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823B1 - 농산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823B1
KR101172823B1 KR1020100033694A KR20100033694A KR101172823B1 KR 101172823 B1 KR101172823 B1 KR 101172823B1 KR 1020100033694 A KR1020100033694 A KR 1020100033694A KR 20100033694 A KR20100033694 A KR 20100033694A KR 101172823 B1 KR101172823 B1 KR 101172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od
combination
agricultural product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3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827A (ko
Inventor
송기훈
Original Assignee
송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기훈 filed Critical 송기훈
Publication of KR20110035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7Apparatus in which aggregates or articles are moved along or past openings which increase in siz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4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endless belts or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격자로 배치된 복수 개의 막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 정도에 따라 막대 사이의 공간이 단계별로 확장되어 상기 막대 사이의 공간에 놓이는 농산물을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는 농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는 농산물이 선별장치에 유입되어 선별을 위해 이동하는 동안 구르는 등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아 농산물이 외상없이 크기별로 안전하게 선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량의 농산물이 구분하고자 하는 크기별로 손쉽고 빠르게 선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농산물 선별장치{APPARATUS FOR SORTING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은 농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격자로 배치된 복수 개의 막대가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이동 정도에 따라 막대 사이의 공간이 단계별로 확장되어 상기 막대 사이에 놓인 농산물을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는 농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확된 농산물은 출하되기 전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 크기 또는 무게별로 선별되는데 근래에는 선별장치를 이용하여 비용과 시간을 줄이며 선별하고 있다.
이러한 선별장치로는 무게식, 광학식, 형상식이 있는데 특히, 형상식은 농산물의 외형에 따라 구분하는 것으로 크기가 구분 기준이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형상식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주로 사용되던 형상식 선별장치는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 20-0189345 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는 바, 이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형상식 선별장치를 사시도로 나타낸 도 1과 종래의 형상식 선별장치의 선별부를 평면도로 나타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형상식 선별장치(10)는 한쪽방향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롤러(11)가 공급부(12)로부터 진행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롤러(11) 간의 상호 이격된 간격이 경사진 아래로 갈수록 넓어지게 배치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형상식 선별장치(10)는 농산물이 경사진 롤러(11) 위를 굴러가야 하고 이로 인해 롤러(11)와의 충격으로 농산물은 멍이 들거나 외형이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이렇게 멍이 들거나 외형이 파손된 농산물은 유통 중에 해당 부분이 쉽게 문드러지거나 썩어 소비지에서는 현저히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심각한 손해를 유발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별장치로 유입된 농산물이 구르지 않고 초기 유입된 자세를 유지한 채 이동되어 크기별로 선별될 수 있는 농산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력을 발휘하는 구동부; 횡 및 종 방향으로 놓인 복수 개의 막대로 격자공간을 정의하는 조합체가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동부재에 타원의 궤적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무한 이동하는 선별부; 및 상기 격자공간의 넓이가 가변되게 상기 조합체를 작동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체는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나란히 놓인 제1막대와 제2막대; 상기 제1막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막대를 향하고 상기 제2막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막대를 향하는 한 쌍의 가지대;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의 사이 폭이 가변되게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를 링크 연결하는 연결대; 및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외향 돌출된 밀림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대와 접촉하고 상하 단차진 조정단; 및 상기 밀림대와 접촉하고 측방으로 단자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합체는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나란히 놓인 제1막대와 제2막대; 상기 제1막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막대를 향하고 상기 제2막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막대를 향하는 한 쌍의 가지대;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의 사이 폭이 가변되게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를 잇고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 사이의 직선 거리보다 길게 마련된 연결대;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 중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어느 하나의 말단에 장착된 제1도르래를 경유하여 직각의 경로로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를 연결하는 제1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대와 접촉하고 상하 단차진 조정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막대와 나란히 이웃하게 배열된 또 다른 조합체의 제2막대 사이에 나란히 배치되는 제3막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에는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 이웃하고 내부에 이동공이 관통된 제2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1막대가, 상기 제2브라켓에는 상기 제2막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는 상기 제1막대의 말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연결대; 상기 제2막대의 말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연결대; 및 상기 제1, 2연결대의 말단을 상기 제1, 2막대가 위치한 수평선 상보다 높은 위치에서 연결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는 농산물이 선별장치에 유입된 후 선별과정 중 구르는 등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아 농산물이 외상없이 크기별로 안전하게 선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량의 농산물이 구분하고자 하는 크기별로 손쉽고 빠르게 선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선별장치의 선별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주입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선별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조합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조합체에 포함된 제1, 2막대 및 가지대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조합체에 포함된 제1, 2막대 및 가지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 선별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가이드부 상측 작동구간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Ⅰ-Ⅰ'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Ⅱ-Ⅱ'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가이드부 상측 작동구간에 선별부가 탑재된 모습을 나타낸 내부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가이드부 상측 작동구간에 선별부의 제1막대가 탑재된 모습을 나타낸 내부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가이드부 상측 작동구간에 선별부의 제2막대가 탑재된 모습을 나타낸 내부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 조합체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 조합체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모식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단계별 농산물 선별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진행방향(A)을 기준으로 진행방향(A)을 횡, 평면상에서 진행방향(A)에 수직인 방향을 종, 진행방향(A)의 시작부분으로 농산물이 투입되는 측을 선단, 반대편을 후단, 전 후단을 연결하는 가상선의 좌우 측단을 양측단이라 정의하는바, 이는 본 명세서에서 일관되게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것이다.
