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990B1 -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 - Google Patents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990B1
KR101169990B1 KR1020100005739A KR20100005739A KR101169990B1 KR 101169990 B1 KR101169990 B1 KR 101169990B1 KR 1020100005739 A KR1020100005739 A KR 1020100005739A KR 20100005739 A KR20100005739 A KR 20100005739A KR 101169990 B1 KR101169990 B1 KR 101169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space
functional liquid
swab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5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775A (ko
Inventor
강기석
Original Assignee
강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석 filed Critical 강기석
Priority to KR1020100005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9990B1/ko
Priority to PCT/KR2011/000443 priority patent/WO2011090344A2/ko
Publication of KR20110085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9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61M35/006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using sponges, foams, absorbent pads or swabs as spre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1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linings or 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38Swabs having a stick-type handle, e.g. cotton ti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은 양단부 중 일단이 개구된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기능성 액체를 충진하는 제1공간이 마련된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1스틱과, 상기 제1스틱의 외주연 양단에 결합되는 흡수부와, 상기 제1스틱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제1스틱에 패쇄된 일단에 지지되고 내부에는 기능성 액체를 충진하는 제2공간을 갖으며 양단부가 폐쇄된 튜브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제1스틱 보다 큰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제1스틱을 통해 가해지는 굽힘응력으로 발생되는 균열에 의해 제2공간에 충진된 기능성액체를 제1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스틱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PACKAGE OF LIQUID CHEMICALS}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면봉에 하나 이상의 기능성 액체를 충진하여 다양한 적용 목적에 따라 적합한 해당 기능성 액체를 선택하여 면봉에 흡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에 관한 것이다.
면봉(綿棒)이란, 끝에 솜을 말아 붙인 가느다란 막대. 흔히 귀나 코, 입 따위의 속에 약을 바를 때 사용하는 도구를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면봉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면봉의 스틱부는 가공의 편의성 때문에 주로 얇은 나무막대로 이루어진 스틱과, 상기 스틱의 양끝에 살균 처리된 탈지솜이 권취되어 결합된다.
사용 방법은 면봉의 스틱을 잡고 면봉부를 인체나 원하는 국소 부위에 대고 문질러서 이물질을 세정하거나, 상기 탈지솜에 약을 발라서 상처부위에 약을 위생적으로 바를 수 있도록 사용된다.
여기서, 스틱은 나무 재질에 의해 연성이 약한 재질의 특성상 휘는 정도가 작기 때문에 힘을 주어 사용하면 쉽게 부러져 자칫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스틱을 합성수지재로 대체하여 연성을 충분히 갖도록 함으로써, 스틱이 부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근래에 들어 면봉의 사용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존 면봉의 탈지솜에 약물을 직접 찍어서 국소부위에 약물을 도포하는 기능에서 치료를 위한 약품을 스틱 내부에 직접 충진시켜 충진솜측으로 약물을 전달하는 면봉이 제시되었다.
즉,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87326호에서 제시한 내용액이 포함된 1회용 면봉은 면봉막대 일측(1-1)만 막혀 있는 내용액(2)을 포함한 면봉막대(1)와, 면봉막대일측(1-1)은 구부리면 부러지도록 구성한 홈(1-3)과, 소독솜(3,3-1)이 면봉막대(1)에서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면봉막대(1) 양측 외측을 홈(1-3,1-4)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면봉은 내용액이 포함된 면봉막대(1)와 양측에 소독솜(3, 3-1)이 감겨있는 내용액(2)이 포함된 1회용 면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면봉막대(1)의 일측(1-1)은 막혀 있으며, 또 다른 일측은(1-2)은 뚫려 있다.
상기 면봉막대에 면봉막대홈(1-3)을 형성하여 면봉막대홈(1-3) 부분을 구부리면 면봉막대일측(1-1)의 면봉막대홈(1-3)으로 인하여 면봉막대(1)가 부러져 다른 일측(1-2)의 소독솜(1-2)으로 내용액(2)이 흘러 소독솜(3)을 적셔 환부의 소독이나 화장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는, 면봉막대일측(1-1)은 밀봉되어 있으며, 면봉막대(1)의 외측에 면봉막대홈(1-3)을 형성하여 면봉막대일측(1-1) 을 구부리면 면봉막대일측(1-1)가 부러져 소독솜(3)으로 흘러 소독솜(3)을 적셔 준다.
