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811A - 엘이디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 - Google Patents

엘이디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811A
KR20150142811A KR1020140071035A KR20140071035A KR20150142811A KR 20150142811 A KR20150142811 A KR 20150142811A KR 1020140071035 A KR1020140071035 A KR 1020140071035A KR 20140071035 A KR20140071035 A KR 20140071035A KR 20150142811 A KR20150142811 A KR 201501428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enter
socket
plug termina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2870B1 (ko
Inventor
강신중
김봉수
정관옥
강범찬
Original Assignee
강신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중 filed Critical 강신중
Priority to KR1020140071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870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8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8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21V15/015Devices for covering joints between adjacent lighting devices; End cove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7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two fittings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fluorescent tubes
    • F21K9/272Details of end parts, i.e. the parts that connect the light source to a fitting; Arrangement of components within en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램프용 사이드 캡과 소켓이 안전하게 결합되어, LED 조명등의 수명을 길게 하며, 또한, 상기 소켓은 LED 램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형광등과도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엘이디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LED 램프용 사이드 캡은, 사이드캡의 상부를 감싸는 하우징부로, 상면 중앙에 스위치부용 통공을 구비하고, 스위치부용 통공의 좌우양측에 플러그단자용 통공을 구비하는, 상부 하우징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플러그단자용 통공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플러그단자; 비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누룸부가 구비되고, 하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중앙 이동부를 구비하며, 스위치부용 통공에 누룸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스위치부; 중앙 이동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스프링;사이드캡의 하부를 감싸는 하우징부로, 상부 하우징부의 하단에 장착되며, 중앙에 이동부 통공을 구비하여, 누룸부가 눌러짐에 따라 이동부 통공을 통해 중앙 이동부가 이동하게 하는, 하부 하우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소켓은, 정면의 중앙의 상부에 위치된 홈인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을 구비하며, 정면의 중앙에 수직선으로 이루어진 중앙 직선형 주로를 구비하되, 중앙 직선형 주로는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과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 직선형 주로의 양측에는, 일측은 평탄한 면을 구비하며 다른 일측은 반원형의 곡면을 구비하는 반원통형 지지대를 구비하되, 반원통형 지지대의 평탄한 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반원통형 지지대의 곡면을 따라 원형 주로가 설치되어 있으며, 원형 주로의 중간부분에 플러그단자의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소켓단자 홈이 구비되되, 소켓단자 홈은 원형 주로 상에서, 반원통형 지지대의 중앙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이디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Side cap for LED lamps, and socket to be combined with it}
본 발명은 형광등 대체 엘이디(발광다이오드, Light-Emitting Diode)(이하, LED라 함)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과 소켓이 안전하게 결합되어, 외부충격에 의한 접촉불량 등이 발생하지 않아서, LED 조명등의 수명을 길게 하며, 또한, 상기 소켓은 LED 램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형광등과도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엘이디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형광등을 대신하여, 길고 전기 소모량이 적다는 장점으로 인해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이하 LED라 함)를 이용한 LED 램프가 새로운 조명기구로 등장하여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LED 형광등으로써, 국내 등록특허 제10-1006104호의 소켓구조 LED 형광등의 분해 사시도이다.
LED 형광등은 통상적인 등기구몸체(30)에 LED 램프(10)를 장착하도록 구성되지만, LED 램프(10)의 양단에 장착되는 사이드캡(100)과, 등기구몸체(30)에 고정되어서 LED 램프(10)를 지지하고 아울러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소켓(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반사갓(20)을 구비한 노출형 형광등 형태로 구성되지만, 매입형 형광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고, 또한 반사갓(20)을 구비하지 형광등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등기구몸체(30)는, 교류전기를 LED 램프(10)를 점등시킬 수 있는 직류전기로 변성하는 컨버터(31)를 내장하며, 저면에는 소켓(200)를 고정하기 위한 소켓고정구(32)와 반사갓(20)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체결구(34)를 구비한다. 소켓고정구(32)는 등기구몸체(3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되어서 두개의 소켓(200)을 각 소켓고정구(32)에 하나씩 장착함에 따라 LED 램프(10)를 장착할 수 있도록 두개의 소켓(200)이 서로 이격된다.
반사갓(20)은, 저부에 장착되는 LED 램프(10)의 발광 빛을 하부 방향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하며, 소켓(200)을 관통시킬 수 있는 소켓관통구(21)를 구비하고 볼트(23)를 구멍(22)을 통해 상기 등기구몸체(30)의 볼트 체결구(34)에 볼트채결하여 상기 등기구몸체(30)에 고정된다.
LED 램프(10)는, 광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원통형 관의 상부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에 방열핀을 구비한 방열부(12)를 고정하고, 내부 공간의 상면에 해당되는 방열부(12)의 저면에 LED소자를 실장한 광원모듈(11)을 장착한 다. 이에 따라 광원모듈(11)에서 발광한 빛은 하부로 향하여 투광부(13)를 통해 출사되며, 발광시에 발생되는 열은 방열부(12)를 통해 방출되며, 방열부(12)와 투광부(13)는 결합되어 광원모듈(11)을 둘러싼다.
LED 램프(10)의 양단은 개구되어 있어서, 광원모듈(11)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을 소켓(200)을 통해 등기구몸체(30)의 컨버터(31)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즉, LED 램프(10)의 양단에 장착되는 사이드캡(100)의 일부분을 소켓(200)에 내삽되게하여서 LED램프(10)를 소켓(200)에 고정할 수 있으며, 사이드캡(100)이 내삽되는 소켓(200)의 일단에 대해 소켓(200)의 타단에는 마개(300)를 장착하여서 마개(300)를 열면 소켓(200)의 내부 공간을 볼 수 있다.
