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472B1 - 분배기용 연결소켓 - Google Patents

분배기용 연결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472B1
KR101176472B1 KR1020120007463A KR20120007463A KR101176472B1 KR 101176472 B1 KR101176472 B1 KR 101176472B1 KR 1020120007463 A KR1020120007463 A KR 1020120007463A KR 20120007463 A KR20120007463 A KR 20120007463A KR 101176472 B1 KR101176472 B1 KR 101176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or
packing
passage
annular groove
connection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원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원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원이엔지
Priority to KR1020120007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4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패킹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고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분배기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연결소켓으로써, 연결 부재를 체결할 때 패킹이 뒤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압착시켜 기밀을 유지하고, 온수가 통과하는 분배기에 사용하여도 융착면으로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분배기용 연결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용 연결소켓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통로가 형성된 몸체와, 통로의 일측에 통로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부와, 체결부와 통로의 연결 계단면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환상 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분배기용 연결소켓{CONNECTING SOCKET FOR DISTRIBUTOR}
본 발명은 분배기용 연결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패킹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고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분배기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연결소켓으로써, 연결 부재를 체결할 때 패킹이 뒤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압착시켜 기밀을 유지하고, 온수가 통과하는 분배기에 사용하여도 융착면으로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분배기용 연결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배기는 온수 분배기와 냉수 분배기로 구분된다. 온수 분배기는 보일러에서 가열된 온수를 주택의 각 방, 주방 및 욕실 등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합성수지로 제조되거나 금속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온수 분배기는, 양단이 밀폐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외주면에 복수의 연결관을 구비한다.
종래 합성수지로 제조된 온수 분배기는 연결관의 내주면에 암나사가 성형된 상태로 일체로 제조된다. 따라서 강도가 약한 연결관에 금속으로 제조된 연결 부재를 체결할 경우 암나사가 손상되면서 나사결합되기 때문에 결합된 면에 틈이 생기고, 이 틈으로 누수현상이 발생된다. 금속으로 제조된 온수 분배기는 분배기의 몸체를 금속으로 제작한 후 금속으로 제작된 연결관을 분배기의 몸체에 아르곤용접이나 전기용접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상승된다. 또한, 분배기의 몸체와 연결관의 용접된 부위가 취약하여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합성수지로 제조된 온수 분배기나 금속으로 제조된 온수 분배기는, 연결 부재에 테프론 테이프를 감아 체결한다. 그러나, 작업자에 따라 테프론 테이프를 임의적으로 감아 사용하기 때문에 테프론 테이프를 많이 감을 경우 체결성이 떨어지고, 테프론 테이프를 덜 감을 경우 기밀성이 떨어진다. 또한, 연결 부재를 체결할 경우 테프론 테이프가 분배기의 내부 공간까지 밀려서 온수와 함께 배관으로 순환되기 때문에 배관이 막히고, 테프론 테이프가 분해되어 온수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링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조립할 때 정확한 위치에 밀착되지 못하고 뒤틀려서 유체의 통로를 차단하거나 밀착면적이 작아 기밀성이 떨어진다. 또한, 온수 분배기의 연결관에 연결 부재를 체결할 때 스패너, 몽키, 플라이어 등의 공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온수 분배기는 주방의 싱크대 밑이나 보일러실 등의 좁은 공간에 주로 설치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조립하고 분해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결소켓은 내부에 탄성을 갖는 패킹을 수용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패킹은 연결 부재가 체결될 때 연결소켓의 정확한 위치에 압착되고, 압착된 패킹의 탄성력에 의해 연결소켓과 연결 부재의 나사결합 부분을 더욱 밀착시켜 뛰어난 기밀성을 유지하는 분배기용 연결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강도가 강하고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연결소켓을 합성수지로 제조된 분배기의 연결관에 인서트 사출 성형하기 때문에 연결 부재를 체결하여도 연결소켓의 암나사가 손상되지 않고, 분배기와 연결소켓은 열팽창계수가 유사하여 온수가 통과하는 분배기에 사용하여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분배기용 연결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통로가 형성된 몸체와, 통로의 일측에 통로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부와, 체결부와 통로의 연결 계단면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환상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용 연결소켓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상 홈은 통로와 인접한 내주면 끝단에 테이퍼 면을 구비하고, 몸체는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Glass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상 홈에 설치되는 패킹을 포함하며, 패킹은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는 유체 통로가 형성되고, 환상 홈과 마주보는 일단에 몸체 내부에 위치하는 통로의 단부를 수용하는 안착부를 구비한다. 또한, 패킹은 니트릴부타디엔러버(NITRILE BUTADIENE RUBBER : NBR)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분배기의 연결관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는 연결소켓은 내부에 패킹을 수용하는 홈을 구비한다. 따라서 연결 부재를 체결할 때 패킹이 뒤틀리지 않고 연결소켓의 정확한 위치에 압착되기 때문에 시공이 우수하다. 