우선, 본 발명의 개요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는 격자로 배치된 복수 개의 막대가 수평의 선별구간을 정의하도록 일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선별구간에서 그 이동 정도에 따라 격자로 놓인 막대 사이(이하, '격자공간'이라 칭한다.)의 간격이 단계별로 확장되는 것으로, 격자공간에 놓여진 농산물 특히, 구형 농산물이 구르지 않고 그대로 놓인 채 이동하다가 이동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확장되는 격자공간 사이를 통과하여 크기별로 선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 배치되고 농산물이 투입되는 주입부(100), 회전력을 발휘하는 구동부(미도시), 상기 구동부(미도시)의 회전력을 토대로 주입부(100)에 연계된 횡 방향의 선별구간을 정의하도록 타원 이동하여 컨베이어벨트와 유사한 동작을 수행하는 선별부(200), 선별부(200)의 양측단을 수용하는 가이드부(300), 상기 격자공간(201)의 선별구간 하방에 배치되고 격자공간(201)을 통과하는 농산물을 크기에 따라 구분 저장하는 배출부(500)를 포함한다.
이때, 선별부(200)는 복수 개의 막대로 격자공간(201)이 형성되고 격자공간(201)의 넓이가 가변되게 작동되는 조합체(203)의 복수 개가 타원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배열되고, 가이드부(300)는 격자공간(201)이 진행방향(A)을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확장되게 조합체(203)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는 선별과정 중 선별장치 내에서 농산물이 굴러 이동하지 않아 외상(外傷)이 발생하지 않고 격자공간(201)의 횡 및 종 방향의 폭이 단계별로 확장되어 농산물을 크기별로 보다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실질적인 선별은 선별부(200)의 상측경로구간(205) 즉, 컨베이어벨트와 유사하게 무한이동하는 선별부(200)의 배열 경로 중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에서 후단으로 진행방향(A)이 형성된 상측경로구간(205)에서만 진행되는 바, 조합체(203)는 해당 상측경로구간(205)에서만 진행방향(A)에 따라 격자공간(201)이 확장되게 작동한다.
그 외의 하측경로구간(209) 내지 회전경로구간(207)에서는 조합체(203)가 격자공간(201)의 변화없이 단순 이동되고 상측경로구간(205)의 선단 진입 시 격자공간(201)이 최소의 넓이를 갖도록 작동된다.
이와 같은 하측경로구간(209) 내지 회전경로구간(207)에서의 이동과 작동은 복수 개 조합체(203) 배열의 무한이동을 위해 당연한 것으로 이에 대한 이해는 당업자로서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구체적 사항 중 선별부(200)와 가이드부(300)는 상측경로구간(205)이 형성된 선별장치의 상측부를 토대로 설명한다.
각각을 상세히 살펴본다.
먼저, 주입부(100)는 선별 대상인 농산물을 선별부(200)로 공급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도 3과 함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부(200) 선단을 향할수록 아래로 경사진 미끄럼대 형상을 나타내는 바닥면(101)과 이의 양측에 마련된 소정 높이의 측면(103)을 포함한다.
따라서, 주입부(100)로 공급된 농산물은 미끄러져 선별부(200)로 전달되고, 이 과정 중에 측면(103)은 농산물이 선별부(200)가 아닌 양 옆 등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주입부(100)는 바람직하게는 바닥면(101)에서 돌출되어 횡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격벽(110)이 마련된다.
따라서, 격벽(110)을 통해 선별부(200)의 선단 일정지점으로 유도된 농산물은 선별부(200)의 격자공간(201)으로 진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입유도는 농산물이 격자공간(201)이 아닌 다른 곳으로 진입되어 선별과는 무관하게 진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격벽(110)은 본 발명의 이하 연계되는 구성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격벽(110)에는 바람직하게는 선별부(200) 측 말단으로부터 연장대(111)가 연장된다.
이러한 연장대(111)는 선별부(200) 선단 소정의 영역까지 연장되어 주입부(100)에서 선별부(200)로 진입되는 농산물이 격자공간(201)에 보다 정확하게 놓이도록 한다. 한편, 연장대(111)는 선별부(200)의 선단 소정의 영역까지만 한정되게 연장되어 격자공간(201)의 선별기능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다음으로, 구동부(미도시)는 조합체(203)를 진행방향(A)으로 무한 이동시키는 2개 이상의 회전축 중 어느 하나의 축에 회전력을 전달시킨다.
이와 같은 구동부(미도시)는 구동모터(미도시)등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선별부(200)를 살펴보기에 앞서 배출부(500)를 먼저 살펴본다.
배출부(500)는 선별부(200)의 상측경로구간(205)과 하측경로구간(209) 사이에 위치하여 격자공간(201)을 통과해 낙하하는 농산물을 받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배출부(500)는 진행방향(A)의 이동 거리에 따른 크기별 선별영역에 각각 구분되게 마련되고 낙하하는 농산물이 단순히 저장되는 저장통(미도시)을 제공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연계되는 이송장치(미도시)가 마련되어 격자공간(201)을 통과하여 낙하된 농산물이 바로 이송되어 다음 낙하하는 농산물과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다음으로, 선별부(200)를 살펴본다.