또는, 면봉막대일측(1-2)는 열려있어 면봉막대일측 (1-1)을 구부리면 면봉막대일측(1-1)가 부러져 내용액(2)이 흘러나오는 통로가 되며, 면봉막대일측(1-2)의 면봉막대홈(1-4)으로 소독솜(3)이 면봉막대(1)에서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면봉은 소독솜(3)으로 내용액(2)을 흡수시키기 위해 소독솜(3)에 함침된 부위의 면봉막대일측(1-1)을 부러뜨려야 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소독솜(3)을 손으로 잡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소독솜(3)에 세균 및 기타 오염물질로 부터 안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면봉막대일측(1-1)을 과도한 힘으로 부러뜨릴 경우 소독솜(3)과 면봉막대일측(1-1)이 상호 분리되어 면봉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면봉막대일측(1-1)를 부분적으로 부러뜨릴 경우 파단되는 방향이 면봉막대의 단면 방향으로 파손되어 면봉막대일측(1-1)의 지지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는, 소독솜이 면봉막대일측(1-1)에서 쉽게 흔들리게 되는 현상을 초래하여 적용대상 부위에 소독솜(3)을 마찰시켜 내용물을 도포하거나 세정하는 과정에서 면봉막대일측(1-1)과 소독솜(3)의 탈락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지지력이 약한 소독솜(3)을 적용대상 부위에 긴밀하게 마찰시킬 수 없어 면봉 사용에 대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면봉은 면봉막대 내부에 하나의 내용액 만을 충진하기 때문에 면봉의 적용 목적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용액을 적용시키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의료시술 목적에 면봉을 사용할 경우 피부 치료를 위한 세정, 약물 도포, 약물 코팅 등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약물을 순차적으로 도포하여야 하나, 종래 기술의 면봉은 하나의 내용액만을 사용할 수 밖에 없어 상기 다양한 약물을 각기 충진한 면봉을 따로 마련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면봉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튜브를 순차적으로 내장하고 각 튜브의 내부에 적용 대상 목적에 따라 사용되는 다양한 기능성 액체를 충진시키되, 외부에 위치한 튜브로부터 내부에 수납된 튜브 순서로 튜브 강도의 세기를 달리하여 굽힘 응력에 의해 내부에 수납된 튜브 순서부터 차례로 균열을 발생시켜 선택된 기능성 액체를 흡수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 이상으로 순차되게 수납된 튜브의 배치를 다양하게 조합시켜 적용대상 목적에 따라 기능성 액체의 순차적 흡수 또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액체끼리 혼합 후 흡수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목적은 면봉에 천연섬유 또는 화학섬유를 복수외 권취시켜 완성되는 흡수부가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다단의 단층의 표면을 갖도록 하여 흡수부의 마찰 방향에 따라 적용 대상 부위에 기능성 액체를 통한 세정 또는 도포 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면봉을 용이하게 보관하여 외부로 부터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면봉의 굽힘 동작을 오염없이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충진한 기능성 액체를 유출시키기 위해 스틱을 구부릴 경우 흡수부 내부에 위치된 스틱의 일단이 길이방향으로 균열 또는 부분 파손되어 기능성 액체가 흡수부로 흡수되는 동시에 흡수부와 스틱 상호간의 종방향의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향 발산 용도의 기능성액체를 충진한 경우 흡수부가 미세 기공을 형성한 박막 형태로 스틱의 양단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여 향의 지속적인 발산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틱에 충진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액체이외에도 파우더 형태의 기능성 분말이 충진될 수도 있도록 하여 기능성 액체에 기능성 분말이 희석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은 양단부 중 일단이 개구된 튜브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기능성 액체를 충진하는 제1공간이 마련된 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진 제1스틱과, 상기 제1스틱의 외주연 양단에 결합되는 흡수부와, 상기 제1스틱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어 제1스틱에 패쇄된 일단에 지지되고 내부에는 기능성 액체를 충진하는 제2공간을 갖으며 양단부가 폐쇄된 튜브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제1스틱 보다 큰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제1스틱을 통해 가해지는 굽힘응력으로 발생되는 균열에 의해 제2공간에 충진된 