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470B1 -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470B1
KR101173470B1 KR1020100055313A KR20100055313A KR101173470B1 KR 101173470 B1 KR101173470 B1 KR 101173470B1 KR 1020100055313 A KR1020100055313 A KR 1020100055313A KR 20100055313 A KR20100055313 A KR 20100055313A KR 101173470 B1 KR101173470 B1 KR 101173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der
tooth
recliner
sector tooth
cam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5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5535A (ko
Inventor
이상준
김동수
남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리버코리아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리버코리아,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리버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05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470B1/ko
Publication of KR20110135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5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시트쿠션 프레임과 결합되며, 일면에 회전중심돌기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플레이트 홀더; 시트 백 프레임과 결합되며, 내주면에 내접기어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섹터 투스; 플레이트 홀더와 섹터 투스의 사이에 배치되어 리클라이너 레버가 일단에 결합된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캠 레버; 캠 레버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섹터 투스의 내접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을 이루기 위한 폴투스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회전중심돌기를 기점으로 회전되는 폴투스; 및 플레이트 홀더, 섹터 투스 및 캠 레버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접하여 형성된 접촉면 틈새에 개입되어 밀폐 구조를 이루는 실링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클라이너의 작동부품에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최소한의 틈새를 형성하고 이 틈새에 그리스 등과 같은 실링부재를 개입시켜 추가 부품 없이 밀폐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실링부재가 그리스일 경우, 열에 의한 고형화로 유막을 형성함으로써, 유막에 의해 밀폐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RECLINER OF SE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클라이너의 구성요소 간 접촉 부위에 실링 기능을 부여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시트는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 백과, 엉덩이에서 허벅다리를 지지하는 시트쿠션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시트 백은 리클라이너에 의해 각도조절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미세한 조절이 용이하도록 무단으로 각도 조절되는 무단 리클라이너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시트는 그 골격이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 백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 백 프레임의 연접부위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도록 시트 백의 각도를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조절하는 리클라이너가 장착된다.
상기 리클라이너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프레임과 결합되는 플레이트홀더(1), 시트백프레임과 결합되고 안쪽면에 내접기어(미도시)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섹터투스(2), 리클라이너 레버가 일단에 결합되는 샤프트(3), 캠레버(4), 캠스프링(5), 폴투스(6), 커버브라켓(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캠레버(4)와 캠스프링(5) 및 폴투스(6)는 상기 플레이트홀더(1)와 상기 섹터투스(2)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는 부품이며, 그 중 상기 폴투스(6)에는 상기 섹터투스(2)의 내접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을 이루기 위한 폴투스기어(6a)가 바깥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브라켓(7)은 상기 플레이트홀더(1)와 상기 섹터투스(2)의 바깥 둘레면을 감싸면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와 상기 섹터투스(2)를 서로 조립시키는 부품이며, 상기 플레이트홀더(1)와 상기 섹터투스(2) 사이의 공간 상기 커버브라켓(7)에 의해 적정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리클라이너 레버를 조작하여 샤프트(3)가 회전하면 캠레버(4)가 회전하고, 상기 캠레버(4)가 회전하면 폴투스(6)가 회전중심돌기(1a)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섹터투스(2)의 내접기어와 치합을 이루고 있던 폴투스기어(6a)는 치합이 해제된 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면, 상기 섹터투스(2)는 플레이트홀더(1)에 대해 회전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섹터투스(2)와 결합된 시트백프레임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차량의 시트 백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작하고 있던 리클라이너 레버를 놓아주면 캠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 폴투스(6)가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폴투스기어(6a)와 섹터투스(2)의 내접기어는 다시 치합되며, 이로 인해 차량의 시트 백은 각도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캠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 폴투스(6)가 반대방향 회전을 하면, 이에 연동하여 캠레버(4) 및 샤프트(3)도 함께 반대방향 회전을 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다음번의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라운드 타입(round type) 리클라이너에 대해서는 본 출원인이 2007년 08월 16일자로 출원한 특허출원번호 10-2007-0082182호에 이미 자세하게 기제한 바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클라이너는 샤프트(3)의 외주면과, 중심부에 샤프트(3)가 통과하도록 플레이트홀더(1)와 섹터투스(2)의 외벽 중심부에 각각 형성된 홀의 내주면과의 틈을 플레인 와셔(Plane washer: 8a) 및 페이퍼 와셔(Paper washer: 8b)인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여 밀폐하도록 하였다. 이때, 샤프트(3)는 샤프트 본래의 기능과 함께 밀폐를 위한 기능을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로, 리클라이너에 삽입시킨 후 플레인 와셔(8a) 및 페이퍼 와셔(8b)를 통해 밀폐시키는 것이다.
