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425B1 -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425B1
KR101177425B1 KR1020060089533A KR20060089533A KR101177425B1 KR 101177425 B1 KR101177425 B1 KR 101177425B1 KR 1020060089533 A KR1020060089533 A KR 1020060089533A KR 20060089533 A KR20060089533 A KR 20060089533A KR 101177425 B1 KR101177425 B1 KR 101177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hing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otru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4850A (ko
Inventor
전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425B1/ko
Priority to DE102007041859A priority patent/DE102007041859B4/de
Priority to US11/852,070 priority patent/US8396518B2/en
Publication of KR20080024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5Grounding of printed circuits by connection to external ground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파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SAR를 저감시키면서도 단말기의 수신 성능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위한 소정의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이 내장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제1몸체를 개폐하며 소정의 정보가 화상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2몸체; 상기 기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그 전부 또는 일부가 도체로 이루어진 컨덕터;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컨덕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접지연결 또는 차단이 이루어지는 접지체; 및 상기 접지체 및 상기 컨덕터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제1몸체에 대해 상기 제2몸체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접지체와 상기 컨덕터가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2몸체를 닫을 때에는 상기 접지체와 상기 컨덕터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선택적 접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폴더형 단말기에 있어서 접지를 위한 구조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관하여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닫힌 상태와 개방 상태에서의 무선 성능에 대한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의 설명>
100 : 제1몸체 120 : 컨덕터
130 : 힌지 140 : 돌출부재
141 : 결합스틱 142 : 돌기부
143 : 결합나사 136 : 홀
136': 나사홈 150 : 접지판
200 : 제2몸체 210 : 디스플레이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지를 통해 전자파의 영향을 감소시키도록 하면서도 무선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하고 다니면서 무선통신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 화상, 음성, 문자 등의 각종 형태의 정보를 주고 받거나 소정의 서버에 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PDA 등을 말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 특히 휴대폰과 같은 경우에는 소비자의 요구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초기의 바(Bar) 타입에서 플립(Flip)타입, 폴더(Folder) 타입, 그리고 슬라이드(Slide) 타입으로 진화를 거듭해 왔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를 한다거나 데이터 통신을 하는 등의 무선 통신을 하는 관계로 그 내부의 PCB에 실장되는 많은 전자부품들과 안테나 등을 통해 적지 않은 전자파가 발생하게 되고, 특히 전화 통화를 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인체에 매우 근접시키거나 접촉시키므로 사용자에게 전자파의 영향 이 미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전자파의 인체 흡수 정도의 기준으로서 SAR가 정의되는데, SAR란 Specific Absorption Rate, 즉 전자파 인체 흡수율을 말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는 상기 SAR의 저감이 해결해야 할 하나의 큰 과제로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단말기 내부의 전자부품들에 대해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기장을 분산시켜(전기장의 단위는 V/m로서 길이 또는 면적을 확대함으로써 전기장의 세기, 즉 전계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 전자파의 영향력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SAR = (σ*E^2)/ρ로서 정의되는데, 여기서 σ는 도전율(s/m)을, ρ는 조직밀도(kg/m^2)을, 그리고 E는 전계강도(V/m)를 각각 나타내므로 전기장을 분산시키면 전계강도가 감소하여 결국 SAR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폴더형 단말기에 있어서 접지를 위한 구조에 관하여 나타낸 것인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와,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폴더(20)가 구비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내부에는 PCB를 비롯한 각종 내부부품들이 위치하여 전자파를 발생하는 지역인 EMI영역(11)을 포함한다. 여기서 EMI영역이란 여러 부품들에서 발생하여 다른 부품들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정도의 전자파가 발생하는 영역, 즉 ElectroMagnetic Interference가 일어나는 영역을 말한다.
그리고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일측에 상기 폴더(20)가 상기 단말기 본체(10)에 대해 회동하도록 하는 힌지(13)와, 상기 힌 지(13)의 일측과 접촉되도록 결합하는 소정 크기의 도체판(12)을 구비한다.
