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123B1 -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08123B1 KR101408123B1 KR1020130109468A KR20130109468A KR101408123B1 KR 101408123 B1 KR101408123 B1 KR 101408123B1 KR 1020130109468 A KR1020130109468 A KR 1020130109468A KR 20130109468 A KR20130109468 A KR 20130109468A KR 101408123 B1 KR101408123 B1 KR 1014081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modular
- modular unit
- delete delete
- beams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916 structural analysi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은 모듈러 주택을 형성하는 모듈러 단위유닛과,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적층되는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의 수평평활도를 맞출 수 있는 층간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층되는 모듈러 단위유닛의 수평평탄화를 맞출 수 있는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공법은 공장에서 제작 및 조립된 3차원적인 상자형의 유닛 부품 군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 및 건설하는 방법이다.
모듈러 주택은 공장에서 대부분의 공정이 이루어져 조립된 3차원적인 상자형의 모듈러 단위유닛을 현장에 운반하여 모듈러 단위유닛 간의 조립 및 접합을 하는 공법을 통해 건설된다.
대부분의 공정이 공장에서 이루어지므로 제품의 높은 품질과 성능을 기대할 수 있고,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이 감소하여 인건비 및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러 단위유닛은 또 다른 모듈러 단위유닛을 상하, 전후, 좌우로 조합하여 주택을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모듈러 단위유닛을 상하로 조합하는 모듈러 공법은 단위유닛을 상하로 접합할 시 단위유닛 간에 평철을 댄 후 볼트로 평철과 상하로 조합하는 단위유닛을 결합하는 공법으로 상하로 접합되는 단위유닛 간의 기둥이나 보를 완전히 일체화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그리고, 평철과 같은 연결철물을 설치하여 접합하는 방법은 강접합이라고 볼 수 없어 접합강도가 떨어진다.
그리고, 모듈러 단위유닛을 상하로 조합하기 위해서 단위유닛과 단위유닛 사이에 철판 등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자재들은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 상하로 조합되는 단위유닛의 수평평탄화를 맞추기가 쉽지 않다. 이로 인해, 단위유닛의 수평평탄화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어 전체적으로 인건비 및 공사기간이 증가하는 역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적층되는 모듈러 단위유닛의 수평평활도를 맞출 수 있는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접합방법을 통하여 접합강도를 높일 수 있는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은 모듈러 주택을 형성하는 모듈러 단위유닛과,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적층되는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의 수평평활도를 맞출 수 있는 층간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층간플레이트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보와, 상기 복수개의 보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층간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장치와, 상기 조절장치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과 결합하는 제1결합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에 일단이 결합하고 타단이 이웃하는 상기 보에 결합하여 상기 층간플레이트가 용이하게 양중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양중부재와, 상기 보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보를 연결하여 상기 층간플레이트의 구조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보강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층간플레이트는 상기 복수개의 보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층간소음을 방지하는 소음방지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설비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은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체와 결합하는 제2결합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체와 상기 제2결합체는 각각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가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옆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옆면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삽입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홀에는 상기 제1결합체와 상기 제2결합체를 접합하기 위한 볼트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은 (A) 층간플레이트의 양중부재에 양중장치를 연결하여 모듈러 단위유닛의 상부에 상기 층간플레이트를 양중하는 단계와, (B) 상기 층간플레이트와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을 볼트 체결하는 단계와, (C) 상기 층간플레이트의 상부에 또 다른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을 적층하여 결합하는 단계와, (D) 상기 층간플레이트의 조절장치를 조절하여 적층된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의 수평평탄화를 맞추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층간플레이트에 형성된 공간부에 설비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층간플레이트에 형성된 공간부에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소음방지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 및 시공방법에 의하면, 층간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조절장치를 조작하여 적층된 모듈러 단위유닛의 수평평활도를 맞출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층간플레이트와 모듈러 단위유닛을 볼트를 이용한 볼팅접합을 하므로 구조적으로 접합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설비유닛 및 소음방지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체와 제2결합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이 적용된 단위유닛 간의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의 시공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설비유닛 및 소음방지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체와 제2결합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이 적용된 단위유닛 간의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의 시공방법의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은 모듈러 주택을 형성하는 모듈러 단위유닛(200)과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층간플레이트(100)를 구비한다.
