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460B1 -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및 이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및 이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460B1
KR101173460B1 KR1020120026142A KR20120026142A KR101173460B1 KR 101173460 B1 KR101173460 B1 KR 101173460B1 KR 1020120026142 A KR1020120026142 A KR 1020120026142A KR 20120026142 A KR20120026142 A KR 20120026142A KR 101173460 B1 KR101173460 B1 KR 101173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extruder
outer tube
reinforcing member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6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명주
Original Assignee
유토피아 정보기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토피아 정보기술(주) filed Critical 유토피아 정보기술(주)
Priority to KR1020120026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460B1/ko
Priority to PCT/KR2012/009885 priority patent/WO20131375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4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surface ducts; Ducts or cover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5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extrusion moulding around inserts
    • B29C48/151Coating 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49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two or more extruders to feed one die or nozz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1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comprising two or more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honeycomb-shap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1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통신케이블을 매설할 때, 통신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먼저 매설되는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관, 외부관 및 내부관의 외부면과 외부관의 내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공극에 돌출되는 형태로 외부관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보강부재로 구성되는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과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은 합성수지 재질을 갖으며 다발형태로 군집된 하나 이상의 내부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구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을 갖는 외부관의 내부에, 외부관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재질보다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부재를 구비시키기 때문에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제조장치는 상기 구성의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을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및 이의 제조장치{Mult-pipe for communication cable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지중에 통신케이블을 매설할 때, 통신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먼저 매설되는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관, 외부관 및 내부관의 외부면과 외부관의 내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공극에 돌출되는 형태로 외부관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보강부재로 구성되는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과 상기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을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인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은 지중에 매설되는 금속 재질의 통신용케이블 또는 광케이블과 같은 연약한 통신케이블을 온전하게 보호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다수개의 통신케이블이 내입가능하도록 다발형태로 군집된 하나 이상의 내부관과 상기 하나 이상의 내부관을 토압으로부터 직접 보호하기 위한 외부관으로 구성되었고, 필요에 따라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의 보다 우수한 강도를 구현하기 위하여 외부관에 일정의 주름을 부여하는 주름관 형태의 외부관을 제조되었다.
또한 최근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은 보다 우수한 물리적인 강도를 실현하기 위하여, 내부관과 내부관의 사이에 내부관과 동일한 재질을 갖는 연결부재를 길이방향으로 내부관 압출성형 시 형성시키거나, 외부관 압출성형 시 외부관 내측으로 외부관과 동일한 재질을 갖는 보강돌기를 구성되는 형태로 제조되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은 내부관 또는 외부관과 동일한 재질을 갖는 연결부재 또는 연결돌기를 갖기 때문에, 구조적인 강도 향상은 기대할 수 있으나, 화학적인 강도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거론되는 실정이다.
