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922Y1 - 밀봉포장된 면봉 - Google Patents

밀봉포장된 면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922Y1
KR200202922Y1 KR2020000017397U KR20000017397U KR200202922Y1 KR 200202922 Y1 KR200202922 Y1 KR 200202922Y1 KR 2020000017397 U KR2020000017397 U KR 2020000017397U KR 20000017397 U KR20000017397 U KR 20000017397U KR 200202922 Y1 KR200202922 Y1 KR 2002029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apping paper
cotton swab
swab
sealed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계범
Original Assignee
윤계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계범 filed Critical 윤계범
Priority to KR2020000017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9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9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9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rod-shaped articles, e.g. needles

Landscapes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밀봉포장된 면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손잡이부(112)의 일단에 탈지면(114)을 구비하는 면봉(110)과, 상기 면봉(110)의 탈지면(114)이 그 하부에 위치되는 밀폐공간(102)이 구비되고, 상기 면봉(110)을 외부와 밀폐된 상태로 수납하며, 상기 면봉(110)이 외부로부터 보이는 재질로 형성된 포장지(100)와, 상기 면봉(110)의 손잡이부(112) 중단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손잡이부(112)가 밀폐공간(102)의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되게 밀폐공간(102)의 내부에서 포장지(100)의 전면부와 배면부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1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에 약품을 묻히지 않은 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면봉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밀봉포장된 면봉{Seal-packaged cotton-swabsticks}
본 고안은 밀봉포장된 소독면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멸균하여 밀봉포장되어 포장의 내부에 소독약을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 밀봉포장된 소독면봉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소독면봉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소독면봉은 대한민국 실용공개번호 1998-059230에 개시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적당한 크기를 가지는 면봉(20)이 내부가 투시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포장지(10)의 내부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포장지(10)는 내부에 면봉(20)이 위치한 상태에서 좌우 측면을 수직으로 압착하여 자연 형성되는 밀폐공간(5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상기 밀폐공간(50) 내에 밀봉된 면봉(20)을 사용할 때, 포장지(20)의 상부를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도록 좌우측 측면중 어느 한쪽 면에 절취홈(30)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포장지(10)의 표면에는 포장지(10)의 상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약품이 투입되는 양을 지시하는 약품한계선(40)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면봉(20)은 상기 절취홈(30)을 따라 포장지(10)의 상부를 절취하여 낸 상태에서 상기 포장지(10)의 상부를 통해 약품을 상기 약품한계선(40)까지 투입하여 상기 면봉(20)에 묻게 한 후, 면봉(20)을 포장지(10)로부터 꺼내어 환부에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면봉(20)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상기 포장지(10)의 상부를 절취하여 낸 상태에서 상기 포장지(10)의 양단을 눌러 밀폐공간(50)을 대략 원형으로 만들어 그 내부로 약품을 투입할 때, 상기 면봉(20)이 자유롭게 유동되므로 상기 면봉(20)의 손잡이부에 약품이 묻게 되고, 이를 사용자가 잡고 사용하면, 사용자의 손에도 약품이 묻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포장지(10)는 그 좌우 측면을 압착하여 내부에 밀폐공간(50)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밀폐공간(50)은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일정한 단면적을 구비하게 되고, 그 내부에 투입되는 약품의 양이 또한 많아지게 된다. 즉, 상기 밀폐공간(50)의 좌우폭은 상기 면봉(20)이 위치된 상태에서 약품을 투입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는데, 종래 기술에서는 그 폭이 밀폐공간(50)의 하부까지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약품의 낭비가 많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절취홈(30)을 따라 상기 포장지(10)를 절취하게 되면 그 상단부만이 절취되어 상기 면봉(20)의 손잡이부가 여전히 밀폐공간(50)의 내부에 있어 사용자가 면봉(20)을 잡아내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약품이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면봉(20)을 잡아내어야 하므로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포장지 내의 면봉 위치를 한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포장지내에 투입되는 약품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면봉을 보다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봉포장된 면봉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밀봉포장된 면봉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밀봉포장된 면봉을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포장지 101: 제1면부
101': 제2면부 102: 밀폐공간
104: 가이드선 106: 연결부
108,108': 절취홈 109: 절취선
110: 면봉 112: 손잡이
