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347B1 - 철도 분기기 - Google Patents

철도 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347B1
KR101175347B1 KR1020120047609A KR20120047609A KR101175347B1 KR 101175347 B1 KR101175347 B1 KR 101175347B1 KR 1020120047609 A KR1020120047609 A KR 1020120047609A KR 20120047609 A KR20120047609 A KR 20120047609A KR 101175347 B1 KR101175347 B1 KR 101175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rain
variable
fixed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7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혁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성수프론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성수프론티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성수프론티어
Priority to KR1020120047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3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02Tongues; Associat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9/00Laying, rebuilding, or taking-up tracks; Tools or machines therefor
    • E01B29/16Transporting, laying, removing, or replacing rails; Moving rails placed on sleepers in the track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7/00Switches; Crossings
    • E01B7/20Safety means for switches, e.g. switch point protectors, auxiliary or guiding rail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에 있어서, 포인트부의 기본레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가변레일이 설치되는 제1고정레일과, 침목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고정레일로 이루어진 고정레일; 상기 제1고정레일에 설치되고, 레일 전환장치의 작동을 통해 좌,우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어 열차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는 가변레일;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과 연결 구성되며, 가변레일의 작동에 따라 열차의 차륜이 직진 또는 우회가 이루어지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 직진선로 및 우회선로; 상기 고정레일의 내측에 구성되어 열차의 차륜이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선 방지부재; 상기 가변레일이 설치된 제1고정레일측에 설치되어 열차의 차륜의 탈선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차륜이 가변레일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철도 분기기{railroad separator}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레일 중 일측의 레일은 고정 레일로 구성하고, 타측의 레일에만 좌, 우로 가변되도록 가변레일을 구성함으로써, 비 또는 눈에 의해 발생되는 텅레일과 기본레일 간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철도 분기기의 안정적인 작동에 의한 세계적인 선진 철도기술을 구축하기 위한 철도 분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 분기기는 한 쌍의 레일로 구성된 선로가 두 쌍의 레일로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주행하는 열차가 전술한 두 쌍의 레일 중 어느 한 쌍의 레일을 선택하여 주행할 수 있도록 열차의 주행방향을 변경시켜주는 장치로서, 철도 궤도의 3대 취약부 중 하나에 속한다. 이와 같은 철도 분기기는 속도제한의 요소가 되고, 일반구간보다 열차의 요동, 충격 및 소음 뿐만 아니라 횡압과 탈선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구간이기도 하다.
이러한 철도 분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레일로 이루어진 기본레일(110)과, 한 상의 기본레일(110) 사이에 설치되며, 이 기본레일(110)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변경된 열차의 주행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텅레일(120), 열차 차량이 기본레일(110) 및 텅레일(120) 중 어느 한 쌍의 레일을 선택하여 주행하도록 텅레일(120)을 작동시키는 레일 전환장치(130)가 구성된 포인트부(P)와, 기본레일(110)과 텅레일(120)이 공존하는 리드부(L) 및 열차의 진행방향 선택에 따라 열차의 차륜이 교차 통과하는 부분으로 구성되며, 직선형의 기본레일(110)과 별도로 구성되는 크로싱부(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본레일(110)에 설치된 텅레일(120)은 고정되어 있는 양측의 기본레일(110)과 밀착하여 차륜이 부드럽게 기본레일(110)로 옮겨가도록 맨 끝이 뾰족하게(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모양으로 예리하게) 구성되고 그 뒤로 점차 레일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일정길이 후에는 원래의 두께가 되도록 구성되며, 레일 전환장치(130)에 의해 휘어지면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되고, 원래의 두께가 되는 위치의 후단부는 기본레일(110)과 일정거리를 둔 상태에서 텅레일(12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구조이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텅레일(120)은 일측의 텅레일(120)이 기본레일(110)과 