모듈러 단위유닛(200)은 모듈러 주택을 이루는 최소단위의 구조체로서,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으로 옮겨 또 다른 모듈러 단위유닛(200)과 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듈러 단위유닛(200)은 모듈러 단위유닛(200) 간의 상하, 전후, 좌우로의 조합이 용이하도록 3차원적인 상자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모듈러 단위유닛(200)이 정육면체 형태인 것을 보였으나, 모듈러 단위유닛(200)은 사용 목적이나 설치 현장의 여건 등에 따라 직육면체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모듈러 단위유닛(200)은 목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는데, 목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한옥에서 주로 사용되는 맞춤방식을 비롯한 각종 목구조의 결합방법을 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모듈러 단위유닛(200)은 강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데 강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용접이나 나사결합 등의 다양한 결합 방법을 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목재나 강재를 사용하여 모듈러 단위유닛(200)을 제작할 때에는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외부표면에 접합부위가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향후 또 다른 모듈러 단위유닛(200)과의 조합 시 돌출부위에 의해 들뜨는 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 모듈러 단위유닛(200) 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한편, 모듈러 주택을 형성하기 위해 모듈러 단위유닛(200)을 상하, 전후, 좌우로 조합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듈러 단위유닛(200)을 전후 또는 좌우로 조합하는 방법은 각각의 모듈러 단위유닛(200)이 지면과 맞대어지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전하지만 한정된 면적 내에서 다량의 모듈러 주택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경우에 따라 상하조합 즉, 적층이 불가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적층 시에는 적층되는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수평평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최초 적층되는 모듈러 단위유닛(200)이 수평평활도를 유지하지 못할 경우, 향후 적층되는 모듈러 단위유닛(200) 또한 수평평활도를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안전하지 못하고 결국 일정 높이 이상으로 적층을 할 수 없어 모듈러 주택의 고층화를 이룰 수 없다. 따라서, 적층되는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수평평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상부에 층간플레이트(100)를 결합한다. 상기 층간플레이트(100)는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적층 조합 시 적층되는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적층된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수평평활도를 맞추고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층된 모듈러 단위유닛(200)이 구조적 안전성을 가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모듈러 주택의 고층화를 이룰 수 있다.
다음은 상기 층간플레이트(100)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플레이트(100)는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보(110)와, 상기 복수개의 보(110)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는 조절장치(120)와, 상기 조절장치(120)에 구비되는 제1결합체(130)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보(110)는 층간플레이트(100)의 전체적인 테두리를 형성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보(110)에 의해 형성된 테두리의 형태는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상부 형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돌출되는 부위 없이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외부 표면과 동일한 면을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향후 모듈러 단위유닛(200)을 전후, 좌우로 조합하여도 층간플레이트(100)에 의해 들뜨는 부분없이 맞대어져 조합되기 때문에 구조적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층간플레이트(100)의 형태가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형태에 맞게 사각 틀 형태인 것을 보였으나, 층간플레이트(1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보(110)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에는 층간플레이트(100) 상부에 적층되는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수평평활도를 맞추는 조절장치(120)가 구비된다.
조절장치(120)는 일단이 복수개의 보(110)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의 하부에 결합하고 타단은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상부 모서리에 결합된다.