다음은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국내등록특허 제10-0429014호는 다수의 내관을 갖는 합성수지제 튜브의 제조장치 및 그합성수지제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원료를 스크루케이스를 통하여 다이스로 압출시키는 것으로 합성수지제 튜브를 성형시키는 압출기로서, 스크류케이스의 헤드에 소정 너비의 원주내로 위치되게 모집되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내관 성형을 위한 다수의 제1다이스들를 갖는 제1압출기와; 상기 제1압출기에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제1압출기로부터 압출 성형되어 나오는 내관들을 수냉식으로 냉각시키는 제1냉각기와; 스크류케이스의 헤드에 상기 제1냉각기에 연이어 설치되어서 상기 제1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다수의 내관들을 받아드리는 수용관을 가지며, 이 수용관의 끝부분에 상기 제1압출기를 통해 제조되어 통과되는 다수의 내관들의 외주위를 감싸는 외관 성형을 위한 제2다이스를 갖는 제2압출기 및; 상기 제2압출기에 연이어 상기 제2다이스를 통하여 압출되는 외관의 주벽에 주름성형을 위한 제2정형다이스를 가지며, 상기 제2정형다이스를 통하여 압출 성형되는 주름형의 외관을 수냉식으로 냉각시키는 제2냉각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조장치를 제시하여, 다수의 내관을 갖는 합성수지제 튜브를 일련의 연속적인 압출 성형공정을 통해 일시에 제조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실현하였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여 제조된 다수의 내관('내부관'과 대응됨.)을 갖는 합성수지제 튜브('다중관'과 대응됨.)는 일반적으로 제조되는 다중관의 구조를 갖아 외력에 대응하는 물리력에 관한 보다 우수한 강도를 실현하기 다소 미흡한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및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제조장치의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은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을 최초 지중에 매설시에, 중장비에 의한 가압력 또는 토압으로 인하여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이 눌려져 찌그러지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이 장기간 지중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이 토압으로 인한 장기하중을 받아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합성수지 재질을 갖으며, 다발형태로 군집된 하나 이상의 내부관과; 합성수지 재질을 갖으며, 상기 다발형태로 군집된 하나 이상의 내부관을 중공 내부에 포함하는 외부관과; 합성수지 재질을 갖으며, 상기 다발형태로 군집된 하나 이상의 내부관의 외부면과 상기 외부관의 내부면 사이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공극으로 돌출되도록, 외부관의 내부 일정 위치에 구비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을 제시하고,
호퍼를 통하여 원료를 공급받고 스크류를 내재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말단에 구비되는 헤드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다이스로부터 하나 이상의 내부관을 압출하는 제1압출기와; 상기 제1압출기로부터 압출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관을 냉각시키는 제1냉각기와; 호퍼를 통하여 원료를 공급받고 스크류를 내재하는 실린더의 말단에 구비되는 헤드와 연결되는 다이스로 상기 제1냉각기로부터 하나 이상의 내부관을 공급받고, 하나 이상의 내부관의 일정 외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외부관을 압출성형하는 제2압출기와; 호퍼를 통하여 원료를 공급받고 스크류를 내재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말단에 구비되는 헤드로 구성되어 용융된 보강부재 원료를 공급하는 제3압출기와; 상기 제3압출기의 헤드로부터 용융된 보강부재 원료를 공급받아, 하나 이상의 공급로를 통하여 하기의 다중 다이스로 공급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의 하나 이상의 공급로로부터 용융된 보강부재 원료를 일정 위치에 구성되는 공급로를 통하여 내부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니뿔로 공급받고, 상기 제2압출기의 다이스와 동일한 내경을 갖으며 일측이 제2압출기의 다이스와 체결되어, 다이스로부터 인출되는 내부관의 외부면과 외부관의 내부면 사이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공극으로 돌출되도록 외부관의 내부 일정 위치에 보강부재를 내입시키는 다중 다이스와; 상기 다중 다이스로의 타측으로부터 인출되는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다중관을 냉각시키는 제2냉각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제조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은 합성수지 재질을 갖으며 다발형태로 군집된 하나 이상의 내부관의 외주면을 감싸며 구성되는 합성수지 재질을 갖는 외부관의 내부에, 외부관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재질보다 강도와 내구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의 보강부재를 구비시켜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제조장치는 상기 구성의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을 용이하게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제조장치의 A 부분을 나타내는 상세 평면도.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제조장치의 B 내지 F부분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은 지중에 통신케이블을 매설할 때, 통신케이블을 보호하기 위하여 먼저 매설되는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및 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내지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은 거시적으로 내부관(10), 외부관(11) 및 내부관(10)의 외부면과 외부관(11)의 내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공극(13)에 돌출되는 형태로 외부관(11)의 내부에 각각 구비되는 보강부재(12)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의 내부관(10)은 도 2와 같이 하나 이상의 통신케이블이 내입가능한 내부관(10)이 하나 이상 군집되어 다발형태를 이루며 외부관(11)에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내부관(10)은 종래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과 같이 일반적인 합성수지 재질의 것이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수지(PE 또는 PP) 또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 재질을 갖고, 일정의 길이를 갖으며 압출방식으로 성형된다.
