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845B1 - 프로젝터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845B1
KR101175845B1 KR1020107003091A KR20107003091A KR101175845B1 KR 101175845 B1 KR101175845 B1 KR 101175845B1 KR 1020107003091 A KR1020107003091 A KR 1020107003091A KR 20107003091 A KR20107003091 A KR 20107003091A KR 101175845 B1 KR101175845 B1 KR 101175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or
joint
space
rotation
moun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3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035A (ko
Inventor
다카시 쿠니시타
아키라 이시바시
료 스기모토
히로유키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우찌다요우고우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8/062730 external-priority patent/WO2009019956A1/ja
Publication of KR20100034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마루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주상체와 당해 마루에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횡량체(3)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또는 당해 횡량체(3)끼리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임의의 공간을 형성 가능한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영상을 투영 가능한 프로젝터(8)의 장착 상태를 조정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로서, 프로젝터를 횡량체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프로젝터가 횡량체에 평행한 수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고정 수단과 당해 프로젝터를 연결하는 회전 연결 수단(82)을 구비하고, 프로젝터는 회전 연결 수단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영상 투영 방향으로 영상을 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프로젝터가 설치된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프로젝터의 스크린 위치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프로젝터 장착 장치{PROJECTOR FIXING DEVICE}
본 발명은 사무실이나 전시장 등에 있어서, 정보 기기나 패널(panel) 등을 전시하기 위한 공간 구조체에 장착되는 프로젝터(projector)의 장착 상태를 조정 가능하게 하는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무실이나 전시장 등에 있어서, 정보 기기를 이용한 회의 공간이나 전시 공간 등의 공유 공간을 구축하는 경우, 거기서 이용하는 정보 기기 등의 치수나 중량 등의 각 제원을 기초로 공간 구조체의 설계를 행하는 것이 통상이다. 예를 들면, 정보 기기로서의 디스플레이(display)나 프로젝터를 취해도, 그 치수나 중량, 사용하는 개수 등은 당해 공간의 이용 목적에 의해 여러 가지이기 때문에, 각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되기 위해 공간 구조체가 설계된다. 그러나, 요즈음의 정보 기기의 발전은 급속하기 때문에, 차례로 새로운 정보 기기가 등장하거나, 또 종래부터의 정보 기기라도 새로운 기능이 부가되거나 소형화가 도모되거나 하여 경신된다. 그 결과 그러한 정보 기기를 이용한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는, 새로운 정보 기기의 등장 등에 의한 치수, 형상의 변화에 따라, 공간 구조체도 재차 다시 설계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래서, 정보 기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새로운 정보 기기의 등장이나 그 정보 기기의 경신 등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용이하게 새로운 공간 구조체를 설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공개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여기서, 상기와 같은 공간 구조체에서 이용되는 정보 기기로서 프로젝터를 들 수 있다. 이 프로젝터는 스크린(screen) 등에 영상을 투영함으로써, 많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프로젝터는 스크린까지의 거리를 확보하면서, 그 배치가 사용자의 방해로 되지 않게 통상 천장 등으로부터 매달아 설치되는 일이 많다. 그리고, 프로젝터가 공간 구조체에 설치되는 경우, 프로젝터의 투영 상태를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 그 자세를 미세 조정할 수 있게 하는 장착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3을 참조).
일본특허공개2007-132474호공보 일본특허공개1996-275093호공보 일본특허공개1998-3122호공보
사무실이나 전시장 등에 이용되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요즈음 프로젝터(projector)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이것은 프로젝터가 많은 청중에 대해서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을 행할 때에 매우 편리한 도구인 등의 이유에 의한다. 그리고, 이 프로젝터의 편리성을 더 높이는 사용 형태로서, 멀티스크린(multiscreen)에 의한 프레젠테이션이 널리 행해져 왔다. 멀티스크린이란, 프로젝터의 투영 스크린을 복수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또한 효과적인 프레젠테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사용 형태이다. 그러나, 종래의 공간 구조체에서는, 이러한 프레젠테이션의 장소로서 유용한 멀티스크린에 대응하는 프로젝터의 장착 장치는 개발되어 있지 않다.
또, 공간 구조체의 구조가 변경되는 경우, 프로젝터에 의한 투영 대상의 스크린이 증가하는 경우가 생각된다. 이러한 경우에 프로젝터의 장착 상태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당해 프로젝터의 장착 장치는 종래에는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정보 기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공간 구조체 중 특히 프로젝터가 설치되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프로젝터의 스크린 위치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당해 프로젝터의 장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프로젝터의 횡량체(cross beam body)에의 장착에 있어서, 프로젝터와 횡량체가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하였다. 프로젝터가 회전 가능하게 됨으로써, 복수의 스크린에 대해서 프로젝터가 영상을 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마루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주상체(columnar body)와 당해 마루에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횡량체(cross beam body)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또는 당해 횡량체끼리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임의의 공간을 형성 가능한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영상을 투영 가능한 프로젝터의 장착 상태를 조정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로서, 상기 프로젝터를 상기 횡량체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상기 프로젝터가 상기 횡량체에 평행한 수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고정 수단과 당해 프로젝터를 연결하는 회전 연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회전 연결 수단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영상 투영 방향으로 영상을 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있어서는, 고정 수단에 의해 횡량체와 프로젝터가 고정됨과 아울러, 회전 연결 수단에 의해 프로젝터가 횡량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평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수평 회전이란, 엄밀하게 횡량체에 평행한 수평면에 한정되지 않고, 어느 정도의 폭을 가지고 있어도 좋고, 따라서 연직면에 있어서의 회전과 구별 가능하면 좋다. 이 결과, 프로젝터는 적어도 2개의 영상 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이 영상 투영 방향이란, 프로젝터가 사용자에 대해서 제공하는 영상을 투영하는 방향으로서, 명확히 서로 다른 영상 방향으로 인식되는 방향이고, 개개로 설치된 스크린 등의 투영면에 대응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프로젝터의 자세를 미세 조정함으로써 생기는 투영 방향의 약간의 어긋남 등은 본 발명에서 말하는 「2개의 영상 투영 방향」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의해 공간 구조체에 장착된 프로젝터는, 횡량체에 고정되면서도 적어도 2개의 영상 투영 방향을 가지기 때문에, 멀티스크린의 요구에 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로써 사용자에의 쾌적한 프레젠테이션 공간의 제공에 이바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공간 구조체에서는, 횡량체와 주상체의 조합 및 그들의 연결에 의해 임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멀티스크린의 설치도 용이하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를 다른 측면으로부터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거기에서는, 프로젝터의 횡량체에의 장착에 있어서, 프로젝터가 연직면 내에 있어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도 프로젝터의 투영 장소를 공간 구조체의 목적의 장소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로써 프로젝터의 스크린 위치를 사용자의 요망 등에 따르게 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마루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주상체와 당해 마루에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횡량체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또는 당해 횡량체끼리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임의의 공간을 형성 가능한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영상을 투영 가능한 프로젝터의 장착 상태를 조정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로서, 상기 프로젝터를 상기 횡량체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상기 프로젝터가 연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고정 수단과 당해 프로젝터를 연결하는 회전 연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회전 연결 수단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영상 투영 방향으로 영상을 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 나아가서는, 또 상술한 프로젝터를 수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회전 연결 수단에 있어서, 또한 연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고정 수단과 프로젝터가 연결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수평면 내와 연직면 내의 양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은 더 향상된다.
여기서, 상술까지의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주상체 또는 상기 횡량체가 가감되고, 또는 이미 연결되어 있는 당해 주상체 또는 당해 횡량체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새로운 임의 공간이 형성될 때, 상기 회전 연결 수단은 당해 임의 공간 형성 후의 상기 프로젝터의 새로운 영상 투영 위치에 대응하기 위해 당해 프로젝터를 회전 가능하게 해도 좋다.