상기 조절장치(120)로는 스크류 잭(screw jack)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절장치(120)를 조작하여 적층된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수평평활도를 맞출 수 있으므로 수평평활도를 맞추기 위한 별도의 연결철물이나 장비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적층 후 수평평활도를 맞추는데 드는 소요시간을 줄일 수 있어 결과적으로 모듈러 단위유닛(200)을 신속하게 적층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조절장치(120)는 스크류 잭 이외에도 수평평활도를 맞출 수 있는 다양한 장비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체(130)는 층간플레이트(100)가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상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제1결합체(130)는 복수개의 보(110)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와 결합되지 않은 조절장치(120)의 일단에 구비된다. 제1결합체(130)가 구비됨으로써 층간플레이트(100)는 높은 결속력으로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1결합체(130)에 대해서는 향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층간플레이트(100)는 상기 보(110)에 일단이 결합하고 타단이 이웃하는 상기 보(110)에 결합하는 양중부재(140)와, 상기 보(110)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보(110)를 연결하는 보강부재(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양중부재(140)는 복수개의 보(110)가 이루는 테두리의 내측에 구비되고 복수개의 보(110)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에 근접하여 일단이 보(110)에 결합하고 타단이 이웃하는 보(11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모서리와 양중부재(140) 사이에는 소정의 홀(141)이 형성되고, 상기 홀(141)에 케이블이나 고리 등을 통과시켜 양중부재(140)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층간플레이트(100)를 양중하거나 층간플레이트(100)가 결합된 모듈러 단위유닛(200)을 양중할 경우 별도의 부재를 덧대거나 층간플레이트(100) 또는 모듈러 단위유닛(200)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서도 용이하게 양중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양중부재(140)는 모서리에 근접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보(110)의 수평저항력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모서리를 형성하는 보(11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양중부재(140)의 크기와 형태는 보(110)의 크기나 모듈러 단위유닛(200)이 적층되는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보강부재(150)는 보(110)와 상기 보(110)와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보(110)에 양단이 각각 결합된다. 보강부재(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110)와 마주보는 보(110)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보강부재(150)는 층간플레이트(100)를 제작할 시 함께 제작될 수 있고, 층간플레이트(100)가 제작된 후 공장 또는 현장에서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층간플레이트(100)에 설치된 보강부재(150)가 하나인 것을 보였으나, 보강부재(150)는 모듈러 단위유닛(200)이 적층되는 정도나 현장 상황에 따라 복수개의 보강부재(15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구조적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보(110)와 보강부재(150)가 결합되는 위치에 양중부재(14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층간플레이트(100)는 복수개의 보(110)에 의해 형성되는 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층간플레이트(100)의 내부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은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플레이트에 설치되는 설비유닛 및 소음방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플레이트(100)는 상기 복수개의 보(110)에 의해 공간부(160)가 형성된다. 공간부(160)는 복수개의 보(110)에 의해 형성된 테투리의 형태나 양중부재(140)와 보강부재(150)의 설치 여부에 따라 그 형태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보(110)에 의해 형성된 테두리의 모서리 하부에 결합된 제1결합체(130)에 의해 모듈러 단위유닛(200)과 층간플레이트(100) 사이에도 공간층(16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160)에는 층간소음을 방지하는 소음방지부재(300)가 설치될 수 있다. 소음방지부재(300)로는 소음방지 쿠션이나 흡음재 등과 같은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간부(160)에 소음방지부재(300)가 설치됨으로써 모듈러 단위유닛(200)을 적층 조합할 경우 아래층에 해당하는 모듈러 단위유닛(200)과 위층에 해당하는 모듈러 단위유닛(200)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듈러 단위유닛(200)에 설치되지 않고 층간플레이트(100)에 설치되기 때문에 적층된 모듈러 단위유닛(200)을 분리하여도 소음방지부재(300)가 손상이 가지 않으며, 소음방지부재(300)가 층간플레이트(100)의 공간부(16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어떠한 조합을 실시하여도 용이하게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향후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바닥마감재(미도시)가 설치되거나 해체되어도 손상이 가해지거나 탈락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소음방지부재(300)는 별도의 접착제나 연결부재(미도시)를 사용하여 공간부(160)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억지끼움방식을 통해 공간부(160)에 끼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소음방지부재(300)가 억지끼움방식을 통해 설치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층간플레이트(100)에 연결하는 별도의 부재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그만큼의 공사비를 줄이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160)에는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설비유닛(400)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설비유닛(400)이 사각형 모양인 것을 보였으나, 설비유닛(400)은 공간부(160)의 형태나 공간부(160)에 설치되는 설비유닛(400)의 종류 및 형태에 따라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간부(160)에 설치되는 설비유닛(400)으로는 전기시설, 가스시설, 배수시설 등 사용자가 모듈러 단위유닛(200)에서 일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종 설비시설들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모듈러 단위유닛(200) 내부에 별도의 설비유닛(400)이 설치되는 공간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내부공간 활용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부(160)에 설치되는 설비유닛(400)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공간부(16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음방지부재(300)와 설비유닛(400)은 상기 공간층(161)에도 설치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에서 언급한 제1결합체(130) 및 제1결합체(130)와 결합되는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제2결합체(21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결합체와 제2결합체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은 모듈러 단위유닛(200)과 층간플레이트(100)를 구조적으로 강접합 결합이 되도록 하기 위해 제1결합체(130)와 제2결합체(210)를 구비한다.
