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0502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0502B1
KR101060502B1 KR1020090093303A KR20090093303A KR101060502B1 KR 101060502 B1 KR101060502 B1 KR 101060502B1 KR 1020090093303 A KR1020090093303 A KR 1020090093303A KR 20090093303 A KR20090093303 A KR 20090093303A KR 101060502 B1 KR101060502 B1 KR 101060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ousing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3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535A (ko
Inventor
류병훈
성원모
김남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Priority to KR10200900933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0502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0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0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에 안테나를 형성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를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 장치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에 형성된 안테나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한다.
안테나, 덮개, 힌지, 케이블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APPARATUS FOR CONTACTING ANTENNA OF MOBILE COMM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에 설치되는 안테나를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힌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순한 음성 통화 뿐만 아니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데이터 통신, 인터넷, 인증, 결제, MP3, 카메라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조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항상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관계상 소비자들의 요구로 인해 점점 더 소형화 및 경량화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안테나 역시 기존의 단일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에서 다중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에서 사용되는 주파수로는, 지상 DMB에 사용되는 174 ~ 216 MHz 대역, DCN, GSM 850, GSM 900 등에 사용되는 800 MHz 대역, K-PCS, DCS 1800, USPCS 등에 사용되는 1800 MHz 대역, UTMS에 사용되는 2GHz 대역, WLL, WLAN, Blue Tooth 등에 사용되는 2.4 GHz 대역, 및 위성 DMB 등에서 사용되는 1 ~ 2 GHz 및 2 ~ 4 GHz 대역 등이 있으며, 이러한 주파수 대역에서 복합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중 대역 안테나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다중 대역 안테나를 구현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부피가 커지거나(내장형 안테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 및 디자인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외장형 안테나).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 및 디자인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한된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여러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를 설치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에 안테나를 형성하고, 힌지 장치를 통해 안테나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한된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여러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다른 기술적 해결 과제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 이해될 수 있으며,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에 형성되는 안테나;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에서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덮개와 결합되어 형성되되, 상기 덮개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회전부 및 일단이 상기 회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힌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의 말단은 상기 고정부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는, 일단이 상기 덮개와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제1 코어;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1 코어를 감싸며 형성된 제1 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어의 일단은 상기 제1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코어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고정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제2 코어;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2 코어를 감싸며 형성된 제2 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코어의 일단은 상기 제2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코어의 타단은 상기 제1 코어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에 안테나를 형성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한된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해당 안테나의 공진 주파수에 따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여러 개의 안테나를 설치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 변경 없이도 각 안테나 간의 상호 간섭을 줄일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안테나 간의 상호 간섭에 따른 안테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에 형성된 힌지 장치를 통해 안테나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를 회전시킴과 동시 에 안테나와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전기적 연결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장치 기능 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장치 기능 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 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 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 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는 배터리 덮개를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힌지 장치가 구비된 덮개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상기 폴더에 안테나를 구현하고 폴더 힌지 장치를 통해 상기 안테나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인 보드 간의 전기적 접점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또는 카메라 겸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의 다양한 무선 전자 기기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는 디지털 카메라, 모바일 폰, 스마트 폰, DMB(Digital Mutimedia Broadcasting) 폰, 카메라 겸용 모바일 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등 다양한 무선 전자 기기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배터리(11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상기 배터리(110)를 수납하는 배터리 수납부(120)가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110)가 상기 배터리 수납부(120)에 수납되는 경우, 힌지 장치(20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배터리 덮개(130)를 닫음으로 상기 배터리 수납부(120)를 밀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덮개(130)에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150)가 형성된다.