기능성액체를 제1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스틱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능성 액체을 충진하는 제1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에 선택적으로 절개부를 형성시켜 외부에서 제공되는 굽힘 응력에 의해 절개부가 길이방향으로 균열되어 제1공간에 충진한 기능성액체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제1스틱과, 상기 제1스틱의 외주연 양단에 결합되는 흡수부와, 상기 제1스틱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수납되고 내부에는 기능성 액체를 충진하는 제2공간을 갖으며 양단부가 폐쇄된 튜브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제1스틱 보다 큰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제1스틱을 통해 가해지는 굽힘응력으로 균열을 발생시켜 제2공간에 충진된 기능성 액체를 제1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스틱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스틱은 제2공간 내부에 기능성 액체를 충진한 제3스틱을 수납하고, 상기 제3스틱은 복수개로 구비한 다음 각각의 제3스틱의 길이와 지름의 점진적으로 작게 형성시켜 크기가 작은 순서대로 각각의 제3스틱을 내부에 단계적으로 수납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스틱은 횡방향으로 제2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되게 등분하여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 제2공간에 다른 기능성 액체를 충진하고, 상기 제2공간과 대응되는 제2스틱의 외주연에는 균열홈을 각각 형성시켜 선택된 제2공간을 갖는 제2스틱 외주연에 굽힘응력을 가해 균열을 갖는 해당 제2공간의 기능성 액체을 제1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제1스틱 외주연에는 균열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턱을 형성시켜 상기 표시턱을 통해 균열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공간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스틱을 수납하되, 상기 제2스틱은 제1공간 내부에 상호 수평선상으로 연접되게 수납하고, 상기 제1공간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상기 제2스틱을 각각 편중되게 배치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공간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스틱을 수납하되, 상기 제2스틱은 제1공간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접시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수부는 천연섬유 또는 화학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스틱 외주연에 섬유를 권취시켜 형성시키되, 상기 흡수부의 표면에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 다단의 단층으로 권취되도록 이루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스틱의 양단부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거나,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절개부는 제1스틱의 외주연 둘레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균열부와 지지부를 교번적으로 배치하되, 상기 균열부는 지지부에 비해 두께를 얇게 형성시켜 제1스틱의 굽힘 응력에 의해 균열부가 제1스틱에서 길이 방향으로 균열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균열부와 지지부는 강도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면봉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케이스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덮개가 마련되되, 상기 덮개에는 만곡된 곡선을 갖는 굽힘부재를 한 쌍으로 상호 대칭되게 설치하여 한 쌍의 굽힘부재 사이에 면봉의 흡수부 부위를 위치시킨 후 굽힘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스틱과 제2스틱에 충진된 기능성 액체 이외에 분말이 더 포함될 수도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흡수부는 제1스틱의 개구된 일단에 박막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제1스틱 또는 제2스틱에 충진된 기능성 액체의 향이 흡수부를 거쳐 외부로 발산되도록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은 튜브 형태를 갖는 스틱 내부에 하나 이상의 기능성 액체을 구획되게 충진하여 적용대상 목적에 맞추어 기능성 액체을 단계적으로 선택하여 스틱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면봉의 적용범위가 의료 용도일 경우 피부 미용 또는 피부 치료에 적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하나 이상의 단계로 기능성 액체 도포 단계가 진행된다. 