완전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타측의 텅레일(120)이 기본레일(110)과 완전히 이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텅레일(120)과 기본레일(110)의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열차가 통과하는 경우, 차륜이 텅레일(120)을 기본레일(110) 쪽으로 밀어붙이며 통과하게 되어 차륜과 레일간의 마모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차륜과 레일이 심하게 마모되어 수명이 단축되고, 마모시에 발생하는 철가루에 의해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진동과 소음이 많아짐에 따라 승차감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철도 분기기는 포인트부(P)에 구성된 기본레일(110)과 텅레일(120)이 동절기에 폭설 및 결빙 등에 의해 제대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항상 분기된 레일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확인 및 감시해야 하고, 특히 텅레일(120)과 기본레일(110) 사이의 틈으로 눈 또는 비에 의해 결빙되거나, 또는 열차에 붙어있는 얼음이나 눈이 열차 진동에 의해 텅레일(120)과 기본레일(110) 사이의 틈으로 투하되어 텅레일(120)의 작동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포인트부(P)에는 별도의 히팅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함에 따라 철도 분기기의 설치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고, 더불어 철도 분기기를 유지, 관리 및 보수하기 위한 비용 또한 증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 쌍의 레일 중 일측의 레일은 고정레일로 구성하고, 타측의 레일에만 좌, 우로 가변되도록 가변레일을 구성함으로써, 철도 분기기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유류의 사용을 현저하게 줄여 친환경적인 철도 분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 또는 눈에 의해 발생되는 텅레일과 기본레일 간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고 철도 분기기의 안정적인 작동에 의한 세계적인 선진 철도기술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변레일을 통해 별도의 히팅장치 없이도 텅레일과 기본레일의 틈에 결빙되거나, 다량의 눈이 투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철도 분기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로의 밀림방지, 충격 및 하중의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텅레일의 조기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가변레일만 교체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철도 분기기의 유지 보수 및 교체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에 있어서, 포인트부의 기본레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가변레일이 설치되는 제1고정레일과, 침목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고정레일로 이루어진 고정레일; 상기 제1고정레일에 설치되고, 레일 전환장치의 작동을 통해 좌,우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어 열차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는 가변레일;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과 연결 구성되며, 가변레일의 작동에 따라 열차의 차륜이 직진 또는 우회가 이루어지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 직진선로 및 우회선로; 상기 고정레일의 내측에 구성되어 열차의 차륜이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선 방지부재; 상기 가변레일이 설치된 제1고정레일측에 설치되어 열차의 차륜의 탈선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차륜이 가변레일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변레일은 제1고정레일에 구성된 직진선로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열차의 주행방향이 진직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1가변레일; 및 상기 제1고정레일에 구성된 우회선로측으로 열차가 주행하도록 슬라이딩되어 열차의 주행방향이 우회하도록 변경시키는 제2가변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가변레일은 열차의 직진 주행시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외측면이 차륜의 플랜지를 지지하며, 내측면은 열차의 주행이 우회할 수 있도록 원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2고정레일의 내측면에 구성되어 열차의 차륜이 제2고정레일을 벗어나 직진선로측으로 이동할 때 차륜의 탈선을 방지하는 제1탈선 방지부재와, 상기 제1고정레일의 내측면에 구성되며, 가변레일에 형성된 원호부와 동일한 원호를 가지는 제2 탈선 방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철도 분기기에는 가변레일의 원활한 작동을 지지하고, 가변레일의 슬라이딩 범위를 한정하여 열차의 차륜이 더욱 안정적으로 주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수단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직진선로 및 우회선로는 제1고정레일과 연결되는 제1직진선로 및 제1우회선로로 구성되고, 제2고정레일과 연결되는 제2직진선로 및 제2우회선로로 구성되어 상기 가변레일의 작동에 따라 열차의 차륜이 직진선로 또는 우회선로를 선택하여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직진선로는 제2고정레일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그 단부가 뾰족하게(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모양으로 예리하게) 형성되고, 제2우회선로는 가변레일의 작동에 따라 열차가 우회할 