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960B1 - 마루블록장치 - Google Patents

마루블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960B1
KR101176960B1 KR1020100122509A KR20100122509A KR101176960B1 KR 101176960 B1 KR101176960 B1 KR 101176960B1 KR 1020100122509 A KR1020100122509 A KR 1020100122509A KR 20100122509 A KR20100122509 A KR 20100122509A KR 101176960 B1 KR101176960 B1 KR 101176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crew
top plate
block device
floo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1268A (ko
Inventor
권오흥
박종호
이상원
정관영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22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9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1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1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24Constructional features of stages
    • E04H3/26Revolving stages; Stages able to be lower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 바닥을 구성하는 마루블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루블록장치는 격자로 마루가 구성되도록 단위격자 형태의 상판을 구비하는 블록본체, 걸림 돌기와 걸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본체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되는 격자조립부, 상기 상판의 높낮이와 기울기를 조정하는 틸트 모듈, 그리고 상기 마루 상의 전자 장비에 무선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무선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마루블록장치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해져 무대 바닥을 쉽게 구성하거나 해체할 수 있고, 무대 바닥의 경사면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동식 무대 장치나 조명 장치와 같은 전자 장비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어 무대 공간 확보가 용이해지고,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루블록장치{Block device for the stage flooring}
본 발명은 무대 바닥을 구성하는 마루블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대 바닥의 구성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것은 목재나 합판마루블록이다. 이러한 목재나 합판마루블록은 나사, 못 등으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어 이를 통해 무대 바닥을 제작하려면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공연 시나리오에 따라서 무대 바닥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무대 바닥에 경사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무대 장치들이 설치되어야 했다
또한, 마루 블록에는 무선 충전 기능이 없어서 전원선을 가지고서 이동식 전자 장비들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전자 장비를 사용하는 데에 공간상의 제약을 받게 된다.
또한, 목재나 합판마루블록 같은 기존의 마루블록에는 무선 충전 기능이 없으므로, 공연에 사용되는 전자 장비에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기선을 사용하여야 했고, 이에 따라 공연에 있어서 공간상의 제약이 생겼다. 즉, 공연에 지장이 없게 하려면, 무대에서의 유선 전자 장비의 사용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기선을 사용하지 않는 무선 충전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무선 충전 장치(무선 동력전달 장치)란 전원선 없이 무선으로 일정한 거리에 떨어진 장치에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를 말한다. 무대 바닥의 특정 위치에 이러한 무선 충전 장치를 두면 전원선 없이 이동식 무대 장치나 조명 장치에 충전을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대면적 무선 전력전송 시트(sheet)에 조명 장치를 두면 불을 켤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었다.
다만, 무선 충전 장치는 모터의 원리와 동일하게 전자파를 사용해서 충전하는 방식이 일반적인데, 전자파는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무대 바닥을 쉽게 구성할 수 있는 마루블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무대 바닥의 경사면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마루블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 이동식 무대 장치나 조명 장치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마루블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루블록장치는 격자로 마루가 구성되도록 단위격자 형태의 상판을 구비하는 블록본체, 걸림 돌기와 걸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본체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되는 격자조립부, 상기 상판의 높낮이와 기울기를 조정하는 틸트 모듈, 그리고 상기 마루 상의 전자 장비에 무선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무선동력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격자조립부는 상기 블록본체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좌우대칭이 되는 위치에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걸림 구멍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격자조립부는 상기 블록본체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상기 걸림 돌기를 항상 좌측에 구비하고 상기 걸림 구멍을 항상 우측에 구비하거나, 상기 블록본체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상기 걸림 돌기를 항상 우측에 구비하고 상기 걸림 구멍을 항상 좌측에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판은 다각형 판이고, 상기 틸트 모듈은 상기 상판의 각각의 꼭지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아래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은 사각형 판이고, 상기 틸트 모듈은 상기 상판의 각각의 꼭지점에 대응되도록 네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틸트 모듈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 그리고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는 상단에 기어 또는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기어 또는 풀리와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는 수나사를 구비하는 볼스크류이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하단에 상기 틸트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하단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볼 조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는 상기 틸트 모듈의 구동으로 상기 상판이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상기 지지부가 회전될 수 있는 최대 각도일 수 있다.