선별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막대에 의한 격자공간(201)을 제공하고 이러한 격자공간(201)의 넓이가 가변하는 조합체(203), 조합체(203) 복수 개가 타원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로 배열되게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복수 개 조합체(203)의 배열을 컨베이어벨트와 유사한 동작으로 무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210)를 포함한다.
우선, 조합체(203)는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공간(201)을 형성하도록 둘러싸인 복수 개의 막대로서 제1, 2막대(220, 230) 및 가지대(250),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양측단을 잇는 연결대(240), 제2막대(230)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외향 연장된 밀림대(237)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2막대(220, 2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종 방향으로 놓이고 횡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이러한 제1막대(220)의 양측단은 이동부재연결부(221)가 마련되어 도 5와 같은 이동부재(210)에 연결된다.
제2막대(230)는 안쪽 내부막대(231)와 바깥쪽의 외부막대(233)로 구분되고 외부막대(233)는 내부막대(231)보다 짧다. 그 결과, 외부막대(233)가 내부막대(231)의 범위 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변구간(232)이 형성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제1, 2막대(220, 230)의 양단에는 바퀴(223)가 장착되어 가이드부(300)를 따라 조합체(203)가 보다 원활히 이동한다.
가지대(25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막대(220, 230)로부터 횡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제1막대(220)에서 연장된 제1막대의 가지대(251)는 제2막대(230)를 향하고 제2막대(230)의 외부막대(233)에서 연장된 제2막대의 가지대(253)는 제1막대(220)를 향하여 한 쌍을 이룬다. 이러한 제1막대의 가지대(251) 및 제2막대의 가지대(253)는 제1, 2막대(220, 230) 각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나란히 복수 개가 연장되어 복수 개의 쌍을 이룬다.
또한, 가지대(250)의 길이는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사이가 최대로 벌어진 경우 그 사이 간격과 대응되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지대(250)는 조합체(203)의 회전경로구간(207) 이동 시 비스듬히 기울어지기 때문에 대향하는 제1막대(220) 또는 제2막대(230)에 걸려 회전이 방해되지 않도록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2막대(220, 23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고 끝단 또한 대향하는 제1막대(220) 또는 제2막대(230)의 상부로 연장되어 수평을 이룬다.
이와 같은, 제1, 2막대(220, 230)와 한 쌍의 가지대(250)로 둘러진 공간은 격자공간(201)이 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사이가 벌어지고 이와 동시에 한 쌍의 가지대(250)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으로 격자공간(201)의 넓이가 확장된다.
연결대(240)는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를 연결하고 막대 사이의 간격을 가변시키는 것으로,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 사이의 직선 거리보다 길게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대(240)는 바람직하게는 도 6과 같이 제1막대(220) 및 내부막대(231)의 말단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연결되고 중앙이 제1막대(220) 및 제2막대(230)가 높은 위치에서 링크로 연결된 제1, 2연결대(241, 243)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제1연결대(241)와 제2연결대(243)는 링크 연결된 상부 중앙에 회전 가능한 연결부(245)를 제공하고 각각의 말단은 제1막대(220)와 내부막대(231)의 양단에 결합된 이등변 삼각형의 빗변과 같은 형상을 취한다.
따라서, 연결부(245)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300)에 의해 눌려 하강하면 제1연결대(241)와 제2연결대(243)의 끼인각이 커지고 제1막대(220)와 내부막대(231)를 포함한 제2막대(230)의 사이가 벌어지게 된다.
또한, 제1연결대(241)와 제2연결대(243)는 바람직하게는 연결부(245)를 중심으로 그 끼인각을 좁히는 방향으로 항시 텐션을 가하는 텐션수단(미도시)이 장착된다.
따라서, 텐션수단(미도시)은 연결부(245)의 눌림 해제 시 상기 끼인각을 좁혀 연결부(245)를 상승시키고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사이 간격을 좁힐 수 있게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텐션수단(미도시)은 바람직하게는 연결부(245)에 설치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일 수 있고, 제1연결대(241)와 제2연결대(243)의 사이에 설치되는 코일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사이는 연결대(240) 및 내부막대(231)의 작동으로 멀어지거나 좁아지고 그 결과, 격자공간(201)은 횡 방향의 폭이 가변된다.
또한, 연결부(245)에는 수직롤러(247)가 설치되어 가이드부(300)의 내부를 따라 원활히 이동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림대(237)는 외부막대(233)를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 제2연결대(243)의 회동과 저촉되지 않게 외부막대(233)의 말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후 외향으로 수평 절곡되고 내부막대(231)보다 돌출되게 연장된다.
이때, 외부막대(233)와 내부막대(231)의 길이 차로 제2막대(230)에 형성된 가변구간(232)에는 외부막대(233)가 밀림대(237) 측으로 밀리게 탄성을 가하는 탄성부재(235)가 장착된다.
따라서, 외부막대(233)는 탄성부재(235)에 의해 밀림대(237) 쪽으로 밀리다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밀림대(237)가 가이드부(300)에 의해 밀리면 가변구간(232)이 좁혀지게 종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반대로, 가이드부(300)의 밀림이 해제되면 탄성부재(235)의 탄성력으로 외부막대(233)는 다시 가변구간(232)이 벌어지는 종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로 인해 제2막대의 가지대(253)가 외부막대(233)와 함께 종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 제1막대의 가지대(251)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져 한 쌍을 이루는 가지대(250)의 간격이 확장된다.
