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679B1 - 관 연결구 - Google Patents
관 연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9679B1 KR101169679B1 KR1020110144478A KR20110144478A KR101169679B1 KR 101169679 B1 KR101169679 B1 KR 101169679B1 KR 1020110144478 A KR1020110144478 A KR 1020110144478A KR 20110144478 A KR20110144478 A KR 20110144478A KR 101169679 B1 KR101169679 B1 KR 1011696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ert
- pipe
- flow path
- ring
- shaped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6—Screw-threaded j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꼭지 등의 관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외주면에 나사산(114a)이 형성된 제1관(10)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관 연결구로, 상기 관의 유로(100a)와 연결되는 유로(100a)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으로 개구된 링형 홈(100b)이 형성된 중공형 바디(body)(100); 상기 바디(100)의 링형 홈(100b)에 끼워지는 결합부(112) 및 상기 제1관(10)과 나사 체결되는 관 체결부(114)를 포함하는 중공형 인서트(110); 상기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외측면과 상기 바디(100)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제1,제2오링(120,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를 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도꼭지 등의 관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도나 냉/ 온수, 또는 소방수 등의 유체를 안내하는데 관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은 대부분이 상당히 길게 배관되는 점, 부분적으로 요구되는 소재의 특성이 상이한 점 등의 이유때문에 복수 개가 관 연결구를 통해 연결된 구조로 배관되고 있다.
관 연결구는 관과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특히 관과 견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는 점, 관과의 결합, 분리가 용이하다는 점 등의 이유로 인해 관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나사 체결이 견실하게 이루어지고 나사 체결부분이 뭉그러지지 않기 위해서는 관 연결구는 강도가 우수한 황동과 같은 금속재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그러나, 강도가 우수한 소재는 대체적으로 고가여서 비용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다.
하여, 관과 나사 체결이 쉽고 견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비용 부담이 현격히 줄어들 수 있는 관 연결구에 대한 연구 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강도 소재에 의해 관과 나사 체결이 쉽고 견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되, 고강도 소재 사용으로 인한 비용 부담이 현격히 줄어들 수 있는 관 연결구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주면에 나사산(114a)이 형성된 제1관(10)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관 연결구로, 상기 관의 유로(100a)와 연결되는 유로(100a)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으로 개구된 링형 홈(100b)이 형성된 중공형 바디(body)(100); 상기 바디(100)의 링형 홈(100b)에 끼워지는 결합부(112) 및 상기 제1관(10)과 나사 체결되는 관 체결부(114)를 포함하는 중공형 인서트(110); 상기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외측면과 상기 바디(100)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제1,제2오링(120,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를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와 상기 바디(100)의 상호 접촉면은 요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외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제2오링(120,1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바디(100)에 형성된 내,외측 돌기(104a,104b)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내,외측 오링 홈(112a,11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측면에는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에 따른 상기 링형 홈(100b)의 바깥쪽 끝단에 상기 링형 홈(100b)의 내부로 돌출된 끝단 돌기(104c)가 삽입되는 끝단 돌기 홈(112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오링(120)은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복수 개 개재되며, 상기 제2오링(130)은 상기 제1오링(120)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복수의 제1오링(120) 사이에 위치되도록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110)의 결합부(112)는 외측면이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0)는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에 상기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의 내측면에 상기 제1관(1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산(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0)는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복수의 바디부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바디부는 상기 인서트(110)보다 외경이 작은 제2관(20)이 삽입되는 제1바디부(102)와, 상기 제2관(20)이 걸림될 수 있도록 유로(100a)의 크기가 제1바디부(102)의 유로(100a)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링형 홈(100b)이 형성된 제2바디부(104)와, 상기 인서트(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바디부(104)의 유로(100a)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유로(100a)가 형성된 제3바디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바디부(106)와 상기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의 상호 접촉면은 요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는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0)의 링형 홈(100b)은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상기 바디(100)의 한쪽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는 상기 바디(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외측면에 상기 제1관(1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산(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100)는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복수의 바디부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바디부는 제2관(20)이 삽입되는 제1바디부(102)와, 상기 제2관(20)이 걸림될 수 있도록 유로(100a)의 크기가 제1바디부(102)의 유로(100a)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링형 홈(100b)이 형성된 제2바디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110)는 상기 바디(100)와 상이하며 상기 바디(100)의 성형시 인서트 성형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관(10)은 금속재의 수도꼭지를 이루는 관 또는 상기 수도꼭지로부터 연장된 연장관이며, 상기 바디(1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서트(110)는 상기 제1관(10)과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보다 강도가 큰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적으로 바디와 인서트가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관이 인서트와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바, 인서트만 고강도 합성수지와 같은 비교적 고가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인서트가 바디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결합됨에 따라 인서트의 이탈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으며 인서트와 바디의 구조가 간소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서트의 결합부의 내,외가 각각 제1,제2오링에 의해 이중으로 기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서트의 결합부의 외형이 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바디에 대한 인서트의 상대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바디와 인서트 조립 상태 단면도.
