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024B1 -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숫가루 - Google Patents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숫가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024B1
KR101174024B1 KR1020110143537A KR20110143537A KR101174024B1 KR 101174024 B1 KR101174024 B1 KR 101174024B1 KR 1020110143537 A KR1020110143537 A KR 1020110143537A KR 20110143537 A KR20110143537 A KR 20110143537A KR 101174024 B1 KR101174024 B1 KR 101174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parts
weight
mixing
fermented enzy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희
Original Assignee
홍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용희 filed Critical 홍용희
Priority to KR102011014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6Extru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미, 백미, 통밀, 흑미, 백태, 찹쌀 및 수수를 각각 로스팅(roasting)한 다음 특정 온도 및 압력조건에서 압출공정을 실시하는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미숫가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로스팅 및 압출공정을 통한 전분에 대한 두 번의 알파화로 소화 흡수율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숫가루는 종래 미숫가루에 비해 물에 대한 혼합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층분리도도 낮으며, 이미, 이취 및 식감이 크게 개선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크게 개선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숫가루는 식사 대용 또는 다이어트 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숫가루{Method for Preparing of Roast-Grain Powder and Roast-Grain Powder Prepared by the Method}
본 발명은 현미, 백미, 통밀, 흑미, 백태, 찹쌀 및 수수를 각각 로스팅(roasting)한 다음 특정 온도 및 압력조건에서 압출공정을 실시하는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미숫가루에 관한 것이다.
미숫가루는 미수(米水)라고도 하며, 찹쌀, 멥쌀, 보리쌀, 콩 등을 찌거나 볶아서 가루로 만든 식품으로, 주로 꿀물이나 설탕물에 타서 차게 마시며, 주로 여름철 음료로 이용되며, 다식과 암죽을 만들 때에도 이용된다. 그리고, 찹쌀 외에 보리, 콩, 율무 등 서너 가지를 섞어 만들면 맛도 좋고 영양가도 풍부해진다.
이러한 미숫가루를 제조하는 과정으로, 일반적으로 찹쌀, 멥쌀, 현미, 보리 등과 같은 곡물을 혼합하여 수 시간 정도 물에 불린 후 이를 찜솥에 넣고 증숙한 다음 일정한 수분함량이 되도록 건조시킨 후 다시 가열 솥에 넣고 곡물을 볶아낸 후 이를 분말로 갈아서 미숫가루를 제조한다.
또한, 미숫가루의 기호성 또는 소화 흡수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16039호에는 곡물을 파쇄한 후에 찌고, 그 찐 곡물에 아스파르질러스 니제르, 아스파르질러스 아와모리 및 아스파르질러스 가와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아스파르질러스속 미생물을 접종시켜 발효시킨 후, 그 발효물을 건조 및 분쇄하는 것을 포함하는 발효 미숫가루의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67504호에는 찹쌀, 멥쌀, 현미, 율무, 보리 등과 같은 곡물을 물에 불려 찜솥에서 증숙한 후 건조시켜 건조된 곡물을 다시 가열 솥에 넣고 볶아낸 후 볶아진 곡물을 분말로 갈아서 만든 통상적인 미숫가루 제조방법에 있어서, 드럼형으로 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며 외부에는 온도와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게이지와 압력조절밸브가 설치된 통상의 밀폐식 압력볶음솥 내부에 찜솥에서 증숙 후 건조된 곡물을 넣고 압력 8 kg/cm2, 온도 165~170℃가 될 때까지 압력볶음솥의 외부를 1차 가열한 후 압력을 3 kg/cm2까지 내린 다음 다시 압력볶음솥 내부의 압력이 12 kg/cm2, 온도는 185~187℃가 될 때까지 2차 가열한 후 압력볶음솥 내부의 압력을 8 kg/cm2까지 낮춘 상태에서 압력볶음솥의 입구를 순간 개방하여 솥 내부에서 볶아진 곡물을 솥 외부로 튀겨낸 후 이 곡물을 분말로 갈아서 미숫가루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러한 기술과 다른 방법으로 미숫가루의 기호도를 증가시키면서 물 또는 우유에 잘 혼합되고 소화 흡수율이 우수한 미숫가루의 개발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416039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367504호