더욱이, 폴투스(6)와 같은 작동부품은 작동을 위해 플레이트홀더(1)와 섹터투스(2)의 사이에 최소한의 틈새가 형성되어야 하므로 틈새 관리를 위한 별도의 부재가 필요하게 되며, 이에 부품수 증가, 조립 공정수 증가 및 원가 상승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리클라이너의 작동부품에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최소한의 틈새를 형성하고 이 틈새에 그리스 등과 같은 실링부재를 개입시켜 추가 부품 없이 밀폐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링부재가 그리스일 경우, 열에 의한 고형화로 유막을 형성함으로써, 유막에 의해 밀폐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쿠션 프레임과 결합되며, 일면에 회전중심돌기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플레이트 홀더; 시트 백 프레임과 결합되며, 내주면에 내접기어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섹터 투스; 플레이트 홀더와 섹터 투스의 사이에 배치되어 리클라이너 레버가 일단에 결합된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캠 레버; 캠 레버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섹터 투스의 내접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을 이루기 위한 폴투스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회전중심돌기를 기점으로 회전되는 폴투스; 및 플레이트 홀더, 섹터 투스 및 캠 레버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접하여 형성된 접촉면 틈새에 개입되어 밀폐 구조를 이루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플레이트 홀더와 섹터 투스와의 대향면 중심부 측과, 상기 대향면 사이에 개입되는 캠 레버의 양측면 중심부 측 사이에 실링부재가 구비되도록 플레이트 홀더와 캠 레버의 중심부 측에 상기 섹터 투스 방향으로 동일하게 향하는 절곡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캠 레버의 절곡부 바깥쪽으로 캠 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대향된 플레이트 홀더와 섹터 투스와의 외주면 측에 실링부재가 구비되도록 플레이트 홀더의 외주면 측에 섹터 투스 방향으로 향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섹터 투스의 외주면 측에 플레이트 홀더 방향으로 향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홀더와 상기 섹터 투스와의 절곡부를 커버 브라켓에 의해 동시에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실링부재는 그리스(Greas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그리스는 열에 따른 고형화에 의해 유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그리스 조성물은 합성탄화수소유로 구성된 기유, 바륨복합비누 증주제 및 올레핀계 고분자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그리스 조성물은 기유 55.0 ~ 70.0 중량%, 바륨복합비누 증주제 20.0 ~ 30.0 중량% 및 올레핀계 고분자 5.0~10.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리클라이너의 작동부품에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최소한의 틈새를 형성하고 이 틈새에 그리스 등과 같은 실링부재를 개입시켜 추가 부품 없이 밀폐구조를 구현할 수 있고, 실링부재가 그리스일 경우, 열에 의한 고형화로 유막을 형성함으로써, 유막에 의해 밀폐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홀더(10), 섹터 투스(20), 샤프트(30), 캠 레버(40), 폴 투스(50), 캠 스프링(60), 커버 브라켓(70) 및 실링부재(80)를 포함하며, 차종 및 시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는데, 그 중 라운드 타입(round type)이 적용된 상태를 예시한다.
한편, 플레이트 홀더(10)와 커버 브라켓(70)은 리클라이너의 외관을 이루게 되고, 캠 레버(40), 폴 투스(50), 캠 스프링(60) 및 실링부재(80)는 플레이트 홀더(10)와 커버 브라켓(70)의 사이 공간 내에 설치되는 부품이다.
플레이트 홀더(Plate holder: 10)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일면에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폴 투스(50)가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회전중심돌기(10a)와, 회전중심돌기(10a)의 사이마다 돌출된 부분 중 어느 한 부분에 캠 스프링(6)의 외측 끝단이 걸리도록 스프링 돌기(10b)가 구비된다.
섹터 투스(Sector tooth: 20)는 시트 백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플레이트 홀더(10)와 대향되는 내주면에 내접기어(20a)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플레이트 홀더(10)의 전면 단차에 삽입 결합된다.
한편, 플레이트 홀더(10)와 섹터 투스(20)의 중심부에는 샤프트(30)가 관통하여 위치되는 홀이 각각 형성된다.
샤프트(30)는 탑승자가 시트 백의 각도 조절을 위해 조작하는 리클라이너 레버가 일단에 결합되며, 도중에 스플라인 홀 형태인 캠 레버(40)의 중심이 결합되어 캠 레버(40)가 연동될 수 있도록 스플라인 돌기 형태로 형성되는 축이다.