때,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제2고정레일과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럭은 가변레일의 양측 선단부에 위치하며, 제1고정레일의 내측면에 구성되어 차륜의 플랜지 부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레일 중 일측의 레일은 고정 레일로 구성하고, 타측의 레일에만 좌, 우로 가변되도록 가변레일을 구성함으로써, 철도 분기기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유류의 사용을 현저하게 줄여 친환경적인 철도 분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 또는 눈에 의해 발생되는 텅레일과 기본레일 간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고, 철도 분기기의 안정적인 작동에 의한 세계적인 선진 철도기술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변레일을 통해 별도의 히팅장치 없이도 텅레일과 기본레일의 틈에 결빙되거나, 다량의 눈이 투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철도 분기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의 밀림방지, 충격 및 하중의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텅레일의 조기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가변레일만 교체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철도 분기기의 유지 보수 및 교체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그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철도 분기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분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분기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분기기의 가변레일을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차의 직진 주행시 철도 분기기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차의 우회 주행시 철도 분기기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분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분기기의 가변레일을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차의 직진 주행시 철도 분기기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차의 우회 주행시 철도 분기기가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철도 분기기는 포인트부(P)의 기본레일(110)에 구성되는 것으로, 기본레일(1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레일(210), 한 쌍의 고정레일(210) 중 어느 일측에 구성되어 열차의 진행방향을 변환시켜주는 가변레일(240), 고정레일(210)의 내측에 구성되어 열차의 차륜이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선 방지부재(250), 가변레일(240)이 설치된 고정레일(210)측에 설치되어 열차의 차륜의 탈선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차륜이 가변레일(240)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블럭(260) 및 가변레일(240)의 작동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수단(2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레일(210)은 침목의 상부에 고정 플랜지 등과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고정 결합되며, 철도 분기기의 포인트부(P)에 구성된 기본레일(10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고정레일(210)은 한 쌍으로 구성되며, 가변레일(240)이 설치되는 제1고정레일(212)과, 침목 등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고정레일(214)로 구성된다.
제1고정레일(212)은 열차의 주행방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직진, 또는 우회가 가능하도록 단부에 가변레일(240)이 구성되며, 가변레일(240)의 작동에 의해 열차의 차륜이 직진 또는 우회가 이루어지도록 직진선로(230) 및 우회선로(220)가 설치되어 있어서 열차가 안정적으로 주행방향을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1고정레일(212)에는 직진선로(230) 중 제1직진선로(232)가 제1고정레일(212)과 연결되며, 우회선로(220) 중 제1우회선로(222)가 제1고정레일(212)과 연결 구성되는 것으로, 이 제1고정레일(212)과 제1직진선로(232) 및 제1우회선로(222) 사이에 가변레일(240)이 설치됨으로써, 가변레일(240)의 작동에 따라 열차의 차륜이 제1직진선로(232) 또는 제1우회선로(222) 중 하나를 선택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고정레일(212)에는 열차의 차륜이 가변레일(240)에 진입할 때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와 동시에 차륜이 안정적으로 가변레일(240)을 따라 주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블럭(260)이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 블럭(260)은 가변레일(240)의 양측 선단부 즉, 제1고정레일(121)의 끝단 우측에 위치하며, 제1고정레일(212)의 내측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차륜의 플랜지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제1고정레일(2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한 쌍의 고정레일(210) 중 제2고정레일(214)은 제1고정레일(212)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제1고정레일(212)과 마찬가지로 직진선로(230) 및 우회선로(220)가 구성된다.
이때, 제2고정레일(214)에 구성되는 직진선로(230)는 제2직진선로(234)가 구성되며, 우회선로(220)로는 제2우회선로(224)가 구성된다.