즉, 상기 공간 구조체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임의 공간의 형성이 가능하다. 그 결과, 프로젝터의 영상 투영 능력이나 사용자를 위한 프레젠테이션 환경 등을 고려하여 프로젝터의 영상 투영면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요망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의하면, 프로젝터의 수평면 내에 있어서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가 있고, 그로써 새로운 영상 투영면을 향해 영상 투영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새로운 영상 투영면에 대응하기 위해 프로젝터의 방향을 바꾸는 경우, 고정 수단에 의해 프로젝터를 횡량체에 고정한 채의 상태에서 방향을 바꾸어도 좋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일시적으로 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을 해제하여 횡량체와 프로젝터의 고정 위치도 변경한 다음, 당해 프로젝터의 방향을 바꾸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의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프로젝터를 상기 횡량체를 따라 슬라이드(slide) 이동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당해 횡량체의 임의의 위치에 당해 프로젝터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거기서 상기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임의 공간이 형성될 때, 상기 고정 수단은 당해 임의 공간 형성 후의 상기 프로젝터의 새로운 영상 투영 위치에 대응하기 위해 당해 프로젝터의 위치를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아울러, 당해 슬라이드 이동 후의 당해 프로젝터를 상기 횡량체에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새로운 임의 공간이 형성되었을 때에, 고정 수단에 의한 고정을 해제함과 아울러, 프로젝터를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당해 프로젝터의 횡량체에 대한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새로운 영상 투영면에 프로젝터를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이 고정 수단에 의한 프로젝터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의 하나로서 이하의 구성을 예시할 수가 있다. 즉, 상기 횡량체는 축심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당해 축심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또한 당해 횡량체의 단면에 있어서 개구부를 가지는 반폐(半閉) 공간인 횡량체 홈부를 가지는 것으로서, 거기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횡량체 홈부 내를 슬라이딩(sliding)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개구부를 개재하여 상기 회전 연결 수단과 연결되는 구성이 유용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고정 수단이 횡량체 홈부 내를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하면서도 회전 연결 수단과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상태가 보지(保持)되고, 그로써 상술한 새로운 영상 투영면에의 프로젝터의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까지의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프로젝터를 연직 하방향으로 매달도록, 당해 프로젝터를 상기 횡량체에 고정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의한 프로젝터의 장착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또, 상술까지의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 연결부를 개재한 당해 프로젝터의 방향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 연결부와 상기 프로젝터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장소에서 당해 프로젝터측과 접속되고, 그 접속점으로부터 사용자가 위치하는 하방으로 뻗어 있도록 해도 좋다. 상기 조작부는 프로젝터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해서 유용하다. 그리고, 이 조작부는 회전 연결부와 프로젝터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회전 연결부에 대해서, 프로젝터의 방향을 바꾸기 위한 토크(torque)를 효율적으로 당해 회전 연결부에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 소정 거리는 프로젝터의 효율적인 방향의 조정과 프로젝터 장착 장치의 크기 등을 적당히 판단하여 설정하면 좋다.
또, 상기 조작부에 대신하여, 상기 프로젝터를 둘러싸고, 또한 사용자가 위치하는 하방을 향해 환상으로 형성되도록 당해 프로젝터측과 접속되는 조작부를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조작부를 환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그 환상 조작부의 일부를 잡고, 프로젝터를 수평 방향 또는 연직 방향으로 자유롭게 또한 용이하게 회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환상 형성의 일례로서,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평부와 연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직부에 의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작부나,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작부를 들 수 있다.
프로젝터가 설치되고, 임의 공간의 형성이 가능한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프로젝터의 스크린 위치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projector) 장착 장치에 의해 프로젝터가 장착되는 공간 구조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폴(pole)의 외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빔(beam)의 외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빔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를 구성하는 소빔(small beam)의 외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소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의 코너부(corner portion)에 있어서의 1개의 폴과 2개의 빔의 연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조인트(joint)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폴과 빔의 연결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의 폴의 하부에 있어서의 폴과 소빔의 연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폴 하부에 연결된 2개의 조인트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소빔에 연결되는 조인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도 12에 나타내는 2개의 조인트가 연결된 폴과, 도 13에 나타내는 조인트가 연결된 소빔을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의 빔끼리의 연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제1의 조인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제2의 조인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도 15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제3조인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나타내는 제2의 조인트와 도 18에 나타내는 제3조인트가 협력하여 기능을 발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제1의 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나타내는 제2의 조인트와 도 18에 나타내는 제3조인트가 협력하여 기능을 발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제2의 도이다.
도 21은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슬라이드(slide)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빔과 폴을 연결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조인트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를 구성하는 부세(付勢)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는 도 21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를 구성하는 베이스(base)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5는 도 21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의 홈 내에서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제1의 도이다.
도 26은 도 21에 나타내는 연결에 있어서 사용되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의 홈 내에서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제2의 도이다.
도 27은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슬라이드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소빔과 폴을 연결할 때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8은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의해 빔에 매달려 연결, 고정된 프로젝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제1의 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제2의 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포함되는 조인트의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포함되는 플런저(plunger) 기구를 이용한 조인트의 원반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3은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새로운 폴 및 빔을 추가함으로써 형성된 새로운 공간 구조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제1의 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의 단면을 나타내는 제2의 도이다.
도 36a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연결되는 제1의 조작 핸들(handle)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제1의 도이다.
도 36b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연결되는 제1의 조작 핸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제2의 도이다.
도 36c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연결되는 제1의 조작 핸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제3도이다.
도 37a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연결되는 제2의 조작 핸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제1의 도이다.
도 37b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연결되는 제2의 조작 핸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제2의 도이다.
도 37c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연결되는 제2의 조작 핸들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제3도이다.
<실시예 1>
여기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가 사용되는 공간 구조체의 상세에 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공간 구조체(1)의 전체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공간 구조체(1)는 주로 복수의 주상체(columnar body)인 폴(pole)(2a~2f, 2h~2j)(이하, 합쳐서 「폴(2)」이라고도 칭한다)과, 복수의 횡량체(cross beam body)인 빔(beam)(3a~3i)(이하, 합쳐서 「빔(3)」이라고도 칭한다), 소빔(small beam)(4b, 4c)(이하, 합쳐서 「소빔(4)」이라고도 칭한다)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폴(2)은 마루면으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뻗어 있어 공간 구조체(1)를 지지하는 것이고, 빔(3), 소빔(4)은 마루면에 수평으로 뻗어 있고 폴(2)끼리 또는 빔(3)끼리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1)는 직사각형체를 하고 있고, 그 기본적 구성으로서 그 네 귀퉁이 및 장변의 중간 근방에 6개의 폴(2a~2f)을 가진다. 그리고, 이들 폴(2a~2f)의 정수리부가 7개의 빔(3a~3g)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폴(2f)과 대향하도록 폴(2h)이 설치된다. 이 폴(2h)은 빔(3f)의 도중에 접속된다. 그리고, 폴(2f)과 폴(2h)의 사이에 2개의 소빔(4b)이 상하 각각에 접속되고, 소빔(4b)과 폴(2f, 2h)로 둘러싸인 공간에 선반(6)이 설치되어 있다.
또, 폴(2c, 2d)의 사이에, 빔(3d)의 도중에 접속되는 폴(2i, 2j)이 2개 설치된다. 그리고, 폴(2c, 2i, 2j, 2d)의 하부에 있어서, 각각의 사이가 소빔(4c)에 의해 접속되어, 공간 구조체의 강도 향상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폴(2c와 2i)의 사이, 폴(2i와 2j)의 사이, 폴(2j와 2d)의 사이에는 각각 스크린(screen)(7a, 7b, 7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스크린(7a~7c)은 빔(3g)에 매달려 설치되는 프로젝터(8)의 투영면이다. 또한, 이 프로젝터(8)의 설치에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장착 장치가 이용되지만, 그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도 28 등을 참조). 또, 이 프로젝터(8)의 중량에 의한 빔(3g)에의 부하를 고려하여, 보강을 위해서 빔(3g)과 빔(3d)의 사이에 빔(3h, 3i)이, 빔(3c, 3e)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프로젝터(8)가 각 스크린에 투영하는 영상의 신호는 선반(6)에 수납된 컴퓨터로부터 당해 프로젝터(8)로 주어진다.
이와 같이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1)는, 컴퓨터나 프로젝터(8) 등의 정보 기기가 조립해 넣어지고,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적당히 폴, 빔, 소빔을 조합함으로써 구성되는 구조체이고, 프로젝터(8)로부터의 투영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프레젠테이션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공간 구조체(1)로서는, 도 1에 나타내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사용 목적에 따라 복수의 폴(2)이나 빔(3), 소빔(4)이 조합되어 임의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 폴(2), 빔(3), 소빔(4)의 상세한 구조 및 이들의 연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폴(2)의 설명을 도 2 및 도 3에 기초하여 행한다. 도 2는 폴(2)의 외관도이고, 도 3은 폴(2)의 단면도이다. 폴(2)은 그 단면에 있어서 균등하게 4분할된 형상을 가진다. 중심부(20)로부터 사방으로 방사상으로 격벽(21)이 뻗어 있고, 폴(2)의 단면에 있어서의 정방형의 정점(P)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나의 정점(P)으로부터 인접하는 정점(P)을 향해 벽면(22)이 뻗어 있다. 하나의 정점(P)으로부터 뻗어 있는 벽면(22)과, 그것에 인접하는 다른 정점(P)으로부터 뻗어 있는 벽면(22)은 양 정점(P)의 중간 앞까지 뻗어 있고, 양자는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대향하는 벽면(22, 22)(이하, 「한 쌍의 벽면(22)」이라고 칭한다)의 사이에는 개구부(23)가 형성된다. 또, 한 쌍의 벽면(22)과 격벽(21)과 중심부(20)에 의해 홈부(24)가 형성된다. 이들 개구부(23) 및 홈부(24)는, 도 2에 나타내듯이, 폴(2)의 축심 방향으로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뻗어 있다.
