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5977B1 - 건조기 - Google Patents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5977B1
KR101685977B1 KR1020100042795A KR20100042795A KR101685977B1 KR 101685977 B1 KR101685977 B1 KR 101685977B1 KR 1020100042795 A KR1020100042795 A KR 1020100042795A KR 20100042795 A KR20100042795 A KR 20100042795A KR 101685977 B1 KR101685977 B1 KR 101685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t
filter
brush
stopp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3356A (ko
Inventor
김동현
이상익
김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4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5977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DE201121100092 priority patent/DE212011100092U1/de
Priority to CN201180022453.9A priority patent/CN102884243B/zh
Priority to US13/100,455 priority patent/US9096970B2/en
Priority to RU2012149220/12A priority patent/RU2540760C2/ru
Priority to EP19185466.0A priority patent/EP3584362B1/en
Priority to EP11777576.7A priority patent/EP2567017B1/en
Priority to PCT/KR2011/003346 priority patent/WO2011139095A2/en
Priority to AU2011249155A priority patent/AU2011249155B2/en
Publication of KR20110123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3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5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5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유지 및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 상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공기의 린트를 포집하여 포집된 린트를 청소하는 필터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청소된 린트를 회수하여 회전에 의해 압축하는 린트압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린트청소영역과 상기 린트압축부재의 린트압축영역이 소정 이상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조기{drying device}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유지 및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통상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기와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기를 포함한다.
건조기는 통상 세탁이 완료된 세탁물 즉 주로 의류를 고온의 공기를 이용하여 건조하는 가전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물 수용부를 갖는다. 상기 세탁물 수용부로 건조공기를 공급하고, 세탁물 수용부 내의 습 공기를 배기시키는 과정을 거쳐 세탁물의 건조가 이루어진다.
건조기는 세탁물을 건조기에 투입하는 방식에 따라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런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탑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기의 상측에서 투입되며, 프런트 로딩 방식에서는 세탁물이 건조기의 전면에서 투입된다.
이러한 건조기는 또한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물 수용부의 형태에 따라 나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캐비닛 타입 건조기와 드럼 타입 건조기가 있다.
상기 캐비닛 타입 건조기는 세탁물이 옷걸이 등을 통해 세탁물 수용부 내부에 걸려 있거나, 선반 등을 통해 뉘여 있게 된다.
상기 드럼 타입 건조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을 구동하는 구동원, 상기 드럼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 상기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배출하는 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건조기를 또 다른 방식으로 구분하면 응축식 건조기와 배기식 건조기로 분류할 수 있다.
응축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순환되며, 별도의 응축기에서 외부 공기와 열교환시켜 응축수를 만들어 이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기식 건조기에서는 드럼에서 세탁물과 열교환되어 다습한 상태가 된 공기가 건조기의 외부로 직접 배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건조기에서 건조 대상물의 건조에 사용된 공기중에는 린트(lint)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린트는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상에 설치된 린트 필터에 의해 걸러진다.
그런데 종래에는 건조 행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매번 린트 필터를 꺼내 린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오랜 시간 린트 필터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 풍량이 줄어들어 건조 효율이 저하되고 원활한 풍량이 확보되지 않으면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유지 및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을 방지할 수 있는 건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 상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공기의 린트를 포집하여 포집된 린트를 청소하는 필터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청소된 린트를 회수하여 회전에 의해 압축하는 린트압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린트청소영역과 상기 린트압축부재의 린트압축영역이 소정 이상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를 제공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을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린트 포집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바디와, 상기 필터 바디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필터부와, 상기 필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를 청소하는 필터청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는 원형의 메쉬와, 상기 메쉬를 지지하는 다수의 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청소부는 상기 필터부의 린트를 청소하는 브러쉬와, 상기 브러쉬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와, 상기 브러쉬에 의해 청소된 린트가 모이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브러쉬의 이동 경로상에 상기 필터부의 반경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린트압축부재의 린트압축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의 높이는 상기 브러쉬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린트압축부재는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에 모인 린트를 회수하여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린트압축부재는 상기 스토퍼에 모인 린트를 끌어당기는 보조 브러쉬와, 상기 보조 브러쉬를 회전 구동시키는 보조 모터와, 상기 보조 브러쉬에 의해 끌려온 린트가 압축되는 압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브러쉬는 상기 보조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부를 기준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브러쉬의 회동 경로는 상기 브러쉬의 회동 경로와 소정 간격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브러쉬는 상기 스토퍼와의 접촉시 상기 스토퍼를 지나갈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브러쉬는 정역회전하여 린트를 이동시켜 상기 압축부 상에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 바디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 바디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면에 대향되는 면에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는 린트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사용자가 린트 필터를 건조 후 매번 청소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린트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함으로써 적절한 건조 풍량을 항상 유지할 수 있어 건조 성능이 향상되고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에 따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건조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의 내부를 도시한 모식도.
