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011B1 - 이송용 죠 장치 - Google Patents

이송용 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011B1
KR101176011B1 KR1020090091910A KR20090091910A KR101176011B1 KR 101176011 B1 KR101176011 B1 KR 101176011B1 KR 1020090091910 A KR1020090091910 A KR 1020090091910A KR 20090091910 A KR20090091910 A KR 20090091910A KR 101176011 B1 KR101176011 B1 KR 101176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fixed
fixing body
coupl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4402A (ko
Inventor
최영훈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1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0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20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 B21B39/24Revolving, turning-over, or like manipulation of work, e.g. revolving in trio stands by tongs or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25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motor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B66C17/12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for handling workpieces, e.g. ingots, which require to be supported temporarily within, or withdrawn from, a treatment chamber, e.g. tong cranes, soaking-pit cranes, stripper cranes
    • B66C17/14Tong cranes with means for moving article-pushers relative to the to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용 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평빔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파지부와, 파지부에 설치되고 상하 이동되는 결합부 및 파지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결합부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며, 장력이 조절되는 탄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죠 장치는 탄성부에 대한 장력이 조절됨으로써, 탄성부의 교환시기를 늦추어 유지비용을 절감한다.
Figure R1020090091910
죠, 슬라브, 탄성부, 가변부, 스프링부