도 2는 바디와 인서트의 분리 상태 단면도.
도 3은 인서트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인서트의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도 6은 바디와 인서트 조립 상태 단면도.
도 7은 바디와 인서틔 분리 상태 단면도.
도 8은 인서트 사시도.
도 1은 바디와 인서트 조립 상태 단면도.
도 2는 바디와 인서트의 분리 상태 단면도.
도 3은 인서트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인서트의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도 6은 바디와 인서트 조립 상태 단면도.
도 7은 바디와 인서틔 분리 상태 단면도.
도 8은 인서트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는 외주면에 나사산(114a)이 형성된 제1관(10)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제1관(10)의 유로와 연결되는 유로(100a)가 형성되며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으로 개구된 링형 홈(100b)이 형성된 중공형 바디(body)(100)와; 바디(100)의 링형 홈(100b)에 끼워지는 결합부(112) 및 제1관(10)과 나사 체결되는 관 체결부(114)를 포함하는 중공형 인서트(110)와;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외측면과 상기 바디(100)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제1,제2오링(120,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는 구조적으로 바디(100)와 인서트(110)가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인서트(110)와 바디(100) 사이가 제1,제2오링(120,130)에 의해 내,외 이중으로 기밀 처리될 수 있어, 바디(100)와 인서트(110)의 분리 구조로 인한 누수 문제가 절대 발생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100)는 단지 인서트(110)를 수용하면 되므로 강도 등에 제한받지 않고 비교적 저가의 소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며, 인서트(110)는 제1관(10)과 견실하게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바디(100)와는 달리 강도가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음용수용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관(10)이 금속재 수도꼭지 또는 수도꼭지로부터 연장된 금속재 연장관과 연결되는 경우, 위생성을 고려하여 바디(100)는 저가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인서트(110)는 제1관(10)과의 나사 체결시 뭉그러지지 않도록 고가이지만 강도, 내구성이 우수한 고강도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는 제1관(1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강도, 내구성 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으면서 고가의 소재 사용으로 인한 비용 부담을 현격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인서트(110)가 바디(100)의 성형시 인서트(110)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현 실정에서 음용수용의 관 연결구는 제1관(1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충분한 내구성 확보 등의 이유로(100a) 인해 황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황동은 납과 아연이 포함되어 있으며 현 실정에서 얻을 수 있는 구리 용출기준은 1㎎/l로서 음용수용으로 위험성이 높으며, 이는 2009년 개정된 수도법의 위생안전기준인 0.1㎎/l보다 10배 높은 수치로 황동으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는 음용수용으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는 인서트(110)가 고강도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개정된 수도법의 위생안전기준에 매우 적합하며 수도꼭지 또는 수도꼭지 연결관과 기존과 동일하게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바, 기존의 황동으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의 대체로 유용할 수 있다. 음용수용으로 적합한 고강도 합성수지로는 예컨대 PPSU(polyphenylsulfone)이 제시될 수 있다. PPSU는 최근에 유아 젖병으로도 사용되고 있는 매우 안전적인 소재로서, 수압안정성, 산과 염기로부터의 저항력, 그리고 화학반응에 의해 크랙 저항력이 우수한 고열전도성의 고성능 수지로서 유용되고 있다. 물론,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인서트(110)는 황동이나 서스(SUS), PPSU 이외 합성수지 등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관 연결구는 개시한 수전용 외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관 연결구는 인서트(110)와 제1관(10)의 결합 구조에 따라 암형 타입과 숫형 타입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하 암형 타입에 한정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바디(100)는 관 연결구의 사용용도 등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은 직관형 형상은 물론, 엘보(elbow) 형상, 곡관형, T형, U형, 소켓 형상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00)는 일부 또는 전체 외형이 육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디(100)는 구조적으로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복수의 바디부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바디부는 인서트(110)보다 외경이 작은 제2관(20)이 삽입되는 제1바디부(102)와, 유로(100a)의 크기가 제1바디부(102)의 유로(100a) 크기보다 작으며 링형 홈(100b)이 형성된 제2바디부(104)와, 인서트(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바디부(104)의 유로(100a)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유로(100a)가 형성된 제3바디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관(10)이 인서트(11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바디(100)는 제3바디부(106), 제2바디부(104), 제1바디부(102)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관(20)이 바디(100)의 유로(100a)에 삽입되어 제1바디부(102)와 제2바디부(104) 사이의 내측 단차에 걸림됨으로써, 제2관(20)의 삽입 위치가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바디(100)와 제2관(20)이 상호 정확한 위치에 조립될 수 있으며, 아울러 제2관(20)을 인서트(110) 및 제1관(10)과 구조적으로 간섭되지 않게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제3바디부(106)에 의해 인서트(110)의 결합부(112)뿐만 아니라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까지 인서트(110) 전체가 바디(100)의 유로(100a)에 삽입되어 내장될 수 있다.