또한, 폴(2)의 단면의 각 정점(P)에 있어서, 각 정점(P)으로부터 폴(2)의 바깥 방향으로 뻗어 나가고, 당해 정점(P)으로 연결되는 2개의 벽면(22)에 각각 직교하는 2개의 외벽면(25)이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하나의 정점(P)으로부터 뻗어 나가는 외벽면(25)과, 그것에 인접하는 다른 정점(P)으로부터 뻗어 나가는 외벽면(25)은 대향한다. 그리고, 이 대향하는 외벽면(25)과, 이들과 연결되는 한 쌍의 벽면(22)에 의해, 폴(2)의 표면 상에 반폐 공간인 배선용 홈부(26)가 형성된다. 이 배선용 홈부(26)에는, 공간 구조체(1)에서 사용되는 정보 기기의 전원 케이블(cable)이나 신호 케이블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배선용 홈부(26)에 케이블을 수납하면 외관의 디자인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와이어 링 커버(wire ring cover)를 배선용 홈부(26)를 덮도록 설치해도 좋다.
다음에, 빔(beam)(3)의 설명을 도 4 및 도 5에 기초하여 행한다. 도 4는 빔(3)의 외관도이고, 도 5는 빔(3)의 단면도이다. 빔(3)의 단면 형상은 폴(pole)(2)의 단면 형상과 거의 동일하다. 빔(3)의 중심부(30), 격벽(31), 벽면(32)(한 쌍의 벽면(32)), 개구부(33), 홈부(34), 정점(Q)은, 폴(2)의 중심부(20), 격벽(21), 벽면(22)(한 쌍의 벽면(22)), 개구부(23), 홈부(24), 정점(P)에 각각 대응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빔(3)에 있어서는, 공간 구조체(1)에서 사용되는 정보 기기의 전원 케이블이나 신호 케이블을 수납하기 위한 배선용 홈부의 구성이 폴(2)의 경우와 다르다. 빔(3)에서는, 도 5에 나타내듯이, 연직 상방향 및 연직 하방향의 2방향에만 배선용 홈부(36, 38)가 형성된다. 여기서, 연직 상방향의 배선용 홈부(36)를 구성하는 외벽면(35)의 높이(정점(Q)으로부터의 외벽면(35)의 높이)는, 연직 하방향의 배선용 홈부(38)를 구성하는 외벽면(37)의 높이(정점(Q)으로부터의 외벽면(37)의 높이)보다도 높게 설계되어 있다. 이것은 빔(3)이 공간 구조체(1)에 조립해 넣어질 때, 배선용 홈부(36)는 연직 상방향으로 개구하므로 보다 많은 케이블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물론, 연직 하방향의 배선용 홈부(38)에도 케이블을 수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외관의 디자인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그 경우도 5에 나타내는 와이어 링 커버(wire ring cover)를 배선용 홈부(38)를 덮도록 설치해도 좋다. 또한, 빔(3)의 수평 방향의 표면에는, 외벽면(35, 37)에 상당하는 벽면은 설치되지 않고, 배선용 홈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음에, 소빔(small beam)(4)의 설명을 도 6 및 도 7에 기초하여 행한다. 도 6은 소빔(4)의 외관도이고, 도 7은 소빔(4)의 단면도이다. 소빔(4)의 단면 형상은 빔(3)의 횡방향과 동일하고 그 종방향을 압축한 것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빔(3)에 비해 박형의 빔이다. 소빔(4)의 중심부(40), 격벽(41), 벽면(42)(한 쌍의 벽면(42)), 개구부(43), 홈부(44), 정점(R)은, 빔(3)의 중심부(30), 격벽(31), 벽면(32)(한 쌍의 벽면(32)), 개구부(33), 홈부(34), 정점(Q)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소빔(4)에 있어서는 상기의 배선용 홈부(26, 36, 38)에 상당하는 공간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공간 구조체(1)를 구성하는 폴(2), 빔(3), 소빔(4)의 연결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공간 구조체(1)의 각 코너부(corner portion)에 있어서의 각 요소의 연결에 대해서, 도 8, 9, 1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코너부에 있어서의 2개의 빔(3)과 1개의 폴(2)의 연결의 모습(예를 들면,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폴(2a)과 빔(3a, 3b)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 10은 폴(2)과 빔(3)의 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코너부에 있어서의 폴(2)과 빔(3)의 연결은 조인트(joint)(10)를 개재하여 행해진다. 조인트(10)는 폴(2)에 설치될 때 그 상단면과 접촉하는 설치면(10a)을 가지고 있고, 이 설치면(10a)의 중앙에는 관통공(10d)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공(10d)은, 설치면(10a)이 폴(2)의 상단면에 설치되면, 폴(2)의 중앙부(20)에 설치된 나사공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듯이 나사에 의해 조인트(10)를 폴(2)에 연결한다.
또한, 조인트(10)는 빔(3)에 설치될 때 그 단면과 접촉하는 설치면(10b)을 가지고 있고, 이 설치면(10b)의 중앙에는 관통공(10e)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공(10e)은, 설치면(10b)이 빔(3)의 단면에 접촉하면, 빔(3)의 중앙부(30)에 설치된 나사공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한다. 그리고, 도 10에 나타내듯이 나사에 의해 조인트(10)를 빔(3)에 연결한다. 또한, 설치면(10b)이 빔(3)의 단면에 접촉할 때에, 빔(3)의 배선용 홈부(38)의 단부에 끼워져 들어가는 빔 가이드부(beam guide portion)(10c)가 조인트(10)에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빔 가이드부(10c)가 배선용 홈부(38)에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빔(3)을 조인트(10)에 연결할 때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이 설치면(10b), 빔 가이드부(10c), 관통공(10e)은 폴(2)의 형상에 따라서 조인트(10)에 4개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10)를 폴(2)에 나사로 연결하는 경우는, 도 9에 나타내듯이 조인트(10)의 상부의 개구부로부터 나사를 삽입하여 연결 작업을 행한다. 또, 조인트(10)를 빔(3)에 나사로 연결하는 경우도 조인트(10)의 상부의 개구부로부터 나사를 삽입하여 연결 작업을 행하든지, 또 연결에 사용하는 관통공(10e)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관통공(10e)를 이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조인트(10)를 개재하여 폴(2), 빔(3)을 연결시킨 후, 도 8에 나타내듯이 조인트(10)의 상부의 개구부에 어저스터 서포트(adjuster support)(12)로 덮개를 한다. 이 어저스터 서포트(12)에는 안나사가 형성된 통부가 설치되고, 당해 통부를 덮는 어저스터 커버(adjuster cover)(13)와, 통부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를 가지는 어저스터(adjuster)(14)가 설치된다. 이 어저스터(14)는 공간 구조체(1)가 놓이는 사무실 등의 천장과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폴(2)의 하부끼리를 연결하는 소빔(4)의 연결에 대해서 도 11~1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폴(2)의 하부에 있어서의 폴(2)과 소빔(4)의 연결의 모습(예를 들면,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폴(2c)과 소빔(4c)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13은 폴(2)과 소빔(4)의 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 폴(2)과 소빔(4)의 연결은 조인트(50, 51, 52)를 개재하여 행해진다. 조인트(50)는 도 11에 나타내듯이 폴(2)의 하단부에 접속되는 조인트이다. 이 조인트(50)는 폴(2)의 중앙부(20)에 설치된 나사공에 대응하는 관통공(50b)을 가지는 접촉면(50a)을 구비한다. 또, 조인트(50)에는 폴(2)의 대향하는 외벽면(25)과 마찬가지의 대향하는 외벽면(50c)이 4조 설치되어 있다. 또, 대향하는 외벽면(50c)의 사이에는 폴(2)의 개구부(23)와 같은 개구부는 없고, 후술하는 조인트(51)의 고정용의 나사공이 설치되어 있다.
폴(2)의 하단부에 조인트(50)가 연결되면, 도 12에 나타내듯이, 상기의 조인트(50)에 설치된 조인트(51) 고정용의 나사공과, 조인트(51)측의 관통공을 이용하여 조인트(51)가 조인트(50)에 연결된다. 이 조인트(51)는 후술하는 조인트(52)와 조인트(50)를 중개하는 기능을 가진다. 조인트(51)에는 조인트(5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51a)와, 당해 지지부(51a) 상에 조인트(52)의 연결을 위한 나사공(51b)이 설치된다.