도 5a 내지 도 5h는 도 3에 따른 필터청소부와 린트압축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모식도.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편의상 히트펌프 모듈을 사용한 응축식 건조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의 제어방법은 배기식 건조기나 응축식 건조기 및 건조 겸용 세탁기 등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배기식 건조기는 외부 공기를 가열하여 드럼 내로 공급하고, 드럼 내에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키는데 사용된 후 습해진 공기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된 건조기이다.
응축식 건조기는 드럼 내에서 건조 대상물을 건조시킨 습한 공기를 응축기 또는 히트펌프 모듈을 통해 제습한 후 가열하여 다시 드럼 내부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건조기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응축식 건조기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로 하고,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용 건조기는 크게 외관을 형성하며, 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인 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된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20)과, 드럼(20)의 개방된 전방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런트 서포터와, 드럼(20)의 후방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저널 베어링부재(24)와, 드럼(20)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60)로 구성된다.
또한, 건조기에는 프런트 서포터(30)에 연결된 배출덕트(50)와, 캐비닛(10)의 후면으로 연결되어 드럼(20)에 연통되는 공급 덕트(40)와, 배출덕트(50) 내에 설치되어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기 위한 송풍팬(52)과, 공급 덕트(40) 상에 설치되어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42)가 구비된다.
건조 대상물을 건조하고 습해진 공기는 응축기(70)를 통해 제습되며, 응축기(70)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배수펌프 어셈블리(80)에 의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된다. 응축기(70)의 일측에는 응축기(70)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72) 및 구동모터(60)가 설치된다.
캐비닛(10)의 전방에는 드럼(20)의 전방에 형성된 개구부(21a)에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된 부분은 도어(15)에 의해 개폐된다.
프런트 서포터(30) 및 저널 베어링부재(24)는 드럼(20)의 전방 및 후방을 각각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드럼(20)의 전방 상부 또는 하부는 롤러(90) 등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드럼(20)이 회전하더라도 프런트 서포터(30)는 회전하지 않고 캐비닛(10) 내측에 고정된다.
또한, 저널 베어링부재(24) 역시 캐비닛(10)의 내측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으며, 저널 베어링부재(24)의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을 중심으로 드럼(20)이 상대 회전하게 된다.
프런트 서포터(30)의 하측에는 배출덕트(50)가 연결되고, 배출덕트(50) 내에는 송풍팬(52)이 설치되어 건조가 완료된 후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킨다. 배출덕트(50)의 일단은 프런트 서포터(30)에 연결되고 타단은 공급 덕트(40)와 연통된다. 프런트 서포터(30)와 배출덕트(50)의 연결 부위에는 건조 후 드럼(20)으로부터 배기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10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어셈블리(100)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송풍팬(52)은 모터(60)에 직결되어 드럼(20) 내부의 공기를 강제로 송풍시킨다.
캐비닛(10)의 후방에는 다수의 관통홀(10a)이 형성되고, 배출덕트(50)를 통해 순환되는 공기를 드럼(20)으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 덕트(40)가 연결된다. 공급 덕트(4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다른 곳으로 유출되지 않고 드럼(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캐비닛(10)의 후방 내측면과 드럼(20)의 후방 외측면 사이에는 커버(22)가 장착된다.
드럼(20)의 후방에도 공기 연통을 위한 다수의 통기홀(20b)이 형성되며, 캐비닛(10)에 형성된 관통홀(10a)과 드럼(20)에 형성된 통기홀(20b)은 커버(22)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10a)과 통기홀(20b)이 커버(22)의 내측에 위치해야 공급 덕트(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드럼(20) 내부로 바로 유입될 수 있다. 공급 덕트(40) 상에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42)가 설치된다.