캠 레버(Cam lever: 40)는 플레이트 홀더(10)와 섹터 투스(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샤프트(3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도록 중심부에 스플라인 홀이 형성되며, 회전시 외주면에 폴 투스(50)가 회전중심돌기(10a)를 기점으로 회전하도록 폴 투스(50)의 개수와 동일하게 캠이 돌출 형성된다.
즉, 캠 레버(40)의 회전시 캠 면을 따라 폴 투스(50)의 내면이 승강하는 과정에서 회전중심돌기(10a)에 의해 시소운동하여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폴 투스(50)의 폴투스 기어(50a)가 섹터 투스(20)의 내접기어(20a)에 치합이 해제 또는 치합이 되는 것이다.
더욱이, 캠 레버(40)의 일면에 캠 스프링(60)의 내측 절곡부가 걸리도록 어느 한 위치에 돌기가 형성된다.
폴 투스(Pawl tooth: 50)는 캠 레버(40)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다수 구비되며, 섹터 투스(20)의 내접기어(20a)와 선택적으로 치합을 이루기 위한 폴 투스 기어(50a)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캠 레버(40)의 회전시 회전중심돌기(10a)를 기점으로 회전된다.
더욱이, 폴 투스(50)의 양 측면에는 외력에 의해 폴 투스(50)가 회전중심돌기(10a)로부터 이탈될 때 회전중심돌기(10a)의 사이마다 돌출된 부분의 측면을 함몰시키면서 그 양 측면에 암수 결합을 이루어, 섹터 투스(20)의 내접기어(20a)와 폴 투스(50)의 폴 투스 기어(50a)가 치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압돌기와 결합홈이 연속적으로 구비된다.
캠 스프링(60)은 소용돌이 형태로 구비되어 외측 끝단과 내측 끝단이 각각 절곡 형성되되, 외측 절곡부가 스프링 돌기(10b)에 걸리게 되고, 내측 절곡부가 캠 레버(40)의 돌기에 걸리게 되므로 시트 백의 각도를 조절한 후 시트 백의 각도를 고정시키기 위해 리클라이너 레버를 놓아주면 복원력에 의해 폴 투스(50)가 원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커버 브라켓(70)은 플레이트 홀더(10)와 섹터 투스(20)의 바깥 둘레면을 감싸면서 플레이트 홀더(10)와 섹터 투스(20)를 서로 조립시키는 부품이며, 플레이트 홀더(10)와 섹터 투스(20) 사이의 공간이 커버 브라켓(70)에 의해 적정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실링부재(80)는 샤프트(30)가 위치되는 안쪽인 플레이트 홀더(10), 섹터 투스(20) 및 캠 레버(40)와의 접촉면과, 바깥쪽인 플레이트 홀더(10) 및 섹터 투스(20)와의 접촉면에 각각 개입되어 밀폐 구조를 이룬다.
즉, 리클라이너의 작동부품인 캠 레버(40) 및 폴 투스(50) 등의 최소 틈새를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최소 틈새로 유지하면서 틈새의 밀폐성을 유지하도록 실링부재(8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때, 플레이트 홀더(10)와 섹터 투스(20)와의 마주보는 대향면 중심부 측과, 플레이트 홀더(10)와 섹터 투스(20)와의 대향면 사이에 개입되는 캠 레버(40)의 양측면 중심부 측 사이에 실링부재(80)가 구비되도록 플레이트 홀더(10)와 캠 레버(40)의 중심부 측에 섹터 투스(20) 방향으로 동일하게 향하는 절곡부가 각각 형성되며, 이 중 캠 레버(40)의 절곡부 바깥쪽으로 캠 스프링(60)이 배치된다.
그리고 플레이트 홀더(10)와 섹터 투스(20)와의 마주보는 대향된 외주면 측에 실링부재(80)가 구비되도록 플레이트 홀더(10)의 외주면 측에 섹터 투스(20) 방향으로 향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섹터 투스(20)의 외주면 측에 플레이트 홀더(10) 방향으로 향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플레이트 홀더(10)와 섹터 투스와(20)의 절곡부를 커버 브라켓(70)에 의해 동시에 감싸도록 구비한다. 한편, 캠 레버(40)와 마주보는 섹터 투스(20)의 중심부 측에도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실링부재(80)는 일 예로 그리스(Grease)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반고체인 점도성 윤활유로 대체 가능하다.
이때, 실링부재(80)가 그리스일 경우 실링(Sealing) 기능과 함께 시트의 종류에 따라 플레이트 홀더(10)가 직접 시트쿠션프레임과 결합되지 않고 베이스브라켓(도면에 미도시)과 용접 결합됨을 감안할 때 용접열 등에 의해 고형화가 되어 유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유막에 의해 밀폐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그리스의 조성물은 기유(base oil), 증주제(Thickener 또는 Gelling agent) 및 첨가제(Performance additives) 등을 함유하며, 함유량은 합성탄화수소유로 구성된 기유 55.0 ~ 70.0중량%, 바륨복합비누 증주제 20.0 ~ 30.0 중량% 및 올레핀계 고분자인 첨가제 5.0~10.0 중량%를 포함한다.