아울러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은 압출기를 통하여 단독 압출성형된 하나의 내부관(10)을 하나 이상 중복 군집시켜 다발형태로 구성한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고, 하나의 압출기에 하나 이상의 다이스를 체결시켜 다수개의 내부관(10)을 일괄적으로 압출성형한 것을 다발형태로 군집시켜 구성한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다발형태로 군집된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의 외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구성되는 외부관(11) 역시, 상기 내부관(10)과 같이 일반적인 합성수지 재질의 것을 모두 이용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수지(PE 또는 PP) 또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성수지 재질을 갖고, 일정의 길이를 갖으며 압출방식으로 성형된다. 또한 외부관(11)의 내부면은 반드시 내부관(10)의 외부면과 상접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때, 외부관(11)은 도 2와 같이 상기 다발형태로 군집된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의 외부면과 외부관(11)의 내부면 사이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공극(13) 사이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보강부재(12)를 내부 일정 위치에 구비하는데, 상기 보강부재(12)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을 지중에 매설할 때,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에 순간적으로 가해질 수 있는 중장비에 의한 가압력 또는 토압(이하, '외력'이라 칭함.)을 자체적으로 지탱하는 효과와 지중에 매설된 상태에서 외부관(11)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받는 토압을 외부관(11)의 내부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외부관(11)과 내부관(10) 사이의 공극(13)에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보강부재(12)가 내부관(10)과 상접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또는 외력에 의하여 상호 떨어져 있던 보강부재(12)와 내부관(10)이 상접되는 경우의 보강부재(12)는, 보강부재(12)가 외부관(11)으로부터 전달받은 외력을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의 외부면으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도 발휘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압출기를 통하여 내부에 보강부재(12)가 구비되면서 성형된 외부관(11)에 상기 다발형태로 군집된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이 후순하여 내입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다발형태로 군집된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을 내부에 보강부재(12)가 구비되면서 압출되는 외부관(11)의 성형시에 내입시키는 구성을 하여도 무방하다.
즉, 본 발명은 외부관(11) 압출성형에 대한 내부관(10)의 내입 순서를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나, 외부관(11)의 압출성형 시, 외부관(11)의 내부에 보강부재(12)를 동시에 구비시키는 것이 외부관(11)과 보강부재(12)의 일체화 실현이 가능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압출기의 호퍼를 통하여 합성수지 재질의 원료를 공급받아 외부관(11)의 원료를 용융시키고, 또 다른 압출기의 호퍼를 통하여 외부관(11) 보다 우수한 강도의 물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원료를 공급받아 보강부재(12)의 원료를 용융시킨 후, 각각의 용융된 원료가 경화되기 이전에 외부관(11)의 내부 형성 부분에 보강부재(12)를 결착시킴으로써, 외부관(11)과 보강부재(12) 간의 결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보강부재(12)는 외부관(11)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것보다 우수한 물성을 갖으며, 용융된 상태의 외부관(11) 원료와 원활하게 결착될 수 있는 재질의 것이면 어떠한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나, 본 발명은 외부관(11)이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수지의 재질의 것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보강부재(12)를 외부관(11)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수지보다 크립(creep) 특성이 현저히 낮아 장기간이 경과한 후에도 변형이 거의 없는 재질 특성을 갖는 폴리염화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재질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관(11)과 보강부재(12) 간의 결착을 보다 긴밀하게 유도하고, 외부관(11)과 보강부재(12) 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부재(12)를 도 2와 같이 외부관(11) 두께 내의 일정 부분까지 내입되어 외부관(11)과 결속되는 내입부(12a)와; 상기 내입부(12a)에서 연장구성되어 공극(13)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b);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보강부재(12)의 내입부(12a)는 외부관(11) 두께의 일정 부분까지 내입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외부관(11)과 보강부재(12) 간의 결착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고, 내입부(12a)에서 연장구성되어 공극(13)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b)는 보강부재(12) 자체의 외력에 대한 물리력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외력을 외부관(11) 내부 또는 내부관(10)의 외부면으로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제조장치 -
