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903B1 -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903B1
KR101166903B1 KR1020100006528A KR20100006528A KR101166903B1 KR 101166903 B1 KR101166903 B1 KR 101166903B1 KR 1020100006528 A KR1020100006528 A KR 1020100006528A KR 20100006528 A KR20100006528 A KR 20100006528A KR 101166903 B1 KR101166903 B1 KR 101166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pellets
pellet
plastics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073A (ko
Inventor
강수호
Original Assignee
한국하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하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하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6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903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12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plastics, e.g. rub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3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comminuting or cr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4Waste feed arrangements for solid was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9/00Specific waste
    • F23G2209/28Plastics or rubber lik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을 활용하여 전기 발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소효능이 증대된 펠릿을 제조하여 발전 효율을 극대화시킨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에는 반입된 플라스틱물을 분류하고 파쇄하여 플라스틱알갱이를 산출하는 분류파쇄부와, 플라스틱알갱이를 세척하고 탈수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탈수부와, 플라스틱알갱이를 압축용융하고, 냉각시킨 후 파쇄하여 펠릿을 생성하는 펠릿생성부 및 펠릿을 연소시키는 버너를 통하여 얻어진 고온의 화염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The electric generating system using burning the pellet}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을 활용하여 전기 발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소효능이 증대된 펠릿을 제조하여 발전 효율을 극대화시킨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버려지는 폐기물 중 플라스틱 또는 유기성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가연성 재료를 펠릿 형상의 알갱이로 가공하고, 이 펠릿을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활용하는 수단이 있다. 특히, 플라스틱의 경우 자연 분해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종래의 처리 방식에 따라 매립하는 경우 자연 훼손의 주된 요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펠릿의 연소는 상연소나 유동연소에 비하여 연소효율이 좋으므로, 폐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공정과, 펠릿을 연소시켜 얻어진 열에너지를 활용하는 기술은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
그러나 이러한 펠릿의 제조와, 펠릿을 이용하여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얻는 공정은 각기 별도로 이루어짐에 따라 제조된 펠릿을 운송수단으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비용이 그 만큼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버너의 특성에 맞추어 펠릿의 구성을 달리할 수 없으므로 해당 버너에서 최적의 연소 효율을 발휘하는 전용 펠릿의 구성을 얻기 어려운 단점도 갖는다.
한편, 덩어리로 반입되는 플라스틱을 분쇄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연질플라스틱의 경우에는 점도가 크므로 분쇄기에 부담을 크게 하므로, 펠릿의 제조는 경질의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펠릿의 제조 현장에서 순수한 경질플라스틱만 모아 펠릿을 제조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연질플라스틱과 경질플라스틱을 모두 수거하여 펠릿을 제조하게 되는데, 반입되는 플라스틱의 종류를 구분하지 아니함으로써 연질플라스틱의 반입량이 경질플라스틱의 반입량보다 훨씬 많은 경우에는 분쇄기가 쉽게 고장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펠릿의 제조와, 제조된 펠릿을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얻는 버너 연소를 하나의 시스템 상에 구현하여, 얻어진 열에너지를 전기 발전에 사용케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펠릿의 제조시 경질플라스틱과 연질플라스틱의 배합비율을 일정하게 하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펠릿의 제조시 발생하는 분진을 처리하여 주변 환경오염을 줄이는 목적을 갖는다.
