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138B1 -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138B1
KR101170138B1 KR1020110009741A KR20110009741A KR101170138B1 KR 101170138 B1 KR101170138 B1 KR 101170138B1 KR 1020110009741 A KR1020110009741 A KR 1020110009741A KR 20110009741 A KR20110009741 A KR 20110009741A KR 101170138 B1 KR101170138 B1 KR 101170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ulley
drill
fix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흥식
장일도
Original Assignee
장일도
김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일도, 김흥식 filed Critical 장일도
Priority to KR1020110009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9/00General-purpos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or devices; Sets of boring and/or drilling machines
    • B23B39/04Co-ordinate boring or drilling machines; Machines for making holes without previous mar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62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홀 자동 가공기에 관한 것으로써, 제어부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을 드릴링하고 있는 드릴부를 반복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스텝백시킬 시 상기 드릴부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을 드릴링하여 홀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 상기 홀내에 발생된 칩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홀내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드릴부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드릴링하여 상기 홀을 가공형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MICRO HOLE AUTOMATIC MACHINE}
본 발명은 제어부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을 드릴링하고 있는 드릴부를 반복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스텝백시킬 시 상기 드릴부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을 드릴링하여 홀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 상기 홀내에 발생된 칩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홀내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드릴부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드릴링하여 상기 홀을 가공형성할 수 있게 되는 마이크로 홀 자동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홀 가공기술은 기계의 가공기술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점차 고정밀화 및 고속화되고 있다.
특히, 미세홀 가공기술은 전자제품, 피시비(PCB), 아이씨(IC)의 마스크(MASK), 시계산업과 미세노즐, 광섬유 커넥터(Connector), 우주항공용 전자부품, 의료용 광학기기, 정밀공구 및 게이지(Gauge) 등의 분야로 적용범위가 확대되어 고속화와 심공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고도의 기능을 집적시킨 마이크로(Micro)부품의 개발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마이크로 홀(Micro hole) 가공 기술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마이크로 홀(Micro hole)가공은 가공에 트러블이 되는 직경 1mm이하를 말하며, 그 가공방법으로써 드릴(Drill)가공과 같은 기계적 가공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드릴(Drill)가공과 같은 기계적 가공방법을 통해 노즐에 미세홀을 가공할 시 드릴가공에 의해 노즐에 형성되는 홀내에 발생되는 칩 등을 포함한 이물질로 인해 노즐에 미세홀을 용이하게 가공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제어부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을 드릴링하고 있는 드릴부를 반복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스텝백시킬 시 상기 드릴부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을 드릴링하여 홀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 상기 홀내에 발생된 칩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홀내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드릴부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드릴링하여 상기 홀을 가공형성할 수 있게 되는 마이크로 홀 자동 가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드릴링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수용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대상물을 공급받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을 드릴링하는 드릴부와; 상기 드릴부가 상하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를 스텝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는 드릴링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파츠 피더와; 상기 파츠 피더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며, 진동에 의해 상기 파츠 피더로부터 공급되는 대상물을 상기 고정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타단부 방향으로 대상물이 순차적으로 개별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의 타측 전후방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각각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상물과 접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가 공급하는 대상물을 상기 고정부로 이송하는 이송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공급부가 공급하는 대상물을 파지하는 파지부재와; 상기 파지부재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재와 함께 좌우회전이동하여 상기 파지부재가 상기 고정부로 대상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는 이송판과; 상기 이송판이 하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송판을 좌우회전이동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대상물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판과; 상기 안착판의 상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턱과; 상기 안착판의 상부면에 안착된 대상물이 상기 고정턱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대상물을 상기 고정턱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230)의 로드의 단부에 'V' 또는 'U'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송판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릴부는 대상물의 상부에 일정깊이로 홀을 형성하는 에어스핀들유니트와;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에 위치고정된 대상물의 상부면을 매끈하게 가공하는 가공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고정부방향으로 전후이동하는 전후이동부재와; 상기 전후이동부재를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고정부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의 상부면을 매끈하게 가공하는 가공부재와; 상기 가공부재가 하단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공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근거로 상기 고정부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를 스텝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드릴부에 상기 드릴부가 상기 고정부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을 드릴링하는 과정 중에 상기 드릴부에 가해지는 응력을 측정하는 응력측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력측정부가 측정한 응력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응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고정부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를 스텝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응력측정부는 로드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응력측정부는 스트레인게이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함수, 수학식을 근거로 상기 고정부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를 스텝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드릴부가 드릴링한 대상물의 측면을 드릴링하는 측면드릴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대상물의 측면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측면드릴부를 스텝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측면드릴부는 대상물의 측면에 일정깊이로 홀을 형성하는 에어스핀들유니트와;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와; 수평상태로 눕혀진 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 수평상태로 눕혀진 대상물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제어부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을 드릴링하고 있는 드릴부를 반복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스텝백시킬 시 상기 드릴부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을 드릴링하여 홀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 상기 홀내에 발생된 칩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홀내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드릴부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을 보다 용이하게 드릴링하여 상기 홀을 가공형성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부프레임에서 상부프레임을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공급부가 대상물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공급부의 가이드레일의 하단부방향으로 대상물이 순차적으로 개별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고정부로 대상물이 공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8의 A - A선에 따른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2의 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2의 가공부가 대상물의 상부면을 가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드릴부가 상하방향으로 스텝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고,
도 14는 도 2의 측면드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회전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6은 측면드릴부가 대상물의 측면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5의 B - B선에 따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하부프레임(501)에서 상부프레임(502)을 분리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공급부(10), 고정부(20), 드릴부(3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공급부(10)의 내부에는 드릴링하고자 하는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도 3의 3)이 수용된다.
상기 공급부(10)의 타측에는 프레임(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5)은 하부프레임(501)과 상부프레임(50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501)은 지지프레임(501a)과 지지다리(50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501a)은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501b)는 상기 지지프레임(501a)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각각 수직형성되어 상기 지지프레임(501a)을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502)은 수직프레임(502a)와 수평프레임(50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프레임(502a)은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상부면 각 모서리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502b)은 상기 수직프레임(502a)의 상단부 사이마다 일체형으로 각각 수평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부(20)는 상기 공급부(20)로부터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공급받아 수직상태로 위치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부(20)는 제 1고정부(20a)와 제 2고정부(2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고정부(20a)는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상부면 일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고정부(20b)는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상부면 중심부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드릴부(30)는 상기 고정부(20)의 제 2고정부(20b)의 상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수직상태로 위치고정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를 드릴링하여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에 일정깊이로 홀(도 13의 3a)을 가공형성할 수 있다.
상기 드릴부(30)는 에어스핀들유니트(310)와 상하이동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310)의 하측에는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310)내로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정역회전하여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에 일정깊이의 홀(3a)을 형성하는 미세드릴(도 13의 311)이 구비된다.
