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895B1 - 산양삼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산양삼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895B1
KR101175895B1 KR1020110073073A KR20110073073A KR101175895B1 KR 101175895 B1 KR101175895 B1 KR 101175895B1 KR 1020110073073 A KR1020110073073 A KR 1020110073073A KR 20110073073 A KR20110073073 A KR 20110073073A KR 101175895 B1 KR101175895 B1 KR 101175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lings
seedling
temperature
synthetic soil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홍식
전환진
Original Assignee
전환진
전홍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환진, 전홍식 filed Critical 전환진
Priority to KR102011007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8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양삼의 모종발아 실내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더 상세하게는 산양삼의 모종을 계절의 자연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1년 내내 발아되도록 재배시켜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산지에서 1년 내지 5년 사이에 재배된 산양삼을 묘삼 싹이 트기전에 채취하는 산양삼의 묘삼 채취단계(100); 상기 산양삼의 묘삼 채취단계에서 채취된 묘삼을 영하 3.5℃ ~ 영하 0.5℃사이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저온창고에 보관하는 묘삼 보관단계(200); 활엽수의 나뭇잎이나 작은 가지등이 미생물에 의해 부패된 상태의 부엽재를 채취하는 부엽재 채취단계(300); 상기 부엽재 채취단계(300)에서 채취된 부엽재를 분말형태가 되도록 분쇄기를 이용해 분쇄시키는 부엽재 분쇄단계(400); 상기 부엽재 분쇄단계(400)에서 분말형태로 분쇄가 이루어진 부엽재에 백마사를 혼합하여 합성토양으로 생성시키는 합성토양 생성단계(500); 상기 합성토양 생성단계(500)에서 생성된 합성토양을 소정의 높이로 모판에 채운 후 묘삼을 모판에 채워진 토양에 이식하는 묘삼 이식단계(600); 상기 묘삼 이식단계(600)에서 묘삼이 이식되어진 합성토양의 상부에 재차 합성토양을 덮어 묘삼의 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합성토양 뿌림단계(510); 상기 합성토양 뿌림단계(510)를 거치면서 묘삼이 이식되어진 모판의 합성토양 내부로 흡수될 수 있도록 수분을 분무기를 이용해 공급하는 수분 공급단계(700); 상기 수분 공급단계(700)를 거치면서 모판에 채워진 합성토양에 수분이 공급되어진 모판을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실내에 보관을 시키는 실내 보관단계(800); 상기 실내에 보관중인 모판에 이식되어 묘삼의 싹이 발아되면 2 ~ 3일 간격으로 모판에 담겨진 합성토양의 겉 흙이 촉촉하게 젖을 정도로 수분을 보충시키는 수분재 공급관계(710); 상기 모판에 이식된 묘삼이 자연환경재배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비닐하우스 실내의 온도와 햇빛투과율을 조절하는 온도 및 빛투과량 조절단계(900)를 거쳐 재배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산양삼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Indoor cultivation germinating method of seeding of wood-cultivated ginseng}
본 발명은 산양삼의 모종을 실내에서 발아시킬 수 있는 실내 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산양삼의 모종을 계절의 자연적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1년 내내 발아 재배하여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산양삼의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양삼은 산삼의 종자를 채취하여 산속에 씨를 뿌려 야생 상태에서 재배한 삼으로 일반적으로는 산에서 인위적으로 키운 산삼이라고 인식되고 있다.