상기 무선동력전달부는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코일부, 그리고 전원변환회로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상판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동력전달부는 자기장을 발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걸림 돌기와 걸림 구멍이 블록본체의 각각의 측면에 구비됨으로써, 본 마루블록장치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해져 무대 바닥을 쉽게 구성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또한, 틸트 모듈을 통해, 무대 바닥의 경사면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동력전달부를 구비하여, 이동식 무대 장치나 조명 장치와 같은 전자 장비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어 무대 공간 확보가 용이해지고,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루블록장치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루블록장치의 상면과 측면의 일부를 제거하여 내부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은 틸트 모듈의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루블록장치를 통해 구성된 무대 바닥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마루블록장치(이하 본 마루블록장치)(100)는 블록본체(1), 격자조립부(2), 틸트 모듈(3), 그리고 무선동력전달부(4)를 포함한다.
우선, 블록본체(1)의 구성을 살핀다.
도 1을 참조하면, 블록본체(1)는 격자로 무대 마루(200)가 구성되도록 단위격자 형태의 상판(11)을 구비한다. 예시적으로, 블록본체(1)는 다른 구성들을 내측, 상판(11), 측면 등에 구비하는 본 마루블록장치(100)의 케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블록본체(1)는 구조적 견고성 등을 고려하여 하판(12)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하판(12)은 상판(11)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단위격자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하판(12)은 후술할 틸트 모듈(3)이나 무선동력전달부(4) 등의 설치를 감안하여 돌기, 홈, 홀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블록본체(1)의 상판(11)은 다각형 판일 수 있다. 블록본체(1)의 다각형 형상을 통해 무대 마루(200)가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다각형 형상은 격자로 구성될 수 있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테면, 상판(11)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각형 판일 수 있다. 다만, 상판(11)은 사각형 판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오각형이나 정육각형 등의 벌집 모양의 단위격자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판(11)의 다각형 판 형상은 이웃하는 블록본체(마루블록장치)와의 결합 방식, 틸트 모듈(3)의 높낮이 및 기울기 조절 방식 등을 고려하여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록본체(1)의 상판(11)은 사긱형 판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격자조립부(2)의 구성을 살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격자조립부(2)는 걸림 돌기(21)와 걸림 구멍(22)을 구비한다. 도 2에는 블록본체(1)의 내부를 도시하기 위해 격자조립부(2)가 블록본체(1)의 네 측면 중 한 측면에만 배치된 것으로 나타냈지만, 도 1을 참조하면 격자조립부(2)는 블록본체(1)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격자조립부(2)는 측면판(2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 구멍(22)은 이러한 측면판(23)에 통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 구멍(22)은 이웃하는 다른 마루블록장치의 걸림 돌기가 결합될 수 있는 구멍으로 형성되면 되므로, 본 마루블록장치(100)의 외측에서 보았을 때 내측으로 함몰되는 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걸림 구멍(22)은 홀 또는 홈일 수 있다.
이러한 걸림 돌기(21)와 걸림 구멍(22)은 블록본체(1)가 블록본체(1)와 인접하는 다른 블록본체와 조립되도록 각각 다른 블록본체의 걸림 구멍과 걸림 돌기에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걸림 돌기(21)는 기역자(ㄱ)의 고리 형상일 수 있고, 걸림 구멍(22)의 내측에는 이러한 기역자의 고리 형상의 끝부분이 걸쳐져 체결될 수 있도록 걸림 턱(22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예를 일반화하여 설명하면, 걸림 돌기(21)는 인접하는 다른 블록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격자조립부의 걸림 구멍과 체결되도록 구비되고, 걸림 구멍(22)은 인접하는 다른 블록본체의 측면에 배치되는 격자조립부의 걸림 돌기와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걸림 돌기(21)는 수체결부, 걸림 구멍(22)은 암체결부라 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격자조립부(2)는 블록본체(1)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좌우대칭이 되는 위치에 걸림 돌기(21)와 걸림 구멍(22)을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 격자조립부(2)의 측면판(23)을 보면, 측면판(23)의 좌측 부분에는 걸림 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판(23)의 우측 부분에는 걸림 돌기(21)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 구멍(22)과 걸림 돌기(21)는 측면판(23)의 가운데로부터 각각 좌우로 동일하게 떨어진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우대칭의 위치에 걸림 구멍(22)과 걸림 돌기(21)가 구비됨으로써, 본 마루블록장치(100)의 걸림 돌기(21)가 이웃하는 마루블록장치의 걸림 구멍에 결합됨과 동시에, 이웃하는 마루블록장치의 걸림 돌기가 본 마루블록장치(100)의 걸림 구멍(22)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격자조립부(2)는 블록본체(1)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걸림 돌기(21)를 항상 우측에 구비하고 걸림 구멍(22)을 항상 좌측에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도 1에 나타난 바와는 반대로, 격자조립부(2)는 블록본체(1)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걸림 돌기(21)를 항상 좌측에 구비하고 걸림 구멍(22)을 항상 우측에 구비할 수 있다.