상기 안테나(150)는 상기 배터리 덮개(130)의 내부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배터리 덮개(130)의 표면에 PDS(Printing Direct Structuring) 또는 LDS(Laser Direct Structuring) 등의 방식을 통해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안테나(150)의 형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안테나(150)를 상기 배터리 덮개(130)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에서 상기 안테나(15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다중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안테나(150)를 다중 대역 안테나로 구현하여 상기 다중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모두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테나(150)가 상기 다중 주파수 대역 중 일부 주파수 대역을 송수신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안테나(150)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기존 구성 요소인 상기 배터리 덮개(130)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안테나(150)를 위해 별도의 공간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안테나(150)를 상기 배터리 덮개(130)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한된 내부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여 상기 안테나(150)의 공진 주파수에 따른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에서 여러 개의 안테나를 통해 다중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다중 주파수 대역 중 일부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50)를 상기 배터리 덮개(130)에 형성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한된 내부 공간에서 다른 안테나들과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여 각 안테나들의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외관 및 디자인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각 안테나들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에 설치하여야 하는데, 이때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한된 내부 공간에 여러 개의 안테나를 설치하면, 안테나들 간에 상호 간섭이 발생하여 안테나 성능이 저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에서 여러 개의 안테나들을 상호 이격하여 설치하는 것이 필요한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터리 덮개(130)에 상기 안테나(150)를 형성하여 다른 안테나들과의 상호 간섭을 최소화하였다.
이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구조를 변경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안테나들과의 상호 간섭에 따른 안테나 성능 저하 문제를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덮개(130)에 형성되는 상기 안테나(150)는 상기 힌지 장치(20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메인 PCB(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힌지 장치(200)는 상기 배터리 덮개(130)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배터리 덮개(130)에 형성되는 안테나(150)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메인 PCB(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 장치(200)의 일단은 상기 배터리 덮개(130)에 형성된 안테나(150)와 연결되고, 상기 힌지 장치(200)의 타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 내부의 메인 PCB(미도시)와 각각 연결된다. 이때, 상기 힌지 장치(200)를 케이블의 형태로 제조하여 상기 안테나(150) 및 상기 메인 PCB(미도시)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치(200)는 상기 배터리 덮개(130)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덮개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210) 및 상기 회전부(210)와 결합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고정부(250)를 포함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힌지 장치(200)는 회전부(210) 및 고정부(25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210)는 상기 배터리 덮개(130)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덮개(130)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회전부(210)는 제1 하우징(211), 제1 절연체(213), 및 제1 코어(215)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2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에 고정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250)의 일단이 상기 회전부(210)와 연결된다. 상기 고정부(250)는 제2 하우징(251), 제2 절연체(253), 및 제2 코어(25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하우징(211)은 원통형 또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211)의 일단은 상기 배터리 덮개(130)에 고정 결합되어 연결되며, 상기 제1 하우징(211)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25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덮개(13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 하우징(211)의 타단에는 상기 고정부(250)에 걸림되는 걸림턱(21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212)으로 인해 상기 제1 하우징(211)의 타단이 상기 고정부(2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부(25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 하우징(211)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절연체(213)가 상기 제1 코어(215)를 감싸며 형성된다. 상기 제1 코어(215)의 일단은 상기 배터리 덮개(130) 에 형성된 안테나(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코어(215)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250) 내에서 상기 제2 코어(255)와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제1 코어(215)의 일단은 상기 제1 하우징(211)의 외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안테나(150)와는 예를 들어, 솔더(Solder) 방식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51)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하우징(251)은 상기 제1 하우징(211)과 마찬가지로 원통형 또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251)의 일단은 상기 제1 하우징(211)과 결합되어 연결되되, 상기 제1 하우징(211)이 상기 제2 하우징(25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걸림턱(212)이 안착되는 안착부(252)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251)의 내부에는 상기 제2 절연체(252)가 상기 제2 코어(255)를 감싸며 형성된다. 