본 발명에 의한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제조장치는 거시적으로 내부관(10)을 압출성형하는 제1압출기(20), 제1압출기(20)에서 압출성형한 내부관(10)을 다발형태로 군집시키며 내부관(10)의 외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외부관(11)을 압출성형시키는 제2압출기(40), 상기 제2압출기(40)에서 압출성형되는 외부관(11)의 내부 일정 위치에 구비되는 보강부재(12)의 원료(51)를 용융시키는 제3압출기(50) 및 상기 제2압출기(40)의 다이스(45)의 말단에 체결되고, 제3압출기(50)로부터 용융된 보강부재(12)의 원료(51)를 공급받아 제2압출기(40)에서 압출성형되는 외부관(11)의 내부 일정 위치에 보강부재(12)를 구비시키는 다중 다이스(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압출기(20)는 호퍼(22)를 통하여 원료(21)를 공급받고 스크류를 내재하는 실린더(23)와, 상기 실린더(23)의 말단에 구비되는 헤드(24)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다이스(25)로부터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을 압출하는 일반적인 구성의 압출기로서, 상기 호퍼(22)는 내부관(1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원료(21)를 소정의 온도(원료(21)의 용융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된 실린더(23) 내부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스크류는 실린더 내부에서 용융되는 원료(21)를 균일하게 용융시키고, 용융된 원료(21)에 일정의 압출력을 가하여 용융완료된 원료(21)를 실린더 말단에 구비되는 헤드(24)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더불어 상기 다이스(25)는 헤드(24)의 말단에 체결되어 헤드(24)로 배출되는 용융된 원료(21)를 중공을 갖는 내부관(10)으로 압출성형하는 구성으로서, 외부블럭과 내부블럭으로 구성되어 외부블럭과 내부블럭 사이로 중공의 내부관(10)을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자명할 것이고,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이스(25)의 개수를 하나 이상으로 구성하여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을 동시에 압출성형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압출기(20)의 다이스(25)로부터 압출성형되어 소정의 고온을 갖는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을 냉각시켜 경화시키기 위한 제1냉각기(30)를 다이스(25)로부터 인출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의 인출방향 일정 위치에 구성하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이때, 제1냉각기(30)는 소정의 고온을 갖는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을 일정의 물이 수용된 수조에 담가 내부관(10)을 냉각시키거나, 내부관(10)의 외부면에 일정량의 물을 분사하여 내부관(10)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일반적인 구성을 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제2압출기(40)는 호퍼(42)를 통하여 원료(41)를 공급받고 스크류를 내재하는 실린더(43)의 말단에 구비되는 헤드(44)와 연결되는 다이스(45)로 상기 제1냉각기(30)로부터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을 공급받고,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의 외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외부관(11)을 압출성형하는 구성이다. (이때, 압출성형되는 외부관(11)의 내부 일정 위치에는 하나 이상의 보강부재(12)가 구비되는데, 이에 관한 설명은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또한 제2압출기(40)의 호퍼(42), 스크류, 실린더(43) 및 헤드(44)는 상기 제1압출기(20)과 동일한 구성을 이룬다. 하지만, 상기 실린더(43)의 설정온도 및 압출압력은 외부관(11)을 구성하는 원료(41)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해야함은 자명할 것이고, 이에 관한 설정온도 및 압출압력은 일반적인 구성을 따른다.
상기와 연관하여, 제3압출기(50)의 호퍼(52), 스크류, 실린더(53) 및 헤드(54) 역시, 상기 제2압출기(40)와 같이 제1압출기(20)와 동일한 구성을 것을 이용하여도 무방하고, 상기 실린더(43)의 설정온도 및 압출압력은 외부관(11)을 구성하는 원료(51)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해야함은 자명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분배기(60)는 상기 제3압출기(50)의 헤드(54)로부터 용융된 원료(51)를 공급받아, 하나 이상의 공급로(61)를 통하여 하기의 다중 다이스(70)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4와 같이 실린더(53)의 헤드(54)의 일정 위치에 구비되는 이송관을 통하여 용융된 보강부재(12) 원료(51)를 공급받아도 무방하고, 헤드(54)와 직접 체결되어 용융된 보강부재(12) 원료(51)를 공급받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때, 분배기(60)는 하기의 다중 다이스(70)의 내부면 일정 위치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니뿔(72)에 헤드(54)로 부터 공급받은 용융된 보강부재(12) 원료(51)를 균등하게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당업자는 원료(51)를 균등하게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분배기(60)의 일정 위치 또는 분배기(60)에서 다중 다이스(70)로 용융된 보강부재(12) 원료(51)를 이송하는 공급로(61) 일정 위치에 이송되는 용융된 원료(51)의 양을 각각 조절가능한 공급량 조절밸브(62)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고, 구체적으로, 공급량 조절밸브(62)는 도 4와 같이 공급로(61) 내부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조절핀을 내입되고, 내입되는 조절핀의 길이에 따라 용융된 원료(51)의 이송량이 자유롭게 조절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다중 다이스(70)는 상기 분배기(60)의 하나 이상의 공급로(61)로부터 용융된 원료(51)를 일정 위치에 구성되는 공급로(71)를 통하여 내부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니뿔(72)로 공급받고, 상기 제2압출기(40)의 다이스(45)와 동일한 내경을 갖으며 일측이 제2압출기(40)의 다이스(45)와 체결되어, 다이스(45)로부터 인출되는 내부관(10)의 외주면과 외부관(11)의 내부면 사이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공극(13)으로 돌출되도록 외부관(11)의 내부 일정 위치에 보강부재(12)를 내입시키는 구성이다.
