 포집된 린트량을 감지하는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린트가 수집되는 린트수집부를 하부에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린트수집부에 수집된 린트를 압축하는 린트압축기; 상기 린트수집부에 수집된 린트량을 감지하는 린트량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압축기는 상기 린트수집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여 상기 린트수집부에 수집된 린트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축할 수 있다.
상기 린트량 감지부는 상기 린트압축기의 이동주기를 감지하여 린트수집부의 린트량을 계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린트압축기의 이동주기를 측정하는 주기측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기측정장치는 상기 린트압축기와 접촉하여 상기 린트압축기의 이동주기를 측정하는 마이크로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상기 린트수집부의 소정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기측정장치는 홀 센서와 상기 홀 센서에 대응하는 마그네트일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린트압축기에 구비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린트수집부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린트필터에 붙어있는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제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린트제거기는 일자형의 막대와 상기 막대의 하부면에 결합된 브러쉬로 구성되며, 상기 막대가 회전하면서 린트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막대에는 상기 홀 센서와 대응하는 마그네트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막대에 결합된 마그네트 및 상기 린트압축기에 결합된 마그네트의 자속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린트수집부의 후면 내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린트필터에 붙어있는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제거단계; 린트제거기의 위치를 감지하여 린트제거기를 파킹시키는 브러쉬 파킹단계; 린트압축기의 압축부재를 이용하여 수집부에 수집된 린트를 압축하는 린트압축단계; 압축부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압축부재를 초기 위치에 파킹시키는 압축부재 파킹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린트제거기와 압축부재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린트제거기와 압축부재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린트압축기와 상기 린트제거기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린트제거기는 지면과 수직한 위치에 파킹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자동으로 린트필터의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제거기를 구비하여 건조기 작동 후 매번 린트를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집부의 린트량을 감지하여 린트가 가득찬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수시로 수집부를 확인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건조기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필터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3은 도 3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필터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3은 도 3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건조기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 후 필터어셈블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건조기의 요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 드럼(1)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1)은 원통형으로 전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는 건조가 진행되는 공간인 건조챔버(5)가 형성되고, 상기 드럼(1)의 내부에는 드럼(1)의 회전시 상기 건조챔버(5) 내의 건조대상물을 끌고 올려가 낙하시킴으로써 건조대상물을 뒤집어 주어 건조효율을 높이는 리프터(6)가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게 각각 프론트 서포터(7)와 리어 서포터(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서포터(7)와 리어 서포터(9)는 상기 드럼(1)의 앞쪽과 뒷쪽을 막아 건조챔버(5)를 형성하고 드럼(1)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 서포터(7)와 회전하는 드럼(1) 사이 및 상기 리어 서포터(9)와 회전하는 드럼(1)의 사이에는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실링재(10)가 설치된다.
물론, 상기 프론트 서포터(7)와 상기 리어 서포터(9)에는 상기 드럼(1)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롤러(미도시)가 상기 드럼(1)의 전방과 후방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서포터(7)에는 상기 건조챔버(5)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공(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8)은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서포터(9)에는 열풍공급덕트(12)가 설치되는데, 상기 열풍공급덕트(12)는 상기 건조챔버(5)로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건조챔버(5)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서포터(7)의 통공(8)의 하단에 해당되는 상기 프론트 서포터(7)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챔버(5)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인 필터어셈블리(1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어셈블리(100)는 린트필터(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린트필터(130)는 상기 건조챔버(5)를 빠져나가는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예를 들어 실밥이나 먼지)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필터어셈블리(100)는 린트필터 덕트(20) 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린트필터 덕트(20)에는 블로워(17)가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린트필터 덕트(20)를 통해 상기 건조챔버(5)의 공기를 빨아내게 된다. 상기 린트필터 덕트(20)는 상기 블로워(17)에 연결되는 송풍구가 형성된 리어덕트(21)와, 상기 리어덕트(21)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리어덕트(21)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덕트(22)로 구성된다.