동의보감 및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등에 산삼은 원기를 북돋우고 제독작용, 새로운 피를 생성하여 혈압을 낮추게 하며 인체의 장기 기능을 향상시켜 두뇌 활동과 정신력을 왕성하게 하는 등의 우수한 약리적 효능이 있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최근 산양삼을 산속의 청정지역에서 재배하거나 비닐하우스에서 대량 재배하는 기술이 개발됨에 따라 소비자 가격이 상당히 낮추어져서 산양삼을 찾는 수요자들이 증가함에 따라 산양삼의 재배방법들이 날로 발전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산양삼은 뿌리이외에 잎, 줄기에도 유효사포닌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산양삼의 새싹을 시기에 관계없이 재배할 수 있도록 한 방법이 국내 공개특허 공보(공개번호 : 10-2010-0110105 ; 산양삼 새싹의 재배방법)에 나타나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실제 재배에 있어 여러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첫 번째, 종전 재배방법에 적용된 부엽토를 사용하여 재배하는 방법은 모종의 발아확률이 현저히 낮을 뿐더러 부엽토 속의 모종이 썩는다는 문제점(부엽토 자체의 독성이 강하여 모종의 생존률을 저하시킴)이 나타나 실내 재배의 목적인 계절에 관계없는 재배 및 대량생산이 불가하였다. 두 번째, 종전 재배방법의 보관 온도의 문제점을 확인 하였다. 먼저 저온창고의 온도를 영하 3℃에서 영상 3℃사이에서 보관할 것을 특징으로 하였으나, 저온창고의 온도가 영하를 벗어나 영상에서 보관하게 될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보관된 모종이 모두 부패됨을 확인 하였다. 다음으로 실내온도는 영상 35℃까지 온도를 유지할 것을 명시하였으나 실제 재배 결과 영상 29℃를 넘어 갈 경우 재배된 산양삼의 줄기가 꺾어지고 잎이 늘어짐과 같이 고사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계절에 관계없이 1년 내내 산양삼의 묘삼을 재배하여 산양삼의 새싹을 저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산양삼의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산양삼의 모종발아 실내 재배방법은 산지에서 1년 내지 5년 사이에 재배된 산양삼을 묘삼 싹이 트기전에 채취하는 산양삼의 묘삼 채취단계;
상기 산양삼의 묘삼 채취단계에서 채취된 묘삼을 영하 3.5℃ ~ 영하 0.5℃사이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저온창고에 보관하는 묘삼 보관단계;
활엽수의 나뭇잎이나 작은 가지가 미생물에 의해 부패된 상태의 부엽재(이하 '부엽재'라 한다)를 채취하는 부엽재 채취단계;
상기 부엽재 채취단계에서 채취된 부엽재를 분말형태가 되도록 분쇄기를 이용해 분쇄시키는 부엽재 분쇄단계;
상기 부엽재 분쇄단계에서 분말형태로 분쇄가 이루어진 부엽재에 백마사를 혼합하여 합성토양으로 생성시키는 합성토양 생성단계;
상기 합성토양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합성토양을 소정의 높이로 모판에 채운 후 묘삼을 모판에 채워진 토양에 이식하는 묘삼 이식단계;
상기 묘삼 이식단계에서 묘삼이 이식되어진 합성토양의 상부에 재차 합성토양을 덮어 묘삼의 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합성토양 뿌림단계;
상기 합성토양 뿌림단계를 거치면서 묘삼이 이식되어진 모판의 합성토양 내부로 흡수될 수 있도록 수분을 분무기를 이용해 공급하는 수분 공급단계;
상기 수분 공급단계를 거치면서 모판에 채워진 합성토양에 수분이 공급되어진 모판을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실내에 보관을 시키는 실내 보관단계;
상기 실내에 보관중인 모판에 이식되어 묘삼의 싹이 발아되면 2 ~ 3일 간격으로 모판에 담겨진 합성토양의 겉 흙이 촉촉이 젖을 정도로 수분을 보충시키는 수분재 공급관계;
