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926B1 - 도자기 형태의 신발창 제조용 금형 - Google Patents

도자기 형태의 신발창 제조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926B1
KR101168926B1 KR1020090113415A KR20090113415A KR101168926B1 KR 101168926 B1 KR101168926 B1 KR 101168926B1 KR 1020090113415 A KR1020090113415 A KR 1020090113415A KR 20090113415 A KR20090113415 A KR 20090113415A KR 101168926 B1 KR101168926 B1 KR 101168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manufacturing
coating layer
sole
shoe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910A (ko
Inventor
윤길홍
Original Assignee
신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화 filed Critical 신성화
Priority to KR1020090113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926B1/ko
Publication of KR2011005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56Coatings, e.g. enameled or galvanised; Releasing, lubricating or separating agents
    • B29C33/58Applying the releas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2S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8Moulds or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50Footwear, e.g. shoes or parts thereof
    • B29L2031/504Soles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창을 제조하기 위한 형태를 가지면서 도자기로 된 몰드 본체와, 상기 몰드 본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불소수지 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창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서, 점토의 특성상 몰드 본체의 형태 성형이 매우 용이하며, 아울러 도자기의 특성상 그 무게가 비교적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불소수지 코팅층에 의하여 이형 효과가 매우 우수한 신발창 제조용 금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도자기 형태의 신발창 제조용 금형{POTTERY TYPE MOLD FOR MANUFACTURING SHOE SOLE}
본 발명은 성형물의 이형 효과가 우수한 신발창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자기 형태로 된 신발창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 수준의 향상과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에 의하여 다양한 디자인을 가진 수많은 종류의 신발이 제조되고 있으며, 각 기능에 따른 특수신발 역시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로 출시되는 신발은 그 구조적인 면에서 기본적으로 대동소이한 구조를 가진다.
즉, 신발은 밑창과, 밑창의 상부에 결합되는 갑피로 이루어진다.
이때 신발의 밑창은 다시 중창과 바닥창으로 구분되어 제작되기도 한다.
신발의 밑창은 신발의 다양한 디자인에 따라 그 형태가 변경될 뿐만 아니라, 동일한 디자인인 경우에도 신발의 사이즈에 따라 여러가지 금형이 필요하게 되며, 또한 각각 좌우로 된 한 세트의 금형을 필요하게 되므로, 신발창의 제조에는 매우 많은 수량의 금형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신발의 밑창을 제조하기 위한 신발창 제조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신발창 제조용 금형의 재질을 설명하면, 크게 강철로 된 금형, 알루미늄으로 된 금형, 에폭시로 된 금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강철로 된 금형은 금형 가공 작업이 까다로우며 그 무게가 매우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하여 알루미늄 금형은 금형 가공 작업이 비교적 용이하며, 무게가 매우 가볍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금형의 선택에 있어서 고려하여야 할 요소로서, 성형된 신발창을 금형으로부터 분리해내는 작업이 용이하여야 한다.
즉, 신발창 제조용 금형은 가열된 수지가 가압될 시 금형과 달라붙거나 눌어붙는 현상이 발생하여 쉽게 탈형되지 않거나 성형물에 불량이 발생하므로 금형에는 탈형을 위한 표면처리가 필요하다.
금형의 표면처리는 거의 모든 물질이 잘 달라붙지 않는 비점착성과 물기나 기름이 잘 묻지 않는 비유성, 높은 온도를 견디기 위한 내열성 및 낮은 온도에서도 물리적 특성이 변하지 않는 내구력과 화학적 환경에서도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내화학성 등의 특성을 가지는 불소수지인 테프론(teflon)으로 코팅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신발창 제조용 금형에 테프론을 코팅하고 이를 가열 챔버에 장입한 후 약 400℃에서 1시간 반 정도를 가열하여 불소수지 코팅층을 가열경화함으로써 금형의 표면에 불소수지 코팅층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불소수지 코팅층의 형성은 강철로 된 금형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내열성이 약한 알루미늄 금형의 경우 불소수지 코팅층의 가열경화 도중 알루미늄 금형이 고온에서 열변형되기 때문에 알루미늄 금형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작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그 취급이 용이하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알루미늄 금형은, 신발창의 성형시마다 금형의 표면에 이형재를 