사이드캡(100)은 턱형태의 복수의 가이드돌기를 외주면에 구비하고, 소켓(200)은 내측면에 홈형태의 복수의 장요홈을 구비하여, 가이드돌기를 장요홈에 삽입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그러나, 사이드캡 및 소켓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져, 이러한 턱과 홈으로 고정할 경우, 특히 다수회 탈착을 반복할 경우, 헐거워져서, 전원의 연결이 불안정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LED 램프의 수명을 단축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은, LED 램프용 사이드 캡과 소켓이 보다 안전하게 결합되어, 외부충격에 의한 접촉불량 등이 발생하지 않아서, LED 조명등의 수명을 길게 하며, 또한, 상기 소켓은 LED 램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형광등과도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과 소켓이 보다 안전하게 결합되어, 외부충격에 의한 접촉불량 등이 발생하지 않아서, LED 조명등의 수명을 길게 하며, 또한, 상기 소켓은 LED 램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형광등과도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LED 램프의 양단에 장착되며, 등기구몸체에 설치된 소켓과 결합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에 있어서, 사이드캡의 상부를 감싸는 하우징부로, 상면 중앙에 스위치부용 통공을 구비하고, 스위치부용 통공의 좌우양측에 플러그단자용 통공을 구비하는, 상부 하우징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플러그단자용 통공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플러그단자; 비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누룸부가 구비되고, 하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중앙 이동부를 구비하며, 스위치부용 통공에 누룸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스위치부; 중앙 이동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스프링; 사이드캡의 하부를 감싸는 하우징부로, 상부 하우징부의 하단에 장착되며, 중앙에 이동부 통공을 구비하여, 누룸부가 눌러짐에 따라 이동부 통공을 통해 중앙 이동부가 이동하게 하는, 하부 하우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 하우징부는 이동부 통공의 좌우 양측에 전원연결단자용 통공을 더 구비하며, C자형으로 이루어진 주름인 반구형 주름부를 일측에 구비하며, 전원연결단자용 통공에 삽입되는 LED모듈 전원연결단자를 더 포함한다.
스위치부는 하부에 막대형으로 이루어진 간격유지용 막대부를 더 구비하되, 간격유지용 막대부는 중앙 이동부와 플러그단자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간격유지용 막대부는 중앙 이동부가 이동부 통공을 통해 이동하는 정도를 제한한다.
LED모듈 전원연결단자는 간격유지용 막대부와 플러그단자의 사이에 설치된다.
간격유지용 막대부에서, LED모듈 전원연결단자와 접촉되는 면은 사면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다.
스위치부는 스위치부 지지판의 위에 누룸부가 설치되고, 스위치부 지지판의 하부에 중앙 이동부가 설치되며, 누룸부는 스위치부 지지판의 중앙에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중앙 누룸부를 포함한다.
누룸부는, 삼각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스위치부 지지판의 중앙을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좌우날개부; 삼각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면이 C자형을 이루며, 스위치부 지지판의 중앙을 상하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는 상하날개부;를 더 포함한다.
좌우날개부와 상하날개부가 교차되는 부분에 중앙 누룸부가 위치되며, 중앙 누룸부의 높이가, 좌우날개부와 상하날개부의 높이보다 더 높다.
상부 하우징부 및 하부 하우징부는 방열부 고정용 통공을 구비하여, 투광부와 결합된 방열부를 고정한다.
스위치부 지지판의 양측에 위치되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ㄷ자형으로 이루어진 플러그단자 거치부를 더 구비한다.
플러그단자 거치부는 상부 하우징부의 플러그단자용 통공의 밑에 위치되어, 플러그단자용 통공에 장착된 플러그단자를 커버하도록 이루어진다.
소켓은 정면의 중앙의 상부에 위치된 홈인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을 구비하며, 정면의 중앙에 수직선으로 이루어진 중앙 직선형 주로를 구비하되, 중앙 직선형 주로는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과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 직선형 주로의 양측에는, 일측은 평탄한 면을 구비하며 다른 일측은 반원형의 곡면을 구비하는 반원통형 지지대를 구비하되, 반원통형 지지대의 평탄한 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반원통형 지지대의 곡면을 따라 원형 주로가 설치되어 있다.
원형 주로의 중간부분에 플러그단자의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소켓단자 홈이 구비되되, 소켓단자 홈은 원형 주로 상에서, 반원통형 지지대의 중앙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중앙 누룸부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이 소켓과 결합시, 중앙 직선형 주로의 중간부에 위치되며, 중앙 누룸부를 중심으로 사이드 캡을 회전하되, 사이드 캡의 플러그단자가 원형 주로를 따라 회전하여, 플러그단자가 소켓단자 홈과 결합하도록 이루어진다.
LED모듈 전원연결단자는, 누름부가 눌러짐에 따라, 반구형 주름부가 좁혀지게 되어, 일측이 플러그단자에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의 LED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에 따르면, LED 램프용 사이드 캡과 소켓이 보다 안전하게 결합되어, 외부충격에 의한 접촉불량 등이 발생하지 않아서, LED 조명등의 수명을 길게 하며, 또한, 상기 소켓은 LED 램프 뿐만 아니라 기존의 형광등과도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LED 형광등으로써, 국내 등록특허 제10-1006104호의 소켓구조 LED 형광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LED 램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이드 캡의 정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은 도 2의 사이드 캡의 후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사이드 캡의 단면도(A-A')이다.
도 6은 도 3의 사이드 캡의 상부 하우징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7은 도 3의 사이드 캡의 스위치부의 정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사이드 캡의 스위치부의 후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사이드 캡의 LED모듈 전원연결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는 도 4의 사이드 캡의 하부 하우징부의 정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도 4의 사이드 캡의 하부 하우징부의 배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3의 사이드 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a는 도 3의 중앙 누룸부가 눌러졌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3b는 도 3의 중앙 누룸부가 눌러졌을 때의 LED모듈 전원연결단자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2의 LED 램프와 본 발명의 소켓의 결합을 설명하기위한 모식도이다.
도 15은 도 14의 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소켓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소켓의 단면도(B-B')이다.