제1결합체(13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조절장치(120)의 일단에 구비되고,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상부에는 상기 제1결합체(130)가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상부와 맞대어지는 부분에 제2결합체(210)가 구비된다.
한편, 제1결합체(130)와 제2결합체(210)는 각각 바닥판(131,211)과 옆면(132,212)을 구비한다.
제1결합체(130)의 바닥판(131)은 조절장치(120)의 일면에 맞대어져 결합되고, 옆면(132)은 제1결합체(130)의 바닥판(131)의 테두리가 제1결합체(130)의 바닥판(131)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1결합체(130)는 바닥판(131)과 옆면(132)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부(134)의 형태는 바닥판(131)과 옆면(132)의 형태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체(210)의 바닥판(211)은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상부에 맞대어져 갈합되고, 옆면(212)은 상기 제1결합체(130)의 옆면(132)과 같이 제2결합체(210)의 바닥판(211)의 테두리가 제2결합체(210)의 바닥판(211)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2결합체(210) 또한 제1결합체(130)와 같이 바닥판(131)과 옆면(132)에 의해 형성되는 삽입부(214)를 구비할 수 있다. 삽입부(214)의 형태는 바닥판(211)과 옆면(212)의 형태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체(130)와 제2결합체(210)의 바닥판(131,211)과 옆면(132,212)의 형태는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결합체(130)와 제2결합체(210)의 바닥판(131,211)과 옆면(132,212)의 크기는 제1결합체(130)의 크기가 제2결합체(210)의 크기보다 소정 크기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결합체(130)는 제2결합체(210)의 삽입부(214)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결합체(130)의 바닥판(131)과 제2결합체(210)의 바닥판(211)이 맞대어지고, 제1결합체(130)의 옆면(132)과 제2결합체(210)의 옆면(212)이 맞대어지게 된다.