상기 모판에 이식된 묘삼이 자연환경재배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실내에서 온도와 빛 투과율을 조절하는 온도 및 빛투과량 조절단계(900)를 거쳐 재배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산양삼의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은 산양삼의 성장하기에 적합한 최적의 토양과 일조량 및 온도를 제공받아 계절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며 1년 내내 산양삼의 묘삼에서 새싹이 성장되어지게 됨은 물론, 산양삼의 묘삼을 재배시 빠른 시일내에 몸체와 줄기 잎 뿌리까지 섭취할 수 있도록 재배하여 저렴한 단가로 상품화 할 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산양삼의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산양삼의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인 묘삼 이식단계를 보인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산양삼의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을 보인 개략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산양삼의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인 묘삼 이식단계를 보인 사진이다.
본 발명인 산양삼의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은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산지에서 1년 내지 5년 사이에 재배된 산양삼을 묘삼 싹이 트기전에 채취하는 산양삼의 묘삼 채취단계(100);
상기 산양삼의 묘삼 채취단계(100)에서 채취된 묘삼을 영하 3.5℃ ~ 영하 0.5℃사이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저온창고에 보관하는 묘삼 보관단계(200);
활엽수의 나뭇잎이나 작은 가지가 미생물에 의해 부패된 상태의 부엽재를 채취하는 부엽재 채취단계(300);
상기 부엽재 채취단계(300)에서 채취된 부엽재를 분말형태가 되도록 분쇄기를 이용해 분쇄시키는 부엽재 분쇄단계(400);
상기 부엽재 분쇄단계(400)에서 분말형태로 분쇄가 이루어진 부엽재에 백마사를 혼합하여 합성토양으로 생성시키는 합성토양 생성단계(500);
상기 합성토양 생성단계(500)에서 생성된 합성토양을 소정의 높이로 모판에 채운 후 묘삼을 모판에 채워진 토양에 이식하는 묘삼 이식단계(600);
상기 묘삼 이식단계(600)에서 묘삼이 이식되어진 합성토양의 상부에 재차 합성토양을 덮어 묘삼의 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합성토양 뿌림단계(510);
상기 합성토양 뿌림단계(510)를 거치면서 묘삼이 이식되어진 모판의 합성토양 내부로 흡수될 수 있도록 수분을 분무기를 이용해 공급하는 수분 공급단계(700);
상기 수분 공급단계(700)를 거치면서 모판에 채워진 합성토양에 수분이 공급되어진 모판을 비닐하우스와 같은 실내에 보관을 시키는 실내 보관단계(800);
상기 실내에 보관중인 모판에 이식되어 묘삼의 싹이 발아되면 2 ~ 3일 간격으로 모판에 담겨진 합성토양의 겉 흙이 촉촉하게 젖을 정도로 수분을 보충시키는 수분재 공급관계(710);
상기 모판에 이식된 묘삼이 자연환경재배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실내에서 온도와 빛투과율을 조절하는 온도 및 빛투과량 조절단계(900)를 거쳐 재배된다.
이때, 상기 합성토양 생성단계(500)에서 혼합되는 부엽재와 백마사는 70~80 : 30~20의 비율(중량비)로 혼합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온도 및 빛투과량 조절단계(900)에서 묘삼이 이식된 모판(610)으로는 이식 1일에서 10일 까지는 빛 투과율이 40%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 11일차부터 상품 출하전인 28일차 까지는 빛 투과율이 50 ~ 60%가 유지되도록 조절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온도 및 빛투과량 조절단계(900)에서 묘삼이 이식된 모판(610)이 보관중인 실내의 온도는 봄인 경우에는 15℃ ~ 22℃, 여름인 경우에는 20℃ ~ 29℃, 가을인 경우에는 18℃ ~ 24℃, 겨울인 경우에는 15℃ ~ 22℃의 온도가 냉온풍기에 의해 조절됨을 밝혀 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묘삼 채취단계(100)를 통해 산지에서 1년 내지 5년 사이에 재배된 산양삼을 묘삼 싹이 트기전에 채취한다.