히터(42)는 건조 완료 후 송풍팬(52)에 의해 순환된 습한 공기가 후술할 응축기(70)를 통과해 제습된 후 공급 덕트(40)로 유입되면, 유입된 건조 공기를 가열한다. 건조된 공기는 히터(42)에 의해 가열되어 공급 덕트(40)를 통해 드럼(20)에 재공급된다.
즉, 드럼(20)이 회전하면서 드럼(20) 내부의 공기가 송풍팬(52)에 의해 배출덕트(50)를 통해 배기되면, 공급 덕트(40)를 통해 가열된 공기가 드럼(20) 내부로 빨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가열된 공기가 공급 덕트(40)를 통해 드럼(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히터(42)는 공급 덕트(40)로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단이나 공급 덕트(4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60)는 두 개의 회전축을 구비하며, 하나의 회전축은 송풍팬(52)과 연결되어 송풍팬(52)을 구동한다. 모터(60)의 다른 하나의 회전축은 풀리(62)에 결합되어 풀리(62)를 회전시킨다. 풀리(62)는 벨트(64)로 드럼(20)과 연결되므로, 벨트(64)의 회전에 의해 드럼(20)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기(70)는 배출덕트(50)와 공급 덕트(40)의 사이에 설치되어 배출덕트(50)를 통해 배기되는 습한 공기를 제습하여 공급 덕트(4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응축기(70)는 공냉식 또는 수냉식 응축기가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공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건조 후 습해진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차가운 외기를 응축기로 공급함으로써 열효환을 통해 습기를 응축시키게 된다. 수냉식 응축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매 또는 냉각수를 응축기로 공급함으로써 열교환을 통해 습기를 응축시키게 된다.
공냉식 또는 수냉식 응축기의 사용시 발생하는 응축수는 배수펌프 어셈블리(80)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된다. 본 발명에서는 편의상 공냉식 응축기를 일 실시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공냉식 응축기(70)가 사용되는 경우, 열교환에 의해 건조 후 습해진 공기 중의 습기를 응축시키기 위해 캐비닛(10)의 외부로부터 차가운 공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외기를 공급하는 외기공급 덕트(40)가 구비되어 그 일측이 응축기(7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모터(60) 및 송풍팬(5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외기공급 덕트(40)는 캐비닛(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되고, 일단이 응축기(70)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건조 행정이 계속되면 필터 어셈블리(100)에 린트 등의 이물질이 적층된다. 오랜 시간 린트 필터를 청소하지 않는 경우 풍량이 줄어들어 건조 효율이 저하되고 원활한 풍량이 확보되지 않으면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건조기의 사용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매번 린트 필터를 꺼내 린트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자동으로 린트 필터를 청소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풍량 확보 및 온도 과열에 따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필터어셈블리(100)가 제공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배출덕트(50) 상에는 필터어셈블리(100)가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어셈블리(100)는 필터 바디(110)와, 필터 바디(1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필터부(120)와, 필터부(120)를 자동으로 청소하는 필터청소부(130)로 구성된다.
필터 바디(110)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111a)가 형성되고, 공기 유입구(111a)에 대향되는 타측을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 린트 포집 공간이 형성된다. 즉, 전면(112)과 후면(114), 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측면(116)과 하면(118)으로 형성된다. 전면()에 필터부(120)가 일체로 형성되고, 전면(112)이 양측면(116)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개폐된다(편의상 공기가 빠져나가는 면을 필터 바디의 정면, 이에 대향되는 면을 후면, 공기 유입구 쪽을 상측, 반대쪽을 하측이라고 정의하기로 함).
공기 유입구(111a)가 형성된 필터 바디(110)의 상부는 결합 부위와의 간섭 방지를 위해 유선형으로 형성된다. 드럼(20)으로부터 배출된 공기는 공기 유입구(111a)를 통해 필터 바디(110)로 유입되어 필터 바디(110)의 전면(112)에 형성된 필터부(120)를 통해 빠져나간다.
필터부(120)는 적어도 필터 바디(110)의 전면(112)에 일체로 형성되며, 추가적으로 필터 바디(110)의 후면(114)에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부(120)가 양면에 형성될 경우 한족으로만 공기가 빠져나가는 경우 보다 풍량 확보에 유리하여 건조 성능 향상에 도움이 된다.
