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959B1 -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 Google Patents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959B1
KR101176959B1 KR1020090037604A KR20090037604A KR101176959B1 KR 101176959 B1 KR101176959 B1 KR 101176959B1 KR 1020090037604 A KR1020090037604 A KR 1020090037604A KR 20090037604 A KR20090037604 A KR 20090037604A KR 101176959 B1 KR101176959 B1 KR 101176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vanity
toilet
si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7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671A (ko
Inventor
임명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티에스이엔씨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티에스이엔씨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티에스이엔씨건축사사무소
Publication of KR2009011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2Wall mounted grab bars or handles, with or without support on the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면격벽(11), 상기 전면격벽(11)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측면격벽(22), 및 상기 측면격벽(22)을 연결하는 후면격벽(33)으로 구성되는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면격벽(11)의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변기(100); 상기 변기(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면대(200); 상기 세면대(20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400); 및, 상기 승하강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공간 창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면격벽, 전면격벽, 후면격벽, 출입문, 승하강부, 변기, 세면대, 화장대, 제어부

Description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compact toilet unit}
본 발명은 다양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한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변기, 세면대 등을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하고 승하강 조작을 통하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최소한의 공간만으로 화장실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일반적인 주택의 화장실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 세면대, 욕조, 화장대 등이 서로 다른 평면상에 배치되어 각자의 공간을 점유하게 된다.
따라서 변기나 세면대 등이 고정적으로 차지하는 점유공간과 함께 사용자가 각 설비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공간 및 각각의 설비를 사용하기 위한 작동공간이 필요하게 되고 공간 활용의 효율성이 저하된다.
그런데 대부분의 화장실 사용자들은 용변, 세면, 목욕 또는 화장 등의 용도 가운데 어느 한 가지만을 사용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목적으로 화장실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그 사용시간이 단계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따라서 2차원 평면상에서 기존의 화장실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세면대나 화장대와 같은 설비를 3차원 공간상에 적절히 배치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각 설비들을 이동배치할 수 있다면 화장실의 기능에 전혀 문제가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화장실은 사용자가 이용하지 않는 대부분의 시간에는 통상적으로 문이 닫힌 상태의 폐쇄된 공간으로 주거에 필요한 아무런 기능도 수행하지 못하게 되는데, 만약 화장실이 사용되지 않는 시간대에도 화장실의 공간을 주거에 필요한 공간의 일부로 활용할 수 있다면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으나, 현재까지 이러한 개념의 화장실은 제시된 바가 없다.
특히 원룸형 초소형 주택의 경우 공간 활용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게 요구되는데 하루 중 극히 짧은 시간 동안만 사용되는 화장실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면 적은 평수라도 보다 쾌적하고 여유로운 주거공간을 창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현실적 필요성에 따라 창작된 새로운 개념의 초소형 화장실로서 본 발명을 통하여 실현하고자 하는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변기, 세면대, 및 화장대를 동일한 평면상에 중첩적으로 배치하여 화장실이 차지하는 평면을 최소화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변기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 세면대와 화장대에 승하강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는 것을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화장실 공간의 일부를 주거에 필요한 통행로로 활용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승하강 수단이 구비된 세면대와 화장대에 물이나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화장실 청소 및 건조를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다섯째, 격벽으로 구분된 독립된 유니트 제품으로 제작하여 주택뿐만 아니라 항공기, 철도, 캠핑카 등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 다.
본 발명은 전면격벽(11), 상기 전면격벽(11)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측면격벽(22), 및 상기 측면격벽(22)을 연결하는 후면격벽(33)으로 구성되는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면격벽(11)의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변기(100); 상기 변기(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세면대(200); 상기 세면대(20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400); 및, 상기 승하강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기, 세면대, 및 화장대를 동일한 평면상에 중첩적으로 배치하여 화장실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변기(100) 위에 세면대(200)나 화장대(300) 등이 승하강식으로 중첩적으로 배치되어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한 높이로 이동시켜 동일한 공간 내에서 다양한 용무를 수행할 수 있어 화장실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변기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된 세면대와 화장대에 승하강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 새로운 공간을 창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500)에 의하여 자동 승하강되는 승하강부(400)를 구비하여 단순한 메뉴 선택만으로 사용 목적에 부합하는 공간을 창출하여 비록 화장실의 전체 면적은 축소되나 사용상 불편함은 없게 된다.