또한, 펠릿의 연소에 의한 고열용량을 얻을 수 있게 하는 목적도 갖는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반입된 플라스틱물을 분류하고 파쇄하여 플라스틱알갱이를 산출하는 분류파쇄부와, 상기 플라스틱알갱이를 세척하고 탈수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탈수부와, 상기 플라스틱알갱이를 압축용융하고, 냉각시킨 후 파쇄하여 펠릿을 생성하는 펠릿생성부 및 상기 펠릿을 연소시키는 버너를 통하여 얻어진 고온의 화염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분류파쇄부는 상기 반입된 플라스틱물 중 부피가 큰 플라스틱물을 선별하는 제1분류장치와, 상기 제1분류장치를 통하여 걸러진 부피가 큰 플라스틱물을 조분쇄하는 제1파쇄장치를 포함하는 제1분류파쇄부 및 상기 제1분류파쇄부를 거친 플라스틱물을 연질플라스틱물과 경질플라스틱물로 분류하는 제2분류장치와, 상기 분류된 연질플라스틱물과 경질플라스틱물을 연소혼합비율로 재혼합하며 미분쇄하여 상기 플라스틱알갱이를 산출하는 제2파쇄장치를 포함하는 제2분류파쇄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을 제시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2분류장치에는 분리된 상기 연질플라스틱물이 수용되는 제1호퍼와, 상기 경질플라스틱물이 수용되는 제2호퍼가 포함되고, 상기 제1호퍼와 제2호퍼에서 상기 연소혼합비율에 따라 배출되는 연질플라스틱물과 경질플라스틱물은 각 이송컨베이어를 통하여 상기 제2파쇄부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알갱이에서 플라스틱분진을 분리배출하고, 상기 플라스틱알갱이를 상기 세척탈수부에 투입하는 사이클론분리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펠릿생성부는 상기 플라스틱알갱이를 고온에서 압축하여 플라스틱괴를 형성하는 압축용융기와, 상기 플라스틱괴를 냉각하는 냉각수조와, 냉각된 상기 플라스틱괴를 파쇄하여 펠릿을 생성한 후 이송블로워를 통하여 펠릿저장조에 이동시키는 제3파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버너는 상기 펠릿생성부에서 제조된 펠릿을 투입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실이 구비되고, 상기 연소실은 유입된 상기 펠릿을 액화시키며, 전방을 향하여 점차 내경이 증대되는 액화공간부와, 상기 액화공간부의 전방에는 점차 내경이 감소되게 형성되며, 액화된 상기 펠릿을 기화시키는 기화공간부와, 상기 기화공간부의 전방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기화된 상기 펠릿이 착화되어 전방으로 방출되는 토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화공간부의 내벽면과 상기 기화공간부의 내벽면 후방에까지 고정되고, 상기 펠릿이 액화 또는 기화되게 하도록 고온을 유지시키는 적열봉체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적열봉체에는 상기 액화공간부 또는 기화공간부의 내벽면에 수직되게 고정되는 수직봉과, 상기 수직봉의 끝단에 결합되어 적열면적을 크게 하는 수평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제2분류파쇄부, 상기 사이클론분리부, 상기 펠릿저장조에서 발생되는 플라스틱분진을 포집하는 필터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을 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에 따르면, 플라스틱의 반입부터 펠릿의 생성 및 펠릿 연소까지 하나의 시스템 안에서 이루어지므로 폐플라스틱의 처리 및 재활용이 한 번에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펠릿의 제조시 경질플라스틱과 연질플라스틱을 적당히 배합함으로써 연질플라스틱의 파쇄 등에 있어 발생되는 눌러 붙은 현상을 예방하여, 파쇄장치 등의 개별 장치에 대한 고장을 줄이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사이클론분리부, 필터장치를 통하여 플라스틱분진을 수집, 제거함으로써 펠릿의 제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며 플라스틱분진에 의한 주변 환경의 대기 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버너의 연소실의 형상 및 연소실에 구비되는 적열봉체에 의하여 펠릿의 연소 효율이 향상되어 고열용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연소로 얻어진 고열로부터 발전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에 채용된 버너의 측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인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을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100)에는 반입된 플라스틱물을 분류하고 파쇄하여 플라스틱알갱이를 산출하는 분류파쇄부(1)와, 상기 플라스틱알갱이를 세척하고 탈수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탈수부(2)와, 상기 플라스틱알갱이를 압축용융하고, 냉각시킨 후 파쇄하여 펠릿을 생성하는 펠릿생성부(3) 및 상기 펠릿을 연소시키는 버너를 통하여 얻어진 고온의 화염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부(4)가 포함된다.
이때, 분류파쇄부(1)에는 큰 부피를 가지며 반입되는 플라스틱물을 선별하고, 조분쇄하는 제1분류파쇄부(11)와, 제1분류파쇄부를 거쳐 조분쇄된 플라스틱물을 분류하고, 분류된 플라스틱물을 연소혼합비율로 재혼합하여 미분쇄하는 제2분류파쇄부(12)가 포함된다.