상기 제2 코어(255)의 일단은 상기 제1 코어(215)와 접속되고, 상기 제2 코어(255)의 타단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에 형성된 메인 PC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코어(215)는 상기 제1 하우징(211)이 회전할 때 상기 제1하우징(211)과 함께 회전하여야 하므로, 상기 제1 코어(215)의 회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상기 제2 코어(255)와의 전기적 접속을 안전하게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코어(215)의 타단을 원뿔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제2 코어(255)의 일단을 상기 원뿔 형태의 제1 코어(215)와 대응되게 상기 제1 코 어(215)를 감싸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코어(215)의 타단은 반드시 원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 코어(255)와의 전기적 접속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예를 들어, 볼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코어(255)의 일단은 상기 제1 코어(215)의 타단과 대응되는 형상(예를 들어, 오목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 덮개(130)에 형성된 안테나(15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에 형성된 메인 PCB 간의 전기적 연결을 상기 힌지 장치(200)를 통해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 장치(200)를 상기 배터리 덮개(13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부(210)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250)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힌지 장치(200)를 통해 상기 배터리 덮개(130)를 회전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안테나(150)와 상기 메인 PCB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211) 내부의 제1 코어(215)는 상기 제1 하우징(211)의 말단까지 형성되고, 제2 하우징(251) 내부의 제2 코어(255)도 상기 제2 하우징(251)의 말단까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코어(215) 및 상기 제2 코어(255)의 말단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코어(215)와 상기 안테나(150) 간의 전기적 연결은 제1 접속 부재(271)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접속 부재(271)의 일단은 상기 제1 코어(215)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접속 부재(271)의 타단은 상기 안테나(150)에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속 부재(271)의 일단은 상기 제1 코어(215)와 점 접촉을 이루며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제1 접속 부재(271)와 상기 제1 코어(215) 간의 안정적인 접속을 위해, 상기 제1 접속 부재(271)의 접촉되는 부분을 모서리지게 형성하고, 상기 제1 코어(215)의 접촉되는 부분을 상기 모서리에 대응되는 홈을 구비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상기 제2 코어(255)와 상기 메인 PCB 간의 전기적 연결도 제2 접속 부재(274)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접속 부재(274)의 일단은 상기 제2 코어(255)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접속 부재(274)의 타단은 상기 메인 PCB에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속 부재(274)의 일단은 상기 제2 코어(255)와 점 접촉을 이루며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제2 접속 부재(274)와 상기 제2 코어(255) 간의 안정적인 접속을 위해, 상기 제2 접속 부재(274)의 접촉되는 부분을 모서리지게 형성하고, 상기 제2 코어(255)의 접촉되는 부분을 상기 모서리에 대응되는 홈을 구비하도록 형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211) 내부의 제1 코어(215)는 상기 제1 하우징(211)의 말단까지 형성되고, 제2 하우징(251) 내부의 제2 코어(255)도 상기 제2 하우징(251)의 말단까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코어(215) 및 상기 제2 코어(255)의 말단은 상기 제1 하우징(211) 및 상기 제2 하우징(251)에서 각각 돌출되어 볼록 형상 예를 들어, 구(求)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코어(215)와 상기 안테나(150) 간의 전기적 연결은 제1 접속 부재(271)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접속 부재(271)의 일단은 상기 제1 코어(215)에 접속되고, 상기 제1 접속 부재(271)의 타단은 상기 안테나(150)에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접속 부재(271)의 일단은 상기 제1 코어(215)와 면 접촉을 이루며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제1 접속 부재(271)와 상기 제1 코어(215) 간의 안정적인 접속을 위해, 상기 제1 접속 부재(271)의 일단은 상기 구 형상의 제1 코어(215)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상기 제2 코어(255)와 상기 메인 PCB 간의 전기적 연결도 제2 접속 부재(274)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접속 부재(274)의 일단은 상기 제2 코어(255)에 접속되고, 상기 제2 접속 부재(274)의 타 단은 상기 메인 PCB에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접속 부재(274)의 일단은 상기 제2 코어(255)와 면 접촉을 이루며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제2 접속 부재(274)와 상기 제2 코어(255) 간의 안정적인 접속을 위해, 상기 제2 접속 부재(274)의 일단은 상기 구 형상의 제2 코어(255)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코어(215) 및 상기 제2 코어(255)의 말단은 반드시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접속 부재(271) 및 상기 제2 접속 부재(274)와 각각 면 접촉을 이루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배터리
120 : 배터리 수납부 130 : 배터리 덮개
150 : 안테나 200 : 힌지 장치
210 : 회전부 211 : 제1 하우징
212 : 걸림턱 213 : 제1 절연체
215 : 제1 코어 250 : 고정부
251 : 제2 하우징 252 : 안착부
253 : 제2 절연체 255 : 제2 코어
271 : 제1 접속 부재 274 : 제2 접속 부재

Claims (13)

  1. 이동통신 단말기의 덮개에 형성되는 안테나; 및