최초에는 피부 국소부위를 크리닝하는 단계, 피부의 재생을 위한 약품 도포 단계, 재생 약품의 보호를 위한 코팅 약품의 도포 단계등 치료 목적에 따라 약품의 도포 단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렇게 기능을 다른 복수의 기능성 액체를 하나의 면봉 내부에 충진한 상태로 조합시킨 다음 제1스틱과 제2스틱을 중 연성이 뛰어난 제1스틱의 면봉에 굽힘 또는 비틀림 응력을 제공하여 내부에 삽입된 다수의 스틱이 굽힘에 의해 자체 재질의 취성에 의해 균열되면서 내부에 충진한 기능성 액체을 흡수부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여 면봉의 사용에 대한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은 단계적으로 기능성 액체 도포를 이룰 수 있도록 면봉 내부에 2개 또는 2개 이상의 기능성 액체을 충진한 스틱를 수납시키되, 각각의 스틱의 수납 형태 및 배치를 상태를 다양하게 조합시켜 선별적 기능성 액체의 투여를 보다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환부에 기능성 액체을 마찰에 의해 도포시키는 흡수부 중 어느 한 개소 또는 양측에 선택적으로 흡수부의 표면이 다단의 층이 형성되도록 하여 표면의 거칠기가 매끄러운 부분의 흡수부는 기능성 액체 도포용으로 사용하고, 표면에 단층을 형성한 흡수부는 환부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은 면봉의 오염을 최소화하도록 면봉을 보관하는 케이스를 마련하고, 면봉의 굽힙 동작을 오염 없이 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은 제1스틱을 구부려 충진된 유체를 흡수부로 유입시킬 때 제1스틱이 흡수부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균열 또는 부분 파손되도록 하여 제1스틱과 흡수부의 결합상태 및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은 향 발산 용도의 기능성 액체를 충진한 경우 흡수부가 미세 기공을 형성한 박막 형태로 스틱의 양단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여 기능성 액체의 향이 박막의 흡수부를 통과하여 외부에 지속적으로 발산되도록 하여 기능성 액체 도포 기능 이외에 적용분야을 더욱 넓힐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은 스틱에 충진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성 액체이외에도 파우더 형태의 기능성 분말이 충진될 수도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2실시예의 다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2실시예의 다른 종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2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 100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기능성 액체 10를 충진한 스틱과, 상기 스틱의 양측 외주연에 권취된 흡수부 140로 구성한다.
여기서, 기능성 액체는 의료용 또는 산업용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스틱은 제1스틱 110과 제2스틱 120으로 구성되며, 각각 중공의 제1공간 111과 제2공간 121이 내부에 마련된다.
여기서, 제1스틱 110과 제2스틱 120은 허용굽힘응력 및 허용비틀림응력이 상호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제1스틱 110은 제2스틱 120에 비하여 연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는 반면, 제2스틱 120은 제1스틱 110에 비하여 취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면봉 100의 구체적인 제1실시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스틱 110은 내부에 기능성 액체 10를 충진하는 제1공간 111이 형성되고 양단부 중 어느 한 단부를 개구시킨 튜브 형태로 마련되어 자체 재질에 의해 연성을 갖는다.
또한, 흡수부 140는 상기 제1스틱 110의 외주연 양단에 결합되어 제1공간 111에 충진된 기능성 액체 10를 흡수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2스틱 120은 상기 제1스틱 110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수납되어 기능성 액체 10를 충진하는 제2공간 121을 갖으며, 양단부를 폐쇄한 튜브 형태로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제1스틱 110 보다 큰 취성의 세기를 갖도록 하여 제1스틱 110를 통해 가해지는 굽힘 응력으로 발생하는 균열을 통해 제2공간 121에 충진된 기능성 액체 10를 제1공간 111에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에 대한 면봉 10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실시예는 상기 제1스틱 110은 양단부 중 어느 한 개소의 단부가 개구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공간 111에 충진된 기능성 액체 10는 한 쌍의 흡수부 140에 흡수된 상태이고, 상기 제1공간 111에 충진된 기능성 액체 10의 양 만큼 지속적으로 기능성 액체 10가 흡수부 140로 흡수되도록 한다.