제1분류파쇄부(11)에는 부피가 큰 플라스틱물을 선별하기 위하여, 반입된 플라스틱물이 순차적으로 이송되며 미리 설정된 기준부피보다 큰 부피를 갖는 플라스틱물을 선별하는 제1분류장치(111)와, 선별된 플라스틱물을 조분쇄하는 제1파쇄장치(112)가 포함된다.
이때, 제1분류장치(111)는 반입된 플라스틱물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컨베이어벨트로 이루어져, 수작업에 의하여 기준부피보다 큰 부피를 가지는 플라스틱물을 선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기준부피는 제2파쇄장치(122)에 투입가능한 크기로 정해지는 것이며, 제2파쇄장치(122)의 고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다 작은 부피로 정할 수 있다.
한편, 수작업에 의한 분류를 배제하기 위하여, 컨베이어벨트와 같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는 기준부피보다 큰 부피를 갖는 플라스틱물을 골라 제1파쇄장치(112)에 투입하는 분류기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분류기는 컨베이어벨트로 이송되는 플라스틱물의 크기를 이미지로 확인하고, 이를 분류해내는 공지된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1파쇄장치(112)는 분류된 플라스틱물을 상기 기준부피 이하의 부피를 가지도록 분쇄하는 공지의 것이다. 제1파쇄장치(112)를 거쳐 조분쇄된 플라스틱물은 이송컨베이어벨트를 통하여, 제1분류장치에서 분류되지 아니한 플라스틱물과 합쳐지며, 제2분류파쇄부(12)로 이송된다.
제2분류파쇄부(12)에는 제1분류파쇄부(11)를 거쳐 조분쇄되어 이송된 플라스틱물을 연질플라스틱물과 경질플라스틱물로 분류하는 제2분류장치(121)와, 상기 분류된 연질플라스틱물과 경질플라스틱물을 연소혼합비율로 재혼합하며 미분쇄하여 상기 플라스틱알갱이를 산출하는 제2파쇄장치(122)를 포함하는 제2분류파쇄부(12)가 포함된다.
이때, 제2분류장치(121)는 플라스틱물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컨베이어벨트로 구성되고, 수작업에 의하여 연질플라스틱과 경질플라스틱을 분류할 수 있다.
또는 제2분류장치(121)는 풍력에 의하여 분리하거나 침강속도차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등 다양한 공지 기술을 통하여 수작업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대량의 플라스틱물을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분류장치(121)를 거치면서 난연성 불순물을 걸러 별도의 폐기물저장조(5)로 폐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2분류장치(121)에는 분리된 상기 연질플라스틱물이 수용되는 제1호퍼(1211)와, 상기 경질플라스틱이 수용되는 제2호퍼(1212)가 포함된다.
또한, 제1호퍼(1211)와 제2호퍼(1212)에서 상기 연소혼합비율에 따라 배출되는 연질플라스틱물과 경질플라스틱물은 각 이송컨베이어(1213)를 통하여 상기 제2파쇄장치(122)에 투입된다.
즉, 제1호퍼와 제2호퍼의 도어의 개방량을 조정하여 연질플라스틱물과 경질플라스틱물의 비율은 연소혼합비율로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연소혼합비율은 제2파쇄장치에서 혼합 파쇄될 때 연질플라스틱물이 제2파쇄장치에 눌러 붙어 고장을 일으키지 아니하게 하며, 추후 설명되는 압축용융기에서 원활하게 성형되고 배출될 수 있게 하는 비율로, 연소혼합비율은 파쇄장치의 성능에 따라 달리 설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연질플라스틱과 경질플라스틱의 분류는 완벽히 이루어질 필요는 없고, 연질플라스틱의 분류 성공 정도는 중량 기준으로 70% 이상을 만족하면, 같은 분류 성공 정도로 분류되어 제2호퍼에 저장된 경질플라스틱과 혼합되어, 제2파쇄장치 등에 고장을 일으키지 아니할 정도가 되는 것이다.
한편, 제2파쇄장치(122)는 공지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제1호퍼(1211)와 제2호퍼(1212)에서 배출된 연질플라스틱물과 경질플라스틱물을 미분쇄하여 작은 알갱이 형상의 플라스틱알갱이를 생성한다.