또한, 제1결합체(130)와 제2결합체(210)의 옆면(132,212)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삽입홀(133,21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133,213)은 제1결합체(130)와 제2결합체(210)의 옆면(132,212)에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삽입홀(133,213)에 볼트(500)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체(130)와 제2결합체(210)는 옆면(132,212)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구조해석상 강접합으로 구분할 수 있는 볼트(500)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높은 결속력을 갖으며 결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결합체(130)가 제2결합체(210)에 삽입된 후 볼트(500)에 의해 결합되기 때문에 제1결합체(130)와 제2결합체(210)의 삽입홀(133,213)을 일렬로 맞추는 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신속하고 간단하게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볼트(500)는 옆면(132,212)에 돌출되는 부분없이 삽입홀(133,213)에 삽입되어 제1결합체(130)와 제2결합체(210)를 결합하기 때문에 향후 전후, 좌우로 조합되는 모듈러 단위유닛(200)과 맞대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이 적용된 단위유닛 간의 결합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은 층간플레이트(100)에 의해 모듈러 단위유닛(200)을 상하, 전후, 좌우 방향으로 조합하는데 있어서 매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층간플레이트(100)의 양중부재(140)에 의해 쉽게 모듈러 단위유닛(200)을 양중하여 적층하거나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듈러 단위유닛(200)과 층간플레이트(100)의 외면으로 돌출되는 부위가 없기 때문에 모듈러 단위유닛(200) 간의 조합 시 서로 맞대어져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되는 면적이 증가하여 보다 높은 결속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층간플레이트(100)는 측면에 복수개의 결속홈(미도시)을 구비하여 향후 전후, 좌우 방향으로 조합하는 층간플레이트(100)와 고력볼트(미도시)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별도의 연결철물을 데거나 모듈러 단위유닛(200)에 구멍을 만들지 않아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상부에 하나의 층간플레이트(100)가 결합된 복수개의 모듈러 단위유닛(200)을 결합하는 방식의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인 것을 보였으나,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은 기초면에 복수개의 층간플레이트(100)를 설치한 후 모듈러 단위유닛(200)을 2~3개 층으로 적층하고, 다시 층간플레이트(100)를 결합한 후 상부에 2~3개 층의 모듈러 단위유닛(200)을 결합하는 방식으로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은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의 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A) 층간플레이트(100)의 양중부재(140)에 양중장치를 연결하여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상부에 상기 층간플레이트(100)를 양중하는 단계(S110)와, (B) 상기 층간플레이트(100)와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200)을 볼트(500) 체결하는 단계(S120)와, (C) 상기 층간플레이트(100)의 상부에 또 다른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200)을 적층하여 결합하는 단계(S130)와, (D) 상기 층간플레이트(100)의 조절장치(120)를 조절하여 적층된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수평평탄화를 맞추는 단계(S14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D) 단계 이후에 상기 층간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공간부(160)에 설비유닛(400)을 설치하는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D) 단계 이후에 상기 층간플레이트(100)에 형성된 공간부(160)에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소음방지부재(300)를 설치하는 단계(S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은 조절장치(120)를 구비함으로써 적층된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수평평활도를 간단한 조작을 통해 맞출 수 있고, 모듈러 주택의 고층화 시 모듈러 단위유닛(200)의 수평평활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모듈러 단위유닛(200)과 층간플레이트(100)가 구조해석상 강접합으로 구분할 수 있는 볼트(500)에 의해 결합하기 때문에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간단하고 신속한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 및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층간플레이트 200: 모듈러 단위유닛
300: 소음방지부재 400: 설비유닛
500: 볼트
300: 소음방지부재 400: 설비유닛
500: 볼트
Claims (12)
- 모듈러 주택을 형성하는 모듈러 단위유닛과,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의 상부에 결합되어 적층되는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의 수평평활도를 맞출 수 있는 층간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층간플레이트는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의 상부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테두리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보와, 일단이 상기 복수개의 보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의 상부 모서리에 결합되도록 상기 복수개의 보에 의해 형성된 모서리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층간플레이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장치와, 상기 조절장치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과 결합하는 제1결합체와, 상기 보에 일단이 결합하고 타단이 이웃하는 상기 보에 결합하여 상기 층간플레이트가 용이하게 양중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양중부재와, 상기 보와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보를 연결하여 상기 층간플레이트의 구조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보강부재와, 상기 복수개의 보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간부에는 층간소음을 방지하는 소음방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은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체와 결합하는 제2결합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1결합체와 상기 제2결합체는 각각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가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옆면을 구비하고,