따라서, 격자공간(201)의 종 방향의 폭은 밀림대(237), 외부막대(233)의 작동으로 가변된다.
또한, 밀림대(237)는 바람직하게는 그 끝단에 수평롤러(239)를 설치하여 가이드부(300)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한다.
이때까지, 격자공간(201)의 종 방향 간격의 가변을 제2막대(230)에 의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를 제1막대(220)에서 구현되도록 변경하는 것은 자명하고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 중 어느 하나만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 된다.
또한, 가변구간(232)의 탄성부재(235)를 생략하고 해당 위치에 또 하나의 밀림대(237)을 추가하는 것으로, 외부막대(233) 양측단에 장치된 한 쌍의 밀림대을 통해 외부막대(233)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의 변경은 당업자가 자명하게 응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조합체(203)는 바람직하게는 주입부(100)로부터 제공된 농산물(600)이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 사이로 유입되게 안내하는 제3막대(270)가 추가 구성된다.
이러한 제3막대(270)는 제1막대(220)의 선단에 나란히 배치되고 제1막대(220) 보다 높다.
다시 말해, 제3막대(270)는 제1막대(220)와 이웃하는 또 다른 조합체(203)의 제2막대(230)의 사이에서 제1, 2막대(220, 230) 보다 높은 상측에 종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3막대(270)의 높이는 제1막대(220) 또는 제2막대(230)와의 사이에 농산물이 끼이거나 통과되지 못할 정도의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3막대(270)는 농산물을 격자공간(201)이 형성된 하나의 조합체(203)의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 사이로 위치하게 안내한다.
따라서, 제3막대(270)는 앞서 언급된 격벽(110) 및 연장대(111)와 함께 작용하여 복수 개의 조합체(203) 배열로 인해 복수 개의 제1, 2막대(220, 230)와 복수 개의 가지대(250)로 둘러싸인 공간 중 격자공간(201)이 형성된 횡과 종 방향의 줄에만 농산물을 진입시켜 농산물이 격자공간(201) 이 외의 공간에서 잘못 선별되는 오류를 방지한다.
다음으로, 위와 같은 조합체(203)를 복수 개 연결하고 무한이동시키는 이동부재(210)에 관해 살펴본다.
이동부재(210)는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마디가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체인을 이용하고, 상기 체인은 진행방향(A)의 양측을 따라 무한이동하게 타원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이동부재(210)에는 제1막대(220)의 양단에 마련된 이동부재연결부(221)가 연결되는데, 바람직하게 이동부재연결부(221)는 이동부재(210) 중 상기 마디와 마디의 회전하는 연결부분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막대(220)는 복수 개가 서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그 양단이 이동부재(210)에 결합되고 그 결과, 복수 개의 조합체(203)가 일정한 배열로 이동부재(210)에 연결되어 이동부재(210)의 이동을 따라 무한이동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된 선별부(200)의 전체적인 작동을 도 5를 참고하여 다시 한번 살펴보면, 우선, 구동부(미도시)의 구동력을 전달받은 복수 개의 조합체(203)가 연결된 이동부재(210)는 무한이동한다.
이때, 복수 개의 조합체(203) 중 선단에 위치한 조합체(203)는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사이가 좁고 제2막대(230)가 가변구간(232)이 최대로 벌어진 상태로 위치되어 격자공간(201)이 최소의 넓이를 갖는다.
그러다가 조합체(203)가 이동되어 후단으로 갈수록 연결대(240)와 내부막대(231)의 작동으로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사이가 벌어지고 밀림대(237)와 외부막대(233)의 작동으로 한 쌍의 가지대(250) 사이가 벌어져 격자공간(201)이 횡과 종 방향으로 그 폭을 점차 넓힌다.
따라서, 경로 후단에 위치한 조합체(203)는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사이가 최대로 벌어지고 한 쌍의 가지대(250) 사이가 최대로 벌어져 격자공간(201)이 최대의 넓이로 확장된다.
이와 같은, 연결대(240) 및 내부막대(231)와 밀림대(237) 및 외부막대(233)의 작동은 후술하는 가이드부(300)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에 대한 이해는 해당 부분의 설명으로 자명하다.
이러한 가이드부(300)를 살펴보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선별부(200)에 관한 또 다른 일 실시예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앞에서 언급된 도 5 내지 도 8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동일한 도면부호는 그대로 사용하고 차이점을 토대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선별부(200)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된 제1, 2막대(220, 230) 양측단의 바퀴(223) 및 제1막대(220) 양단에 마련된 이동부재연결부(221)가 생략되고 제1막대(220)의 양측단은 이동부재(210)에 고정된 제1브라켓(261)에, 제2막대(230)의 내부막대(231) 양측단은 제1브라켓(261)과 이웃하는 제2브라켓(263)에 연결된다.
여기서, 진행방향(A)의 양측에 마련된 이동부재(210)는 그 사이가 제1, 2막대(220, 230)의 양단 사이와 일치하는 폭으로 배치된다.
제1브라켓(261)은 바람직하게는 이동부재(210)의 상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가 고정되고 양측 이동부재(210)에 고정된 제1브라켓(261)이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며 각각의 제1브라켓(261)에 제1막대(220)의 양단이 고정된다.