셋째, 화장실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대에는 화장실 공간의 일부를 주거에 필요한 통행로로 활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출입문(44)을 통하여 평상시에는 현관(77)과 거실 또는 침실(88)의 통로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다.
넷째, 승하강 수단이 구비된 세면대와 화장대에 물이나 압축공기를 분사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화장실 청소 및 건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분사노즐(610)의 높이와 분사방향에 따라 화장실 내부의 특정 부위를 향하여 물이나 압축공기가 분출되는데, 미리 특정 부위마다 세척이나 건조를 담당하는 분사노즐(610)을 설정하여 제어부(500)에 입력하고, 해당 부위 세척이나 건조를 위한 메뉴나 버튼을 선택하면 편리하게 특정 부위의 자동 세척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다섯째, 격벽으로 구분된 독립된 유니트 제품으로 제작하여 주택뿐만 아니라 항공기, 철도, 캠핑카 등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본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승하강부(400)가 케이블을 이용하는 경우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승하강부(400)가 랙과 피니언기어를 이용하는 경우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 서 승하강부(400)가 실린더를 이용하는 경우이다.
도6은 변기(100)를 사용하는 경우 세면대(200) 및 화장대(300)의 위치를 도시하고, 도7은 세면대(200)를 사용하는 경우의 세면대(200) 및 화장대(300)의 위치를 도시하고, 도8은 화장대(300)를 사용하는 경우 세면대(200)와 화장대(300)의 위치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격벽(11), 측면격벽(22) 및 후면격벽(33)으로 구성되는 유니트 내부에 변기(100), 세면대(200), 및 화장대(300)가 동일한 평면상에 입체적으로 배열되고, 사용 목적에 따라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200)와 화장대(300)의 수직 이동을 통하여 새로운 공간을 창출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변기(100)는 전면격벽(11) 아래 부분의 바닥면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변기(100)와 차이가 없다.
세면대(200)는 변기(100)의 상부에 위치하는데, 승하강부(400)에 의하여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변기(100)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면대(200)를 수직 상승시켜 변기(100)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하고, 세면대(200)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에 편리한 높이로 세면대(200)를 이동시킨다.
세면대(200)는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수관(s) 및 하수관과 연결되는 연질의 배관이 구비되어 세면대(200)의 수직 이동 및 사용에 문제가 없도록 한다.
세면대(200) 상부에는 화장대(3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데, 화장대(300)를 사용할 경우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대(300)를 하강시켜 사용한다.
또한 첨부도면에는 별도로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승하강식 씽크대(700)를 세면대(200)와 화장대(300) 사이에 설치할 수도 있으며, 씽크대(700)도 상수관(s) 및 하수관과 연결되는 연질의 배관이 구비된다.
세면대(200)나 씽크대(700)에 구비되는 배관은 수직 이동시 방해가 되지 않는 공간 상에 적절히 배치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세면대(200) 또는 씽크대(700)에 공급되는 물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격벽(11)에 매설된 매설형수도꼭지(56)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전면격벽(11)에 구비된 수납장(99)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매설형수도꼭지(56)를 사용할 경우 상수관(s)에서 화장대(300)나 씽크대(700)로 연결되는 배관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세면대(200), 화장대(300), 및 씽크대(700)는 제어부(500)에 의하여 작동되는 승하강부(400)에 의하여 수직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세면대(200), 화장대(300), 및 씽크대(700)는 설치되는 상하 순서가 반드시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며 상하 순서를 달리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첨부도면과는 달리 세면대(200)과 화장대(300)보다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고, 씽크대(700)의 상하 위치도 반드시 세면대(200)와 화장대(300) 사이가 아니라 세면대(200) 하부나 화장대(300) 상부에 위치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독서나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대(책상의 상판과 유사한 구조)와 같이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성품이 추가될 수 있다.
출입문(44)은 도9 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격벽(22) 각각에 출입문(44)이 구비되어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후면격벽(33)에는 샤워기(66)가 구비되고, 측면격벽(22) 각각에 구비된 출입문(44)을 화장실 내측으로 열게 되면 2개의 출입문(44)이 격벽을 형성하여 출입문(44)과 후면격벽(33) 및 양측 측면격벽(22)의 일부가 샤워실(66)을 형성하게 된다.