이를테면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격자조립부(2)의 걸림 돌기(21)는 본 마루블록장치(100)를 위에서 보았을 때 기역자 형상의 고리 끝 부분이 일률적으로 시계방향으로 향하도록 하여 각각의 측면판(23)의 우측 끝부분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고, 또는 그 반대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 구멍(22)은 이와 동일하게 구비된 이웃하는 마루블록장치의 걸림 돌기와의 결합성을 고려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걸림 돌기(21)와 걸림 구멍(22)이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정해진 위치에 일률적으로 구비됨으로써, 본 마루블록장치(100)를 복수 개 조립하여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은 무대 마루(200)를 완성할 때, 본 마루블록장치(100)의 측면을 어디가 앞쪽 측면이고 어디가 뒤쪽 측면이며 어디가 좌측면이고 어디가 우측면인지 구분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마루블록장치(100)를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려놓더라도 항상 동일한 위치에 걸림 돌기(21)와 걸림 구멍(22)이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틸트 모듈(3)의 구성을 살핀다.
틸트 모듈(3)은 상판(11)의 높낮이와 기울기를 조정한다. 무대 마루(200)를 구성하는 본 마루블록장치(100)에 있어서는 블록본체(1)의 상판(11) 위에 배우가 서거나 무대장치들이 놓이게 되므로, 블록본체(1)의 상판(11)을 기준으로 높낮이와 기울기가 조정된다고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틸트 모듈(3)이 단지 상판(11)만의 높낮이와 기울기를 조정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틸트 모듈(3)은 블록본체(1)의 전반적인 높낮이와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앞서 살핀 바와 같이 블록본체(1)의 상판(11)은 다각형 판일 수 있다. 이때, 틸트 모듈(3)은 상판(11)의 각각의 꼭지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판(11)의 아래쪽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틸트 모듈(3)은 상판(11)의 각각의 꼭지점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틸트 모듈(3)은 상판(11)의 각각의 모서리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모서리마다 설치되더라도 상판의 각각의 꼭지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는 틸트 모듈(3)은 상판(11)의 각각의 꼭지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하나의 모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틸트 모듈(3)이 상판(11)의 각각의 꼭지점마다, 또는 상판(11)의 각각의 모서리마다 설치된다고 하는 것은 정확히 그 꼭지점이나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 뿐 아니라, 그 꼭지점이나 모서리를 제어할 수 있도록 그 꼭지점이나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록몸체(1)의 상판(11)은 사각형 판일 수 있고,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틸트 모듈(3)은 상판(11)의 각각의 꼭지점에 대응되도록 네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틸트 모듈(3)은 블록본체(1)의 내측 및 아래쪽에 구비될 수 있다. 즉, 틸트 모듈(3)은 블록본체(1)의 상판(11)과 하판(12) 사이에 주요 몸체가 설치되고, 블록본체(1)의 하판(12)을 관통하여 그 아래쪽에 이러한 주요 몸체를 지지하는 부분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틸트 모듈(3)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크류(31), 스크류(31)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32), 그리고 스크류(31)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3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3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액추에이터(32)가 스크류(31)를 회전시키고, 스크류(31)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재(3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틸트 모듈(3)은 블록본체(1)에 설치된 부분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때, 스크류(31)와 액추에이터(32)는 상판(11)과 하판(12) 사이에 배치되고, 이동부재(33)는 하판(12)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참고로, 액추에이터(32)는 모터부(34)를 통해 구동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모터부(34)는 모터(341)와 모터 드라이버(34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31)는 상단에 기어 또는 풀리(31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액추에이터(32)는 기어 또는 풀리(311)와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31)는 수나사를 구비하는 볼스크류이고, 이동부재(33)는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를 구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이동부재(33)는 스크류(31)와 연결시켜주는 연결부재(333)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연결부재(333)는 스크류(31)의 수나사와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액추에이터(32)가 체인 또는 벨트를 통해 스크류(31)의 기어 또는 풀리(311)를 회전시키고, 기어 또는 풀리(311)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31)가 회전되면서 스크류(31)와 나사 체결되어 있는 연결부재(333)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333)의 이동에 따라 연결부재(333)와 연결된 이동부재(33)도 상향 또는 하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틸트 모듈(3)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틸트 모듈(3)은 이동부재(33)를 제외한 부분이 블록본체(1)의 상판(11) 또는 하판(12)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틸트 모듈(3)의 높낮이가 조절됨에 따라 블록본체(1)의 전반적인 높낮이 및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하판(12)을 관통하는 이동부재(33)는 하단에 틸트 모듈(3)을 지지하는 지지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틸트 