제2브라켓(263)은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수평으로 타공된 이동공(265)이 마련되고 이동부재(210)의 상면 중 제1브라켓(261) 후단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곳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2브라켓(263) 또한 양측으로 배치된 이동부재(210) 간에 서로 대응되게 마련되고 각각의 제2브라켓(263)에 제2막대(230)의 양단이 고정되는데, 제1브라켓(261)과 제1막대(220)의 고정과는 달리 제2막대(230)는 제2브라켓(263)의 이동공(265)을 따라 수평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2막대(230)는 제2브라켓(263) 내에서 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제2브라켓(263)은 바람직하게는 그 후단에 소정의 길이로 상방 연장된 돌출단(267)이 마련된다.
이러한 돌출단(267)에 제3막대(270)가 장착된다.
이는 농산물을 격자공간(201)이 있는 종 방향의 줄로 유입되게 안내하고자 하는 제3막대(270)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제1막대(220)에서 연장된 것보다는 보다 간단한 구성을 이루고자 변경한 것이다.
이러한, 제1브라켓(261)과 제2브라켓(263)은 이동부재(210)의 상면 중 절곡되지 않는 부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막대(220)가 종 방향의 폭이 변경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막대(220)가 이미 언급된 내부막대와 외부막대로 구분되는 구조를 갖고 밀림대(237)가 제1막대(220) 쪽에 마련된다.
따라서, 구동장치(미도시)에 의해 이동부재(210)가 진행방향(A)으로 이동하면 앞서 언급된 연결대(240) 및 밀림대(237)의 동일한 작동으로 제2막대(230)는 이동공(265)을 따라 횡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막대(230)는 종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 결과, 격자공간(201)의 횡과 종 방향의 폭이 단계별로 확장하게 된다.
다음으로, 가이드부(300)를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설명은 격자공간(201)의 확장에 의해 농산물을 선별하는 선별부(200)의 상측경로구간(205)와 대응하는 가이드부(300)의 상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나, 가이드부(300) 하부는 이동부재(210)에 연결된 복수 개 조합체(203)의 배열이 타원의 무한궤도 운동을 할 수 있게 가이드부(300) 상부에서 연장된 구성인 것으로 이러한 연장구조에 대한 이해 및 응용은 당업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가이드부(300)는 선별부(200)의 양측단을 수용하고, 조합체(203)가 진행방향(A)으로 이동할수록 제1, 2막대(220, 230)의 사이가 벌어지고 제1, 2막대(220, 230) 중 어느 하나가 가변구간(232)이 좁아지게 연결대(240)와 밀림대(237)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가이드부(300)는 바람직하게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프레임(310)과 우측프레임(320)으로 나뉘고, 각각의 프레임에는 제1, 2막대(220, 230)의 바퀴(233) 또는 이동부재(210)를 가이드 하는 진행레일(330), 연결대(240)의 중앙 연결부(245)를 상하 단차지게 누르는 조정단(340), 밀림대(237)를 측방으로 단차지게 밀어내는 가이드레일(3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좌측프레임(310)과 우측프레임(320)은 진행방향(A) 양측에 위치하여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고 서로 마주보는 내측 대응면에는 제1, 2막대(220, 230)의 양단이 관통되게 개구부(301)를 형성한다.
이러한 좌측프레임(310)과 우측프레임(320)은 선별부(200)의 양측단을 수용하고 타원의 무한궤도로 연장되게 지지하는 구조를 만족하는 한 그 형태는 자유로이 변형될 수 있다.
조정단(340)은 좌, 우측프레임(310, 320)의 상면으로부터 진행방향(A)을 따라 점차 하강하는 단계별 수평단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11과 도 12와 같이, 좌측프레임(310)에서는 A-1에서 A-2 방향, 우측프레임(320)에서는 B-1에서 B-2방향을 따라 조정단(340)의 수평단 높이가 단계별로 낮아진다.
이러한 단차진 정도는 농산물 선별크기의 구분별로 그에 상응하는 단계와 높이로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좌측프레임(310)과 우측프레임(320)에 단차진 조정단(340)의 높이는 단계별로 양측이 서로 일치해야 함은 당연하다.
이러한 조정단(340)을 따라 연결부(245) 내지 연결부(245)에 장치된 수직롤러(247)가 진행방향(A)을 따라 이동하면 연결부(245)는 단계별로 하강하고 그 결과, 제1연결대(241)와 제2연결대(243)의 끼인각이 커져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 사이가 벌어진다.
이렇게, 가이드부(300) 상부에서 점차 낮아진 조정단(340)은 바람직하게는 회전경로구간(207)에 해당하는 가이드부(300)의 굽은 부분에서도 낮아진 높이를 유지하여 조합체(203)가 회전경로구간(207)을 이동할 때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사이르 최대로 벌리고 이로부터 연장된 가지대(250)가 제1막대(220) 내지 제3막대(270)의 그 어느 것과도 저촉없이 비스듬히 기울어져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조정단(340)에 눌려 이동하던 연결대(240)는 가이드부(300) 상부 선단에서 다시금 높아진 조정단(340)과 제1, 2연결대(241, 243) 사이에 장착된 텐션수단(미도시)에 의해 연결부(245)가 상승하여 제1막대(220) 및 제2막대(230)의 사이를 다시 좁힌다.