상기 EMI영역(11) 내의 소정의 부품, 특히 PCB는 상기 도체판(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힌지(13)의 도체로 이루어진 부분과 상기 도체판(12)이 서로 접촉되므로 접지연결된 상태가 되어 상기 EMI영역(11)의 전계강도는 상기 접지로 말미암아 상당히 약화되어 SAR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체판과 힌지가 항상 접촉되어 접지연결이 되고 있기 때문에 SAR의 수치는 감소시킬 수 있지만 접지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단말기의 안테나 방사 전력을 약화시켜 수신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파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SAR를 저감시키면서도 단말기의 수신 성능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위한 소정의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이 내장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제1몸체를 개폐하며 소정의 정보가 화상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2몸체; 상기 기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그 전부 또는 일부가 도체로 이루어진 컨덕터;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컨덕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접지연결 또는 차단이 이루어지는 접지체; 및 상기 접지체 및 상기 컨덕터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제1몸체에 대해 상기 제2몸체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접지체와 상기 컨덕터가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2몸체를 닫을 때에는 상기 접지체와 상기 컨덕터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선택적 접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체는 상기 제1몸체에 대해 상기 제2몸체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며 그 전부 또는 일부가 도체로 형성되는 힌지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적 접촉수단은 상기 힌지의 도체로 이루어진 부분에 연결되어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힌지의 회전과 함께 회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컨덕터에 접촉됨으로써 접지연결과 차단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는 그 일측에 마련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홈에 삽입되어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결합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힌지의 일측에 마련되어 소정 간격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는 그 일측에 마련되는 암나사 형상의 나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나사홈에 나사결합되어 소정 길이 돌출되는 수나사 형상의 결합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스틱은, 상기 결합스틱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스틱이 상기 홈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을 위한 소정의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이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여 상기 본체를 개폐하며 소정의 정보가 화상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기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그 전부 또는 일부가 도체로 이루어진 컨덕터; 및 상기 슬라이드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드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컨덕터와 소정 길이 이격되고 상기 슬라이드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컨덕터와 접촉됨으로 접지연결이 되도록 하는 소정 크기를 갖는 접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지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실시예,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관하여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닫힌 상태와 개방 상태에서의 무선 성능에 대한 실험 결과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필요한 각종의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기판(110)이 내장되는 제1몸체(100)와, 상기 제1몸체(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100)를 개폐하 는 제2몸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몸체(200)는 사용자가 소정의 정보를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도록 화상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210)가 외부로 보일 수 있도록 하는 윈도우(2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몸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제1몸체(100)에 대해 상기 제2몸체(200)가 소정 각도 회동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130)가 설치되는데, 상기 힌지(130)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도체로 이루어져 있고 따라서 접지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몸체(100)의 힌지(130)가 설치된 부분과 인접한 위치에 컨덕터(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컨덕터(120)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도체로 이루어진 소정 크기의 도전성 물체이며, 상기 제1몸체(100) 내부에 장착된 기판(110)과 상기 제2몸체(200)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2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는 상기 컨덕터(120)는 상기 기판(110)에 대해서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에 대해서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111번은 기판(110)과 디스플레이부(210)를 각각 컨덕터(120)에 연결시키는 연결선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접지체로서의 힌지(130)에는 그 일측에 선택적 접촉수단으로서 돌출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2몸체(200)를 개폐할 때 그 개폐에 따라 상기 컨덕터(120)와 상기 힌지(130)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상기 기판(110)과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에 대한 전기장이 상기 접지체로서의 힌지(130)로 분산되도록 하는 접지연결을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단말기의 동작에 따른 선택적 접지연결에 관하여는 도 3 및 도 4의 경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1몸체에 대해 제2몸체가 닫혀 있는 상태이고, 도 4는 제1몸체에 대해 제2몸체가 개방된 상태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30)는 제2몸체(도 2 참조)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캠(131)과, 상기 힌지(13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몸체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는 힌지축(133)과, 상기 힌지축(133)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캠(131)에 결합하되 상기 힌지축(133)과 함께 회전하며 소정 위치에서 힌지축(133)이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회동캠(132)을 구비한다.
도 3 및 도 4에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회동캠(132)과 상기 고정캠(131)은 소정 형상의 치형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있고 상기 고정캠(131)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회동캠(132)이 회동함에 따라 서로 맞물린 치형이 이탈하면서 다시 맞물리게 되는 동작을 반복한다.