상기와 같이 산양삼의 묘삼 채취단계(100)에서 묘삼을 채취한 후에는 영하 3.5℃ ~ 영하 0.5℃ 사이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저온창고에 보관하는 묘삼 보관단계(200)를 거치면서 일년내내 모삼을 온전한 상태로 계절 및 시기에 관계없이 보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저온창고의 온도를 영하 3.5℃ ~ 영하 0.5℃ 사이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이유는 상기 저온창고의 온도가 영하 0.5℃ 보다 높은 온도이면 저온창고에 보관중인 산양삼의 묘삼이 부패하여 온전한 상태로 보관되지 않게 되고, 상기 저온창고의 온도가 영하 3.5℃ 이하이면 산양삼의 묘삼이 얼어 새싹이 자라지 않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온도범위의 저온창고에서 보관중인 묘삼을 꺼내어 재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부엽재 채취단계(300)를 통해 활엽수의 나뭇잎이나 작은 가지가 미생물에 의해 부패된 상태의 부엽재를 채취한 후 부엽재 분쇄단계(400)를 통해 부엽재 채취단계(300)에서 채취된 부엽재를 분말형태가 되도록 분쇄기를 이용해 분쇄시키고, 상기 부엽재 분쇄단계(400)에서 분말형태로 분쇄가 이루어진 부엽재에는 합성토양 생성단계(500)를 통해 백마사가 혼합되어 합성토양을 생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합성토양 생성단계(500)에서 혼합되는 백마사가 부엽재 보다 많거나 동일하게 혼합된 경우에는 묘삼의 영양분 섭취가 미흡하게 이루어지게 됨은 물론, 백마사에 의한 물고임으로 인하여 현저하게 낮은 발아율을 보이게 됨으로써, 상기 부엽재와 백마사는 70~80 : 30~20의 비율(중량비)로 혼합시켜 묘삼의 영양분 섭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합성토양 생성단계(500)에서 합성토양을 생성시킨 후에는 도 2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모판(610)에 소정의 높이로 합성토양을 채우고, 상기 모판(610)에 채워진 합성토양에는 묘삼을 이식하는 묘삼 이식단계(60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묘삼과 묘삼의 간격은 1㎝ ~ 1.5㎝간격을 두고 이식함으로써, 상기 묘삼이 발아시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묘삼 이식단계(600)를 통해 묘삼을 이식한 후에는 합성토양의 상부에 재차 합성토양을 덮어 묘삼의 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합성토양 뿌림단계(510)를 통해 합성토양을 뿌려주게되고, 상기 합성토양 뿌림단계(510)를 거치면서 묘삼이 이식되어진 모판의 내부로는 합성토양 내부로 흡수될 수 있도록 수분 공급단계(700)를 통해 수분을 분무기를 이용해 공급하게 된다.
상기 수분 공급단계(700)를 거치면서 모판에 채워진 합성토양에 충분한 수분이 공급되어진 모판은 실내 보관단계(800)를 통해 비닐하우스와 같은 실내에 보관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실내에 보관중인 모판에 이식되어 묘삼의 싹이 발아되면 수분재 공급관계(710)를 통해 2 ~ 3일 간격으로 모판에 담겨진 합성토양의 겉 흙이 촉촉하게 젖을 정도로 수분을 보충시키게 됨과 동시에 온도 및 빛투과량 조절단계(900)를 통해 상기 모판에 이식된 묘삼이 자연환경재배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비닐하우스와 같은 실내에서 온도와 햇빛투과율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온도 및 빛투과량 조절단계(900)에서 묘삼이 이식된 모판(610)으로는 이식 1일에서 10일 까지는 빛 투과율이 40%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 11일차부터 상품 출하전인 28일차까지는 빛 투과율이 50 ~ 60%가 유지되도록 조절한다.
한편, 상기 온도 및 빛투과량 조절단계(900)에서 묘삼이 이식된 모판(610)이 보관중인 실내의 온도는 봄인 경우에는 15℃ ~ 22℃, 여름인 경우에는 20℃ ~ 29℃, 가을인 경우에는 18℃ ~ 24℃, 겨울인 경우에는 15℃ ~ 22℃의 온도가 냉온풍기에 의해 조절하여, 계절에 관계없이 묘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기재하였다.
1. 묘삼의 채취시기 및 보관방법
채취시기는 묘삼 싹이 트기전인 매년 봄(3월 중순에서 4월 중순까지) 또는 매년 가을(10월 중순에서 11월 중순까지)에 실시한다. 채취한 묘삼의 보관은 영하 3.5℃에서 영하 0.5℃사이로 맞추어진 저온창고에 보관한다. 온도의 차이에 따른 묘삼의 상태변화는 실시예를 통하여 확인해 보도록 한다.
실시예1 : 저온창고 온도에 따른 묘삼의 상태 변화
삭제