도 18은 도 14의 LED 램프와 소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도 14의 LED 램프와 소켓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LED 램프의 플러그단자가 소켓의 소켓단자 홈에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LED 램프의 플러그단자가 소켓의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에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LED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LED 램프용 사이드 캡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LED 램프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고, 도 3은 도 2의 사이드 캡의 정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2의 사이드 캡의 후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사이드 캡의 단면도(A-A')이다.
사이드캡(100)은 LED 램프(10)의 양단에 장착되어, 소켓(200)과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수단으로, 광원모듈(11)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을 소켓(200)을 통해 컨버터(31)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광원모듈(11)로부터 인출되는 전선을 상용전원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사이드캡(100)은 플러그단자(120), 상부 하우징부(110), 스위치부(130), 스프링(175),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 하부 하우징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부 하우징부(110)는 사이드캡(100)의 상부를 감싸는 하우징부로, 상부에는 플러그단자용 통공(121), 스위치부용 통공(131),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을 포함하여, 플러그단자용 통공(121)에는 플러그단자(120)의 일단이 삽입되고, 스위치부용 통공(131)에는 스위치부(130)가 삽입되고,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은 방열부(12)와 사이드캡(100)을 결합하기 위한 나사가 삽입된다. 상부 하우징부(110)의 밑에는 하부 하우징부(190)가 장착되되, 하부 하우징부(190)에 투광부(13)와 결합된 방열부(12)를 장착하고, 상부 하우징부(110)의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과, 하부 하우징부(190)의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과, 방열부(12)의 통공(미도시)을 나사로 결합하여 고정한다.
플러그단자(120)는 소켓(200)의 소켓단자 홈(240)에 삽입되어, 소켓(200)을 통해 유입된 전원(전력, 전압, 전류)을 광원모듈(11)로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플러그단자(120)는 금속 등의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지며, 막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위치부(130)는 플러그단자(120)가 소켓(200)에 장착되어질 경우, 플러그단자(120)의 전원을 광원모듈(11)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수단이다. 스위치부(130)는 상단에는 중앙 누룸부(133), 상하날개부(135), 좌우날개부(137)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중앙 이동부(140)와 간격유지용 막대부(147)을 구비하여, 플러그단자(120)가 소켓(200)에 장착되어질 경우, 중앙 누룸부(133)(또는 상하날개부(135) 또는 좌우날개부(137))가 눌러짐에 따라 플러그단자(120)와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가 접촉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광원모듈(11)로 전원을 전달한다. 중앙 이동부(140)의 길이는 간격유지용 막대부(147)의 길이보다 크다. 스위치부(130)는 전기를 흐르지 못하게 하는 재질, 즉 비도전성 재질(예로, 고무,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절연물질 등) 로 이루어진다.
상부 하우징부(110)의 스위치부용 통공(131)에 중앙 누룸부(133), 상하날개부(135), 좌우날개부(137)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되고, 스위치부(130)의 중앙 이동부(140)에 스프링(175)이 장착된다. 또한, 스위치부(130)의 간격유지용 막대부(147)와 플러그단자(120)의 사이에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의 일단을 장착하고,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의 다른 일단을 하부 하우징부(190)의 전원연결단자용 통공(194)에 삽입하여, 하부 하우징부(190)를 상부 하우징부(110)의 밑에 장착한다.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는 일단은 플러그단자(120)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하부 하우징부(190)의 전원연결단자용 통공(194)에 삽입되어 LED 램프(10)의 내측, 즉 광원모듈(11)과 연결되어, 플러그단자(120)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광원모듈(11)로 전달한다.
하부 하우징부(190)는 사이드캡(100)의 하부를 감싸는 하우징부로,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 전원연결단자용 통공(194), 이동부 통공(192)을 구비한다. 이동부 통공(192)은 하부 하우징부(190)의 중앙에 구비되어, 스위치부(130)의 중앙 누룸부(133)(또는 상하날개부(135) 또는 좌우날개부(137))가 눌러짐에 따라, 스위치부(130)의 중앙 이동부(140)가, 하부 하우징부(190)의 이동부 통공(192)을 통해 LED 램프(10)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도 6은 도 3의 사이드 캡의 상부 하우징부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상부 하우징부(110)는 플러그단자용 통공(121), 스위치부용 통공(131),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을 구비한다.
스위치부용 통공(131)은, 십자형 통공으로서, 중앙에 사각형 통공을 구비하고, 사각형 통공의 좌우측 중앙에 날개형 통공을 구비하되, 날개형 통공의 단면은 C자형을 이룬다. 스위치부용 통공(131)에, 스위치부(130)의 상단, 즉, 중앙 누룸부(133), 상하날개부(135), 좌우날개부(137)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된다.
플러그단자용 통공(121)은 스위치부용 통공(131)의 좌우측에 위치되되, 날개형 통공의 C자형 단면과 이격되어, 위치된다. 경우에 따라서 플러그단자용 통공(121)은, 전도성 금속의 링 등에 의해, 플러그단자(120)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도 1 및 도 6 등에서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은 플러그단자용 통공(121)의 옆에 위치시키고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은 상부 하우징부(110), 하부 하우징부(190), 방열부(12)를 함께 고정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든 위치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사이드 캡의 스위치부의 정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의 사이드 캡의 스위치부의 후면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스위치부(130)는 중앙 누룸부(133), 상하날개부(135), 좌우날개부(137), 중앙 이동부(140), 플러그단자 거치부(142), 스위치부 지지판(145), 간격유지용 막대부(1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중앙 누룸부(133), 상하날개부(135), 좌우날개부(137)는 누룸부라 할 수 있으며, 누름부는 스위치부 지지판(145)의 위에 설치되며, 상부 하우징부(110)의 스위치부용 통공(131)에 삽입된다. 중앙 누룸부(133), 상하날개부(135), 좌우날개부(137)는 연설되어 있을 수 있다.