다음에, 조인트(52)에 대해서 도 1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조인트(52)는 미리 소빔(4)에 연결된다. 도 13에 나타내듯이, 조인트(52)는 평행한 2개의 족부(52a)와, 당해 족부(52a)가 연결되는 베이스부(base portion)(52b)로 구성된다. 이 베이스부(52b)의 상부 중앙에는 관통공(52c)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평행한 족부(52a)가 소빔(4)의 홈부(44)에 삽입되고 나사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조인트(52)가 고정된 소빔(4)을, 도 14에 나타내듯이, 조인트(51)가 고정된 폴(2) 및 조인트(50)에 연결시킨다. 이때 나사공(51b)과 관통공(52c)이 겹친 상태에서, 나사에 의한 조인트(51)와 조인트(52)의 연결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조인트(50, 51, 52)를 개재하여 폴(2), 소빔(4)을 연결시킨 후, 도 11에 나타내듯이, 어저스터 커버(adjuster cover)(53)와 어저스터(adjuster)(54)가 설치된다. 이 어저스터(54)는 공간 구조체(1)가 놓이는 사무실 등의 마루면과의 거리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고, 어저스터 커버(53)는 어저스터(54)의 일부를 덮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빔(3)과 빔(3)의 연결에 대해서 도 15~도 2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빔(3)끼리의 연결의 모습(예를 들면,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빔(3d)과 빔(3h)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18은 빔(3)끼리의 연결에 사용되는 각 조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 20은 조인트에 의한 빔(3)끼리의 연결의 상세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듯이, 빔(3)끼리의 연결은 조인트(60, 61, 62)를 개재하여 행해진다. 여기서, 조인트(60)는 도 15에 나타내듯이 빔(3)의 단부에 접속되는 조인트이다. 도 16에 조인트(60)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다. 조인트(60)는 빔(3)에 설치될 때 그 단면과 접촉하는 설치면(60a)을 가지고 있고, 이 설치면(60a)의 중앙에는 관통공(60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공(60b)은, 설치면(60a)이 빔(3)의 단면에 설치되면, 빔(3)의 중앙부(30)에 설치된 나사공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한다. 또, 조인트(60)의 빔(3)의 단면에의 위치 맞춤을 용이하게 하도록, 빔(3)의 홈부(34)에 대응하는 설치면(60a) 상에 4개의 돌기부(60c)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5에 나타내듯이 나사에 의해 조인트(60)를 빔(3)에 연결한다.
또한, 설치면(60a)이 빔(3)의 단면에 접촉할 때에, 빔(3)의 배선용 홈부(38)의 단부에 끼워져 들어가는 빔 가이드부(60d)가 조인트(60)에 설치되어 있다. 빔 가이드부(60d)가 배선용 홈부(38)에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빔(3)을 조인트(60)에 연결할 때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빔 가이드부(60d)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조인트(62)와 당해 조인트(60)를 연결하기 위한 나사공(60e)이 설치되어 있다.
도 17에 조인트(61)의 상세한 구조를, 도 18에 조인트(62)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들 조인트는 협력하여 기능하는 조인트이고, 그 모습이 도 19, 20에 도시된다. 조인트(61)는 평판 모양의 베이스부(61a)와, 베이스부(61a)의 일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갈고리부(61b)와, 당해 베이스부(61a)의 타단으로부터 당해 갈고리부(61b)와는 반대측의 하방으로 뻗어 있는 가이드부(61c)를 가진다. 또, 베이스부(61a)에는 나사공(61d)이 설치되어 있다.
조인트(62)는 베이스부(62a)의 상부 중앙 부근에 사각 형상의 관통공(62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통공(62b)의 가로폭은 조인트(61)가 수용할 수 있는 폭이다. 그리고, 이 관통공(62b)의 하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가이드홈(62c)이 설치되고, 또한 그 하부에는 하부 베이스부(62d)가 설치된다. 이 하부 베이스부(62d)는 가이드홈(62c)보다 전면으로 튀어나와 있고, 그 표면에 관통공(62e)이 설치되어 있다. 또, 관통공(62b)의 상부에는 돌기부(62f)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관통공(62g)(도 20을 참조)이 설치된다. 또한, 조인트(62)의 베이스부(62a)의 배면에는 하방으로 돌출한 갈고리부(62h)(도 20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조인트(61, 62)의 협력적인 기능의 발휘는 도 19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즉, 조인트(61)의 갈고리부(61b)와 조인트(62)의 갈고리부(62h)가 빔(3)의 측면측의 홈부(34)에 삽입되고, 그리고 갈고리부(61b)가 당해 홈부(34)를 형성하는 상측의 단면(32)과 걸어맞춰지고, 갈고리부(62h)가 당해 홈부(34)를 형성하는 하측의 단면(32)과 걸어맞춰짐으로써, 양 조인트가 빔(3)의 측면측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다. 이 조인트(61, 62)의 협력하는 기능의 발휘의 모습을 도 20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 (a)에 나타내듯이, 조인트(61)의 갈고리부(61b)가 관통공(62b)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조인트(61)를 관통공(62b) 내에 삽입한다. 이때 갈고리부(61b)와 갈고리부(62h)는 빔(3)의 홈부(34) 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조인트(61)의 가이드부(61c)가 조인트(62)의 가이드홈(62c)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조인트(61)를 삽입한다. 그리고, 조인트(61)의 나사공(61d)과 조인트(62)의 관통공(62g)이 상하 방향에 있어서 일직선 상에 위치한 상태로 된다. 그래서, 관통공(62g)으로부터 나사공(61d)을 향해 나사가 삽입되고, 또한 당해 나사의 선단은 가이드홈(62c)의 단부에 접촉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당해 나사를 회전시키면, 가이드부(61c)가 가이드홈(62c) 상을 슬라이딩(sliding)하는 상태에서, 조인트(61)가 조인트(62)에 대해서 상하 방향에 있어서 상대 이동을 행한다. 그 결과, 갈고리부(61b)와 갈고리부(62h)의 간격이 나사의 회전에 의해 조정되게 되어, 양 갈고리부에 의한 홈부(34)(그것을 형성하는 단면(32))와의 걸어맞춤 상태가 제어되게 된다.
부언하면, 나사를 조정하여 양 갈고리부에 의한 홈부(34)에의 걸어맞춤력을 약하게 하면, 조인트(61)와 조인트(62)는 협력하여 빔(3)의 측면측의 홈부(34)의 개구부(33)를 슬라이딩하여, 임의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그 임의의 위치에서 나사를 조정하여 양 갈고리부와 홈부(34)의 걸어맞춤력을 강하게 함으로써, 당해 위치에 조인트(61)와 조인트(62)를 빔(3)에 대해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이 조인트(61)와 조인트(62)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연결 수단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빔(3)에 고정된 조인트(61, 62)에 대해서 다른 빔(3)에 설치된 조인트(60)를 연결시킴으로써, 당해 하나의 빔과 당해 다른 빔의 연결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조인트(60)의 나사공(60e)과 조인트(62)의 관통공(62e)을 개재하여 양 조인트가 나사 고정됨으로써, 임의의 위치에서의 빔끼리의 연결이 달성된다.
다음에,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빔(3)에 대해서 그 도중에 폴(2)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도 21~도 2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빔(3)과 폴(2)의 연결의 모습(예를 들면,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빔(3f)과 폴(2h)의 연결)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도 26은 빔(3)과 폴(2)의 연결에 사용되는 조인트 및 슬라이드 연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1에 나타내듯이, 빔(3)과 폴(2)의 연결은 조인트(70),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개재하여 행해진다. 여기서, 조인트(70)는 도 21에 나타내듯이 폴(2)의 단부에 접속되는 조인트이다. 도 22에 조인트(70)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낸다. 조인트(70)는 폴(2)에 설치될 때 그 단면과 접촉하는 설치면(70a)을 가지고 있고, 이 설치면(70a)은 조인트(70)의 하부의 베이스부(70b)를 구성한다. 이 베이스부(70b)에는 설치면(70a)까지 관통하는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70)에는 이 설치면(70a)을 가지는 베이스부(70b) 상에, 중앙부가 개구하고 당해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각각 관통공(70c)을 가지는 지지부(70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개구부를 지나 상기의 베이스부(70b)에 설치된 관통공에 접근이 가능하고, 또한 이 관통공은 설치면(70a)이 폴(2)의 단면에 설치되면, 폴(2)의 중앙부(20)에 설치된 나사공에 대응하는 위치를 취한다. 그래서, 나사에 의해 조인트(70)를 폴(2)에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조인트(70)의 지지부(70d)에 설치된 관통공(70c)은,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에 설치된 나사공(좌우 양단의 2개의 나사공)에 대응하고, 이들을 개재하여 나사에 의해 조인트(70)와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는 연결된다. 또, 슬라이드 연결 장치(71)가 조인트(70)에 대해서 비교적 작게 되는 경우는, 1개의 조인트(70)에 대해서 2개의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연결시켜도 좋다.
여기서, 이하에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의 상세를 설명한다.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는, 도 23에 나타내는 부세(付勢) 부재(72)와 도 24에 나타내는 베이스(base) 부재(73)로 구성된다. 이 둘은 완전히 별개의 부재이다. 부세 부재(72)는 윤곽 형상을 가지는 부세부(72a)와, 부세부(72a)로부터 일방향으로 돌출한 돌기부(72b)와, 돌기부(72b)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부세부(72a)로부터 돌출한 돌기부(72c)로 구성된다. 부세부(72a)는 돌기부(72b)와 돌기부(72c)가 설치된 각 점을 연결하는 선에 대해서 선대칭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인 부세부(72a)의 형상은, 각 돌기부 근방(도 중 R1로 표시되는 영역)에서는 선대칭의 중심선을 약간 따르는 형상이고, 또한 부세부(72a)의 중앙에 가까워지면(도 중 R2로 표시되는 영역) 선대칭의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원호 형상을 취하고, 부세부(72a)의 중앙 근방(도 중 R3으로 표시되는 영역)에서는 선대칭의 중심선에 거의 평행한 형상으로 된다. 부세부(72a)가 이러한 형상을 채용함으로써, R1로 표시되는 영역의 부세부를 축으로 하여, R3으로 표시되는 영역의 부세부가 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휘기 쉬워지고, 그 휨에 의해 부세부(72a)가 도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힘을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돌기부(72c)는 대체로 원기둥 모양의 돌기 형상을 가지고 있고, 돌기부(72b)는 돌기부(72c)로부터 약간의 가로폭을 가지는 형상이다. 또한, 이 가로폭은 폴(2)이나 빔(3)의 개구부(23, 33)의 폭보다 약간 작다.
