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1963B1 -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 - Google Patents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1963B1
KR101171963B1 KR1020110136071A KR20110136071A KR101171963B1 KR 101171963 B1 KR101171963 B1 KR 101171963B1 KR 1020110136071 A KR1020110136071 A KR 1020110136071A KR 20110136071 A KR20110136071 A KR 20110136071A KR 101171963 B1 KR101171963 B1 KR 101171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switch device
movable contact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8727A (ko
Inventor
마코토 하야시
도시하루 모리
다츠아키 가와세
다쿠야 다나카
슈지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8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1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1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45Holders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33/96Holders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2Details of end part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en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02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 F21V25/04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breaking the electric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01H23/168Driving mechanisms using ca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본 발명은, 직관형 형광등의 일단측의 단자를 일방의 소켓에 꽂은 후, 타단측의 단자를 타방의 소켓에 꽂는 형태, 직관형 형광등의 양단의 단자를 동시에 소켓에 장착하는 형태의 어느 형광등 기구에 대해서도 장착 가능하게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단자(5)와, 하우징 내로의 가압 조작을 받아들일 수 있는 조작부를 가지는 조작체(9)와, 조작체(9)로의 가압 조작에 따라 제1 단자(5)와 도통하는 제2 단자(6)와, 조작체(9)를 가압 조작 전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토션 스프링(12)을 구비하고, 하우징 내에는, 가압 조작시에 조작체(9)가 수용되는 수용부(26)가 설치됨과 함께, 조작체(9)는, 제1 단자(5)의 돌출 방향에 관해 상반되는 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경동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경동 동작에 의해, 조작부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26)에 수용됨과 함께, 제1 단자(5)와 제2 단자(6)가 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SWITCH DEVICE FOR STRAIGHT TYPE LED LAMP AND STRAIGHT TYPE LED LAMP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등 기구에 장착 가능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원에 LED(Light Emitting Diode :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LED 램프가 보급되고 있다. LED 램프에 있어서는, 종래형의 조명 기구와 비교하여, 소비 전력이나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제품 수명도 대폭 확대할 수 있다. 이러한 LED 램프에 있어서, 현재, 종래형의 형광등을 대체하는 조명 기구로서 직관형 LED 램프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직관형 LED 램프에 있어서, 양단에 배치된 구금(口金)에, 탄성 가압된 스위치 핀을 외측을 향하여 돌출시켜 두고, 형광등 기구에 대한 장착 작업에 따라 밀려 들어간 스위치 핀의 일부에서 LED로의 통전을 전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직관형 LED 램프에 있어서는, 형광등 기구에 대한 직관형 LED 램프의 장착, 혹은, 형광등 기구로부터 직관형 LED 램프를 떼어낼 때에 작업자에게 전류가 흐르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어, 당해 작업시에 있어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0-192229호
상기 서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직관형 LED 램프에 있어서는, 그 양단에 배치된 구금으로부터 스위치 핀이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직관형 형광등의 일단측의 단자를 일방의 소켓에 꽂은 후, 타단측의 단자를 타방의 소켓에 꽂는 형태의 형광등 기구에 장착할 수 있지만, 직관형 형광등의 양단의 단자를 동시에 소켓에 장착하는 형태의 형광등 기구에는 장착하기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직관형 형광등의 일단측의 단자를 일방의 소켓에 꽂은 후, 타단측의 단자를 타방의 소켓에 꽂는 형태, 직관형 형광등의 양단의 단자를 동시에 소켓에 장착하는 형태의 어느 형광등 기구에 대해서도 장착할 수 있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는,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됨과 함께 등 기구의 소켓에 장착되는 1쌍의 제1 단자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 내로의 가압 조작을 받아들일 수 있는 조작부를 가지는 조작체와, 이 조작체로의 가압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단자의 일방과 도통 상태가 전환되는 제2 단자와, 상기 조작체를 가압 조작 전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조작체로의 가압 조작시에 상기 조작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조작체는, 상기 제1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일 방향에 관해 상반되는 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경동(傾動)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경동 동작에 의해, 상기 조작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됨과 함께, 상기 제1 단자의 일방과 상기 제2 단자가 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 내로의 가압 조작뿐만 아니라, 제1 단자의 돌출 방향에 관해 상반되는 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부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제1 단자와 제2 단자가 도통된다. 이에 따라, 직관형 형광등의 일단측의 단자를 일방의 소켓에 꽂은 후, 타단측의 단자를 타방의 소켓에 꽂는 형태의 형광등 기구뿐만 아니라, 직관형 형광등의 양단의 단자를 동시에 소켓에 장착하는 형태의 형광등 기구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부를 수용부 내에 수용시켜, 제1 단자와 제2 단자를 도통시킬 수 있으므로, 어느 형태의 형광등 기구에 대해서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는, 상기 제1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일 방향에 관해 상반되는 일방측과 타방측의 양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경동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조작체는, 일방측과 타방측의 양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경동 동작하기 때문에, 형광등 기구에 대한 장착하는 방향의 제한을 없앨 수 있으므로, 형광등 기구에 대한 직관형 LED 램프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조작체로의 가압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부가 수용될 때에 상기 조작체가 안내되는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일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는 제1 피가압부와, 상기 타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는 제2 피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방측 또는 상기 타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체가 경동 동작함과 함께 상기 수용부 내에 밀려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조작부에, 일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는 제1 피가압부와, 타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는 제2 피가압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일방측 또는 타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조작체를 경동 동작시킴과 함께 수용부 내에 밀어 넣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용부에 조작체를 안내하는 안내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가압 조작에 따라 원활하게 조작부를 수용부에 수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제1 단자의 양방의 연장 돌출 방향을 포함한 평면과 평행한 절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부의 단면 형상이, 상기 개구부 측보다 선단의 정상부측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단면 형상의 상기 정상부를 사이에 두고 일방의 외형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피가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단면 형상의 타방의 외형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피가압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일방측 또는 상기 타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른 상기 경동 동작이, 상기 1쌍의 제1 단자의 양방의 연장 돌출 방향을 포함한 평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조작부가 1쌍의 제1 단자의 연장 돌출 방향을 포함한 평면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직관형 형광등의 양단의 단자를 동시에 소켓에 장착하는 형태의 형광등 기구에 대하여 용이하게 직관형 LED 램프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에는, 상기 절단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초기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돌출부가 탄성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 지지부에 받아들여져 있으므로, 조작체의 흔들림을 억제함과 함께, 돌출부가 스토퍼가 되어 조작체가 개구부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피가압부 및 제2 피가압부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대하여, 각각 90도 미만의 각도를 가지는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경동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 중 어느 일방의 경사부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안내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타방의 경사부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경동 동작에 따라 제1 경사부와 제2 경사부 중 어느 일방의 경사부가 수용부의 안내부에 맞닿은 경우에 있어서도, 타방의 경사부가 개구부로부터 돌출되기 때문에, 경동 동작 후의 밀어 넣는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어, 제1 단자의 일방과 제2 단자와의 도통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단자의 일방과 상기 제2 단자와의 도통 상태를 전환하는 가동 접점과, 상기 조작체로의 가압 조작에 따라 이동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점을 구동하는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1쌍의 제1 단자 사이의 영역을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구동 부재가 1쌍의 제1 단자 사이의 영역을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의 스페이스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는, 상기 1쌍의 제1 단자 사이와는 다른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조작부의 선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구동 부재와 맞닿는 맞닿음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 부재에는, 상기 맞닿음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가 상기 맞닿음부측에 가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조작체가, 1쌍의 제1 단자 사이와는 다른 영역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켓의 중앙부에 패임이 있었다고 해도, 조작체에서 하우징 내로 가압 조작을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조작체가 맞닿음부를 가지고, 구동 부재가 맞닿음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가지기 때문에,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조작체를 복귀시킬 수 있어, 스페이스 효율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상기 맞닿음부가 오목부로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지지부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오목부인 맞닿음부를 볼록부인 지지부로 지지하기 때문에, 높이 방향으로 스위치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1쌍의 제1 단자의 양방의 연장 돌출 방향을 포함한 평면을 사이에 둔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일방의 영역에 상기 조작부가 수용되는 상기 수용부가 설치됨과 함께, 타방의 영역에 상기 제1 단자의 일방과 상기 제2 단자와의 도통 상태를 전환하는 가동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1쌍의 제1 단자의 양방의 연장 돌출 방향을 포함한 평면을 사이에 두고 일방의 영역에 조작부가 수용됨과 함께, 타방의 영역에 가동 접점이 설치되기 때문에, 하우징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각 구성 부재를 무리없이 하우징 내에 수용함과 함께, 구성 부재를 장착할 때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됨과 함께, 상기 제1 단자의 일방에 도통하여 설치된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단자에 도통하여 설치된 제2 접점부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체로의 가압 조작에 따라,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가동 접점을,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기 때문에, 양 접점부 사이의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절연성을 높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에는, 상기 조작부의 선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일단부가 상기 오목부에 배치됨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가동 접점을 구동하는 시소 동작 가능한 구동 부재가, 상기 1쌍의 제1 단자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구동 부재의 일단부측이 상기 오목부 측에 가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구동 부재가 1쌍의 제1 단자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 설치되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스페이스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구동 부재가 시소 동작하여 가동 접점을 구동하기 때문에, 가동 접점과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와의 도통 상태를 안정적으로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단자 및 가동 접점이 상기 1쌍의 제1 단자에 대응하여 각각 1쌍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대응하는 상기 가동 접점을 통하여 도통 상태가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2 단자 및 가동 접점이 1쌍의 제1 단자에 대응하여 각각 1쌍 설치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램프 본체에 설치된 일방의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로부터의 급전 구조의 직관형 LED 램프에도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단자의 일방과 상기 제2 단자와의 도통 상태를 전환하는 가동 접점과, 상기 조작체로의 가압 조작에 따라 이동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점을 구동하는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조작체로의 가압 조작에 따른 상기 구동 부재의 이동 경로에 배치된 돌출부와, 상기 제1 단자의 일방에 도통하여 설치된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단자에 도통하여 설치된 제2 접점부에 접리(接離) 가능하게 설치된 접점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접점부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와 이간된 상태에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돌출부에 대한 상기 구동 부재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가동 접점의 돌출부에 대한 구동 부재의 접촉에 의해 가동 접점의 접점부를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측으로 이동시키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가동 접점의 접점부를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맞닿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구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캠체와 일체화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캠체는, 축부 및 상기 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동 접점의 접점부측과는 반대측에 설치되는 피가압부를 가지고 있고, 초기 상태에서,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가압됨과 함께, 상기 접점부가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초기 상태에서, 캠체의 피가압부가 구동 부재에 의해 가압되고, 가동 접점의 접점부가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되어 있기 때문에, 가령 접점부끼리가 용착된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체가 초기 상태로 복귀할 때에 캠체의 피가압부가 구동 부재에 의해 가압되므로, 접점부끼리를 이간시킬 수 있고, 제1 단자와 제2 단자와의 도통 상태를 적절히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체는, 상기 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피가압부측과는 반대측에 설치된 기부(基部)를 가지고, 상기 기부는,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상기 피가압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캠체가, 상기 접점부를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구동 부재에 의해 피가압부가 가압되면, 캠체는, 가동 접점의 접점부가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 되기 때문에, 가령 접점부끼리가 용착된 경우에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이들을 이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직관형 LED 램프는, 복수의 LED와, 상기 LED를 발광시키는 구동 회로와, 상기 복수의 LED 및 상기 구동 회로를 수납하는 통 형상의 램프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한 어느 하나의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를 상기 램프 본체의 단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관형 형광등의 일단측의 단자를 일방의 소켓에 꽂은 후, 타단측의 단자를 타방의 소켓에 꽂는 형태, 직관형 형광등의 양단의 단자를 동시에 소켓에 장착하는 형태의 어느 형광등 기구에 대해서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가 가지는 외부 케이스 및 내부 케이스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가 가지는 내부 케이스 주변의 구성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상태의 내부 케이스 및 그 주변 부품의 상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내의 구성 부품간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8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내의 구성 부품간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내의 구성 부품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가 장착되는 직관형 LED 램프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형광등 기구(A)에 장착되기 직전의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형광등 기구(A)에 장착된 경우의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내의 구성 부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형광등 기구(B)에 장착되기 직전의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형광등 기구(B)에 장착된 경우의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내의 구성 부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내의 구성 부품간의 위치 관계를 후방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형광등 기구(A)에 장착된 경우의 변형예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내의 구성 부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형광등 기구(B)에 장착된 경우의 변형예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내의 구성 부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가 가지는 외부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22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가 가지는 내부 케이스 주변의 구성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상태의 내부 케이스 및 그 주변 부품의 상면도이다.
도 24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내의 구성 부품간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25는 형광등 기구(A)에 장착된 경우의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내의 구성 부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형광등 기구(B)에 장착된 경우의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내의 구성 부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가 가지는 조작체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도 28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가 가지는 조작체의 변형예의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이하, 간단히 「스위치 장치」라고 한다)는, 직관형 LED 램프의 단부에 설치되어, 직관형 LED 램프 내에 실장되는 구동 회로(예를 들어, AC/DC 컨버터)에 대한 통전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는, 직관형 형광등의 일단측의 단자를 일방의 소켓에 꽂은 후, 타단측의 단자를 타방의 소켓에 꽂는 형태의 형광등 기구(이하, 적절히 「제1종 형광등 기구」라고 한다) 및 직관형 형광등의 양단의 단자를 동시에 소켓에 장착하는 형태의 형광등 기구(이하, 적절히 「제2종 형광등 기구」라고 한다)로의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나타내는 좌상방측을 「스위치 장치(1)의 후방측」 또는 간단히 「후방측」이라고 부르고, 도 1에 나타내는 우하방측을 「스위치 장치(1)의 전방측」 또는 간단히 「전방측」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는, 장치 본체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외부 케이스(2), 내부 케이스(3) 및 절연 커버(4)와, 내부 케이스(3)에 장착되는 제1 단자(5) 및 제2 단자(6)를 구비하고, 내부 케이스(3)에 외부 케이스(2)를 맞붙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가동 접점(7), 구동 부재(8), 조작체(9) 및 캠체(10) 등의 구성 부품을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을 구성하는 외부 케이스(2), 내부 케이스(3) 및 절연 커버(4), 그리고,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구동 부재(8), 조작체(9) 및 캠체(10)는, 예를 들어, 절연성의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이하, 스위치 장치(1)가 가지는 각 구성 부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부 케이스(2)는, 대체로 하방측에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외부 케이스(2)의 상면에는, 1쌍의 관통 구멍(21a, 2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21a, 21b)의 주변에는 원형의 오목부(22a, 22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22a, 22b)의 외경은, 관통 구멍(21a, 21b)의 외경보다 약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부(22a, 22b)의 내부에서는, 관통 구멍(21a, 21b)의 주위에 바닥벽부가 설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외부 케이스(2)의 상면이며, 스위치 장치(1)의 전방측 근처의 위치에는 직사각형상을 가지는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3)는, 길이 방향의 변이, 1쌍의 관통 구멍(21a, 21b)을 통과하는 평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부 케이스(2)의 외주이며, 개구부(23)의 측방의 위치에는, 1쌍의 오목부(24a, 24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24a, 24b)는, 외부 케이스(2)의 중앙 부분 근방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24a, 24b)의 바닥면에는, 관통 구멍(25a, 25b)이 형성되어 있다[도 1에 있어서 관통 구멍(25b)은 도시 생략]. 이들 관통 구멍(25a, 25b)은,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의 고착 부재에 의해 스위치 장치(1)를 램프 본체에 고정할 때에 이용된다.