필터부(120)는 공기 유입구(111a)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빠져나가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린트가 필터링되는 부분으로, 가늘고 촘촘한 원형의 메쉬(122)와, 메쉬(122)를 지지하는 다수의 리브(124)로 구성된다. 메쉬(122)가 원형이므로 리브(124)는 원형의 메쉬(122)를 골고루 지지하고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원형 및 직선형이 복합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부(120)를 통해 린트가 제거된 공기가 빠져나가면 린트는 필터부(120)에 달라붙어 있는 상태로 서서히 적층되며, 이를 자동으로 청소하기 위해 필터 바디(110)의 내측에는 필터청소부(130)가 설치되며, 자동으로 청소된 린트를 압축하기 위한 린트압축부(140)가 설치된다(도 3 참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청소부(130)는 필터부(120)에 접촉하여 린트를 청소하는 브러쉬(132)와, 브러쉬(13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34)와, 브러쉬(132)에 의해 청소된 린트가 모이는 스토퍼(136)로 구성된다.
구동모터(134)는 필터부(12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필터 바디(110) 내부에 설치되며, 브러쉬(132)에 직결될 수도 있고, 회전 기어 등에 의해 브러쉬(132)와 연결될 수도 있다. 구동모터(134)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즉, 구동모터(134)는 구동모터(134)에 연결된 원동축 기어(미도시)와, 브러쉬(132)에 결합되며 원동축 기어에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축 기어(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브러쉬(132)의 회전시 토크 보다는 속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원동축 기어에 대한 종동축 기어의 기어비는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동축 기어가 원동축 기어에 비해 훨씬 작은 크기를 가지므로 원동축 기어의 1회전시 종동축 기어는 수회 회전할 수 있다.
구동모터(134)의 회전력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어 구조 외에도 풀리 및 벨트의 구조나 체인 구조, 또는 마찰차를 이용하는 방법 등에 의해 필터부(브러쉬)에 전달될 수 있다.
브러쉬(132)는 일단이 구동모터(134)에 직결되고 타단이 필터부(120)의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필터부(120)에 접촉한 상태로 필터부(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구동된다. 브러쉬(132)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도면에서는 편의상 유선형 브러쉬의 예만을 도시하였다). 브러쉬(132)가 회전하면서 브러쉬(132)의 솔이 필터부(120)에 부착된 린트를 긁어 모은 상태에서 회동하여 스토퍼(136)로 린트를 이동시킨다.
스토퍼(136)는 브러쉬(132)의 이동 경로상에 위치하며, 필터부(120)의 리브()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스토퍼(136)는 리브()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브러쉬(132)가 스토퍼(136)에 도달하는 순간 브러쉬(132)의 중심 축선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스토퍼(136)는 필터부(120)의 일측에 형성되되, 중심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해 사선으로 형성된다.
또한, 스토퍼(136)는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데, 그 최대 높이는 브러쉬(132)의 솔 길이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브러쉬(132)가 회전하여 스토퍼(136)로 린트를 끌고 온 후 다시 스토퍼(136)를 넘어서 회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브러쉬(132)가 스토퍼(136)에 린트를 끌고 와 린트는 스토퍼(136)의 표면에 남고 브러쉬(132)만 다시 회동하기 위해 스토퍼(136)의 표면에는 톱니와 같은 기어 이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스토퍼(136)의 표면에 적층된 린트는 린트압축부(140)에 의해 스토퍼(136)로부터 제거 및 압축된다.
린트압축부(140)는 필터부(1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스토퍼(136)에 모인 린트를 회수해 자동으로 압축시킨다. 린트압축부(140)는 스토퍼(136)에 모인 린트를 끌어당기는 보조 브러쉬(142)와, 보조 브러쉬(142)를 회전 구동시키는 보조 모터(144)와, 보조 브러쉬(142)에 의해 끌려온 린트가 압축되는 압축부(146)로 구성된다.
보조 브러쉬(142)는 보조 모터(144)에 직결되거나 회전 기어 등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일단이 보조 모터(144)에 연결되고 타단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보조 브러쉬(142)는 보조 모터(144)에 의해 압축부(146)를 기준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되어 린트를 압축한다. 이를 위해 보조 모터(144)는 정회전 및 역회전 가능한 모터가 사용된다.