온도설정

실험기간

상태변화

영상 0℃에서 영상 5℃

60일

몸체가 부패되어 몸체가 무르고 뿌리가 썩어 눈이 떨어지고 이식 후 발아가 되지 아니하였음

영하 3.5℃에서 영하 0.5℃

60일

살짝 냉동된 상태로 보관되어 있었으며 이식 후 발아확률이 보관 전과 차이 없음
(최대 10개월까지 현 온도로 보관하여 발아 가능함을 확인 하였음. 단, 10개월 이후 개월수가 지남에 따라 발아 가능한 묘삼의 수가 현저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12개월 재배를 위하여 봄 수확 묘삼 10개월,
가을 수확 묘삼 2개월을 활용한다.)
[표 1] 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영하 0.5℃를 넘어 영상에서 보관 할 시에 묘삼이 보다 빠르게 썩는것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영하 3.5℃를 넘어 더 낮은 온도에 보관할 시에도 이식 후 묘삼의 발아 확률이 적어지는 것을 확인 하였으므로, 채취한 묘삼의 적정 보관온도는 영하 3.5℃에서 영하 0.5℃로 한다.
2. 실내재배에 적합한 합성토양 배합방법
묘삼이 자라기에 적합한 토양을 확인한다. 활엽수가 집결되어 있는 깊은 산 골짜기에서 부식되지 않는(나뭇가지에서 떨어진지 얼마되지 않은) 낙엽을 걷어내고 부식이 진행되어 있는 활엽수의 낙엽 및 나뭇가지를 채취한다.
채취한 부엽재를 묘삼이 양분을 최대로 섭취할 수 있는 상태로 변형시키기 위하여 분쇄기를 이용하여 3회에서 4회 반복 분쇄한다. 이 후 분쇄되지 못한 낙엽(부식되지 못한 낙엽)을 구별하기 위하여 2-10메쉬 정도로 분쇄된 부엽재를 다시 한 번 걸러준다. 체 위로 남은 부엽재는 합성토양에서 제외한다. 다음으로 부엽재와 백마사를 80~70:30~20의 비율(중량비)로 혼합하여 묘삼재배에 적합한 합성토양을 준비한다.
실시예2 : 토양의 합성 종류에 따른 발아율

합성 종류

묘삼 이식수

묘삼 발아수/율(%)

부엽재+황토(점토)

100

15

부엽재+모래(사토)

100

40

부엽재+질마사

100

88

부엽재+백마사

100

95

실시예3 : 토양의 배합에 따른 발아율
삭제

배합 비율(중량비)

묘삼 이식수

묘삼 발아수/율(%)