상기 블로워(17)는 블로워하우징(18)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블로워하우징(18)은 일측이 상기 린트필터 덕트(20)와 연통되어 있고, 타측에 배기파이프(19)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챔버(5)에서 빠져나와 상기 린트필터 덕트(2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블로워(17)의 송풍작용에 의해 상기 배기파이프(1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상기 열풍공급덕트(12)의 입구측에는 가이드 판넬(16)이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판넬(16)은 가열장치(25)에 의해 발생된 열풍을 상기 열풍공급덕트(12)의 입구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판넬(16)의 입구측에는 가스, 전기 등으로 공기를 가열시켜 열풍을 공급하는 가열장치(25)가 설치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필터어셈블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Ⅰ-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110), 프레임(110)의 일측에 결합되는 린트필터(130), 린트필터(130)에 붙어있는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제거기(140), 린트를 수집하는 수집부(120), 수집된 린트를 압축하는 린트압축기(160) 및 수집부(120)의 린트량을 감지하는 린트량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레임(110)은 전면 프레임(111)과 후면 프레임(미도시)으로 구성되며, 상기 두 프레임이 결합하여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전면 프레임(111)의 중앙에는 상기 린트필터(130)가 결합되는 필터결합홀(1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결합홀(117)은 원형의 개구된 공간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공기유입홀(119)이 형성되어 있다. 건조챔버(5)의 공기는 상기 공기유입홀(119)을 통해 상기 프레임(1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공기유입홀(119)을 통해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결합홀(117)에 설치된 린트필터(130)를 통해 프레임(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 양측면에는 거치대(11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10)을 상기 프론트 서포터(7)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거치대(115)가 상기 프론트 서포터(7)에 거치되면서 상기 프레임(110)은 소정의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필터결합홀(117)에는 리브(rib)(15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리브(150)는 상기 필터결합홀(117)에 결합되어 상기 린트필터(130)를 고정시키고 지지한다.
상기 리브(150)는 중앙에 배치되는 허브(151)와 상기 허브(151)에 방사형으로 결합된 복수 개의 스포크(spoke)(153)로 구성된다. 상기 허브(151)에는 상기 린트제거기(140)가 결합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포크(153)는 상기 필터결합홀(117)을 부채꼴 형상의 복수 개의 섹터로 분할하며, 각 섹터에는 상기 린트필터(130)가 결합된다. 상기 섹터 중 일부에는 파킹부(157)가 구비된다. 상기 파킹부(157)는 후술하는 린트제거기(140)의 막대(141)가 파킹되는 공간이다. 상기 파킹부(157)는 상기 린트필터(130)가 결합되지 않으며 차폐되어 있다. 상기 파킹부(157) 내측면의 양 가장자리에는 돌출된 스토퍼(159)가 형성되어 있다.(도 6참조) 상기 스토퍼는 브러쉬(142)에 부착된 린트를 분리시킨다. 즉, 상기 막대(141)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토퍼(159)를 지나게 되면 브러쉬(142)에 부착된 린트가 분리된다. 상기 파킹부(157)는 상기 섹터 중 어느 곳에 구비되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지면과 수직인 스포크(153)와 인접한 섹터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2시 또는 6시 방향의 스포크(153)와 인접한 섹터에 상기 파킹부(157)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브(150)는 상기 필터결합홀(117)을 통해 외부로 이동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린트필터(130)가 찢어지거나, 상기 린트필터(130)가 상기 프레임(11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블로워(17)의 출력이 높은 경우 린트필터(13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매우 빠르다. 이 경우 상기 린트필터(130)에는 높은 압력이 가해지며 이러한 압력에 의해 상기 린트필터(130)가 찢어지거나 프레임(110)과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필터결합홀(117)에 리브(150)를 구비하여 상기 린트필터(13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리브(150)는 상기 전면 프레임(1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리브(15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리브(150)는 원형의 림(rim)(15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림(155)은 상기 스포크(153)의 중앙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허브(151), 스포크(153) 및 림(155)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린트필터(130)는 건조기 내부에 순환되는 공기 중의 불순물을 걸러준다.
상기 린터필터(130)는 상기 리브(150)에 결합되어 상기 필터결합홀(11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불순물을 여과한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린트필터(130)는 상기 리브(150)의 각 스포크(153)와 림(155)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결합된다. 즉, 상기 린트필터(130)는 상기 스포크(153)에 의해 구획되는 부채꼴 형상의 각 섹터에 결합된다.