인서트(110)는 제1관(10)이 인서트(11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관 체결부(114), 결합부(112) 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는 제1관(10)이 삽입되어 나사 체결이 가능토록, 내측면에 나사산(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는 제1관(10)이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내부 단면이 원형 구조로 형성되며, 외형 또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바디(100)의 유로(100a)에 삽입되어 바디(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자유 회전되지 않도록 외형이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는 외형이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바디부(106)의 유로(100a) 또한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에 대응하여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의 외형과 동일하게 육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와 바디(100), 즉 제3바디부(106)의 상호 접촉면은 일부 또는 전체가 요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의 외측면에 인서트(110)의 중공방향에 대한 수직방향(화살표 B)으로 하나 또는 복수의 관 체결부 홈(114b)이 형성되며, 제3바디부(106)의 내측면에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 홈(114b)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삽입되는 관 체결부 돌기(106a)가 하나 또는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 홈(114b)은 인서트(110)의 전 둘레에 형성될 수 있도록 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인서트(1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110)의 결합부(112)는 외형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와 마찬가지로 바디(100)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육각형 등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형은 제1관(10)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와 바디(100), 즉 제2바디부(104)의 상호 접촉면은 요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에 제1,제2오링(120,13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외측면에는 각각 제1,제2오링(120,130)이 끼워지는 내,외측 오링 홈(112a,112b)이 형성됨과 아울러 제2바디부(104)의 내측면에는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외측 오링 홈(112a,112b)에 각각 삽입되되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와의 사이에 제1,제2오링(120,130)이 개재될 수 있도록 내,외측 돌기(104a,104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에 제1,제2오링(120,130)이 끼워짐에 따라,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외측 오링 홈(112a,112b)에 의해 제1,제2오링(120,130)의 개재 위치가 안내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제2오링(120,130)의 오조립이 방지될 수 있어 오조립시 발생될 수 있는 누수 가능성이 확실히 배제될 수 있으며, 바디(100)와 인서트(110)와의 마찰로 인한 제1,제2오링(120,13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디(100)의 성형시 제1,제2오링(120,130)이 인서트(11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제1,제2오링(120,130)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요소를 추가하지 않아도 되어 바디(100)의 성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와 제2바디부(104)의 접촉면이 요철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누수를 차단하는 차단벽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누수 방지에 보다 효과적이다.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외측 오링 홈(112a,112b)은 제1,제2오링(120,130)의 유동 방지를 위해 제1,제2오링(120,130)의 크기에 맞춰 형성되며, 제1,제2오링(120,130)이 각각 하나씩 끼워질 수 있도록 제1,제2오링(120,130) 개수에 맞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외측 오링 홈(112b)은 복수 개의 제1오링(120)의 개수에 맞춰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외측 오링 홈(112b)은 2개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측 오링 홈(112a)은 하나 또는 복수의 제2오링(130)의 개수에 맞춰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1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측 오링 홈(112a)은 제1,제2오링(120,130)이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도록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외측 오링 홈(112b)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외측 오링 홈(112a,112b)이 분산되어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구조적 취약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측면에는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에 따른 링형 홈(100b)의 바깥쪽 끝단에 링형 홈(100b)의 내부로 돌출된 끝단 돌기(104c)가 삽입되는 끝단 돌기 홈(112c)이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110)의 끝단 돌기 홈(112c)과 바디(100)의 끝단 돌기(104c)는 상호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디(100)의 끝단 돌기(104c)가 바디(100)의 내,외측 돌기(104a,104b)보다는 중공의 수직방향(화살표 B)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디(100)의 끝단 돌기(104c)에 의해 바디(100)로부터 인서트(11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바디(100)와 인서트(110)는 바디(100)의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로 조합될 수 있다. 즉, 바디(100) 성형시 바디(100) 성형을 위한 금형에 미리 제조된 인서트(110)가 제1,제2오링(120,130)과 함께 삽입된 상태로 바디(100)의 성형이 이루어짐으로써 바디(100)와 인서트(110)가 일체로 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인서트 성형에 의해, 바디(100)와 인서트(110)의 조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바디(100)와 인서트(110)의 분리가 확실하게 배제될 수 있고, 인서트(110)와 바디(100)의 접촉면이 구조적으로 제약없이 용이하게 요철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100)와 인서트(110)가 상호 빈틈없이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기밀성이 매우 우수하다.