    일단이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덮개와 결합되는 회전부 및 일단이 상기 회전부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힌지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의 일단과 분리되어 상기 고정부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안테나 접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일단이 상기 덮개와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제1 코어; 및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1 코어를 감싸며 형성된 제1 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어의 일단은 상기 제1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코어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고정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제2 코어;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2 코어를 감싸며 형성된 제2 절연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코어의 일단은 상기 제2 하우징 외부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코어의 타단은 상기 제1 코어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에 상기 걸림턱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안착부를 더 포 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의 타단은 원뿔 또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어의 타단은 상기 제1 코어의 원뿔 또는 볼록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코어의 타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일단이 상기 덮개와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제1 코어;
    상기 제1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1 코어를 감싸며 형성된 제1 절연체; 및
    상기 안테나와 상기 제1 코어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 접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코어의 타단은 상기 고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고정되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제2 코어;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제2 코어를 감싸며 형성된 제2 절연체;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상기 제2 코어의 일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 접속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코어의 타단은 상기 제1 코어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타단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에 상기 걸림턱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안착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의 타단은 원뿔 또는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코어의 타단은 상기 제1 코어의 원뿔 또는 볼록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코어의 타단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코어의 일단과 점 접촉하고, 상기 제2 접속 부재는 상기 제2 코어의 일단과 점 접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부재는 상기 제1 코어의 일단과 면 접촉하고, 상기 제2 접속 부재는 상기 제2 코어의 일단과 면 접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의 일단은 상기 제1 하우징에서 돌출된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접속 부재는 상기 볼록 형상의 제1 코어를 감싸며 접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코어의 일단은 상기 제2 하우징에서 돌출된 볼록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접속 부재는 상기 볼록 형상의 제2 코어를 감싸며 접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KR1020090093303A 2009-09-30 2009-09-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KR101060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303A KR101060502B1 (ko) 2009-09-30 2009-09-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3303A KR101060502B1 (ko) 2009-09-30 2009-09-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535A KR20110035535A (ko) 2011-04-06
KR101060502B1 true KR101060502B1 (ko) 2011-08-30

Family

ID=44043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3303A KR101060502B1 (ko) 2009-09-30 2009-09-30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050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535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3799B2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US10135121B2 (en) Antenna for portable device
JP4991684B2 (ja) 無線装置
US789015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antenna module thereof
EP1737066B1 (en) Antenna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JP2007088692A (ja) 携帯無線機
WO2008143452A1 (en) Wireless device exterior case antenna
KR100666050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내장형 안테나 모듈
US20040070542A1 (en) Portable transceiver antenna
US7538730B2 (en) Antenna
KR101281735B1 (ko) 휴대 단말기의 내 · 외장 겸용 안테나 장치
KR20100068896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
JP5726440B2 (ja) アンテナ内蔵ヒンジ
EP2234203B1 (en) Mobile apparatus
KR10106050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접점 장치
JP4201696B2 (ja) 携帯無線機
US20130252678A1 (en) Antenn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509568A (ja) マルチバンドアンテナ及びこれを実装する無線装置
US7158084B2 (en) Variable antenna apparatus for a mobile terminal
JPWO2011135851A1 (ja) 無線端末
KR101604715B1 (ko) 휴대 단말기
JP2009188587A (ja) 通信端末
JP2004186970A (ja) 携帯無線装置
Ren et al. General design approach of monopole and helix integrated antennas for radio apparatus
KR101643927B1 (ko) 안테나가 구비된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