본 발명자는 물에 잘 섞이고 소화 흡수가 잘 되는 미숫가루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현미, 백미, 통밀, 흑미, 백태, 찹쌀 및 수수를 각각 로스팅(roasting)한 다음 특정 온도 및 압력조건에서 압출공정을 실시하여 미숫가루를 제조한 결과, 종래 미숫가루에 비해 물에 대한 혼합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층분리도도 낮으며, 이미, 이취 및 식감이 크게 개선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크게 개선되었으며, 로스팅 및 압출공정을 통한 전분에 대한 두 번의 알파화로 소화 흡수가 잘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숫가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숫가루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미숫가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a) 현미, 백미, 통밀, 흑미, 백태, 찹쌀 및 수수를 각각 로스팅(roasting)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을 냉각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결과물을 현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백미 50-90 중량부, 통밀 20-60 중량부, 흑미 15-40 중량부, 백태 15-40 중량부, 찹쌀 3-15 중량부 및 수수 2-10 중량부로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결과물에 물을 가수하고 교반하여 혼합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을 180-270℃의 온도 및 180-260 bar의 압력조건으로 압출하는 단계; (f) 상기 단계 (e)의 결과물을 150-300 rpm의 속도로 1-3 cm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g) 상기 단계 (f)의 결과물을 냉각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단계 (g)의 결과물을 분쇄하는 단계.
본 발명자는 물에 잘 섞이고 소화 흡수가 잘 되는 미숫가루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다. 그 결과, 현미, 백미, 통밀, 흑미, 백태, 찹쌀 및 수수를 각각 로스팅(roasting)한 다음 특정 온도 및 압력조건에서 압출공정을 실시하여 미숫가루를 제조한 결과, 종래 미숫가루에 비해 물에 대한 혼합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층분리도도 낮으며, 이미, 이취 및 식감이 크게 개선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크게 개선되었으며, 로스팅 및 압출공정을 통한 전분에 대한 두 번의 알파화로 소화 흡수가 잘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하, 미숫가루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로스팅( roasting )
우선, 본 발명의 방법은 현미, 백미, 통밀, 흑미, 백태, 찹쌀 및 수수를 각각 로스팅(roasting)하는 단계를 실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로스팅(roasting)"은 대상물을 열처리하는 과정, 즉 볶는 과정을 말한다.
본 발명에서 로스팅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로스팅 기구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수망 로스터기(직화 식), 셈플 로스터기, 테스터 로스터기(직화, 열풍식), 통돌이 로스터기(직화, 열풍식) 및 미니 전동 로스터기(직화, 열풍식)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로스팅(roasting)은 30-90분 동안 250-350℃의 온도에서 실시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80분 동안 280-320℃의 온도에 실시하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70분 동안 295-305℃의 온도에서 실시한다.
로스팅을 상기 시간 및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는 이유는 1차적으로 곡물의 베타 전분을 알파 전분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것이다.
(b)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의 냉각
그 다음, 본 발명은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을 냉각한다.
상기 냉각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냉각팬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은 20-60분 동안 상기 단계 (a) 결과물의 온도가 50℃ 이하가 될 때까지 실시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각은 30-50분 동안 상기 단계 (a) 결과물의 온도가 30-50℃가 될 때까지 실시한다.
(c) 상기 단계 (b)의 결과물의 혼합
그 다음,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단계 (b)의 결과물을 현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백미 50-90 중량부, 통밀 20-60 중량부, 흑미 15-40 중량부, 백태 15-40 중량부, 찹쌀 3-15 중량부 및 수수 2-10 중량부로 혼합한다.
본 발명의 또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단계 (c)의 혼합은 상기 단계 (b)의 결과물을 현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백미 60-80 중량부, 통밀 30-50 중량부, 흑미 20-35 중량부, 백태 20-35 중량부, 찹쌀 5-12 중량부 및 수수 3-8 중량부로 혼합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현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백미 65-75 중량부, 통밀 35-45 중량부, 흑미 24-32 중량부, 백태 24-32 중량부, 찹쌀 6-10 중량부 및 수수 4-7 중량부로 혼합한다.