중앙 누룸부(133)는 원통형으로 스위치부(130)의 중앙, 즉 스위치부 지지판(145)의 중앙에 위치되어, 상부 하우징부(110)의 스위치부용 통공(131)에서 중앙에 삽입되는 것으로, 사이드 캡(100)이 소켓(200)과 결합시 중앙 직선형 주로(215)의 중간부에 위치되어 이를 회전축으로 사이드 캡(100)이 회전하되, 사이드 캡(100)의 플러그단자(120)가 원형 주로(250)을 따라 회전하여, 플러그단자(120)가 소켓단자 홈(240)과 결합하게 한다.
좌우날개부(137)는 삼각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스위치부(130)의 중앙, 즉 스위치부 지지판(145)의 중앙을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좌우날개부(137) 상부의 중간에 중앙 누룸부(133)가 설치된다. 좌우날개부(137)는 상부 하우징부(110)의 스위치부용 통공(131)에서 중앙에 있는 사각형 통공에 삽입된다.
상하날개부(135)는 삼각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면이 C자형을 이루며, 스위치부(130)의 중앙, 즉 스위치부 지지판(145)의 중앙을 상하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며, 상하날개부(135) 상부의 중간에 중앙 누룸부(133)가 위치된다. 상하날개부(135)의 양단과 이격되어 플러그단자(120)가 설치된다. 상하날개부(135)의 상하길이는 좌우날개부(137)의 좌우길이보다 작다.
상하날개부(135), 좌우날개부(137)가 교차되는 부분에 중앙 누룸부(133)가 위치되며, 중앙 누룸부(133)의 높이가, 상하날개부(135), 좌우날개부(137)의 높이보다 더 높다.
중앙 이동부(140)는 하단은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단은 4개의 막대로 나뉘어, 상기 4개의 막대(148) 각각이 스위치부 지지판(145)의 4개의 지지판 통공(149)에 삽입된 후, 누룸부의 밑에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플러그단자(120)가 소켓(200)에 장착되어질 경우, 누름부(중앙 누룸부(133), 상하날개부(135) 또는 좌우날개부(137))가 눌러짐에 따라, 중앙 이동부(140)의 일단이 이동부 통공(192)을 통해 LED 램프(10)의 내측으로 가게 된다. 이때 중앙 이동부(140)의 일단이 이동부 통공(192)을 통해 LED 램프(10)의 내측으로 가게 되는 정도를, 간격유지용 막대부(147)가 제한한다.
플러그단자 거치부(142)는 스위치부 지지판(145)의 양측에 위치되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ㄷ자형으로 이루어진다. 플러그단자 거치부(142)는 상부 하우징부(110)의 플러그단자용 통공(121)의 밑에 위치되어, 플러그단자(120)를 커버하여, 쇼트(단락)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보호한다. 즉, 상부 하우징부(110)에 스위치부(130)를 장착할 경우, 상부 하우징부(110)의 플러그단자용 통공(121)의 밑에, 스위치부(130)의 플러그단자 거치부(142)가 위치된다. 플러그단자 거치부(142)의 일측은,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에 삽입된 나사가 지나가도록, 사면을 이룰 수 있다.
스위치부 지지판(145)은, 중앙에 4개의 지지판 통공(149)이 2행2열을 이루며, 즉,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2개의 지지판 통공(149)의 수직으로 정렬하고, 우측에 2개의 지지판 통공(149)의 수직으로 정렬한다. 4개의 지지판 통공(149)의 양측의 하면, 즉, 좌우측에 수직으로 정렬된 2개의 지지판 통공(149)의 일측 중간의 하면에 간격유지용 막대부(147)를 구비한다. 간격유지용 막대부(147)가 위치된 일측에는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가 삽입되기 위한 전원연결단자용 통공(139)이 위치되고, 그 옆에 플러그단자 거치부(142)가 연설되어 있다.
간격유지용 막대부(147)는 스위치부 지지판(145)의 양측 하면에 장착되되, 중앙 이동부(140)와 플러그단자(12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간격유지용 막대부(147)는 중앙 이동부(140)의 일단이 이동부 통공(192)을 통해 LED 램프(10)의 내측으로 가게 되는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다. 간격유지용 막대부(147)는, 도 5에서와 같이, 외측부에서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과 접촉되는 면이 사면(141)을 이루며, 다시말해,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과 접촉되는 면은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사면(141)으로 이루어짐에 의해, 누름부(중앙 누룸부(133), 상하날개부(135) 또는 좌우날개부(137))가 눌러짐에 따라,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도 접혀져 줄어들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게 한다.
즉, 플러그단자(120)가 소켓(200)에 장착되어질 경우, 누름부(중앙 누룸부(133), 상하날개부(135) 또는 좌우날개부(137))가 눌러짐에 따라, 중앙 이동부(140)의 일단이 이동부 통공(192)을 통해 LED 램프(10)의 내측으로 가게 되며, 동시에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도 접혀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는 플러그단자(120)와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플러그단자(120)가 소켓(200)에 장착되어질 경우만,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는 플러그단자(120)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플러그단자용 통공(121)이, 전도성 금속의 링 등에 의해, 플러그단자(120)와 접촉되도록 이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플러그단자(120)가 소켓(200)에 장착여부와 상관없이,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는 플러그단자(120)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사이드 캡의 LED모듈 전원연결단자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는, 상부 하우징부(110)과 하부 하우징부(190)의 사이에 위치하는 플러그단자 접촉부(183)과, 하부 하우징부(190)의 전원연결단자용 통공(194)에 삽입되어 LED 램프(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LED모듈 연결부(18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플러그단자 접촉부(183)와 LED모듈 연결부(187)의 사이에 단차(182)를 형성하여, LED모듈 연결부(187)가 전원연결단자용 통공(194)에 삽입되는 위치를 한정한다. 즉,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는 중간부에서 부터 하단은 폭이 적게 하여 단차(182)를 형성하며, 상기 단차(182)로부터 하단까지를 LED모듈 연결부(187)이고, 상기 단차(182)로부터 상단까지를 플러그단자 접촉부(183)이다.