내부 케이스(3)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내부 케이스(3)의 외경은, 외부 케이스(2)의 내주 형상에 대응하는 치수로 설계되어 있다. 내부 케이스(3)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벽부(31)(31a, 31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벽부(31a, 31b)는, 스위치 장치(1)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간되어 병설되어 있다. 이들 벽부(31a, 31b)보다 후방측 부분에는, 대체로 반원호 형상을 가지는 통 형상부(32)가 설치되고, 전방측 부분에는 벽부(31)의 하방측 부분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대체로 반원호 형상을 가지는 원반 형상부(33)가 설치되어 있다.
1쌍의 벽부(31)의 상면에는, 내측 부분에 평면부(311)(311a, 311b)가 설치되고, 이 평면부(311)의 외측에 지주부(312)(312a, 312b)가 설치되어 있다. 평면부(311)의 중앙 근방에는, 후술하는 고정 나사(11)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313)(313a, 313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평면부(311)의 지주부(312) 근처의 위치에는, 제1 단자(5)를 구성하는 유지부(52)의 일부가 삽입되는 슬릿(314)(314a, 314b)이 형성되어 있다[도 1에 있어서 슬릿(314a)은 도시 생략, 도 6 참조]. 지주부(312)의 상단부에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 케이스(2)에 내부 케이스(3)를 수용할 때의 가이드부로서 기능한다.
통 형상부(32)에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직사각형상을 가지는 수용부(321)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321)는, 통 형상부(32)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수용부(321)에는, 상세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7) 및 이것에 유지된 캠체(10), 그리고, 구동 부재(8)의 일부가 수용된다. 수용부(321)를 규정하는 내벽면의 네 모퉁이부에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의 지지부(322a~322d)가 설치되어 있다[도 1에 있어서 지지부(322b) 이외는 도시 생략, 도 6 참조]. 이들 지지부(322a~322d)의 하면에는, 대체로 반원호 형상의 도시하지 않은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는, 후술하는 캠체(10)의 축부(1012)를 하방측으로부터 수용 가능한 치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321)를 규정하는 내벽면 중, 대향하는 1쌍의 내벽면의 상단부에는, 소정 깊이의 오목부(32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323)는, 외부 케이스(2)의 상면부의 이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리브를 수용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323)에 수용된 리브는, 내부 케이스(3)에 장착된 제1 단자(5)와 제2 단자(6)를 절연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 오목부(323)의 근방에는, 슬릿(3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325)에는, 후술하는 유지부(52)의 일부가 삽입된다.
1쌍의 벽부(31) 사이에는, 1쌍의 지지벽부(34)(34a, 34b)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벽부(34)는, 원반 형상부(33)의 상면으로부터 세워 설치되고, 서로 일정 거리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지지벽부(34)는, 벽부(31)의 상면과 대략 동일 위치까지 연장 돌출되고, 그 상단부 후방에는, 대체로 반원호 형상의 오목부(3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341)는, 후술하는 구동 부재(8)의 축부(821)를 수용함과 함께, 이 축부(821)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들 1쌍의 지지벽부(34a, 34b)는, 각각 1쌍의 벽부(31a, 31b)의 내측 부분으로부터 약간 갭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갭에는, 제1 단자(5) 및 제2 단자(6)의 일부가 배치된다.
원반 형상부(33)의 상면이며, 1쌍의 지지벽부(34) 사이에 배치된 위치에는, 후술하는 토션 스프링(12)을 수용하는 오목부(33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331)의 상면에는, 토션 스프링(12)의 권회부(121)를 위치 결정하는 돌출편(33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반 형상부(33)의 소정 위치에는, 1쌍의 관통 구멍(333)(333a, 333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333a, 333b)은,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의 고착 부재에 의해 스위치 장치(1)를 램프 본체에 고정할 때에 이용된다.
절연 커버(4)는, 대체로 직사각형상의 바닥면부(41)와, 이 바닥면부(41)의 상면 중앙에 설치된 삽입부(42)와, 바닥면부(41)의 대향하는 1쌍의 단부로부터 상방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설치된 고정부(43)를 가지고 있다. 삽입부(42)는, 내부 케이스(3)의 통 형상부(32)에 형성된 수용부(321)의 내벽에 대응하는 외형을 가지고, 수용부(321) 내를 덮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절연 커버(4)로 수용부(321)를 덮음으로써, 수용부(321) 내에 수용되는 가동 접점(7) 등에 대한 확실한 절연을 확보하고 있다.
삽입부(42)의 대향하는 1쌍의 단부 근방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는 1쌍의 지지편(421a, 421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편(421a, 421b)은, 지지부(322a~322d)의 하면의 오목부에 수용된 캠체(10)의 축부(1012)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한다. 고정부(43)는, 절연 커버(4)를 내부 케이스(3)에 고정하는 부분이다. 각 고정부(43)의 중앙에는, 개구부(4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431)에서 통 형상부(32)의 외면에 설치된 돌출편(324)(도 1에 도시 생략, 도 5 참조)을 수용함으로써, 절연 커버(4)가 내부 케이스(3)에 고정된다.
제1 단자(5)는, 각각 1쌍의 구금 핀부(51)(51a, 51b)와, 유지부(52)(52a, 52b)를 가진다. 구금 핀부(51)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재료에 기계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구금 핀부(51)는, 대체로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중앙 근방에 플랜지 형상부(511)가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 형상부(511)의 상방측에는 원기둥 형상의 접속부(512)가 설치되고, 그 하방측에는 원통 형상의 고정부(513)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513)의 외경은, 접속부(512)의 외경보다 큰 직경으로 설계되어 있다. 고정부(513)의 하면에는, 고정 나사(11)가 고정되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52)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판재에 타발 가공 및 절곡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유지부(52)는, 평면부(521)와, 이 평면부(521)의 후단부로부터 상방측으로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수직면부(522)를 가진다. 평면부(521)의 전방측 중앙에는, 원형의 개구부(521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521a)의 측방측에는, 하방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1쌍의 아암부(521b)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부(521a)의 내주부에는, 구금 핀부(51)의 고정부(513)의 하면에 압접되는 복수의 도통편(521c)이 설치되어 있다. 수직면부(522)의 측연부에는, 후방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1쌍의 절곡부(522a)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절곡부(522a)의 내측에 배치되는 일방에서 제1 접점부가 구성된다. 이 제1 접점부는, 후술하는 제2 접점부와 함께 가동 접점(7)이 접리되는 고정 접점을 구성한다.
제2 단자(6)(6a, 6b)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판재에 타발 가공 및 절곡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제2 단자(6)(6a, 6b)는, 평행하게 배치되는 전방 단자부(61)와 후방 단자부(62)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63)를 가진다. 전방 단자부(61) 및 후방 단자부(62)는, 스위치 장치(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연결부(63)는, 전방 단자부(61) 및 후방 단자부(62)와 직교하여 배치된다.
전방 단자부(61)는, 연결부(63)의 하단부로서, 그 내측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후방 단자부(62)는, 연결부(63)의 상단부로서, 그 외측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쌍방의 제2 단자(6a, 6b)는, 연결부(63)에 있어서의 다른 위치에 전방 단자부(61), 후방 단자부(62)가 설치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전방 단자부(61)의 전단부는, 하방측에 굴곡된 형상을 가지고, 그 선단에 접속부(611)가 설치되어 있다. 접속부(611)의 하단부는, 내부 케이스(3)의 하면으로부터 노출되고, LED 램프 본체의 피접속 단자에 접속된다. 후방 단자부(62)의 후단부는, 상방측에 굴곡된 형상을 가지고, 그 선단에 직사각형상부(62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직사각형상부(621)로 제2 접점부가 구성된다.
가동 접점(7)(7a, 7b)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판재에 타발 가공 및 절곡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각 가동 접점(7)은, 중앙 부분에 설치된 기부(71)와, 이 기부(71)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설치된 유지부(72)와, 기부(71)의 상단부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설치된 접점부(73)를 가지고 있다. 기부(71)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의 돌출부를 가지고 있다. 유지부(72)는, 전면에서 보았을 때(후면에서 보았을 때) U자 형상으로 설치되고, 후술하는 캠체(10)의 기부(101)의 하단부를 유지한다. 유지부(72)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한 직사각형상의 개구부(72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721)는, U자 형상 부분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캠체(10)의 걸어맞춤편(102)을 돌출시킴과 함께, 캠체(10)의 돌출편(1013)과 걸어맞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접점부(73)는, 제1 가동 접점부(731)와, 제2 가동 접점부(732)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제1 가동 접점부(731)와 제2 가동 접점부(732)는 일정 거리만큼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의 상단부 근방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호 형상부가 설치되어 있다. 상세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 가동 접점부(732)는, 분할하여 구성된 통전용 접점부(732a)와 보조 접점부(732b)를 가지고 있다. 보조 접점부(732b)는, 제2 가동 접점부(732)와 제2 단자(6)의 제2 접점부와의 접촉시에 있어서의 아크 방전의 영향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구동 부재(8)는, 후방측에 설치된 구동부(81)와, 이 구동부(81)의 상면의 전단부로부터 경사진 상방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레버부(82)를 가지고 있다. 구동부(81)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구동부(81)의 상면 중앙에는, 상방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판 형상부(811)가 설치되어 있다. 판 형상부(811)가, 대향하여 배치되는 가동 접점(7a, 7b)의 기부(71)가 서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레버부(82)에 있어서의 후단부[구동부(81)와의 연결부]의 근방에는, 스위치 장치(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는 1쌍의 축부(8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레버부(82)에 있어서의 전단부 상면에는, 약간 돌출된 피가압부(822)가 설치되어 있다. 피가압부(822)의 표면은, 대체로 구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피가압부(822)의 표면을 구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조작체(9)의 가압 동작 또는 경동 동작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구동 부재(8)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부재(8)의 하방측에는, 탄성 부재를 구성하는 토션 스프링(12)이 배치된다. 토션 스프링(12)은, 권회부(121)와, 이 권회부(121)의 양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되는 1쌍의 아암부(122a, 122b)를 가진다. 일방의 아암부(122a)는, 권회부(121)의 하단부 근방으로부터 전방측으로 수평으로 연장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타방의 아암부(122b)은, 권회부(121)의 상단부 근방으로부터 전방측으로 경사진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아암부(122b)의 선단은, 측방측을 향하여 절곡되고, 대체로 L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조작체(9)는, 1쌍의 제1 단자(5)[구금 핀부(51)]의 양방의 연장 돌출 방향을 포함한 평면과 평행한 절단면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하방측 부분보다 상방측 부분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조작체(9)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삼각형상을 가지고 있다. 조작체(9)는, 상단부에 배치된 선단부로 이루어지는 정상부(91)와, 이 정상부(91)에 대향하는 바닥면부(92)와, 정상부(91)를 사이에 두고 일방의 외형에 위치하여 설치된 제1 피가압부(93)와, 정상부(91)를 사이에 두고 제1 피가압부(93)와 다른 타방의 외형에 위치하여 설치된 제2 피가압부(94)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들 정상부(91), 제1 피가압부(93) 및 제2 피가압부(94)에 의해 조작체(9)의 조작부가 구성되어 있다.
바닥면부(92)의 중앙에는, 오목부(921)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921)는, 구동 부재(8)의 피가압부(822)를 수용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921)는, 구동 부재(8)와 맞닿는 맞닿음부이며, 구동 부재(8)의 피가압부(822)는, 이 맞닿음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피가압부(822)는, 돌출된 볼록부 형상이기 때문에, 오목부인 맞닿음부[오목부(921)]를 볼록부인 지지부[피가압부(822)]로 지지하게 되어, 높이 방향으로 스위치 장치(1)를 소형화할 수 있다. 조작체(9)의 하단부의 전면에는, 1쌍의 돌출부(922a, 922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922a, 922b)는, 각각 바닥면부(92)의 단부부터 오목부(921)의 단부까지의 길이에 대응한 치수를 가지고, 그 양단부에 원호 형상의 테이퍼면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작체(9)의 하단부의 후면에는, 1쌍의 돌출부(923a, 923b)가 설치되어 있다[도 1에 있어서 돌출부(923b)는 도시 생략, 도 7 참조]. 이들 돌출부(923a, 923b)는, 바닥면부(92)의 단부 근방에 배치되고, 각각 원기둥 형상의 축 형상을 가지고 있다.
캠체(10)(10a, 10b)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101)와, 이 기부(101)의 하단부에 설치된 걸어맞춤편(102)을 가지고 있다. 기부(101)의 상방측 부분에는, 가동 접점(7)(7a, 7b)을 가압 가능한 맞닿음부(1011)가 설치되어 있다. 기부(101)의 하단부의 전면 및 후면에는, 축부(10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부(101)의 하단부 근방의 측면에는, 가동 접점(7)(7a, 7b)에 형성된 개구부(721)와 걸어맞춰지는 돌출편(1013)이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편(102)은, 구동 부재(8)의 구동부(81)에 의한 가압을 받는 피가압부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기부(10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 돌출됨과 함께, 그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굴곡된 형상(대략 L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편(102)은, 개구부(721)를 통과 가능한 치수로 설치되어 있다. 걸어맞춤편(102)의 선단부는, 캠체(10)(10a, 10b)가 가동 접점(7)(7a, 7b)에 유지된 상태에서, 가동 접점(7)의 유지부(72)의 위치보다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외부 케이스(2)의 상면으로부터 제1 단자(5)[구금 핀부(51a, 51b)]가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제1 단자(5)는, 오목부(22a, 22b)에 플랜지 형상부(511)가 수용되고, 접속부(512)가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외부 케이스(2)의 개구부(23)로부터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조작체(9)가 유지되어 있다.