또한, 압착된 패킹은 탄성력에 의해 연결 부재를 외부로 밀면서 연결 부재와 연결소켓의 체결부분을 더욱 밀착시켜 기밀성은 향상되고 누수현상은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소켓은 분배기와 열팽창계수가 유사하고 강도가 높은 합성수지로 제조된다. 따라서 반복적으로 연결 부재를 체결하여도 연결소켓의 암나사가 손상되지 않고, 고온에서 저온으로 반복해서 온도가 변하여도 융착면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분배기는 합성수지로 제조된 연결소켓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배기에 연결되는 다량의 연결 부재에 매번 테프론 테이프를 감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테프론 테이프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연결 부재의 체결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 시공 및 작업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별도의 공구 없이 연결 부재를 연결소켓에 체결하여도 패킹이 안정적으로 밀착되기 때문에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용 연결소켓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배기용 연결소켓에 설치되는 패킹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용 연결소켓이 설치된 분배기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용 연결소켓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분배기용 연결소켓(100)인 몸체(111)는 원통 형상으로써,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관통된 통로(112)를 구비한다. 체결부(113)는, 통로(112)의 일측에 통로(11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내주면 둘레를 따라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환상 홈(114)은, 패킹의 일부가 수용되도록 체결부(113)의 내부 끝단에 구비한다. 즉, 체결부(113)와 통로(112)의 연결 계단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통로(112)와 동일 반경을 갖고 몸체(111)의 일단 방향으로 일정 깊이함몰되어 있다. 테이퍼 면(115)은, 패킹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환상 홈(114)에 삽입되도록 통로(112)와 인접한 내주면 끝단에 구비한다.
걸림턱(116)은 몸체(111)의 타단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외경은 몸체(111) 보다 크다. 본 발명에서는 걸림턱(116)이 몸체(111)의 타단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일단 외주면이나 단부에 형성되어 분배기와 분리되지 않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됨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배기용 연결소켓(100)에 사용되는 패킹(120)의 단면도이다. 패킹(120)은 유체 통로(121)와 안착부(122)를 포함한다. 유체 통로(121)는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관통되고, 연결소켓(100)의 통로(112)와 연통된다. 안착부(122)는 패킹(12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소정 깊이 함몰된 부분으로, 유체 통로(121)의 내경보다 크다. 패킹(120)은 안착부(122)가 형성된 부분이 몸체(111)의 내부에 형성된 환상 홈(114)에 끼워져 압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소켓(100)인 몸체(111)는, 금속의 밸브와 안정적으로 체결되고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강도, 내마모성, 내열성 및 고온 내압성이 우수한 재질인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Glass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은 일명 PP롱글라스라고 하며, 유리섬유를 30 내지 50 중량% 포함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패킹(120)은 연결 부재를 체결할 때 손상되지 않도록 표면이 매끄러우며 탄성력, 내열, 내약품성, 내마모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니트릴부타디엔러버(NITRILE BUTADIENE RUBBER : NBR)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분배기 조립체(10)는 한 쌍의 측판(11, 12) 사이의 상부와 하부에 간격을 두고 제1 분배기(13)와 제2 분배기(1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분배기(13)는 외주면 하부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연결관(13a)을 구비한다. 연결관(13a)에 각각 연결소켓(100)이 인서트 사출 성형되고, 연결소켓(100)에 연결 부재인 밸브(15)가 결합된다. 또한, 제2 분배기(14)는 제1 분배기(13)의 하부에 위치하고, 복수의 연결관(미도시 됨)에 각각 연결소켓(100)이 인서트 사출 성형되고, 연결소켓(100)에 연결 부재인 관이음(16)이 나사결합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소켓(100)은 제1 분배기(13)의 연결관(13a)에 인서트 사출 성형된다. 이때, 연결소켓(100)인 몸체(111)의 타측은 연결관(13a)의 내부에 배치되고, 체결부(113)가 형성된 일측은 밸브(15)와 체결되도록 연결관(13a)의 개방된 단부에 위치한다. 걸림턱(116)은, 연결소켓(100)이 연결관(13a)에 인서트 사출 성형 시 뒤틀림 없이 정확한 위치에 성형되도록 분배기(13)의 연결관(13a) 단부와 밀착된다.
다음으로, 패킹(120)은 연결소켓(100)의 체결부(113)에 삽입한다. 삽입된 패킹(120)은 일단이 환상 홈(114)에 수용되고, 안착부(122)가 몸체(111) 내부에 위치하는 통로(111)를 수용한다. 이때, 통로(111)의 단부 외주면에 테이퍼 면(115)이 형성되어 있어서, 패킹(120)의 안착부(122)가 용이하게 삽입된다. 패킹(120)을 삽입한 후 밸브(15)의 수나사가 형성된 부분을 연결소켓(100)의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부(113)에 나사결합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보일러에서 가열되고 분배기를 통해 공급되는 온수는, 분배기용 연결소켓(100)의 통로(112)를 통과하여 패킹(120)의 유체 통로(121) 및 체결부(113)에 결합되는 밸브(15)를 지나 각 방, 주방, 욕실 등으로 공급된다. 이때, 패킹(120)의 안착부(122) 내부와 몸체(111)의 내부에 위치하는 통로(112) 외주면이 밀착되고, 패킹(120)의 일단이 환상 홈(114)에 밀착된다. 따라서 패킹(120)은 몸체(111) 내부와 넓은 면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여도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압착된 패킹(120)은 탄성력에 의해 밸브(15)를 외부로 밀면서 밸브(15)의 수나사와 연결소켓(100)의 암나사가 나사결합된 부분을 더욱 밀착시켜 기밀성은 향상되고 누수현상은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밸브(15)를 연결소켓(100)에 체결하여도, 패킹(120)이 연결소켓(110)의 내부에 충분히 압착되기 때문에 누수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연결소켓(100)에 밸브(15)를 체결하는 작업이 용이하고 시공이 우수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0 : 연결소켓 111 : 몸체
112 : 통로 113 : 체결부
114 : 환상 홈 115 : 테이퍼 면
116 : 걸림턱 120 : 패킹
121 : 유체 통로 122 : 안착부