도포하는 작업을 매번 수행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신발창 제조용 금형의 재질을 에폭시로 구성하는 경우, 고열에서 에폭시가 녹아버리기 때문에 불소수지 코팅층이 적용될 여지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교적 가벼운 무게를 가지면서도 점토의 성형성으로 인하여 그 성형 작업이 매우 용이하며, 아울러 불소수지 코팅층에 의하여 이형 효과가 매우 우수한 도자기 형태의 신발창 제조용 금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발창을 제조하기 위한 형태를 가지면서 도자기로 된 몰드 본체와, 상기 몰드 본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불소수지 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점토의 성형성으로 인하여 몰드 본체의 형태 성형이 매우 용이하며, 비교적 가벼운 무게로 인하여 그 취급이 용이하며, 불소수지 코팅층에 의하여 이형 효과가 매우 우수한 도자기 형태의 신발창 제조용 금형을 제공하게 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인 도자기 형태의 신발창 제조용 금형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신발창 제조용 금형이 상부 금형(10)과 하부 금형(20)으로 구분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3개의 금형이 하나의 조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각각의 금형(10, 20)의 제작 방법을 설명한다. 비록 상부 금형(10)과 하부 금형(20)의 형태는 서로 상이하지만, 그 제작 방법은 동일하다.
먼저 점토를 이용하여 도자기로 된 몰드 본체(10-1, 20-1)를 제작한다.
이를 위하여 점토를 신발창 제조용 금형의 형태로 성형한 후, 초벌구이, 시유, 본구이를 거쳐 도자기로 된 몰드 본체(10-1, 20-1)를 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작 과정은 몰드 본체(10-1, 20-1)가 신발창 제조용 금형의 형태를 가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을 뿐 일반적인 도자기 제작과 동일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먼저 점토를 성형하여 신발창 제조용 금형의 형태, 즉 상부 금형(10) 및 하부 금형(20)의 형태를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형태 성형 과정은 수작업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별도의 성형 장치에 의해서 자동화된 공정에 의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점토의 특성상 그 형태 성형 작업은 매우 용이하다.
다음으로 초벌구이를 거치게 된다. 초벌구이란, 시유과정을 위하여 쉽고 안전하게 기물을 취급할 수 있도록 기물에 필요한 강도를 주기 위하여 800℃~900℃정도의 낮은 온도로 점토를 소성하는 과정을 말한다.
다음으로 시유 과정을 거치게 된다. 시유란, 기물에 유약을 입히는 과정을 말하며, 시유에 의하여 기물 표면에 광택을 주어 미적 효과를 높이는 동시에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기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물이나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을 증대시킨다.
다음으로 본구이를 거치게 된다. 본구이란, 초벌구이보다 더욱 높은 온도(예컨대 약 1100℃~1300℃)에서 기물을 소성하는 과정을 말하며, 이것은 점토가 충분히 소결되어 기물이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도록 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신발창을 제조하기 위한 형태를 가지면서 도자기로 된 몰드 본체(10-1, 20-1)가 각각 제작된다.
이후 각각의 몰드 본체(10-1, 20-1)의 표면에 불소수지 코팅층(10-2, 20-2)을 형성한다.
불소수지 코팅층(10-2, 20-2)의 형성은, 먼저 몰드 본체(10-1, 20-1)의 표면 전부 또는 일부에 불소수지를 도포한 후, 몰드 본체(10-1, 20-1)를 가열 챔버에 장입한 후 약 400℃에서 1시간 반 정도를 가열하여 불소수지 코팅층(10-2, 20-2)을 가열경화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몰드 본체(10-1, 20-1)의 표면 일부에만 불소수지를 도포하는 경우에도, 성형물과 접촉하는 부위는 모두 불소수지가 도포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제작 과정에 의하여 불소수지 코팅층(10-2, 20-2)이 형성된 도자기로 된 몰드 본체(10-1, 20-2), 즉 신발창 제조용 금형(10, 20)이 완성된다.
즉 상부 금형(10)과 하부 금형(20) 각각은 도자기로 된 몰드 본체(10-1, 20-1)와 몰드 본체(10-1, 20-1)의 표면에 형성된 불소수지 코팅층(10-2, 20-2)을 포함하게 된다.
이때 불소수지 코팅층(10-2, 20-2)의 가열경화에도 불구하고 도자기로 된 몰드 본체(10-1, 20-1)는 열변형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도자기로 된 몰드 본체(10-1, 20-1)는 불소수지 코팅층(10-2, 20-2)의 가열경화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소성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몰드 본체(10-1, 20-1)는 점토의 소결에 의하여 신발창의 성형에 필요한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점토의 특성상 몰드 본체의 형태 성형이 매우 용이하며, 아울러 도자기의 특성상 그 무게가 비교적 가벼우면서도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불소수지 코팅층에 의하여 이형 효과가 매우 우수한 신발창 제조용 금형이 완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신발창을 제조하기 위한 신발창 제조용 금형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인 도자기 형태의 신발창 제조용 금형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 금형 10-1 : 몰드 본체
10-2 : 불소수지 코팅층
20 : 하부 금형 20-1 : 몰드 본체
20-2 : 불소수지 코팅층