상기 회동캠(132)은 힌지축(133) 상에 설치되는 스프링(134)과 연결되고 상기 회동캠(132)이 회동하면서 상기 스프링(134)으로부터 탄성력을 받아 상기 회동캠(132)과 상기 고정캠(131)의 치형이 이탈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맞물리려는 방향으로 반자동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힌지축(133)의 타단부에는 상기 힌지축(133)을 지지하는 플랜지부(135)가 마련되고 상기 플랜지부(135)도 상기 힌지축(133)과 함께 회동하게 된다.
상기 힌지(130)는 그 전체가 도체로 이루어진 경우도 가능하고 상기 힌지축(133)과 스프링(134)만이 도체로 이루어지는 경우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힌지(130)의 도체로 이루어진 부분, 예컨대 힌지축(133)의 단부에 상기 플랜지부(135)를 관통하여 소정 간격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재(140)가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재(140)는 도체로 형성되므로 상기 힌지축(133)과 스프링(134)이 돌출부재(140)와 모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130)의 플랜지부(135)와 인접한 부분에 컨덕터(120)가 구비되고, 상기 컨덕터(120)는 기판(도 2 참조)과 디스플레이부(도 2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돌출부재(140)와 상기 컨덕터(120)는 서로 떨어져 있게 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재(140)가 상기 컨덕터(120)에 접촉하고 기판과 디스플레이부의 정전기는 상기 컨덕터(120)와 상기 돌출부재(140)를 통해 힌지(130)로 분산되어 외부로 방사되는 전자파는 줄어들게 된다. 만약 다시 단말기를 닫으면 상기 돌출부재(140)는 컨덕터(120)로부터 떨어져서 접지연결은 차단되는데, 이 경우 단말기의 내부 부품들이 접지체에 접지되어 있지 않으므로 안테나의 방사 전력이 부족하게 되지 않기 때문에 단말기의 무선 성능은 더 향상된다.
도 10 및 도 11에서 단말기를 개방한 경우와 닫은 경우에, 즉 접지연결이 된 경우와 접지연결이 차단된 경우에 대한 무선 통신 성능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0 및 도 11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통신 방사 패턴을 나타낸 것이고 그 패턴은 대략 구의 모양을 하고 있는데, 구의 좌우대칭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더 좋은 무선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우측 부분이 함몰된 무선 방사 패턴을 나타내고 이는 특정 각도에서 감도 및 전력 등이 저하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전체 효율(Total Efficiency)도 0.5174로 비교적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를 닫은 경우에는 상기 도 3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접지연결이 차단되어 무선 방사 패턴이 좌우대칭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전체 효율도 0.9718로 나타나 접지하지 않은 경우 무선 성능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기 힌지(130)의 플랜지부(135)에 도체로 이루어진 힌지축(133) 부분을 관통하는 홀(136)이 마련되고, 상기 홀(136)에 돌출부재의 한 예로서 결합스틱(141)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삽입되는 쪽과 반대쪽에 소정 길이로 돌출이 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스틱(141)의 일측에는 스토퍼(141a)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스틱(141)이 상기 홀(136)에 결합된 채 고정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힌지(130)의 플랜지부(135)의 일측에 소정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142)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플 랜지부(135)와 돌기부(142)는 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142)는 힌지축(133)의 회동과 함께 회동하여 컨덕터(도 4 참조) 선택적으로 접지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기 플랜지부(135)에 암나사 형상의 나사홈(136')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홈(136')에 수나사 형상의 결합나사(143)가 나사결합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플랜지부(135)의 어느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컨덕터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결합나사(143)는 도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슬라이드 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지 구조에 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판(110)과 인테나(112) 등이 설치되는 단말기 본체(100')와,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대해 슬라이딩 업 또는 슬라이딩 다운에 의해 상기 단말기 본체(100')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슬라이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슬라이드부(200')의 일측에는 소정의 화상 정보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10)과 연결선(111)에 의해 연결되는 컨덕터(120)와, 상기 슬라이드부(200')의 상기 본체(100')와 마주보는 부위에는 접지판(150)이 구비되되 상기 컨덕터(120)와 상기 접지판(150)은 소정의 길이로 서로 떨어져 있도록 배치되어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는 접지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슬라이드부(200')를 슬라이딩 업 시켜 단말기를 개방하면 상기 슬라이드부(200')가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대해 위로 이동하면서 상기 컨덕터(120)와 상기 접지판(150)은 서로 접촉하게 되어 접지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 단말기를 개방하는 경우에는 접지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SAR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고, 단말기가 폐쇄되어 있는 동안에는 접지연결이 차단되어 단말기의 무선 수신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 있다.

