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640Y1 - 투명한 바닥을 구비한 무대 구조물 - Google Patents

투명한 바닥을 구비한 무대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640Y1
KR200242640Y1 KR2020010014073U KR20010014073U KR200242640Y1 KR 200242640 Y1 KR200242640 Y1 KR 200242640Y1 KR 2020010014073 U KR2020010014073 U KR 2020010014073U KR 20010014073 U KR20010014073 U KR 20010014073U KR 200242640 Y1 KR200242640 Y1 KR 2002426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age structure
pillar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수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정프로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정프로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정프로퍼
Priority to KR2020010014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6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6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640Y1/ko

Links

Abstract

무대 구조물은 다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골조와, 상기 골조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닥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지주는 받침대와 받침틀을 구비하되, 받침대는 제1 기둥을 구비하고, 받침틀은 상기 제1 기둥에 끼워져 설치되는 제2 기둥과 상기 제2 기둥에 연결된 제1 받침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받침부에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바닥부재는 테두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위에 마련된 바닥판을 구비한다. 테두리의 내측과 상기 걸림턱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바닥부재의 이동이 제한된다. 바닥판은 투명한 플라스틱 수지판과 그 위에 마련된 경질 코팅층을 갖는다. 투명 플라스틱 수지판의 재료는 아크릴 수지이며, 경질 코팅층의 재료는 우레탄 도료이다.