상기 옆면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복수개의 삽입홀을 형성하고,
상기 제1결합체와 상기 제2결합체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삽입홀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에는 상기 제1결합체와 상기 제2결합체가 구조해석상 강접합으로 구분할 수 있는 볼트결합을 통해 높은 결속력으로 상기 모듈러 단위유닛과 상기 층간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볼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9468A KR101408123B1 (ko) | 2013-09-12 | 2013-09-12 |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 및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09468A KR101408123B1 (ko) | 2013-09-12 | 2013-09-12 |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 및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08123B1 true KR101408123B1 (ko) | 2014-06-19 |
Family
ID=51133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09468A KR101408123B1 (ko) | 2013-09-12 | 2013-09-12 |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 및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0812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8089A (ko) | 2018-06-04 | 2019-12-12 |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 가이드핀 및 이를 이용한 모듈유닛 적층방법 |
KR102210673B1 (ko) * | 2020-07-22 | 2021-02-03 | 주식회사 텐일레븐 | 다층형 조립식 유닛을 갖는 조립식 건축물용 클럽 샌드위치 방식의 조립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4479B1 (ko) * | 2004-07-05 | 2007-03-12 | 주식회사 포스코 | 모듈러 건축물 시공시스템 |
KR100923634B1 (ko) * | 2009-07-13 | 2009-10-23 | 금강공업 주식회사 | 철재 계단이 구비된 건축 모듈러 유닛 |
-
2013
- 2013-09-12 KR KR1020130109468A patent/KR10140812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94479B1 (ko) * | 2004-07-05 | 2007-03-12 | 주식회사 포스코 | 모듈러 건축물 시공시스템 |
KR100923634B1 (ko) * | 2009-07-13 | 2009-10-23 | 금강공업 주식회사 | 철재 계단이 구비된 건축 모듈러 유닛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8089A (ko) | 2018-06-04 | 2019-12-12 |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 가이드핀 및 이를 이용한 모듈유닛 적층방법 |
KR102210673B1 (ko) * | 2020-07-22 | 2021-02-03 | 주식회사 텐일레븐 | 다층형 조립식 유닛을 갖는 조립식 건축물용 클럽 샌드위치 방식의 조립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20186487A1 (en) | Modular building connector | |
US10053862B2 (en) | Container module for construction having fireproof floor slab and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 |
KR20190089971A (ko) | 조립식 체적 건축 모듈의 연결 시스템 및 연결 방법 | |
KR101222550B1 (ko) | 이중보 일체형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 |
KR101569405B1 (ko) | 외단열 벽체패널을 적용한 모듈러건축물 및 그 시공방법 | |
KR101194170B1 (ko) |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US11352781B2 (en) | Reversible self-locking interconnection system for modular integrated construction | |
KR101408123B1 (ko) | 유닛모듈 적층 시스템 및 시공방법 | |
KR101520732B1 (ko) |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 |
KR101276642B1 (ko) | 조립식 건축물의 코너부 연결구 | |
KR20150055494A (ko) | 하중전달 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 |
CN215367758U (zh) | 一种箱式房架构 | |
KR20130036486A (ko) | 모듈러 건축물의 모듈간 접합 구조 | |
KR101632681B1 (ko) | 결합플레이트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접합구조, 이에 의한 모듈러 시스템 시공방법 및 모듈러 시스템 | |
KR102344569B1 (ko) |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프레임 체결 구조 | |
KR101194169B1 (ko) | 건축 모듈 및 건축 모듈의 접합부 구조 | |
JP3796494B2 (ja) | ユニット式建物 | |
KR101970404B1 (ko) | 모듈식 조립구조의 건축물 | |
KR20150138986A (ko) | 모듈러 구조물 | |
KR101174559B1 (ko) | 콘크리트 충전형 다이아그리드 접합부의 시공방법 | |
KR101668761B1 (ko) | 유닛 모듈러 접합 시스템 및 방법 | |
JP2017066708A (ja) | 建物 | |
KR102708511B1 (ko) | 볼 조인트 커넥터가 적용된 모듈러 건축물 | |
KR102416941B1 (ko) | 모듈러 프레임 체결구조 | |
KR101425942B1 (ko) | 층고저감형 모듈러 건축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