모듈(3)이 블록 본체(1)에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각의 틸트 모듈(3)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블록 본체(1)의 상판(11)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경우, 틸트 모듈(3)은 지지면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331)에 대해 상판(11)의 기울기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부재(33)도 지지부(331)에 대해 기울어지게 되므로,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부(331)는 이동부재(33)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이동부재(3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각도는 틸트 모듈(3)의 구동으로 상판(11)이 기울어짐에 따라 이동부재(33)에 대해 지지부(331)가 회전될 수 있는 최대 각도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부(331)는 이동부재(33)의 하단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볼 조인트(33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동력전달부(4)의 구성을 살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무선동력전달부(4)는 무대 마루(200) 상의 전자 장비에 무선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이를테면 무선동력전달부(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록본체(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동력전달부(4)는 전자파 또는 자기장을 발신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전자파는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무선동력전달부(4)가 전자파를 발신하려는 경우에는 이러한 악영향을 개선한 전자파를 발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기장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기 때문에, 자기장의 공진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무선동력전달부(4)에 있어서의 자기장 발신부와 무대 마루(200) 상의 전자 장비의 자기장 수신부의 거리 및 각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충전 효율에 있어서 중요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무선동력전달부(4)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판(11)에 설치되는 코일부(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동력전달부(4)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판(11)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본체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42)에는 전원변환회로와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마루블록장치(100)에 의하면, 걸림 돌기(21)와 걸림 구멍(22)이 블록본체(1)의 각각의 측면에 구비됨으로써, 본 마루블록장치(100)끼리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해져 무대 바닥을 쉽게 구성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또한, 틸트 모듈(3)을 통해, 무대 바닥(200)의 경사면 및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필요한 무대 환경을 보다 용이하게 조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장을 이용한 무선동력전달부(4)를 구비하여, 무대 바닥(200) 상의 이동식 무대 장치나 조명 장치와 같은 전자 장비를 무선으로 효율적으로 충전할 수 있어 무대 공간 확보가 용이해지고, 인체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마루블록장치
1. 블록본체 11. 상판
12. 하판
2. 격자조립부 21. 걸림 돌기
22. 걸림 구멍 221. 걸림 턱
23. 측면판
3. 틸트 모듈 31. 스크류
311. 기어 또는 풀리 32. 액추에이터
33. 이동부재 331. 지지부
332. 볼 조인트 333. 연결부재
34. 모터부 341. 모터
342. 모터 드라이버 332. 볼 조인트
4. 무선동력전달부 41. 코일부
42. 본체부
200. 무대 마루

Claims (13)

  1. 격자로 마루가 구성되도록 단위격자 형태의 상판을 구비하는 블록본체,
    걸림 돌기와 걸림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블록본체의 각각의 측면에 배치되는 격자조립부,
    상기 상판의 높낮이와 기울기를 조정하는 틸트 모듈, 그리고
    상기 마루 상의 전자 장비에 무선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무선동력전달부
    를 포함하는 마루블록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격자조립부는 상기 블록본체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좌우대칭이 되는 위치에 상기 걸림 돌기와 상기 걸림 구멍을 각각 구비하는 마루블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격자조립부는
    상기 블록본체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상기 걸림 돌기를 항상 좌측에 구비하고 상기 걸림 구멍을 항상 우측에 구비하거나,
    상기 블록본체의 각각의 측면 상에서 상기 걸림 돌기를 항상 우측에 구비하고 상기 걸림 구멍을 항상 좌측에 구비하는 마루블록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상판은 다각형 판이고,
    상기 틸트 모듈은 상기 상판의 각각의 꼭지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상판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마루블록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상판은 사각형 판이고,
    상기 틸트 모듈은 상기 상판의 각각의 꼭지점에 대응되도록 네 개가 설치되는 마루블록장치.
  6. 제1항, 제4항, 그리고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틸트 모듈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액추에이터, 그리고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
    를 포함하는 마루블록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스크류는 상단에 기어 또는 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기어 또는 풀리와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되는 마루블록장치
  8. 제6항에서,
    상기 스크류는 수나사를 구비하는 볼스크류이고,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를 구비하는 마루블록장치.