Description

투명한 바닥을 구비한 무대 구조물 {PLATFORM STRUCTURE HAVING TRANSPARENT FLOOR}
본 고안은 무대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각종 공연, 강연, 전시 등을 위하여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무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극장, 방송국 스튜디오와 같은 공연용 건물에는 무대가 마련되어 있다. 공연용 건물의 무대는 그 건물의 건축할 당시에 마련된다. 이와는 달리, 공연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된 건물(예를 들면, 체육관, 체조경기장 등) 내부의 넓은 공간 또는 운동장 등의 야외에 무대를 설치할 때가 있다. 이 경우에는 임시로 무대를 가설하게 된다.
종래의 가설 무대의 하나는 나무 각목을 못을 이용하여 고정함으로써 골조를 형성하고, 그 위에 나무판을 얹은 구조의 것이다. 다른 구조의 가설 무대로는 금속재의 중공 원형봉으로 표준화된 형상 및 규격에 따라 골조재료를 준비하고 이를 조립하여 골조를 만들고 그 위에 나무판을 얹은 것을 사용한 예도 있었다.
그런데, 종래의 무대는 여러 가지 부족한 점이 있다. 실제로 임시 가설 무대에 요구되는 조건들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그 중 하나는 조립 후에 안정된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다. 필요한 경우에 무대장치에 적합한 조명과 같은 부속장치를 설치하기 쉽고, 조명과 같은 부속장치를 사용하는 효과가 충분히 나오는 구조인 것이 좋다. 임시로 가설하는 만큼, 설치 또는 해체의 용이성도 하나의 요건이다. 야외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면, 설치하는 장소의 지면이 편평하지 않더라도 무대의 바닥이 수평을 유지하는 것도 필요하다. 이에 덧붙여 환경을 고려한다면, 각 부품들을 재사용할 수 있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한 무대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닥이 투명하여 아래에서 조명을 비출 수 있는 무대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또 다른 목적은 경도가 높아 긁히지 않는 투명한 바닥이 구비된 무대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지주를 사용함으로써, 울퉁불퉁한 지면 등에도 설치할 수 있는 무대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대 구조물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무대 구조물의 일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3은 도1의 무대 구조물의 조립 과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4는 도1의 무대 구조물에 구비된 지지 골조의 분해사시도
도5는 도1의 무대 구조물에 구비된 지주의 단면도
도6은 도1의 무대 구조물에 구비된 여러 종류의 연결막대의 사시도
도7은 도1의 무대 구조물에 구비된 투명 바닥 부재의 분해사시도
도8은 도1의 무대 구조물에 구비된 투명 바닥 부재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9는 지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투명한 바닥을 갖는 무대 구조물에 의해 제공된다. 무대 구조물은 지지 골조와 바닥부재를 구비한다. 지지 골조는 지주와 이들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막대에 의해 형성된다. 그 위에는 투명 바닥판이 구비된 다수의 바닥 부재가 얹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 무대 구조물에 있어서,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골조와,
상기 골조 위에 설치되며, 투명한 플라스틱 수지판과 그 위에 마련된 경질 코팅층을 갖는 바닥판이 구비된 다수의 바닥부재를 포함하는 무대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골조와, 상기 골조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닥부재를 구비하여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 무대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받침대와 받침틀을 구비하되,
받침대는 제1 기둥을 구비하고,
받침틀은 상기 제1 기둥에 끼워져 설치되는 제2 기둥과 상기 제2 기둥에 연결된 제1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받침부에는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바닥부재는 테두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위에 마련된 바닥판을 구비하며,
상기 테두리의 내측과 상기 걸림턱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바닥부재의 이동이 제한되는 무대 구조물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의 '무대'는 좁은 의미의 무대(노래·춤·연극 따위를 하기 위하여 객석 정면에 길고 높직하게 만든 단) 및 연설, 강연 또는 전시를 위한 단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바닥'이라 하면, 사람의 발 아래에 위치하는 넓이를 이룬 부분을 가리키며, 공연 등을 행하는 사람이 밟게 되거나 전시하는 물건이 놓이는 무대의 상부를 가리킨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무대 구조물(10)은 지지 골조(12)와 지지골조 위에 얹어지는 다수의 바닥 부재(14)를 구비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부재(14)는 투명하다. 지지 골조(12)는 다수의 지주(16)와 지주 사이를 연결해주는 연결부재(18,20,22)를 구비한다. 지지 골조(12)는 다수의 지주(16)가 행과 열을 지어 배열되고, 그 사이를 연결부재(18,20,22)로 연결한 형태이다. 도4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18)는 이웃하는 두 지주(16)의 받침틀에 용접의 방법(다른 실시예에서는 볼트너트결합, 리벳팅이나 다른 연결방법에 따라 연결될 수 있음)으로 고정된다. 제1 연결부재(18)로 연결된 한 쌍의 지주들과 이웃하는 다른 쌍의 지주들 사이는 제2 연결부재(20)와 제3 연결부재(22)에 의해 연결된다. 