가압 조작을 받고 있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조작체(9)의 제1 피가압부(93) 및 제2 피가압부(94)는, 외부 케이스(2)의 평면 형상의 상면에 대하여, 각각 90도 미만의 각도를 가지는 제1 경사부(93a) 및 제2 경사부(94a)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유지된 상태에서 조작체(9)는, 조작부를 구성하는 정상부(91), 제1 피가압부(93) 및 제2 피가압부(94)로 가압 조작을 받아들일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체(9)의 유지에 기여하는 외부 케이스(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가 가지는 외부 케이스(2) 및 내부 케이스(3)의 측단면도이다. 도 3에 있어서는, 조작체(9)의 중앙을 통과하는 단면으로서, 스위치 장치(1)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을 본 경우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외부 케이스(2)에 있어서, 개구부(23)의 내측에는, 조작체(9)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 가능한 수용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26)를 규정하는 외부 케이스(2)의 내벽면(26a, 26b)은, 조작체(9)가 내부측으로 이동할 때의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수용부(26)의 상단부에는, 지지부를 구성하는 지지벽부(26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벽부(26c)는, 도 3에 나타내는 지면 바로 앞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벽부(26c)는, 수용부(26)의 반대측의 상단부에도 설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이들 지지벽부(26c)는, 조작체(9)의 돌출부(922)(922a, 922b) 및 돌출부(923)(923a, 923b)와 맞닿아 초기 위치에서의 조작체(9)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구동 부재(8)를 통하여 토션 스프링(12)의 가압력을 받은 조작체(9)는, 이들 지지벽부(26c)에 의해 초기 위치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외부 케이스(2)의 수용부(26)의 상단부에 설치한 지지벽부(26c)에 의해 조작체(9)를 초기 위치에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 케이스(2)로부터 조작체(9)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션 스프링(12)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조작체(9)를 초기 위치에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피조작 상태에서의 조작체(9)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의 측단면도이다. 도 4에 있어서는, 구금 핀부(51a, 51b)의 중심을 통과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2)의 내부에서는, 구동 부재(8)나 토션 스프링(12) 등의 구성 부품이 수용됨과 함께, 제1 단자(5)의 유지부(52) 및 제2 단자(6)가 장착된 내부 케이스(3)가 수용되어 있다. 내부 케이스(3)는, 외부 케이스(2)에 하방측으로부터 수용된 상태에서, 관통 구멍(21a, 21b)에 삽입된 구금 핀부(51a, 51b)에 하방측으로부터 고정 나사(11)로 고정시킴으로써, 외부 케이스(2)와 일체화되어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가 가지는 내부 케이스(3) 주변의 구성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스위치 장치(1)로부터 외부 케이스(2)를 떼어낸 상태에 상당한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단자(5)의 구금 핀부(51a)를 생략하고 있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내는 상태의 내부 케이스(3) 및 그 주변 부품의 상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3)에는, 구동 부재(8)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부재(8)는, 레버부(82)에 설치된 축부(821)가, 지지벽부(34)(34a, 34b)의 오목부(341)에 수용된 상태에서, 지지벽부(34)(34a, 34b)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341) 내에 수용된 축부(821)의 상방에는, 외부 케이스(2)의 하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돌출편이 배치된다(도 4 참조). 구동 부재(8)의 구동부(81)는, 통 형상부(32)의 수용부(321) 내에 수용되어 있다. 조작체(9)의 비조작 상태에서, 구동 부재(8)의 레버부(82)는, 전단부가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고, 피가압부(822)가 지지벽부(34)(34a, 34b)의 상단부보다 상방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레버부(82)의 하방측에는, 토션 스프링(12)(도 5, 도 6에 있어서 도시 생략)이 배치 설치되어 있다. 토션 스프링(12)은, 일방의 아암부(122a)가 오목부(331)의 표면에 걸어멈춰지고, 타방의 아암부(122b)가 레버부(82)의 하면에 걸어멈춰져 있다. 이에 따라, 구동 부재(8)에는, 축부(821)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레버부(82)를 상방측에 가압하는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레버부(82)의 피가압부(822)의 상방에는, 조작체(9)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체(9)는, 바닥면부(92)에 설치된 오목부(921)에서 피가압부(822)를 수용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구동 부재(8)에 작용하는 토션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체(9)에는 항상 상방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구동 부재(8)에 설치된 피가압 부재(822)로 조작체(9)에 설치된 오목부(921)를 직접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토션 스프링(12)의 가압력을 작용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조작체(9)를 복귀시킬 수 있어,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스페이스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체(9)는, 외부 케이스(2)의 수용부(26)에 수용되어, 그 이동 범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피가압부(822)로부터 탈락되는 일은 없다.
수용부(321)에 있어서, 구동 부재(8)의 구동부(81)의 측방측에는, 가동 접점(7) 및 캠체(10)(10a, 10b)가 배치되어 있다. 캠체(10)의 축부(1012)는, 지지부(322a~322d)(도 5에 있어서 도시 생략, 도 6 참조)의 하면에 설치된 오목부에 하방측으로부터 수용됨과 함께, 절연 커버(4)의 지지편(421a, 421b)(도 5에 있어서 도시 생략, 도 7 참조)으로 하방측으로부터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캠체(10)는, 수용부(321)의 내부에 있어서, 축부(1012)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7)은, 유지부(72)로 캠체(10)를 유지하고 있고, 캠체(10)와 일체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가동 접점(7)도, 캠체(10)와 마찬가지로,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1 단자(5)의 유지부(52)(52a, 52b)는, 평면부(521)가 벽부(31a, 31b)의 평면부(311a, 311b) 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 평면부(521)는, 개구부(521a)가 삽입 통과 구멍(313)(313a, 313b)에 대응함과 함께, 외측의 아암부(521b)가 슬릿(314)(314a, 314b)에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유지부(52)는, 수직면부(522)가 평면부(311a, 311b)의 후단부로부터 세워 설치된 벽부를 따르도록 배치된다. 수직면부(522)에 설치된 내측의 절곡부(522a)는, 수용부(321)를 규정하는 내벽면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외측의 절곡부(522a)는, 통 형상부(32)에 형성된 슬릿(325)에 삽입된다.
고정 나사(11)는, 내부 케이스(3)의 하방측으로부터 관통 구멍(313a, 313b)에 삽입되어, 유지부(52)의 개구부(521a)를 관통한다. 제1 단자(5)의 구금 핀부(51)는, 개구부(521a)로부터 돌출된 고정 나사(11)에 고정된다. 유지부(52)의 표면까지 고정된 상태에서, 구금 핀부(51)의 고정부(513)의 하면은, 유지부(52)의 도통편(521c)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구금 핀부(51)와 유지부(52)가 도통 상태가 된다.
제2 단자(6)는, 후방 단자부(62)가, 수용부(321)를 규정하는 내벽면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전방 단자부(61)가, 벽부(31)(31a, 31b)와 지지벽부(34a, 34b) 사이의 갭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방 단자부(61)의 전단부는, 원반 형상부(33)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슬릿을 통하여 원반 형상부(33)의 하방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절연 커버(4)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부(43)에 형성된 개구부(431)에서, 통 형상부(32)의 외면에 설치된 돌출편(324)을 수용함으로써 통 형상부(32)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 절연 커버(4)의 지지편(421a, 421b)의 상단이, 캠체(10)의 축부(1012)를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도 5, 도 6에 도시 생략, 도 7 참조).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조작체(9)가 수용되는 수용부(26)가 1쌍의 제1 단자(5)[구금 핀부(51)]의 양방의 연장 돌출 방향을 포함한 평면을 사이에 둔 일방의 영역에 배치되고, 가동 접점(7)이 타방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하우징[내부 케이스(3)]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각 구성 부재를 무리없이 하우징 내에 수용함과 함께, 구성 부재를 장착할 때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구동 부재(8)를 1쌍의 제1 단자(5)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스페이스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체(9)를 1쌍의 제1 단자(5) 사이와는 다른 영역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1)가 장착되는 형광등 기구의 소켓의 중앙부에 패임이 있었다고 해도, 조작체(9)에서 하우징 내로 가압 조작을 받아들일 수 있다.
다음으로, 구동 부재(8)와 가동 접점(7) 사이의 위치 관계, 가동 접점(7)과 제1 단자(5) 및 제2 단자(6)와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스위치 장치(1) 내의 구성 부품간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7에 있어서는, 스위치 장치(1) 내의 구성 부품간의 위치 관계를 후방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a), 도 8(b)에 있어서는, 각각 스위치 장치(1) 내의 구성 부품간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후면도, 측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있어서는, 조작체(9)가 비조작 상태인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8(b)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단자(5) 및 제2 단자(6)를 생략하고 있다.
조작체(9)가 비조작 상태에서, 구동 부재(8)는, 토션 스프링(12)의 가압력을 받고, 후방측에 배치되는 구동부(81)의 일단이 절연 커버(4)의 근방에 배치되고, 전방측에 배치되는 피가압부(822)측의 타단이 상방측으로 연장 돌출된 상태가 되어 있다[도 8(b) 참조]. 이 상태에서, 구동부(81)는, 하단부가 캠체(10)(10a, 10b)의 걸어맞춤편(102)에 맞닿아, 밀어 내리고 있다. 이에 따라, 캠체(10)에는, 축부(1012)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기부(101) 전체를 내측[도 8(a)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가동 접점(7)은, 맞닿음부(1011)와 함께 접점부(73)가 내측으로 회전 운동하여 위치되고, 원호 형상의 기부(71)의 하면부가 구동부(81)의 상면에 재치(載置)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 구동 부재(8)의 구동부(81)의 상면에 설치된 판 형상부(811)는, 쌍방의 가동 접점(7)의 기부(71)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의 접촉을 방지하고 있다. 제1 가동 접점부(731)는, 제1 단자(5)의 절곡부(522a)로 구성되는 제1 접점부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가동 접점부(732)는, 제2 단자(6)의 직사각형상부(621)로 구성되는 제2 접점부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구동부(81)가 걸어맞춤편(102)을 밀어 내리고 있는 상태에서, 이들 제1 가동 접점부(731), 제2 가동 접점부(732)는, 각각 제1 단자(5)의 제1 접점부, 제2 단자(6)의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도 7,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가동 접점(7)을, 제1 단자(5) 및 제2 단자(6)와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동 접점(7)의 접점부(73)와, 제1 단자(5)에 도통하여 일체로 설치되는 제1 접점부 및 제2 단자(6)에 도통하여 일체로 설치되는 제2 접점부 사이의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절연성을 높여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스위치 장치(1) 내의 구성 부품간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내부 케이스(3)에 각 구성 부품이 장착된 상태에서, 제1 접점부를 구성하는 유지부(52)의 내측의 절곡부(522a)는, 제2 접점부를 구성하는 제2 단자(6)의 직사각형상부(621)보다 내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접점부에 대향 배치되는 제1 가동 접점부(731)와, 제2 접점부에 대향 배치되는 제2 가동 접점부(732)의 통전용 접점부(732a)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가동 접점부(732)의 보조 접점부(732b)는, 통전용 접점부(732a)보다 외측의 위치(즉, 제2 접점부 근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축부(1012)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캠체(10)가 회전 운동하면, 가동 접점(7)의 접점부(73)에 있어서는, 먼저, 제1 가동 접점부(731)가 제1 접점부[절곡부(522a)]에 접촉한다. 그리고, 보조 접점부(732b)가 제2 접점부[직사각형상부(621)]에 접촉한 후, 통전용 접점부(732a)가 제2 접점부[직사각형상부(621)]에 접촉한다. 이와 같이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를,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로 구성되는 고정 접점에 대한 가동 접점(7)의 접촉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아크 방전의 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다.
즉, 보조 접점부(732b)를 설치하지 않고, 제2 가동 접점부(732) 전체를 제2 접점부에 접촉시키면, 접촉시에 제2 가동 접점부(732)와 제2 접점부 사이에서 아크 방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아크 방전의 발생에 의해 제2 가동 접점부(732) 전체가 제2 접점부에 용착되는 등의 악영향을 받는 것이 상정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보조 접점부(732b)를 설치하고, 단계적으로 제2 가동 접점부(732)를 제2 접점부에 접촉시키는 경우에는, 가령 보조 접점부(732b)에 대하여 아크 방전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통전용 접점부(732a)에 대한 아크 방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아크 방전에 따라 용착 등의 사태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그 악영향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가지는 스위치 장치(1)가 장착된 직관형 LED 램프를 형광등 기구(제1종 형광등 기구 및 제2종 형광등 기구)에 대하여 장착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서술한 제1종 형광등 기구에 스위치 장치(1)가 장착된 직관형 LED 램프를 장착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직관형 LED 램프의 일단에 장착되는 스위치 장치(1)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직관형 LED 램프의 양단에 장착된 스위치 장치(1)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여기서, 직관형 LED 램프(L)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적어도 후술하는 발광면측이 투광성을 가지는 절연성의 수지 재료로 통 형상으로 성형된 램프 본체(LA)를 구비하고 있다. 스위치 장치(1)는, 이 램프 본체(LA)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장치(1)는, 조작체(9)가 돌출되는 위치가 동일 위치에 배치되도록 램프 본체(LA)에 장착된다. 램프 본체(LA) 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길이가 긴 기판이 수납되어 있다. 이 기판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LED가 실장됨과 함께, 이들 LED에 접속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회로가 실장되어 있다. 구동 회로는, 예를 들어, 스위치 장치(1)의 제1 단자(5)를 통하여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로 구성된다. 직관형 LED 램프(L)가 스위치 장치(1)를 통하여 형광등 기구에 장착되면, 제1 단자(5)를 통하여 인가된 교류 전압이 AC/DC 컨버터에 의해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LED에 공급된다. LED는, 이와 같이 AC/DC 컨버터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압에 의해 발광한다.