상기 미세드릴(311)이 하측에 구비된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310)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상하이동부재(320)는 몸체(321), 상하이동판(322), 리드스크류(323) 및 구동모터(3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321)는 상기 고정부(20)의 제 2고정부(20b)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후측 상부면 중심부에 일정높이로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체(321)의 전면 일측과 전면 타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1a)이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322)의 전면 중심부에는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310)가 수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322)의 전면 중심부에는 상기 에어스핀틀유니트(310)를 수직으로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32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22a)는 고정판(322a1)과 고정블럭(322a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22a1)은 상기 상하이동판(322)의 전면 중심부 하측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블럭(322a2)은 후측고정블럭(322a21)과 전측고정블럭(322a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고정블럭(322a21)은 상기 고정판(322a1)의 전면 상하측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각각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고정블럭(322a21)의 전측 중심부에는 상기 고정판(322a1)의 전면 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전측이 개방된 반원형상의 홈(322a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고정블럭(322a22)의 후측 중심부에는 상기 전측고정블럭(322a22)의 전방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후측이 개방된 반원형상의 홈(322a2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고정블럭(322a21)의 홈(322a211)과 상기 전측고정블럭(322a22)의 홈(322a222)내에 상기 에어스핀틀유니트(310)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전측고정블럭(322a22)의 후측 양단부는 상기 후측고정블럭(322a21)의 전측 양단부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에어스핀틀유니트(310)를 상기 후측고정블럭(322a21)방향으로 가압하여 밀착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322)의 후면 일측과 후면 타측에는 상기 몸체(321)의 가이드레일(321a)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레일(321a)을 따라 상하이동하는 제 1상하이동몸체(322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판(322)의 후면 중심부에는 제 2상하이동몸체(322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323)는 상기 몸체(321)의 가이드레일(321a)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321)의 전면 중심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323)의 상하단부는 상기 몸체(321)의 전면 상하측에 각각 베어링고정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323)는 상기 상하이동판(322)의 제 2상하이동몸체(322c)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정역회전하여 상기 상하이동판(322)을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24)는 상기 몸체(321)의 상부면 전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24)는 상기 리드스크류(323)의 상단부와 축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리드스크류(323)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외부의 전원공급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드릴부(30)의 상하이동부재(320)의 구동모터(324)를 제어하여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가 상하이동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프레임(5)의 하부프레임(501)의 외주면 또는 상기 프레임(5)의 상부프레임(502)의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고정부(20)의 제 2고정부(20b)에 의해 수직상태로 위치고정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를 일정깊이로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를 상하방향으로 스텝백(step back)시키기 위해 상기 드릴부(30)의 상하이동부재(320)의 구동모터(324)를 제어하게 된다.
도 3은 공급부(10)가 대상물(3)을 공급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공급부(10)의 가이드레일(120)의 하단부방향으로 대상물(3)이 순차적으로 개별공급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는 파츠 피더(110), 가이드레일(120) 및 실린더(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츠 피더(110)의 내부에는 드릴링하고자 하는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이 일정량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파츠 피더(110)의 하부에는 상기 파츠 피더(11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부(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는 지지판(111)과 지지다리(1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10)의 상부면 중심부에는 상기 파츠 피더(110)가 수직으로 안착된 상태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112)는 상기 지지판(110)의 하부면 각 모서리에 각각 수직형성되어 상기 지지판(110)과 함게 상기 파츠 피더(11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파츠 피더(110)는 전자부품 생산라인, 사출작업, 연속조립작업 등 부품 공급을 필요로 하는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써, 내부에 수용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파츠 피더(110)의 상부와 연통되는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일단부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20)은 상기 파츠 피더(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20)은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프레임(501) 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20)은 상기 파츠 피더(110)로부터 공급되는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상기 고정부(2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20)은 바닥판(121), 전측판(122), 후측판(123) 및 타측판(1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닥판(121)은 상기 파츠 피더(110)의 상부와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상부면 일측 중심부 사이에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프레임(501a)의 상부면 일측 중심부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판(122)은 상기 바닥판(121)의 전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판(123)은 상기 바닥판(121)의 후측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판(124)은 상기 바닥판(121)의 타단부에 수직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바닥판(121)의 하부면에는 전기식 바이브레이터, 유압식 바이브레이터 등의 공지된 바이브레이터를 포함한 진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진동부가 상기 가이드레일(120)로 전달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파츠 피더(110)가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일단부로 공급하는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은 상기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20)로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30)는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이 순차적으로 개별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측 전후방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각각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상물(3)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130)는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전측실린더(131)와 후측실린더(13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실린더(131)는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측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측실린더(131)는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상부면 일측에 볼트고정되는 고정판(503)의 상부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503)은 수평고정판(503a)과 수직고정판(503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고정판(503a)은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측 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상부면 일측에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고정판(503b)은 상기 수평고정판(503a)의 전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실린더(131)는 상기 수직고정판(503b)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측실린더(131)의 로드(131a)는 상기 고정판(503)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전측판(122)의 타측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전측판(122) 타측과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후측판(123) 타측에는 상측이 개방된 가이드슬릿(도 7의 122a, 도 5의 123a)이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판(122)의 가이드슬릿(122a)과 상기 타측판(124)의 전측 사이의 이격거리(도 4의 d1)은 상기 후측판(123)의 가이드슬릿(123a)과 상기 타측판(124)의 후측 사이의 이격거리(도 4의 d2)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전측실린더(131)의 로드(131a)의 후단부에는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과 접하는 지지판(133)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33)은 제 1수직지지판(133a)과 제 2수직지지판(133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직지지판(133a)은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수직지지판(133b)은 상기 제 1수직지지판(133a)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 1수직지지판(133a)의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실린더(132)는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측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상부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후측실린더(132)는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상부면 일측에 볼트고정되는 고정판(504)의 상부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504)은 수평고정판(504a)과 수직고정판(504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고정판(504a)은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측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상부면 일측에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고정판(504b)은 상기 수평고정판(504a)의 후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실린더(132)는 상기 수직고정판(504b)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실린더(132)의 로드(132a)는 상기 고정판(504)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후측판(123)의 타측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될 수 있다.
상기 후측실린더(132)의 로드(132a)의 전단부에는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과 접하는 지지판(134)이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134)은 제 1수직지지판(134a)과 제 2수직지지판(134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직지지판(134a)은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수직지지판(134b)은 상기 제 1수직지지판(134a)의 타단부에서 상기 제 1수직지지판(134a)의 전방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측실린더(131)의 로드(131a)와 상기 후측실린더(132)의 로드(132a)의 길이는 최초 길이가 늘어나 있는 상태이며,
이때, 상기 전측실린더(131)의 로드(131a)의 지지판(133)의 제 2수직지지판(133b)은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전측판(122)의 가이드슬릿(122a)을 관통하여 상기 전측판(122)과 후측판(123) 사이로 인입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후측실린더(132)의 로드(132a)의 지지판(134)의 제 2수직지지판(134b)은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후측판(123)의 가이드슬릿(123a)을 관통하여 상기 전측판(122)과 후측판(123) 사이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 중 어느 하나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상기 후측실린더(132)의 로드(132a)의 지지판(134)의 제 2수직지지판(134b)과 접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후측실린더(132)의 로드(132a)의 길이가 줄어들어 상기 로드(132a)의 지지판(134)의 제 2수직지지판(134b)이 상기 후측판(123)의 외부로 완전이탈되면,
상기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 중 어느 하나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실린더(131)의 로드(131a)의 지지판(133)의 제 2수직지지판(133b)과 접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다시 상기 후측실린더(132)의 로드(132a)의 길이가 늘어나 상기 후측실린더(132)의 로드(132a)의 지지판(134)의 제 2수직지지판(134b)이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후측판(123)의 가이드슬릿(123a)을 관통하여 상기 전측판(122)과 후측판(123) 사이로 인입되면,