여기서, 제2직진선로(234)는 제2고정레일(214)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그 단부가 제2고정레일(214)과 밀착하여 차륜이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도록 뾰족하게(단면의 형상이 삼각형 모양으로 예리하게) 형성되고, 제2우회선로(224)의 굴곡 정도에 따라 소정의 굴곡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그 뒤로 점차 레일의 두께가 두꺼지면서 제2고정레일(214)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우회선로(224)는 열차의 진행방향이 가변레일(240)의 작동에 따라 우회할 때, 안정적으로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제2고정레일(214)과 일체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한 쌍의 고정레일(210)은 제1고정레일(212)에 설치된 가변레일(240)만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열차의 주행 방향을 변경하게 되고, 제1고정레일(212) 및 제2고정레일(214)은 침목 등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철도 분기기의 작동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텅레일의 조기마모 등과 같은 문제를 극복할 수 있어 철도 분기기의 유지 보수 및 교체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그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가변레일(240)은 고정레일(210)과 제1직진선로(232) 및 제1우회선로(222) 사이에 설치되며, 레일 전환장치(130)의 작동을 통해 좌,우 슬라이딩 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가변레일(240)은 제1직진선로(232)와 연결되어 열차의 주행방향이 직진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1가변레일(242) 및 제1고정레일(212)에 구성된 제1우회선로(222)측으로 열차가 주행하도록 슬라이딩되어 열차의 주행방향이 우회하도록 변경시키는 제2가변레일(24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가변레일(242)은 고정레일(210)과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 열차의 차륜이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가변레일(244)의 일측면 즉, 제2가변레일(244)의 외측면(244a)은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열차의 직진 주행시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차륜의 플랜지를 지지하며, 제2가변레일(244)의 타측면 즉, 제2가변레일(244)의 내측면(244b)은 제1우회선로(222)를 통해 열차의 주행이 우회할 수 있도록 소정의 원호부가 형성되어 열차의 차륜이 이 원호부를 따라 제1우회선로(222)측으로 이동하면서 열차의 주행방향이 우회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2가변레일(244)은 하측부, 다시말해 제1고정레일(212)측의 두께가 고정레일(210)의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며, 이에 대향하는 상측부인 제1직진선로(232)와 제1우회선로(222)측으로 향할수록 점차 그 면적이 넓게 형성되면서 이 제1직진선로(232) 및 제1우회선로(222)의 선단부 면적과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된다.
즉,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레일(240)이 작동하면서 열차의 주행방향이 직진 방향으로 진행되는 경우, 제1고정레일(212), 제1가변레일(242) 및 제1직진선로(232)가 동일중심선상에 위치하도록 작동하면서 각각의 제1고정레일(212)의 내측면(242a), 제1가변레일(242)의 외측면(244a) 및 제1직진선로(232)의 내측면(232a)이 모두 일직선상에 위치하여 차륜의 플랜지 외면부가 각각의 내측면들(242a, 252a) 및 제2가변레일(244)의 외측면(244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2가변레일(244)의 외측면(244a) 역시 제1가변레일(242)의 내측면(242a)과 동일한 직진성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차륜의 플랜지 내면부가 밀착되면서 선로의 이탈 없이 안정적으로 제1직진선로(232)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열차의 주행방향이 우회하는 경우, 제1고정레일(212)의 내측면(242a), 제2가변레일(244)의 내측면(244b) 및 제1우회선로(222)의 내측면(222a)이 모두 일직선상에 위치하면서 열차의 차륜이 제1고정레일(212)의 내측면과 제2가변레일(244)의 내측면(244b) 및 제1우회선로(222)의 내측면(222a)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열차의 주행방향을 우회하게 되고, 이때 제2가변레일(244)이 외측면(244a)은 제1고정레일(212) 및 제1직진선로(232)의 외측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제1고정레일(212)에 구성된 가변레일(240)의 작동만으로도 열차의 주행방향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철도 분기기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유류의 사용을 현저하게 줄여 친환경적인 철도 분기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탈선 방지부재(250)는 가변레일(240)의 작동에 따라 열차가 직진 또는 우회를 위해 주행방향을 변경할 때, 고정레일(210), 직진선로(230) 및 우회선로(220)로부터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서, 제1고정레일(212) 및 제2고정레일(214)의 내측에 각각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탈선 방지부재(250)는 고정레일(210)의 내측면에 차륜의 플랜지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고정 결합되며, 제2고정레일(214)의 내측면에 구성되며, 제2고정레일(214)과 제2직진선로(234)의 경계선상에 설치되어 열차의 차륜이 제2고정레일(214)을 벗어나 제2직진선로(234)측으로 이동할 때 차륜의 탈선을 방지하는 제1탈선 방지부재(252)와, 제1고정레일(212)의 내측면에 구성되며, 제2가변레일(244)의 내측면(244b)에 형성된 원호부와 동일한 원호를 가지는 제2 탈선 방지부재(2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는 열차의 주행시, 가변레일(240)의 원활한 작동을 지지함과 동시에 가변레일(240)의 파손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안전수단(270)이 설치된다.