상기 제1오링(120)은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외측면과 바디(100)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제2오링(130)에 의한 일차 누수 방지가 안 이루어지더라도 제1오링(120)에 의해서는 반드시 이차 누수 방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복수 개 개재되어 다중으로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오링(120)은 다중 기밀이 가능토록 이루어짐에 따라, 제2오링(130)보다는 두께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오링(130)은 일차적으로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제1오링(120)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며, 상대적으로 두꺼우며 이차 누수 방지를 위한 제2오링(130)이 있으므로 복수의 제1오링(120)보다 적은 개수로 복수의 제1오링(120) 사이에 위치되는 개수면 충분하다. 예컨대, 제2오링(130)은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한 쌍의 제1오링(120) 사이에 하나 개재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에 관한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관 연결구는 상술한 제1실시 예와 비교해볼 때 기본적으로 인서트(110)가 숫형 타입인 것이 상이하다.
즉, 바디(100)는 제2관(20)이 삽입되는 제1바디부(102)와, 제2관(20)이 걸림될 수 있도록 유로(100a)의 크기가 제1바디부(102)의 유로(100a) 크기보다 작으며 링형 홈(100b)이 형성된 제2바디부(104)로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디(100)의 링형 홈(100b)은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바디(100)의 한쪽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110)는 인서트(110)의 결합부(112)가 제1,제2오링(120,130)과 함께 바디(100)의 인서트 성형에 의해 바디(100)의 링형 홈(100b)에 삽입되어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는 바디(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외측면에 제1관(1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산(114a)이 형성될 수 있다.
인서트(110)의 결합부(112)는 외형이 육각형 등 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의 외형은 제1관(10)의 나사 체결을 위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바디 100b; 링형 홈
102; 제1바디부 104; 제2바디부
106; 제3바디부 110; 인서트
112; 결합부 114; 관 체결부
120; 제1오링 130; 제2오링
102; 제1바디부 104; 제2바디부
106; 제3바디부 110; 인서트
112; 결합부 114; 관 체결부
120; 제1오링 130; 제2오링
Claims (14)
- 외주면에 나사산(114a)이 형성된 제1관(10)과 나사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관 연결구로, 상기 관의 유로(100a)와 연결되는 유로(100a)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으로 개구된 링형 홈(100b)이 형성된 중공형 바디(body)(100)와, 상기 바디(100)의 링형 홈(100b)에 끼워지는 결합부(112) 및 상기 제1관(10)과 나사 체결되는 관 체결부(114)를 포함하는 중공형 인서트(110)와, 상기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외측면과 상기 바디(100)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제1,제2오링(120,130)을 포함하며;
상기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외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제2오링(120,130)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바디(100)에 형성된 내,외측 돌기(104a,104b)가 끼워질 수 있도록 내,외측 오링 홈(112a,112b)이 형성되고;
상기 제1오링(120)은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복수 개 개재되며, 상기 제2오링(130)은 상기 제1오링(120)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복수의 제1오링(120) 사이에 위치되도록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와 상기 바디(100)의 상호 접촉면은 요철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10)의 결합부(112)의 내측면에는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에 따른 상기 링형 홈(100b)의 바깥쪽 끝단에 상기 링형 홈(100b)의 내부로 돌출된 끝단 돌기(104c)가 삽입되는 끝단 돌기 홈(112c)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 삭제
- 청구항 1,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10)의 결합부(112)는 외측면이 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 청구항 1,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는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에 상기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의 내측면에 상기 제1관(1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산(11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는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복수의 바디부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바디부는 상기 인서트(110)보다 외경이 작은 제2관(20)이 삽입되는 제1바디부(102)와,
상기 제2관(20)이 걸림될 수 있도록 유로(100a)의 크기가 제1바디부(102)의 유로(100a)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링형 홈(100b)이 형성된 제2바디부(104)와,