상기 후측실린더(132)의 로드(132a)의 지지판(134)의 제 2수직지지판(134b)과 상기 전측실린더(131)의 로드(131a)의 지지판(133)의 제 2수직지지판(133b) 사이에는 1개의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이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측실린더(131)의 로드(131a)의 길이가 줄어들어 상기 로드(131a)의 지지판(133)의 제 2수직지지판(133b)이 상기 전측판(122)의 외부로 완전이탈되면,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측판(124) 방향으로 1개의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파츠피더(110), 가이드레일(120) 및 실린더(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공급부(10)를 통해 상기 고정부(20)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보다 용이하게 순차적으로 개별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고정부(20)로 대상물(3)이 공급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도 10은 도 8의 A - A선에 따른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가 공급하는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상기 고정부(20)로 이송하는 이송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50)는 파지부재(510), 이송판(520) 및 구동부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510)는 상기 공급부(10)의 실린더(130)가 순차적으로 1개씩 개별공급하는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파지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510)는 제 1파지부재(511)와 제 2파지부재(도 2의 51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파지부재(511)와 제 2파지부재(512)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좌우로 폭이 좁혀지거나 확장되어 수직상태인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파지하거나 파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파지부재(511)는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측판(124) 방향으로 1개씩 순차적으로 개별공급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 외주면을 파지하여 상기 고정부(20)의 제 1고정부(20a)로 이송한 후 상기 제 1고정부(20a)로 이송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파지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 제 2파지부재(512)는 상기 제 1고정부(20a)로 1개씩 순차적으로 개별공급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 외주면을 파지하여 상기 고정부(20)의 제 2고정부(20b)로 이송한 후 상기 제 2고정부(20b)로 이송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파지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 이송판(520)은 상기 파지부재(510)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재(510)와 함께 좌우회전이동하여 상기 파지부재(510)가 상기 고정부(20)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판(520)은 제 1이송판(521)과 제 2이송판(5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이송판(521)의 후단부 하부면에 상기 파지부재(510)의 제 1파지부재(511)가 볼트체결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이송판(522)의 후단부 하부면에 상기 파지부재(510)의 제 2파지부재(512)가 볼트체결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30)의 하측에는 상기 이송판(520)이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구동부재(53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이송판(520)의 전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이송판(520)의 후단부를 좌우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530)는 몸체(531), 구동모터(532), 풀리(533), 벨트(534) 및 실린더(535)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531)는 수직몸체(531a)와 수평몸체(531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몸체(531a)는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전측 상부면 일측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몸체(531b)는 상기 수직몸체(531a)의 상단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몸체(531b)는 상기 수직몸체(531a)의 상단부에서 상기 수직몸체(531a)의 상단부 후방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32)는 상기 수평몸체(531b)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32)의 구동축(532a)의 하측에 상기 제 1이송판(521)의 전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풀리(533)는 제 1풀리(533a)와 제 2풀리(도 9의 533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풀리(533a)는 상기 수평몸체(531b)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전측 상부면 일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풀리(533a)의 축(533a1)의 상단부는 상기 구동모터(532)의 구동축(532a)의 하단부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풀리(533b)는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전측 상부면 중간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풀리(533b)의 축(533b1)에는 상기 제 2이송판(522)의 전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벨트(534)는 상기 제 1풀리(533a)와 제 2풀리(533b)의 외주연에 감겨져 상기 구동모터(532)의 구동축(532a)의 정역회전력을 상기 풀리(533)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1이송판(521)과 제 2이송판(52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모터(532)의 구동축(532a)의 중간부와 상기 제 2풀리(533b)의 축(533b1)의 상단부에 각각 지지바(536)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536)는 상기 제 1이송판(521)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모터(532)의 구동축(532a)의 중간부에 전단부가 축결합되는 제 1지지바(536a)와;
상기 제 2이송판(522)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풀리(533b)의 축(533b1)의 상단부에 전단부가 축결합되는 제 2지지바(536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535)는 제 1실린더(535a)와 제 2실린더(535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실린더(535a)는 상기 제 1지지바(536a)의 후단부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실린더(535a)의 하측은 상기 제 1이송판(521)의 상부면에 볼트고정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실린더(535a)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제 1이송판(521)과 함께 상기 파지부재(510)의 제 1파지부재(511)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실린더(535b)는 상기 제 2지지바(536b)의 후단부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실린더(535b)의 하측은 상기 제 2이송판(522)의 상부면에 볼트고정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실린더(535b)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제 2이송판(522)과 함께 상기 파지부재(510)의 제 2파지부재(512)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파지부재(510), 이송판(520) 및 구동부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이송부(50)를 통해 상기 공급부(10)가 공급하는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상기 고정부(20)로 보다 더욱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1은 도 2의 고정부(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고정부(20a)와 제 2고정부(20b)로 구성되는 상기 고정부(20)는 안착판(210), 고정턱(220) 및 실린더(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면에는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이 수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턱(220)은 상기 안착판(210)의 후측상부면에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턱(220)은 일측 고정턱(221)과 타측 고정턱(2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고정턱(221)은 상기 안착판(210)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고정턱(222)은 상기 안착판(210)의 후측 상부면 타측에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230)는 상기 풀리(533)와 상기 안착판(2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상부면 일측과 중간에 각각 볼트고정되는 고정판(231)의 상부에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판(231)은 수평고정판(231a)과 수직고정판(231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고정판(231a)은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상부면 일측과 중간에 각각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고정판(231b)은 상기 수평고정판(231a)의 전측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230)는 상기 수직고정판(231b)의 상부에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안착판(210)에 수직으로 안착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이 상기 고정턱(220)의 전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230)는 전후방향으로 각각 길이가 신장되어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상기 고정턱(220)의 전면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안착판(210), 고정턱(220) 및 실린더(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부(20)의 실린더(230)가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상기 고정턱(220)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20)에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이 보다 더욱 용이하게 수직으로 위치고정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30)의 로드(230a)의 단부에는 'V' 또는 'U'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송판(232)이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의 실린더(230)의 로드(230a)의 단부에 'V' 또는 'U'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이송판(232)이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부(20)의 상기 실린더(230)가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상기 고정턱(220)에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밀착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2는 도 2의 가공부(60)가 대상물(3)의 상부면을 가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20)의 제 1고정부(20a)에 수직으로 위치고정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면을 매끈하게 가공하는 가공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공부(60)가 상기 고정부(20)의 제 1고정부(20a)에 수직으로 위치고정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거친면 또는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면에 형성된 가공잔여물 등을 포함한 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하여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면을 보다 매끈하게 평면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공부(60)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후이동부재(610), 가공부재(620) 및 구동부재(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재(610)는 상기 고정부(20)의 제 1고정부(20a) 방향으로 전후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재(610)는 수직몸체(611), 수평몸체(612) 및 실린더(6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몸체(611)는 상기 공급부(10)와 상기 드릴부(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는 상측이 개방된 가이드슬릿(501c)가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정될 수 있다.
상기 수직몸체(611)의 하부면 중심부에는 상기 가이드슬릿(501c)내에 수용되어 상기 가이드슬릿(501c)을 따라 전후이동하는 가이드바(611a)가 상기 가이드슬릿(501c) 방향으로 수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몸체(612)는 상기 수직몸체(611)의 상단부에서 상기 수직몸체(611)의 상단부 전방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613)는 상기 수직몸체(611)의 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 전후방향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613)의 전측은 상기 수직몸체(611)의 하측 후면에 볼트고정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실린더(613)는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수직몸체(611)를 전후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공부재(620)는 상기 전후이동부재(610)를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고정부(20)의 제 1고정부(20a)에 의해 수직으로 위치고정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면을 매근하게 가공할 수 있다.
상기 가공부재(620)는 회전축(621)과 회전날(62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621)은 상기 수평몸체(612)의 하부방향에 수직으로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622)은 상기 회전축(621)의 하단부에 외주연에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622)의 단면형상은 직각삼각형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날(622)은 상기 회전축(621)을 따라 정역회전하여 상기 고정부(20)의 제 1고정부(20a)에 수직으로 위치고정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면을 절삭하여 매끈하게 가공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630)는 상기 전후이동부재(610)의 수평몸체(612)의 상부면 전측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630)의 하단부에는 상기 가공부재(620)의 회전축(621)의 상단부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63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가공부재(620)의 회전축(621)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전후이동부재(610), 가공부재(620) 및 구동부재(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가공부(60)를 통해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면을 보다 더더욱 용이하게 매끈하게 평면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3는 드릴부(30)가 상하방향으로 스텝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측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일예로,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근거로 상기 고정부(20)의 제 2고정부(20b)에 의해 수직으로 위치고정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를 일정깊이로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를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스텝백(step back)시키기 위해 상기 드릴부(30)의 상하이동부재(320)의 구동모터(324)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에는 상기 설정값과 더불어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의 스텝백 횟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상기 설정값은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에 일정깊이로 형성할 홀(3a)의 상하깊이값을 의미한다.