가이드레일(350)은 우측프레임(320)의 바깥쪽 측벽 내면에서 진행방향(A)을 따라 점차 내부로 돌출되는 단계별 수직단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이드레일(350)은 우측프레임(320)의 B-1에서 B-2방향을 따라 단계별로 점점 내부 측방으로 돌출되고, 그 단차진 정도는 조정단(340)과 일치하는 단계별로 농산물의 선별크기에 상응하는 두께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진행방향(A)으로 가이드레일(350)을 따라 밀림대(237) 내지 수평롤러(239)가 이동하면 밀림대(237)는 상기 단계별로 가이드레일(350)에 밀리고 이에 연결된 외부막대(233)는 가변구간(232)이 좁혀지는 종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그 결과, 외부막대(233)에서 연장된 제2막대의 가지대(253)는 한 쌍을 이루는 제1막대의 가지대(251)와 사이가 벌어진다.
참고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가변구간(232)의 탄성부재(235)를 생략하고 또 다른 밀림대(미도시)가 외부막대(233)의 타측에 구성되는 경우에는 좌측프레임(310)에도 가이드레일(미도시)이 설치된다. 이때 좌측프레임(31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50)은 우측프레임(320)의 것과는 상대적으로 진행방향(A)을 따라 점차 좌측프레임(310)의 측벽 쪽으로 인입되는 단계별 수직단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위와 같이 마련된 가이드부(300)에 선별부(200)가 탑재되는 상태를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선별부(200)는 제1, 2브라켓(261, 263)의 구성이 없는 실시예를 적용하고, 당업자라면 이를 응용하여 제1, 2 브라켓(261, 263)이 구성된 실시예에 따른 선별부의 탑재도 자명할 것이다.
좌, 우측프레임(310, 320)에 마련된 진행레일(330)에는 제1, 2막대(220, 230)의 양단에 설치된 바퀴(223)가 놓이고, 연결부(245)에 설치된 수직롤러(247)는 조정단(340)의 수평단 하면과 접촉되며, 밀림대(237)에 설치된 수평롤러(239)는 가이드레일(350)의 수직단 측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바퀴(223)는 진행레일(330)을 따라 이동하고, 수직롤러(247)와 수평롤러(239)는 조정단(340)과 가이드레일(350)을 따라 이동한다.
이하, 본 발명의 농산물 선별장치에 따른 조합체(203)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격자공간(201)의 종 방향 폭 확장에 관한 또 다른 방식에 관하여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합체(203)는 격자공간(201)의 종 방향 폭의 확장을 위해 다른 실시예에서 구성된 밀림대(237) 및 탄성부재(235)를 생략하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400)와 제1도르래(410)를 포함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제1와이어(400)와 제1도르래(410)에 대응되게 제2와이어(405)와 제2, 3도르래(420, 4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를 대체하는 인장 용수철(미도시)이 제2와이어(405)와 같은 목적으로 해당 위치에 배치되도 무방하고 후술하는 설명으로 이에 대한 이해는 자명하다.
그리고, 앞서와 다르게 본 실시예를 위해서는 제1막대(220)가 내부막대(231)와 외부막대(233)로 구분되고 가변구간(232)도 제1막대(220) 쪽에 위치한다.
그 외 조합체(203)에 관한 구성은 이미 언급된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미 언급된 설명으로 대체하고 본 실시예에 그대로 적용한다.
또한, 밀림대(237)가 생략된 본 실시예에 따른 조합체(203)를 수용하여 작동시키는 가이드부(300)에서 가이드레일(350)이 생략되는 것은 당연하고, 그 외에 가이드부(300)에 관한 구성은 이미 언급된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것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우선, 제1와이어(400)는 제1막대(220)의 외부막대(233) 중 가변구간(232) 측 말단과 제2막대(230)의 동일측 말단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1도르래(410)는 제1막대(220)의 내부막대(231) 중 가변구간(232) 측 말단에 제2막대(230)를 향한 내측으로 장착되어 제1와이어(400)의 이동경로를 직각으로 유도한다.
따라서,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사이가 벌어지면 제2막대(230)가 제1도르래(410)를 경유하는 제1와이어(400)를 당기고 외부막대(233)와 연결된 제1와이어(400)의 말단은 제1도르래(410) 쪽으로 종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즉, 제1와이어(400)는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사이가 벌어질 때 외부막대(233)를 가변구간(232)이 좁아지는 종 방향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제2와이어(405)는 외부막대(233) 중 가변구간(232) 타측 말단과 제2막대(230)의 동일측 말단을 연결한다.
그리고, 내부막대(231) 중 가변구간(232) 타측 말단에는 제2막대(230)를 향한 내측으로 제2도르래(420)가, 반대편을 향한 외측으로 제3도르래(430)가 각각 장착된다.