또한 다중 다이스(70)는 도 6 내지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제2압출기(40)의 다이스(45)와 별도의 구성으로 독립되는 구성을 하여도 무방하고,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제2압출기(40)의 다이스(45)의 구성에 공급로(71)와 니뿔(72)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제2압출기(40)의 다이스(45)와 일체화된 구성을 하여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중 다이스(70)의 일정 위치에 구성되는 공급로(71)는 분배기(60)와 연결된 공급로(61)로부터 용융된 보강부재(12) 원료(51)를 공급받아 다중 다이스(70)의 내부면 일정 위치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니뿔(72)에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공급로(61)로부터 공급되는 용융된 보강부재(12) 원료(51)의 압출력과 니뿔(72)에서 배출되는 용융된 보강부재(12) 원료(51)의 균일한 배출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부블럭(70a)과 내부블럭(70b)으로 이중 구성되는 다중 다이스(70)의 외부블럭(70a)과 내부블럭(70b)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급로(71)는 내부블럭(70b)의 외부면 일정 위치, 외부블럭(70a)의 내부면 일정 위치 또는 내부블럭(70b) 외부면과 외부블럭(70a) 외부면의 일정 위치가 절삭되어 형성되고, 상기 내부블럭(70b)을 외부블럭(70a)의 내부에 견고하게 인입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니뿔(72)은 다중 다이스(70)의 내부 일정 위치(다이스(45)로부터 인출되는 내부관(10)의 외주면과 외부관(11)의 내부면 사이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공극(13)과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하나 이상의 공급로(71)로부터 용융된 보강부재(12) 원료(51)를 각각 공급받아 외부관(11)의 내부 일정 위치에 보강부재(12)를 구비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니뿔(72)의 말단은 공극(13) 방향으로 공급되는 용융된 보강부재(12) 원료(51)가 외부관(11) 내부면에 해당하는 위치에 구성되어, 보강부재(12)가 외부관(11) 내부면의 표면에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니뿔(72)의 말단이 제2압출기(40)의 다이스(45)로부터 인출되는 외부관(11)의 두께 내에 해당하는 일정 위치에 구성되도록 하여, 보강부재(12)가 외부관(11) 두께 내의 일정 부분까지 내입되어 외부관(11)과 결속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니뿔(72)은 보강부재(12)가 구비되는 다중관의 인출방향으로 수직한 단면을 기준하여, 동일한 단면상에 공극(13)에 개수와 동일하게 하나 이상 구성(이때, 공급로(71)는 하나로 구성되어 각각의 니뿔(72)에 일괄적으로 용융된 보강부재(12) 원료(51)를 공급하여도 무방함.)되어도 무방하나, 도 4와 같이 보강부재(12)가 구비되는 다중관의 인출방향으로 일정의 간격을 갖으며 방사상으로 각각 구성되는 것이 각각의 니뿔(72)에 공급되는 용융된 보강부재(12) 원료(51)의 양을 조절가능한 효과를 발휘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니뿔(72)은 제2압출기(40)의 다이스(45)에서 링형태의 외부관(11)이 형성된 상태에서, 니뿔(72)에 의하여 링형태 외부관(11)의 일정 부분(니뿔(72)이 구성된 부분)을 다시 벌리고, 벌려진 외부관(11)의 일정 부분과 인접한 또 다른 일정 부분 사이에 용융된 보강부재(12) 원료를 인입시키는 구성을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다이스(70)는 다중관의 인출방향으로 최종 구성되는 니뿔(72)의 위치에서부터 일정 길이 만큼의 재융착부(73)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재융착부(73)의 길이는 이용되는 외부관(11)의 원료(41) 또는 보강부재(12)의 원료(51)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관(10) 원료(21), 외부관(11) 원료(41) 또는 보강부재(12) 원료(51)의 용융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다이스(1, 2) 또는 다중 다이스(70)의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다중 다이스(70)로부터 압출성형되어 소정의 고온을 갖는 보강부재(12)가 구비되는 다중관을 냉각시켜 경화시키기 위한 제2냉각기(90)를 다중 다이스(70)로부터 인출되는 다중관의 인출방향 일정 위치에 구성하는 것이 자명할 것이다. 이때, 제2냉각기(90)는 상기 제1냉각기(30)와 동일한 구성을 갖아도 무방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보강부재(12)가 구비되는 다중관의 외부관(11)에 일정의 주름을 형성시키는 경우에는, 제2냉각기(90)에 선행하여, 주름형성기(80)로서 다중 다이스(70)에서 인출되는 보강부재(12)가 구비되는 다중관에 주름을 형성시킨 후, 제2냉각리로서 냉각처리하여도 무방하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내부관 11 : 외부관