출입문(44)을 개방하는 경우 화장실 공간을 주거에 필요한 통로로 사용할 수 있어 도9 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관(77)과 거실 또는 침실(88) 사이에 화장실을 배치하는 경우 화장실을 통과하여 거실 또는 침실(88)로 출입할 수 있어 평상시에도 화장실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물론 변기(100)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출입문(44)은 자유롭게 닫을 수도 있다.
첨부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출입문(44)의 일측은 전실 없이 현관문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세면대(200) 및 화장대(300) 각각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610)이 구비된다.
씽크대(700)가 추가되는 경우에는 씽크대(700)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도 분사노즐(610)이 구비될 수 있다.
분사노즐(610)은 물이나 압축공기를 분사하여 화장실 내부를 세척하거나 건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분사노즐(610)에는 다수 개의 분기관(670)이 연결된다.
분배기(680)는 이러한 분기관(670)이 하나로 만나는 곳에 설치되며 개폐용 밸브가 구비되어 분기관(670)으로 통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어부(500)를 이용하여 분배기(680)를 조작하면 특정 분기관(670)으로만 경로가 개방되도록 조절하여 특정 분사노즐(610)을 통해서만 물이나 압축공기가 분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분사노즐(610)의 높이와 분사방향에 따라 화장실 내부의 특정 부위(예를 들어 내부벽면, 바닥면, 거울, 변기 등)를 향하여 물이나 압축공기가 분출되는데, 미리 특정 부위마다 세척이나 건조를 담당하는 분사노즐(610)을 설정하여 제어부(500)에 입력하면 편리하게 특정 부위의 세척이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울을 세척하고 싶으면 제어부(500)에서 거울세척을 선택하면 이에 따라 해당 분사노즐(610)이 미리 설정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세면대(200)나 화장대(300)가 특정 높이로 자동적으로 승하강하고 분배기(680)가 해당 분사노즐(610)로 연결되는 분기관(670)만 개방하여 거울을 세척하게 된다.
노즐배관(620)의 일측 단부는 분배기(68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수관(s)에 연결되는데, 연질의 배관으로 제작되어 승하강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물이 분출되는 경로 상에 오존발생기를 추가 설치하는 경우 오존수를 세척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압축공기관(640)은 천장면이나 바닥면, 또는 상기 전면격벽(11)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에어컴프레셔(630)에서 생성된 압축공기 또는 공동주택의 관리시설에서 각 세대로 공급하는 압축공기의 공급통로가 되는 연질의 연질의 배관이다.
압축공기는 연질의 압축공기관(640)을 통과하여 노즐배관(620)과 만나고, 노즐배관(620)을 통과한 후 분사노즐(610)로 분출된다.
솔레노이드밸브(650)는 압축공기관(640)과 노즐배관(620)이 연결되는 부위에 부착되고 제어부(500)의 작동에 의하여 분사노즐(610)과 에어컴프레셔(630)를 연결하는 경로를 개방하거나, 또는 분사노즐(610)과 상수관(s)을 연결하는 경로를 개방하는 것을 선택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물세척을 하는 경우에는 제어부(500)의 작동에 의하여 솔레노이드밸브(650)가 분사노즐(610)과 상수관(s)을 연결하는 경로를 개방하고 분사노즐(610)과 압축공기관(640)을 연결하는 경로는 차단하며, 압축공기를 이용한 건조를 하는 경우에는 분사노즐(610)과 에어컴프레셔(630)를 연결하는 경로(다시 말하면 분사노즐(610)과 압축공기관(640)을 연결하는 통로)를 개방하고 상수관(s)과 분사노즐(610)을 연결하는 경로는 차단한다.
따라서 동일한 분사노즐(610)을 통하여 압축공기 또는 물을 선택적으로 분사하게 된다.