베이스(base) 부재(73)는 도 28에 나타내듯이 베이스부(73a)의 중앙에 나사공(73b)이 3개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부(73a)의 일단면측에 계단부(73c)가 베이스부(73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계단부(73c)의 폭(도면 상하 방향의 폭)은 폴(2)이나 빔(3)의 개구부(23, 33)의 폭보다 약간 작다.
상술한 부세 부재(72) 및 베이스 부재(73)의, 폴(2)이나 빔(3)의 홈부(24, 34) 내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로서의 기능의 발휘에 대해서 도 2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5에 나타내는 것은, 빔(3) 내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의 모습이지만, 폴(2) 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빔(3)의 홈부(34)는 상술한 것처럼 중심부(30)로부터 뻗어 있는 격벽(31)과 벽면(32)의 각각의 내벽면에 의해 형성되고, 그 단면 형상은 대략 육각형이다. 여기서, 도 25에 나타내듯이, 홈부(34)의 단면에 있어서의 대략 육각형의 정점을 S1~S6이라고 칭함과 아울러, 개구부(33)를 구성하는 정점을 T1, T2라고 칭한다.
우선, 도 25 (a)에 나타내듯이, 홈부(34)에 대해서 부세 부재(72)를 개구부(33)로부터 미끄러져 들어가게 한다. 이때 돌기부(72c)가 홈부(34)의 내측부(정점 S3, S4의 근방)에 위치하고, 돌기부(72b)가 개구부(33)의 근방(정점 T1, T2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 부세부(72a)의 영역(R3)에 위치하는 부분은 홈부(34)의 정점 S1, S2 사이 및 정점 S5, S6 사이의 내벽면 근방에 위치한다. 이때 부세부(72a)와 당해 내벽면의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부세부(72a)는 휜 상태로는 되어 있지 않다.
도 25 (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돌기부(72b)를 개재하여 부세 부재(72)를 빔(3)의 홈부(34) 내를 자유롭게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홈부(34)의 임의의 위치에 부세 부재(72)를 이동시킨 후, 도 25 (b)에 나타내듯이 홈부(34) 내에 베이스 부재(73)를 삽입시킨다. 이때 베이스 부재(73)는 부세 부재(72)의 부세부(72a)의 돌기부(72b)가 돌출하고 있는 측의 면 상에, 베이스 부재(73)의 계단부(73c)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면이 접촉하고, 당해 계단부(73c)가 개구부(33)에 위치한다.
도 25 (b)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부세 부재(72)의 부세부(72a)는 베이스 부재(73)에 의해 홈부(34)의 내측부로 밀어넣어지기 때문에, 부세부(72a)의 영역(R3)에 위치하는 부분은, 격벽(31)에 의해 형성되는 내벽면(정점 S2, S3 사이, 및 정점 S4, S5 사이)에 접촉하게 된다. 이 내벽면은 홈부(34)의 내측부로 진행함에 따라 폭이 좁아진다. 그 때문에, 도 25 (b)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부세 부재(72)의 부세부(72a)는 상술한 것처럼 휘고, 그 휨에 기인하여 베이스 부재(73)에 대해서, 그것을 개구부(33) 가까이의 벽면(32)으로 밀어붙이는 힘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부세 부재(72)와 베이스 부재(73)로 구성되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는 빔(3) 내의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고, 빔(3) 내에 고정된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의 나사공(73b)에 대해서, 조인트(70)의 지지부(70d)에 설치된 관통공(70)을 사이에 두고, 나사로 당해 조인트(70)가 연결된 폴(2)을 연결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1)와 같이 빔(3)의 임의의 위치에 폴(2)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한 번 임의의 위치에 고정된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에 대해서, 그 고정 위치를 변경할 때의 모습에 대하여 도 2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6 (a)에 나타내듯이, 부세 부재(72)에 힘이 주어지고 있는 베이스 부재(73)를, 화살표의 방향으로, 완전히 부세 부재(72)로부터 힘이 주어지지 않는 위치까지 비켜 놓는다. 이때 홈부(34)를 단면 방향으로부터 보면 도 26 (b)에 나타내는 대로이다. 부세 부재(72)는 베이스 부재(73)가 떼어짐으로써 도 26 (b)에 나타내는 상태로 된다. 이때 베이스 부재(73)는 홈부(34) 내에 있어서, 부세 부재(72)가 존재하는 공간 이외의 공간에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도 26 (b)에 나타내듯이, 베이스 부재(73)는 홈부(34) 내에 있어서 부세 부재(72)의 돌기부(72c)에 간섭하는 상태로 된다. 이것은 베이스 부재(73)가 부세 부재(72)에 의한 힘으로부터 해방된 상태로 되어도, 홈부(34) 내에 있어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지 않고, 부세 부재(72)에 의해 그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특히 슬라이드 연결 장치(71)가 폴(2) 내의 홈부(24)에서 사용될 때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폴(2)은 마루면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뻗어 나가는 것이기 때문에, 가하는 힘으로부터 해방된 베이스 부재(73)에는 중력이 작용한다. 그 때문에 베이스 부재(73)가 폴(2)의 하부로 낙하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돌기부(72b)측을 하방으로 하고 돌기부(72c)측을 상방으로 하여 홈부(24) 내에서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사용하면, 상기와 같이 베이스 부재(73)의 이동을 돌기부(72c)에 의해 제한함으로써, 베이스 부재(73)의 낙하를 확실히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 부재(73)를 부세 부재(72)에 의한 힘으로부터 해방시킨 후에는, 베이스 부재(73)를 개구부(33)로부터 떼어내고, 부세 부재(72)를 새로운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다시 베이스 부재(73)를 홈부(24, 34) 내에 삽입함으로써,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의 고정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폴(2)에 대해서 그 도중에 소빔(4)을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2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7에 나타내듯이, 폴(2)과 소빔(4)의 연결은 상술한 조인트(51, 52) 및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개재하여 행해진다. 즉, 폴(2)의 홈부(24) 내에 상술한 것처럼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삽입하고,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 상태로 한다. 거기에 조인트(51)측의 관통공과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의 나사공(73b)을 이용하여,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에 조인트(51), 조인트(52)가 연결된 소빔(4)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이용함으로써, 빔(3)에 대해서 임의의 위치에 폴(2)을 연결, 고정하거나 폴(2)에 소빔(4)을 연결, 고정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지만,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는 폴(2)의 고정만이 아니라, 이하에 나타내듯이 프로젝터(8)의 빔(3)에의 고정에도 이용할 수가 있다. 그래서, 공간 구조체(1)에 있어서의 프로젝터(8)의 빔(3)에의 연결, 고정에 대해서, 도 28~3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8에 나타내듯이, 프로젝터(8)는 각 조인트(80~83)로 구성되는 장착 장치를 개재하여 빔(3)에 연결, 고정된다. 이때 프로젝터(8)의 장착 대상으로 되는 빔(3)의 연직 하방향측의 홈부(34)에는 상기의 슬라이드 연결 장치(71)가 설치되어 있다(도 28에서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는 도시하지 않음). 즉, 홈부(34) 내에서 고정 상태에 있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의 나사공(73b)에 대해서, 조인트(80) 등에 의한 장착 장치가 장착되고, 또한 이들 조인트 등에 프로젝터(8)가 연결됨으로써, 당해 프로젝터(8)가 빔(3)에 매달린 상태에서 연결,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도 28에 나타내는 장착 장치는 프로젝터(8)의 빔(3)에 대한 상대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당해 프로젝터의 영상 투영의 방향을 임의의 방향으로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착 장치이다. 예를 들면, 도 28 (a), (b)에 나타내듯이, 프로젝터(8)의 빔(3)에 대한 상대 위치를 바꾸는 것 없이 그 방향을 약 90° 변경하여, 다른 2개의 스크린에 대해서 영상의 투영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각 조인트(80~83)로 구성되는 장착 장치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9는 당해 장착 장치를 빔(3)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면(도 28 (a)에서 나타내는 B-B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30은 당해 장착 장치를 빔(3)의 길이 방향의 종단면을 포함하는 면(도 28 (b)에서 나타내는 C-C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이다. 또, 도 31은 조인트(81)와 조인트(83)의 연결 관계를 상세히 나타낸 도이다. 도 29에 나타내듯이, 빔(3)의 홈부(34) 내에 설치된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의 나사공(73b)을 개재하여, 조인트(80)가 당해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측과 연결된다. 여기서, 도 30에 나타내듯이, 조인트(80)는 그 중앙부가 부풀어오른 대좌(臺座) 형상을 하고 있고, 그 대좌 중앙 부분에 조인트(82)의 일단측이 연결되어 있다. 