제3 연결부재(22) 위에는 도2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조명장치(24)가 설치된다. 이렇게 형성된 지지 골조(12) 위에는 바닥 부재(14)들이 위로부터 얹어져 무대 구조물(10)이 완성된다.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지주(16)는 받침대(26)와, 받침대(26) 위에 장착되는 받침틀(28)을 구한다. 받침대(26)는 지면 위에 세워지는 것으로서 베이스(30)를 구비한다. 베이스(30)는 사각형의 금속판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네 모서리에는 구멍이 마련된다. 베이스(30) 위에는 하부 기둥(32)이 연장된다. 이 하부 기둥(32)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이 하부 기둥 전체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하부 기둥의 상측 부분에만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멈춤링(34)이 하부 기둥(32)에 끼워진다. 멈춤링(34)의 내면에는 상기 수나사와 결합하는 암나사가 있다. 멈춤링(34)의 외면에는 손잡이(36)가 마련된다.
받침틀(28)은 그 위에 바닥 부재(14)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받침틀(28)은 상부 기둥(38)을 구비한다. 상부 기둥(38)은 중공 환봉으로 이루어진다. 도5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기둥(38)의 중앙 구멍에는 하부기둥의 상부가 삽입된다.
상부 기둥(38)의 하단에는 대체로 4각형의 하부 받침판(40)이 고정되어 있다. 하부 받침판(40)의 네 모서리에는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팀대(42)가 고정되어 있다. 이 버팀대(42)는 위로 갈수록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4개의 버팀대는위로 올라갈수록 벌어지는 형상이다. 버팀대(42)의 중간은 연결로드(43)로 상부 기둥(38)에 연결 고정된다.
버팀대(42)의 상단에는 상부 받침부(44)가 결합된다. 상부 받침부(44)는 사각형의 받침 테두리(테; rim)(46)를 구비한다. 테두리(46)의 각각의 변은 사각 중공봉으로 이루어지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 테두리(46)의 네 모서리는 상기 버팀대(42)의 상단에 고정된다. 테두리(46)의 네 모서리 근처에는 바닥 부재(14)의 설치 위치를 안내하고 설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해주는 걸림쇠(47)가 고정되어 있다. 각 걸림쇠(47)는 테두리(46)의 변과는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로 수직인 한 쌍의 턱(48)을 구비한다. 이 걸림쇠(47)의 턱(40)은 'ㄱ'자 형강을 ㄱ자 형상이 되도록 용접 결합하되 턱(48)이 테두리(46)의 변과는 직각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물론 걸림쇠(47)의 구조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받침부(44)를 4각 테두리로 형성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상부 받침부(44)는 4각형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4 및 도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받침부(44)의 테두리(46) 윗면(바닥부재의 받침면)의 높이는 상부 기둥(38)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이거나 조금 낮다. 도면에서는 테두리(46)와 상부 기둥(38)이 버팀대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보강을 위하여 강봉 등으로 용접하여 직접 연결할 수도 있다.
도5에 잘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틀(28)의 상부 기둥(38)이 받침대(26)의 하부 기둥(32)에 끼워진다. 상부 기둥(38)의 하단 및 하부 받침판(40)은 멈춤링(34)위에 얹어진다. 멈춤링(34)은 회전하면 하부 기둥(32)에 대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므로 받침틀(28)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두 받침틀(28) 사이는 한 쌍의 제1 연결부재(18)를 이용하여 미리 연결해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기둥(38)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였다. 물론,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른 고정방법으로 두 받침틀(28) 사이를 연결할 수도 있다. 제1 연결부재(18)의 양단부 부근은 제2 연결부재(20) 및 제3 연결부재(22)의 걸고리를 끼워서 걸 수 있도록 축소된 두께를 갖는다.
도1 내지 도4, 도6을 참조하면, 제2 연결부재(20)는 제1 연결부재(18)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지주 쌍을 연결한다. 제2 연결부재(20)는 상하 나란히 배치된 가로 막대(50)와 상기 가로 막대(50) 사이에 연결된 보강 막대(52)들을 구비한다. 가로 막대(50)의 양단부에는 걸고리(54)가 마련된다. 이 걸고리(54)는 제1 연결부재(18)의 양단부 부근에 걸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걸고리(54) 삽입홈(56)의 폭은 제1 연결부재(18)의 양단부 부근의 두께보다 헐거운 정도로 끼워 맞춤이 되도록 약간 크게 한다.
제3 연결부재(22)는 제2 연결부재(20)와 마찬가지로 제1 연결부재(18)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지주 쌍을 연결한다. 제3 연결부재(22)는 제2 연결부재(20)의 상하부 가로막대와 동일한 형상이다. 제3 연결부재(22)에는 조명장치(24)가 설치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이를 위한 고정장치가 제3 연결부재(22)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3 연결부재(22)는 도2에서와 같이 아래쪽 제1 연결부재(18)에 연결될 수도있고, 위쪽의 제1 연결부재(18)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제1 연결부재(18)의 양단부에는 한쪽에서 온 제2 연결부재(20)(또는 제3 연결부재(22))와 다른 쪽에서 온 제2 연결부재(20)(또는 제3 연결부재(22))가 동시에 걸려 있을 수도 있다(도1 참조).