이렇게, 기능성 액체 10가 흡수부 140에 흡수된 상태로 적용대상 부위에 기능성 액체 10를 도포한 후 제1스틱 110을 구부려 굽힘응력 또는 비틀림 응력을 발생시키면 연성의 성질을 갖는 제1스틱 110은 휘어지거나 비틀어지는 동시에 제1스틱 110보다 취성이 큰 제2스틱 120에 균열을 발생시켜 상기 제2스틱 120 내부에 충진 된 기능성 액체 10가 제1공간 11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2스틱 120에는 기능성 액체 10가 충진되어 있어 제1공간 111에 충진된 기능성 액체 10에 혼합된 상태로 흡수부 140로 제공되거나, 상기 제1공간 111에 기능성 액체 10가 다 소진되고 난 후 독립적으로 제1공간 111을 통해 흡수부 140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도 4 내지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의 제2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1스틱 110은 내부에 기능성 액체 10를 충진하는 제1공간 111이 형성되고 양단부 중 어느 한 곳에 절개부 113를 형성시켜 외부에서 제공되는 굽힘 응력에 의해 스틱의 길이 방향으로 절개부 113에 균열을 발생시켜 제1공간 111에 충진한 기능성 액체 10를 외부로 유출시킨다.
그리고, 흡수부 140는 상기 제1스틱 110의 외주연 양단에 결합된다.
아울러, 제2스틱 120은 상기 제1스틱 110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수납되고 내부에는 기능성 액체 10를 충진하는 제2공간을 갖으며, 양단부가 폐쇄된 튜브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제1스틱 보다 큰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제1스틱을 통해 가해지는 굽힘응력으로 균열을 발생시켜 제2공간에 충진된 기능성 액체 10를 제1공간 111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 113는 상기 제1스틱 110의 양단부 중 어느 한 곳에 형성되거나, 양단부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절개부 113는 제1스틱 110의 외주연 둘레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균열부114와 지지부 115를 교번적으로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균열부 114는 지지부 115에 비해 두께를 얇게 형성시켜 제1스틱 110의 굽힘 응력에 의해 균열부 114가 제1스틱 110에서 길이 방향으로 균열될 수 있도록 한다.
또는, 상기 균열부 114와 지지부 115는 강도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굽힘 응력에 의해 지지부 115에 의해 큰 세기의 취성을 갖는 균열부 114를 통해 제1공간 111에 충진된 기능성 액체 10가 흡수부 140로 흡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에 대한 면봉 10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스틱 110은 양단이 폐쇄되어 있고, 상기 제1공간111에는 기능성 액체 10가 충진되어 있다.
상기 제1공간 111에 충진된 기능성 액체 10를 흡수부 140로 유출시켜 흡수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흡수부 140와 제1스틱 110이 인접된 부분을 굽힘시키면 지지부 115를 제외한 두께 차이 또는 취성을 갖는 재질의 성질을 갖는 균열부 114가 파손 또는 균열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균열부 114는 제1스틱 110의 길이 방향으로 균열이 발생하여 제1공간 111에 충진된 기능성 액체 10를 흡수부 140로 흡수시킨다.
이러한, 제2실시예는 파손된 균열부 114를 통해 기능성 액체 10가 제1공간 111 외부로 유출되고, 상기 지지부 115는 제1스틱 110과 흡수부 140의 결합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기 때문에 면봉 100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도 흡수부 140가 부러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면봉 오염을 방지하도록 수납공간을 갖는 케이스 150가 마련되고, 상기 케이스 150에는 수납공 간을 개폐시키는 덮개 160로 마련되어 케이스 150 내부에 복수개의 면봉 100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덮개 160에는 만곡된 곡선을 갖는 굽힘부재 170를 한 쌍으로 상호 대칭되게 설치하여 한 쌍의 굽힘부재 170 사이에 면봉 100의 흡수부 140 부위를 위치시킨 후 굽힘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보관되는 면봉 100은 덮개 160를 통해 케이스 150를 개방시켜 면봉 100을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면봉 100에 굽힘 동작을 행할 경우 덮개 160에 형성한 굽힘부재 170를 통해 면봉 100의 기능성 액체 10를 흡수부 140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외부로 부터 면봉 100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흡수부 140는 천연섬유 또는 화학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스틱 110 외주연 양쪽 또는 한 쪽에 섬유를 지속적으로 권취시켜 유선형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흡수부 140는 표면의 형상에 따라 2가지 종류로 나누어진다.
첫번째는, 기능성 액체 10 도포용으로 일반적인 면봉 100의 흡수부 140와 동일하게 표면이 매끄러운 거칠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두번째는 상기 흡수부 140의 표면에 다단의 단층을 이루도록 권취시키게 된다.