부엽재

백마사

30

70

100

31

50

50

100

45

70

30

100

90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토양의 합성 종류에 따라 이식한 묘삼의 발아율이 확실한 차이점을 보였다. 부엽재와 합성한 황토(점토)의 경우에는 배수가 이루어 지지 않아 발아되지 못한 묘삼은 몸체 또는 뿌리가 썩어 있음을 확인 하였다. 또한, 모래(사토)와 질마사를 합성한 합성토양의 경우에도 발아율은 좋았으나 묘삼의 잎의 모양이 좋지 못하여 상품성이 떨어졌다. 가장 발아율이 높았던 부엽재와 백마사를 합성한 토양을 이용하도록 한다. [표 3]에서는 부엽재와 백마사의 합성 비율에 따른 발아율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백마사가 부엽재보다 많거나 동일하게 혼합되었을 시에는 묘삼의 영양분 섭취 미흡 및 물고임으로 인하여 부엽재가 70% , 백마사가 30%의 비율(중량비)로 혼합되었을 시 보다 현저하게 낮은 발아율을 보였다. 그리하여 부엽재와 백마사의 합성토양 비율은 적정 비율인 70:30 (중량비) 으로 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3. 묘삼의 이식 및 초기 재배방법 (상품 출하 전 재배 1일차부터 최대 4주차까지의 관리방법)
합성토양을 준비된 상자(60cm*35cm*15cm)내에 10cm 높이로 채워준다.(단, 실내 노지 재배시에는 합성토양의 높이를 20cm로 한다.) 다음으로 상자 안 끝부터 시작지점을 정하여 골을 내어 차례대로 묘삼을 이식한다. 이 때, 묘삼과 묘삼 사이의 간격은 사방 1cm 내지 1.5cm로 하여 두고 이식한다. 한 상자에 이식되는 묘삼의 수는 30X10(주) 총 300주로 한다. 묘삼 이식이 끝나면 묘삼의 눈이 보이지 않도록 합성토양으로 덮어준 다음 합성토양의 깊이 1cm 까지 수분이 흡수 될 수 있도록 분무기를 이용하여 충분한 수분을 공급한다. 최소 3일에서 최대 6일 까지는 수분을 보충하지 않으며, 묘삼의 싹(새싹)이 발아 되었을 경우 최소 2일에서 최대 3일 간격으로 표면의 합성토양의 겉 흙이 촉촉하게 젖을 정도로 수분을 흡수 할 수 있도록 보충시킨다. 이식 종료 후 묘삼 재배대를 이용하여 1차 이동을 실시한다. 1차 이동은 재배대 1층을 활용한다.
실시예4 : 재배대 빛 투과율에 따른 묘삼의 변화

빛 투과율

묘삼 변화

80%

발아된 싹의 줄기가 짧으며 잎이 넓게 퍼진다

20%

발아된 싹의 줄기가 길고 잎이 넓게 피지 못 하였다
[표 4]를 근거로 하여 적정 투과율을 확인 한다. 이식 1일차부터 10일차 까지는 제배대 1층을 활용하여 40%를 유지한다. 이 후 11일차부터 상품 출하 전인 28일차 까지는 2차 이동이 이루어 지며 재배대 2층을 활용하여 빛 투과율이 50%~60%를 유지 하도록 한다.
4. 발아 7일차 이후 재배방법 (적정온도 유지 및 환경조성)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계절에 관계없는 묘삼의 재배에 있다. 그렇기 위해서는 발아 7일차 이후 재배방법이 중요하다.
실시예5 : 4계절 적정온도

계절


여름

가을

겨울

적정 온도

15℃에서 22℃

20℃에서 29℃

18℃에서 24℃

15℃에서 22℃
[표 5]에서와 같이 계절에 따른 온도 유지가 필요하다. 또한, 실외(자연) 재배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적정온도 유지를 위한 냉온풍기, 바람과 공기순환을 위한 선풍기, 햇빛의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는 차광막을 필요로 한다.
5. 계절에 따른 재배기간
365일 재배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계절별 잎의 변화에 대하여 실시예 6을 통하여 확인한다.
실시예6 :

계절

재배기간(상품가치)



15일이 지나면서 잎이 활짝 핀다

여름

18일이 지나면서 잎이 활짝 핀다

가을

15일이 지나면서 잎이 활짝 핀다

겨울

28일이 지나면서 잎이 활짝 핀다
[표 6]에서와 같이 계절에 따라 완벽하게 잎을 피우는 시기가 다르며 재배기간을 확인하면서 재배를 하여야 묘삼의 상품가치가 양호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묘삼 채취단계 200 : 묘삼 보관단계
300 : 부엽재 채취단계 400 : 부엽재 분쇄단계
500 : 합성토양 생성단계 510 : 합성토양 뿌림단계
600 : 묘삼 이식단계 700 : 수분 공급단계
710 : 수분재 공급관계 800 : 실내 보관단계
900 : 온도 및 빛투과량 조절단계