상기 함량으로 혼합된 경우에 이미, 이취 및 식감이 크게 개선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크게 개선된다.
(d) 상기 단계 (c)의 결과물에 물의 가수 및 혼합
그 다음,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단계 (c)의 결과물에 물을 가수하고 교반하여 혼합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가수 및 혼합은 상기 단계 (c)의 결과물에 상기 결과물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5-25 중량부를 가수하고 20-3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과물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10-17 중량부를 가수하고 20-3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한다.
(e)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의 압출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을 180-270℃의 온도 및 180-260 bar의 압력조건으로 압출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압출은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압출기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압출기(EX M/C, Single Type Extruder, 30HP) 또는 압출기(EX M/C, Twin Type Extruder, 100HP)를 이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출기 모두 이용할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압출기(EX M/C, Single Type Extruder, 30HP)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압출은 200-250℃의 온도 및 200-250 bar의 압력조건으로 압출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25-235℃의 온도 및 210-230 bar의 압력조건에서 실시한다.
상기 온도 및 압력조건에서 압출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미숫가루는 두 번의 알파화를 통해 물에 잘 혼합되고, 층분리도가 낮으며, 소화흡수율이 크게 개선된다.
(f) 상기 단계 (e)의 결과물의 절단
그 다음, 본 발명은 압출된 상기 단계 (e)의 결과물을 150-300 rpm의 속도로 1-3 cm의 크기로 절단한다.
상기 절단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절단은 180-220 rpm의 속도로 1.5-2.5 cm의 크기로 절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은 195-205 rpm의 속도로 1.5-2.5 cm의 크기로 절단한다.
상기 절단 과정을 통하여 압출물의 분쇄가 용이해진다.
(g) 상기 단계 (f)의 결과물의 냉각
이어,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단계 (f)의 결과물을 냉각시킨다.
상기 냉각은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냉각팬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냉각은 상기 단계 (f)의 결과물을 25-35℃로 냉각시킨다.
(h) 상기 단계 (g)의 결과물의 분쇄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상기 단계 (g)의 결과물을 분쇄한다.
상기 분쇄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물리적으로 잘게 부수는 예컨대, 전단(shearing), 밀링(milling) 또는 그라인딩 방법을 포함하고, 밀, 나이프 커터 또는 믹서기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분쇄는 2500-3500 rpm의 속도로 실시하여 입도가 50-70 mesh인 미숫가루를 수득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800-3200 rpm의 속도로 실시하여 입도가 60 mesh인 미숫가루를 수득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 (h) 이후에 (i) 상기 단계 (h)의 미숫가루의 금속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미숫가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숫가루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서, 양 발명의 공통된 내용은 반복 기재에 따른 명세서의 과도한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그 기재를 생략한다.
상기 미숫가루는 물에 대한 혼합도가 높으며 두 번의 알파화를 통해 소화 흡수율이 높으므로, 물 또는 우유에 혼합하여 섭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ⅰ) 본 발명은 현미, 백미, 통밀, 흑미, 백태, 찹쌀 및 수수를 각각 로스팅(roasting)한 다음 특정 온도 및 압력조건에서 압출공정을 실시하는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미숫가루에 관한 것이다.
(ⅱ) 본 발명의 방법은 로스팅 및 압출공정을 통한 전분에 대한 두 번의 알파화로 소화 흡수율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ⅲ) 또한, 본 발명의 미숫가루는 종래 미숫가루에 비해 물에 대한 혼합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층분리도도 낮으며, 이미, 이취 및 식감이 크게 개선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크게 개선되었다.
(ⅳ) 따라서, 본 발명의 미숫가루는 식사 대용 또는 다이어트 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숫가루의 제조과정을 보여주는 공정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 %이다.