또한, 직관형 LED 램프(L)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램프 본체(LA) 내에 수납되는 기판의 일면에 복수의 LED가 실장되고, 타면에 LED 이외의 구성 부품(예를 들어, AC/DC 컨버터)이 실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램프 본체(LA)의 주면(周面)에 있어서는, LED가 실장된 기판의 일면에 대응하는 부분이 발광면(L1)을 구성하고, LED 이외의 구성 부품이 실장된 기판의 타면에 대응하는 부분이 비발광면(L2)을 구성한다. 이 비발광면(L2)에 대응하는 램프 본체(LA)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방열판 등의 구성 부품이 배치 설치된다. 또한, 비발광면(L2)측의 램프 본체(LA)를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는 금속 케이스로 형성함과 함께, 발광면(L1)측의 램프 본체(LA)를 투광성이 있는 수지 케이스로 형성하고, 금속 케이스와 수지 케이스를 일체화시켜, 통 형상의 램프 본체(LA)를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금속 케이스를 방열판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도 11은, 제1종 형광등 기구(A)에 장착되기 직전의 스위치 장치(1)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는, 직관형 LED 램프(L)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1종 형광등 기구(A)에 있어서는, 스위치 장치(1)가 장착되는 소켓(A1)을 가지고, 이 소켓(A1)의 장착면에 형성된 원 형상의 오목부(A2)에 1쌍의 구금 핀 삽입 구멍(A3)이 형성되어 있다. 1쌍의 구금 핀 삽입 구멍(A3)의 내부에는, 제1 단자(5)의 구금 핀부(51)(51a, 51b)와 도통되는 피접속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장치(1)를 장착할 때에는, 이들 구금 핀 삽입 구멍(A3)에 대하여, 1쌍의 제1 단자(5)의 구금 핀부(51)의 위치 맞춤을 행한 후에 삽입하고, 구금 핀부(51)의 접속부(512)를 피접속 단자와 접속시킨다.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이 삽입 동작에 따라, 조작체(9)의 정상부(91)가 소켓(A1)의 장착면[오목부(A2)]에 맞닿고, 외부 케이스(2)[수용부(26)]의 내부에 가압된다. 이 경우, 조작체(9)는, 수용부(26)의 내벽면(26a, 26b)에 의해 하방측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수용부(26)에 설치한 안내부인 내벽면(26a, 26b)으로 조작체(9)를 안내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삽입 동작에 따른 가압 조작에 따라 원활하게 조작체(9)를 수용부(26)에 수용시킬 수 있다.
도 12는, 제1종 형광등 기구(A)에 장착된 경우의 스위치 장치(1) 내의 구성 부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7에 나타내는 구성 부품만을 나타내고 있다. 조작체(9)가 외부 케이스(2)[수용부(26)]의 내부에 가압되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9)가 재치된 레버부(82)의 피가압부(822)가 하방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에 따라, 구동 부재(8)에 있어서는, 레버부(82)가 토션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려 내려가고, 축부(821)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한다.
이러한 구동 부재(8)의 회전 운동에 따라, 구동부(81)는, 가동 접점(7)의 기부(71)(돌출부)를 넓히면서 상방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가동 접점(7)은, 유지하고 있는 캠체(10)의 축부(1012)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한다. 그리고, 기부(71)가 구동부(81)의 상면부에서 측면부로 이행한 시점에서, 가동 접점(7)의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는,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도 12에 나타내는 상태). 기부(71)가 구동부(81)의 측면부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 가동 접점(7)은 내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가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함으로써, 제1 단자(5)와 제2 단자(6)가 도통 상태가 되어, 직관형 LED 램프 내에 실장된 구동 회로(AC/DC 컨버터)로의 통전이 가능하게 되는 온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제1종 형광등 기구(A)로부터 스위치 장치(1)를 떼어내면, 조작체(9)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되기 때문에, 구동 부재(8)에 있어서는, 토션 스프링(12)의 가압력에 따라 레버부(82)의 피가압부(822)가 밀려 올라가고, 축부(821)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한다. 이러한 구동 부재(8)의 회전 운동에 따라, 구동부(81)는, 절연 커버(4) 근방까지 하방측으로 이동한다(도 7에 나타내는 상태). 도 7에 나타내는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구동부(81)는, 캠체(10)의 걸어맞춤편(102)에 맞닿아 밀어 내린다. 걸어맞춤편(102)의 하방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가동 접점(7)은, 캠체(10)의 축부(1012)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한다. 이에 따라, 캠체(10)의 맞닿음부(1011)는, 가동 접점(7)의 접점부(73)를 내측으로 가압한다. 구동부(81)의 측면부에 의한 가동 접점(7)의 내측으로의 이동의 제한이 해제되면, 가동 접점(7)이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가동 접점(7)의 이동에 따라,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는,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된 상태가 된다.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가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됨으로써, 제1 단자(5)와 제2 단자(6)가 비도통 상태가 되어, 직관형 LED 램프 내에 실장된 구동 회로로의 통전이 행하여지지 않는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조작체(9)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되면, 구동 부재(8)의 초기 상태(도 7에 나타내는 상태)로의 복귀에 따라, 캠체(10)의 맞닿음부(1011)로 접점부(73)를 내측으로 되돌리도록(가압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령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의 일방 또는 쌍방이, 제1 단자(5)의 제1 접점부 및 제2 단자(6)의 제2 접점부의 일방 또는 쌍방에 용착된 경우에 있어서도, 맞닿음부(1011)의 가압력에 의해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를 떼어 놓을 수 있다. 이 결과, 조작체(9)에 대한 가압 조작의 상태에 따라 제1 단자(5)와 제2 단자(6)의 도통 상태를 적절히 전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캠체(10)를, 가동 접점(7)의 접점부(73)와 제1 접점부[제1 단자(5)] 및 제2 접점부[제2 단자(6)] 사이에 배치하고, 구동 부재(8)에 의해 걸어맞춤편(102)이 가압된 상태에서, 가동 접점(7)의 접점부(73)를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조작체(9)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에 따라, 구동 부재(8)에 의해 걸어맞춤편(102)이 가압되면, 가동 접점(7)의 접점부(73)가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가령 접점부끼리가 용착된 경우에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이들을 이간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제2종 형광등 기구에 스위치 장치(1)가 장착된 직관형 LED 램프(L)를 장착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2종 형광등 기구(B)에 장착되기 직전의 스위치 장치(1)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종 형광등 기구(B)에 있어서는, 스위치 장치(1)가 장착되는 소켓(B1)을 가지고, 이 소켓(B1)의 장착면에 상하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홈부(B2)와, 이 제1 홈부(B2)의 도 13(a)에 있어서의 하단부 근방에 원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홈부(B3)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홈부(B3)의 내부에는, 제1 단자(5)의 구금 핀부(51)(51a, 51b)와 도통되는 피접속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스위치 장치(1)를 장착할 때에는, 제1 홈부(B2)의 연장 방향을 따르도록 1쌍의 제1 단자(5)의 구금 핀부(51)의 접속부(512)의 위치 맞춤을 행하고, 제1 홈부(B2)를 따라 1쌍의 구금 핀부(51)[접속부(512)]를 삽입한다. 그리고, 제1 홈부(B2)의 하단부에 하방측의 구금 핀부(51)를 도달시킨 후, 제2 홈부(B3)를 따라 스위치 장치(1)를 회전시키고, 구금 핀부(51)의 접속부(512)를 피접속 단자와 접속시킨다.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제1 홈부(B2)에 대한 삽입 동작에 따라, 조작체(9)의 제2 피가압부(94)[제1 피가압부(93)]가 소켓(B1)의 장착면에 맞닿는다. 이에 따라, 조작체(9)는, 경동 동작함과 함께, 외부 케이스(2)[수용부(26)]의 내부로 밀려 들어간다. 이 경우, 조작체(9)는, 수용부(26)의 내벽면(26a, 26b)에 의해 하방측[수용부(26)의 안쪽]으로 안내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1)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9)가 램프 본체의 비발광면측(L2측)의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LED 램프[스위치 장치(1)]의 소켓(B1)으로의 장착 완료 후에 있어서, 조작체(9)의 조작부가 제1 홈부(B2)에 파고 들어가는 일은 없다. 즉, 1쌍의 구금 핀부(51)를 제1 홈부(B2)를 따라 안까지 삽입시켰을 때에는, 조작체(9)는 도 13(a)에 있어서, 화살표(P1)로 나타내는 부분에 맞닿아 있다. 그리고, 제2 홈부(B3)를 따라 LED 램프[스위치 장치(1)]를 90도 회전시킨 장착 완료 상태에서는, 조작체(9)는 동 도면에 있어서의 화살표(P2)로 나타내는 부분에서 소켓(B1)에 맞닿는 것으로 되어 있어, 밀려 들어간 조작체(9)가 되돌아가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조작체(9)에, 제1 단자(5)[구금 핀부(51)]의 돌출 방향에 관한 상반되는 일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는 제1 피가압부(93)와, 타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는 제2 피가압부(94)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이들에 대한 가압 조작에 따라, 조작체(9)를 경동 동작시킴과 함께 수용부(26) 내에 밀어 넣을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조작체(9)가 1쌍의 제1 단자(5)[구금 핀부(51)]의 양방의 돌출 방향을 포함한 평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종 형광등 기구에 대하여 용이하게 직관형 LED 램프(L)를 장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4는, 제2종 형광등 기구(B)에 장착된 경우의 스위치 장치(1) 내의 구성 부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4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7에 나타내는 구성 부품만을 나타내고 있다. 조작체(9)가 외부 케이스(2)[수용부(26)]의 내부에 가압되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9)가 재치된 레버부(82)의 피가압부(822)가 하방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에 따라, 구동 부재(8)에 있어서는, 레버부(82)가 토션 스프링(1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려 내려가고, 축부(821)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한다.
이러한 구동 부재(8)의 회전 운동에 따라, 구동부(81)는, 가동 접점(7)의 기부(71)(돌출부)를 넓히면서 상방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가동 접점(7)은, 유지하고 있는 캠체(10)의 축부(1012)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한다. 그리고, 기부(71)가 구동부(81)의 상면부에서 측면부로 이행한 시점에서,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는,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도 14에 나타내는 상태). 기부(71)가 구동부(81)의 측면부에 접촉하고 있는 경우, 가동 접점(7)은 내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가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함으로써, 제1 단자(5)와 제2 단자(6)가 도통 상태가 되어, 직관형 LED 램프 내에 실장된 구동 회로로의 통전이 가능하게 되는 온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내는 상태로 조작체(9)가 이행할 때에는, 측방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조작체(9)가 경동 동작하여 제1 피가압부(93) 또는 제2 피가압부(94)의 일방이 수용부(26) 내의 안내부인 내벽면(26a) 또는 내벽면(26b)에 맞닿고, 그 후에 수용부(26)의 내부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와 같이 경동 동작을 행한 후에 수용부(26) 내로 밀려 들어가는 동작에 대응하도록,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경동 동작에 따라 제1 피가압부(93)[제1 경사부(93a)]와 제2 피가압부(94)[제2 경사부(94a)] 중 어느 일방의 피가압부(경사부)가 수용부(26)의 내벽면(26a) 또는 내벽면(26b)에 맞닿은 상태에서, 타방의 피가압부(경사부)가 개구부(23)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동 동작 후의 밀어 넣는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제1 단자(5)와 제2 단자(6)의 도통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종 형광등 기구(B)로부터 스위치 장치(1)를 떼어내면, 조작체(9)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되기 때문에, 구동 부재(8)에 있어서는, 토션 스프링(12)의 가압력에 따라 레버부(82)의 피가압부(822)가 밀려 올라가고, 축부(821)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한다. 이러한 구동 부재(8)의 회전 운동에 따라, 구동부(81)는, 절연 커버(4) 근방까지 하방측으로 이동한다(도 7에 나타내는 상태). 도 7에 나타내는 상태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구동부(81)는, 캠체(10)의 걸어맞춤편(102)에 맞닿아 밀어 내린다. 걸어맞춤편(102)의 하방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가동 접점(7)은, 캠체(10)의 축부(1012)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한다. 이에 따라, 캠체(10)의 맞닿음부(1011)는, 가동 접점(7)의 접점부(73)를 내측으로 가압한다. 구동부(81)의 측면부에 의한 가동 접점(7)의 내측으로의 이동의 제한이 해제되면, 가동 접점(7)이 내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 가동 접점(7)의 이동에 따라,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는,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된 상태가 된다.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가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됨으로써, 제1 단자(5)와 제2 단자(6)가 비도통 상태가 되어, 직관형 LED 램프 내에 실장된 구동 회로로의 통전이 행하여지지 않는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제2종 형광등 기구(B)로부터 스위치 장치(1)를 떼어내는 경우에 있어서도, 구동 부재(8)의 초기 상태(도 7에 나타내는 상태)로의 복귀에 따라, 캠체(10)의 맞닿음부(1011)로 접점부(73)를 내측으로 되돌리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접점부 사이에 용착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맞닿음부(1011)의 가압력에 의해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를 떼어 놓을 수 있고, 제1 단자(5)와 제2 단자(6)의 도통 상태를 적절히 전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하우징[외부 케이스(2)] 내로의 가압 조작뿐만 아니라, 제1 단자(5)[구금 핀부(51)]의 돌출 방향에 관해 상반되는 일방측 또는 타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조작체(9)가 경동 동작하고, 조작체(9)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제1 단자(5)와 제2 단자(6)가 도통된다. 이에 따라, 직관형 형광등의 일단측의 단자를 일방의 소켓에 꽂은 후, 타단측의 단자를 타방의 소켓에 꽂는 형태의 형광등 기구뿐만 아니라, 직관형 형광등의 양단의 단자를 동시에 소켓에 장착하는 형태의 형광등 기구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체(9)를 수용부(26) 내에 수용시켜, 제1 단자(5)와 제2 단자(6)를 도통시킬 수 있으므로, 어느 형태의 형광등 기구에 대해서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조작체(9)가, 제1 단자(5)의 돌출 방향에 관해 상반되는 일방측과 타방측의 양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경동 동작하기 때문에, 형광등 기구에 대한 장착하는 방향의 제한을 없앨 수 있으므로, 형광등 기구에 대한 직관형 LED 램프의 장착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100)에 있어서는, 캠체(10)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점, 그리고, 제2 가동 접점부(732)가 분할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와 상이하다. 이하, 스위치 장치(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내는 스위치 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와 공통의 기능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스위치 장치(100)는, 장치 본체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외부 케이스(20), 내부 케이스(30) 및 절연 커버(40)와, 내부 케이스(30)에 장착되는 제1 단자(50) 및 제2 단자(60)를 구비하고, 내부 케이스(30)에 외부 케이스(20)를 맞붙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가동 접점(70), 구동 부재(80), 조작체(90), 고정 나사(110) 및 토션 스프링(120)을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스위치 장치(100)의 구성 부품은,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가 구비하는 구성 부품과 실질적으로 동등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스위치 장치(100)에 있어서는, 캠체(10)를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캠체(10)를 회전 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내부 케이스(30) 및 절연 커버(40)나, 캠체(10)를 유지하는 가동 접점(70)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내부 케이스(3), 절연 커버(4) 및 가동 접점(7)과 상이하다. 또한, 제2 가동 접점부(732)가 분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동 접점(70)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가동 접점(7)과 상이하다.
예를 들어, 내부 케이스(30)에 있어서는, 통 형상부(32)에 형성된 수용부(321)의 내벽에 지지부(322a~322d)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내부 케이스(3)와 상이하다. 또한, 내부 케이스(30)에 있어서는, 수용부(321)에 바닥면부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내부 케이스(3)와 상이하다. 절연 커버(40)에 있어서는, 삽입부(42) 및 지지편(421a, 421b)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절연 커버(4)와 상이하다.