Claims (5)

  1.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통로(112)가 형성된 몸체(111)와,
    상기 통로(112)의 일측에 상기 통로(112)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체결부(113)와,
    상기 체결부(113)와 상기 통로(112)의 연결 계단면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환상 홈(114)과,
    상기 환상 홈(114)에 설치되는 패킹(120)을 포함하며,
    상기 패킹(120)은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는 유체 통로(121)가 형성되고, 상기 환상 홈(114)과 마주보는 일단에 상기 몸체(111)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통로(112)의 단부를 수용하는 안착부(1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용 연결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홈(114)은 상기 통로(112)와 인접한 내주면 끝단에 테이퍼 면(11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용 연결소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1)는 유리섬유강화 폴리프로필렌(Glass Fiber Reinforced Polypropylene)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용 연결소켓.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120)은 니트릴부타디엔러버(NITRILE BUTADIENE RUBBER : NBR)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기용 연결소켓.
KR1020120007463A 2012-01-26 2012-01-26 분배기용 연결소켓 KR101176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463A KR101176472B1 (ko) 2012-01-26 2012-01-26 분배기용 연결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463A KR101176472B1 (ko) 2012-01-26 2012-01-26 분배기용 연결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6472B1 true KR101176472B1 (ko) 2012-08-30

Family

ID=4688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463A KR101176472B1 (ko) 2012-01-26 2012-01-26 분배기용 연결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4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7773A (ja) 2004-09-29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水機器
KR100756429B1 (ko) 2006-03-30 2007-09-07 김주홍 배관 이음구
JP2008190613A (ja) * 2007-02-05 2008-08-21 Fuji Heavy Ind Ltd 油圧配管のジョイント部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7773A (ja) 2004-09-29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温水機器
KR100756429B1 (ko) 2006-03-30 2007-09-07 김주홍 배관 이음구
JP2008190613A (ja) * 2007-02-05 2008-08-21 Fuji Heavy Ind Ltd 油圧配管のジョイント部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50498T3 (es) Adaptador para conectar tuberías, en particular tuberías flexibles
KR101195280B1 (ko) 삽입형 배관용 연결장치
KR200452046Y1 (ko) 수도꼭지용 호스-커플링장치
KR20170001915U (ko) 개선된 가스배관용 클램프
KR101176472B1 (ko) 분배기용 연결소켓
KR101232319B1 (ko) 파이프 연결구
CN107816592A (zh) 用于连接金属复合管材的管件
KR200461728Y1 (ko) 온수 분배기
KR101676320B1 (ko) 파이프 연결구의 구조
KR200475077Y1 (ko) 관 연결구
KR200470676Y1 (ko) 관이음용 인서트 부재
KR101163950B1 (ko) 반도체 제조 장비에 사용되는 냉각수 공급배관 연결구
KR101638312B1 (ko) 관이음용 어댑터
KR101700063B1 (ko) 호스 연결구
KR101642889B1 (ko) 분기파이프 연결용 연결장치
US20130214531A1 (en) Fluid component adapter and method
KR100788200B1 (ko) 폴리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ppr)또는폴리부틸렌(pb)을 원료로 하는 보일러 중계관
CN204495158U (zh) 电动汽车换热器用快插管接件
KR101783524B1 (ko) 연결관의 파이프 체결구조
KR101186550B1 (ko) 관이음 조립체
KR101169679B1 (ko) 관 연결구
KR200216918Y1 (ko) 히터관 연결구
KR20130092207A (ko) 농업용 관체 연결구
KR100780901B1 (ko) 파이프 이음용 패킹
KR20090002233U (ko) 냉온수 분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