린트제거기(140)는 상기 린트필터(130)에 붙어있는 린트를 제거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린트제거기(140)는 상기 린트필터(13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린트필터(130)에 붙어있는 린트를 제거한다. 상기 린트제거기(140)는 일자형의 막대(141)와 상기 막대(141)에 하부면에 결합된 브러쉬(142)로 구성된다. 상기 막대(141)의 일단은 회전축(143)과 결합되며, 상기 회전축(143)은 상기 허브(151) 중앙에 형성된 홀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143)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막대(141)는 상기 리브(150)의 중심을 축으로 회전가능하다. 상기 막대(141)와 상기 회전축(143)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대(141)의 길이는 상기 필터결합홀(117)의 반지름보다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린트제거기(140)가 작동하지 않을 때는 상기 막대(141)는 상기 필터결합홀(117)에 구비된 파킹부(157)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허브(151)에 결합된 회전축(143)은 제2모터(144)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린트제거기(140)는 제2모터(144)에 의해 구동되며, 이때 상기 브러쉬(142)가 린트필터(130)에 붙어있는 린트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제2모터(144)와 상기 회전축(143) 사이에는 원동축 기어(미도시)와 종동축 기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동축 기어는 상기 제2모터(144)와 연결되며, 상기 종동축 기어는 상기 원동축 기어와 치합되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143)과 연결된다.
상기 막대(141)가 회전할 때 토크보다는 속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원동축 기어에 대한 종동축 기어의 기어비는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동축 기어가 원동축 기어에 비해 훨씬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원동축 기어가 1회전할 때 종동축 기어는 수회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린트제거기(140)에 의해 제거된 린트를 수집부(120)에 수집하고 수집된 린트를 린트압축기(160)를 이용하여 압축한다. 더불어, 린트량 감지부는 수집부(120)에 수집된 린트량을 감지하여 일정량 이상의 린트가 수집되면 알람을 발생시켜 사용자에게 수집부(120)의 청소시기를 알려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수집부, 린트압축기 및 린트량 감지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수집부, 린트압축기 및 린트량 감지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수집부(120)는 상기 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린트제거기(140)에 의해 제거된 린트를 수집한다.
상기 수집부(120)는 내부에 린트가 적층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집부(120)의 상부는 상기 프레임(110)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수집부(120)는 상부가 개구된 직사각형의 박스 형태이다. 상기 수집부(120)의 하부면에는 린트제거기(140)의 랙기어(163)가 왕복이동하는 이동로(1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동로(121)는 상기 수집부(120)의 하부면과 단차지게 형성되며 하부로 돌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집부(120)는 상기 프레임(110)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수집부(120)는 상기 프레임(1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린트압축기(160)는 상기 수집부(120)에 수집된 린트를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축한다. 상기 린트압축기(160)는 린트를 이동시켜 압축시키는 압축부재(161)와 상기 압축부재(161)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제1모터(16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압축부재(161)로 전달한다. 즉,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제1모터(16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압축부재(161)가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압축부재(161)에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랙기어(163)와 피니언기어(165)로 구성된다. 상기 피니언기어(165)는 상기 제1모터(167)로부터 최초 동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이며, 상기 랙기어(163)는 상기 피니언기어(165)에 치합된 종동기어이다. 상기 랙기어(163)의 상부에는 상기 압축부재(161)가 결합되며, 랙기어(163)는 상기 수집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한다. 상기 랙기어(163)는 상기 수집부(120)에 구비된 이동로(121)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랙기어(163)는 상기 이동로(121)를 따라 직선 운동을 한다. 상기 랙기어(163)의 전면에는 피니어기어(165)가 치합되는 치차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랙기어(163)의 상부면에는 상기 압축부재(161)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랙기어(163)는 상기 이동로(121)의 중앙 또는 상기 이동로(121)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린트압축기(160)이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랙기어(163)의 위치(이하 파킹위치라 한다)는 상기 이동로(121)의 중앙 또는 상기 이동로(121)의 일측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랙기어(163)는 상기 수집부(120) 길이의 1/2 이하이며, 상기 랙기어(163)의 이동 경로가 최대가 되기 위해서 상기 랙기어(163)의 길이는 상기 수집부(120)의 길이의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피니언기어(165)는 상기 제1모터(167)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랙기어(163)를 좌우로 구동시킨다. 상기 피니언기어(165)는 상기 랙기어(163)와 치합된다. 더불어, 상기 피니언기어(165)는 상기 수집부(120)의 하부면 중앙에 배치된다. 상기 이동로(121)의 전면 일부는 절개되어 있으며, 절개된 부분을 통해 상기 피니언기어(165)와 랙기어(163)가 치합된다.