  9. 제6항에서,
    상기 이동부재는 하단에 상기 틸트 모듈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부재와 연결되는 마루블록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이동부재의 하단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볼 조인트를 포함하는 마루블록장치.
  11. 제9항에서,
    상기 미리 정해진 각도는 상기 틸트 모듈의 구동으로 상기 상판이 기울어짐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에 대해 상기 지지부가 회전될 수 있는 최대 각도인 마루블록장치.
  12. 제1항에서,
    상기 무선동력전달부는
    상기 상판에 설치되는 코일부, 그리고
    전원변환회로와 컨트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상판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본체부
    를 포함하는 마루블록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무선동력전달부는 자기장을 발신하는 마루블록장치.
KR1020100122509A 2010-12-03 2010-12-03 마루블록장치 KR101176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509A KR101176960B1 (ko) 2010-12-03 2010-12-03 마루블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2509A KR101176960B1 (ko) 2010-12-03 2010-12-03 마루블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268A KR20120061268A (ko) 2012-06-13
KR101176960B1 true KR101176960B1 (ko) 2012-08-30

Family

ID=4661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2509A KR101176960B1 (ko) 2010-12-03 2010-12-03 마루블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9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88686B (zh) * 2016-07-04 2018-05-22 浙江工业大学义乌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演艺舞台及控制方法
CN106121288B (zh) * 2016-07-04 2018-08-10 浙江工业大学义乌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智能化导航舞台及控制方法
CN106401218B (zh) * 2016-08-28 2018-09-11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可移动演艺舞台及控制方法
CN106285068B (zh) * 2016-08-28 2018-09-11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移动舞台及控制方法
CN111213322B (zh) 2017-11-03 2022-03-04 索尤若驱动有限及两合公司 用于向移动设备非接触式传输电能的系统
CN110259203B (zh) * 2019-06-10 2022-05-10 江苏锐丰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控制机构的环形立体舞台装置
CN110965819B (zh) * 2019-12-16 2021-06-01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舞台表演用自动定位系统
CN112012531B (zh) * 2020-08-05 2021-12-14 浙江大丰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舞台人员防跌落安全防护监控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640Y1 (ko) 2001-05-14 2001-10-15 주식회사 서정프로퍼 투명한 바닥을 구비한 무대 구조물
KR200303022Y1 (ko) 2002-11-19 2003-02-06 조원철 건축물의 사무용 이중 바닥재
KR100635490B1 (ko) 2004-10-08 2006-10-17 홍신기 이동식 무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640Y1 (ko) 2001-05-14 2001-10-15 주식회사 서정프로퍼 투명한 바닥을 구비한 무대 구조물
KR200303022Y1 (ko) 2002-11-19 2003-02-06 조원철 건축물의 사무용 이중 바닥재
KR100635490B1 (ko) 2004-10-08 2006-10-17 홍신기 이동식 무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1268A (ko) 201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960B1 (ko) 마루블록장치
EP3074104B1 (en) A building plate for a toy building set and a toy building set including such building plate
US7929049B2 (en) Imaging apparatus
JP2017501079A (ja) 光起電力パネルのフローティング支持装置
US20080013944A1 (en) Imaging apparatus
US20160231976A1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070034125A1 (en) Hidden electric power elevating stand structure
US7926540B2 (en) Window blind with controlling axle
JP2012017588A (ja) 建物ユニット
KR101465727B1 (ko) 케이블 트레이 연결장치
KR101380395B1 (ko) 태양열 집광패널의 구동시스템
US20130042714A1 (en) Industrial robot
US10458113B2 (en) Building assembly structure
US20150211229A1 (en) Modular walls with seismic-shiftability
KR200469149Y1 (ko) 3자유도 모션의자
KR101813632B1 (ko) 조립식 벽체
JP2014196608A (ja) 架台
KR101657634B1 (ko) 조명 일체형 루버 구조체
KR20190032043A (ko) 조립 블록형 패널
JP5480654B2 (ja) 太陽電池用架台装置
KR101408123B1 (ko)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 및 시공방법
KR101924870B1 (ko) 컨트롤러 수납케이스를 갖춘 창의력 향상을 위한 교구
US20210071417A1 (en) Curved LED Tile
KR101328399B1 (ko) 승강 스테이지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무대장치
KR20140001715A (ko) 스마트 무대 마루용 블록유닛 연결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