Description

이송용 죠 장치{JAW DEVICE FOR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이송용 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 조절에 의해 탄성부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송용 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제품 제조공정은 슬라브(slab)를 가열로에서 가열하고 가열 후 스케일을 제거한 다음 조압연과 사상압연을 통해 형상을 제어하고, 권취되어 강대로 출고되거나 강판으로 절단되어 출고된다.
한편, 제철공장에서는 이러한 열연제품 제조공정이 자동화로 진행되는데, 슬라브를 적층하고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이송용 죠 장치가 사용된다.
이송용 죠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크레인과 같은 이송수단과 연결되는 수평빔이 수평하게 배치되고, 수평빔에는 파지부가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파지부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수평빔에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간의 간격 이 좁혀지면서 슬라브를 파지하고, 서로간의 간격이 넓혀지면서 슬라브를 놓는다.
파지부에는 결합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결합부는 슬라브의 측면에 밀착되고, 슬라브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결합부가 슬라브와 분리되어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탄성부가 구비된다. 탄성부로는 일단부가 파지부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부가 결합부에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을 사용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 이송용 죠 장치는 장기간 사용에 의해 탄성부의 장력이 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슬라브를 안정적으로 이송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잦은 탄성부의 교체로 인해 수리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장력 조절이 가능하여 탄성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이송용 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빔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고 상하 이동되는 결합부; 및 상기 파지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며, 장력이 조절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결합부에 고정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 및 상기 가변부와 연결되고 상기 파지부에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변부는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결합고리에 링 형상의 일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1고정체; 상기 스프링부에 링 형상의 일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2고정 체; 및 상기 제1고정체의 타단부와 상기 제2고정체의 타단부가 나사 결합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고정체와 상기 제2고정체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가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죠 장치는 탄성부의 장력을 조절함으로써, 스프링부의 설계오차 또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한 장력저하를 방지하여 작업 대상물을 안정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죠 장치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저하되는 스프링부의 장력을 향상시켜 줌으로써, 스프링부의 사용기간을 연장하여 유지비용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송용 죠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죠 장치의 결합부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죠 장치의 결합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B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죠 장치의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죠 장치(100)에는 파지부(10), 결합부(20) 및 탄성부(30)가 구비된다.
파지부(10)는 수평빔(40)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수평빔(40)에는 크레인과 같이 수평빔(40)을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이송부(50)가 결합된다.
파지부(10)는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수평빔(40)에 설치되고, 구동부(80)에 의한 구동으로 한 쌍의 파지부(10)는 좁혀지거나 멀어진다.
결합부(20)는 파지부(10)에 설치되어 상하 이동된다. 이러한 결합부(20)는 한 쌍의 파지부(10) 각각에 설치되어 서로 마주보며, 파지부(10) 사이에 위치되는 슬라브 등과 같은 작업 대상물(90)을 파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20)에는 파지부(10)의 내측 방향으로 노출되는 결합체(21)와, 결합체(21)와 결합되고 파지부(10) 내부에서 상하 슬라이딩 이동되는 이동체(22) 및 이동체(2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파지부(10)에 접촉되어 이동되는 롤러(23)가 구비된다.
이때, 롤러(23)가 파지부(10)의 경사면에 접촉되면, 이동체(22)는 경사면에 대응되는 각도로 이동된다. 따라서, 결합체(21)는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서로 간의 간격이 좁혀진다.
탄성부(30)는 파지부(1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결합부(20)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결합부(2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부(30)는 장기간 사용으로 장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력 조절 기능이 부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30)에는 가변부(130)와 스프링부(230)가 구비된다.
가변부(130)는 일단부가 결합부(20)에 고정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된다. 스프링부(230)는 일단부가 가변부(130)와 결합되고 타단부가 파지부(10)에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스프링부(230)는 탄성력을 보유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부(130)에는 제1고정체(131), 제2고정체(132) 및 가변체(133)가 구비된다.
제1고정체(131)는 링 형상의 일단부가 결합부(20)에 구비되는 결합고리(25)에 걸림 고정된다.
제2고정체(132)는 링 형상의 일단부가 스프링부(230)에 걸림 고정된다. 스프링부(230)의 단부는 링 형상을 하여 파지부(10)에 구비되는 파지고리(15)에 걸림 고정된다.
가변체(133)는 제1고정체(131)의 타단부와 제2고정체(132)의 타단부가 나사 결합된다. 이러한 제1고정체(131)와 제2고정체(132)는 서로 대칭되는 나사산 형상 을 하여, 가변체(133)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제1고정체(131)와 제2고정체(132) 사이의 간격이 변화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죠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부(50)로 수평빔(40)의 위치를 조절하여 한 쌍의 파지부(10) 사이에 작업 대상물(90)이 위치되도록 한 다음, 파지부(10)의 간격이 좁혀지면서 결합부(20)가 작업 대상물(90)의 양측면에 밀착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이송부(50)가 수평빔(40)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작업 대상물(90)에 밀착되는 결합체(21)는 작업 대상물(90)의 하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서로간의 간격이 좁혀져 작업 대상물(90)에 대한 파지력이 증대된다. 이때, 스프링부(230)는 팽창한다.
이송부(50)가 수평빔(40)을 이동시켜 작업 대상물(90)을 적층시키면, 작업 대상물(90)의 하중이 제거되고, 스프링부(230)의 복원력에 의해 결합체(21)는 상승하면서 서로간의 간격이 넓혀진다.
상기한 상태에서 파지부(10)의 간격이 넓혀지면, 결합체(21)는 작업 대상물(90)에서 이격된다.
한편, 장기간 이송용 죠 장치(100)의 사용으로 스프링부(230)의 장력이 저하되면, 작업자는 가변부(130)를 조작하여 스프링부(2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결합부(20)에 가변부(130)가 결합되고, 파지부(10)에 스프링부(230)가 결합되며, 가변부(130)와 스프링부(230)가 연결된 상태에서, 스프링부(230)를 잡아당겨 스프링부(230)의 장력을 조절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변부(130)의 제1고정체(131)는 일단부가 결합부(20)의 결합고리(25)에 걸림 고정되고, 타단부가 가변체(133)에 나사 결합된다. 그리고, 가변부(130)의 제2고정체(132)는 일단부가 스프링부(230)에 걸림 고정되고 타단부가 가변체(133)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제1고정체(131)와 제2고정체(132)는 서로 대칭되는 나사형상으로 가변체(133)와 결합됨으로써, 가변체(13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고정체(131)와 제2고정체(132)가 가까워지고, 가변체(133)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고정체(131)와 제2고정체(132)가 멀어진다.
따라서, 가변체(133)의 회전으로 스프링부(230)를 선택적으로 잡아당겨 줌으로써, 이송용 죠 장치(100)에서 결합부(20)에 대한 탄성력이 설계안대로 유지되도록 스프링부(23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장시간 사용으로 스프링부(230)의 장력이 저하되더라도, 가변부(130)의 길이가 줄어들면서 스프링부(230)의 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죠 장치의 결합부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죠 장치의 결합부가 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B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 죠 장치의 탄성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지부 20 : 결합부
30 : 탄성부 40 : 수평빔
50 : 이송부 130 : 가변부
131 : 제1고정체 132 : 제2고정체
133 : 가변체 230 : 스프링부