표면에 단층을 갖는 흡수부 140는 이물질을 제거할 때 거칠기가 높은 면에 의해 마찰력을 증대시켜 이물질의 제거를 보다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반대로, 표면이 매끄러운 거칠기를 갖는 흡수부 140는 이물질 제거 후 기능성 액체 10을 도포할 때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선별적 기능성 액체 도포용 면봉 100은 면봉 100의 적용 범위는 의료용 또는 산업용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의료용에 적용될 경우에는 피부 미용 또는 피부 치료에 사용될 경우 하나 이상의 단계로 기능성 액체 10의 도포 단계가 진행된다.
최초에는 피부 국소부위를 크리닝하는 단계, 피부의 재생을 위한 기능성 액체 10의 도포 단계, 재생 기능성 액체 10의 보호를 위한 코팅 기능성 액체 10의 도포 단계등 치료 목적에 따라 기능성 액체 10의 도포 단계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순서로 진행된다.
이렇게 기능을 다른 복수의 기능성 액체 10를 하나의 면봉 100 내부에 충진한 상태로 조합한 다음 제1스틱 110과 제2스틱 120 중 연성이 높은 제1스틱 110의 면봉 100에 굽힘 또는 비틀림 응력을 가하면 제1스틱 110의 내부에 삽입된 다수의 스틱은 제1스틱 110에 비하여 높은 강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취성을 갖는다.
이 때문에 제1스틱 110 내부에 설치된 나머지 스틱은 균열 또는 부분 파손되면서 충진한 기능성 액체 10를 유출시켜 흡수부 140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봉 100에 대한 제3실시에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스틱 120은 제2공간 121 내주연 수납되는 제3스틱 130을 복수개로 마련하여, 각각의 제3스틱 130 내부에 기능성 액체 10를 충진시키면서 제3스틱 130의 길이와 지름의 비율을 점진적으로 작게 형성시켜 복수의 제3스틱 130이 부피가 작은 순서대로 각각의 제3스틱 130 내부에 단계적으로 수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의 경우 2 가지 이상의 기능성 액체 10를 충진 후 순차적이면서 선택적으로 2가지 이상의 기능성 액체 10를 상호 혼합하여 흡수부 140로 유입시키거나, 1차 및 2차 기능성 액체 10를 소진하고 난 후 독립적으로 제3의 기능성 액체 10를 흡수부 140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는, 2 단계 이상의 기능성 액체 10가 필요한 적용 분야에 적용되며, 상기 제3스틱 130은 제2스틱 120보다 강한 취성을 갖는 굽힘응력 및 비틀림응력을 갖도록 하여 제1스틱 110을 구부리거나 비트는 힘의 정도에 따라 단계별로 제1스틱 110 내부에 수납된 제2스틱 120 및 제3스틱 130에 균열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제3스틱 130 이외에도 더 많은 스틱을 순차적으로 내입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성 액체 10 도포의 단계에 맞추어 그 결합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봉 100에 대한 제4실시에는 다음과 같다.
제4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2스틱 120은 횡방향으로 제2공간 121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되게 등분하여 각각의 제2공간 121에 다른 용도의 기능성 액체 10를 충진한다.
그리고, 각각의 제2공간 121과 대응되는 제2스틱 120의 외주연에는 균열홈 122을 각각 형성시켜 선택된 제2공간 121을 갖는 제2스틱 120 외주연에 굽힘응력을 가해 균열을 갖는 해당 제2공간 121의 기능성 액체 10를 제1공간 111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즉, 제2공간 121 내부를 복수의 공간을 갖도록 구획시키고 각 구획된 공간에 각기 다른 기능을 하는 기능성 액체 10를 충진 한 다음 선택된 기능성 액체 10를 사용할 때 해당 공간에 굽힘응력 또는 비틀림응력을 가하면 제2스틱 120 외주연에 형성된 균열홈 122을 통해 선택된 제2공간 121에 균열을 발생시켜 제1공간 111으로 기능성 액체 10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정확한 해당 공간의 균열을 위해 제1스틱 110은 통상 투명의 재질로 이루지고, 상기 제1스틱 110 외주연에는 균열홈 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턱 112을 형성시켜 상기 표시턱 112을 통해 균열홈 122의 위치를 보다 쉽게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공간의 균열 작업을 보다 정확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4실시예로 이루어진 면봉 100은 보다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액체 10를 소량으로 사용할 목적을 갖는 치료에 적합하다.