12 : 보강부재 12a : 내입부
12b : 돌출부 13 : 공극
20 : 제1압출기 21 : 내부관의 원료
22 : 제1압출기의 호퍼 23 : 제1압출기의 실린더
24 : 제1압출기의 헤드 25 : 제1압출기의 다이스
30 : 제1냉각기 40 : 제2압출기
41 : 외부관의 원료 42 : 제2압출기의 호퍼
43 : 제2압출기의 실린더 44 : 제2압출기의 헤드
45 : 제2압출기의 다이스 50 : 제3압출기
51 : 보강부재의 원료 52 : 제3압출기의 호퍼
53 : 제3압출기의 실린더 54 : 제3압출기의 헤드
60 : 분배기 61 : 분배기의 공급로
62 : 공급량 조절밸브 70 : 다중 다이스
70a : 외부블럭 70b : 내부블럭
71 : 다중 다이스의 공급로 72 : 니뿔
80 : 주름형성기 90 : 제2냉각기

Claims (7)

  1. 삭제
  2. 합성수지 재질을 갖으며, 다발형태로 군집된 하나 이상의 내부관(10)과; 합성수지 재질을 갖으며, 상기 다발형태로 군집된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을 중공 내부에 포함하는 외부관(11)과; 합성수지 재질을 갖으며, 상기 다발형태로 군집된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의 외부면과 상기 외부관(11)의 내부면 사이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공극(13)으로 돌출되도록, 외부관(11)의 내부 일정 위치에 구비되는 보강부재(12);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관(11)은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수지의 재질을 갖고, 상기 보강부재(12)는 폴리염화비닐 공중합체 수지의 재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12)는,
    외부관(11) 두께 내의 일정 부분까지 내입되어 외부관(11)과 결속되는 내입부(12a)와;
    상기 내입부(12a)에서 연장구성되어 공극(13)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2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4. 호퍼(22)를 통하여 원료(21)를 공급받고 스크류를 내재하는 실린더(23)와, 상기 실린더(23)의 말단에 구비되는 헤드(24)에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다이스(25)로부터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을 압출하는 제1압출기(20)와;
    상기 제1압출기(20)로부터 압출되는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을 냉각시키는 제1냉각기(30)와;
    호퍼(42)를 통하여 원료(41)를 공급받고 스크류를 내재하는 실린더(43)의 말단에 구비되는 헤드(44)와 연결되는 다이스(45)로 상기 제1냉각기(30)로부터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을 공급받고, 하나 이상의 내부관(10)의 일정 외부면을 감싸는 형태로 외부관(11)을 압출성형하는 제2압출기(40)와;
    호퍼(52)를 통하여 원료(51)를 공급받고 스크류를 내재하는 실린더(53)와, 상기 실린더(53)의 말단에 구비되는 헤드(54)로 구성되어 용융된 보강부재(12) 원료(51)를 공급하는 제3압출기(50)와;
    상기 제3압출기(50)의 헤드(54)로부터 용융된 보강부재(12) 원료(51)를 공급받아, 하나 이상의 공급로(61)를 통하여 하기의 다중 다이스(70)로 공급하는 분배기(60)와;
    상기 분배기(60)의 하나 이상의 공급로(61)로부터 용융된 보강부재(12) 원료(51)를 일정 위치에 구성되는 공급로(71)를 통하여 내부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니뿔(72)로 공급받고, 상기 제2압출기(40)의 다이스(45)와 동일한 내경을 갖으며 일측이 제2압출기(40)의 다이스(45)와 체결되어, 다이스(45)로부터 인출되는 내부관(10)의 외부면과 외부관(11)의 내부면 사이에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공극(13)으로 돌출되도록 외부관(11)의 내부 일정 위치에 보강부재(12)를 내입시키는 다중 다이스(70)와;
    상기 다중 다이스(70)로의 타측으로부터 인출되는 보강부재(12)가 구비되는 다중관을 냉각시키는 제2냉각기(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니뿔(72)은,
    말단이 제2압출기(40)의 다이스(45)로부터 인출되는 외부관(11)의 두께 내에 해당하는 일정 위치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니뿔(72)은,
    보강부재(12)가 구비되는 다중관의 인출방향으로 일정의 간격을 갖으며 방사상으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제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로(61)는,
    이송되는 용융된 원료(51)의 양을 각각 조절가능하도록 공급량 조절밸브(6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제조장치.
