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569B1 -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프레임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프레임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569B1
KR102344569B1 KR1020200025666A KR20200025666A KR102344569B1 KR 102344569 B1 KR102344569 B1 KR 102344569B1 KR 1020200025666 A KR1020200025666 A KR 1020200025666A KR 20200025666 A KR20200025666 A KR 20200025666A KR 102344569 B1 KR102344569 B1 KR 102344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d
housing
flange
frame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0492A (ko
Inventor
조우제
Original Assignee
(주)유창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창이앤씨 filed Critical (주)유창이앤씨
Priority to KR1020200025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569B1/ko
Publication of KR20210110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0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8Details of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레임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듈러 유닛 등의 건축물 프레임을 체결할 때 작업자가 위험하게 실외에서 고소 체결 작업할 필요없이 실내에서 안전하게 프레임 체결할 수 있는 프레임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프레임 체결 구조 {Connecting structure for modular units to be fastened indoors}
본 발명은 프레임 체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듈러 유닛 등의 건축물 프레임을 체결할 때 작업자가 위험하게 실외에서 고소 체결 작업할 필요없이 실내에서 안전하게 프레임 체결할 수 있는 프레임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건축물이란 현장에서 시공하는 기존의 습식 공법과는 달리 공장에서 모듈러 유닛을 조립하고, 각종 내 외장재, 설비 및 배선 등을 미리 시공한 후 이를 현장으로 운송하여 조립 및 적층함으로써 완성된 건축물을 말한다.
이러한 모듈러 유닛은 방수 및 마감, 배수 설비는 물론 전기 설비 및 내부 마감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하나의 단위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모듈러 유닛들은 통상 공장에서 육면체 형태로 제조되어 운송수단을 통해 시공 현장으로 이송한 후 현장에서 작업용 크레인에 의해 이동 조립된다.
모듈러 유닛들을 조립할 때 수평 방향을 체결할 뿐만 아니라, 모듈러 유닛을 수직 방향으로 다수 적층하여 체결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유닛 간의 체결은 볼트를 체결하여 모듈러 유닛을 체결하는데, 다수의 모듈러 유닛이 적층된 높은 건축물인 경우 작업자가 줄을 타고 내려와 볼트 체결작업을 하건, 고소차를 이용하여 건축물 외부에서 모듈러 유닛을 볼트 체결 작업을 한다.
이와 같이 높은 건축물의 외부에서 모듈러 유닛을 체결하는 작업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914742호, "조립식 건축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 시공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1381281호, "고정브라켓-접합식 모듈러 건축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다수의 모듈러 유닛이 적층된 높은 건축물인 경우 작업자가 위험한 고소 체결 작업을 할 필요없이 건축물 내부에서 안전하게 모듈러 유닛을 체결 작업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용 모듈러 유닛의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 체결 구조는 H-빔을 소재로 하는 수평 프레임(101); 및 수직 프레임(104); 모듈러 내측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부(114)와, 상부 또는 하부에 천공된 구멍 형태의 체결공(113)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 프레임(11)과 수직 프레임(104) 사이에 체결되는 하우징(110); 및 상기 하우징(110)의 체결공(11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체결공(108)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판(107);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은 수평 프레임(101)과 동일한 규격의 H-빔을 소정 길이로 절단된 형태로 성형된 것으로서, 중앙에 수직의 웹(111)이 형성되고, 상기 웹(111)의 상, 하단에 각각 수평의 플랜지(1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하우징(110)의 플랜지(112)가 수평 프레임(101)의 플랜지(103)와 평평하게 연속되고, 하우징(110)의 웹(111)은 수평 프레임(101)의 웹(102)과 수직이 되도록 수평 프레임(101)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은 수직 프레임(104)에서 이웃하는 하우징(110)과 서로 수직 되도록 체결되되, 어느 한 하우징(110)은 웹(111)이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와 평행하면서 소정 간격 이격되고, 플랜지(112)의 테두리가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 면에 밀착되도록 체결되며, 다른 하우징(110)은 웹(111)이 수직 프레임(104)의 웹(105)과 평행하면서 소정 간격 이격되고, 플랜지(112)의 