아울러,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봉 100에 대한 제5실시에는 다음과 같다.
제5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공간 111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스틱 120을 수납하되, 상기 제2스틱 120은 제1공간 111 내부에 상호 수평 선상으로 연접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공간 111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상기 제2스틱 120을 각각 편중되게 배치하도록 구성한다.
결국, 제2스틱 120의 기능성 액체 10를 유입시키려면 상호 겹치지 않는 부분의 제2스틱 120 측방을 굽힘응력 또는 비틀림응력을 가하여 해당 제2스틱 120의 기능성 액체 10을 제1공간 111으로 유입시킬 수 있다.
더불어, 도 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면봉 100에 대한 제6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제6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공간 111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스틱 120을 수납하되, 상기 제2스틱 120은 제1공간 111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직선되게 연접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6실시예는 제3실시예와 거의 유사한 구조를 갖는 것이나, 제3실시예에 비하여 제2스틱 120의 가공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기 위함이다.
또한,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7실시예는 상기에서 제시된 기능성 액체가 향을 발산하는 기능성 액체일 경우 제1스틱 110의 개구된 단부에 미세 기공을 형성한 박막의 흡수부 140를 설치하여 기능성 액체의 향이 박막의 흡수부 14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발산토록 한다.
상기 향기 발산용도의 흡수부 140는 폴리우레탄수지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방향성을 갖는 기능성액체가 박막의 흡수부 140를 통과하여 주위에 향기를 발산토록 하며, 이러한 작용은 한 번에 많은 양의 방향성을 갖는 기능성 액체를 외부로 유출시키지 않고, 소량의 기능성 액체만이 폴리우레탄수지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흡수부 140를 통과하므로 지속적으로 장시간 향기를 발산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기능성 액체 100 : 면봉
110 : 제1스틱 111 : 제1공간
112 : 표시턱 113 : 절개부
114 : 균열부 115 : 지지부
120 : 제2스틱 121 : 제2공간
122 : 균열홈 130 : 제3스틱
140 : 흡수부 150 : 케이스
160 : 덮개 170 : 굽힘부재

Claims (12)

  1. 삭제
  2. 기능성 액체을 충진하는 제1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에 선택적으로 절개부를 형성시키되, 상기 절개부는 균열부와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호 교번적으로 형성되되 상기 균열부는 지지부에 비하여 두께를 얇게 형성시켜 외부에서 제공되는 굽힘 응력에 의해 균열부가 길이방향으로 균열되어 제1공간에 충진한 기능성액체를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1스틱과,
    상기 제1스틱의 외주연 양단에 결합되는 흡수부와,
    상기 제1스틱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수납되고 내부에는 기능성 액체를 충진하는 제2공간을 갖으며 양단부가 폐쇄된 튜브 형태로 마련되되, 상기 제1스틱 보다 큰 강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제1스틱을 통해 가해지는 굽힘응력으로 균열을 발생시켜 제2공간에 충진된 기능성 액체를 제1공간으로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제2스틱으로 마련하되,
    상기 제2스틱은 상기 제2스틱은 횡방향으로 제2공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획되게 등분하여 하나 이상으로 마련된 제2공간에 다른 기능성 액체를 충진하고 상기 제2공간과 대응되는 제2스틱의 외주연에는 균열홈을 각각 형성시켜 선택된 제2공간을 갖는 제2스틱 외주연에 굽힘응력을 가해 균열을 갖는 해당 제2공간의 기능성 액체를 제1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제1스틱의 균열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표시턱을 형성시켜 상기 표시턱을 통해 균열홈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스틱을 수납하되, 상기 제2스틱은 제1공간 내부에 상호 수평선상으로 연접되게 수납하고, 상기 제1공간 좌측과 우측 방향으로 상기 제2스틱을 각각 편중되게 배치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스틱을 수납하되, 상기 제2스틱은 제1공간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연접시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00005739A 2010-01-21 2010-01-21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 KR101169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739A KR101169990B1 (ko) 2010-01-21 2010-01-21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