가령,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미리 설정된 스텝백 횟수가 3회이고,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상기 설정값이 3mm인상태에서,
도 1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를 일정깊이로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가 최초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에 3mm깊이의 상기 홀(3a)를 형성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는 도 1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측 외부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후 도 13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는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로 다시 하강하여 3mm깊이의 상기 홀(3a)을 다시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는 총 3회로 상하방향으로 스텝백하면서 3mm씩 순차적으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에 상기 홀(3a)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근거로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를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를 보다 용이하게 상하방향으로 스텝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른 예로,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의 중심부에는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가 상기 고정부(20)의 제 2고정부(20b)에 의해 수직으로 위치고정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를 드릴링하는 과정 중에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로 가해지는 반발력 즉, 응력을 측정하는 응력측정부(도 2의 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응력측정부(40)가 측정한 응력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응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고정부(20)의 제 2고정부(20b)에 의해 수직으로 위치고정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를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를 상하방향으로 스텝백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미도시)에는 상기 기준 응력값과 더불어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의 스텝백 횟수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가령, 도 1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를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가 일정깊이로 드릴링하고 있는 과정 중에 상기 응력측정부(40)가 측정한 응력값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기준 응력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는 도 1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측 외부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후, 도 13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는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로 다시 하강하여 상기 홀(3a)을 다시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는 상기 응력측정부(40)가 측정한 응력값을 근거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스텝백횟수만큼 상하방향으로 스텝백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응력측정부(40)가 측정한 응력값과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기준 응력값을 비교하여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를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를 보다 용이하게 상하방향으로 스텝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응력측정부(40)는 공지된 로드셀 또는 공지된 스트레인게이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드셀 또는 스트레인게이지로 이루어지는 상기 응력측정부(40)를 통해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를 드릴링하는 과정 중에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에 가해지는 응력값을 보다 더욱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미리 설정된 함수, 수학식을 근거로 상기 고정부(20)의 제 2고정부(20b)에 의해 수직으로 위치고정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를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를 상하방향으로 스텝백시킬 수 있다.
도 14는 도 2의 측면드릴부(7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회전부재(73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가 드릴링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측면을 드릴링하는 측면드릴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드릴부(70)는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후측 상부면 타측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측면드릴부(70)는 에어스핀들유니트(710), 상하이동부재(720) 및 회전부재(7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드릴부(70)의 에어스핀들유니트(710) 및 상하이동부재(720)는 각각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 및 상하이동부재(320)와 동일하게 구성됨으로 이하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측면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측면드릴부(70)의 에어스핀들유니트(710)를 상하방향으로 스텝백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근거로 상기 측면드릴부(70)의 에어스핀들유니트(710)를 상하방향으로 스텝백시키거나,
상기 측면드릴부(70)의 에어스핀들유니트(710)의 중심부에 구비된 상기 응력측정부(40)가 측정한 응력값과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기준응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측면드릴부(70)의 에어스핀들유니트(710)를 상하방향으로 스텝백시키거나,
상기 제어부(미도시)에 미리 설정된 함수, 수학식을 근거로 상기 측면드릴부(70)의 에어스핀들유니트(710)를 상하방향으로 스텝백시킬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드릴부(30)의 에어스핀들유니트(310)의 스텝백과정과 동일함으로 이하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6은 측면드릴부(70)가 대상물(3)의 측면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5의 B - B선에 따른 배면도이다.
상기 측면드릴부(70)의 회전부재(730)는 도 15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몸체(731), 회전바퀴(732) 및 구동부재(7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731)는 상기 측면드릴부(70)의 에어스핀들유니트(7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상부면 타측에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몸체(731)의 상부면에는 수직상태에서 수평상태로 눕혀진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상측이 개방된 안착홈(731a)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퀴(732)는 상기 몸체(731)의 하측 내부에 수직으로 정역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퀴(732)의 상단부는 상기 안착홈(731a)의 바닥면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733)는 상기 회전바퀴(732)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731)의 타측면에 볼트고정된 상태로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733)는 구동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바퀴(732)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4 및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50)의 파지부재(510)는 제 3파지부재(5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이송부(50)의 이송판(520)은 제 3이송판(52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이송부(50)의 구동부재(530)의 풀리(533)는 제 3풀리(533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이송부(50)의 구동부재(530)의 실린더(535)는 제 3실린더(535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536)은 제 3지지바(536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파지부재(513)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좌우로 폭이 좁혀지거나 확장되어 수직상태인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파지하거나 파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제 3파지부재(513)는 상기 고정부(20)의 제 2고정부(20b)로 1개씩 순차적으로 개별공급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상부 외주면을 파지하여 상기 회전부재(730)의 몸체(731)로 이송할 수 있다.
상기 제 3이송판(523)의 후단부 하부면에는 구동모터(523a)가 볼트체결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구동모터(523a)는 상기 제 3파지부재(513)와 축결합되어 상기 제 3파지부재(513)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23a)가 상기 제 3파지부재(513)를 정역회전시킴에 따라 수직상태인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이 수평상태로 눕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3풀리(533c)는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지지프레임(501a)의 전측 상부면 타측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3풀리(533c)의 축(533c1)에는 상기 제 3이송판(523)의 전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3지지바(536c)는 상기 제 3이송판(52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3풀리(533c)의 축(533c1)의 상단부에 전단부가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벨트(534)는 상기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상기 제 3풀리(533c)의 외주연에 감겨져 상기 구동모터(532)의 구동축(532a)의 정역회전력을 상기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상기 제 3풀리(533c)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벨트(534)와 상기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상기 제 3풀리(533c)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상기 제 3풀리(533c)의 외주연에 상기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상기 제 3풀리(533c)의 중심부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삽입홈(533d)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벨트(534)의 내주면에 상기 삽입홈(533d)내에 삽입되는 삽입돌기(534a)가 일정간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3실린더(535c)는 상기 제 3지지바(536c)의 후단부에 수직으로 볼트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3실린더(535c)의 하측은 상기 제 3이송판(523)의 상부면에 볼트고정 또는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실린더(535c)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수평상태로 눕혀진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파지한 상태인 상기 제 3파지부재(513)를 하강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수평상태로 눕혀진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이 상기 몸체(731)의 안착홈(731a)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몸체(731)의 안착홈(731a)내에 수평상태로 눕혀진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이 안착되면, 도 1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드릴부(70)의 에어스핀들유니트(710)는 상하이동하여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측면에 일정깊이로 홀(3a)을 드릴링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드릴부(70)의 에어스핀들유니트(710)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측면에 일정깊이로 홀(3a)을 드릴링형성한 후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3파지부재(513)의 파지상태는 해제되고,
이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부재(733)는 도 16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바퀴(732)를 일정수로 간헐적으로 정역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안착홈(731a)내에 수평으로 안착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은 상기 회전바퀴(732)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간헐적으로 정역회전하게 된다.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회전바퀴(732)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 사이에 슬립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회전바퀴(732)의 외주면에 일정두께의 고무재질의 슬립방지층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안착홈(731a)내에 수평으로 안착된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이 간헐적으로 정역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3파지부재(513)는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다시 파지하게 되고,
이때, 상기 측면드릴부(70)의 에어스핀들유니트(710)는 도 16c)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이동하여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다른 측면에 일정깊이로 홀(3a)을 드릴링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드릴부(70)를 통해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의 양측면을 일정간격으로 보다 용이하게 드릴링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를 반복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스텝백시킬 시 상기 드릴부(30)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드릴링하여 홀(3a)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 상기 홀(3a)내에 발생된 칩 등을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홀(3a)내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드릴부(30)가 노즐 등을 포함한 대상물(3)을 보다 용이하게 드릴링하여 상기 홀(3a)을 가공형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현장사용 시스템 럿아웃 및 RPM측정을 위해 도 17과 같이 구성하였고, 그 측정결과는 하기와 같다.