KR1020120026142A 2012-03-14 2012-03-14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및 이의 제조장치 KR101173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142A KR101173460B1 (ko) 2012-03-14 2012-03-14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및 이의 제조장치
PCT/KR2012/009885 WO2013137538A1 (ko) 2012-03-14 2012-11-21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및 이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6142A KR101173460B1 (ko) 2012-03-14 2012-03-14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및 이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3460B1 true KR101173460B1 (ko) 2012-08-13

Family

ID=4688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6142A KR101173460B1 (ko) 2012-03-14 2012-03-14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및 이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3460B1 (ko)
WO (1) WO201313753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312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내관의 접합부분이 표시된 케이블용 다중관
KR20170014316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케이블용 다중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5844A (ja) * 1995-10-11 1997-04-22 Sekisui Chem Co Ltd 光ファイバ保護管
KR20010084707A (ko) * 2000-02-28 2001-09-06 변무원 통신선로용 다공관의 연결구조
KR20020006394A (ko) * 2000-07-12 2002-01-19 이원수 전선, 통신선용 케이블 덕트관
KR100429014B1 (ko) * 2000-12-09 2004-04-28 전정자 다수의 내관을 갖는 합성수지제 튜브의 제조장치 및 그합성수지제 튜브
KR100766012B1 (ko) * 2005-02-23 2007-10-11 주숙희 수가교 수지를 이용한 내면보강 중공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312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내관의 접합부분이 표시된 케이블용 다중관
KR20170014316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디에스아이 케이블용 다중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7538A1 (ko) 2013-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02912B (zh) 用于挤出管状产品的模具工具
CN101010181B (zh) 模具组件和用所述模具组件制造多层挤压件的方法
CN107107413A (zh) 用于制造电缆线的方法、用于这种方法的模具和缆线
CN101835590A (zh) 用于冷却挤出的塑料型材的装置和方法
KR101696923B1 (ko) 통신선용 보호관의 제조장치 및 그 통신선용 보호관
KR101454893B1 (ko) 광케이블 덕트의 제조장치 및 그 덕트
KR101173460B1 (ko) 통신케이블 내입용 다중관 및 이의 제조장치
CN103770241B (zh) 连续长纤维增强热塑性树脂的双面熔融浸渍方法及设备
CN101784377B (zh) 使用注射模制设备模制具有不定长度的物品的方法
CN113858582A (zh) 塑料管材挤出模具及塑料管材生产工艺
RU24920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кструзии
KR100964005B1 (ko) 8자형 광케이블의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2709000A (zh) 2芯带状电线的制造方法以及2芯带状电线
TW201406842A (zh) 碳纖維複合材料及使用其而成之成形品、以及彼等之製造方法
CN105209813A (zh) 绝热的波纹状导管
CN202583530U (zh) 子管识别型波纹多腔光缆导管及其制作用的设备
KR100614687B1 (ko) 내 마찰층을 갖는 다공관 제조장치
KR101108893B1 (ko) 안테나 커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US5840232A (en) Multi-layer parison extrusion system
CN106608034B (zh) 连续纤维束多层共挤出机头模具
CN111037879B (zh) 一种异种材料复合护层挤塑模具及挤塑工艺
CN1144966A (zh) 一种自承式通信电缆、制法及其专用挤压机头
JP2006513059A (ja) 遠隔の押出機を備えるパイプ成形装置のダイ工具用流れ分配器
CN214773894U (zh) 一种硅芯管模具设备
KR20100016890A (ko) 다수의 내관 성형을 위한 다이스유닛 및 그 다이스유닛을갖는 합성수지제 튜브의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