테두리가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 테두리와 밀착되도록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외 측 방향에서 상부 플랜지(112)부터 하부 플랜지(112)까지 판 형태의 제3 보강 플레이트(117)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 보강 플레이트(117)는 하우징(110)의 공간부(114) 외 측을 막아 폐색하도록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웹(111)과 평행하도록 상, 하부 플랜지(112)의 테두리에 체결된 판 형태의 제2 보강 플레이트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플랜지(112)와 동일 평면상으로 연장된 형태로 제1 보강 플레이트(115)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115)는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 사이로 삽입되어 단부가 수직 프레임(104)의 웹(105)과 접하여 체결되고, 제1 보강 플레이트(115)의 양측은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이 체결된 수직프레임(104)에는 양측이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에 체결되고, 선단 부는 수직 프레임의 웹(105)과 체결되는 제1 외부 보강판(118)이 체결되며, 상기 제1 외부 보강판(118)이 절곡 연장된 형태로 양측이 플랜지(106)에 체결되고 하단은 체결판(107)에 체결된 제2 외부 보강판(1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여러 층으로 다수 적층되어 연결된 모듈러 유닛을 서로 체결, 고정하기 위해 고소차를 동원하여 작업자가 모듈러 외부에서 체결위험한 작업할 필요없이 실내에서 하우징(110)의 공간부(114)에 손을 넣어 적층된 모듈러들을 체결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실내에서 하우징(110)의 공간부(114)에 형성된 체결공(113)에 볼트를 삽입하여 하부 모듈러 유닛(100B) 상부 하우징(110)의 공간부(114)까지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적층된 상, 하부 모듈러 유닛(100A,100B)을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실내에서 체결 작업을 위해 하우징(110)을 프레임에 구성하더라도 보강 플레이트들을 설치함으로써, 프레임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모듈러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모듈러 유닛을 적층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적층된 모듈러 유닛을 체결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상부 모듈러 유닛과 하부 모듈러 유닛이 적층 체결되는 모서리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상부 모듈러 유닛 모서리 부분과 하부 모듈러 유닛 모서리 부분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이 적용된 상, 하부 모듈러 유닛의 모서리를 분해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수직 프레임의 플랜지에 접하는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수직 프레임의 웹에 접하는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상부 모듈러 유닛과 하부 모듈러 유닛이 적층 체결되는 모서리 부분을 외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0은 상부 모듈러 유닛과 하부 모듈러 유닛이 적층 체결되는 모서리 부분을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이 적용된 상부 모듈러 유닛의 하부 모서리 부분을 내부 시점에서 도시한 평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이 적용된 상부 모듈러 유닛의 하부 모서리 부분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이 적용된 상부 모듈러 유닛의 하부 모서리 부분을 외부 시점에서 도시한 저면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유닛(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프레임(12)과 수평 프레임(11)이 체결되어 육면체 형태로 성형된다.
이때, 수직 프레임과 수평 프레임은 일정 수준 이상의 강도를 웹과 플랜지로 구성된 H-빔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모듈러 유닛(10)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연속 체결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건축물이 신속하게 시공된다.
모듈러 유닛(10)을 적층 체결할 때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모듈러 유닛(100A)의 하부 네 모서리 부분에 체결된 체결판(107)과, 하부 모듈러 유닛(100B)의 상부 네 모서리 부분에 체결된 체결판(107)을 볼트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프레임 체결 구조는 적층된 모듈러 유닛의 체결판(107) 체결을 위해 고소차를 동원할 필요 없이 실내에서 간편하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프레임 체결 구조는 모듈러 유닛의 상부 또는 하부 네 모서리에 하우징(110)을 구성하고,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공간부(114)를 통해 작업자가 적층된 모듈러 유닛의 체결판(107)을 실내에서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4는 상부 모듈러 유닛과 하부 모듈러 유닛이 적층 체결되는 모서리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프레임 체결 구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러 유닛을 구성하는 수직 프레임(104)과 접하는 수평 프레임(101)의 단부에 하우징(110)을 체결하고, 이 하우징(110)이 각각 직각이 되도록 수직 프레임(104)과 용접 등의 수단으로 체결된다.