상기 인서트(1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바디부(104)의 유로(100a) 크기보다 더 큰 크기의 유로(100a)가 형성된 제3바디부(10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바디부(106)와 상기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의 상호 접촉면은 요철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는 각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 청구항 1,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의 링형 홈(100b)은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상기 바디(100)의 한쪽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인서트(110)의 관 체결부(114)는 상기 바디(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외측면에 상기 제1관(10)과의 나사 체결을 위한 나사산(11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바디(100)는 상기 바디(100)의 유로(100a)의 길이방향(화살표 A)을 따라 복수의 바디부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바디부는 제2관(20)이 삽입되는 제1바디부(102)와,
상기 제2관(20)이 걸림될 수 있도록 유로(100a)의 크기가 제1바디부(102)의 유로(100a) 크기보다 작으며 상기 링형 홈(100b)이 형성된 제2바디부(1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 청구항 1,2,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110)는 상기 바디(100)와 상이하며 상기 바디(100)의 성형시 인서트 성형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관(10)은 금속재의 수도꼭지를 이루는 관 또는 상기 수도꼭지로부터 연장된 연장관이며,
상기 바디(1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서트(110)는 상기 제1관(10)과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바디(100)보다 강도가 큰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연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4478A KR101169679B1 (ko) | 2011-12-28 | 2011-12-28 | 관 연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44478A KR101169679B1 (ko) | 2011-12-28 | 2011-12-28 | 관 연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9679B1 true KR101169679B1 (ko) | 2012-08-06 |
Family
ID=46886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44478A KR101169679B1 (ko) | 2011-12-28 | 2011-12-28 | 관 연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9679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8846B1 (ko) * | 2018-06-05 | 2019-05-02 | (주)대진지피아이 | 급수전용 연결소켓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43783A (ja) | 2002-05-23 | 2003-12-03 | Nasco Fitting Kk | 管継手 |
JP2006322542A (ja) * | 2005-05-19 | 2006-11-30 | Sekisui Chem Co Ltd | 管継手 |
JP2007278320A (ja) * | 2006-04-03 | 2007-10-25 | Sekisui Chem Co Ltd | 管継手 |
-
2011
- 2011-12-28 KR KR1020110144478A patent/KR10116967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43783A (ja) | 2002-05-23 | 2003-12-03 | Nasco Fitting Kk | 管継手 |
JP2006322542A (ja) * | 2005-05-19 | 2006-11-30 | Sekisui Chem Co Ltd | 管継手 |
JP2007278320A (ja) * | 2006-04-03 | 2007-10-25 | Sekisui Chem Co Ltd | 管継手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8846B1 (ko) * | 2018-06-05 | 2019-05-02 | (주)대진지피아이 | 급수전용 연결소켓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47890B2 (en) | Quick connection coupling | |
BR112015004610B1 (pt) | Encaixe para conexão vedada, sistema e conexão vedada | |
US20100264644A1 (en) | Fitting for corrugated conduit | |
KR100941883B1 (ko) | 배관연결구 | |
KR200452915Y1 (ko) | 배관 연결부재 | |
KR20180031328A (ko) | 이물질 유입 방지부를 이용한 육안용이 식별형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램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 |
KR101404660B1 (ko) | 관 탈거방지 및 향상된 실링구조를 가지는 관 이음장치 | |
US9719622B2 (en) | Electrofusion fittings and methods | |
KR101169679B1 (ko) | 관 연결구 | |
NL1039647B1 (nl) | Aansluitfitting. | |
KR101143554B1 (ko) | 관 연결구 | |
KR101218352B1 (ko) | 배관용 연결기구 | |
CN102748551A (zh) | 带有防泄漏机构的减压器-过滤器系统 | |
MX2009010612A (es) | Conector para tuberia que contiene un inserto de plastico. | |
KR101871167B1 (ko) | 외관돌출에 의한 육안과 촉감으로 파이프 완전삽입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 |
KR101143552B1 (ko) | 관 연결구 | |
CN202133089U (zh) | 热水器 | |
KR101202596B1 (ko) | 주름관용 연결구의 체결구조 | |
KR101040230B1 (ko) | 배관용 연결기구 | |
JP2015078749A (ja) | 管継手 | |
KR102000018B1 (ko) | 체결파이프 회전방지 록킹구조를 가지는 완전삽입 확인이 용이한 산업용 멀티 레이어 유체배관 클림핑 연결시스템의 플라스틱 이음구조체 시공방법 | |
KR101169677B1 (ko) | 관 연결구 | |
KR101288061B1 (ko) | V형 이중벽관용 이음관 | |
KR101973850B1 (ko) | 관 연결용 조인트 | |
JP2003130266A (ja) | 継 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