안전수단(270)은 제1고정레일(212)과 제1직진선로(232)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가변레일(240)을 감싸도록 직각형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선로의 외측으로 가변레일(240)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가변레일(240)을 작동하는 레일 전환장치(130)와 연결 구성되어 있어서 가변레일(240)의 슬라이딩 범위를 한정하여 열차의 차륜이 더욱 안정적으로 주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철도 분기기는 한 쌍의 고정레일(210) 중 제2고정레일(214)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하고, 제1고정레일(212)에만 열차의 주행방향을 변경하도록 좌, 우로 가변되는 가변레일(240)을 구성함으로써, 철도 분기기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유류의 사용을 현저하게 줄여 친환경적인 철도 분기기를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비 또는 눈에 의해 발생되는 텅레일(120)과 기본레일(110) 간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수단(270)을 설치하여 철도 분기기의 안정적인 작동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가변레일(240)을 통해 별도의 히팅장치 없이도 텅레일(120)과 기본레일(110)의 틈에 결빙되거나, 다량의 눈이 투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철도 분기기의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레일의 밀림방지, 충격 및 하중의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텅레일(120)의 조기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가변레일(240)만 교체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철도 분기기의 유지 보수 및 교체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그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기본레일 120: 텅레일
210: 고정레일 212: 제1고정레일
214: 제2고정레일 220: 우회선로
222: 제1우회선로 224: 제2우회선로
230: 직진선로 232: 제1직진선로
234: 제2직진선로 240: 가변레일
242: 제1가변레일 244: 제2가변레일
250: 탈선 방지부재 252: 제1탈선 방지부재
254: 제2탈선 방지부재 260: 가이드 블럭
270: 안전수단

Claims (8)

  1. 철도 분기기에 있어서,
    포인트부의 기본레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한 쌍으로 구성되어 가변레일이 설치되는 제1고정레일과, 침목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2고정레일로 이루어진 고정레일;
    상기 제1고정레일에 설치되고, 레일 전환장치의 작동을 통해 좌,우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어 열차의 진행방향을 변환시키는 가변레일;
    상기 한 쌍의 고정레일과 연결 구성되며, 가변레일의 작동에 따라 열차의 차륜이 직진 또는 우회가 이루어지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 직진선로 및 우회선로;
    상기 고정레일의 내측에 구성되어 열차의 차륜이 탈선하는 것을 방지하는 탈선 방지부재;
    상기 가변레일이 설치된 제1고정레일측에 설치되어 열차의 차륜의 탈선을 방지함과 동시에 안정적으로 차륜이 가변레일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블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레일은 제1고정레일에 구성된 직진선로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열차의 주행방향이 진직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1가변레일; 및
    상기 제1고정레일에 구성된 우회선로측으로 열차가 주행하도록 슬라이딩되어 열차의 주행방향이 우회하도록 변경시키는 제2가변레일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변레일은 열차의 직진 주행시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외측면이 차륜의 플랜지를 지지하며, 내측면은 열차의 주행이 우회할 수 있도록 원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제2고정레일의 내측면에 구성되어 열차의 차륜이 제2고정레일을 벗어나 직진선로측으로 이동할 때 차륜의 탈선을 방지하는 제2탈선 방지부재와, 상기 제1고정레일의 내측면에 구성되며, 가변레일에 형성된 원호부와 동일한 원호를 가지는 제1 탈선 방지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 분기기에는 가변레일의 원활한 작동을 지지하고, 가변레일의 슬라이딩 범위를 한정하여 열차의 차륜이 더욱 안정적으로 주행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수단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선로 및 우회선로는 제1고정레일과 연결되는 제1직진선로 및 제1우회선로로 구성되고, 제2고정레일과 연결되는 제2직진선로 및 제2우회선로로 구성되어 상기 가변레일의 작동에 따라 열차의 차륜이 직진선로 또는 우회선로를 선택하여 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직진선로는 제2고정레일과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며, 그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고, 제2우회선로는 가변레일의 작동에 따라 열차가 우회할 때, 안정적인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제2고정레일과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블럭은 제1고정레일 끝단 우측에 위치하며, 제1고정레일의 내측면에 구성되어 차륜의 플랜지 부분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분기기.