Claims (2)

  1. 신발창 제조용 금형의 형태로 성형된 점토를 초벌구이, 시유, 및 본구이를 거쳐 도자기로 된 몰드 본체와 ; 상기 몰드 본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불소수지 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자기 형태의 신발창 제조용 금형.
  2. 삭제
KR1020090113415A 2009-11-23 2009-11-23 도자기 형태의 신발창 제조용 금형 KR101168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415A KR101168926B1 (ko) 2009-11-23 2009-11-23 도자기 형태의 신발창 제조용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415A KR101168926B1 (ko) 2009-11-23 2009-11-23 도자기 형태의 신발창 제조용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910A KR20110056910A (ko) 2011-05-31
KR101168926B1 true KR101168926B1 (ko) 2012-08-02

Family

ID=44365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415A KR101168926B1 (ko) 2009-11-23 2009-11-23 도자기 형태의 신발창 제조용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9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4628B1 (ko) * 2014-09-30 2016-08-02 정민식 금형 표면처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562A (ja) * 2003-03-03 2004-09-24 Arita Togei:Kk 陶磁器製食器及びその施釉方法
KR200400866Y1 (ko) 2005-08-31 2005-11-09 이창훈 떡 제조용 형틀
KR200422557Y1 (ko) 2006-05-03 2006-07-27 천우테크 주식회사 도광판 성형을 위한 금형 구조
JP2009178994A (ja) * 2008-01-31 2009-08-13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加硫用モールド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61562A (ja) * 2003-03-03 2004-09-24 Arita Togei:Kk 陶磁器製食器及びその施釉方法
KR200400866Y1 (ko) 2005-08-31 2005-11-09 이창훈 떡 제조용 형틀
KR200422557Y1 (ko) 2006-05-03 2006-07-27 천우테크 주식회사 도광판 성형을 위한 금형 구조
JP2009178994A (ja) * 2008-01-31 2009-08-13 Yokohama Rubber Co Ltd:The タイヤ加硫用モールド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910A (ko)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4295B1 (ko) 도자기의 양각 문양 성형 방법
KR101168926B1 (ko) 도자기 형태의 신발창 제조용 금형
JP2018528796A5 (ko)
KR101692878B1 (ko) 흑자유 도자기 제조방법
KR20160085786A (ko) 엠보싱 롤러
US2005022111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ttery and resulting article of manufacture
JP2007195600A (ja) 電磁調理器用陶磁器製加熱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TWI636876B (zh) 透光性材料、低黏附性材料及成型用部件
KR101692879B1 (ko) 백회령유 도자기 제조방법
CN101265075A (zh) 一种耐热陶瓷不粘容器的生产工艺
FI20175096L (fi) Menetelmä luonnostaan jäähtyvän keramiikka-astian valmistamiseksi
JP4620558B2 (ja) シリコーンゴムの成形方法
KR101255569B1 (ko) 깃봉 및 깃봉의 제조방법
CN108314424A (zh) 一种热水器及旋钮
CN108304028A (zh) 一种灶具及旋钮
KR20090054420A (ko) 도자기 제조방법
TWM576393U (zh) Glove mould
KR101692877B1 (ko) 청회령유 도자기 제조방법
RU2007120978A (ru) Способ моллирования листового стекла и форм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710475B1 (ko) 가열조리기구용 법랑 및 넌스틱 코팅 방법 및 가열조리기구
TWI633068B (zh) 玻璃模造鏡片的製造方法與用於製造玻璃模造鏡片的套筒
WO2015025285A2 (en) Process for forming articles from extruded polymer sheet
CN209309655U (zh) 一种内置粗大异形金属嵌件的环氧绝缘制品
KR200207189Y1 (ko) 통기성이 양호한 도자기 용기 성형용 금형장치
TWI611899B (zh) 熱塑一體成型之金屬殼埋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