한편, 상기 피니언기어(165)의 하부에는 상기 피니언기어(165)를 구동시키는 제1모터(167)가 구비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동력전달수단으로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를 채택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구동부는 회전운동을 하는 모터가 사용되므로 동력전달수단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수단이면 족하다. 동력전달의 다른 일 실시예로 힌지와 크랭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웜기어가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자력을 이용한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압축부재(161)에 영구자석을 결합하고 상기 압축부재(161)와 인접한 곳에 전자석을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과 전자석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과 척력에 의해 상기 압축부재(161)가 왕복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재(161)는 상기 수집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며 린트를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기 린트제거기(140)에 의해 제거된 린트가 수집부(120)에 수집되면 상기 압축부재(161)가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면서 린트를 일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압축부재(161)는 상기 랙기어(163)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상기 압축부재(161)가 상기 랙기어(163)에 결합되는 위치는 상기 랙기어(163)의 파킹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랙기어(163)의 파킹위치가 상기 수집부(120)의 중앙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부재(161)는 상기 랙기어(163)의 중앙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압축부재(161)는 상기 수집부(120)의 좌우로 이동하면서 수집부(120)의 린트를 양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랙기어(163)의 파킹위치가 상기 수집부(120)의 일측인 경우에는 상기 압축부재(161)는 상기 랙기어(163)의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수집부(120)의 측면 내벽과 인접한 위치에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압축부재(161)는 상기 수집부(120)의 내측 방향으로 상기 린트를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압축부재(161)의 상부면은 일측 또는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압축부재(161)의 상부면에 안착하는 린트가 상기 압축부재(161)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흘러내려 수집부(120)에 수집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랙기어(163)의 파킹위치가 상기 수집부(120)의 중앙일 경우에는 상기 압축부재(161)의 상부면은 양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랙기어(163)의 파킹위치가 상기 수집부(120)의 일측일 경우에는 상기 압축부재(161)의 상부면은 상기 수집부(120)의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압축부재(161)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압축부재(161)의 길이는 상기 수집부(120)의 내측 폭에 대응된다. 즉, 상기 압축부재(161)는 상기 수집부(120)의 내측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수집부(120)의 내벽과 간섭없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집부(120)의 내벽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린트량 감지부는 상기 압축부재(161)의 이동주기를 측정하여 수집부(120)에 수집된 린트량을 감지한다.
상기 린트량 감지부는 상기 압축부재(161)의 이동주기를 측정하는 주기측정장치, 압축부재(161)의 이동주기를 이용하여 수집부(120)의 린트량을 계산하는 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기측정장치로부터 측정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압축부재(161)의 이동주기를 계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집부(120)의 린트량을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간 동안 상기 압축부재(161)가 기준위치를 통과하는 횟수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부재(161)의 이동주기를 측정한다. 더불어, 상기 압축부재(161)의 이동주기가 소정의 기준주기보다 짧은 경우 수집부(120)에 린트가 가득차 있다고 판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건조기는 알람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집부(120)에 린트가 가득찼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알람부로 알람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알람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알람신호를 수신하면 음성 또는 문자신호를 이용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 주기측정장치는 상기 압축부재(161)의 이동주기를 측정하고 측정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주기측정장치는 홀 센서(173)와 마그네트(171)일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171)는 상기 압축부재(161)에 구비된다. 상기 마그네트(171)는 상기 압축부재(161)의 전면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171)의 자기장은 상기 홀 센서(173)에 의해 감지된다.