이때, 그리스의 조성물 중 하나인 기유로 합성탄화수소유를 사용하고, 여기에 바륨복합비누 증주제와 올레핀계 고분자를 첨가해 점착성 및 내열성을 개선하여 용접 공정 후에도 그리스가 변형되지 않아 전착액 유입이 발생하지 않는 그리스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유의 바람직한 함량은 그리스 조성물 전체에 대해 55.0 ~ 70.0 중량%이다. 이때, 기유 함량이 55.0 중량% 미만이면, 지나치게 고화되어 유동성 저하에 따른 그리스로의 실용성이 없으며, 70.0 중량%를 초과하면 지나치게 연화되어 내열성 저하에 따른 그리스의 이유 및 흘러내림의 문제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그리스의 조성물 중 하나인 증주제는 바륨복합비누 증주제로, 함량은 전체 그리스 조성물에 대해 20.0 ~ 30.0 중량%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그 함량이 20.0 중량% 미만에서는 그리스가 연화되어 내열성이 저하되며, 반대로 30.0 중량%을 넘으면 고화하여 유동성이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그리스의 조성물 중 하나인 올레핀계 고분자는 점착성 및 고온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해당 그리스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5.0 ~ 10.0 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그 함량이 10.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더 이상의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5.0% 미만이면 점착성 및 고온 안정성이 저하되어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리클라이너 레버를 조작하여 샤프트(30)가 회전하면 캠 레버(40)가 회전하고, 상기 캠레버(40)가 회전하면 폴투스(50)가 회전중심돌기(10a)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섹터 투스(20)의 내접기어(20a)와 치합을 이루고 있던 폴투스 기어(50a)는 치합이 해제된 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면, 상기 섹터 투스(20)는 플레이트 홀더(10)에 대해 회전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섹터 투스(20)와 결합된 시트 백 프레임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차량의 시트 백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작하고 있던 리클라이너 레버를 놓아주면 캠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폴 투스(5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여 폴투스 기어(50a)와 섹터 투스(20)의 내접기어(20a)는 다시 치합되며, 이로 인해 차량의 시트 백은 각도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캠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폴 투스(50)가 반대방향 회전을 하면, 이에 연동하여 캠 레버(40) 및 샤프트(30)도 함께 반대방향 회전을 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다음번의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한편, 샤프트(30)가 위치되는 리클라이너 안쪽인 플레이트 홀더(10), 섹터 투스(20) 및 캠 레버(40)와의 접촉면과, 리클라이너 바깥쪽인 플레이트 홀더(10) 및 섹터 투스(20)와의 접촉면에 실링부재(80)가 각각 개입되어 캠 레버(40)와 폴 투스(50) 등을 포함하는 작동부품에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최소한의 틈새를 유지시키면서 이 틈새에 밀폐구조를 형성한다.
더욱이, 실링부재(80)가 그리스일 경우, 실링 기능과 함께 용접열 등에 의한 그리스의 고형화로 유막을 형성하여 밀폐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플레이트 홀더 20: 섹터 투스
30: 샤프트 40: 캠 레버
50: 폴 투스 60: 캠 스프링
70: 커버 브라켓 80: 실링부재

Claims (7)

  1. 삭제
  2. 시트쿠션 프레임과 결합되며, 일면에 회전중심돌기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플레이트 홀더;
    시트 백 프레임과 결합되며, 내주면에 내접기어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섹터 투스;
    플레이트 홀더와 섹터 투스의 사이에 배치되어 리클라이너 레버가 일단에 결합된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캠 레버;
    캠 레버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섹터 투스의 내접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을 이루기 위한 폴투스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회전중심돌기를 기점으로 회전되는 폴투스; 및
    플레이트 홀더, 섹터 투스 및 캠 레버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접하여 형성된 접촉면 틈새에 개입되어 밀폐 구조를 이루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플레이트 홀더와 섹터 투스와의 대향면 중심부 측과, 상기 대향면 사이에 개입되는 캠 레버의 양측면 중심부 측 사이에 실링부재가 구비되도록 플레이트 홀더와 캠 레버의 중심부 측에 상기 섹터 투스 방향으로 동일하게 향하는 절곡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캠 레버의 절곡부 바깥쪽으로 캠 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3. 시트쿠션 프레임과 결합되며, 일면에 회전중심돌기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플레이트 홀더;
    시트 백 프레임과 결합되며, 내주면에 내접기어가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섹터 투스;
    플레이트 홀더와 섹터 투스의 사이에 배치되어 리클라이너 레버가 일단에 결합된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는 캠 레버;
    캠 레버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구비되며, 섹터 투스의 내접기어와 선택적으로 치합을 이루기 위한 폴투스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어 회전중심돌기를 기점으로 회전되는 폴투스; 및