Claims (4)

  1. 산지에서 1년 내지 5년 사이에 재배된 산양삼을 묘삼 싹이 트기전에 채취하는 산양삼의 묘삼 채취단계(100);
    상기 산양삼의 묘삼 채취단계에서 채취된 묘삼을 영하 3.5℃ ~ 영하 0.5℃사이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는 저온창고에 보관하는 묘삼 보관단계(200);
    활엽수의 나뭇잎이나 작은 가지가 미생물에 의해 부패된 상태의 부엽재를 채취하는 부엽재 채취단계(300);
    상기 부엽재 채취단계(300)에서 채취된 부엽재를 분말형태가 되도록 분쇄기를 이용해 분쇄시키는 부엽재 분쇄단계(400);
    상기 부엽재 분쇄단계(400)에서 분말형태로 분쇄가 이루어진 부엽재에 백마사를 혼합하여 합성토양으로 생성시키는 합성토양 생성단계(500);
    상기 합성토양 생성단계(500)에서 생성된 합성토양을 소정의 높이로 모판에 채운 후 묘삼을 모판에 채워진 토양에 이식하는 묘삼 이식단계(600);
    상기 묘삼 이식단계(600)에서 묘삼이 이식되어진 합성토양의 상부에 재차 합성토양을 덮어 묘삼의 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합성토양 뿌림단계(510);
    상기 합성토양 뿌림단계(510)를 거치면서 묘삼이 이식되어진 모판의 합성토양 내부로 흡수될 수 있도록 수분을 분무기를 이용해 공급하는 수분 공급단계(700);
    상기 수분 공급단계(700)를 거치면서 모판에 채워진 합성토양에 수분이 공급되어진 모판을 비닐하우스 등과 같은 실내에 보관을 시키는 실내 보관단계(800);
    상기 실내에 보관중인 모판에 이식되어 묘삼의 싹이 발아되면 2 ~ 3일 간격으로 모판에 담겨진 합성토양의 겉 흙이 촉촉이 젖을 정도로 수분을 보충시키는 수분재 공급관계(710);
    상기 모판에 이식된 묘삼이 자연환경재배와 유사한 환경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비닐하우스와 같은 실내에서 온도와 햇빛 투과율을 조절하는 온도 및 빛투과량 조절단계(900)를 거쳐 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의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토양 생성단계(500)에서 혼합되는 부엽재와 백마사는 70~80 : 30~20의 비율(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의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 및 빛투과량 조절단계(900)에서 묘삼이 이식된 모판(610)으로는 이식 1일에서 10일 까지는 빛 투과율이 40%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후 11일차부터 상품 출하전인 28일차 까지는 빛 투과율이 50% ~ 60%가 유지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의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도 및 빛투과량 조절단계(900)에서 묘삼이 이식된 모판(610)이 보관중인 실내의 온도는 봄인 경우에는 15℃ ~ 22℃, 여름인 경우에는 20℃ ~ 29℃, 가을인 경우에는 18℃ ~ 24℃, 겨울인 경우에는 15℃ ~ 22℃의 온도가 냉온풍기에 의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의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
KR1020110073073A 2011-07-22 2011-07-22 산양삼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 KR101175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073A KR101175895B1 (ko) 2011-07-22 2011-07-22 산양삼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3073A KR101175895B1 (ko) 2011-07-22 2011-07-22 산양삼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895B1 true KR101175895B1 (ko) 2012-08-21