상기 홀 센서(173)는 상기 마그네트(171)의 자속을 측정하여 마그네트(171)의 자속에 비례하는 전압값을 상기 제어부로 전송한다. 상기 마그네트(171)가 상기 홀 센서(173)에 가까이 있을수록 높은 전압값이 산출된다. 따라서, 홀 센서(173)에서 측정된 전압값을 이용하여 홀 센서(173)와 마그네트(171)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173)는 상기 수집부(120)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축부재(161)의 파킹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홀 센서(173)는 상기 수집부(120)의 전방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173)와 상기 압축부재(161)에 결합된 마그네트(171)의 작용을 설명하면, 상기 압축부재(161)가 파킹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마그네트(171)와 상기 홀 센서(173)의 거리는 최소가 된다. 이때, 상기 홀 센서(173)에서 산출된는 전압값은 최대가 된다. 이때의 전압값을 M이라 하면 압축부재(161)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홀 센서(173)를 지나칠 때마다 홀 센서(173)에는 전압값 M이 산출된다.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간 동안 상기 홀 센서(173)에 측정되는 전압값 M의 빈도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부재(161)의 이동주기를 계산한다. 압축부재(161)의 좌우측에 린트가 쌓일수록 상기 압축부재(161)의 이동주기는 짧아진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부재(161)의 이동주기가 소정의 기준주기보다 짧을 경우 수집부(120)에 린트가 가득찬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상기 알람부로 알람신호를 전송한다. 더불어, 상기 알람부는 사용자에게 수집부(120)의 교체를 알리는 알람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홀 센서(173)와 상기 마그네트(171)의 결합위치는 제작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홀 센서(173)에는 전원의 공급을 위해 전원선이 필요하므로 고정되어 있는 수집부(12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이동하는 압축부재(161)에 마그네트(17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주기측정장치는 마이크로스위치(181)일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81)는 상기 수집부(120)에 구비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81)는 상기 이동로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81)는 상기 랙기어(163)가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81)와 접촉할 때마다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한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는 일정시간 동안의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81)와 상기 랙기어(163)의 접촉빈도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부재(161)의 이동주기를 계산한다. 이하 제어부의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스위치(181)가 이동로에 구비되고 상기 랙기어(163)와 접촉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81)는 이동부재, 즉 압축부재(161) 또는 랙기어(163)가 이동하는 이동구간에 설치되면 족하다. 더불어, 상기 마이크로스위치(181)는 상기 압축부재(161)의 이동구간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부재(161)와의 접촉빈도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를 경우 린트제거기(140))의 막대(141)에 마그네트(175)를 구비하고 홀 센서(173)를 이용해 상기 막대(14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홀 센서(173)를 상기 압축부재(161)에 구비된 마그네트(171)와 상기 막대(141)에 구비된 마그네트(175)의 자기장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 하나의 홀 센서(173)로 상기 압축부재(161) 및 상기 막대(14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6은 필터어셈블리의 전면을 내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마그네트(175)는 상기 막대(141)의 끝단에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막대(141)의 회전 경로 부근에 홀 센서(173)를 구비하여 상기 막대(14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 센서(173)는 상기 막대(141)에 구비된 마그네트(175)의 자기장과 상기 압축부재(161)에 구비된 마그네트(171)의 자기장을 동시에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를 경우 상기 홀 센서(173)는 상기 수집부(120)의 후면 내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압축부재(161)에 구비되는 마그네트(171)는 상기 압축부재(161)의 후면 상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의 홀 센서(173)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부재(161)와 상기 막대(14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2실시예에 다른 필터어셈블리는 상기 린트압축기(160)를 구동하는 제1모터(167)와 상기 린트제거기(140)를 구동하는 제2모터(144)가 동시에 작동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상기 홀 센서(173)로 감지되는 전압값의 변화가 상기 압축부재(161)의 이동에 따른 것인지 상기 막대(141)의 회전에 따른 것인지 구분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제어방법은 린트제거단계(S1), 브러쉬 파킹단계(S2), 린트압축단계(S3), 압축부재 파킹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린트제거단계(S1)는 린트제거기(140)가 린트필터에 붙어있는 린트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제2모터(144)를 구동시켜 막대(141)가 회전하면서 상기 막대(141)의 하부에 구비된 브러쉬(142)가 린트를 제거한다. 린트제거단계(S1)에서는 린트압축기(160)는 작동하지 않는다.
브러쉬 파킹단계(S2)는 막대(141)의 위치를 감지하여 린트제거를 마친 막대(141)를 파킹부(157)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먼저, 홀 센서(173)가 상기 막대(141)에 구비된 마그네트(175)의 자기장을 감지하여 이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이용하여 막대(141)의 위치를 감지한다. 그리고, 막대(141)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막대(141)가 파킹부(157)에 위치한 경우 제2모터(144)의 작동을 정지하고 상기 막대(141)를 파킹부(157)에 위치시킨다. 즉, 상기 홀 센서(173)는 상기 막대(141)가 파킹부(157)에 위치할 때에 측정되는 전압값을 저장하였다가, 저장된 전압값이 측정되면 상기 제2모터(144)의 작동을 정지시켜 상기 막대(141)를 파킹부(157)에 위치시킨다. 상기 막대(141)를 파킹부(157)에 위치시키는 이유는 상기 막대(141)에 의해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유동이 간섭받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막대(141)가 상기 필터결합홀의 3시방향 또는 9시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막대(141)는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하는 유동을 방해한다. 따라서, 상기 막대(141)를 파킹부(157)에 위치시켜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과하는 공기가 원활히 유동될 수 있다.