Claims (3)

  1. 삭제
  2. 수평빔에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에 설치되고 상하 이동되는 결합부; 및
    상기 파지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에 타단부가 고정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며, 장력이 조절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결합부에 고정 설치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부; 및
    상기 가변부와 연결되고 상기 파지부에 고정 설치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죠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결합고리에 링 형상의 일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1고정체;
    상기 스프링부에 링 형상의 일단부가 걸림 고정되는 제2고정체; 및
    상기 제1고정체의 타단부와 상기 제2고정체의 타단부가 나사 결합되고,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고정체와 상기 제2고정체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는 가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용 죠 장치.
KR1020090091910A 2009-09-28 2009-09-28 이송용 죠 장치 KR101176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910A KR101176011B1 (ko) 2009-09-28 2009-09-28 이송용 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910A KR101176011B1 (ko) 2009-09-28 2009-09-28 이송용 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402A KR20110034402A (ko) 2011-04-05
KR101176011B1 true KR101176011B1 (ko) 2012-08-21

Family

ID=44043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910A KR101176011B1 (ko) 2009-09-28 2009-09-28 이송용 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820B1 (ko) * 2019-11-13 2020-04-17 정경민 사용성이 향상된 지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059Y1 (ko) 1993-05-31 1999-06-15 이형도 헤드 클램퍼의 장력 미세 조정장치
JP2000326254A (ja) 1999-05-20 2000-11-28 Nec Corp 挿抜治具
KR200268615Y1 (ko) * 2001-11-27 2002-03-16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자동 코일 이송 시스템의 데이터 연결장치
KR100726371B1 (ko) 2006-09-21 2007-06-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축 결합 해체용 지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4059Y1 (ko) 1993-05-31 1999-06-15 이형도 헤드 클램퍼의 장력 미세 조정장치
JP2000326254A (ja) 1999-05-20 2000-11-28 Nec Corp 挿抜治具
KR200268615Y1 (ko) * 2001-11-27 2002-03-16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자동 코일 이송 시스템의 데이터 연결장치
KR100726371B1 (ko) 2006-09-21 2007-06-11 현대제철 주식회사 축 결합 해체용 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402A (ko) 201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93265B (zh) 一种利用夹送辊调整带钢横向翘曲的方法及装置
CN104525575A (zh) 一种热轧带钢卷取机侧导纠偏控制方法
RU2011129323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сляба
KR101176011B1 (ko) 이송용 죠 장치
KR20160110826A (ko) 판재 연속절단설비 및 방법
KR20130002920A (ko) 소재 형상 측정장치
JP6452040B2 (ja) 棒材供給装置
JP2010105110A (ja) 厚板異長剪断装置および厚板異長剪断方法
CN108698097A (zh) 在轧机机架结构简单的情况下的在线式换辊
KR101330296B1 (ko) 주편의 스카핑 방법
CN204448936U (zh) 一种四辊预弯卷板机
CN203529343U (zh) 轴端设有加长段的带式输送机托辊
KR101523964B1 (ko) 소재 정렬장치
KR101538863B1 (ko) 스트립의 오일 제거 장치
KR101424473B1 (ko) 소재온도조절장치
CN204294689U (zh) 一种免预留压头的卷直管装置
KR200260908Y1 (ko) 슬라브 인출장치
KR20090004911U (ko) 상하 이동 부재를 구비한 디스켈러 헤더
KR100923796B1 (ko) 코일카 리프트 장치
KR101228677B1 (ko) 판재 터닝장치
CN105856065B (zh) 一种可调式研磨治具
KR101109903B1 (ko) 리버스 압연 방법과 리버스 압연 장치
JP4470872B2 (ja) 圧延材の保持装置
KR101330548B1 (ko) 열연강판의 사행 조정장치 및 그 방법
KR101290420B1 (ko) 슬라브 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