평상시에는 상수관(s)과 분사노즐(610)을 연결하는 통로를 차단하여 물이 분사노즐(610)을 통하여 분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화장실 건조가 필 요한 경우에는 제어부(500)를 이용하여 에어컴프레셔(630)만 작동시키면 분사노즐(610)을 통하여 압축공기가 분사되고, 화장실 물세척이 필요한 경우에는 에어컴프레셔(630)는 작동시키지 않고 솔레노이드밸브(650)를 작동시켜 상수관(s)과 연결되는 통로를 개방하면 된다.
압축공기의 경우에도 물이 분출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분배기(680)의 제어를 통하여 특정 분사노즐(610)로만 압축공기가 분출되도록 하여 특정 부위의 건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세면대(200)나 화장대(300)의 하부면이나 측면 일측에 자외선램프(660)를 추가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 자외선 살균도 가능하다.
승하강부(400)는 세면대(200)와 씽크대(700), 및 화장대(300)를 수직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도2에는 케이블을 이용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제1모터(410)는 천장면 또는 전면격벽(1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부(500)에 의하여 작동되어 세면대(200)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한다.
제2모터(420)도 천장면 또는 전면격벽(1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부(500)에 의하여 작동되어 화장대(300)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한다.
만약 씽크대(700)가 추가되는 경우에는 씽크대(700)를 이동시키는 별도의 모터가 필요할 것이다.
제1스풀(411)에는 제1인양케이블(412)이 감기며, 제1모터(410)의 회전축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필요한 경우 제1모터(410)와 제1스풀(411) 사이에 변속 기어부가 추가될 수 있다.
제1스풀(411)에 감기는 제1인양케이블(412)의 하단부는 세면대(200)에 결합된다.
즉 제1인양케이블(412)이 감기는 방향으로 제1스풀(411)이 회전하면 세면대(200)는 상승하고 제1인양케이블(412)이 풀리는 방향으로 제1스풀(411)이 회전하면 세면대(200)는 하강하게 된다.
제2스풀(421)에는 제2인양케이블(422)이 감기며, 제2모터(420)의 회전축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필요한 경우 제2모터(420)와 제2스풀(421) 사이에 변속기어부가 추가될 수 있다.
제2스풀(421)에 감기는 제2인양케이블(422)의 하단부는 화장대(300)에 결합된다.
즉 제2인양케이블(422)이 감기는 방향으로 제2스풀(421)이 회전하면 화장대(300)는 상승하고 제2인양케이블(422)이 풀리는 방향으로 제2스풀(421)이 회전하면 화장대(300)는 하강하게 된다.
세면대(200) 및 화장대(300)는 각각에는 전면격벽(11)을 향하여 돌출된 가이드돌출부(450)가 구비되고, 전면격벽(11)에는 가이드돌출부(450)를 수용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홈부(460)가 구비되어 보다 안정적인 승하강이 가능하다.
가이드돌출부(450)은 세면대(200) 및 화장대(300) 각각의 양측면에서 측면격벽(22)을 향하여 돌출될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에는 측면격벽(22) 각각에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홈부(460)이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홈부(460)가 세면대(200) 및 화장대(300)에 설치되고 가이드돌출부(450)가 전면격벽(11) 또는 후면격벽(22)에 구비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에도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도3에는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는 승하강부(400)가 도시되어 있다.
제1모터(410)는 전면격벽(11)을 향하는 세면대(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부(500)에 의하여 작동되고, 제1피니언기어(415)는 제1모터(410)의 회전축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필요한 경우 제1피니언기어(415)와 제1모터(410) 사이에 변속기어부가 추가될 수 있다.
제1랙기어(416)는 전면격벽(11)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제1피니언기어(415)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제1피니언기어(415)의 회전에 따라 세면대(200)가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제2모터(420)는 전면격벽(11)을 향하는 화장대(3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어부(500)에 의하여 작동되고, 제2피니언기어(425)는 제2모터(420)의 회전축에 연동되어 회전한다.
필요한 경우 제2피니언기어(425)와 제2모터(420) 사이에 변속기어부가 추가될 수 있다.
제2랙기어(426)는 전면격벽(11)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제2피니언기 어(425)가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제2피니언기어(425)의 회전에 따라 화장대(300)가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세면대(200) 및 화장대(300)는 각각 전면격벽(11)을 향하여 돌출된 가이드돌출부(450)가 구비되고, 전면격벽(11)에는 가이드돌출부(450)를 수용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홈부(460)가 구비되어 있어 보다 안정적인 승하강이 가능하다.