린트압축단계(S3)는 린트압축기(160)가 수집부(120)의 린트를 압축하는 단계이다. 린트압축단계(S3)에서는 제1모터(167)를 구동시켜 랙기어(163)를 좌우로 왕복운동을 하게한다. 따라서, 상기 랙기어(163)에 결합된 압축부재(161)가 수집부(120)의 린트를 양측으로 모으면서 압축한다.
압축부재 파킹단계(S4)는 압축부재(161)의 위치를 감지하여 압축부재(161)를 파킹위치에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파킹위치는 압축부재(161)가 랙기어(163)에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압축부재(161)가 상기 랙기어(163)의 중앙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부재(161)의 파킹위치는 상기 수집부(120)의 중앙이 된다. 또한, 압축부재(161)가 상기 랙기어(163)의 일측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부재(161)의 파킹위치는 상기 수집부(120)의 일측이 된다. 압축부재 파킹단계(S4)에서도 상기 브러쉬 파킹단계(S2)와 동일하게 상기 홀 센서(173)를 이용하여 상기 압축부재(161)의 위치를 감지한다. 즉, 상기 압축부재(161)에 구비된 마그네트(171)의 위치 따라 홀 센서(173)에서 측정되는 전압값을 이용하여 압축부재(161)의 위치를 감지한다. 더불어, 상기 홀 센서(173)에서 압축부재(161)가 파킹위치에 위치할 때의 전압값이 측정되면 상기 제1모터(167)를 정지시켜 상기 압축부재(161)를 파킹위치에 위치시킨다.
상기 각 단계의 작동순서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린트제거단계 및 린트압축단계를 마치고 브러쉬 파킹단계와 압축부재 파킹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압축부재 파킹단계를 실행하고 브러쉬 파킹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필터어셈블리 110 프레임
111 전면프레임 112 후면프레임
115 거치대 117 필터결합홀
119 공기유입홀
120 수집부 121 이동로
130 린트필터 140 린트제거기
141 막대 142 브러쉬
143 회전축 144 제2모터
150 리브 151 허브
153 스포크 155 림
157 파킹부 159 스토퍼
160 린트압축기 161 압축부재
163 랙기어 165 피니언기어
167 제1모터 171,175 마그네트
173 홀 센서 181 마이크로스위치
111 전면프레임 112 후면프레임
115 거치대 117 필터결합홀
119 공기유입홀
120 수집부 121 이동로
130 린트필터 140 린트제거기
141 막대 142 브러쉬
143 회전축 144 제2모터
150 리브 151 허브
153 스포크 155 림
157 파킹부 159 스토퍼
160 린트압축기 161 압축부재
163 랙기어 165 피니언기어
167 제1모터 171,175 마그네트
173 홀 센서 181 마이크로스위치
Claims (20)
-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건조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 상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의 린트를 포집하며 포집된 린트량을 감지하는 필터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린트가 수집되는 린트수집부를 하부에 구비하는 프레임;
상기 린트수집부 내부에서 왕복운동하여 상기 린트수집부 내부에 수집된 린트를 압축하는 린트압축기;
상기 린트압축기의 이동주기를 감지하여 상기 린트수집부에 수집된 린트량을 감지하는 린트량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압축기는 상기 린트수집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운동하여 상기 린트수집부에 수집된 린트를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압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량 감지부는 상기 린트압축기의 이동주기를 감지하여 린트수집부의 린트량을 계산하는 제어부와 상기 린트압축기의 이동주기를 측정하는 주기측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측정장치는 상기 린트압축기와 접촉하여 상기 린트압축기의 이동주기를 측정하는 마이크로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는 상기 린트수집부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측정장치는 홀 센서와 상기 홀 센서에 대응하는 마그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린트압축기에 구비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린트수집부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8항에 있어서,
린트필터에 붙어있는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제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제거기는 일자형의 막대와 상기 막대의 하부면에 결합된 브러쉬로 구성되며, 상기 막대가 회전하면서 린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에는 상기 홀 센서와 대응하는 마그네트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막대에 결합된 마그네트 및 상기 린트압축기에 결합된 마그네트의 자속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 센서는 상기 린트수집부의 후면 내측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제거기를 구동하는 제2모터;
상기 제2모터에 결합되는 원동축기어;
상기 원동축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린트제거기에 결합되는 종동축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원동축 기어에 대한 종동축 기어의 기어비는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 삭제
- 린트필터에 붙어있는 린트를 제거하는 린트제거단계;
린트제거기의 위치를 감지하여 린트제거기를 파킹시키는 브러쉬 파킹단계;
린트압축기의 압축부재를 이용하여 수집부에 수집된 린트를 압축하는 린트압축단계;
압축부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압축부재를 초기 위치에 파킹시키는 압축부재 파킹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제거기와 압축부재에는 마그네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홀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린트제거기와 압축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압축기와 상기 린트제거기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제거기는 지면과 수직한 위치에 파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2001A KR101177464B1 (ko) | 2010-05-04 | 2010-05-04 | 건조기 |