114: 탈지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손잡이부의 일단에 탈지면을 구비하는 면봉과, 상기 면봉의 탈지면이 그 하부에 위치되는 밀폐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면봉을 외부와 밀폐된 상태로 수납하며, 상기 면봉이 외부로부터 보이는 재질로 형성된 포장지와, 상기 면봉의 손잡이부 중단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손잡이부가 밀폐공간의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되게 밀폐공간의 내부에서 포장지의 전면부와 배면부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밀폐공간의 하단부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포장지의 상단에는 상기 밀폐공간을 개방할 수 있는 절취선이 구비되는데, 상기 절취선은 상기 포장지의 상단 일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선단부를 거쳐 상기 면봉이 손잡이부의 일부를 드러낼 수 있는 위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밀봉포장된 면봉은 면봉의 손잡이부가 포장지 내부의 밀폐공간의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포장지의 내부로 상기 손잡이부에 약품이 묻지 않도록 투입할 수 있게 되고, 상기 밀폐공간의 하단부의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약품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포장지를 절취하여 상기 밀폐공간을 개방할 때, 상기 면봉의 손잡이부가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그 취급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밀봉포장된 면봉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밀봉포장된 면봉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포장지(10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포장지(100)는 제1면부(101)와 제2면부(101')가 서로 연결되어 그 내부에 밀폐공간(102)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제1면부(101)와 제2면부(101')는 처음부터 서로 별개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된 후 접어져서 서로 구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포장지(100)의 재질로는 비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포장지(1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밀폐공간(102)의 하부에는 가이드선(1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선(104)은 상기 제1면부(101)와 제2면부(101')의 서로 마주보는 면이 길게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포장지(100)의 양측을 형성할 때,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선(104)은 상기 밀폐공간(102)의 단면적을 하부로 갈수록 점차 줄어들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밀폐공간(102)의 내부에 채워지는 약품의 양을 최소화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포장지(100)의 중앙 상부 일측에는 연결선(106)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선(106) 역시 상기 포장지(100)의 제1면부(101)와 제2면부(101')를 밀폐공간(102)의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선(106)은 상기 포장지(100)의 양측을 형성할 때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선(106)은 별도의 작업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선(106)은 밀폐공간(102)의 상부 중앙을 양분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면봉(110)의 손잡이(112)가 밀폐공간(102)의 일측으로 치우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포장지(100)의 상단에는 포장지(100)의 상부를 절취하여 밀폐공간(102)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절취홈(108,108')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절취홈(108,108')은 노치특성에 의해 상기 포장지(100)가 잘 절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그 설치위치는 서로 어긋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취홈(108,108')을 연결하도록 절취선(109)을 상기 포장지(100)에 형성한다. 상기 절취선(109)은 포장지(100)의 절취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절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단지 절취의 안내 역할만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절취선(109)은 도 2를 기준으로 포장지(100)의 우측 상단에서 좌측 하단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선(106)의 상단과 인접한 위치를 지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선(106)을 따라 포장지(100)를 절취했을 때, 면봉(110)의 손잡이(112)가 외부로 드러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포장지(100)의 하단 일측에는 약품투입가이드(G)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약품투입가이드(G)는 상기 포장지(100)를 개방한 상태로 상기 밀폐공간(102)에 약품을 투입하는 기준선이다.
한편, 면봉(110)이 상기 포장지(100) 내부의 밀폐공간(102)에 멸균된 상태로 넣어진다. 상기 면봉(110)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된 손잡이(112)와 상기 손잡이(112)의 선단에 위치된 탈지면(114)으로 구성된다. 상기 탈지면(114)은 일반적인 면봉의 그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는 본 고안의 면봉(110)이 일반적으로 귓속의 수분흡수나, 화장과 같은 생활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고 외과수술 부위와 같은 곳에 소독이나 약품도포용으로 사용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면봉(110)은 외과수술 부위나 신장투석환자의 수술부위를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포장지(100) 내부의 밀폐공간(102)에 멸균된 상태로 밀봉포장된다.
이와 같이 멸균된 상태로 밀봉포장된 면봉(110)을 사용하는 것을 설명하면, 상기 절취홈(108)에서부터 시작해서 상기 절취선(109)을 따라 포장지(100)를 절취한다. 이때 포장지(100)의 절취를 반대쪽 절취홈(108')에서부터 시작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포장지(100)가 절취되어 상기 밀폐공간(102)이 개봉된 상태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도 3의 화살표 A방향으로 상기 포장지(100)의 양단을 눌러주면, 상기 포장지(100) 내부의 밀폐공간(102)의 상부가 넓게 벌어진다. 참고로 도 3의 상태는 상기 밀폐공간(102)의 내부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도시된 것으로, 실제로 포장지(100)를 화살표 A방향으로 눌러주면, 도 3에서 우측편에 보이는 밀폐공간(102) 부분이 더 둥글게 된다.