도11에는 제1모터(410)가 측면격벽(22)을 향하는 세면대(2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제1랙기어(416)이 측면격벽(22)에 설치되며, 제2모터(420)가 측면격벽(22)을 향하는 화장대(3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제2랙기어(426)가 측면격벽(22)에 설치되며, 가이드돌출부(450)가 세면대(200) 및 화장대(300) 각각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가이드홈부(460)도 측면격벽(22)에 구비되고, 전면격벽(11)에는 수납장(99)이 구비된 경우를 도시하는데, 기본적인 기술적 구성이나 작용은 도3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4에는 실린더를 이용한 승하강부(400)가 도시되어 있다.
제1실린더(430)는 바닥면과 세면대(200)의 하부면 사이에 설치되며 제어부(500)에 의하여 세면대(200)를 지지하는 피스톤을 신축시키고, 이에 의하여 세면대(200)가 승하강하게 된다.
제2실린더(440)는 바닥면과 화장대(300)의 하부면 사이에 세면대(20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치되며 제어부(500)에 의하여 화장대(300)를 지지하는 피스톤을 신축시키고, 이에 의하여 화장대(300)가 승하강하게 된다.
제1실린더(430)나 제2실린더(440)는 유압, 공압, 수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기존에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는 다양한 규격의 제품 가운데 적절한 것을 선택하면 된다.
세면대(200) 및 화장대(300)는 각각 전면격벽(11)을 향하여 돌출된 가이드돌출부(450)가 구비되고, 전면격벽(11)에는 가이드돌출부(450)를 수용하도록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홈부(460)가 구비되어 있어 보다 안정적인 승하강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도 가이드돌출부(450)가 세면대(200) 및 화장대(300) 각각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측면격벽(22)에 가이드홈부(460)가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500)는 스위치 조작 방식, 리모콘 조작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데, 구체적으로 승하강부(400)의 작동, 솔레노이드밸브(650)의 작동, 에어컴프레셔(63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데, 데이터 입력에 필요한 터치스크린이나 키패드가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제어부(500)는 음성인식모듈이 내장되어 음성으로 조작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신체 특성을 고려하여 화장대(300)나 세면대(200)의 높이를 미리 설정하여 제어부(500)에 입력해 두고, 사용시에는 단순히 화장대 사용 또는 세면대 사용이라는 선택(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메뉴 선택 또는 구비된 선택 버튼을 선택하거나 음성명령을 통한 선택)만 하면 자동적으로 미리 입력된 높이로 화장대(300)나 세면대(200)가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화장대(300)나 세면 대(200) 등에는 엘리베이터나 고가사다리차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장치와 유사한 장치가 추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1은 종래의 화장실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승하강부(400)가 케이블을 이용하는 경우인데, 가이드홈부(460)와 가이드돌출부(450)의 단면 형태도 함께 도시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승하강부(400)가 랙과 피니언기어를 이용하는 경우인데, 가이드홈부(460)와 가이드돌출부(450)의 단면 형태도 함께 도시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구체적 실시예로서 승하강부(400)가 실린더를 이용하는 경우인데, 가이드홈부(460)와 가이드돌출부(450)의 단면 형태도 함께 도시된다.
도5는 분사노즐(610), 노즐배관(620), 압축공기관(640), 솔레노이드밸브(650), 에어컴프레셔(630), 및 제어부(500)의 연결관계를 도시한다.
도6은 변기(100)를 사용하는 경우 세면대(200) 및 화장대(300)의 수직 위치를 도시한다.
도7은 세면대(200)를 사용하는 경우의 세면대(200) 및 화장대(300)의 수직 위치를 도시한다.
도8은 화장대(300)를 사용하는 경우 세면대(200)와 화장대(300)의 수직 위치를 도시한다.
도9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11은 제1모터(410)가 측면격벽(22)을 향하는 세면대(2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제1랙기어(416)이 측면격벽(22)에 설치되며, 제2모터(420)가 측면격벽(22)을 향하는 화장대(3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제2랙기어(426)가 측면격벽(22)에 설치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12은 매설형수도꼭지(56)를 도시한다.