    플레이트 홀더, 섹터 투스 및 캠 레버 중 적어도 둘 이상이 접하여 형성된 접촉면 틈새에 개입되어 밀폐 구조를 이루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대향된 플레이트 홀더와 섹터 투스와의 외주면 측에 실링부재가 구비되도록 플레이트 홀더의 외주면 측에 섹터 투스 방향으로 향하는 절곡부가 형성되고, 섹터 투스의 외주면 측에 플레이트 홀더 방향으로 향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 홀더와 상기 섹터 투스와의 절곡부를 커버 브라켓에 의해 동시에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4. 제 2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실링부재는 그리스(Greas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5. 제 4에 있어서,
    그리스는 열에 따른 고형화에 의해 유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6. 제 4항에 있어서,
    그리스 조성물은 합성탄화수소유로 구성된 기유, 바륨복합비누 증주제 및 올레핀계 고분자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7. 제 6항에 있어서,
    그리스 조성물은 기유 55.0 ~ 70.0 중량%, 바륨복합비누 증주제 20.0 ~ 30.0 중량% 및 올레핀계 고분자 5.0~10.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20100055313A 2010-06-11 2010-06-11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173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313A KR101173470B1 (ko) 2010-06-11 2010-06-11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5313A KR101173470B1 (ko) 2010-06-11 2010-06-11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535A KR20110135535A (ko) 2011-12-19
KR101173470B1 true KR101173470B1 (ko) 2012-08-14

Family

ID=45502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5313A KR101173470B1 (ko) 2010-06-11 2010-06-11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54647A1 (en) * 2018-05-23 2021-08-19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Rotational coupl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442B1 (ko) * 2012-10-31 2014-01-09 주식회사다스 리클라이너의 섹터투스 pcd 측정 장치
KR101422419B1 (ko) * 2013-10-31 2014-07-2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KR101422418B1 (ko) * 2013-10-31 2014-07-2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JP6950624B2 (ja) * 2018-05-23 2021-10-1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リクライ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079A (ja) 2001-10-09 2002-06-25 Ntn Corp 座席シート
KR100902981B1 (ko) * 2003-02-11 2009-06-15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 의자용 기어식 피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079A (ja) 2001-10-09 2002-06-25 Ntn Corp 座席シート
KR100902981B1 (ko) * 2003-02-11 2009-06-15 카이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차량 의자용 기어식 피팅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54647A1 (en) * 2018-05-23 2021-08-19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Rotational coupl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927208B2 (en) * 2018-05-23 2024-03-12 Toyota Boshoku Kabushiki Kaisha Rotational coupl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5535A (ko) 201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47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N108688572A (zh) 用于可伸缩踏脚板的连杆机构
CN102050041B (zh) 车辆座椅倾角调节装置
US20160272089A1 (en) Recliner for vehicle seat
JP2006515222A5 (ko)
JPS6076449A (ja) ワイパ装置
KR20020055423A (ko) 리플렉터 가동형 자동차용 헤드 램프
JP2009078779A (ja) 車両用アウトサイドミラー装置
JP5694580B2 (ja) 田植機のロータリー式植付け装置
JP5462676B2 (ja) 田植機のロータリー式植付け装置
KR10179344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A2241649A1 (en) Multi-use articulation for external side view mirrors
CN103895471B (zh) 汽车遮阳板
JP4917814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それを具備する自動車用シート
KR20110012897A (ko) 다중 고정 타입 리클라이너 레버 장치
US10688891B2 (en) Seat recliner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264426A (ja) 車両用サイドミラーのシール構造
CN105805200A (zh) 制动组件和用于制动组件的摩擦衬里
KR20040010104A (ko) 카르단 축의 길이 조절부 밀봉을 위한 실링 링
JP2014177210A (ja) 自動車用ドアのウエストサイドシール
JP5487742B2 (ja) 車両用シートの連結装置
CN207274373U (zh) 一种用于防止水切对接段出现间隙的结构
JP2011220505A (ja) ダンパ
JP2017506601A (ja) 特に自動車用サイドミラーのためのミラー調整機構
CN214240712U (zh) 自居中式散热器格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