Claims (7)

  1. 무선 통신을 위한 소정의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이 내장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의 일측에 결합하여 상기 제1몸체를 개폐하며 소정의 정보가 화상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2몸체;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내장되고, 상기 기판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며 그 전부 또는 일부가 도체로 이루어진 컨덕터;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내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컨덕터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접지연결 또는 차단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1몸체에 대해 상기 제2몸체가 회동 가능하도록 하며 그 전부 또는 일부가 도체로 형성되는 힌지를 포함하는 접지체; 및
    상기 접지체 및 상기 컨덕터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제1몸체에 대해 상기 제2몸체를 개방할 때에는 상기 접지체와 상기 컨덕터가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제2몸체를 닫을 때에는 상기 접지체와 상기 컨덕터가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선택적 접촉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는 상기 제2몸체의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캠과, 상기 힌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몸체의 회동에 따라 회전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캠에 결합하되 상기 힌지축과 함께 회전하며 소정 위치에서 힌지축이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회동캠과, 상기 힌지축 상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캠과 상기 고정캠은 소정 형상의 치형이 형성되어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접촉수단은 상기 힌지의 도체로 이루어진 부분에 연결되어 소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힌지의 회전과 함께 회동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컨덕터에 접촉됨으로써 접지연결과 차단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그 일측에 마련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홀에 삽입되어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결합스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힌지의 일측에 마련되어 소정 간격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그 일측에 마련되는 암나사 형상의 나사홈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나사홈에 나사결합되어 소정 길이 돌출되는 수나사 형상의 결합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스틱은,
    상기 결합스틱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스틱이 상기 홀에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7. 삭제
KR1020060089533A 2006-09-15 2006-09-15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77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533A KR101177425B1 (ko) 2006-09-15 2006-09-15 이동통신 단말기
DE102007041859A DE102007041859B4 (de) 2006-09-15 2007-09-03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und Steuerungsverfahren dafür
US11/852,070 US8396518B2 (en) 2006-09-15 2007-09-0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533A KR101177425B1 (ko) 2006-09-15 2006-09-15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850A KR20080024850A (ko) 2008-03-19
KR101177425B1 true KR101177425B1 (ko) 2012-08-24

Family

ID=39413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533A KR101177425B1 (ko) 2006-09-15 2006-09-15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4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850A (ko)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1539B2 (en) Integrated antenna with the device housing
JP4213634B2 (ja) 通信機能を備えた携帯情報端末
EP1482646B1 (en) Portable terminal having tuner for changing radiation pattern
US7864116B2 (en) Mounting structure of antenna device
US20050024274A1 (en) Internal antenna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1294430B1 (ko) Usb 플러그 및 이를 이용한 usb 모뎀
JP6243011B2 (ja) 端末装置
JP4605590B2 (ja) 無線端末装置
US8396518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1774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100068896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EP1594185A1 (en) Variable antenna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JP2011217184A (ja) 携帯無線装置
JP4817958B2 (ja) 端末装置
KR20050080338A (ko) 회전안테나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220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5336318B2 (ja) ヒンジユニット及びヒンジユニットを有する無線端末
JP4930851B2 (ja) アンテナ構造、及び携帯通信機器
TWM347693U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replaceable antenna module
KR101010240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전자파 흡수율 저감장치
JP2002367717A (ja) 電気的接続装置および電気的接続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JP2013021611A (ja) 携帯無線機
JP5136887B2 (ja) アンテナ構造、及び携帯無線機器
JP2004221911A (ja) 小型携帯無線端末用アンテナ装置
KR1010605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