Family

ID=4688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3073A KR101175895B1 (ko) 2011-07-22 2011-07-22 산양삼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89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9262A (zh) * 2013-01-30 2013-04-17 东北师范大学 一种大棚营养块人参栽培方法
CN103070049A (zh) * 2013-02-06 2013-05-01 广西壮族自治区林业科学研究院 一种地热快速培育油茶种子芽苗砧木的育苗床
KR20160089576A (ko) * 2015-01-19 2016-07-28 김영태 인삼의 수경재배 방법
KR101836799B1 (ko) * 2016-01-18 2018-04-19 이근혁 새싹삼의 재배방법
KR101932981B1 (ko) * 2017-06-19 2018-12-27 박상배 고로쇠 수액과 매실엑기스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
KR20200139352A (ko) * 2019-06-04 2020-12-14 농업회사법인 도움기술 주식회사 묘삼 재배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346B1 (ko) 2005-07-18 2005-10-14 주식회사 케이엠에스아이 복제 산삼 재배법
KR100850315B1 (ko) 2007-12-26 2008-08-04 강창원 산양 산삼의 재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1346B1 (ko) 2005-07-18 2005-10-14 주식회사 케이엠에스아이 복제 산삼 재배법
KR100850315B1 (ko) 2007-12-26 2008-08-04 강창원 산양 산삼의 재배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39262A (zh) * 2013-01-30 2013-04-17 东北师范大学 一种大棚营养块人参栽培方法
CN103039262B (zh) * 2013-01-30 2014-02-05 东北师范大学 一种大棚营养块人参栽培方法
CN103070049A (zh) * 2013-02-06 2013-05-01 广西壮族自治区林业科学研究院 一种地热快速培育油茶种子芽苗砧木的育苗床
KR20160089576A (ko) * 2015-01-19 2016-07-28 김영태 인삼의 수경재배 방법
KR101724400B1 (ko) * 2015-01-19 2017-04-11 김영태 인삼의 수경재배 방법
KR101836799B1 (ko) * 2016-01-18 2018-04-19 이근혁 새싹삼의 재배방법
KR101932981B1 (ko) * 2017-06-19 2018-12-27 박상배 고로쇠 수액과 매실엑기스를 이용한 새싹삼 재배방법
KR20200139352A (ko) * 2019-06-04 2020-12-14 농업회사법인 도움기술 주식회사 묘삼 재배 방법 및 그 장치
KR102295074B1 (ko) 2019-06-04 2021-08-27 농업회사법인 도움기술 주식회사 묘삼 재배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45688A (zh) 一种青花菜的栽培方法
KR101175895B1 (ko) 산양삼 모종 발아 실내 재배방법
CN103299790A (zh) 一种南瓜种植的方法
CN101185394A (zh) 皇冠西瓜优质高效栽培方法
CN106416655A (zh) 重楼人工育苗方法
CN116671411B (zh) 一种角蒿属植物繁育至开花的方法
CN104663347A (zh) 一种紫薇苗越冬早促栽培方法
CN106171725A (zh) 一种云南高原地区蓝莓的种植方法
CN113079964A (zh) 一种黄花补血草的育苗及栽植方法
CN109644767B (zh) 一种油用牡丹的培育方法
CN111685004A (zh) 一种金线莲和黄精林下套种方法
CN103210771A (zh) 一种观赏羽扇豆保护地高效栽培方法
CN114303693B (zh) 柿“n+1”树形整形方法
CN105325214A (zh) 一种促进番茄快速生长的种植用培养基质的使用方法
CN105123254A (zh) 拱棚早熟马铃薯、西芹、叶菜的复种方法
CN109673409A (zh) 一种食用菊花的栽培方法
CN100499997C (zh) 杏香兔耳风繁育方法
CN106888741A (zh) 一种小型冬瓜早熟栽培方法
CN106879412A (zh) 一种荔枝早熟栽培方法
CN106888884A (zh) 一种柿子栽培方法
CN106888730A (zh) 一种小型黄瓜栽培方法
CN106888726A (zh) 一种小型南瓜早熟栽培方法
CN106888886A (zh) 一种柚子早熟栽培方法
CN106888917A (zh) 一种葡萄早熟栽培方法
CN1382366A (zh) 雪莲温室育苗人工栽培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