하우징(11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프레임(101)과 수직 프레임(104)의 H-빔과 동일한 규격의 H-빔을 소정 길이로 절단하여 몸체가 형성된 것으로서, 웹(111)의 양측에 공간부(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웹(111)을 중심으로 플랜지(112)에 체결공(113)이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113)은 체결판(107)의 체결공(108)을 통해 적층된 다른 모듈러 유닛의 체결판(107)과 나사 결합을 위한 것이다.
도 5와 같이 수평프레임(101)의 단부에 하우징(110)을 용접 등으로 체결하는데, 수평 프레임(101)의 플랜지(103)와 하우징(110)의 플랜지(112)가 동일한 평면이 되고, 수평 프레임(101)의 웹(102)과 하우징(110)의 웹(102)이 서로 수직 상태가 되도록 하우징(110)을 수평 프레임(101) 단부에 체결한다.
그리고 하우징(110)을 수직 프레임(104)에 체결하는데, 상부 모듈러 유닛(100A)은 수직 프레임(104)의 하부에 하우징(110)을 체결하고, 하부 모듈러 유닛(100B)은 수직 프레임(104)의 상부에 하우징(110)을 체결한다.
이때, 도 4 및 도 5와 같이, 수직 프레임(104)을 중심으로 각각의 하우징(110)이 서로 수직 방향이 되도록 체결되는데, 어느 한 하우징(110)은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 외면에 접하도록 체결하고, 다른 하우징(110)은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 측면 테두리에 접하도록 체결한다.
상부 모듈러 유닛(100A)의 하우징(110) 하부에 체결판(107)을 체결하고, 하부 모듈러 유닛(100B)의 하우징(110) 상부에 체결판(107)을 체결한다.
이때, 하우징(110)의 체결공(113)과 체결판(107)의 체결공(108)이 일치되도록 체결판(107)을 하우징(110)에 용접등의 수단으로 체결,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수평 프레임(101), 하우징(110) 및 수직 프레임(104)을 체결하면 도 4와 같이 하우징(110의 웹(111) 양측으로 공간부(114)가 형성되는데, 작업자는 모듈러 유닛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공간부(114)에 손을 넣어 상, 하부 모듈러 유닛(100A,100B)을 체결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상부 모듈러 유닛(100A)과 하부 모듈러 유닛(100B)을 적층한 후, 작업자는 실내에서 상부 모듈러 유닛(100A) 하부 하우징(110)의 공간부(114)에 형성된 체결공(113)에 볼트를 삽입하여 하부 모듈러 유닛(100B) 상부 하우징(110)의 공간부(114)까지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적층된 상,하부 모듈러 유닛(100A,100B)을 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수평 프레임(101)과 수직 프레임(104) 사이에서 수평 및 수직 프레임(101,104)과 용접 체결되는데, 수평 프레임(101)과 수직 프레임(104)이 직접 체결되는 것보다 강도가 낮아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7 및 도 8과 같이 하우징(110)에 보강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 면에 체결되는 하우징(110)은 도 7과 같이 플랜지(112)의 끝과 끝 부분에 제2 보강 플레이트(116)를 용접으로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체결된 제2 보강 플레이트(116)는 하우징(110)의 웹(111)과 평행하게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하우징(110)의 몸체 일면 즉, 플랜지(112)의 테두리와 웹(111)의 테두리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양면 중 어느 한 면에 제3 보강 플레이트(117)를 체결한다.
도 7과 같이 제2 보강 플레이트(116)와 제3 보강 플레이트(117)가 체결된 하우징(110)은 도 6과 같이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 면에 접하여 체결되는 하우징(110)이다.
수직 프레임(104)의 테두리에 접하여 체결되는 하우징(110)은 도 7의 하우징(110)과 같이 제3 보강 플레이트(117)가 동일하게 체결되고, 플랜지(112)의 테두리와 웹(111)의 테두리가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는 양면에 제3 보강 플레이트(117)가 체결되며, 상부 플랜지(112)가 연속되어 돌출되는 형태로 제1 보강 플레이트(115)가 더 체결되어 구성된다.