도1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소형주택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전면격벽
22:측면격벽
33:후면격벽
44:출입문
55:샤워기
56:매설형수도꼭지
66:샤워실
77:현관
88:거실 또는 침실
99:수납장
100:변기
200:세면대
300:화장대
400:승하강부
410:제1모터
411:제1스풀(spool)
412:제1인양케이블
415:제1피니언기어
416:제1랙기어
420:제2모터
421:제2스풀(spool)
422:제2인양케이블
425:제2피니언기어
426:제2랙기어
430:제1실린더
440:제2실린더
450:가이드돌출부
460:가이드홈부
500:제어부
610:분사노즐
620:노즐배관
630:에어컴프레셔
640:압축공기관
650:솔레노이드밸브
660:자외선램프
670:분기관
680:분배기
700:씽크대
s:상수관

Claims (14)

  1. 전면격벽(11), 상기 전면격벽(11)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측면격벽(22), 및 상기 측면격벽(22)을 연결하는 후면격벽(33)으로 구성되는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전면격벽(11)의 하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변기(100);
    상기 변기(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승하강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수관과 연결되는 연질의 배관이 구비된 세면대(200);
    상기 세면대(200)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400);
    상기 승하강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 및,
    상기 측면격벽(22) 각각에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출입문(44);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출입문(44)을 모두 개방하는 경우 화장실 유니트를 가로지르는 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2. 제1항에서,
    상기 세면대(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승하강부(400)에 의하여 승하강되는 화장대(3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3. 삭제
  4. 제2항에서,
    상기 세면대(200) 및 화장대(300) 각각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분사노즐(610);
    상기 분사노즐(610)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분기관(670);
    상기 분기관(670)으로 통하는 경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분배기(680);
    일측 단부는 상기 분배기(680)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수관(s)에 연결되는 연질의 노즐배관(62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5. 제4항에서,
    천장면이나 바닥면, 또는 상기 전면격벽(11)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에어컴프레셔(630)에서 생성된 압축공기 또는 공동주택의 관리시설에서 각 세대로 공급하는 압축공기의 공급통로가 되는 연질의 압축공기관(640); 및,
    상기 압축공기관(640)과 상기 노즐배관(620)이 연결되는 부위에 부착되고 상기 제어부(50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분사노즐(610)과 상기 에어컴프레셔(630)를 연결하는 경로를 개방하거나, 또는 상기 분사노즐(610)과 상수관(s)을 연결하는 경로를 개방하는 것을 선택하는 솔레노이드밸브(650);
    를 더 포함하여 상기 분사노즐(610)을 통하여 압축공기 또는 물을 선택적으 로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승하강부(400)는,
    천장면 또는 상기 전면격벽(1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세면대(200)를 승하강시키는 제1모터(410);
    천장면 또는 상기 전면격벽(1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 화장대(300)를 승하강시키는 제2모터(420);
    상기 제1모터(410)의 회전축에 연동하는 제1스풀(411);
    상기 제2모터(420)의 회전축에 연동하는 제2스풀(421);
    상기 제1스풀(411)에 감기고 하단부가 상기 세면대(200)에 연결되는 제1인양케이블(412); 및,
    상기 제2스풀(421)에 감기고 하단부가 상기 화장대(300)에 연결되는 제2인양케이블(422);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면대(200) 및 상기 화장대(300)는 각각 상기 전면격벽(11) 또는 측면격벽(22)을 향하여 돌출된 가이드돌출부(450)가 구비되고,
    상기 전면격벽(11) 또는 상기 측면격벽(22)에는 상기 가이드돌출부(450)를 수용하도록 상기 가이드돌출부(450)와 대응하는 위치 및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홈부(4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승하강부(400)는,
    상기 전면격벽(11) 또는 상기 측면격벽(22)을 향하는 상기 세면대(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1모터(410);
    상기 제1모터(410)의 회전축에 연동되는 제1피니언기어(415);
    상기 전면격벽(11) 또는 상기 측면격벽(22)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피니언기어(415)가 맞물리는 제1랙기어(416);
    상기 전면격벽(11) 또는 상기 측면격벽(22)을 향하는 상기 화장대(3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2모터(420);