가동 접점(70)에 있어서는, 기부(71)의 하단부에 유지부(72)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가동 접점(7)과 상이하다. 가동 접점(70)에 있어서는, 기부(71)의 하단부에 고정부(74)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74)는, 내부 케이스(30)의 수용부(321)의 바닥면부에 형성된 슬릿부에 삽입(압입)된다. 또한, 가동 접점(70)에 있어서는, 제2 가동 접점부(732)에 통전용 접점부(732a) 및 보조 접점부(732b)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가동 접점(7)과 상이하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가지는 스위치 장치(100)가 장착된 직관형 LED 램프를 형광등 기구(제1종 형광등 기구 및 제2종 형광등 기구)에 대하여 장착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서술한 제1종 형광등 기구에 스위치 장치(100)가 장착된 직관형 LED 램프를 장착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스위치 장치(100) 내의 구성 부품간의 위치 관계를 후방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는, 조작체(90)가 비조작 상태인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외부 케이스(20), 내부 케이스(30) 및 제1 단자(50)의 구금 핀부(51)를 생략하고 있다.
조작체(90)가 비조작 상태에서, 구동 부재(80)는, 토션 스프링(120)의 가압력을 받고, 후방측에 배치되는 구동부(81)의 일단이 절연 커버(40)의 근방에 배치되고, 전방측에 배치되는 피가압부(822)측의 타단이 상방측으로 연장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구동부(81)는, 가동 접점(70)의 원호 형상의 기부(71)의 하방측에 배치되어, 이들과 비맞닿음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가동 접점(70)은,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고, 제2 단자(60)의 후방 단자부(62)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접점부(73)를 구성하는 제1 가동 접점부(731), 제2 가동 접점부(732)는, 각각 제1 단자(50)의 제1 접점부, 제2 단자(60)의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된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7은, 제1종 형광등 기구(A)에 장착된 경우의 스위치 장치(100) 내의 구성 부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7에 있어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구성 부품만을 나타내고 있다. 조작체(90)가 외부 케이스(20)[수용부(26)]의 내부에 가압되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90)가 재치된 레버부(82)의 피가압부(822)가 하방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에 따라, 구동 부재(80)에 있어서는, 레버부(82)가 토션 스프링(12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려 내려가고, 축부(821)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한다.
이러한 구동 부재(80)의 회전 운동에 따라, 구동부(81)는, 가동 접점(70)의 기부(71)를 넓히면서 상방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가동 접점(70)은, 내부 케이스(30)에 고정된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기부(71) 및 접점부(73)가 외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기부(71)가 구동부(81)의 측면부에 배치된 시점에서, 가동 접점(70)의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는,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도 17에 나타내는 상태).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가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함으로써, 제1 단자(50)와 제2 단자(60)가 도통 상태가 되어, 직관형 LED 램프 내에 실장된 구동 회로(AC/DC 컨버터)로의 통전이 가능하게 되는 온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제1종 형광등 기구(A)로부터 스위치 장치(100)를 떼어내면, 조작체(90)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되기 때문에, 구동 부재(80)에 있어서는, 토션 스프링(120)의 가압력에 따라 레버부(82)의 피가압부(822)가 밀려 올라가고, 축부(821)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한다. 이러한 구동 부재(80)의 회전 운동에 따라, 구동부(81)는, 절연 커버(40) 근방까지 하방측으로 이동한다(도 16에 나타내는 상태). 이 경우, 가동 접점(70)은, 자체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고,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가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된 상태가 된다.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가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됨으로써, 제1 단자(50)와 제2 단자(60)가 비도통 상태가 되어, 직관형 LED 램프 내에 실장된 구동 회로로의 통전이 행하여지지 않는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도 18은, 제2종 형광등 기구(B)에 장착된 경우의 스위치 장치(100) 내의 구성 부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는, 도 16에 나타내는 구성 부품만을 나타내고 있다. 조작체(90)가 경동하여 외부 케이스(20)[수용부(26)]의 내부에 가압되면,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90)가 재치된 레버부(82)의 피가압부(822)가 하방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에 따라, 구동 부재(80)에 있어서는, 레버부(82)가 토션 스프링(12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려 내려가고, 축부(821)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한다.
이러한 구동 부재(80)의 회전 운동에 따라, 구동부(81)는, 가동 접점(70)의 기부(71)를 넓히면서 상방측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가동 접점(70)은, 내부 케이스(30)에 고정된 기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기부(71) 및 접점부(73)가 외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기부(71)가 구동부(81)의 측면부에 배치된 시점에서, 가동 접점(70)의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는,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도 18에 나타내는 상태).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가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함으로써, 제1 단자(50)와 제2 단자(60)가 도통 상태가 되어, 직관형 LED 램프 내에 실장된 구동 회로(AC/DC 컨버터)로의 통전이 가능하게 되는 온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제2종 형광등 기구(B)로부터 스위치 장치(100)를 떼어내면, 조작체(90)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되기 때문에, 구동 부재(80)에 있어서는, 토션 스프링(120)의 가압력에 따라 레버부(82)의 피가압부(822)가 밀려 올라가고, 축부(821)를 회전 운동 지지점으로 하여 회전 운동한다. 이러한 구동 부재(80)의 회전 운동에 따라, 구동부(81)는, 절연 커버(40) 근방까지 하방측으로 이동한다(도 16에 나타내는 상태). 이 경우, 가동 접점(70)은, 자체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고,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가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된 상태가 된다. 제1 가동 접점부(731) 및 제2 가동 접점부(732)가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됨으로써, 제1 단자(50)와 제2 단자(60)가 비도통 상태가 되어, 직관형 LED 램프 내에 실장된 구동 회로로의 통전이 행하여지지 않는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00)에 있어서는, 하우징[외부 케이스(20)] 내로의 가압 조작뿐만 아니라, 제1 단자(50)의 돌출 방향에 관해 상반되는 일방측 또는 타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조작체(90)가 경동 동작하고, 조작체(90)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제1 단자(50)와 제2 단자(60)가 도통된다. 이에 따라, 직관형 형광등의 일단측의 단자를 일방의 소켓에 꽂은 후, 타단측의 단자를 타방의 소켓에 꽂는 형태의 형광등 기구뿐만 아니라, 직관형 형광등의 양단의 단자를 동시에 소켓에 장착하는 형태의 형광등 기구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체(90)를 수용부(26) 내에 수용시켜, 제1 단자(50)와 제2 단자(60)를 도통시킬 수 있으므로, 어느 형태의 형광등 기구에 대해서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형태)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200)는, 주로 제2 단자(240), 구동 부재(250) 및 가동 접점 유닛(260)의 구성이 다른 점에서,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와 상이하다. 이하,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200)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20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9에 나타내는 좌상방측을 「스위치 장치(200)의 후방측」 또는 간단히 「후방측」이라고 부르고, 도 19에 나타내는 우하방측을 「스위치 장치(200)의 전방측」 또는 간단히 「전방측」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200)는, 장치 본체의 하우징을 구성하는 외부 케이스(210) 및 내부 케이스(220)와, 내부 케이스(220)에 장착되는 제1 단자(230) 및 제2 단자(240)를 구비하고, 내부 케이스(220)에 외부 케이스(210)를 조립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가동 접점 유닛(260)이 장착된 구동 부재(250) 및 조작체(270) 등의 구성 부품을 수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을 구성하는 외부 케이스(210) 및 내부 케이스(220), 그리고,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구동 부재(250) 및 조작체(270)는, 예를 들어, 절연성의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이하, 스위치 장치(200)가 가지는 각 구성 부품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부 케이스(210)는, 그 외관 및 개구부(23) 내에 형성되는 수용부(26)(도 19에 도시 생략, 도 20 참조)에 대해,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의 외부 케이스(2)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외부 케이스(210)는, 그 하면측(상면부의 이면)의 구성이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와 상이하다. 도 20은, 외부 케이스(210)를 경사진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210)의 하면으로서, 그 중앙부에는, 길이 방향의 변이 외부 케이스(21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면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직사각형상을 가지는 수용부(211)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211)를 규정하는 벽면부에는, 직사각형상의 컷아웃부(211a, 211b, 211c, 211d, 211e)가 설치되어 있다. 1쌍의 컷아웃부(211a, 211b)에는, 후술하는 제1 단자(230)에 있어서의 접점부(231)(231a, 231b)의 띠 형상 단자부(233)의 상단부측이 삽입된다. 수용부(211)의 외측이며, 컷아웃부(211c)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외부 케이스(21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소정 깊이를 가지는 홈부(2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211)의 외측이며, 컷아웃부(211d)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외부 케이스(210)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측을 향하여 소정 깊이를 가지는 홈부(21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홈부(212, 213)에는, 후술하는 제2 단자(240)의 선단부(241)가 삽입된다. 컷아웃부(211e)에는, 후술하는 구동 부재(250)의 판 형상부(253)의 후방측의 상단부가 삽입된다.
수용부(211) 내에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핀(214)이 설치되어 있다. 핀(214)은, 수용부(211)의 천정면을 구성하는 외부 케이스(21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핀(214)은, 후술하는 구동 부재(250)에 있어서의 개구부(251c) 및 삽입 통과 구멍(251h)에 삽입 통과되어,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280)의 상방측에 삽입된다.
외부 케이스(210)가 가지는 통 형상 외주면의 내벽면측이며, 스위치 장치(200)의 전방측의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홈부(2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21a, 21b)의 측방에는, 외부 케이스(210)의 통 형상 외주면의 내벽면을 따라, 1쌍의 오목부(216, 217)가 설치되어 있다. 1쌍의 오목부(216, 217)는, 통 형상 외주면의 표면에 오목부(24a, 24b)를 설치함으로써 외부 케이스(210)의 하면에 형성되는 측벽과, 통 형상 외주면의 내벽면으로 형성된다.
내부 케이스(220)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원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내부 케이스(220)의 외경은, 외부 케이스(210)의 원주 형상에 대응하는 치수로 설계되어 있다. 내부 케이스(220)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1쌍의 벽부(221)(221a, 221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벽부(221a, 221b)는, 스위치 장치(200)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간되어 병설되어 있다. 이들 벽부(221a, 221b)보다 후방측 부분에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상자 형상부(222)가 설치되고, 전방측 부분에는, 벽부(221)의 하방측 부분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대체로 반원호 형상을 가지는 원반 형상부(223)가 설치되어 있다.
벽부(221a)의 상면에는, 평면부(221c)가 설치되어 있다. 평면부(221c)는, 대체로 부채 형상을 가짐과 함께, 원호 형상의 외주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21e)를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벽부(221b)의 상면에도, 대체로 부채 형상을 가짐과 함께, 원호 형상의 외주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21f)를 가지는 평면부(221d)가 설치되어 있다. 외부 케이스(210)에 내부 케이스(2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이들 돌출부(221e, 221f)는, 외부 케이스(210)의 하면에 설치된 오목부(216, 217)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평면부(221c, 221d)의 중앙 근방에는, 고정 나사(11)가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221g, 221h)이 형성되어 있다.
상자 형상부(222)에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직사각형상을 가지는 수용부(222a)가 설치되어 있다(도 23 참조). 수용부(222a)는, 상자 형상부(222) 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수용부(222a)에는, 상세에 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부재(250)의 피가이드부(252)의 일부가 수용된다. 또한, 상자 형상부(222)를 규정하는 내벽면 중, 대향하는 1쌍의 내벽면의 하단부 근방에는, 소정 깊이의 슬릿(222b, 222c)이 설치되어 있다[도 19에 있어서 슬릿(222b)은 도시 생략, 도 23 참조]. 이들 슬릿(222b, 222c)에는, 후술하는 제1 단자(230)의 접점부(231a, 231b)의 일부가 삽입된다.
원반 형상부(223)는, 1쌍의 평면부(223a, 223b)와, 이들 평면부(223a, 223b) 사이에 위치하는 평면부(223c)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부(223a, 223b)의 상면은 동일 평면 상에 있고, 평면부(223c)의 상면은 그것보다 하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1쌍의 평면부(223a, 223b)는, 대체로 부채 형상을 가지고 있고, 그 소정 위치에는, 1쌍의 관통 구멍(223d, 223e)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223d, 223e)은,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의 고착 부재에 의해 스위치 장치(200)를 램프 본체에 고정할 때에 이용된다. 평면부(223c)에는, 상자 형상부(222)와의 경계 근방이며, 1쌍의 벽부(221a, 221b)로부터 중간의 위치에, 핀(224)이 설치되어 있다.
핀(224)은, 평면부(223c)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핀(224)은,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280)의 하단부를 지지하여, 그 움직임을 규제한다. 또한, 핀(224)의 주위에는, 원형의 오목부(224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224a)의 외경은, 핀(224)의 외경보다 약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목부(224a)의 내부에서는, 핀(224)의 주위에 바닥벽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바닥벽부에는,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280)의 하단부가 맞닿는다.
또한, 평면부(223a)와 평면부(223c)의 경계 근방, 그리고, 평면부(223b)와 평면부(223c)의 경계 근방에는, 각각 각기둥부(223f, 223g)가 설치되어 있다. 각기둥부(223f)와 평면부(223c) 사이에는, 슬릿(223h)이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각기둥부(223g)와 평면부(223c) 사이에는, 슬릿(223i)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223h, 223i)에는, 후술하는 제2 단자(240)의 일부가 삽입된다(도 23 참조).
평면부(223c)의 전방측에는, 후술하는 구동 부재(250)의 피가이드부(254)를 수용하는 오목부(2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225)는, 하방측으로 연장 돌출되고, 슬릿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반 형상부(223)의 전단부에는, 그 측면으로부터 약간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226)이 설치되어 있다. 외부 케이스(210)에 내부 케이스(220)가 장착된 상태에서, 돌출편(226)은, 외부 케이스(210)의 홈부(215) 내에 배치된다.