다음으로는 상기 면봉(110)의 탈지면(114)에 묻혀지는 약품을 상기 밀폐공간(102)의 내부로 투입한다. 이때, 상기 포장지(100)의 양측을 눌러주면, 연결선(106)과 절취홈(108) 사이가 둥글게 되면서 약품을 밀폐공간의 내부로 안내하는 깔대기 형태로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선(106)과 절취홈(108)의 사이는 절취선(109)이 경사지게 있으므로 포장지(100)를 수평으로 절취하여 내는 경우와 비교할 때 약품의 투입을 위한 입구의 폭이 결코 좁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면봉(110)의 손잡이(112)는 상기 연결선(106)에 의해 상기 밀폐공간(102)의 상부 일측으로 치우쳐 지게 되어 약품을 투입하는 과정에서 약품이 상기 손잡이(112)에 전혀 묻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약품의 투입은 상기 약품투입가이드(G)까지 하면 된다. 이때 상기 밀폐공간(102)은 상기 가이드선(104)에 의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되므로, 상기 탈지면(114)을 적시기 위해 투입되는 약품의 양은 상대적으로 적어도 된다.
상기와 같이 하여 탈지면(112)에 약품이 충분히 묻은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112)를 잡고 면봉(110)을 꺼내어 사용하면 된다. 이때 상기 면봉(110)을 꺼내기 전에 상기 연결선(106)에 의해 붙어 있는 부분을 분리하여 그 취급을 보다 간단하게 하여도 좋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밀봉포장된 면봉은 포장지 내부의 공간을 분리하여 면봉이 설치되는 위치와 약품이 투입되는 경로를 차별화하였으므로 면봉의 취급시에 사용자의 손에 약품이 묻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포장지 내부의 밀폐공간을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하였으므로 낭비되는 약품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포장지의 절취시에 면봉의 손잡이가 포장지의 외부로 드러나도록 하였으므로 면봉의 취급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손잡이부의 일단에 탈지면을 구비하는 면봉과,
    상기 면봉의 탈지면이 그 하부에 위치되는 밀폐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면봉을 외부와 밀폐된 상태로 수납하며, 상기 면봉이 외부로부터 보이는 재질로 형성된 포장지와,
    상기 면봉의 손잡이부 중단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손잡이부가 밀폐공간의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되게 밀폐공간의 내부에서 포장지의 전면부와 배면부를 서로 연결시켜 주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밀봉포장된 면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공간의 하단부는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포장된 면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지의 상단에는 상기 밀폐공간을 개방할 수 있는 절취선이 구비되는데, 상기 절취선은 상기 포장지의 상단 일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선단부를 거쳐 상기 면봉이 손잡이부의 일부를 드러낼 수 있는 위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밀봉포장된 면봉.
KR2020000017397U 2000-06-19 2000-06-19 밀봉포장된 면봉 KR2002029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397U KR200202922Y1 (ko) 2000-06-19 2000-06-19 밀봉포장된 면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397U KR200202922Y1 (ko) 2000-06-19 2000-06-19 밀봉포장된 면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2922Y1 true KR200202922Y1 (ko) 2000-11-15

Family

ID=19661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397U KR200202922Y1 (ko) 2000-06-19 2000-06-19 밀봉포장된 면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92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6963B2 (ja) 液体塗布器
BR112012005863B1 (pt) dispositivo aplicador e método para fabricar o mesmo
NO332360B1 (no) Hengslet pad med myk kant
KR200202922Y1 (ko) 밀봉포장된 면봉
KR100892844B1 (ko) 낱개로 절취가능한 면봉 케이스
EP1371387A1 (en) Applicator and application method
US6846297B2 (en) Medicinal germfree dry smearing piece attached on a shell containing germfree medicinal solution
KR20140008875A (ko) 일회용 소독용구
KR200186549Y1 (ko) 포장지에 밀봉하여 멸균한 소독면봉
KR200210862Y1 (ko) 세척액이 내장된 면봉
KR200489904Y1 (ko) 일회용 소독패드 인출장치
JP2004065950A (ja) 塗布具および塗布方法
KR20090034472A (ko) 무방부제 막대형물통과 함께포장된 일회용티슈.
KR200311458Y1 (ko) 침첨 보호용 한방침 쌈지
WO2005013847A1 (en) Packaging for oral hygiene devices
KR200208642Y1 (ko) 위생 소독 기구
EP1120074A1 (en) Cleaning device, particulary for medical use
CN214971100U (zh) 伤口处理套装
KR200174530Y1 (ko) 소독용 약솜 포장대
KR200250259Y1 (ko) 소독용 면봉
WO2007096450A1 (es) Envoltorio higiénico para compresas y tampones para higiene femenina
JP2004174180A (ja) 液体付綿棒包装体
JP2000042025A (ja) 水入り小袋とオキシドール含有脱脂綿付き救急絆創膏セット
JP3108166U (ja) 消毒液含浸綿棒パッケージ
KR20020087326A (ko) 내용액이 포함된 1회용 면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