생성된 플라스틱알갱이는 이송블로워(1221) 등의 이송수단을 통하여 세척탈수부(2)로 투입되어, 세척 탈수되며 미세한 불순물이 제거된다.
구체적으로 세척탈수부(2)에는 세척용액이 담긴 세척조(21)와, 세척조를 거친 플라스틱알갱이에서 세척용액을 제거하기 위한 탈수기(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세척용액은 계면활성제, 소포체 등의 첨가물이 부가된 것이며, 세척 과정 중 금속체를 제거하기 위한 자석을 이용한 공지된 금속제거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탈수기(22)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탈수하고 자연 건조하거나, 가열에 의하여 탈수를 촉진하는 일반적인 구성을 갖는다. 탈수기를 거쳐 건조된 플라스틱알갱이는 칩저장조에 저장된다.
한편, 제2파쇄장치(122)에 토출된 플라스틱알갱이에는 플라스틱분진이 포함되므로, 세척탈수부(2)에 플라스틱알갱이를 투입하기 전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에는 제2파쇄장치(122)에서 배출된 플라스틱알갱이에서 플라스틱분진을 분리배출하는 사이클론분리부(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사이클론분리부(6)는 사이클론 원리를 이용하여 플라스틱알갱이는 가운데로 수집하여 하부로 배출하고, 분진은 상부로 상승시켜 배출하는 통상의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사이클론분리부를 더 거침으로써 플라스틱알갱이의 생성과정에서 발생된 다량의 플라스틱 분진을 미리 제거하여 세척조에 분진이 침수되어 세척조를 막거나, 플라스틱분진이 압축용융기의 입구를 막는 문제를 사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펠릿생성부(3)는 세척탈수부(2)를 거쳐 칩저장조에 수거된 플라스틱알갱이를 공급받아 펠릿을 형성한다.
펠릿생성부(3)에는 플라스틱알갱이를 고온에서 압축하여 플라스틱괴를 형성하는 압축용융기(31)와, 상기 플라스틱괴를 냉각하는 냉각수조(32)와, 냉각된 상기 플라스틱괴를 파쇄하여 펠릿을 생성한 후 이송블로워(341)를 통하여 펠릿저장조(33)에 이동시키는 제3파쇄장치(34)가 포함된다.
압축용융기(31)는 플라스틱알갱이를 녹인 후 합쳐 플라스틱괴를 형성한다. 이때 연소혼합비율로 섞인 연질의 플라스틱알갱이와 경질의 플라스틱알갱이로 인하여 압축용융기는 연질에 플라스틱알갱이에 의한 눌러 붙음을 줄이면서 용융, 균일하게 혼합된 플라스틱괴를 압축 형성하게 된다.
압축용융기를 높은 비중으로 압축된 플라스틱괴는 냉각수조(32)에 투입되어 상온으로 냉각되고, 냉각된 플라스틱괴는 제2파쇄장치(122)를 거쳐 버너(41)에 투입되기 알맞은 펠릿으로 분쇄된 후 펠릿저장조(33)로 이송된다.
한편, 압축용융기(31)에서 플라스틱알갱이를 용융하는 과정 중 발생하는 유해가스는 배기팬을 통하여 흡입 배출되며, 가스 스크라버(scrubber)(7)를 통하여 필터링 된 후 배기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 스크라버(7)는 건식 방식으로 다층의 필터 층을 가지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한편, 발전부(4)에는 펠릿저장조(33)에 저장된 펠릿을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버너(41)와, 버너(41)의 화염으로 전기 발전을 일으키는 발전기(42)로 이루어진다.
이때, 발전기(42)는 버너의 화염으로 물을 가열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공지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2는 버너의 측단면도이다.