보조 브러쉬(142)는 스토퍼(136)에 모인 린트를 끌어올 수 있어야 하므로 그 회동 경로가 브러쉬(132)의 회동 경로와 소정 간격 중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브러쉬(132)와 보조 브러쉬(142)는 서로 간섭되지 않기 위해 각기 다른 시점에 스토퍼(136)를 지나가도록 이동 주기가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러쉬(132)에 의해 끌려와 스토퍼(136)의 표면에 뭉쳐있는 린트는 린트의 특성상 보조 브러쉬(142)에 일부분만 걸리더라도 뭉쳐진 린트 덩어리 전체가 보조 브러쉬(142)로 끌려올 수 있다.
따라서 보조 브러쉬(142)는 회동하여 스토퍼(136)와 접촉될 때 스토퍼(136)를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이동 경로가 중첩되면 충분하다. 또한, 보조 브러쉬(142)는 회동시 스토퍼(136)를 지나갈 수 있도록 그 일부나 전체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보조 브러쉬(142)의 솔이 스토퍼(136)를 넘어갈 수 있다면 보조 브러쉬(142)의 재질은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압축부(146)는 스토퍼(136)와 되도록 큰 이격 간격을 갖는 위치에 설치되며, 스토퍼(136)와 마찬가지로 고정된 형태로 설치된다. 보조 브러쉬(142)가 압축부(146)를 기준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 하면서 스토퍼(136)에 적층된 린트를 끌어오고, 압축부(146)의 표면에 린트를 밀어준 다음 다시 회전하므로 압축부(146)의 표면에는 린트가 압축되어 쌓이게 된다.
도 3을 기준으로 압축부(146)의 하측에 압축되어 적층되는 린트는 압축부(146)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압축부(146) 아래로 하강할 수 있다. 압축부(146)의 상측에 압축되어 적층되는 린트는 압축부(146)의 표면에 부착되거나 보조 브러쉬(142)에 부착되어 압축부(146)의 하측으로 이동하거나 하강할 수도 있다.
전술한 필터청소부(130) 및 린트압축부(140)에 의해 의해 사용자는 건조기의 작동 완료 후 매번 필터를 청소하지 않아도 되며, 주기적으로 필터어셈블리(100)를 분리하여 압축된 린트를 버려주면 된다. 즉, 기존의 린트 필터 사용시 건조기 작동시마다 린트를 청소해야 했다면, 본 발명의 경우 건조기 10회 작동이나 20회 작동 후에 청소하면 되므로 린트 제거 주기가 길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기에 있어서, 린트 청소 및 압축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내지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러쉬(132)가 회전하면서 필터부(120)의 표면에 부착된 린트를 긁어가며 회전하게 된다. 린트가 붙은 브러쉬(132)가 회전하면서 스토퍼(136)를 만나게 되고, 브러쉬(132)가 스토퍼(136)를 지나면서 린트는 스토퍼(136)의 일측 표면에 남게 된다.
브러쉬(132)가 회전할 때 보조 브러쉬(142)도 회전하며, 브러쉬(132)가 스토퍼(136)를 지나간 후 보조 브러쉬(142)가 스토퍼(136)에 남아 있는 린트를 부착하여 회전한다. 보조 브러쉬(142)가 정회전하면서 린트를 압축부(146)로 이동시키고 압축부(146)에 린트를 가압하여 밀어준 후 다시 역회전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필터부(120)로부터 분리된 린트가 청소되고 압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어셈블리에 의해 린트 필터를 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적절한 건조 풍량을 항상 유지할 수 있어 건조 성능이 향상되고 과도한 내부 온도 상승에 따른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캐비닛 20 : 드럼
50 : 배출덕트 70 : 응축기
100 : 필터어셈블리 110 : 필터 바디
120 : 필터부 130 : 필터청소부
140 : 린트압축부

Claims (15)

  1.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건조 대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지나가는 배출덕트;
    상기 배출덕트 상에 설치되며, 배출되는 공기의 린트를 포집하는 필터부 및 포집된 린트를 청소하는 필터청소부를 포함하는 필터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를 통해 청소된 린트를 회수하여 회전에 의해 압축하는 린트압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필터어셈블리의 린트청소영역과 상기 린트압축부재의 린트압축영역이 소정 이상 중첩되며,
    상기 필터청소부는
    회전에 의해 상기 필터부의 린트를 청소하는 브러쉬; 및
    상기 브러쉬의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되 상기 린트압축부재의 린트압축영역과 중첩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브러쉬에 의해 청소된 린트가 모이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는,
    일측에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을 중심으로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어 내부에 린트 포집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 바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 바디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필터청소부는 상기 필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원형의 메쉬와, 상기 메쉬를 지지하는 다수의 리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청소부는 상기 브러쉬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필터부의 반경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높이는 상기 브러쉬의 회동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압축부재는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토퍼에 모인 린트를 회수하여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압축부재는 상기 스토퍼에 모인 린트를 끌어당기는 보조 브러쉬와, 상기 