PCT/KR2011/000443 WO2011090344A2 (ko) 2010-01-21 2011-01-21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5739A KR101169990B1 (ko) 2010-01-21 2010-01-21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775A KR20110085775A (ko) 2011-07-27
KR101169990B1 true KR101169990B1 (ko) 2012-08-01

Family

ID=4430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5739A KR101169990B1 (ko) 2010-01-21 2010-01-21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9990B1 (ko)
WO (1) WO2011090344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439A (ko) 2020-03-04 2021-09-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결막도포용 접촉식 일회용 안약용기
KR20220158951A (ko) * 2021-05-25 2022-12-02 (주)성운이노베이션 이종의 기능성액이 충진된 다용도 면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21167B (zh) * 2018-12-28 2021-05-07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化疗病人用口腔黏膜止疼护理装置
CN110123471A (zh) * 2019-05-16 2019-08-16 南方医科大学深圳医院 一种方便窝洞吸潮处理的干燥棒
KR102221998B1 (ko) * 2020-11-06 2021-03-04 안윤철 연고를 수용하는 면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007B1 (ko) 2007-04-24 2008-11-17 게리 자우어 듀얼 쳄버 어플리케이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06140Y2 (ja) * 1993-12-28 2000-09-25 リバテープ製薬株式会社 綿 棒
BR0301424A (pt) * 2002-11-25 2004-08-24 Garry Tsaur Recipiente vedado
FR2898268B1 (fr) * 2006-03-07 2009-04-17 Hakim Nacer Batonnet d'application ou de nettoyage, constitue d'au moins un corps tubulaire concu apte a contenir au moins un liquid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9007B1 (ko) 2007-04-24 2008-11-17 게리 자우어 듀얼 쳄버 어플리케이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439A (ko) 2020-03-04 2021-09-1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결막도포용 접촉식 일회용 안약용기
KR20220158951A (ko) * 2021-05-25 2022-12-02 (주)성운이노베이션 이종의 기능성액이 충진된 다용도 면봉
KR102488652B1 (ko) 2021-05-25 2023-01-13 (주)성운이노베이션 이종의 기능성액이 충진된 다용도 면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775A (ko) 2011-07-27
WO2011090344A2 (ko) 2011-07-28
WO2011090344A3 (ko) 201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9990B1 (ko)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도포용 면봉
JP6929396B2 (ja) 個別に密封された消毒アプリケータ
ES2390889T3 (es) Método de producción de un dispositivo de limpieza de cánulas
JP2015505683A (ja) 二重滅菌格納容器
JP6559955B2 (ja) ポートおよび表面清浄装置および技法
US10159823B2 (en) Topical substance application device including applicator
CN106029155B (zh) 用于提供杀菌剂分配施加器的系统和方法
KR20140130470A (ko) 휴대용 의료 기기 보호기
KR20120002983A (ko) 부드럽게 에지-처리된 패드
NO332360B1 (no) Hengslet pad med myk kant
KR100892844B1 (ko) 낱개로 절취가능한 면봉 케이스
JP6518790B2 (ja) 液体袋
US20030233063A1 (en) Applicator and application method
KR101334953B1 (ko) 기능성 액체의 선택적 유출이 가능한 도구
KR101371626B1 (ko) 액상물질을 함유한 일회용 면봉
KR20140008875A (ko) 일회용 소독용구
WO2000000147A1 (en) Care or cleaning stick
JPWO2017135131A1 (ja) カテーテル
JP2010184043A (ja) ワイパー
JP2015223345A (ja) 薬液塗布具
KR101909244B1 (ko) 의료용 튜브 홀더
JP2004065950A (ja) 塗布具および塗布方法
JP2020044117A (ja) 綿棒
JP3125922U (ja) 傷処置用救急縄
JP3199436U (ja) 消毒液塗布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