제조예 1: 미숫가루의 제조
현미, 백미, 통밀, 흑미, 백태, 찹쌀 및 수수를 원료 창고에서 필요한 양 만큼 석발기를 이용하여 선별하고, 각 원료 별로 계량을 하여 볶음기에 투입하기 용이하게 원료별로 40 kg 단위로 계량하였다. 그리고, 볶음기(창룡기계, 용량: 500 kg)의 호퍼(hopper)에 마그네틱(12,000 가우스)을 설치하고 잔량이 남지 않도록 상기 호퍼를 통하여 전량 이송시킨 다음, 상기 마그네틱에 금속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볶음기에 투입한 양은 1배치(batch) 당 300 kg의 양으로 투입하였고, 그런 다음, 60분 동안 300℃의 온도에서 볶음을 실시하였다. 이어, 볶아진 원료를 냉각팬(20HP, 용량: 500kg)에 토출시키고 토출된 원료는 교반하면서 냉각팬을 40분 동안 작동시켜, 방열 후 최종 원료의 온도가 50℃ 이하일 때까지 강제흡입 냉각시켰다.
그리고, 냉각이 끝난 반제품은 압출혼합하기 용이하게 반제품 별로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계량하고, 반제품 별로 배치(batch) 단위로 구분하고 혼동이 되지 않도록 반제품 별로 라벨링을 하여 보관하였다. 반제품의 배치별 중량은 아래 표 1에 정리하였다:
반제품 중량(kg) 비율(%) part
현미 52.5 35 100
백미 37.5 25 71.4
통밀 22.5 15 42.9
흑미 15.0 10 28.6
백태 15.0 10 28.6
찹쌀 4.5 3 8.6
수수 3.0 2 5.7
150 100 -
그 다음, 상기 표 1의 반제품을 상기 조성으로 가수 혼합탱크에 투입하고, 교반기를 가동시켰으며, 물 10 kg씩 계량하여 20 kg의 물(수분 함량: 반제품 중량 대비 13±1 중량%)을 가수하고 25분 동안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하였다. 그리고, 상기 혼합된 반제품을 이송시켜 230℃의 온도 및 220 bar의 압력조건으로 압출기(EX M/C, Single Type Extruder, 30HP)를 이용하여 압출시켰다. 이어, 압출되어 나오는 압출물을 200 rpm의 속도로 절단기(Cutting M/C)를 이용하여 2.0 cm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그 다음, 절단된 압출물을 저장탱크로 강제 Air 이송(2.0HP 브로워)시켜 30℃로 냉각시켰다. 그리고, 분쇄기(HAMER MILLING M/C 30HP, 세한기계)를 이용하여 3000 rpm의 속도로 분쇄를 실시하고 분쇄물의 입도가 60 mesh가 되는 경우 통과시켜 저장탱크에 50 kg 정도 토출시켰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금속검출기(마그네틱 12,000 가우스)를 이용하여 금속을 검출하고 0.5-20 kg 단위로 포장하고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비교제조예 1: 미숫가루의 제조
현미, 백미, 통밀, 흑미, 백태, 찹쌀 및 수수를 원료 창고에서 필요한 양 만큼 석발기를 이용하여 선별하고, 각 원료 별로 계량을 하여 볶음기에 투입하기 용이하게 원료별로 40 kg 단위로 계량하였다. 그리고, 볶음기(창룡기계, 용량: 500 kg)의 호퍼(hopper)에 마그네틱(12,000 가우스)을 설치하고 잔량이 남지 않도록 상기 호퍼를 통하여 전량 이송시킨 다음, 상기 마그네틱에 금속 이물질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볶음기에 투입한 양은 1배치(batch) 당 300 kg의 양으로 투입하였고, 그런 다음, 60분 동안 300℃의 온도에서 볶음을 실시하였다. 이어, 볶아진 원료를 냉각팬(20HP, 용량: 500 kg)에 토출시키고 토출된 원료는 교반하면서 냉각팬을 40분 동안 작동시켜, 방열 후 최종 원료의 온도가 50℃ 이하일 때까지 강제흡입 냉각시켰다.