위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 골조(12)는 각 부품들은 금속 특히, 강철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 내지 도3 및 도7을 참조하면, 바닥 부재(14)는 프레임(58)과, 중간 부재(60)와, 바닥판(62)을 구비한다. 프레임(58)은 대체로 직사각형의 테두리(테; rim)(64)를 구비한다. 테두리(64)의 서로 마주보는 짧은 변 사이에는 보강막대(66)가 연결된다. 프레임(58) 위에는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의 중간 부재(60)가 부착된다. 중간 부재(60)는 바닥판과 프레임 사이의 완충 및 바닥판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것이다. 중간 부재(60)는 합성고무와 같은 고무 재료로 만드는 것이 좋다.
바닥판(62)은 대체로 프레임(58)의 외곽선이 이루는 직사각형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의 투명판재로 구성된다. 이 투명 판재는 유리일 수도 있고, 투명한 플라스틱 수지판일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아크릴 수지와 같은 투명한 플라스틱 수지판을 사용한다. 아크릴 수지판의 두께는 놓이게 되는 물건이나 올라서는 사람의 무게에도 파손되지 않는 강도를 보장하는 두께이어야 한다.
아크릴 수지의 바닥판(62)은 상면에 코팅층을 구비한다. 이 코팅층은 긁힘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면의 경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수지판 위의 코팅층은 우레탄 도료를 도포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자는 12 mm 두께의 아크릴 수지판 위에 일본의 간사이페인트가부시키가이샤의 레탄 PG 80 III(RETAN PG 80 III)를 도포하여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한국의 제비표페인트의 레탄 PG-III를 사용해서도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본 고안은 상기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플라스틱 수지판 위에 경도를 증진시켜 흠집이 나는 것을 억제한 코팅층이 마련된 것이라면 본 고안에 속한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바닥판(62)으로서 유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리를 사용할 때에는 상면에 방탄필름을 입혀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유리 자체는 파손 시 인체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안전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58)과, 중간 부재(60), 바닥판(62)은 바닥판 쪽에서 프레임(58)을 향해 나사못과 같은 체결요소(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나사못의 머리가 튀어나오지 않도록 냄비머리 나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8은 하나의 받침틀(28) 위에 4개의 이웃하는 바닥 부재(14)가 얹어지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받침틀(28)에 있는 걸림쇠(47)는 프레임(58)의 모서리 안쪽에 위치하게 되어 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한다. 걸림쇠(47)의 높이는 프레임(58)의 높이보다 약간 작게 하여 바닥 부재(14) 설치 때 바닥판(62)이 걸림쇠(47)에 닿지 않도록 한다. 또한, 이웃하는 걸림쇠(47) 사이의 거리는 프레임(58)의 폭의 두배보다 약간만 크게 하여 바닥 부재(14)를 모두 얹으면 이들이 움직이지 않게 하는 것이 좋다.
도9는 다른 곳에 비하여 지면이 현저히 낮은 곳에 설치하는 지주의 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받침틀(28)을 2개를 사용한다. 먼저, 도4와는 달리, 상부 받침부(44)가 아래로 가도록 제1 받침틀(28a)을 받침대(26) 위에 세운다. 이 때, 상부 기둥(38)은 하부 기둥(32)에 끼워진다. 제1 받침틀(28a)의 상부 기둥(38)에 다시 중간 기둥(39)을 끼운다. 그 위에 제2 받침틀(28b)을 하부 받침판(40)이 아래로 가도록 세운다. 이 때, 제2 받침틀(28b)의 상부 기둥(38)은 중간 기둥(39)에 끼운다.
이하, 전체적인 무대 구조물(10)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전체적인 무대 구조물(10)을 설치할 때에는 먼저, 받침대(26)를 열과 행을 지어 나란히 배치한다.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받침대(26) 위에 제1 연결부재(18)로 연결된 받침틀(28)을 장착한다. 받침틀(28)을 설치하기 전 또는 후에 멈춤링(34)을 회전시켜 받침틀(28)의 높이가 일정하게 되도록 조절한다. 그 후 제2 연결부재(20)와 제3 연결부재(22)로 각 지주(16) 사이를 연결한다. 제3 연결부재(22)에는 조명장치 등 부속장치를 설치한다. 최종적으로 바닥 부재(14)를 얹어 무대 구조물(10)을 완성한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변경 또는 수정을 가할 수 있으나, 상기 변경 또는 수정한 것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대 구조물은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분해한 각종 부재들은 재사용이 가능하다. 바닥이 투명하므로 아래에서 조명을 비출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다. 바닥판의 파손 발생 가능성이 감소되어 안전하고, 바닥판에는 코팅층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잘 긁히지 않아 내구성이 좋다.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고, 현저히 낮은 곳이 있는 지면 또는 요철이 심한 지면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최종 무대구조물의 바닥 높이가 일정하고 바닥 부재의 이동이 방지된다.