플러그단자 접촉부(183)의 상단은, 스위치부(130)의 전원연결단자용 통공(139)을 통해, 상부 하우징부(110)의 하면, 즉, 간격유지용 막대부(147)와 플러그단자(120)의 사이에 위치되는 상부 하우징부(110)의 하면과 접촉된다.
플러그단자 접촉부(183)의 중간에는 반구형 주름부(185)를 구비한다. 반구형 주름부(185)는 C자형으로 이루어진 주름으로, 반구형 주름부(185)의 볼록한 부분은 간격유지용 막대부(147)의 사면(141)과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반구형 주름부(185)는 누름부(중앙 누룸부(133), 상하날개부(135) 또는 좌우날개부(137))가 눌러짐에 따라, 반구형 주름부(185)의 길이(반경)(189)이 줄어들면서, 반구형 주름부(185)의 일측이 플러그단자(120)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반구형 주름부(185)의 볼록한 부분이 접촉하는, 간격유지용 막대부(147)의 사면(141)의 접촉부도 변동되게 된다.
도 10는 도 4의 사이드 캡의 하부 하우징부의 정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11은 도 4의 사이드 캡의 하부 하우징부의 배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하부 하우징부(190)의 상면(196)은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 전원연결단자용 통공(194), 이동부 통공(192)을 구비한다.
이동부 통공(192)은 하부 하우징부(190)의 중앙에 구비되어, 이동부 통공(192)의 반경은 중앙 이동부(140)의 반경보다 크다.
전원연결단자용 통공(194)은, 큰 직사각형 통공의 중간에 작은 직사각형 통공이 붙어있는 형태로, 'ㅏ'자형을 이루며, 작은 직사각형의 세로길이는 전원연결단자(180)의 LED모듈 연결부(187)의 폭보다 크거나 같으며,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의 플러그단자 접촉부(183)의 폭보다는 작도록 이루어진다. 즉, 전원연결단자용 통공(194)의 큰 직사각형 통공을 통해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를 삽입한 후, 전원연결단자용 통공(194)의 작은 직사각형 통공에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의 단차(182)가 걸리도록 하여 고정한다.
하부 하우징부(190)의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은, 상부 하우징부(110)의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을 통과한 나사가 통과하여 고정되는 통공이다. 즉, 하부 하우징부(190)의 하부 테두리부(197)에는 방열부(12)뿐만아니라 방열부(12)와 결합한 투광부(13)가 장착된 후, 하부 하우징부(190)의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에, 상부 하우징부(110)의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을 통과한 나사를 통과하여 고정한다.
하부 하우징부(190)의 하부 테두리부(197)는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이 있는 부위에는 구비되지 않는다.
도 12는 도 3의 사이드 캡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부 하우징부(110)의 플러그단자용 통공(121)에 플러그단자(120)의 일단을 삽입하고, 상부 하우징부(110)의 스위치부용 통공(131)에 스위치부(130)의 누름부가 돌출되도록 삽입한다.
그리고, 스위치부(130)의 중앙 이동부(140)에 스프링(175)을 장착한다.
다음은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의 일단을 하부 하우징부(190)의 전원연결단자용 통공(194)에 삽입, 고정한다.
그리고,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의 일단을 고정한 하부 하우징부(190)를, 상부 하우징부(110)의 밑에 장착하되, 스위치부(130)의 간격유지용 막대부(147)와 플러그단자(120)의 사이에,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에 나사를 삽입, 고정한다.
도 13a는 도 3의 중앙 누룸부가 눌러졌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13b는 도 3의 중앙 누룸부가 눌러졌을 때의 LED모듈 전원연결단자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3a의 (a) 및 도 13b의 (a)는 중앙 누룸부가 눌러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며, 도 13a의 (b) 및 도 13b의 (b)는 중앙 누룸부가 눌러졌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3b의 (a)에서와 같이, 플러그단자 거치부(142)는 ㄷ자형으로 이루어지면, 전면 일측에는 방열부 고정용 통공(112)에 삽입된 나사가 지나가도록 사면(144)을 이루며, 후면은 아래로 갈 수록 두께가 커지는 사면(143)을 이룬다. 플러그단자 거치부(142)의 후면의 사면(143)은, 간격유지용 막대부(147)의 사면(141)과 함께,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가 삽입되는 사선형태의 통로(181)를 형성한다.
도 13a의 (b)에서와 같이, 중앙 누룸부(133)가 눌러짐에 따라, 중앙 이동부(140)의 일단이 이동부 통공(192)을 통해 LED 램프(10)의 내측으로 가게 된다. 이때 중앙 이동부(140)의 일단이 이동부 통공(192)을 통해 LED 램프(10)의 내측으로 가게 되는 정도를, 간격유지용 막대부(147)가 제한한다.
도 13b의 (b)에서와 같이, LED모듈 전원연결단자(180)의 반구형 주름부(185)는 중앙 누룸부(133)가 눌러짐에 따라, 반구형 주름부(185) 부위가 접혀져, 반구형 주름부(185)의 길이(반경)(189)가 줄어들면서, 반구형 주름부(185)의 일측이 플러그단자(120)에 접촉하게 된다.
다음은 LED 램프용 사이드 캡과 결합되는 소켓을 설명한다.
도 14는 도 2의 LED 램프와 본 발명의 소켓의 결합을 설명하기위한 모식도이고, 도 15은 도 14의 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소켓의 정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소켓의 단면도(B-B')이고, 도 18은 도 14의 LED 램프와 소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에서와 같이, 소켓(200)에 LED 램프(10)의 사이드캡(10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소켓(200)은 등기구몸체(30)의 양단(양측)에 장착되되, 경우에 따라서는 도 14에서와 같이, 소켓 커버부(40)를 구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소켓 커버부(40)에 컨버터(31) 또는 안정기(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소켓(200)은, 도 15에서와 같이, 정면 중앙의 상부에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210)을 구비하며,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210)은 중앙 직선형 주로(215)와 연결된다.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210)과 중앙 직선형 주로(215)은 그 폭이 동일하다.