도 7의 하우징(110)을 수직 프레임(104)에 체결할 때는 도 6과 같이 제3 보강 플레이트(117)가 모듈러 외 측을 향하고, 제2 보강플레이트가 수평 프레임(101)을 향하도록 위치시켜 수평 프레임(101)과 용접으로 체결한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상, 하부 플랜지(112) 테두리가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 면에 접하도록 수직 프레임(104)과 용접으로 체결한다.
도 8의 하우징(110)을 수직 프레임(104)에 체결할 때는 도 6과 같이 제1 보강 플레이트(115)를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 사이에 삽입하여 제1 보강 플레이트(115) 테두리가 수직 프레임(104)의 웹(105)과 플랜지(106)에 접하도록 위치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1 보강 플레이트(115) 테두리를 수직 프레임(104)의 웹(105)과 플랜지(106)에 밀착시키면, 어느 한 제2 보강 플레이트(116)는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 테두리와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110)과 수직 프레임(104) 및 수평 프레임(101)을 용접으로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10)에 제1 보강 플레이트(115), 제2 보강 플레이트(116) 및 제3 보강 플레이트(117)를 구성함으로써, 하우징(110)이 수평 프레임(101)과 수직 프레임(104)과 용접 체결되는 면적이 늘어 강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9와 같이 상부 모듈러 유닛(100A)의 수직 프레임(104) 하부와, 하부 모듈러 유닛(100B)의 수직 프레임(104) 상부에 제1 외부 보강판(118)과 제2 외부 보강판(119)을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수직 프레임(104)에 제1 외부 보강판(118) 및 제2 외부 보강판(119)을 체결함으로써, 모듈러 프레임의 강도가 증대될 뿐만 아니라, 모듈러 외면에 마감패널 체결이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다.
모듈러 조립 후 수평 및 수직 프레임(101,104) 외면에 내화재를 뿜칠 하여 화재시 프레임의 강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데, 제1,2,3 보강 플레이트(115,116,117)가 없으면 뿜칠 되는 내화재에 의해 하우징(110)의 공간부(114) 내부에 형성된 체결공(113)과 체결판(107)의 체결공(108)이 뿜칠 되는 내화재에 막혀 체결이 어려워질 수 있다.
도 10과 같이 하우징(110)에 제1,2,3 보강 플레이트(115,116,117)를 구성함으로써, 뿜칠 되는 내화재가 체결공을 막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와 함께 프레임의 강도가 증가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우징(110)이 적용된 상부 모듈러 유닛(100A)의 하부 모서리 부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4와 같이, 하우징(110)의 공간부(114)가 모듈러 유닛의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1과 같이 하우징(110)의 공간부(114)가 모듈러 유닛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수평 프레임(101) 단부의 하우징(110)이 용접으로 체결되는데, 수평 프레임(101)의 플렌지(103) 양측단이 하우징(110)의 플랜지(11) 양측단에 체결된다.
그리고 2개의 하우징(110)이 수직 프레임(104)에 수직 방향이 되도록 용접으로 체결되는데, 어느 한 하우징(110)은 플랜지(112)와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가 평면 상태가 되도록 체결되고, 다른 하우징(110)은 플랜지(112)의 일측 테두리가 수직 프레임(104)의 어느 한 플랜지(106) 외면에 체결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10)을 수직 프레임(104)에 체결함으로써, 하우징(110)의 공간부(114)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때, 하우징(110)의 플랜지(112) 양 측단과 수평 프레임(101)의 플랜지(103) 양측단이 용접으로 체결되므로 체결 면적이 작아 체결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10)에 보강 플레이트를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10)의 플랜지(112) 단부에 웹(111)과 평행한 제2 보강 플레이트(116)를 용접으로체결하고, 상기 제2 보강 플레이트(116)를 수평 프레임(101)의 단부와 체결한다.