측정 항목 측정횟수 평균
1 2 3
RPM 7350 7780 7520 7,550 rpm
런아웃 0.025 0.037 0.042 0.03
측정결과 평균 7550RPM정도 대역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공구의 런아웃( run-out)은 평균0.03㎛ 이었다.
현재 생산시스템의 생산조건에 따른 절삭력 분석을 하기 위해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스템을 구축하여 도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데이터 취득 시스템을 현장 장비에 구성하여 데이터를 취득하였으며, 다음 그래프는 취득된 각 분력의 데이터를 도식화 한것이다. Z축 추력이 step-back 반복에 따라 증가되는 양상을 볼 수 있으며, 깊이에 따라 추력이 점점 커짐을 볼 수 있다. 현재 최대 5kN정도의 절삭력을 보이고 있으며, 중간부에서 최대의 Z축 절삭저항이 걸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상대적으로 x, y방향 절삭분력은 작게 나왔다.
장비의 열악한 조건에서 숙련된 작업자의 노련한 손놀림으로 비교적 step-back 조건에 따른 절삭저항이 균일하게 작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현 작업자 외 다른 작업자가 생산에 참여시 많은 불량이 발생하고 있음을 감안하면, 중간정도의(총 5mm 깊이 중 2.5mm) 깊이에서 공구파손이 많이 이뤄졌음을 미뤄 짐작 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절삭 조건과 1 step에 있어 깊이조건을 적절하게 분산 시켜야 함을 알 수 있으며, 현재 작업자의 경우 5mm를 15~17회 정도 나눠 진행됨을 알 수 있으며, 장비 제작 시 이를 고려하여 제작해야 할 것이다.
Lab test 절삭력 분석을 하기 위해 도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스템을 구축하여 데이터를 취득하였다.
시험조건으로써, 0.3φ마이크로 드릴을 사용하였다.
데이터명 1회 절삭드릴 깊이(mm) 이송속도
F(mm/min)
회전속도(rpm)
0301 0.1 15 12,000
0302 0.1 30 12,000
0303 0.2 15 12,000
0304 0.2 30 12,000
0305 0.1 15 17,000
0306 0.1 30 17,000
0307 0.2 15 17,000
0308 0.2 30 17,000
Lab test 절삭력 취득 시스템을 구성하여 조건별 절삭력을 분석한 결과 도 2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도 21은 이송속도에 따른 절삭력 비교를 한 것으로 현 조건에 있어서 절삭속도(rpm)는 12,000rpm으로 고정하였고, 1회 step-back 깊이는 0.1mm로 하여 얻은 결과를 도식화 하였다.
최대 절삭력은 이송속도가 빠를수록 절삭력이 증가하였으며, 이송속도 증가에 따른 절삭력 증가는 비교적 덜하므로 최대 절삭저항이 생산조건에서 측정된 절삭력범위 이내에서 이송 속도를 올려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시스템이 구성되면 이에 대한 시험이 추가적으로 진행될 예정임.
절삭속도에 따른 절삭력 비교를 위해 1회 step-back 깊이를 0.2mm, 이송속도를 15m/min으로 설정하여 12,000rpm과 17,000rpm으로 나눠 비교 테스트를 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식화 하였다.
절삭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약간의 절삭저항이 감소하였으며, 절삭속도에 따른 절삭저항은 실험에 의해 속도가 증가되더라도 절삭저항이 감소하는 최대조건을 찾아 생산조건에 적용하는 게 유리할 것으로 사료됨.
step back 깊이에 따른 절삭저항을 비교 하기 위해 절삭속도와 이송속도는 각각 12,000rpm과 30m/min으로 설정하였고, step back 깊이는 0.1mm와 0.2mm로 세팅하여 각각의 절삭조건에 따른 절삭저항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도시하였다. step back 깊이가 클수록 절삭저항이 급격하게 증대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심공 마이크로 드릴링에 있어서 조건설정 시 조심스럽게 설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됨. step back은 생산성에도 관련되어 있고, 수동생산방식인 경우 작업자의 손놀림에 따라 공구파손 및 마모가 급격하게 발생하게 되는 주요요인으로 자동화 장비제작 시 이러한 조건의 변화가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10; 공급부, 20; 고정부,
30; 드릴부.

Claims (15)

  1. 드릴링하고자 하는 노즐로 이루어진 대상물(3)이 수용되는 공급부(10)와;
    상기 공급부(10)의 타측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501)과,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프레임(502)으로 구성되는 프레임(5)과;
    상기 공급부(10)로부터 대상물(3)을 공급받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20)와;
    상기 고정부(20)의 상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을 드릴링하는 드릴부(30)와;
    상기 드릴부(30)가 상하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를 스텝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10)는 드릴링하고자 하는 대상물(3)이 내부에 수용되는 파츠 피더(110)와;
    상기 파츠 피더(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며, 진동에 의해 상기 파츠 피더(110)로부터 공급되는 대상물(3)을 상기 고정부(20)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0)과;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대상물(3)이 순차적으로 개별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측 전후방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각각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상물(3)과 접하는 실린더(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10)가 공급하는 대상물(3)을 상기 고정부(20)로 이송하는 이송부(5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50)는 상기 공급부(10)가 공급하는 대상물(3)을 파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좌우로 폭이 좁혀지거나 확장되어 대상물(3)을 파지하거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제 1파지부재(511), 제 2파지부재(512) 및 제 3파지부재(513)로 구성되는 파지부재(510)와;
    상기 파지부재(510)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재(510)와 함께 좌우회전이동하여 상기 파지부재(510)가 상기 고정부(20)로 대상물(3)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파지부재(511)가 후단부 하부면에 체결되는 제 1이송판(521)과, 상기 제 2파지부재(512)가 후단부 하부면에 체결되는 제 2이송판(522)과, 후단부 하부면에 구동모터(523a)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523a)는 상기 제 3파지부재(513)와 축결합되는 제 3이송판(523)으로 구성되는 이송판(520)과;
    상기 이송판(520)이 하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송판(520)을 좌우회전이동시키기 위해 몸체(531)와, 상기 몸체(531)에 수직고정되고 구동축(532a)의 하측에 상기 제 1이송판(521)의 전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구동모터(532)와,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전측 상부면 일측과 중간 및 타측에 각각 축결합되는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제 3풀리(533c)로 구성되고 상기 제 1풀리(533a)의 축(533a1)의 상단부는 상기 구동모터(532)의 하단부와 축결합되고 상기 제 2풀리(533b)의 축(533b1)에 상기 제 2이송판(522)의 전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제 3풀리(533c)의 축(533c1)에 상기 제 3이송판(523)의 전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풀리(533)와, 상기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상기 제 3풀리(533c)의 외주연에 감겨져 상기 구동모터(532)의 구동축(532a)의 회전력을 상기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상기 제 3풀리(533c)로 전달하는 벨트(534)와, 상기 제 1이송판(521), 제 2이송판(522) 및 상기 제 3이송판(523)의 상부면에 각각 하측이 고정되는 제 1실린더(535a)와 제 2실린더(535b) 및 제 3실린더(535c)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판(520)과 함께 상기 파지부재(510)를 상하이동시키는 실린더(535)와, 상기 제 1이송판(521)과 제 2이송판(522) 및 제 3이송판(52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모터(532)의 구동축(532a)의 중간부와 상기 제 2풀리(533b)의 축(533b1)의 상단부 및 상기 제 3풀리(533c)의 축(533c1)의 상단부에 각각 축결합되는 제 1지지바(536a), 제 2지지바(536b) 및 제 3지지바(536c)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실린더(535a)와 제 2실린더(535b) 및 제 3실린더(535c)가 각각 후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바(536)로 구성되는 구동부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20)는 대상물(3)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판(210)과;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턱(220)과;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면에 안착된 대상물(3)이 상기 고정턱(2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대상물(3)을 상기 고정턱(220)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실린더(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230)의 로드(230a)의 단부에 'V' 또는 'U'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송판(232)이 구비되고,
    상기 드릴부(30)는 대상물(3)의 상부에 일정깊이로 홀(3a)을 형성하는 에어스핀들유니트(310)와;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311)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20)에 위치고정된 대상물(3)의 상부면을 매끈하게 가공하는 가공부(60)가 구비되고,
    상기 가공부(60)는 상기 고정부(20)방향으로 전후이동하기 위해 상기 공급부(10)와 상기 드릴부(30)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몸체(611)와, 상기 수직몸체(611)의 상단부 전방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몸체(612)와, 상기 수직몸체(611)의 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 고정되고, 전측이 상기 수직몸체(611)의 하측 후면에 연결되는 실린더(613)로 구성되는 전후이동부재(610)와;
    상기 전후이동부재(610)를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의 상부면을 매끈하게 가공하기 위해 상기 수평몸체(612)의 하부방향에 회전가능하게 수직구비되는 회전축(621)과, 상기 회전축(621)의 하단부 외주연에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회전날(622)로 구성되는 가공부재(620)와;
    상기 가공부재(620)가 하단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61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공부재(6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수평몸체(612)의 상부면 전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 상기 회전축(621)의 상단부가 축결합되는 구동부재(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설정값을 근거로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를 스텝백시키고,