중앙 직선형 주로(215)의 상부는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210)과 연결되며, 그 하부는 원형 주로(250)의 일측과 만나게(연결되게) 되며, 중앙 직선형 주로(215)의 하단은, 만나진 원형 주로(250)가 끝나는 부분과 같다. 또한 소켓(200)은,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의 밑에 위치되며, 정면에 원형으로 이루어진 홈으로, 원형 주로(링형 주로)(250)을 형성하기 위한 원형 벽(225)을 구비한다.
소켓(200)은, 중앙 직선형 주로(215)의 좌우 양측에, 반원형태의 통으로 이루어진 반원통형 지지대(220)를 구비한다. 반원통형 지지대(220)는 일측은 평탄한 면을 구비하며, 다른 일측은 반원형의 곡면을 구비한다. 좌우 양측의 반원통형 지지대(220)의 평탄한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반원통형 지지대(220)가 설치된다.
좌우 양측의 반원통형 지지대(220)의 곡면을 따라 원형 주로(250)가 구비된다.
원형 주로(250)의 중간부분에 소켓단자 홈(240)이 구비되되, 소켓단자 홈(240)은, 원형 주로(250) 상에서, 반원통형 지지대(220)의 중앙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소켓단자 홈(240)은 하면에 전원과 연결된 소켓단자(미도시)가 내장되어 있으며, 사이드캡(100)의 플러그단자(120)가 삽입되면, 소켓단자(미도시)와 플러그단자(120)가 연결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사이드캡(100)의 플러그단자(120)가 삽입되면, 소켓(200)의 소켓단자 홈(240)을 통해 유입된 전원(전력, 전압, 전류)을, 플러그단자(120)를 통해 광원모듈(11)로 전달할 수 있다.
사이드 캡(100)의 2개의 플러그단자(120)와 중앙 누룸부(133)가 수직선을 이루도록 하여, 2개의 플러그단자(120)와 중앙 누룸부(133)를, 소켓(200)의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210)에, 삽입하여 통과시켜, 소켓(200)의 중앙 직선형 주로(215)의 중앙에, 사이드 캡(100)의 중앙 누룸부(133)가 위치되게 한다. 이렇게 되면, 사이드 캡(100)의 2개의 플러그단자(120)는 원형 주로(250)에 위치되게 된다.
소켓(200)의 중앙 직선형 주로(215)의 중앙에 위치된 사이드 캡(100)의 중앙 누룸부(133)를 회전축으로 하여, 사이드 캡(100)이 회전하게 되면, 사이드 캡(100)의 플러그단자(120)가 원형 주로(250)을 따라 회전하여, 플러그단자(120)가 소켓단자 홈(240)과 만나게 되면, 플러그단자(120)가 소켓단자 홈(240)에 삽입되어 결합하게 된다.
도 19는 도 14의 LED 램프와 소켓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LED 램프의 플러그단자가 소켓의 소켓단자 홈에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21은 도 19의 LED 램프의 플러그단자가 소켓의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에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9의 (a)는 사이드 캡(100)의 2개의 플러그단자(120)와 중앙 누룸부(133)가 수직선을 이루도록 하여, 소켓(200)의 중앙 직선형 주로(215)에 삽입한 상태이다. 도 19의 (b)는 사이드 캡(100)의 플러그단자(120)가 소켓(200)의 소켓단자 홈(240)에 결합된 상태이다.
도 20의 (a)는 사이드 캡(100)의 2개의 플러그단자(120)와 중앙 누룸부(133)가 수직선을 이루도록, 소켓(200)의 중앙 직선형 주로(215)에 삽입된 상태이고, 도 20의 (b)는 도 20의 (a)의 중앙 누룸부(133)를 회전축으로 하여 플러그단자(120)를 원형 주로(250)를 따라 조금(약, 원형 주로의 원주길이 / 12) 회전한 상태이고, 도 20의 (c)는 도 20의 (b)에서 플러그단자(120)를 원형 주로(250)를 따라 조금 더(약, 원형 주로의 원주길이 / 12 만큼 더) 회전한 상태이고, 도 20의 (d)는 도 20의 (c)에서 플러그단자(120)를 원형 주로(250)를 따라 더 회전하여 플러그단자(120)를 소켓단자 홈(240)에 결합한 상태이다.
도 21의 (a)는 사이드 캡(100)의 2개의 플러그단자(120)와 중앙 누룸부(133)가 수직선을 이루도록 하여, 소켓(200)의 중앙 직선형 주로(215)에 삽입하기 전 상태이고, 도 21의 (b)는 도 21의 (a)에서 하부의 플러그단자(120)가 중앙 직선형 주로(215)에 삽입한 상태이고, 도 21의 (c)는 중앙 누룸부(133)가 중앙 직선형 주로(215)에 삽입시, 상하날개부(135)와 좌우날개부(137)의 위치를 나타내고, 도 21의 (d)는 사이드 캡(100)의 2개의 플러그단자(120)와 중앙 누룸부(133)가 수직선을 이루도록, 소켓(200)의 중앙 직선형 주로(215)에 삽입된 상태를 설명하기위한 모식도이다.
도 20의 (a) 및 도 21의 (d)의 경우, 소켓(200)의 반원통형 지지대(220)의 위에는 좌우날개부(137)가 위치되고, 중앙 직선형 주로(215)의 중간에 중앙 누룸부(133)가 위치한다.