그러므로, 외부막대(233)에 연결된 제2와이어(405)는 제2도르래(420)에 의해 이동경로가 직각으로 유도되고 이웃하는 또 다른 내부막대(231)에 장착된 제3도르래(430')를 경유하여 이동경로가 180도 변환되게 제2막대(230)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사이가 벌어지면 제2막대(230)와 이웃하는 또 다른 제1막대(220)와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좁아지기 때문에 제2, 3도르래(420, 430')를 경유한 제2와이어(405)는 외부막대(233)와 연결된 말단이 제2도르래(420)와 멀어지는 종 방향을 따라 이동하고, 이와 반대로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사이가 좁아지면 제2막대(230)가 제2와이어(405)를 당겨 외부막대(233)와 연결된 말단이 제2도르래(420) 쪽으로 종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제2와이어(405)는 제1와이어(400)와 상대적으로 외부막대(233)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제1, 2와이어(400, 405) 및 제1, 2, 3도르래(410, 420, 430)에 의한 외부막대(233)의 이동과 그에 따른 격자공간(201)의 종 방향 폭 확장에 관한 작동상태를 도 17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가 좁혀져 있는 경우, 제1와이어(400)는 이완되는 반면 제2막대(230)는 제2와이어(405)를 당겨 외부막대(233)를 가변구간(232)이 벌어지는 종 방향으로 당긴다.
따라서, 외부막대(233)에서 연장된 제1막대의 가지대(251)는 한 쌍을 이루는 제2막대의 가지대(253)와 사이가 좁다.
이 상태에서, 조합체(203)가 진행방향(A)을 따라 이동하여 연결대(240)의 연결부(245)가 조정단(340)에 단차지게 눌리고 제1, 2연결대(241, 243)의 끼인각이 커져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사이가 벌어지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막대(230)는 제1와이어(400)를 당기고 제2와이어(405)를 이완시켜 외부막대(233)를 가변구간(232)이 좁아지는 종 방향으로 당긴다.
따라서, 외부막대(233)에서 연장된 제1막대의 가지대(251)는 한 쌍을 이루는 제2막대의 가지대(253)와 사이가 벌어진다.
그 결과,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사이가 벌어지는 것과 함께 한 쌍을 이루는 제1막대의 가지대(251)와 제2막대의 가지대(253)의 사이도 벌어져 격자공간(201)의 횡과 종 방향 폭이 확장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선별장치의 작동 방법 및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이미 언급된 도 3 내지 도 15와 함께 도 18 및 도 19를 참고하여 설명하되, 동일한 부분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당업자라면 도 16 및 도 17을 참고하여 살펴본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작동 및 사용 상태를 이해함에 있어 자명할 것이다.
우선, 구동부(미도시)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은 이동부재(210)는 타원의 무한궤도를 따라 무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상측경로구간(205)에서는 제1, 2, 3막대(220, 230, 270) 및 제1, 2막대의 가지대(251, 253)가 횡 방향인 진행방향(A)으로 이동된다.
이때, 진행방향(A)의 이동 정도에 따라 연결부(245)가 조정단(340)에 단차지게 눌리고 밀림대(237)가 가이드레일(350)에 단차지게 밀린다.
그 결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별로 조합체(203) 하나에 구비된 제1막대(220)와 제2막대(230)의 사이는 벌어지고 제2막대(230)는 길이방향으로 가변구간(232)이 좁아지게 이동한다. 따라서, 제1, 2막대(220, 230)와 제1, 2막대의 가지대(251, 253)로 둘러진 격자공간(201)은 단계별로 횡과 종 방향의 폭이 넓어져 확장된다.
이와 같이 선별부(200)가 작동할 때 주입부(100)에 농산물을 공급하면 농산물은 격벽(110) 및 연장대(111)를 따라 특정된 횡 방향의 줄로만 이동하고 이와 더불어 제3막대(270)에 의해 특정된 종 방향의 줄로만 유입되어 선별부(200)의 선단에서 격자공간(201)이 형성된 일정한 지점으로 진입한다.
그런 다음, 선별부(200) 선단 중 격자공간(201)으로 진입된 농산물(600)은 가만히 놓인 채로 진행방향(A)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 정도에 따라 격자공간(201)은 횡과 종 방향의 폭이 점점 벌어져 그 넓이가 점점 확장되는데 이는 단계별로 기(旣) 설정된 크기대로 확장된다.
그 결과, 농산물(600)은 도 19와 같이 단계별로 해당 크기로 확장된 격자공간(201)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한 후 배출부(500)에 저장되거나 이송된다.
따라서, 선별부(200)의 초입부분에서 격자공간(201)에 놓인 다양한 크기의 농산물(600)은 진행방향(A)으로 이동될수록 단계별로 확장되는 격자공간(201)을 통과해 크기별로 선별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바,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있다 해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에게 쉽게 파악될 수 있다.