    상기 드릴부(30)가 드릴링한 대상물(3)의 측면을 드릴링하는 측면드릴부(7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대상물(3)의 측면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측면드릴부(70)를 스텝백시키고,
    상기 측면드릴부(70)는 대상물(3)의 측면에 일정깊이로 홀(3a)을 형성하는 에어스핀들유니트(710)와;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71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720)와;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7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상부면 타측에 고정되고, 상부면에 수평상태로 눕혀진 대상물(3)이 안착되는 안착홈(731a)이 형성되는 몸체(731)와, 상기 몸체(731)의 하측 내부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바퀴(732)와, 상기 회전바퀴(732)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731)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구동부재(733)로 구성되어 상기 안착홈(731a)에 수평상태로 눕혀진 대상물(3)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바퀴(732)의 외주면에 슬립방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
  2. 드릴링하고자 하는 노즐로 이루어진 대상물(3)이 수용되는 공급부(10)와;
    상기 공급부(10)의 타측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501)과,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프레임(502)으로 구성되는 프레임(5)과;
    상기 공급부(10)로부터 대상물(3)을 공급받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20)와;
    상기 고정부(20)의 상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을 드릴링하는 드릴부(30)와;
    상기 드릴부(30)가 상하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를 스텝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10)는 드릴링하고자 하는 대상물(3)이 내부에 수용되는 파츠 피더(110)와;
    상기 파츠 피더(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며, 진동에 의해 상기 파츠 피더(110)로부터 공급되는 대상물(3)을 상기 고정부(20)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0)과;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대상물(3)이 순차적으로 개별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측 전후방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각각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상물(3)과 접하는 실린더(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10)가 공급하는 대상물(3)을 상기 고정부(20)로 이송하는 이송부(5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50)는 상기 공급부(10)가 공급하는 대상물(3)을 파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좌우로 폭이 좁혀지거나 확장되어 대상물(3)을 파지하거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제 1파지부재(511), 제 2파지부재(512) 및 제 3파지부재(513)로 구성되는 파지부재(510)와;
    상기 파지부재(510)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재(510)와 함께 좌우회전이동하여 상기 파지부재(510)가 상기 고정부(20)로 대상물(3)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파지부재(511)가 후단부 하부면에 체결되는 제 1이송판(521)과, 상기 제 2파지부재(512)가 후단부 하부면에 체결되는 제 2이송판(522)과, 후단부 하부면에 구동모터(523a)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523a)는 상기 제 3파지부재(513)와 축결합되는 제 3이송판(523)으로 구성되는 이송판(520)과;
    상기 이송판(520)이 하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송판(520)을 좌우회전이동시키기 위해 몸체(531)와, 상기 몸체(531)에 수직고정되고 구동축(532a)의 하측에 상기 제 1이송판(521)의 전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구동모터(532)와,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전측 상부면 일측과 중간 및 타측에 각각 축결합되는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제 3풀리(533c)로 구성되고 상기 제 1풀리(533a)의 축(533a1)의 상단부는 상기 구동모터(532)의 하단부와 축결합되고 상기 제 2풀리(533b)의 축(533b1)에 상기 제 2이송판(522)의 전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제 3풀리(533c)의 축(533c1)에 상기 제 3이송판(523)의 전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풀리(533)와, 상기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상기 제 3풀리(533c)의 외주연에 감겨져 상기 구동모터(532)의 구동축(532a)의 회전력을 상기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상기 제 3풀리(533c)로 전달하는 벨트(534)와, 상기 제 1이송판(521), 제 2이송판(522) 및 상기 제 3이송판(523)의 상부면에 각각 하측이 고정되는 제 1실린더(535a)와 제 2실린더(535b) 및 제 3실린더(535c)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판(520)과 함께 상기 파지부재(510)를 상하이동시키는 실린더(535)와, 상기 제 1이송판(521)과 제 2이송판(522) 및 제 3이송판(52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모터(532)의 구동축(532a)의 중간부와 상기 제 2풀리(533b)의 축(533b1)의 상단부 및 상기 제 3풀리(533c)의 축(533c1)의 상단부에 각각 축결합되는 제 1지지바(536a), 제 2지지바(536b) 및 제 3지지바(536c)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실린더(535a)와 제 2실린더(535b) 및 제 3실린더(535c)가 각각 후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바(536)로 구성되는 구동부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20)는 대상물(3)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판(210)과;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턱(220)과;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면에 안착된 대상물(3)이 상기 고정턱(2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대상물(3)을 상기 고정턱(220)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실린더(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230)의 로드(230a)의 단부에 'V' 또는 'U'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송판(232)이 구비되고,
    상기 드릴부(30)는 대상물(3)의 상부에 일정깊이로 홀(3a)을 형성하는 에어스핀들유니트(310)와;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311)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20)에 위치고정된 대상물(3)의 상부면을 매끈하게 가공하는 가공부(60)가 구비되고,
    상기 가공부(60)는 상기 고정부(20)방향으로 전후이동하기 위해 상기 공급부(10)와 상기 드릴부(30)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몸체(611)와, 상기 수직몸체(611)의 상단부 전방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몸체(612)와, 상기 수직몸체(611)의 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 고정되고, 전측이 상기 수직몸체(611)의 하측 후면에 연결되는 실린더(613)로 구성되는 전후이동부재(610)와;
    상기 전후이동부재(610)를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의 상부면을 매끈하게 가공하기 위해 상기 수평몸체(612)의 하부방향에 회전가능하게 수직구비되는 회전축(621)과, 상기 회전축(621)의 하단부 외주연에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회전날(622)로 구성되는 가공부재(620)와;
    상기 가공부재(620)가 하단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61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공부재(6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수평몸체(612)의 상부면 전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 상기 회전축(621)의 상단부가 축결합되는 구동부재(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드릴부(30)에 상기 드릴부(30)가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을 드릴링하는 과정 중에 상기 드릴부(30)에 가해지는 응력을 측정하는 응력측정부(4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력측정부(40)가 측정한 응력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응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를 스텝백시키고,
    상기 응력측정부(40)는 로드셀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릴부(30)가 드릴링한 대상물(3)의 측면을 드릴링하는 측면드릴부(7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대상물(3)의 측면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측면드릴부(70)를 스텝백시키고,
    상기 측면드릴부(70)는 대상물(3)의 측면에 일정깊이로 홀(3a)을 형성하는 에어스핀들유니트(710)와;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71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720)와;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7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상부면 타측에 고정되고, 상부면에 수평상태로 눕혀진 대상물(3)이 안착되는 안착홈(731a)이 형성되는 몸체(731)와, 상기 몸체(731)의 하측 내부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바퀴(732)와, 상기 회전바퀴(732)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731)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구동부재(733)로 구성되어 상기 안착홈(731a)에 수평상태로 눕혀진 대상물(3)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바퀴(732)의 외주면에 슬립방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
  3. 드릴링하고자 하는 노즐로 이루어진 대상물(3)이 수용되는 공급부(10)와;