제1 단자(230)는, 각각 1쌍의 구금 핀부(51)(51a, 51b)와, 접점부(231)(231a, 231b)를 가진다. 구금 핀부(51)는,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의 구금 핀부와 대략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접점부(231)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판재에 타발 가공 및 절곡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접점부(231)는, 대체로 원 형상을 가지는 평면부(232)와, 이 평면부(232)로부터 하방측으로 수직으로 절곡 형성된 띠 형상 단자부(233)를 가진다. 평면부(232)의 중앙에는, 원 형상의 개구부(232a)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단자(240)(240a, 240b)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판재에 타발 가공 및 절곡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제2 단자(240)(240a, 240b)는, 평행하게 배치되는 선단부(241)와 띠 형상 단자부(242)와,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243)를 가진다. 선단부(241)와 띠 형상 단자부(242)는, 스위치 장치(200)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연결부(243)는, 선단부(241) 및 띠 형상 단자부(242)와 직교하여 배치된다. 선단부(241)는, 연결부(243)의 일단부이며, 그 외측 부분의 상면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띠 형상 단자부(242)는, 연결부(243)의 타단부이며, 그 내측 부분의 하면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다. 띠 형상 단자부(242)에는, 그 상하 방향의 중앙 근방에, 띠 형상 단자부(242)와 동일 평면 상에 단차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편(242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 단자(240)가 고정된 상태의 내부 케이스(220)가 외부 케이스(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2 단자(240)의 띠 형상 단자부(242)의 상방측 부분이, 외부 케이스(210)에 형성된 1쌍의 컷아웃부(211c, 211d)에 삽입된다. 제2 단자(240)는, 돌출편(242a)이 수용부(211)의 벽면부의 하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돌출편(242a)이 수용부(211)의 벽면부의 하면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부(243)의 상면이 1쌍의 컷아웃부(211c, 211d)의 상단부에 맞닿음과 함께, 선단부(241)가 홈부(212, 213)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200)에 있어서는, 제1 단자(230)의 띠 형상 단자부(233)로 제1 접점부가 구성되고, 제2 단자(240)의 띠 형상 단자부(242)로 제2 접점부가 구성된다. 이들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는, 가동 접점 유닛(260)의 일부[구체적으로는, 접점부(265b, 265c, 266b, 266c)]가 접리되는 고정 접점을 구성한다.
구동 부재(250)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접점 유지부(251)와, 접점 유지부(251)의 후단부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피가이드부(252)와, 접점 유지부(251)의 전면부의 중앙부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판 형상부(253)와, 판 형상부(253)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측으로 연장 돌출되는 피가이드부(254)를 가지고 있다. 피가이드부(252, 254)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피가이드부(252)는, 구동 부재(250)와 동일한 폭 치수를 가진다. 한편, 피가이드부(254)는, 판 형상부(253)와 동일한 폭 치수를 가진다.
접점 유지부(251)의 측면부에는, 1쌍의 개구부(251a, 25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점 유지부(251)의 상면부에는, 개구부(251c)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51a, 251b, 251c)는, 모두 직사각형상을 가지고, 접점 유지부(251)의 전단측부터 후방측의 소정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접점 유지부(251)에 있어서, 이들 개구부(251a~251c)가 형성된 부분은 중공 구조로 되어 있다.
접점 유지부(251)의 전면부의 하방측에는, 판 형상부(253)를 사이에 두고 1쌍의 피가압편(251d, 251e)이 설치되어 있다[도 19에 있어서 피가압편(251e)은 도시 생략]. 이들 피가압편(251d, 251e)은, 대체로 대략 직사각형상을 가지고, 약간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점 유지부(251)의 전면부에는, 피가압편(251d, 251e) 각각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슬릿(251f, 251g)[도 19에 있어서 슬릿(251g)은 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251f, 251g)은, 접점 유지부(251)로부터의 가동 접점 유닛(260)의 탈락 방지에 이용된다.
접점 유지부(251)의 하면부에는, 외부 케이스(210)의 핀(214)이 삽입 통과되는 삽입 통과 구멍(251h)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점 유지부(251)의 하면부의 하방측의 면에는, 삽입 통과 구멍(251h)의 주위에 도시하지 않은 원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의 외경은, 삽입 통과 구멍(251h)의 외경보다 약간 큰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오목부의 내부에서는, 삽입 통과 구멍(251h)의 주위에 바닥벽부가 설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바닥벽부에는, 후술하는 코일 스프링(280)의 상단부가 맞닿는다.
판 형상부(253)는, 판면을 스위치 장치(200)의 측방을 향한 상태에서 접점 유지부(251)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다. 판 형상부(253)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의 하면으로부터 피가이드부(254)가 연장 돌출되어 있다. 한편, 판 형상부(253)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 부분의 상면에는, 상방측으로 약간 돌출된 피가압부(253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피가압부(253a)는, 조작체(270)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 부분이다. 피가압부(253a)의 표면은, 대체로 구면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피가압부(253a)의 표면을 구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조작체(270)에 대한 가압 동작 또는 경동 동작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구동 부재(250)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가동 접점 유닛(260)은, 1쌍의 탄성 부재(261, 262)와, 1쌍의 절연 부재(263, 264)와, 1쌍의 콘택트 부재(265, 266)로 구성된다. 탄성 부재(261, 262)로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절연 부재(263, 264)는, 예를 들어, 절연성의 수지 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절연 부재(263)(264)는, 기대부(基臺部)(263a)(264a)와, 기대부(263a)(264a)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2개의 볼록부(263b, 263c)(264b, 264c)를 가진다.
기대부(263a)(264a)는, 대체로 직사각형상을 가진다. 2개의 볼록부(263b, 263c)(264b, 264c)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소정 간격을 가지는 상태에서, 기대부(263a)(264a)의 전후 방향에서의 양단부로부터 약간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기대부(263a)(264a)의 후방측에 배치된 볼록부(263b)(264b)의 후단부, 그리고, 기대부(263a)(264a)의 전방측에 배치된 볼록부(263c)(264c)의 전단부에는, 볼록부(263b, 263c)(264b, 264c)의 돌출 방향으로 약간 돌출된 돌출편(263d, 263e)(264d, 264e)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볼록부(263b, 263c)(264b, 264c)에 끼워진 영역의 기대부(263a)(264a)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보스(263f)(264f)가 설치되어 있다. 보스(263f)(264f)는, 콘택트 부재(265)(266)를 절연 부재(263)(264)에 장착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이며, 후술하는 콘택트 부재(265)(266)의 관통 구멍(265a)(266a)에 삽입 통과됨과 함께, 이 관통 구멍(265a)(266a)으로부터 돌출되는 선단부가 찌그러져 코킹된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 보스(263f)(264f)는, 코킹 후의 형상으로 나타내고 있다. 1쌍의 기대부(263a, 264a)의 이면에는, 탄성 부재(261, 262)의 단부가 수용되는 바닥이 있는 1쌍의 수용 구멍(263g, 264g) 및 수용 구멍(263h, 264h)이 형성되어 있다[도 19에 있어서 수용 구멍(263g, 263h)은 도시 생략].
콘택트 부재(265, 266)는, 가동 접점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판재에 타발 가공 및 절곡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콘택트 부재(265)(266)는, 절연 부재(263)(264) 표면을 따른 단차 형상을 가지고 있다. 콘택트 부재(265)(266)의 중앙부에는, 절연 부재(263)(264)의 보스(263f)(264f)를 삽입 통과하기 위한 관통 구멍(265a)(266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콘택트 부재(265)(266)의 양단부 근방에는, 반구 형상의 접점부(265b, 265c)(266b, 266c)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체(270)는, 1쌍의 제1 단자(230)[구금 핀부(51)]의 양방의 연장 돌출 방향을 포함한 평면과 평행한 절단면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이, 하방측 부분보다 상방측 부분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조작체(270)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체로 삼각형상을 가지고 있다. 조작체(270)는, 상단부에 배치된 선단부로 이루어지는 정상부(271)와, 이 정상부(271)에 대향하는 바닥면부(272)와, 정상부(271)를 사이에 두고 일방의 외형에 위치하여 설치된 제1 피가압부(273)와, 정상부(271)를 사이에 두고 제1 피가압부(273)와 다른 타방의 외형에 위치하여 설치된 제2 피가압부(274)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들 정상부(271), 제1 피가압부(273) 및 제2 피가압부(274)에 의해, 조작체(270)의 조작부가 구성되어 있다.
바닥면부(272)의 중앙에는, 오목부(272a)가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72a)는, 구동 부재(250)의 피가압부(253a)를 수용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272a)는, 구동 부재(250)와 맞닿는 맞닿음부이고, 구동 부재(250)의 피가압부(253a)는, 이 맞닿음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바닥면부(272)의 양단부는, 각각 하방측 부분에 걸쳐 폭이 좁아지는 볼록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체(270)의 하단부의 전면에는, 1쌍의 돌출부(272b, 272c)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출부(272b, 272c)는, 각각 바닥면부(272)의 형상에 대응한 대략 삼각형상을 가지고, 3개의 정점부는 각각 원호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80)은, 스위치 장치(200)의 조작체(270)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로서 기능한다. 코일 스프링(280)의 상방측에는, 외부 케이스(210)의 핀(214)이 삽입되고, 하방측에는, 내부 케이스(220)의 핀(224)이 삽입된다. 코일 스프링(280)은, 핀(214) 및 핀(224)에 지지된 상태에서, 신축 운동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200)를 조립한 상태의 외관은, 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1)의 외관과 대략 동일하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200)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200)의 측단면도이다. 도 21에 있어서는, 구금 핀부(51a, 51b)의 중심을 통과하는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210)의 내부에서는, 가동 접점 유닛(260)이 장착된 구동 부재(250)나 코일 스프링(280) 등의 구성 부품이 수용됨과 함께, 제1 단자(230)의 접점부(231)나 제2 단자(240)가 장착된 내부 케이스(220)가 수용되어 있다. 내부 케이스(220)는, 외부 케이스(210)에 하방측으로부터 수용된 상태에서, 관통 구멍(21a, 21b)에 삽입된 구금 핀부(51a, 51b)에 하방측으로부터 고정 나사(11)로 고정함으로써, 외부 케이스(210)와 일체화되어 있다.
도 22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200)가 가지는 내부 케이스(220) 주변의 구성 부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22에 있어서는, 스위치 장치(200)로부터 외부 케이스(210)를 떼어낸 상태에 상당한다. 또한, 도 22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1 단자(230)의 구금 핀부(51a)를 생략하고 있다. 도 23은, 도 22에 나타내는 상태의 내부 케이스(220) 및 그 주변 부품의 상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220)에는, 구동 부재(250)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부재(250)는, 피가이드부(252)가 수용부(222a)에 수용되고, 피가이드부(254)가 오목부(225)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접점 유지부(251)는, 외부 케이스(210)의 하면에 설치된 수용부(211) 내에 배치된다(도 21 참조). 접점 유지부(251)에는, 가동 접점 유닛(260)이 유지되어 있다. 가동 접점 유닛(260)의 장착은, 먼저, 콘택트 부재(265)를 장착한 절연 부재(263)를, 접점부(265b, 265c)를 외측으로 향하여, 접점 유지부(251)의 개구부(251a)에 배치한다. 그리고, 기대부(263a)의 돌출된 전단부를, 접점 유지부(251)의 슬릿(251f)에 삽입하여 유지한다. 마찬가지로, 콘택트 부재(266)를 장착한 절연 부재(264)를, 접점부(266b, 266c)를 외측으로 향하여, 접점 유지부(251)의 개구부(251b)에 배치하고, 기대부(264a)에 있어서의 돌출된 전단부를, 접점 유지부(251)의 슬릿(251g)에 삽입하여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1쌍의 수용 구멍(263g, 264g)에 탄성 부재(261)의 양단부를 수용하고, 1쌍의 수용 구멍(263h, 264h)에 탄성 부재(262)의 양단부를 수용함으로써, 가동 접점 유닛(260)을 접점 유지부(251)에 장착할 수 있다.
접점 유지부(251)의 하방측에는, 코일 스프링(280)이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280)은, 하단부측으로부터 핀(224)이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오목부(224a) 내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상단부측으로부터 외부 케이스(210)의 핀(214)이 삽입 통과된 상태에서(도 21 참조), 상단부가 접점 유지부(251)의 하면에 설치된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동 부재(250)에는, 접점 유지부(251)를 상방측에 가압하는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판 형상부(253)의 피가압부(253a)의 상방에는, 조작체(270)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체(270)는, 바닥면부(272)에 설치된 오목부(272a)에서 피가압부(253a)를 수용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구동 부재(250)에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280)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체(270)에는 항상 상방측으로 이동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또한, 조작체(270)는, 외부 케이스(210)의 수용부(26)에 수용되어, 그 이동 범위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피가압부(253a)로부터 탈락되는 일은 없다.
제1 단자(230)의 접점부(231)(231a, 231b)는, 평면부(232)가 벽부(221a, 221b)의 평면부(221c, 221d) 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 평면부(232)는, 개구부(232a)가 삽입 통과 구멍(221g, 221h)에 대응함과 함께, 띠 형상 단자부(233)가 상자 형상부(222)를 규정하는 내벽면을 따르도록 배치되고, 띠 형상 단자부(233)의 하단부가 슬릿(222b, 222c)에 삽입된다.
고정 나사(11)는, 내부 케이스(220)의 하방측으로부터 삽입 통과 구멍(221g, 221h)에 삽입되어, 접점부(231)의 개구부(232a)를 관통한다. 제1 단자(230)의 구금 핀부(51)는, 개구부(232a)로부터 돌출된 고정 나사(11)에 고정된다. 접점부(231)의 표면까지 고정된 상태에서, 구금 핀부(51)의 고정부(513)의 하면은, 접점부(231)의 평면부(232)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구금 핀부(51)와 접점부(231)가 도통 상태가 된다.