    상기 제2모터(420)의 회전축에 연동되는 제2피니언기어(425); 및,
    상기 전면격벽(11) 또는 상기 측면격벽(22)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피니언기어(425)가 맞물리는 제2랙기어(426);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면대(200) 및 상기 화장대(300)는 각각 상기 전면격벽(11) 또는 상기 측면격벽(22)을 향하여 돌출된 가이드돌출부(450)가 구비되고,
    상기 전면격벽(11) 또는 상기 측면격벽(22)에는 상기 가이드돌출부(450)를 수용하도록 상기 가이드돌출부(450)과 대응하는 위치 및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홈부(4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승하강부(400)는,
    바닥면과 상기 세면대(200)의 하부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에 의하여 상기 세면대(200)를 지지하는 피스톤을 신축시키는 제1실린더(430); 및,
    바닥면과 상기 화장대(300)의 하부면 사이에 상기 세면대(200)와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500)에 의하여 상기 화장대(300)를 지지하는 피스톤을 신축시키는 제2실린더(44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세면대(200) 및 상기 화장대(300)는 각각 상기 전면격벽(11) 또는 상기 측면격벽(22)을 향하여 돌출된 가이드돌출부(450)가 구비되고,
    상기 전면격벽(11) 또는 상기 측면격벽(22)에는 상기 가이드돌출부(450)를 수용하도록 상기 가이드돌출부(450)와 대응하는 위치 및 형태로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가이드홈부(46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후면격벽(33)에는 샤워기(66)가 구비되되,
    상기 측면격벽(22) 각각에 구비된 상기 출입문(44)을 화장실 내측으로 열게 되면 2개의 상기 출입문(44)이 격벽을 형성하여 상기 출입문(44)과 상기 후면격벽(33) 및 상기 측면격벽(22)의 일부가 샤워실(6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화장대와 상기 세면대(20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상기 승하강부(400)에 의하여 승하강되고 하수관과 연결되는 연질의 배관이 구비된 씽크대(70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11. 제5항에서,
    상기 제어부(500)는 음성인식기능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음성으로 조작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12.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세면대(200)나 상기 화장대(300)의 측면 또는 하부면에 구비되는 자외선램프(66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13. 삭제
  14. 삭제
KR1020090037604A 2008-05-01 2009-04-29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KR1011769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957 2008-05-01
KR20080040957 2008-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671A KR20090115671A (ko) 2009-11-05
KR101176959B1 true KR101176959B1 (ko) 2012-08-30

Family

ID=4155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7604A KR101176959B1 (ko) 2008-05-01 2009-04-29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9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721A (ja) 1997-09-02 1999-03-26 Hiroaki Kikuchi ユニットトイレとユニットバス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1721A (ja) 1997-09-02 1999-03-26 Hiroaki Kikuchi ユニットトイレとユニットバ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671A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5007A1 (en) Sink cabinet apparatus
US2396992A (en) Bathroom unit
EP3759286B1 (en) Prefabricated sanitary modular kit
KR101176959B1 (ko) 초소형 화장실 유니트
WO2020125269A1 (zh) 旋转移动一体柜
US5628075A (en) Portable vertically adjustable lavatory assembly
WO2020125268A1 (zh) 升降移动一体柜
JP2007315047A (ja) 間仕切り構造
KR101154821B1 (ko) 야외화장실
JP4859306B2 (ja) 建物の洗面所
JP2016125298A (ja) 衛生設備付き多機能家具
CN103147498A (zh) 一种带自动伸缩马桶淋浴间洗漱柜
JP5328587B2 (ja) サニタリーユニット
JP7302490B2 (ja) 洗面台
JP2009068222A (ja) 建物
CN111101560A (zh) 一种智慧式多功能洁浴自动一体机
KR100756541B1 (ko) 공동주택의 화장실 구조
KR100993067B1 (ko)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JP4547720B2 (ja) 洗面所用防水床
JP4072714B2 (ja) 洗面所用防水床
JP2008013966A (ja) 浴室構造
KR100921956B1 (ko) 초소형 주택
JP4958027B1 (ja) トイレ・シャワー室ユニット
JPH0670687U (ja) 洗濯機内蔵洗面化粧台
JPH0343572A (ja) 衛生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