    상기 공급부(10)의 타측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501)과,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프레임(502)으로 구성되는 프레임(5)과;
    상기 공급부(10)로부터 대상물(3)을 공급받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20)와;
    상기 고정부(20)의 상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을 드릴링하는 드릴부(30)와;
    상기 드릴부(30)가 상하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를 스텝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10)는 드릴링하고자 하는 대상물(3)이 내부에 수용되는 파츠 피더(110)와;
    상기 파츠 피더(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며, 진동에 의해 상기 파츠 피더(110)로부터 공급되는 대상물(3)을 상기 고정부(20)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0)과;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대상물(3)이 순차적으로 개별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측 전후방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각각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상물(3)과 접하는 실린더(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10)가 공급하는 대상물(3)을 상기 고정부(20)로 이송하는 이송부(5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50)는 상기 공급부(10)가 공급하는 대상물(3)을 파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좌우로 폭이 좁혀지거나 확장되어 대상물(3)을 파지하거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제 1파지부재(511), 제 2파지부재(512) 및 제 3파지부재(513)로 구성되는 파지부재(510)와;
    상기 파지부재(510)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재(510)와 함께 좌우회전이동하여 상기 파지부재(510)가 상기 고정부(20)로 대상물(3)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파지부재(511)가 후단부 하부면에 체결되는 제 1이송판(521)과, 상기 제 2파지부재(512)가 후단부 하부면에 체결되는 제 2이송판(522)과, 후단부 하부면에 구동모터(523a)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523a)는 상기 제 3파지부재(513)와 축결합되는 제 3이송판(523)으로 구성되는 이송판(520)과;
    상기 이송판(520)이 하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송판(520)을 좌우회전이동시키기 위해 몸체(531)와, 상기 몸체(531)에 수직고정되고 구동축(532a)의 하측에 상기 제 1이송판(521)의 전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구동모터(532)와,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전측 상부면 일측과 중간 및 타측에 각각 축결합되는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제 3풀리(533c)로 구성되고 상기 제 1풀리(533a)의 축(533a1)의 상단부는 상기 구동모터(532)의 하단부와 축결합되고 상기 제 2풀리(533b)의 축(533b1)에 상기 제 2이송판(522)의 전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제 3풀리(533c)의 축(533c1)에 상기 제 3이송판(523)의 전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풀리(533)와, 상기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상기 제 3풀리(533c)의 외주연에 감겨져 상기 구동모터(532)의 구동축(532a)의 회전력을 상기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상기 제 3풀리(533c)로 전달하는 벨트(534)와, 상기 제 1이송판(521), 제 2이송판(522) 및 상기 제 3이송판(523)의 상부면에 각각 하측이 고정되는 제 1실린더(535a)와 제 2실린더(535b) 및 제 3실린더(535c)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판(520)과 함께 상기 파지부재(510)를 상하이동시키는 실린더(535)와, 상기 제 1이송판(521)과 제 2이송판(522) 및 제 3이송판(52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모터(532)의 구동축(532a)의 중간부와 상기 제 2풀리(533b)의 축(533b1)의 상단부 및 상기 제 3풀리(533c)의 축(533c1)의 상단부에 각각 축결합되는 제 1지지바(536a), 제 2지지바(536b) 및 제 3지지바(536c)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실린더(535a)와 제 2실린더(535b) 및 제 3실린더(535c)가 각각 후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바(536)로 구성되는 구동부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20)는 대상물(3)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판(210)과;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턱(220)과;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면에 안착된 대상물(3)이 상기 고정턱(2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대상물(3)을 상기 고정턱(220)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실린더(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230)의 로드(230a)의 단부에 'V' 또는 'U'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송판(232)이 구비되고,
    상기 드릴부(30)는 대상물(3)의 상부에 일정깊이로 홀(3a)을 형성하는 에어스핀들유니트(310)와;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311)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20)에 위치고정된 대상물(3)의 상부면을 매끈하게 가공하는 가공부(60)가 구비되고,
    상기 가공부(60)는 상기 고정부(20)방향으로 전후이동하기 위해 상기 공급부(10)와 상기 드릴부(30)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몸체(611)와, 상기 수직몸체(611)의 상단부 전방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몸체(612)와, 상기 수직몸체(611)의 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 고정되고, 전측이 상기 수직몸체(611)의 하측 후면에 연결되는 실린더(613)로 구성되는 전후이동부재(610)와;
    상기 전후이동부재(610)를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의 상부면을 매끈하게 가공하기 위해 상기 수평몸체(612)의 하부방향에 회전가능하게 수직구비되는 회전축(621)과, 상기 회전축(621)의 하단부 외주연에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회전날(622)로 구성되는 가공부재(620)와;
    상기 가공부재(620)가 하단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61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공부재(6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수평몸체(612)의 상부면 전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 상기 회전축(621)의 상단부가 축결합되는 구동부재(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드릴부(30)에 상기 드릴부(30)가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을 드릴링하는 과정 중에 상기 드릴부(30)에 가해지는 응력을 측정하는 응력측정부(4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응력측정부(40)가 측정한 응력값과 미리 설정된 기준 응력값을 비교하여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를 스텝백시키고,
    상기 응력측정부(40)는 스트레인게이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드릴부(30)가 드릴링한 대상물(3)의 측면을 드릴링하는 측면드릴부(7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대상물(3)의 측면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측면드릴부(70)를 스텝백시키고,
    상기 측면드릴부(70)는 대상물(3)의 측면에 일정깊이로 홀(3a)을 형성하는 에어스핀들유니트(710)와;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71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720)와;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7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상부면 타측에 고정되고, 상부면에 수평상태로 눕혀진 대상물(3)이 안착되는 안착홈(731a)이 형성되는 몸체(731)와, 상기 몸체(731)의 하측 내부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바퀴(732)와, 상기 회전바퀴(732)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731)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구동부재(733)로 구성되어 상기 안착홈(731a)에 수평상태로 눕혀진 대상물(3)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바퀴(732)의 외주면에 슬립방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
  4. 드릴링하고자 하는 노즐로 이루어진 대상물(3)이 수용되는 공급부(10)와;
    상기 공급부(10)의 타측에 구비되는 하부프레임(501)과,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프레임(502)으로 구성되는 프레임(5)과;
    상기 공급부(10)로부터 대상물(3)을 공급받아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20)와;
    상기 고정부(20)의 상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을 드릴링하는 드릴부(30)와;
    상기 드릴부(30)가 상하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를 스텝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10)는 드릴링하고자 하는 대상물(3)이 내부에 수용되는 파츠 피더(110)와;
    상기 파츠 피더(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일단부에서 타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하향경사지며, 진동에 의해 상기 파츠 피더(110)로부터 공급되는 대상물(3)을 상기 고정부(20)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120)과;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대상물(3)이 순차적으로 개별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측 전후방에 각각 위치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각각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가이드레일(120)의 타단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대상물(3)과 접하는 실린더(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부(10)가 공급하는 대상물(3)을 상기 고정부(20)로 이송하는 이송부(50)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부(50)는 상기 공급부(10)가 공급하는 대상물(3)을 파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좌우로 폭이 좁혀지거나 확장되어 대상물(3)을 파지하거나 파지상태를 해제하는 제 1파지부재(511), 제 2파지부재(512) 및 제 3파지부재(513)로 구성되는 파지부재(510)와;