KR1020120047609A 2012-05-04 2012-05-04 철도 분기기 KR101175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609A KR101175347B1 (ko) 2012-05-04 2012-05-04 철도 분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7609A KR101175347B1 (ko) 2012-05-04 2012-05-04 철도 분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5347B1 true KR101175347B1 (ko) 2012-08-23

Family

ID=46887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7609A KR101175347B1 (ko) 2012-05-04 2012-05-04 철도 분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3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1093A (zh) * 2015-07-13 2017-01-25 中铁二局工程有限公司 一种既有线路区间整体插铺1/42道岔的施工方法
CN112746530A (zh) * 2019-10-31 2021-05-04 江苏飞梭智行设备有限公司 一种防脱轨的轨道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854B1 (ko) 2007-01-10 2008-09-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효과적으로 온다이 터미네이션 동작 타이밍 조절이 가능한반도체 메모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854B1 (ko) 2007-01-10 2008-09-1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효과적으로 온다이 터미네이션 동작 타이밍 조절이 가능한반도체 메모리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51093A (zh) * 2015-07-13 2017-01-25 中铁二局工程有限公司 一种既有线路区间整体插铺1/42道岔的施工方法
CN106351093B (zh) * 2015-07-13 2018-01-23 中铁二局工程有限公司 一种既有线路区间整体插铺1/42道岔的施工方法
CN112746530A (zh) * 2019-10-31 2021-05-04 江苏飞梭智行设备有限公司 一种防脱轨的轨道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24532B (zh) 用于导轨与第二轨道交叉的轨道交叉装置
CN102787535B (zh) 跨坐式单轨交通轨道可挠式道岔梁梁段行走支撑
CN109989300B (zh) 渡线道岔和具有其的轨道交通系统
CN108842526A (zh) 一种槽型轨复式交分道岔
KR101175347B1 (ko) 철도 분기기
EP2964831B1 (en) Rail junction assembly
US9617689B2 (en) Passive switch for a railway track
JP5164929B2 (ja) 軌道車両の分岐装置
CN101255673A (zh) 双轨头钢轨及其构成的双轨轨道
CN202347369U (zh) 铁路道岔活动心轨组装辙叉
CN210793153U (zh) 一种用于悬挂式轨道交通运输系统的道岔结构
CN208830066U (zh) 一种槽型轨复式交分道岔
KR20130038567A (ko) 외선형 경전철의 궤도 분기장치
CN210262536U (zh) 一种全自动铁轨打磨系统
KR20120050752A (ko) 철도 분기기 크로싱
RU2421563C2 (ru) Рельсовая колея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CA2375046A1 (en) Cross frog
CN202705821U (zh) 可挠式道岔梁的可挠侧支撑板
CN215329055U (zh) 一种替换式预留道岔
CN110281959B (zh) 一种用于悬挂式轨道交通运输系统的道岔结构及道岔分流方法
CN212316565U (zh) 槽形轨道的道岔装置及轨道车辆
CN210561494U (zh) 一种预留推车机工作空间的铁轨变轨装置
CN106012700A (zh) 道岔叉心结构及其焊接工艺
RU2435894C2 (ru) Железная дорога и способ ее эксплуатации
CN209024903U (zh) 一种道岔轨道导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