도 20의 (d)의 경우, 소켓(200)의 반원통형 지지대(220)의 위에는 상하날개부(135)가 위치되고, 플러그단자(120)는 소켓단자 홈(240)에 삽입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LED 램프
11 : 광원모듈
12 : 방열부
13 : 투광부
30 : 등기구몸체
31 : 컨버터
40 : 소켓 커버부
100 : 사이드캡
110 : 상부 하우징부
112 : 발열부 고정용 통공
120 : 플러그단자
121 : 플러그단자용 통공
130 : 스위치부
131 : 스위치부용 통공
133 : 중앙 누룸부
135 : 상하날개부
137 : 좌우날개부
139 : 전원연결단자용 통공
140 : 중앙 이동부
142 : 플러그단자 거치부
145 : 스위치부 지지판
147 : 간격유지용 막대부
148 : 막대
149 : 지지판 통공
175 : 스프링
180 : LED모듈 전원연결단자
181 : 통로
182 : 단차
183 : 플러그단자 접촉부
185 : 반구형 주름부
187 : LED모듈 연결부
189 : 길이(반경)
190 : 하부 하우징부
192 : 이동부 통공
194 : 전원연결단자용 통공
197 : 하부 테두리부
200 : 소켓
210 :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
215 : 중앙 직선형 주로
220 : 반원통형 지지대
240 : 소켓단자 홈
250 : 원형 주로

Claims (27)

  1. LED 램프의 양단에 장착되며, 등기구몸체에 설치된 소켓과 결합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에 있어서,
    사이드캡의 상부를 감싸는 하우징부로, 상면 중앙에 스위치부용 통공을 구비하고, 스위치부용 통공의 좌우양측에 플러그단자용 통공을 구비하는, 상부 하우징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플러그단자용 통공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플러그단자;
    비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누룸부가 구비되고, 하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중앙 이동부를 구비하며, 스위치부용 통공에 누룸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스위치부;
    중앙 이동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스프링;
    사이드캡의 하부를 감싸는 하우징부로, 상부 하우징부의 하단에 장착되며, 중앙에 이동부 통공을 구비하여, 누룸부가 눌러짐에 따라 이동부 통공을 통해 중앙 이동부가 이동하게 하는, 하부 하우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캡.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 하우징부는 이동부 통공의 좌우 양측에 전원연결단자용 통공을 더 구비하며,
    C자형으로 이루어진 주름인 반구형 주름부를 일측에 구비하며, 전원연결단자용 통공에 삽입되는 LED모듈 전원연결단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3. 제2항에 있어서,
    스위치부는 하부에 막대형으로 이루어진 간격유지용 막대부를 더 구비하되, 간격유지용 막대부는 중앙 이동부와 플러그단자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4. 제3항에 있어서,
    간격유지용 막대부는 중앙 이동부가 이동부 통공을 통해 이동하는 정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5. 제3항에 있어서,
    LED모듈 전원연결단자는 간격유지용 막대부와 플러그단자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6. 제5항에 있어서,
    간격유지용 막대부에서, LED모듈 전원연결단자와 접촉되는 면은 사면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7. 제5항에 있어서,
    스위치부는 스위치부 지지판의 위에 누룸부가 설치되고, 스위치부 지지판의 하부에 중앙 이동부가 설치되며,
    누룸부는 스위치부 지지판의 중앙에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중앙 누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8. 제7항에 있어서, 누룸부는
    삼각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스위치부 지지판의 중앙을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좌우날개부;
    삼각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면이 C자형을 이루며, 스위치부 지지판의 중앙을 상하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는 상하날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9. 제8항에 있어서,
    좌우날개부와 상하날개부가 교차되는 부분에 중앙 누룸부가 위치되며, 중앙 누룸부의 높이가, 좌우날개부와 상하날개부의 높이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10.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부 및 하부 하우징부는 방열부 고정용 통공을 구비하여, 투광부와 결합된 방열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11. 제8항에 있어서,
    스위치부 지지판의 양측에 위치되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ㄷ자형으로 이루어진 플러그단자 거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12. 제11항에 있어서,
    플러그단자 거치부는 상부 하우징부의 플러그단자용 통공의 밑에 위치되어, 플러그단자용 통공에 장착된 플러그단자를 커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13. 제11항에 있어서, 소켓은
    정면의 중앙의 상부에 위치된 홈인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을 구비하며,
    정면의 중앙에 수직선으로 이루어진 중앙 직선형 주로를 구비하되, 중앙 직선형 주로는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과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 직선형 주로의 양측에는, 일측은 평탄한 면을 구비하며 다른 일측은 반원형의 곡면을 구비하는 반원통형 지지대를 구비하되, 반원통형 지지대의 평탄한 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반원통형 지지대의 곡면을 따라 원형 주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14. 제13항에 있어서,
    원형 주로의 중간부분에 플러그단자의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소켓단자 홈이 구비되되, 소켓단자 홈은 원형 주로 상에서, 반원통형 지지대의 중앙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15. 제14항에 있어서,
    중앙 누룸부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이 소켓과 결합시, 중앙 직선형 주로의 중간부에 위치되며,
    중앙 누룸부를 중심으로 사이드 캡을 회전하되, 사이드 캡의 플러그단자가 원형 주로를 따라 회전하여, 플러그단자가 소켓단자 홈과 결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16. 제11항에 있어서,
    LED모듈 전원연결단자는, 누름부가 눌러짐에 따라, 반구형 주름부가 좁혀지게 되어, 일측이 플러그단자에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
  17. LED 램프를 포함하는 램프의 양단에 장착되는 램프용 사이드 캡과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소켓에 있어서,
    정면의 중앙의 상부에 위치된 홈인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을 구비하며,
    정면의 중앙에 수직선으로 이루어진 중앙 직선형 주로를 구비하되, 중앙 직선형 주로는 중앙누룸부 통과용 홈과 연결되어 있으며,
    중앙 직선형 주로의 양측에는, 일측은 평탄한 면을 구비하며 다른 일측은 반원형의 곡면을 구비하는 반원통형 지지대를 구비하되, 반원통형 지지대의 평탄한 면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반원통형 지지대의 곡면을 따라 원형 주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18. 제17항에 있어서,
    원형 주로의 중간부분에, 사이드캡의 플러그단자의 일단이 삽입되기 위한 홈인 소켓단자 홈이 구비되되, 소켓단자 홈은 원형 주로 상에서, 반원통형 지지대의 중앙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19. 제18항에 있어서