    상기 파지부재(510)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파지부재(510)와 함께 좌우회전이동하여 상기 파지부재(510)가 상기 고정부(20)로 대상물(3)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파지부재(511)가 후단부 하부면에 체결되는 제 1이송판(521)과, 상기 제 2파지부재(512)가 후단부 하부면에 체결되는 제 2이송판(522)과, 후단부 하부면에 구동모터(523a)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모터(523a)는 상기 제 3파지부재(513)와 축결합되는 제 3이송판(523)으로 구성되는 이송판(520)과;
    상기 이송판(520)이 하측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이송판(520)을 좌우회전이동시키기 위해 몸체(531)와, 상기 몸체(531)에 수직고정되고 구동축(532a)의 하측에 상기 제 1이송판(521)의 전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구동모터(532)와,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전측 상부면 일측과 중간 및 타측에 각각 축결합되는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제 3풀리(533c)로 구성되고 상기 제 1풀리(533a)의 축(533a1)의 상단부는 상기 구동모터(532)의 하단부와 축결합되고 상기 제 2풀리(533b)의 축(533b1)에 상기 제 2이송판(522)의 전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상기 제 3풀리(533c)의 축(533c1)에 상기 제 3이송판(523)의 전단부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풀리(533)와, 상기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상기 제 3풀리(533c)의 외주연에 감겨져 상기 구동모터(532)의 구동축(532a)의 회전력을 상기 제 1풀리(533a), 제 2풀리(533b) 및 상기 제 3풀리(533c)로 전달하는 벨트(534)와, 상기 제 1이송판(521), 제 2이송판(522) 및 상기 제 3이송판(523)의 상부면에 각각 하측이 고정되는 제 1실린더(535a)와 제 2실린더(535b) 및 제 3실린더(535c)로 구성되어 상기 이송판(520)과 함께 상기 파지부재(510)를 상하이동시키는 실린더(535)와, 상기 제 1이송판(521)과 제 2이송판(522) 및 제 3이송판(523)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모터(532)의 구동축(532a)의 중간부와 상기 제 2풀리(533b)의 축(533b1)의 상단부 및 상기 제 3풀리(533c)의 축(533c1)의 상단부에 각각 축결합되는 제 1지지바(536a), 제 2지지바(536b) 및 제 3지지바(536c)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실린더(535a)와 제 2실린더(535b) 및 제 3실린더(535c)가 각각 후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바(536)로 구성되는 구동부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20)는 대상물(3)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안착판(210)과;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고정턱(220)과;
    상기 안착판(210)의 상부면에 안착된 대상물(3)이 상기 고정턱(220)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대상물(3)을 상기 고정턱(220)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실린더(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230)의 로드(230a)의 단부에 'V' 또는 'U'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송판(232)이 구비되고,
    상기 드릴부(30)는 대상물(3)의 상부에 일정깊이로 홀(3a)을 형성하는 에어스핀들유니트(310)와;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311)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20)에 위치고정된 대상물(3)의 상부면을 매끈하게 가공하는 가공부(60)가 구비되고,
    상기 가공부(60)는 상기 고정부(20)방향으로 전후이동하기 위해 상기 공급부(10)와 상기 드릴부(30)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 전후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수직몸체(611)와, 상기 수직몸체(611)의 상단부 전방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몸체(612)와, 상기 수직몸체(611)의 후방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후측 상부면 일측에 고정되고, 전측이 상기 수직몸체(611)의 하측 후면에 연결되는 실린더(613)로 구성되는 전후이동부재(610)와;
    상기 전후이동부재(610)를 따라 전후이동하여,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의 상부면을 매끈하게 가공하기 위해 상기 수평몸체(612)의 하부방향에 회전가능하게 수직구비되는 회전축(621)과, 상기 회전축(621)의 하단부 외주연에 외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회전날(622)로 구성되는 가공부재(620)와;
    상기 가공부재(620)가 하단부에 축결합되고, 상기 전후이동부재(610)의 상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공부재(6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수평몸체(612)의 상부면 전측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하단부에 상기 회전축(621)의 상단부가 축결합되는 구동부재(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함수, 수학식을 근거로 상기 고정부(20)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물(3)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드릴부(30)를 스텝백시키고,
    상기 드릴부(30)가 드릴링한 대상물(3)의 측면을 드릴링하는 측면드릴부(7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대상물(3)의 측면을 드릴링하고 있는 상기 측면드릴부(70)를 스텝백시키고,
    상기 측면드릴부(70)는 대상물(3)의 측면에 일정깊이로 홀(3a)을 형성하는 에어스핀들유니트(710)와;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71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부재(720)와;
    상기 에어스핀들유니트(7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프레임(501)의 상부면 타측에 고정되고, 상부면에 수평상태로 눕혀진 대상물(3)이 안착되는 안착홈(731a)이 형성되는 몸체(731)와, 상기 몸체(731)의 하측 내부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바퀴(732)와, 상기 회전바퀴(732)와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몸체(731)의 타측면에 구비되는 구동부재(733)로 구성되어 상기 안착홈(731a)에 수평상태로 눕혀진 대상물(3)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7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바퀴(732)의 외주면에 슬립방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10009741A 2011-01-31 2011-01-31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 KR101170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741A KR101170138B1 (ko) 2011-01-31 2011-01-31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9741A KR101170138B1 (ko) 2011-01-31 2011-01-31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138B1 true KR101170138B1 (ko) 2012-07-31

Family

ID=4671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9741A KR101170138B1 (ko) 2011-01-31 2011-01-31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1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077B1 (ko) * 2019-03-08 2019-08-14 (주)성현 테크놀로지 반도체 슈라우드 링의 슬롯 가공방법
CN117066896A (zh) * 2023-09-22 2023-11-17 中山市智合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管理的立式钻头钻铣加工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8524A (ja) * 1983-11-30 1985-06-26 Mita Ind Co Ltd パ−ツ搬送装置
KR100727520B1 (ko) * 2006-04-04 2007-06-14 설기열 스프레이 노즐 가공용 초미세 드릴링머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8524A (ja) * 1983-11-30 1985-06-26 Mita Ind Co Ltd パ−ツ搬送装置
KR100727520B1 (ko) * 2006-04-04 2007-06-14 설기열 스프레이 노즐 가공용 초미세 드릴링머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1077B1 (ko) * 2019-03-08 2019-08-14 (주)성현 테크놀로지 반도체 슈라우드 링의 슬롯 가공방법
CN117066896A (zh) * 2023-09-22 2023-11-17 中山市智合数控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维护管理的立式钻头钻铣加工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9568B1 (ko) 길고 얇은 형재의 가공 설비
US7346969B2 (en) Machining method using multiple workpiece mounting device for manufacturing structures
US6920678B2 (en) Machining cell in automatic machining system and automatic honing system
KR101170138B1 (ko) 마이크로 홀 자동가공기
US7062999B2 (en) Inverted vertical lathe
KR102069370B1 (ko) 이젝트핀 자동 가공 장치
TWI589393B (zh) Drill grinding process and device
KR102622681B1 (ko) 딥홀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딥홀 가공 방법
CN212121759U (zh) 一种超长销轴的中心孔加工设备
US119043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positioning a workpiece on a gear manufacturing machine
CN215357460U (zh) 桁架输送式石墨接头自动加工线
KR20200117488A (ko) 자동 초음파 세척을 이용한 미세 드릴 가공기
CN111761299A (zh) 一种利用数控钻铣制备零件的工艺
JP2021037605A (ja) チャック
CN212947152U (zh) 一种全自动微钻开槽机
CN217702543U (zh) 基于单轴机器人的自动倒角设备
CN218193810U (zh) 一种限位片加工用台式钻床
CN218460904U (zh) 一种卡盘定位装置
KR100406206B1 (ko) 광 케이블의 커넥터용 플랜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216681743U (zh) 一种精密自定心圆磨夹具
JP7446745B2 (ja) ねじ軸の加工方法
CN117484514B (zh) 一种搬运臂和切割工作台的位置校准调试方法及结构
CN216176874U (zh) 一种用于钻头加工的两级调节定位装置及钻头加工系统
JPH11170111A (ja) 加工板材のバリ取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6123011A (ja) シャフト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