이 조인트(82)는 플런저(plunger) 기구에 의해, 그 끝에 장착되는 프로젝터(8)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그 구성에 있어서는 후술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82)의 타단측에는 조인트(83)가 접속된다. 이 조인트(83)는 대략 직사각 형상의 기둥 부재이고, 그 기둥면 중 상대하는 2면 상을 미끄러지는 것이 가능한 것 같이 조인트(81)가 더 접속된다. 이 조인트(81)에는 프로젝터(8)의 상면이 연결, 고정된다. 여기서, 도 31에 기초하여, 조인트(83과 81)의 상대 이동, 즉 상기한 것처럼 조인트(83)의 2면 상을 조인트(81)의 일부가 미끄러지는 동작에 주목하여, 양자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조인트(83)의 기둥 부재의 상대하는 2면에는, 그 대략 중앙부에는 나사공(83a)이 설치되고, 그 선단부(프로젝터(8)에 가까운 선단부)에는 나사공(83b)이 설치되어 있다. 또, 조인트(81)에 있어서는, 프로젝터(8)의 상부가 연결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81a)에는, 서로 평행하게 늘어서 있는 각도 조정판(81b)이 2매 설치되어 있다. 이 각도 조정판(81b)에는 각각 원호상으로 뚫린 조정홈(81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정홈(81c)의 하부에는 지지홈(81d)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조인트(81, 83)에 있어서, 조인트(83)의 기둥 부재가 2매의 각도 조정판(81b)의 사이에 삽입된다. 그리고, 조인트(83)의 나사공(83a)에 대해서는, 조인트(81)의 조정홈(81c)을 개재하여 나사가 나사 결합된다. 또한, 조인트(83)의 기둥 부재의 선단부에 설치된 나사공(83b)에 대해서는, 지지홈(81d)의 내측부를 개재하여 나사로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조인트(81)에 대한 조인트(83)의 자세를, 나사공(83b)을 축으로 하여 회전시킴으로써(이때 나사공(83a)에 삽입된 나사는 조정홈(81c) 내를 움직이게 된다), 양자의 상대 관계를 변화시킬 수가 있고, 그리고 나사의 체결력에 의해 임의의 자세를 보지(保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조인트(82)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 도 30 및 도 32에 기초하여 언급한다. 또한, 도 32는 당해 조인트(82)를 구성하는 원반(82b)의 상면도와, 그 원반(82b)과 플런저(plunger)(82a)의 상대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조인트(82)는 주로 2개의 플런저(82a)와, 원반(82b)과, 회전축(82d)으로 구성된다. 플런저(82a)와 회전축(82d)은 대좌 형상을 한 조인트(80)측에 연결되고, 원반(82b)은 회전축(82d)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조인트(83)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조인트(82)에 있어서는, 플런저(82a)측과 원반(82b)측에서는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2 (a)에 나타내듯이 원반(82b) 상에는 등간격(각도로 45°간격)으로 빈 구멍(82c)이 8개 뚫려 있다. 또, 도 30이나 도 32 (b)에 나타내듯이 플런저(82a)의 선단 부분이 이 빈 구멍(82c)에 끼워져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것 같이, 플런저(82a), 원반(82b)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2 (b)에 나타내는 일점쇄선(CL)은 원반(82b) 상의 빈 구멍(82c)의 중심이 지나는 궤적이다. 이와 같이 당해 선단 부분과 빈 구멍(82c)이 끼워져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는, 원반(82b)의 회전축(82d)을 중심으로 한 회전은 규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플런저(82a) 자체는 일반적인 기계 요소이고, 그 내부에 당해 선단 부분을 밀어 내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spring)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빈 구멍(82b)에 당해 선단 부분이 끼워 넣어져 있는 상태에 있어서, 즉 상술한 것처럼 원반(82b)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는 상태에서, 원반(82b)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힘을 외부로부터 주면, 당해 선단 부분을 개재하여 당해 스프링이 밀어 넣어지기 때문에, 그에 따라 플런저(82a)의 선단 부분도 밀어 넣어져, 결과적으로 당해 선단 부분과 빈 구멍(82b)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원반(82b)이 회전 가능하게 되고, 또한 그 원반(82b)을 계속 회전시키면, 새로운 빈 구멍(82c)과 당해 선단 부분이 끼워 넣어짐으로써, 다시 원반(82b)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조인트(82)는 일단측과 타단측이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그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 일단측과 타단측의 상대 위치 관계를 보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플런저 기구를 가지는 조인트(82)는, 원반(82b)에 8개의 빈 구멍(82c)을 가짐으로써 45°씩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지만, 조인트(82)에 있어서의 회전각은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30°씩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원반(82b)에 등간격으로 12개의 빈 구멍(82c)을 설치하도록 해도 좋고, 또 당해 빈 구멍(82c)의 간격은 반드시 등간격일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프로젝터(8)용의 장착 장치는, 조인트(81과 83)의 상대 관계에 의해, 프로젝터(8)의 영상 투영 자세를 조정할 수가 있고, 또한 조인트(82)에 의해 프로젝터(8)의 수평면 내의 방향을 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8)의 자세 및 방향이 조정 가능한 상태에서, 조인트(80~83)를 개재하여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에 프로젝터(8)가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프로젝터(8)의 자세를 조정한 다음에, 빔(3)에 프로젝터(8)를 매달아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프로젝터(8)가 빔(3)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그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내는 것 같은 복수의 스크린(screen)(7a, 7b, 7c)이 공간 구조체(1)에 구비되어 있는 것 같은 이른바 멀티스크린(multiscreen)에 대해서, 프로젝터(8)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그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로써 예를 들면 사용자의 용도에 적절한 임의의 스크린에 대해서 프로젝터(8)로부터 영상을 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에 나타낸 공간 구조체(1)에서는, 슬라이드 연결 장치(71)를 이용함으로써, 새로운 폴(2)을 빔(3)에 연결하거나, 이미 연결되어 있는 폴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거나 함으로써, 새로운 임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것은 폴(2)과 소빔(4)을 연결하는 경우나, 또한 기존의 빔(3)에 새로운 빔(3)을 연결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1)로부터, 새로운 임의 공간 형성의 일례를 도 33에 나타냄과 아울러, 그 새로운 임의 공간에서의 프로젝터(8)의 상기 장착 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33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1)와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1)의 차이점은, 조인트(60, 61, 62)를 이용하여, 새로운 빔(320)을 빔(3b)과 빔(3f)의 사이에 걸친 점과, 빔(3b)의 도중으로부터 새로운 폴(310)을 연결하고, 그 폴(310)과 기존의 폴(2e)의 사이에 새로운 스크린(9)을 설치한 점이다. 따라서, 도 33에 나타내는 새로운 공간 구조체(1)에서는, 그 직사각형체의 동일면 상에 있는 기존의 스크린(7a~7c)에 더하여, 당해 직사각형체의 다른 면 상에 스크린(9)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프로젝터(8)는 상술한 조인트(80~83)로 구성되는 장착 장치에 의해 새로운 빔(320)에 연결, 고정되어 있으므로, 도 33에 나타내는 새로운 공간 구조체(1)에 의한 임의 공간에 있어서도, 그 영상 투영 방향을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스크린(7a~7c)과 스크린(9) 중 사용자의 용도에 적절한 임의의 스크린에 대해서 영상 투영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까지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있어서, 멀티스크린을 구성하는 하나의 스크린으로부터 다른 스크린으로 프로젝터(8)의 영상 투영처를 바꿀 때, 당해 장착 장치에 의한 수평면 내에서의 프로젝터(8)의 회전과 함께, 당해 프로젝터의 수평면 내에서의 미세 조정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이 필요하게 되는 미세 조정은 프로젝터(8) 내에서의 기계적, 전기적인 기능에 의한 광축 조정 등이 행해지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점은 주지 기술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 상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또, 상기 프로젝터 장착 장치에 의해 장착된 프로젝터(8)의 광축과, 그 투영처인 스크린이 이루는 각이 직각으로부터 벗어나는 경우가 있다(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공간 구조체(1)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스크린(7a)에 영상을 투영하는 것 같은 경우). 이러한 경우에는 스크린 상에 투영되는 영상에 사다리꼴 뒤틀림이 생길 가능성이 있지만, 이에 대해서도 프로젝터(8)의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 사다리꼴 뒤틀림 보정 기능에 관해서는 주지 기술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그 상세한 기재는 생략한다.