제2 보강 플레이트(116)의 일 면은 하우징(110)의 플랜지(112) 단부 테두리와 용접 체결되고, 제2 보강 블레이트(116)의 다른 면은 수평 프레임(101)의 웹(102) 및 플랜지(103) 단부와 용접 체결되므로 하우징(110)-수평 프레임(101) 간의 체결 강도가 높아진다.
그리고 어느 한 하우징(110)은 제2 보강 플레이트(116) 상단이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제1 보강 플레이트(115)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115)는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 사이로 삽입되어 플랜지(106) 및 웹(105)과 용접 체결된다.
또한, 도 13과 같이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115)가 체결된 수직 프레임(104) 반대 편에도 플랜지(106) 사이에 다른 제1 외부 보강판(118)이 삽입되어 플랜지(106) 및 웹(105)과 용접으로 체결되고, 이 제1 외부 보강판(118) 단부와 체결판(107) 사이에 제2 외부 보강판(119)이 체결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하우징(110)의 공간부(114)가 수직으로 형성되므로 상, 하부 모듈 유닛을 체결하기 위해 하우징(110)의 플랜지(112)에 구멍 형태의 체결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매우 간편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여러 층으로 다수 적층된 모듈러 유닛을 서로 체결하기 위해 고소차를 동원하여 작업자가 모듈러 외부에서 체결작업 할 필요없이 실내에서 하우징(110)의 공간부(114)에 손을 넣어 적층된 모듈러들을 체결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실내에서 하우징(110)의 공간부(114)에 형성된 체결공(113)에 볼트를 삽입하여 하부 모듈러 유닛(100B) 상부 하우징(110)의 공간부(114)까지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간편하게 적층된 상, 하부 모듈러 유닛(100A,100B)을 체결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A : 상부 모듈러 유닛
100B : 하부 모듈러 유닛
101 : 수평 프레임
102 : 웹
103 : 플랜지
104 : 수직 프레임
105 : 웹
106 : 플랜지
107 : 체결판
108 : 체결공
110 : 하우징
111 : 웹
112 : 플랜지
113 : 체결공
114 : 공간부
115 : 제1 보강 플레이트
116 : 제2 보강 플레이트
117 : 제3 보강 플레이트
118 : 제1 외부 보강판
119 : 제2 외부 보강판

Claims (10)

  1. H-빔을 소재로 하는 수평 프레임(101); 및 수직 프레임(104);
    수평 프레임(101)과 동일한 규격의 H-빔을 소정 길이로 절단된 형태로 성형된 것으로서, 수평 프레임(101)의 웹(102)과 수직 방향이 되도록 중앙에 수직의 웹(111)이 형성되고, 상기 웹(111)의 상, 하단에 각각 수평 프레임(101)의 플랜지(103)와 평평하게 연속되는 수평의 플랜지(112)가 형성되며, 모듈러의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개구된 공간부(114)를 구비하여 상기 수평 프레임(101)과 수직 프레임(104) 사이에 체결되는 하우징(110);
    수평 프레임(101)의 웹(102)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플랜지(112)에 천공된 체결공(113); 및
    체결공(108)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체결되는 체결판(10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모듈러 프레임 체결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은 수직 프레임(104)에서 이웃하는 하우징(110)과 서로 수직 되도록 체결되되,
    어느 한 하우징(110)은 웹(111)이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와 평행하면서 소정 간격 이격되고, 플랜지(112)의 테두리가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 면에 밀착되도록 체결되며,
    다른 하우징(110)은 웹(111)이 수직 프레임(104)의 웹(105)과 평행하면서 소정 간격 이격되고, 플랜지(112)의 테두리가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 테두리와 밀착되도록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모듈러 프레임 체결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외 측 방향에서 상부 플랜지(112)부터 하부 플랜지(112)까지 판 형태의 제3 보강 플레이트(117)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모듈러 프레임 체결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보강 플레이트(117)는 하우징(110)의 공간부(114) 외 측을 막아 폐색하도록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모듈러 프레임 체결구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웹(111)과 평행하도록 상, 하부 플랜지(112)의 테두리에 체결된 판 형태의 제2 보강 플레이트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모듈러 프레임 체결구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플랜지(112)와 동일 평면상으로 연장된 형태로 제1 보강 플레이트(115)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모듈러 프레임 체결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 플레이트(115)는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 사이로 삽입되어 단부가 수직 프레임(104)의 웹(105)과 접하여 체결되고,
    제1 보강 플레이트(115)의 양측은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와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모듈러 프레임 체결 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이 체결된 수직프레임(104)에는 양측이 수직 프레임(104)의 플랜지(106)에 체결되고, 선단 부는 수직 프레임의 웹(105)과 체결되는 제1 외부 보강판(118)이 체결되며,
    상기 제1 외부 보강판(118)이 절곡 연장된 형태로 양측이 플랜지(106)에 체결되고 하단은 체결판(107)에 체결된 제2 외부 보강판(11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모듈러 프레임 체결 구조.