100: 주입부 101: 바닥면
103: 측면 110: 격벽
111: 연장대 200: 선별부
201: 격자공간 203: 조합체
205: 상측경로구간 207: 회전경로구간
209: 하측경로구간 210: 이동부재
220: 제1막대 221: 이동부재연결부
223: 바퀴 230: 제2막대
231: 내부막대 232: 가변구간
233: 외부막대 235: 탄성부재
237: 밀림대 239: 수평롤러
240: 연결대 241: 제1연결대
243: 제2연결대 245: 연결부
247: 수직롤러 250: 가지대
251: 제1막대의 가지대 253: 제2막대의 가지대
261: 제1브라켓 263: 제2브라켓
265: 이동공 267: 돌출단
270: 제3막대 300: 가이드부
301: 개구부 310: 좌측프레임
320: 우측프레임 330: 진행레일
340: 조정단 350: 가이드레일
400: 제1와이어 405: 제2와이어
410: 제1도르래 420: 제2도르래
430: 제3도르래 500: 배출부
600: 농산물 A: 진행방향

Claims (8)

  1. 회전력을 발휘하는 구동부;
    횡 및 종 방향으로 놓인 복수 개의 막대로 격자공간을 정의하는 조합체가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동부재에 타원의 궤적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무한 이동하는 선별부; 및
    상기 격자공간의 넓이가 가변되게 상기 조합체를 작동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합체는,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나란히 놓인 제1막대와 제2막대;
    상기 제1막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막대를 향하고 상기 제2막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막대를 향하는 한 쌍의 가지대;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의 사이 폭이 가변되게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를 링크 연결하는 연결대; 및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외향 돌출된 밀림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막대와 나란히 이웃하게 배열된 또 다른 조합체의 제2막대 사이에서 상기 제1막대 및 제2막대보다 높은 상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막대를 더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대와 접촉하고 상하 단차진 조정단; 및
    상기 밀림대와 접촉하고 측방으로 단자친 가이드레일을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4. 회전력을 발휘하는 구동부;
    횡 및 종 방향으로 놓인 복수 개의 막대로 격자공간을 정의하는 조합체가 상기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동부재에 타원의 궤적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무한 이동하는 선별부; 및
    상기 격자공간의 넓이가 가변되게 상기 조합체를 작동시키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합체는
    상기 횡 방향을 따라 나란히 놓인 제1막대와 제2막대;
    상기 제1막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막대를 향하고 상기 제2막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막대를 향하는 한 쌍의 가지대;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의 사이 폭이 가변되게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를 잇고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 사이의 직선 거리보다 길게 마련된 연결대;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 중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어느 하나의 말단에 장착된 제1도르래를 경유하여 직각의 경로로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를 연결하는 제1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막대와 나란히 이웃하게 배열된 또 다른 조합체의 제2막대 사이에서 상기 제1막대 및 제2막대보다 높은 상측에 종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제3막대를 더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대와 접촉하고 상하 단차진 조정단을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에는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제1브라켓과 상기 제1브라켓에 이웃하고 내부에 이동공이 관통된 제2브라켓이 장착되고,
    상기 제1브라켓에는 상기 제1막대가, 상기 제2브라켓에는 상기 제2막대가 연결되는 농산물 선별장치.
  8. 청구항 1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상기 제1막대의 말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1연결대;
    상기 제2막대의 말단과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연결대; 및
    상기 제1, 2연결대의 말단을 상기 제1, 2막대가 위치한 수평선 상보다 높은 위치에서 연결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농산물 선별장치.
KR1020100033694A 2009-09-30 2010-04-13 농산물 선별장치 KR101172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93371 2009-09-30
KR1020090093371 2009-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827A KR20110035827A (ko) 2011-04-06
KR101172823B1 true KR101172823B1 (ko) 2012-08-10

Family

ID=4404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3694A KR101172823B1 (ko) 2009-09-30 2010-04-13 농산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0526B (zh) * 2011-11-23 2013-05-29 中国水产科学研究院渔业机械仪器研究所 一种渔获物自动分级装置
CN110961352A (zh) * 2018-09-28 2020-04-07 安徽致磨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氧化锆珠筛选装置
CN112090757B (zh) * 2019-09-10 2021-09-21 杭州富阳新堰纸制品有限公司 一种包装领域使用的球形物品筛选装置
CN111824465B (zh) * 2020-08-20 2021-10-08 方家铺子(莆田)绿色食品有限公司 一种适用于不同干货的颗粒物料自动称重包装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8927A (ja) 1996-09-27 1998-04-21 Kobashi Kogyo Co Ltd 農産物選別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8927A (ja) 1996-09-27 1998-04-21 Kobashi Kogyo Co Ltd 農産物選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827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823B1 (ko) 농산물 선별장치
US20090211880A1 (en) Device for Conveying Objects
JP5487248B2 (ja) 作物整列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作物選別装置
CA3096752C (en) Screening belt unit for a harvesting machine, and associated flap unit
AU610694B2 (en) Dough piece bending device
EP1378467B1 (de) Kettenspeicher sowie Verfahren zum Beladen des Speichers
US7080730B2 (en) Conveyor assembly
PL209570B1 (pl) Urządzenie magazynujące o zmiennej pojemności
EP0559301A2 (en) Conveyor
JP2009120395A (ja) 物品を搬送するための装置
JPH06502699A (ja) 延展・ラップ形成機
US2747724A (en) Guided carrier conveyor
US8096029B2 (en) Device for maintaining the crimping of textile fibers or filaments during subsequent setting
KR101836444B1 (ko) 과일선별기
JPS61142109A (ja) 包装機における包装用フィルム折込装置及びその方法
US2392489A (en) Weaving apparatus
US6536585B1 (en) Conveyor, as well as conveyor
NO121364B (ko)
US1725665A (en) Fruit and vegetable sizing and grading machine
US3348679A (en) Grommet means for sizing apparatuses
JP4572398B2 (ja) 果実コンベア
KR101641886B1 (ko) 과일 선별기
CN217147997U (zh) 用于缓冲条带的贮布装置
NL7906891A (nl) Inrichting voor het sorteren van in het bijzonder aardappelen.
US482294A (en) Fruit-s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