그리고, 냉각이 끝난 반제품은 반제품 별로 전자저울을 이용하여 계량하고, 반제품 별로 배치(batch) 단위로 구분하고 혼동이 되지 않도록 반제품 별로 라벨링을 하여 보관하였다. 반제품의 배치별 중량은 아래 표 2에 정리하였다:
반제품 중량(kg) 비율(%) part
현미 52.5 35 100
백미 37.5 25 71.4
통밀 22.5 15 42.9
흑미 15.0 10 28.6
백태 15.0 10 28.6
찹쌀 4.5 3 8.6
수수 3.0 2 5.7
150 100 -
그 다음, 상기 표 2의 반제품을 상기 조성으로 혼합탱크에 투입하여, 교반하여 혼합시킨 다음, 분쇄기(HAMER MILLING M/C 30HP, 세한기계)를 이용하여 3000 rpm의 속도로 분쇄를 실시하고 분쇄물의 입도가 60 mesh가 되는 경우 통과시켜 저장탱크에 50 kg 정도 토출시켰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금속검출기(마그네틱 12,000 가우스)를 이용하여 금속을 검출하고 0.5-20 kg 단위로 포장하고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실험예 1: 물에 혼합 테스트
500 ml의 투명 용기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미숫가루(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한 미숫가루(비교예 1) 100 g을 각각 첨가하고 여기에 물 300 ml를 부은 다음, 60 rpm의 속도로 교반기를 이용하여 30초 동안 교반한 다음, 미숫가루의 혼합 여부를 관찰하였고, 추가적으로 1분 30초 동안 교반한 다음 2분간 방치 후 층분리가 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교반 30초 후 혼합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미숫가루 응집체가 수면의 면적에 대해 0-5% 정도 있는 경우를 +++, 5-10% 정도 있는 경우를 ++, 그리고 10-15% 정도 있는 경우를 +로 나타내었고, 2분간 방치 후 층분리가 되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투명 용기의 높이에 대해 침전층이 0-5% 정도 있는 경우를 +, 5-10% 정도 있는 경우를 ++, 그리고 10-15% 정도 있는 경우를 +++로 나타내어, 아래 표 3에 정리하였다:
- 혼합도
(30초 교반 후)
층분리도
(1분 30초 추가 교반 후 2분 방치)
실시예 1 +++ +
비교예 1 + +++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의 미숫가루는, 비교제조예 1(비교예 1)의 미숫가루에 비해 물에 대한 혼합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층분리도도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에서 채택하고 있는 압출공정의 차이라고 판단된다.
실험예 2: 관능 테스트
500 ml의 투명 용기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미숫가루(실시예 1) 및 상기 비교제조예 1에서 제조한 미숫가루(비교예 1) 100 g을 각각 첨가하고 여기에 물 300 ml를 부은 다음, 60 rpm의 속도로 교반기를 이용하여 2분 동안 혼합한 다음, 미숫가루의 관능검사를 실시하기 위하여 훈련된 패널 20명을 대상으로 관능적 특성을 7점 점수법으로 색상, 이미, 이취,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를 조사하였고, 식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매우 좋은 경우를 7점, 그리고 매우 싫은 경우를 1점으로 나타내고, 이미(이취)의 경우는 매우 강한 경우를 7점, 그리고 이미(이취)가 없는 경우를 1점으로 나타내며, 매우 좋은(강한) 정도에서 싫은(없는) 정도 순으로 점수는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관능평가에 사용한 모든 시료의 온도는 상온이 되도록 준비하였고, 물에 혼합한 미숫가루 15 ml를 입안에 넣고 20초간 구강 표피를 골고루 자극한 후 뱉어내고, 한 시료의 평가를 마칠 때마다 물로 입안을 세척하고 10분이 경과된 후 다음 시료를 평가하였다. 그리고, 관능평가의 평균값은 아래 표 4에 정리하였다:
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색상 회백색 회백색
이미 2 4
이취 2 3
식감 6 4
전체적인 기호도 6 4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조예 1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의 미숫가루는, 비교제조예 1(비교예 1)의 미숫가루에 비해 이미, 이취 및 식감이 크게 개선되어 전체적인 기호도가 크게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서 채택하고 있는 압출공정의 차이라고 판단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a) 현미, 백미, 통밀, 흑미, 백태, 찹쌀 및 수수를 각각 40-80분 동안 280-320℃의 온도에서 로스팅(roasting)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의 결과물을 냉각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의 결과물을 현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백미 50-90 중량부, 통밀 20-60 중량부, 흑미 15-40 중량부, 백태 15-40 중량부, 찹쌀 3-15 중량부 및 수수 2-10 중량부로 혼합하는 단계;
    (d) 상기 단계 (c)의 결과물에 물을 가수하고 교반하여 혼합하는 단계;
    (e) 상기 단계 (d)의 결과물을 180-270℃의 온도 및 180-260 bar의 압력조건으로 압출하는 단계;
    (f) 상기 단계 (e)의 결과물을 150-300 rpm의 속도로 1-3 cm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g) 상기 단계 (f)의 결과물을 냉각시키는 단계; 및