RU2012149220/12A RU2540760C2 (ru) | 2010-05-04 | 2011-05-04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с узлами удаления, сбора и прессования веществ для фильтра |
DE201121100092 DE212011100092U1 (de) | 2010-05-04 | 2011-05-04 | Kleidungsbehandlungsvorrichtung |
EP11777576.7A EP2567017B1 (en) | 2010-05-04 | 2011-05-04 |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substance removal, collection and compression units for the filter unit |
EP19185466.0A EP3584362B1 (en) | 2010-05-04 | 2011-05-04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PCT/KR2011/003346 WO2011139095A2 (en) | 2010-05-04 | 2011-05-04 |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substance removal, collection and compression units for the filter unit |
US13/100,455 US9096970B2 (en) | 2010-05-04 | 2011-05-04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AU2011249155A AU2011249155B2 (en) | 2010-05-04 | 2011-05-04 |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substance removal, collection and compression units for the filter unit |
CN201180022453.9A CN102884243B (zh) | 2010-05-04 | 2011-05-04 | 具有用于过滤单元的物质去除、收集和压缩单元的衣物处理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2001A KR101177464B1 (ko) | 2010-05-04 | 2010-05-04 | 건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2464A KR20110122464A (ko) | 2011-11-10 |
KR101177464B1 true KR101177464B1 (ko) | 2012-08-24 |
Family
ID=4539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2001A KR101177464B1 (ko) | 2010-05-04 | 2010-05-04 | 건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746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RU2540760C2 (ru) | 2010-05-04 | 2015-02-10 |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с узлами удаления, сбора и прессования веществ для фильтра |
CN110241587A (zh) * | 2018-03-09 | 2019-09-17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衣物处理设备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79081A (ja) | 2008-05-20 | 2009-12-03 | Hitachi Appliances Inc | 洗濯乾燥機 |
JP2009279080A (ja) | 2008-05-20 | 2009-12-03 | Hitachi Appliances Inc |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
JP2009285237A (ja) | 2008-05-30 | 2009-12-10 | Hitachi Appliances Inc |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
-
2010
- 2010-05-04 KR KR1020100042001A patent/KR1011774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79081A (ja) | 2008-05-20 | 2009-12-03 | Hitachi Appliances Inc | 洗濯乾燥機 |
JP2009279080A (ja) | 2008-05-20 | 2009-12-03 | Hitachi Appliances Inc |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
JP2009285237A (ja) | 2008-05-30 | 2009-12-10 | Hitachi Appliances Inc | 洗濯機、および洗濯乾燥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2464A (ko) | 2011-1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93226B1 (ko) | 의류처리장치 | |
EP2788540B1 (en) | Dryer | |
CN102884243B (zh) | 具有用于过滤单元的物质去除、收集和压缩单元的衣物处理装置 | |
US8468711B2 (en) | Clothes dryer | |
KR20140073906A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101177466B1 (ko) | 필터어셈블리와 이를 포함하는 건조기 | |
KR102052970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99322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177464B1 (ko) | 건조기 | |
KR101177465B1 (ko) | 건조기 | |
KR101241915B1 (ko) | 건조기 | |
KR20110122463A (ko) | 건조기의 제어방법 | |
KR101769365B1 (ko) | 세탁장치 | |
KR101191208B1 (ko) | 건조기 | |
KR100592676B1 (ko) | 의류건조기의 필터막힘 경보장치 | |
KR101861674B1 (ko) | 건조기의 필터어셈블리 제어방법 | |
KR101685977B1 (ko) | 건조기 | |
KR101729557B1 (ko) | 건조기 | |
KR101191212B1 (ko) | 세탁장치 | |
KR20060039307A (ko) | 의류건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