제2 단자(240)는, 띠 형상 단자부(242)가 각기둥부(223f, 223g)를 따르도록 배치되고, 띠 형상 단자부(242)의 하단부가 슬릿(223h, 223i)에 삽입된다. 이 때, 슬릿(223h, 223i)의 상부 개구단에는, 띠 형상 단자부(242)의 돌출편(242a)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선단부(241)와 접점부(265c, 266c) 사이에는, 외부 케이스(210)의 수용부(211)를 규정하는 벽면부의 일부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스위치 장치(200)의 초기 상태에서, 제2 단자(240)와 접점부(265c, 266c)가 확실하게 절연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구동 부재(250)에 장착된 가동 접점 유닛(260)과 제1 단자(230) 및 제2 단자(240)와의 위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스위치 장치(200) 내의 구성 부품간의 위치 관계의 설명도이다. 도 24에 있어서는, 스위치 장치(200) 내의 구성 부품간의 위치 관계를 후방측으로부터 나타내는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4에 있어서는, 조작체(270)가 비조작 상태인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조작체(270)가 비조작 상태에서, 구동 부재(250)는, 코일 스프링(280)의 가압력을 받고, 피가이드부(252)의 일부가 수용부(222a)에 수용되고, 피가이드부(254)의 일부가 오목부(225)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점 유닛(260)에 있어서의 절연 부재(263) 및 콘택트 부재(265), 그리고, 절연 부재(264) 및 콘택트 부재(266)는,모두 탄성 부재(261, 262)의 가압력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접점부(265b, 265c)는, 개구부(251a)로부터 밀어내어 접점 유지부(251)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접점부(266b, 266c)는, 개구부(251b)로부터 밀어내어 접점 유지부(251)의 외부에 위치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가동 접점 유닛(260)의 접점부(265b)는, 제1 단자(230)의 접점부(231a)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접점부(266b)는, 접점부(231b)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단자(230)의 접점부(231a, 231b)는, 접점부(265b, 265c)보다 하방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접점부(231a) 및 접점부(265b), 그리고, 접점부(231b) 및 접점부(266b)는 이간된 상태로 배치된다. 한편, 가동 접점 유닛(260)의 접점부(265c)는, 제2 단자(240a)의 선단부(241)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접점부(266c)는, 제2 단자(240b)의 선단부(241)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선단부(241)와 접점부(265c, 266c) 사이에는, 외부 케이스(210)의 수용부(211)를 규정하는 벽면부의 일부가 배치되기 때문에, 제2 단자(240a) 및 접점부(265c), 그리고, 제2 단자(240b) 및 접점부(266c)는 이간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 장치(200)의 초기 상태에서, 제1 단자(230)와 접점부(265b, 266b) 및 제2 단자(240)와 접점부(265c, 266c)가 절연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을 가지는 스위치 장치(200)가 장착된 직관형 LED 램프를 형광등 기구(제1종 형광등 기구 및 제2종 형광등 기구)에 장착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서술한 제1종 형광등 기구에 스위치 장치(200)가 장착된 직관형 LED 램프를 장착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제1종 형광등 기구(A)에 장착된 경우의 스위치 장치(200) 내의 구성 부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5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4에 나타내는 구성 부품만을 나타내고 있다. 조작체(270)가 외부 케이스(210)[수용부(26)]의 내부에 가압되면,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270)가 재치된 판 형상부(253)의 피가압부(253a)가 하방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에 따라, 구동 부재(250)에 있어서는, 판 형상부(253)가 코일 스프링(28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려 내려가고, 피가이드부(252 및 254)가, 각각 수용부(222a) 및 오목부(225)의 내벽면에 안내되어 하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동 부재(250)의 이동에 따라, 접점 유지부(251)에 장착된 가동 접점 유닛(260)도 하방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접점부(265b, 266b, 265c, 266c)는, 각각 접점부(231a, 231b)의 띠 형상 단자부(233)(제1 접점부) 및 제2 단자(240a, 240b)의 띠 형상 단자부(242)(제2 접점부)의 상단부에 도달하면,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구동 부재(250)의 추가적인 이동에 의해, 접점부(265b, 266b, 265c, 266c)는, 각각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방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접점부(265b, 266b, 265c, 266c)는, 각각 띠 형상 단자부(233 및 242)에 의해 내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에 따라, 가동 접점 유닛(260)에 있어서는, 절연 부재(263, 264) 및 콘택트 부재(265, 266)가 탄성 부재(261, 26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려 들어가, 약간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접점부(265b, 266b, 265c, 266c)는, 각각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확실하게 접촉한 상태가 된다(도 25에 나타내는 상태). 접점부(265b 및 265c)가, 각각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함으로써, 콘택트 부재(265)를 통하여, 일방의 제1 단자(230)와 일방의 제2 단자(240)가 도통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접점부(266b 및 266c)가, 각각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함으로써, 콘택트 부재(266)를 통하여, 타방의 제1 단자(230)와 타방의 제2 단자(240)가 도통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직관형 LED 램프 내에 실장된 구동 회로(AC/DC 컨버터)로의 통전이 가능하게 되는 온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제1종 형광등 기구(A)로부터 스위치 장치(200)를 떼어내면, 조작체(270)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되기 때문에, 구동 부재(250)에 있어서는, 코일 스프링(280)의 가압력에 따라 접점 유지부(251)가 밀려 올라가고, 피가이드부(252 및 254)가, 각각 수용부(222a) 및 오목부(225)의 내벽면에 안내되어 상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동 부재(250)의 이동에 따라, 가동 접점 유닛(260)은, 접점부(265b, 266b, 265c, 266c)가, 각각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까지 상방측으로 이동한다(도 24에 나타내는 상태). 이에 따라, 접점부(265b, 266b, 265c, 266c)로의 밀어 넣는 동작이 해제되기 때문에, 가동 접점 유닛(260)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261, 262)의 가압력에 따라 절연 부재(263, 264) 및 콘택트 부재(265, 266)가 외측으로 이동한다. 접점부(265b, 266b, 265c, 266c)가, 각각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와 비접촉 상태가 됨으로써, 제1 단자(230)와 제2 단자(240)가 비도통 상태가 되어, 직관형 LED 램프 내에 실장된 구동 회로로의 통전이 행하여지지 않는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제2종 형광등 기구에 스위치 장치(200)가 장착된 직관형 LED 램프를 장착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제2종 형광등 기구(B)에 장착된 경우의 스위치 장치(200) 내의 구성 부품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26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4에 나타내는 구성 부품만을 나타내고 있다. 조작체(270)가 외부 케이스(210)[수용부(26)]의 내부에 가압되면,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270)의 오목부(272a)에 의해, 구동 부재(250)의 피가압부(253a)가 하방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또한, 조작체(270)가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동 동작하기 때문에, 조작체(270)의 바닥면부(272)에 의해, 구동 부재(250)의 피가압편(251e)이 하방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에 따라, 구동 부재(250)에 있어서는, 접점 유지부(251)가 코일 스프링(280)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려 내려가고, 피가이드부(252 및 254)가, 각각 수용부(222a) 및 오목부(225)의 내벽면에 안내되어 하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동 부재(250)의 이동에 따라, 접점 유지부(251)에 장착된 가동 접점 유닛(260)도 하방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접점부(265b, 266b, 265c, 266c)는, 각각 접점부(231a, 231b)의 띠 형상 단자부(233)(제1 접점부) 및 제2 단자(240a, 240b)의 띠 형상 단자부(242)(제2 접점부)의 상단부에 도달하면,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한 상태가 된다. 구동 부재(250)의 추가적인 이동에 의해, 접점부(265b, 266b, 265c, 266c)는, 각각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방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접점부(265b, 266b, 265c, 266c)는, 각각 띠 형상 단자부(233 및 242)에 의해 내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에 따라, 가동 접점 유닛(260)에 있어서는, 절연 부재(263, 264) 및 콘택트 부재(265, 266)가 탄성 부재(261, 262)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밀려 들어가, 약간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접점부(265b, 266b, 265c, 266c)는, 각각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확실하게 접촉한 상태가 된다(도 26에 나타내는 상태). 접점부(265b 및 265c)가, 각각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함으로써, 콘택트 부재(265)를 통하여, 일방의 제1 단자(230)와 일방의 제2 단자(240)가 도통 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접점부(266b 및 266c)가, 각각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접촉함으로써, 콘택트 부재(266)를 통하여, 타방의 제1 단자(230)와 타방의 제2 단자(240)가 도통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직관형 LED 램프 내에 실장된 구동 회로(AC/DC 컨버터)로의 통전이 가능하게 되는 온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도 26에 나타내는 상태로 조작체(270)가 이행할 때에는, 측방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조작체(270)가 경동 동작하여 제1 피가압부(273) 또는 제2 피가압부(274)의 일방이 수용부(26) 내의 안내부인 내벽면(26a) 또는 내벽면(26b)에 맞닿은 후, 그 후에 수용부(26)의 내부측으로 밀려 들어간다. 이와 같이 경동 동작을 행한 후에 수용부(26) 내로 밀려 들어가는 동작에 대응하도록,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200)에 있어서는, 경동 동작에 따라 제1 피가압부(273)와 제2 피가압부(274) 중 어느 일방의 피가압부(경사부)가 수용부(26)의 내벽면(26a) 또는 내벽면(26b)에 맞닿은 상태에서, 타방의 피가압부(경사부)가 개구부(23)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경동 동작 후의 밀어 넣는 동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제1 단자(230)와 제2 단자(240)의 도통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종 형광등 기구(B)로부터 스위치 장치(200)를 떼어내면, 조작체(270)로의 가압 조작이 해제되기 때문에, 구동 부재(250)에 있어서는, 코일 스프링(280)의 가압력에 따라 접점 유지부(251)가 밀려 올라가고, 피가이드부(252 및 254)가, 각각 수용부(222a) 및 오목부(225)의 내벽면에 안내되어 상방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동 부재(250)의 이동에 따라, 가동 접점 유닛(260)은, 접점부(265b, 266b, 265c, 266c)가, 각각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까지 상방측으로 이동한다(도 24에 나타내는 상태). 이에 따라, 접점부(265b, 266b, 265c, 266c)로의 밀어 넣는 동작이 해제되기 때문에, 가동 접점 유닛(260)에 있어서는, 탄성 부재(261, 262)의 가압력에 따라 절연 부재(263, 264) 및 콘택트 부재(265, 266)가 외측으로 이동한다. 접점부(265b, 266b, 265c, 266c)가, 각각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와 비접촉 상태가 됨으로써, 제1 단자(230)와 제2 단자(240)가 비도통 상태가 되어, 직관형 LED 램프 내에 실장된 구동 회로로의 통전이 행하여지지 않는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스위치 장치(200)에 있어서는, 하우징[외부 케이스(210)] 내로의 가압 조작뿐만 아니라, 제1 단자(230)[구금 핀부(51)]의 돌출 방향에 관해 상반되는 일방측 또는 타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조작체(270)가 경동 동작하고, 조작체(270)의 적어도 일부가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제1 단자(230)와 제2 단자(240)가 도통된다. 이에 따라, 직관형 형광등의 일단측의 단자를 일방의 소켓에 꽂은 후, 타단측의 단자를 타방의 소켓에 꽂는 형태의 형광등 기구뿐만 아니라, 직관형 형광등의 양단의 단자를 동시에 소켓에 장착하는 형태의 형광등 기구에 장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체(270)를 수용부(26) 내에 수용시켜, 제1 단자(230)와 제2 단자(240)를 도통시킬 수 있으므로, 어느 형태의 형광등 기구에 대해서도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크기나 형상 등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밖에, 본 고안의 목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체(9)(270)가, 제1 단자(5)(230)[구금 핀부(51)]의 돌출 방향에 관해 상반되는 방향의 양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경동 동작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조작체(9)(270)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작체(9)(270)가, 제1 단자(5)(230)의 돌출 방향에 관해 상반되는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경동 동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변경한 경우에 있어서도,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쌍의 제1 단자(5)(230)를 구비하고, 이들에 대응하여 1쌍의 제2 단자(6)(240) 및 가동 접점(7)[콘택트 부재(265, 266)]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어, 램프 본체의 단부에 설치되는 일방의 스위치 장치(1)(200)로부터 급전하는 구성의 직관형 LED 램프에도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스위치 장치(1)(200)가 구비하는 제2 단자(6)(240) 및 가동 접점(7)[콘택트 부재(265, 266)]의 수량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램프 본체의 양단에 설치된 쌍방의 스위치 장치(1)(200)를 사용한 급전 구조를 가지는 직관형 LED 램프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제2 단자(6)(240) 및 가동 접점(7)[콘택트 부재(265, 266)]을 각각 1개씩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1쌍의 제1 단자(5)(230)의 일방과 1개의 제2 단자(6)(240) 사이의 도통 상태를, 1개의 가동 접점(7)[콘택트 부재(265)]을 통하여 전환하도록 하면 된다. 따라서, 1쌍의 제1 단자(5)(230)의 타방은, 제2 단자와의 사이에서 도통 상태가 전환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1쌍의 제1 단자를 스위치 장치(1)의 하우징 내에서 도통시켜 두고, 제1 단자의 양방과 1개의 제2 단자 사이의 도통 상태를 전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작체(9)(270)에 있어서는, 도 2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피가압부(93)(273), 제2 피가압부(94)(274)가 경사부를 가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조작체(9)(270)의 형상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7(b)에 나타내는 제1 피가압부(930), 제2 피가압부(940)와 같이 곡선부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도 27(c)에 나타내는 제1 피가압부(931), 제2 피가압부(941)와 같이 곡선부와 직선부의 조합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또한, 조작체(9)(270)의 선단의 정상부는, 도 27(a)에 나타내는 정상부(91)나 도 27(c)에 나타내는 정상부(911)와 같이 곡률 반경이 작은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27(b)에 나타내는 완만한 정상부(910)여도 되며, 원호 형상이 아니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작체(9)(270)에 있어서는, 바닥면부(92)(272)의 중앙에 오목부(921)(272a)가 설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조작체(9)(270)의 형상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면부(92)(272)의 중앙에 볼록부(95)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구동 부재(8)(250)에 설치된 오목부(85) 내에 볼록부(95)를 수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볼록부(95)는, 구동 부재(8)(250)와 맞닿는 맞닿음부이고, 구동 부재(8)(250)의 오목부(85)는, 이 맞닿음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조작체(9)(270)에 있어서는, 돌출부(922a, 922b)[돌출부(923a, 923b) 또는 돌출부(272b, 272c)]를 2개씩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조작체(9)(270)에 설치되는 돌출부의 수량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속하는 1개의 돌출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체(9)(270)가 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조작체(9)(270)의 형상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작체(9)(270)의 형상으로 원뿔 형상을 채용하는 것이나, 복수의 단차를 가지는 형상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작체(9)(270)가, 1쌍의 제1 단자(5)(230)의 돌출 방향을 포함한 평면과 평행한 평면이며, 제1 단자(5)(230)를 포함하는 평면보다 전방측에 배치된 평면 상에 배치된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조작체(9)(270)의 위치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1쌍의 제1 단자(5)(230)의 돌출 방향을 포함한 평면과 동일 평면 상에 조작체(9)(270)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용부(26)가 외부 케이스(2)(210)에 설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수용부(26)가 설치되는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외부 케이스(2)(2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외부 케이스(2)(210)와는 다른 별도의 부재에 수용부(26)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위치 장치(1)(200)의 하우징을 LED 램프 본체의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구성한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직관형 LED 램프(L)의 양단에 스위치 장치(1)(200)가 설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직관형 LED 램프(L)에 있어서의 스위치 장치(1)(200)가 설치되는 지점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직관형 LED 램프(L)의 일단측으로부터만 급전을 행하는 구조의 형광등 기구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직관형 LED 램프(L)의 일단에만 스위치 장치(1)(200)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직관형 LED 램프(L)의 일단에만 스위치 장치(1)(200)를 설치하는 경우, 직관형 LED 램프(L)의 타단은, 더미 단자 등을 설치하거나 하여, 대응하는 소켓에 장착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위치 장치(1)는, 별도의 부재인 캠체(10)와 가동 접점(7)을 구비하고, 캠체(10)가 가동 접점(7)에 유지되는 구성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스위치 장치(1)가 구비하는 캠체(10) 및 가동 접점(7)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캠체(10)와 가동 접점(7)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1, 100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스위치 장치)