KR1020200025666A 2020-02-29 2020-02-29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프레임 체결 구조 KR102344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666A KR102344569B1 (ko) 2020-02-29 2020-02-29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프레임 체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5666A KR102344569B1 (ko) 2020-02-29 2020-02-29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프레임 체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492A KR20210110492A (ko) 2021-09-08
KR102344569B1 true KR102344569B1 (ko) 2021-12-29

Family

ID=77787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666A KR102344569B1 (ko) 2020-02-29 2020-02-29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프레임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5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443B1 (ko) 2014-05-14 2015-07-07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
KR101878607B1 (ko) 2017-07-28 2018-07-13 한국토지주택공사 보 단부에 웨브 개구부를 갖는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모듈러 구조 시스템
KR101926532B1 (ko) 2018-09-05 2018-12-07 김일현 철골구조물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742B1 (ko) 2007-07-02 2009-08-31 강종구 조립식 건축용 모듈과 이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시공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381281B1 (ko) 2012-07-31 2014-04-14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고정브라켓-접합식 모듈러 건축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443B1 (ko) 2014-05-14 2015-07-07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변단면 천정보를 갖는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
KR101878607B1 (ko) 2017-07-28 2018-07-13 한국토지주택공사 보 단부에 웨브 개구부를 갖는 모듈러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내진 모듈러 구조 시스템
KR101926532B1 (ko) 2018-09-05 2018-12-07 김일현 철골구조물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0492A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115B1 (ko)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조립식 건축용 모듈러 유닛의 체결 구조
US8001740B2 (en) Ballistic and forced entry resistant construction
US20170268218A1 (en) Modular, transportable, insulated building, with water, and fire resistant floor, wall, and roof panel, pre-manufactured assemblies
US20120279141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and method
MX2011003007A (es) Sistema de construccion de unidades modulares.
US20090223153A1 (en) Modular building capable of being readily assembled
US20180148919A1 (en) Anchoring and attachment assembly for modular constructions
KR101730976B1 (ko) 가설 방음벽용 스마트 방음·방진 패널
KR101441255B1 (ko) 방폭패널, 방폭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방폭 조립식 구조체
US5321928A (en) Steel coffer for ceiling and/or wall structures of buildings, housing units, interior and exterior structures of ships
JP5356298B2 (ja) 建物ユニット
JP4583778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2344569B1 (ko)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프레임 체결 구조
US3755976A (en) Prestructured building and panels therefor
JP2005023665A (ja) ユニット式建物
KR102238507B1 (ko)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모듈러 건축물
KR101929219B1 (ko) 내진보강형 조립식 컨테이너
KR102181546B1 (ko)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건축물 외벽 체결 구조
KR102416941B1 (ko) 모듈러 프레임 체결구조
JP7178730B2 (ja) 躯体ユニット及び簡易構造物
JP6371144B2 (ja) ユニット式建物の外廊下施工方法
KR102249272B1 (ko) 가로모듈형 적층식 프리패브 수장벽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30172924A (ko) 너트 박스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용 모듈러 체결 구조
KR20050049015A (ko) 조립식 건축모듈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ES2581510T3 (es) Una estructura de pared y un método para fabricar una estructura de par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