보조 브러쉬를 회전 구동시키는 보조 모터와, 상기 보조 브러쉬에 의해 끌려온 린트가 압축되는 압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러쉬는 상기 보조 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부를 기준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러쉬의 회동 경로는 상기 브러쉬의 회동 경로와 소정 간격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러쉬는 상기 스토퍼와의 접촉시 상기 스토퍼를 지나갈 수 있도록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브러쉬는 정역회전하여 린트를 이동시켜 상기 압축부 상에 압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 바디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필터 바디로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면에 대향되는 면에 추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
KR1020100042795A 2010-05-04 2010-05-07 건조기 KR101685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795A KR101685977B1 (ko) 2010-05-07 2010-05-07 건조기
CN201180022453.9A CN102884243B (zh) 2010-05-04 2011-05-04 具有用于过滤单元的物质去除、收集和压缩单元的衣物处理装置
US13/100,455 US9096970B2 (en) 2010-05-04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RU2012149220/12A RU2540760C2 (ru) 2010-05-04 2011-05-04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с узлами удаления, сбора и прессования веществ для фильтра
DE201121100092 DE212011100092U1 (de) 2010-05-04 2011-05-04 Kleidungsbehandlungsvorrichtung
EP19185466.0A EP3584362B1 (en) 2010-05-04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11777576.7A EP2567017B1 (en) 2010-05-04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substance removal, collection and compression units for the filter unit
PCT/KR2011/003346 WO2011139095A2 (en) 2010-05-04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substance removal, collection and compression units for the filter unit
AU2011249155A AU2011249155B2 (en) 2010-05-04 2011-05-04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substance removal, collection and compression units for the filter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2795A KR101685977B1 (ko) 2010-05-07 2010-05-07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356A KR20110123356A (ko) 2011-11-15
KR101685977B1 true KR101685977B1 (ko) 2016-12-13

Family

ID=4539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2795A KR101685977B1 (ko) 2010-05-04 2010-05-07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59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632B1 (ko) * 2018-07-16 2019-03-11 (주)센도리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2346A (ja) * 2004-10-08 2006-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4409A (en) * 1980-02-06 1982-02-09 Whirlpool Corporation Automatic lint screen cleaner and storage system for dryer
JP3002062B2 (ja) * 1992-09-21 2000-01-24 東京瓦斯株式会社 フィルタークリーナ付衣類乾燥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2346A (ja) * 2004-10-08 2006-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3356A (ko) 2011-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9327712B2 (en) Dryer and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thereof
JP2008006045A (ja) 洗濯乾燥機
EP2829653B1 (en) Laundry drying apparatus
KR10177942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41915B1 (ko) 건조기
EP1584735A2 (en) Apparatus for driving drum of clothes dryer
KR101199392B1 (ko) 건조기
KR101685977B1 (ko) 건조기
KR101191210B1 (ko) 건조기
KR101191208B1 (ko) 건조기
KR101253193B1 (ko) 건조기
KR101191207B1 (ko) 건조기
KR101177479B1 (ko) 건조기
CN103938422B (zh) 衣物干燥机
KR101191209B1 (ko) 건조기
KR20110123333A (ko) 건조기
KR101227515B1 (ko) 건조장치
KR101692725B1 (ko) 건조기
KR101265644B1 (ko) 건조기
KR101191211B1 (ko) 건조기의 제어방법
KR101729555B1 (ko) 건조기의 제어 방법
KR101314624B1 (ko) 건조기
KR20110123332A (ko) 건조기
KR101629327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20008645A (ko)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