2 외부 케이스(하우징)
23 개구부
26 수용부
26a, 26b 내벽면(안내부)
26c 지지벽부(지지부)
3 내부 케이스(하우징)
31 벽부
32 통 형상부
321 수용부
33 원반 형상부
34 지지벽부
4 절연 커버(하우징)
42 삽입부
421a, 421b 지지편
5 제1 단자
51, 51a, 51b 구금 핀부
52, 52a, 52b 유지부
522a 절곡부(제1 접점부)
6, 6a, 6b 제2 단자
61 전방 단자부
62 후방 단자부
621 직사각형상부(제2 접점부)
7, 7a, 7b 가동 접점
71 기부
72 유지부
73 접점부
731 제1 가동 접점부
732 제2 가동 접점부
732a 통전용 접점부
732b 보조 접점부
8 구동 부재
81 구동부
82 레버부
821 축부
822 피가압부
9 조작체
91 정상부
92 바닥면부
921 오목부
922a, 922b, 923a, 923b 돌출부
93 제1 피가압부
94 제2 피가압부
10, 10a, 10b 캠체
101 기부
1011 맞닿음부
1012 축부
102 걸어맞춤편(피가압부)
11 고정 나사
12 토션 스프링(탄성 부재)
200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스위치 장치)
210 외부 케이스
211 수용부
214 핀
220 내부 케이스
221 벽부
222 상자 형상부
222a 수용부
223 원반 형상부
224 핀
230 제1 단자
231 접점부
233 띠 형상 단자부
240 제2 단자
242 띠 형상 단자부
250 구동 부재
251 접점 유지부
252 피가이드부
253 판 형상부
253a 피가압부
254 피가이드부
260 가동 접점 유닛
261, 262 탄성 부재
263, 264 절연 부재
265, 266 콘택트 부재(가동 접점)
265b, 265c, 266b, 266c 접점부
270 조작체
280 코일 스프링

Claims (17)

  1. 개구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돌출됨과 함께 등 기구의 소켓에 장착되는 1쌍의 제1 단자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하우징 내로의 가압 조작을 받아들일 수 있는 조작부를 가지는 조작체와, 이 조작체로의 가압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단자의 일방과 도통 상태가 전환되는 제2 단자와, 상기 조작체를 가압 조작 전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를 구비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는, 상기 조작체로의 가압 조작시에 상기 조작부가 수용되는 수용부가 설치됨과 함께, 상기 조작체는, 상기 제1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일 방향에 관해 상반되는 방향의 적어도 일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경동(傾動)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경동 동작에 의해, 상기 조작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됨과 함께, 상기 제1 단자의 일방과 상기 제2 단자가 도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는, 상기 제1 단자에 있어서의 상기 일 방향에 관해 상반되는 일방측과 타방측의 양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경동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조작체로의 가압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부가 수용될 때에 상기 조작체가 안내되는 안내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일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는 제1 피가압부와, 상기 타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을 받아들이는 제2 피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일방측 또는 상기 타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라, 상기 조작체가 경동 동작함과 함께 상기 수용부 내에 밀려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제1 단자의 양방의 연장 돌출 방향을 포함한 평면과 평행한 절단면에 있어서의 상기 조작부의 단면 형상이, 상기 개구부 측보다 선단의 정상부측이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됨과 함께, 상기 단면 형상의 상기 정상부를 사이에 두고 일방의 외형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피가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단면 형상의 타방의 외형에 위치하여 상기 제2 피가압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일방측 또는 상기 타방측으로부터의 가압 조작에 따른 상기 경동 동작이, 상기 1쌍의 제1 단자의 양방의 연장 돌출 방향을 포함한 평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에는, 상기 절단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초기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 지지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가압부 및 제2 피가압부는, 상기 개구부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대하여, 각각 90도 미만의 각도를 가지는 제1 경사부 및 제2 경사부를 가지고, 상기 경동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2 경사부 중 어느 일방의 경사부가 상기 수용부의 상기 안내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타방의 경사부가 상기 개구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의 일방과 상기 제2 단자와의 도통 상태를 전환하는 가동 접점과, 상기 조작체로의 가압 조작에 따라 이동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점을 구동하는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1쌍의 제1 단자 사이의 영역을 이동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는, 상기 1쌍의 제1 단자 사이와는 다른 영역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조작부의 선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상기 구동 부재와 맞닿는 맞닿음부를 가지고, 상기 구동 부재에는, 상기 맞닿음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가 상기 맞닿음부측에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의 상기 맞닿음부가 오목부로 이루어짐과 함께,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지지부가 볼록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제1 단자의 양방의 연장 돌출 방향을 포함한 평면을 사이에 둔 상기 하우징 내에 있어서의 일방의 영역에 상기 조작부가 수용되는 상기 수용부가 설치됨과 함께, 타방의 영역에 상기 제1 단자의 일방과 상기 제2 단자와의 도통 상태를 전환하는 가동 접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제1 단자 및 제2 단자와는 별도의 부재로 구성됨과 함께, 상기 제1 단자의 일방에 도통하여 설치된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단자에 도통하여 설치된 제2 접점부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조작체로의 가압 조작에 따라,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제1 접점부 및 제2 접점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에는, 상기 조작부의 선단과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일단부가 상기 오목부에 배치됨과 함께, 타단부가 상기 가동 접점을 구동하는 시소 동작 가능한 구동 부재가, 상기 1쌍의 제1 단자 사이를 지나도록 배치 설치되고,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상기 구동 부재의 일단부측이 상기 오목부 측에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자 및 가동 접점이 상기 1쌍의 제1 단자에 대응하여 각각 1쌍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가 대응하는 상기 가동 접점을 통하여 도통 상태가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의 일방과 상기 제2 단자와의 도통 상태를 전환하는 가동 접점과, 상기 조작체로의 가압 조작에 따라 이동함과 함께 상기 가동 접점을 구동하는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조작체로의 가압 조작에 따른 상기 구동 부재의 이동 경로에 배치된 돌출부와, 상기 제1 단자의 일방에 도통하여 설치된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단자에 도통하여 설치된 제2 접점부에 접리(接離) 가능하게 설치된 접점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접점부가,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와 이간된 상태에서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돌출부에 대한 상기 구동 부재의 접촉에 의해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구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캠체와 일체화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캠체는, 축부 및 상기 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가동 접점의 접점부측과는 반대측에 설치되는 피가압부를 가지고 있고, 초기 상태에서, 상기 피가압부가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가압됨과 함께, 상기 접점부가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캠체는, 상기 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피가압부측과는 반대측에 설치된 기부(基部)를 가지고, 상기 기부는, 상기 접점부와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상기 피가압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캠체가, 상기 접점부를 상기 제1 접점부 및 상기 제2 접점부로부터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17. 복수의 LED와, 상기 LED를 발광시키는 구동 회로와, 상기 복수의 LED 및 상기 구동 회로를 수납하는 통 형상의 램프 본체를 구비하고,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를 상기 램프 본체의 단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관형 LED 램프.
KR1020110136071A 2010-12-17 2011-12-16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 KR101171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82308 2010-12-17
JP2010282308 2010-12-17
JP2010282307 2010-12-17
JPJP-P-2010-282307 2010-12-17
JPJP-P-2011-206305 2011-09-21
JP2011206305A JP4976579B1 (ja) 2010-12-17 2011-09-21 直管型ledランプ用スイッ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直管型ledラ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727A KR20120068727A (ko) 2012-06-27
KR101171963B1 true KR101171963B1 (ko) 2012-08-08

Family

ID=4549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6071A KR101171963B1 (ko) 2010-12-17 2011-12-16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153873A1 (ko)
EP (1) EP2466701A1 (ko)
JP (1) JP4976579B1 (ko)
KR (1) KR101171963B1 (ko)
CN (1) CN102543546B (ko)
TW (1) TWI390153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117B1 (ko) * 1998-12-30 2006-07-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금모구척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유라디칼 소거용 화장료
KR101295176B1 (ko) 2010-12-20 2013-08-09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
KR101399124B1 (ko) * 2013-11-29 2014-05-27 (주)솔라루체 Led 램프용 안전 스위치 및 이를 갖는 led 램프
KR20150142811A (ko) * 2014-06-11 2015-12-23 강신중 엘이디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7821B2 (en) 2005-08-08 2016-11-15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9587817B2 (en) 2014-09-28 2017-03-07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9629211B2 (en) 2014-09-28 2017-04-18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with improved compatibility with an electrical ballast
US9618168B1 (en) 2014-09-28 2017-04-11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9794990B2 (en) 2014-09-28 2017-10-17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with improved compatibility with an electrical ballast
US9879852B2 (en) 2014-09-28 2018-01-30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9885449B2 (en) 2014-09-28 2018-02-06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10021742B2 (en) 2014-09-28 2018-07-10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9447929B2 (en) 2014-09-28 2016-09-20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10634337B2 (en) 2014-12-05 2020-04-28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with heat dissipation of power supply in end cap
US9945520B2 (en) 2014-09-28 2018-04-17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KR101488490B1 (ko) * 2013-06-28 2015-02-02 이민상 접속단자를 통한 감전을 방지하는 감전 방지수단을 구비한 엘이디 형광등
CN105333404B (zh) * 2014-07-25 2020-06-16 朗德万斯公司 照明装置的端盖和照明装置
US9625137B2 (en) 2014-09-28 2017-04-18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ight with bendable circuit board
US9795001B2 (en) 2014-09-28 2017-10-17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with overcurrent and/or overvoltage protection capabilities
US9521718B2 (en) 2014-09-28 2016-12-13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i LED tube lamp having mode switching circuit
US9526145B2 (en) 2014-09-28 2016-12-20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i LED tube lamp
US9618166B2 (en) 2014-09-28 2017-04-11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 Co., Ltd. LED tube lamp
CN205213093U (zh) 2014-09-28 2016-05-04 嘉兴山蒲照明电器有限公司 整流滤波电路、灯及led直管灯
CN106032880B (zh) 2014-09-28 2019-10-25 嘉兴山蒲照明电器有限公司 Led光源及led日光灯
CA2966755C (en) 2014-12-05 2021-10-19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CA2966947C (en) 2014-12-05 2021-05-04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9611984B2 (en) 2015-04-02 2017-04-04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10047932B2 (en) 2015-04-02 2018-08-14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ight with LED leadframes
US9955587B2 (en) 2015-04-02 2018-04-24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US10190749B2 (en) 2015-04-02 2019-01-29 Jiaxing Super Lighting Electric Appliance Co., Ltd. LED tube lamp
EP3318799B1 (en) * 2016-11-04 2019-06-19 OSRAM GmbH A connector for lighting devices, corresponding lighting device and method
JP6806007B2 (ja) * 2017-08-31 2020-12-23 オムロン株式会社 電磁継電器
CN116428532A (zh) * 2018-04-08 2023-07-14 朗德万斯公司 用于替代荧光管灯的led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415B1 (ko) 1996-05-31 2000-03-15 김영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의 에이징 방법 및 그 장치
JP2010192229A (ja) 2009-02-18 2010-09-02 Coolight Japan Co Ltd Ledランプおよびledランプ取り付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019764A (en) * 1962-10-09 1966-02-09 Ashley Accessorie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JPS57161874U (ko) * 1981-04-03 1982-10-12
JPH0740500B2 (ja) * 1987-10-28 1995-05-01 株式会社テック 蛍光ランプ用ソケット
JPH02150683U (ko) * 1989-05-23 1990-12-27
GB2319901A (en) * 1996-11-23 1998-06-03 Lilley & Son Limited S Auto switched lampholder
WO2009035203A1 (en) * 2007-09-14 2009-03-19 Smcreation Limited Led lighting of fluorescent lamp with ballaster
US20090196029A1 (en) * 2008-02-05 2009-08-06 Richard Kurtz Discharge lamp and fixture therefor
CN102318441B (zh) * 2008-12-16 2015-03-25 莱德尼德控股股份有限公司 用于对荧光照明作翻新改型的led灯管系统
US20100181178A1 (en) * 2009-01-22 2010-07-22 James Tseng Hsu Chang End cap with safety protection switch
US9318860B2 (en) * 2010-03-23 2016-04-19 Panasonic Corporation Light source, lamp socket and illumination device using the lamp sock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7415B1 (ko) 1996-05-31 2000-03-15 김영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판넬의 에이징 방법 및 그 장치
JP2010192229A (ja) 2009-02-18 2010-09-02 Coolight Japan Co Ltd Ledランプおよびledランプ取り付け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117B1 (ko) * 1998-12-30 2006-07-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금모구척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유라디칼 소거용 화장료
KR101295176B1 (ko) 2010-12-20 2013-08-09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
KR101399124B1 (ko) * 2013-11-29 2014-05-27 (주)솔라루체 Led 램프용 안전 스위치 및 이를 갖는 led 램프
KR20150142811A (ko) * 2014-06-11 2015-12-23 강신중 엘이디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
KR101652870B1 (ko) 2014-06-11 2016-09-06 (주)탑룩스 엘이디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43546A (zh) 2012-07-04
KR20120068727A (ko) 2012-06-27
US20120153873A1 (en) 2012-06-21
EP2466701A1 (en) 2012-06-20
JP2012142261A (ja) 2012-07-26
TW201237312A (en) 2012-09-16
CN102543546B (zh) 2014-01-29
JP4976579B1 (ja) 2012-07-18
TWI390153B (zh) 2013-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963B1 (ko)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
KR101295176B1 (ko)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
US7122756B2 (en) Push switch
KR101602550B1 (ko) 스위치
US7202429B2 (en) Switch with light supported in operating member
JP2009076388A (ja) 面発光照明器具
JP4609247B2 (ja) 発光スイッチ
JP2013008475A (ja) 直管型ledランプ用スイッ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直管型ledランプ
JP6447492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押しボタンスイッチユニット
JP2010040431A (ja) 押下操作型スイッチ装置
US4851623A (en) Push-button switch
JP2005197154A (ja) 照光スイッチ
JP2006019131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6019130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17120735A (ja) 車輌用灯具
JP4976926B2 (ja) テーブルタップ
JP2012209220A (ja) 直管型ledランプ用スイッチ装置
JP3184246U (ja) 直管型ledランプ用スイッ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直管型ledランプ
JP2013161613A (ja) ソケット
JP3184247U (ja) 直管型ledランプ用スイッチ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直管型ledランプ
JP3148859U (ja) スイッチ装置
JP2011009067A (ja) スイッチ装置
JP2011090807A (ja) 揺動スイッチ
JP2014232695A (ja) スイッチ装置
JP2011009068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