    (h) 상기 단계 (g)의 결과물을 분쇄하는 단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의 로스팅(roasting)은 50-70분 동안 295-305℃의 온도에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가수 및 혼합은 상기 단계 (c)의 결과물에 상기 결과물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물 5-25 중량부를 가수하고 20-30분 동안 교반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f)의 절단은 180-220 rpm의 속도로 1.5-2.5 cm의 크기로 절단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h)의 분쇄는 2500-3500 rpm의 속도로 실시하여 입도가 50-70 mesh인 미숫가루를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0143537A 2011-12-27 2011-12-27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숫가루 KR101174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537A KR101174024B1 (ko) 2011-12-27 2011-12-27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숫가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537A KR101174024B1 (ko) 2011-12-27 2011-12-27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숫가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4024B1 true KR101174024B1 (ko) 2012-08-16

Family

ID=46887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537A KR101174024B1 (ko) 2011-12-27 2011-12-27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숫가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0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612B1 (ko) 2018-10-02 2019-04-12 주식회사 뚜레반 클로렐라 함유 과립형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KR20210059102A (ko) 2019-11-14 2021-05-2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동의보굼 기능성 식용 꽃뱅이 분말과 곡물을 혼합한 미숫가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59101A (ko) 2019-11-14 2021-05-2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동의보굼 기능성 식용 꽃뱅이 분말과 곡물을 혼합한 미숫가루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612B1 (ko) 2018-10-02 2019-04-12 주식회사 뚜레반 클로렐라 함유 과립형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KR20210059102A (ko) 2019-11-14 2021-05-2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동의보굼 기능성 식용 꽃뱅이 분말과 곡물을 혼합한 미숫가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59101A (ko) 2019-11-14 2021-05-2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동의보굼 기능성 식용 꽃뱅이 분말과 곡물을 혼합한 미숫가루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5011A (en) Process for producing nixtamal and masa flour
US5558898A (en) Continuous method of producing masa flour
CN102240024B (zh) 一种五谷杂粮蒸肉粉及其生产方法
CN105188390A (zh) 咖啡樱桃颗粒物及其制备方法
US10375981B2 (en) High-moisture texturized peanut protein and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101174024B1 (ko)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숫가루
CN112617112A (zh) 一种方便米饭及其制作方法
CN102715462A (zh) 一种蚕豆全粉粉丝和粉皮及其生产方法
CN112167522A (zh) 一种黄花菜多肽营养面条的制备方法
KR101528228B1 (ko) 곡물가루의 분산성 개선 및 그의 제조방법
JP3766477B2 (ja) 飼料用ペレット及び飼料用クランブル並びにそれらの製造法
CN104686895A (zh) 一种蒲公英杂粮米的制作方法
CN106962752A (zh) 一种复配速溶玉米糊的制作方法
KR101352655B1 (ko) 침전 안정성이 우수한 아미노산 고함유 쌀음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3892207B (zh) 一种五谷膳食粥及其加工工艺
KR100751070B1 (ko) 건조비지 분말의 제조방법
KR100545529B1 (ko) 미강을 이용한 장류의 제조방법
KR20080097963A (ko) 생콩의 미세분말을 이용한 전두유 및 전두부 제조시스템 및제조방법
KR101967612B1 (ko) 클로렐라 함유 과립형 미숫가루의 제조방법
CN107484988A (zh) 一种速溶紫薯羹冲剂及其制备工艺
CN102726538A (zh) 一种糯小米营养乳及其制备方法
CN106721173A (zh) 一种公羊养殖用的饲料及其制备方法
CN101253957A (zh) 五谷杂粮方便糍粥片的制备方法
CN111528357A (zh) 一种宠物风干粮及其制备方法
TW200533298A (en) Compressed oatme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