<실시예 2>
다음에, 프로젝터(8)의 회전을 조정하는 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로젝터(8)의 빔(3)에 대한 상대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당해 프로젝터의 영상 투영의 방향을 수평면 내에 있어서 임의의 방향으로 변경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당해 프로젝터(8)를 고정한 상태에서, 그 영상 투영의 방향을 수평면 내 및 연직면 내에 있어서 임의의 방향으로 변경하는 예를 나타낸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도 28에 나타내듯이, 프로젝터(8)의 빔(3)에 대한 상대 위치를 바꾸는 것 없이 그 방향을 수평면 내에서 약 90°변경하고, 또 수직면 내에서 45°변경하여, 다른 2개의 스크린에 대해서 또는 하나의 스크린에 있어서의 수평?연직 방향의 투영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프로젝터(8)의 장착 장치의 상세에 대해서 도 34~도 37c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4는 당해 장착 장치를 빔(3)의 길이 방향의 종단면을 포함하는 면(도 28 (b)에서 나타내는 C-C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즉 도 30과 마찬가지의 시점으로부터 당해 장착 장치를 보았을 때의 도이다. 또, 도 35는 당해 장착 장치를 빔(3)의 횡단면을 포함하는 면(도 28 (a)에서 나타내는 B-B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즉 도 29와 마찬가지의 시점으로부터 당해 장착 장치를 보았을 때의 도이다. 또한, 도 34, 35에 나타내는 장착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도 29, 30에 나타내는 장착 장치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임으로써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장착 장치가 도 29, 30에 나타내는 장착 장치와 다른 점은, 조인트(81 및 83)에 상당하는 개소, 즉 프로젝터(8)의 연직 방향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조인트 부분이다. 도 20 등에 나타내는 장착 장치에 있어서는, 나사가 조정홈(81c) 내를 조인트(81c)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이동함으로써 프로젝터(8)의 연직 방향의 방향이 조정되었다.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장착 장치에서는, 수평면 내에서의 프로젝터(8)의 회전을 콘트롤(control)하는 플런저 기구(플런저(82a), 원반(82b), 빈 구멍(82c)으로 이루어진다)를 연직면 내에서의 프로젝터(8)의 회전에도 적용함으로써, 수평 방향과 마찬가지로 연직 방향에서도 프로젝터(8)의 방향을 사용자의 용도에 적절한 임의의 방향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장착 장치에서는, 상기 조인트(83)에 대신하여 조인트(93)가 이용되고, 상기 조인트(81)에 대신하여 조인트(91)가 이용된다. 조인트(91)는 주로 2개의 플런저(91a), 반원반(91b), 빈 구멍(91c), 회전축(91d)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 플런저(91a)는 먼저 나타낸 플런저(82a)와 본질적으로는 동질의 기계 요소이지만, 실시의 형태에 따라 그 선단 부분의 가하는 힘 등은 적절히 조정된 것이다. 또, 조인트(93)는 상기 조인트(83)와 동일하게 대략 직사각 형상의 기둥 부재이고, 그 기둥면 중 상대하는 2면 상을 조인트(91)의 반원반(91b)이 미끄러지는 것이 가능한 것 같이 양 조인트가 접속된다. 그리고, 플런저(91a)와 회전축(91d)은 조인트(93)측에 고정되고, 반원반(91b)은 회전축(91d)에 대해서 회전 가능한 상태에서 조인트(93)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조인트(91)에 있어서는, 플런저(91a)측과 반원반(91b)측에서는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4에 나타내듯이 반원반(91b) 상에는 등간격(각도로 45°간격)으로 빈 구멍(91c)이 5개 뚫려 있다(도 34에 나타내는 상태는 중앙의 빈 구멍(91c)에 플런저(91a)가 겹쳐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의 플런저(82a)와 원반(82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플런저(91a)의 선단 부분이 이 빈 구멍(91c)에 끼워져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것 같이, 플런저(91a), 반원반(91b)의 상대 위치 관계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플런저(91a)의 선단 부분과 빈 구멍(91c)이 끼워져 들어가 있는 상태(도 34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반원반(91b)의 회전축(91d)을 중심으로 한 회전은 규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런저(91a)에 대해서도 상기 플런저(82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빈 구멍(91c)에 당해 선단 부분이 끼워져 들어가 있는 상태에 있어서, 반원반(91b)에 대해서 어느 정도의 힘을 외부로부터 주면, 당해 선단 부분을 개재하여 당해 스프링이 밀어 넣어지기 때문에, 그에 따라 플런저(91a)의 선단 부분도 밀어 넣어져, 결과적으로 당해 선단 부분과 빈 구멍(91c)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반원반(91b)이 회전 가능하게 되고, 또한 그 반원반(91b)을 계속 회전시키면, 새로운 빈 구멍(91c)과 당해 선단 부분이 끼워져 들어감으로써, 다시 반원반(91b)의 회전이 규제된다. 이와 같이 조인트(91과 93)에 의해, 양 조인트가 상대적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그 소정의 위치에 있어서는 양 조인트의 상대 위치 관계가 보지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빈 구멍(91c)은 45°씩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이 각도는 필요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프로젝터(8)용의 장착 장치는, 플런저(82a)의 작용에 더하여 플런저(91a)의 작용에 의해, 프로젝터(8)의 수평면 내 및 연직면 내의 방향을 조정할 수가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8)의 자세 및 방향이 조정 가능한 상태에서, 각 조인트를 개재하여 슬라이드 연결 장치(71)에 프로젝터(8)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이때 프로젝터(8)는 장착 어댑터(adapter)(8a)를 개재하여, 이들 조인트로 구성되는 장착 장치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젝터(8)의 자세를 조정한 다음에 빔(3)에 프로젝터(8)를 매달아 고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그 프로젝터(8)가 빔(3)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그 방향을 수평 방향 및 연직 방향으로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내는 것 같은 복수의 스크린(7a, 7b, 7c)이 공간 구조체(1)에 구비되어 있는 것 같은 이른바 멀티스크린에 대해서, 프로젝터(8)의 위치를 고정한 상태에서 그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는 스크린 내에서의 연직 방향에서의 투영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천장?마루면?테이블면 등의 상하에 설치된 멀티스크린의 경우에도, 사용자는 프로젝터(8)의 투영 스크린을 용이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프로젝터(8)의 방향을 조정하는 경우, 도 34, 35에 표시되는 상태에서는, 조작부(90)를 사용자가 잡고 각 조인트의 회전 방향으로 회전 토크(torque)를 주는 것이 요구된다. 프로젝터(8)가 사용자의 손이 닿는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는, 이것으로 그다지 지장은 초래하지 않지만, 그 높이가 높아지면 사용자에 의한 프로젝터(8)의 방향 조정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없게 된다. 그래서, 그 방향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장착 장치에 도 36a~c, 도 37a~c에 나타내는 조작용의 조작 핸들(handle)을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도 36a~c에 나타내는 조작 핸들(95)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36a는 조작 핸들(95)을 장착한 상태를 프로젝터(8)의 측방으로부터 본 도이고, 도 36b는 당해 상태를 그 전방으로부터 본 도이고, 도 36c는 조작 핸들(95)의 프로젝터(8)측에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프로젝터(8)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이다. 이들 도에 나타내듯이, 조작 핸들(95)은 대략 C자 형상을 하고 있고, 그 양단이 프로젝터(8)의 어댑터(adapter)(8a)에 연결된다. 그 결과, 프로젝터(8)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당해 프로젝터(8)의 방향 조정을 위한 환상의 조작부가 형성되게 된다.
이때, 도 36a에 나타내듯이, 환상의 조작 핸들(95)에 있어서, 연직 방향으로 뻗어 있는 연직 프레임(frame)(95a)과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수평 프레임(95b)이 획정된다. 사용자는 이들 프레임을 파지하여, 장착 장치에 대해서 회전 토크를 부여함으로써, 프로젝터(8)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정 가능하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2개의 연직 프레임(95a)을 양손으로 파지하면, 프로젝터(8)에 연직 방향 또는 수평 방향의 회전 토크를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또, 사용자가 수평 프레임(95b)의 비교적 떨어진 부위를 파지해도, 마찬가지로 프로젝터(8)에 회전 토크를 용이하게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도 37a~c에 나타내는 조작 핸들(96)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37a는 조작 핸들(96)을 장착한 상태를 프로젝터(8)의 측방으로부터 본 도이고, 도 37b는 당해 상태를 그 후방으로부터 본 도이고, 도 37c는 조작 핸들(96)의 프로젝터(8)측에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프로젝터(8)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이다. 이들 도에 나타내듯이, 조작 핸들(96)은 봉 형상을 하고 있고, 그 일단이 프로젝터(8)의 어댑터(8a)에 대해서 장착 쇠장식(96a)을 개재하여 연결된다. 그 결과, 프로젝터(8)가 장착 장치에 장착되는 개소로부터 소정 거리(L) 떨어진 위치에 조작 핸들(96)이 늘어져 있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술한 것처럼 수평면 내와 연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한 기구를 가지는 장착 장치에 대해서,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프로젝터(8)의 방향 조정을 위한 회전 토크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37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화살표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 토크를 부여하면 프로젝터(8)는 연직면 내에서 그 방향이 조정되고, 도 37a의 지면(紙面)에 수직인 방향으로 회전 토크를 부여하면 프로젝터(8)의 수평면 내에서의 방향이 조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조작 핸들(95, 96)은 프로젝터(8)의 영상 투영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프로젝터(8)에 상시 장착해 두어도 상관없고, 또 프로젝터(8)의 방향을 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어댑터(8a)에 연결시켜도 상관없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프로젝터 장치에 의하면,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프로젝터의 스크린 위치를 사용자의 요망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산업상의 이용성은 극히 높다.