Claims (10)

  1.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 무대 구조물에 있어서,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골조와,
    상기 골조 위에 설치되며, 투명한 플라스틱 수지판과 그 위에 마련된 경질 코팅층을 갖는 바닥판이 구비된 다수의 바닥부재를 포함하는 무대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수지판의 재료는 아크릴 수지이며, 경질 코팅층의 재료는 우레탄 도료인 무대 구조물.
  3. 다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한 골조와, 상기 골조 위에 설치되는 다수의 바닥부재를 구비하여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한 무대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주는 받침대와 받침틀을 구비하되,
    받침대는 제1 기둥을 구비하고,
    받침틀은 상기 제1 기둥에 끼워져 설치되는 제2 기둥과 상기 제2 기둥에 연결된 제1 받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받침부에는 걸림턱이 마련되며,
    상기 바닥부재는 테두리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위에 마련된 바닥판을 구비하며,
    상기 테두리의 내측과 상기 걸림턱의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바닥부재의 이동이 제한되는 무대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멈춤링을 더 구비하되, 상기 제1 기둥의 적어도 상부에 수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멈춤링에는 상기 수나사와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무대 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틀은 상기 제2 기둥에 고정된 제2 받침부와 상기 제2 받침부와 상기 제1 받침부를 연결하는 버팀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버팀대가 상기 제2 기둥에 고정된 무대 구조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받침판 사이에는 중간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받침판은 투명한 무대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투명 플라스틱 수지판과 그 위에 마련된 경질 코팅층을 구비하는 무대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플라스틱 수지판의 재료는 아크릴 수지이며, 경질 코팅층의 재료는 우레탄 도료인 무대 구조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그 테두리의 서로 마주보는 변과 변 사이를연결하는 연결막대를 더 구비하는 무대 구조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조명 장치가 설치된 무대 구조물.
KR2020010014073U 2001-05-14 2001-05-14 투명한 바닥을 구비한 무대 구조물 KR2002426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073U KR200242640Y1 (ko) 2001-05-14 2001-05-14 투명한 바닥을 구비한 무대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073U KR200242640Y1 (ko) 2001-05-14 2001-05-14 투명한 바닥을 구비한 무대 구조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5941A Division KR20020086165A (ko) 2001-05-11 2001-05-11 투명한 바닥을 구비한 무대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640Y1 true KR200242640Y1 (ko) 2001-10-15

Family

ID=73101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073U KR200242640Y1 (ko) 2001-05-14 2001-05-14 투명한 바닥을 구비한 무대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6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960B1 (ko) 2010-12-03 2012-08-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마루블록장치
KR102151266B1 (ko) 2019-11-29 2020-09-02 유한회사 아트기획 가설이 용이한 조립식 무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960B1 (ko) 2010-12-03 2012-08-3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마루블록장치
KR102151266B1 (ko) 2019-11-29 2020-09-02 유한회사 아트기획 가설이 용이한 조립식 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5521B1 (en) Gazebo
US20110290588A1 (en) Temporary viewing platforms
US20100301295A1 (en) Crowd barrier
US20030167701A1 (en) Porch apparatus for modular structures with adjustable stair and handrail assembly
CA2732064C (en) Modular stage, kit for sam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6398659B1 (en) Childrens maze game apparatus
CA2882541C (en) Modular hyperbolic trapezoid fabric structure
WO2014172754A1 (en) Portable stairs and landing assembly
JP5193253B2 (ja) 仮設階段
US11506331B2 (en) Modular trussed suspended platform
KR200242640Y1 (ko) 투명한 바닥을 구비한 무대 구조물
KR20020086165A (ko) 투명한 바닥을 구비한 무대 구조물
JP2018131841A (ja) 組立式ステージおよびジャッキ機構
US4951076A (en) Photographic cove
US3845988A (en) Easy-to-assemble structure
JP2000027289A (ja) 連結ユニット式ウッドデッキ
CN212614468U (zh) 一种建筑装饰用移动型爬梯
IT201900005162A1 (it) Campo polivalente recintato, nonché metodo e kit per la realizzazione dello stesso
JP2996385B2 (ja) 組立式足場
US20230089460A1 (en) Modular trussed suspended platform
JP3833680B2 (ja) 看板装置
RU2212924C1 (ru) Игровая деревня
JPH096245A (ja) 看板装置
JPH11311034A (ja) 仮設観覧席
EP0150133B1 (en) A hoard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