    반원통형 지지대의 높이는 원형 주로의 외곽벽인 원형 벽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20. 제19항에 있어서, 램프용 사이드 캡은,
    사이드캡의 상부를 감싸는 하우징부로, 상면 중앙에 스위치부용 통공을 구비하고, 스위치부용 통공의 좌우양측에 플러그단자용 통공을 구비하는, 상부 하우징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플러그단자용 통공에 일단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플러그단자;
    비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에는 누룸부가 구비되고, 하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중앙 이동부를 구비하며, 스위치부용 통공에 누룸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스위치부;
    중앙 이동부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스프링;
    사이드캡의 하부를 감싸는 하우징부로, 상부 하우징부의 하단에 장착되며, 중앙에 이동부 통공을 구비하며, 이동부 통공의 좌우 양측에 전원연결단자용 통공을 구비하며, 누룸부가 눌러짐에 따라 이동부 통공을 통해 중앙 이동부가 이동하게 하는, 하부 하우징부;
    C자형으로 이루어진 주름인 반구형 주름부를 일측에 구비하며, 전원연결단자용 통공에 삽입되는 LED모듈 전원연결단자;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21. 제20항에 있어서,
    스위치부는 하부에 막대형으로 이루어진 간격유지용 막대부를 더 구비하되, 간격유지용 막대부는 중앙 이동부와 플러그단자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22. 제21항에 있어서,
    LED모듈 전원연결단자는 간격유지용 막대부와 플러그단자의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23. 제22항에 있어서,
    간격유지용 막대부에서, LED모듈 전원연결단자와 접촉되는 면은 사면으로 이루어지되, 하부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24. 제22항에 있어서,
    스위치부는 스위치부 지지판의 위에 누룸부가 설치되고, 스위치부 지지판의 하부에 중앙 이동부가 설치되며,
    누룸부는 스위치부 지지판의 중앙에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중앙 누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25. 제24항에 있어서, 누룸부는
    삼각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스위치부 지지판의 중앙을 좌우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좌우날개부;
    삼각통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단면이 C자형을 이루며, 스위치부 지지판의 중앙을 상하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는 상하날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26. 제25항에 있어서,
    스위치부 지지판의 양측에 위치되되,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ㄷ자형으로 이루어진 플러그단자 거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27. 제26항에 있어서,
    중앙 누룸부는, LED 램프용 사이드 캡이 소켓과 결합시, 중앙 직선형 주로의 중간부에 위치되며,
    중앙 누룸부를 중심으로 사이드 캡을 회전하되, 사이드 캡의 플러그단자가 원형 주로를 따라 회전하여, 플러그단자가 소켓단자 홈과 결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KR1020140071035A 2014-06-11 2014-06-11 엘이디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 KR101652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035A KR101652870B1 (ko) 2014-06-11 2014-06-11 엘이디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035A KR101652870B1 (ko) 2014-06-11 2014-06-11 엘이디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811A true KR20150142811A (ko) 2015-12-23
KR101652870B1 KR101652870B1 (ko) 2016-09-06

Family

ID=5508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035A KR101652870B1 (ko) 2014-06-11 2014-06-11 엘이디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8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80A (ko) * 2019-10-08 2021-04-16 금호전기주식회사 엘이디 램프용 감전보호 베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963B1 (ko) * 2010-12-17 2012-08-0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
KR101295176B1 (ko) * 2010-12-20 2013-08-09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
KR20130142904A (ko) * 2012-06-20 2013-12-30 테크룩스 주식회사 감전보호 베이스를 가지는 직관형 엘이디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963B1 (ko) * 2010-12-17 2012-08-0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
KR101295176B1 (ko) * 2010-12-20 2013-08-09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직관형 led 램프용 스위치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직관형 led 램프
KR20130142904A (ko) * 2012-06-20 2013-12-30 테크룩스 주식회사 감전보호 베이스를 가지는 직관형 엘이디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80A (ko) * 2019-10-08 2021-04-16 금호전기주식회사 엘이디 램프용 감전보호 베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870B1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9706B2 (ja) 端キャップ組立体
TWI435996B (zh) 防觸電燈管結構
AU2012101932A4 (en) Lamp Tubes
KR101129524B1 (ko) 방열 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램프 모듈 및 엘이디 램프 모듈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등
DK3188264T3 (en) LED DIAMOND LIGHT AND LIGHT
KR101349843B1 (ko) 조명 장치
KR20120055701A (ko) 조명기구
KR101652870B1 (ko) 엘이디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
JP5572073B2 (ja) ランプソケットおよび照明装置
JP5787609B2 (ja) 照明装置
KR100988409B1 (ko)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및 램프 홀더
US10374374B2 (en) Lamp base allowing for electrical contact in various rotational positions
KR101580256B1 (ko) 전구형 led 조명장치
KR101855316B1 (ko) 소켓형 엘이디 전구
JP5756906B2 (ja) 照明器具
JP2011171070A (ja) 照明器具
KR200469297Y1 (ko) 바형 엘이디 램프
JP5842133B2 (ja) 照明装置
CN207334618U (zh) 交通工具照明装置中的灯的保持设备和交通工具照明装置
JP2013165027A (ja) 照明装置
KR101152981B1 (ko) 엘이디 조명 등기구
RU115865U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комплекс
CN211146392U (zh) 灯座以及筒灯
EA024614B1 (ru) Светодиодный комплекс
JP5923709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