Claims (9)

  1. 마루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주상체와 당해 마루에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횡량체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또는 당해 횡량체끼리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임의의 공간을 형성 가능한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영상을 투영 가능한 프로젝터의 장착 상태를 조정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로서,
    상기 프로젝터를 상기 횡량체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상기 프로젝터가 상기 횡량체에 평행한 수평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고정 수단과 당해 프로젝터를 연결하는 회전 연결 수단과,
    상기 프로젝터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 연결 수단을 개재한 당해 프로젝터의 방향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회전 연결 수단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영상 투영 방향으로 영상을 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 연결 수단과 상기 프로젝터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장소에서 당해 프로젝터측과 접속되고, 그 접속점으로부터 사용자가 위치하는 하방으로 뻗어 있는 조작부와,
    상기 프로젝터를 둘러싸고, 또한 사용자가 위치하는 하방을 향해 환상으로 형성되도록 당해 프로젝터측과 접속되는 조작부 중 어느 일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연결 수단은 또한, 상기 프로젝터가 상기 주상체에 평행한 연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고정 수단과 당해 프로젝터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
  3. 마루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주상체와 당해 마루에 수평 방향으로 뻗어 있는 1 또는 복수의 횡량체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또는 당해 횡량체끼리가 서로 연결됨으로써, 임의의 공간을 형성 가능한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영상을 투영 가능한 프로젝터의 장착 상태를 조정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로서,
    상기 프로젝터를 상기 횡량체에 고정하는 고정 수단과,
    상기 프로젝터가 상기 주상체에 평행한 연직면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고정 수단과 당해 프로젝터를 연결하는 회전 연결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젝터에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 연결 수단을 개재한 당해 프로젝터의 방향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회전 연결 수단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영상 투영 방향으로 영상을 투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 연결 수단과 상기 프로젝터의 연결 부분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장소에서 당해 프로젝터측과 접속되고, 그 접속점으로부터 사용자가 위치하는 하방으로 뻗어 있는 조작부와,
    상기 프로젝터를 둘러싸고, 또한 사용자가 위치하는 하방을 향해 환상으로 형성되도록 당해 프로젝터측과 접속되는 조작부 중 어느 일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주상체 또는 상기 횡량체가 가감되고, 또는 이미 연결되어 있는 당해 주상체 또는 당해 횡량체의 위치가 변경됨으로써 새로운 임의 공간이 형성될 때, 상기 회전 연결 수단은 당해 임의 공간 형성 후의 상기 프로젝터의 새로운 영상 투영 위치에 대응하기 위해 당해 프로젝터를 회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프로젝터를 상기 횡량체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당해 횡량체의 임의의 위치에 당해 프로젝터를 고정하고,
    상기 공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임의 공간이 형성될 때, 상기 고정 수단은 당해 임의 공간 형성 후의 상기 프로젝터의 새로운 영상 투영 위치에 대응하기 위해 당해 프로젝터의 위치를 슬라이드 이동시킴과 아울러, 당해 슬라이드 이동 후의 당해 프로젝터를 상기 횡량체에 고정하며,
    상기 횡량체는 축심 방향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당해 축심 방향을 따라 뻗어 있고 또한 당해 횡량체의 단면에 있어서 개구부를 가지는 반폐 공간인 횡량체 홈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횡량체 홈부 내를 슬라이딩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기 개구부를 개재하여 상기 회전 연결 수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장착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7003091A 2007-08-03 2008-07-15 프로젝터 장착 장치 KR101175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03255 2007-08-03
JPJP-P-2007-203255 2007-08-03
JPJP-P-2008-009046 2008-01-18
JP2008009046A JP4885887B2 (ja) 2007-08-03 2008-01-18 プロジェクタ取付装置
PCT/JP2008/062730 WO2009019956A1 (ja) 2007-08-03 2008-07-15 プロジェクタ取付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035A KR20100034035A (ko) 2010-03-31
KR101175845B1 true KR101175845B1 (ko) 2012-08-24

Family

ID=4055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3091A KR101175845B1 (ko) 2007-08-03 2008-07-15 프로젝터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4885887B2 (ko)
KR (1) KR101175845B1 (ko)
CN (1) CN101772732B (ko)
HK (1) HK1145546A1 (ko)
MY (1) MY158105A (ko)
TW (1) TWI4618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5024B (zh) * 2010-07-15 2013-08-11 Tzu Ching Lin 投影機及其使用方法
CN102183871A (zh) * 2011-04-28 2011-09-14 宁波万里电子科技有限公司 投影仪安装定位结构、电子白板及交互式演示系统
CN102193297B (zh) * 2011-05-20 2013-07-17 北京中泰东邦科技有限责任公司 组装式背投一体机
JP2014199315A (ja) * 2013-03-29 2014-10-23 Necネッツエスアイ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用方向調整具
JP6303518B2 (ja) * 2014-01-15 2018-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支持装置
JP6303517B2 (ja) * 2014-01-15 2018-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支持装置
KR101644398B1 (ko) * 2014-12-02 2016-08-01 주식회사 에이스텍 빔 프로젝터 리프트
JP6448349B2 (ja) 2014-12-17 2019-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投射型映像表示装置
TWI639130B (zh) * 2015-11-18 2018-10-21 財團法人資訊工業策進會 投影系統及投影方法
JP6843820B2 (ja) * 2018-12-05 2021-03-17 株式会社ジーグ 遊技機
KR102503548B1 (ko) * 2022-06-07 2023-02-23 윤두현 공간 내에 가상 현실을 구현하는 통합형 인터랙티브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2161A (ja) 1997-09-28 1999-04-13 Victor Co Of Japan Ltd 投射型表示装置及びこの天井据え付け装置
JP2000122180A (ja) 1998-10-16 2000-04-28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天吊り装置
JP2007132474A (ja) * 2005-11-11 2007-05-31 Uchida Yoko Co Ltd 空間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5093A (ja) * 1995-03-31 1996-10-18 Nec Corp プロジェクタの吊下げ装置
TWM247722U (en) * 2003-11-21 2004-10-21 Chiau Cheng Decoration Hardwar Aluminum extruded column body structure with multi-variation assembly
JP2005172935A (ja) * 2003-12-08 2005-06-30 Mekatekku Kk ビデオプロジェクタ固定装置
CN2795897Y (zh) * 2005-01-17 2006-07-12 唐洁 一种投影机架及其所采用的偏转调整机构
TWM290962U (en) * 2005-12-06 2006-05-21 Ming-Hua Huang Improved structure of overhead projector hang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2161A (ja) 1997-09-28 1999-04-13 Victor Co Of Japan Ltd 投射型表示装置及びこの天井据え付け装置
JP2000122180A (ja) 1998-10-16 2000-04-28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ー天吊り装置
JP2007132474A (ja) * 2005-11-11 2007-05-31 Uchida Yoko Co Ltd 空間構造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45546A1 (en) 2011-06-17
TWI461817B (zh) 2014-11-21
CN101772732A (zh) 2010-07-07
JP2009058929A (ja) 2009-03-19
JP4885887B2 (ja) 2012-02-29
CN101772732B (zh) 2012-06-20
MY158105A (en) 2016-08-30
KR20100034035A (ko) 2010-03-31
TW200925768A (en) 2009-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845B1 (ko) 프로젝터 장착 장치
JP4332148B2 (ja) 空間構造体
JP5501866B2 (ja) 被懸架部材の取付装置
KR100553972B1 (ko) 디스플레이의 승강조정장치
JP6214793B2 (ja) Ledモジュール取付け機構
US9845849B2 (en) Adjustable hanging device
EP1584857B1 (en) Display holding device
KR101341285B1 (ko) 슬라이드 연결 장치
JP4902306B2 (ja) 機器支持スタンド
KR100553971B1 (ko) 디스플레이의 방향조정장치
KR101698309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JP2008191437A (ja) 机下引っ掛け式プロジェクタ
JP4457068B2 (ja) スライド連結装置
JP6469461B2 (ja) 画像表示装置の取付構造
JP7038066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
JP5079662B2 (ja) 空間構造体
JP2013200465A (ja) 背面投射型映像表示装置
JP2017089242A (ja) 空間構造体
KR102511187B1 (ko) 포스트 높이조절기구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월
JP2019137973A (ja) スクリーンユニット及びスクリーンユニットの組立方法
KR0177650B1 (ko) 화면 표시장치 자동 위치 조절기구
KR200308377Y1 (ko) 박형타입 텔레비젼용 벽걸이 장치
JP2001061119A (ja) 表示装置用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