버너(41)는 고형인 펠릿을 기화시켜 연소시키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버너는 펠릿생성부(3)에서 제조된 펠릿을 투입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실(411)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소실(411)은 유입된 상기 펠릿을 액화시키며, 전방을 향하여 점차 내경이 증대되는 액화공간부(4111)와, 상기 액화공간부(4111)의 전방에는 점차 내경이 감소되게 형성되며, 액화된 상기 펠릿을 기화시키는 기화공간부(4112)와, 상기 기화공간부(4112)의 전방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기화된 상기 펠릿이 착화되어 전방으로 방출되는 토출부(411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액화공간부(4111)의 내벽면과 상기 기화공간부(4112)의 내벽면 후방에까지 고정되고, 상기 펠릿이 액화 또는 기화되게 하도록 고온을 유지시키는 적열봉체(4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적열봉체(412)에는 상기 액화공간부(4111) 또는 기화공간부(4112)의 내벽면에 수직되게 고정되는 수직봉(4121)과, 상기 수직봉의 끝단에 결합되어 적열면적을 크게 하는 수평판(4122)이 포함된다.
즉, 버너(41)의 연소실(411)은 중앙 부분이 최대 직경을 가지며, 전, 후방 양단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된다. 연소실로 투입되는 펠릿은 액화공간부(4111)과 기화공간부(4112)를 통과하면서, 고체에서 액체로 용융되며 다시 액체에서 기체로 증발되어 연소에 적합하게 상변화된다.
이때, 적열봉체(412)는 액화공간부(4111) 및 기화공간부(4112)의 내벽면에서 수직되게 돌출되는 부재로 적열되어 연소실의 내부 온도를 플라스틱 펠릿의 기화에 알맞은 500℃ 내지 1000℃로 유지시킨다. 또한, 적열봉체(412)의 수직봉(4121)은 투입된 펠릿이 기화되기 전에 버너(41)의 전방으로 토출되는 것을 저지하는 저항요소로 작용하며, 수평판(4122)은 적열 및 방열 면적을 증대시켜 펠릿이 더욱 빨리 상변화하여 기화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적열봉체(412)가 연소실(411)에 구비된 버너(41)는 펠릿을 기화시켜 연소되게 함으로써, 펠릿의 불완전 연소를 방지하여 연소 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한편,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100)이 설치된 주변 대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100)에는 제2분류파쇄부(12), 사이클론분리부(6) 및 펠릿저장조(33)에서 발생되는 플라스틱분진을 포집하는 필터장치(8)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분류파쇄부(12)는 제2분류장치(121)에 의한 분류과정에서 플라스틱분진이 발생할뿐만 아니라, 제2파쇄장치(122)에 의한 플라스틱물의 미분쇄 과정 중에서 플라스틱분진이 다량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2파쇄장치(122)의 내부에서 발생한 플라스틱분진은 사이클론분리부(6)를 통하여 방출되며, 제3파쇄장치(34)에서 배출되는 펠릿은 펠릿저장조(33)에 부어지는 과정 중에서 또한 플라스틱분진이 대량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플라스틱분진은 필터장치에 연결된 흡입 덕트를 통하여 수집되며, 필터장치(8)는 플라스틱분진을 모아 배출하게 된다. 이때 필터장치(8)는 배기팬(81)에 의하여 플라스틱분진이 포함된 공기를 다중 필터를 통과시켜 흡입 배출하는 통상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다.
이로써 플라스틱분진에 의하여 주변 대기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0 : 시스템
1 : 분류파쇄부
11 : 제1분류파쇄부 111 : 제1분류장치 112 : 제1파쇄장치
12 : 제2분류파쇄부 121 : 제2분류장치 1211 : 제1호퍼
1212 : 제2호퍼 1213 : 이송컨베이어 1221 : 이송블로워
122 : 제2파쇄장치
2 : 세척탈수부
21 : 세척조 22 : 탈수기
3 : 펠릿생성부
31 : 압축용융기 32 : 냉각수조 33 : 펠릿저장조
34 : 제2파쇄장치 341 : 이송블로워
4 : 발전부
41 : 버너 411 : 연소실 4111 : 액화공간부
4112 : 기화공간부 4113 : 토출부 412 : 적열봉체
4121 : 수직봉 4122 : 수평판
5 : 폐기물저장조
6 : 사이클론분리부
7 : 가스 스크라버
8 : 필터장치
81 : 배기팬

Claims (7)

  1. 삭제
  2. 반입된 플라스틱물을 분류하고 파쇄하여 플라스틱알갱이를 산출하는 분류파쇄부(1);
    상기 플라스틱알갱이를 세척하고 탈수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세척탈수부(2);
    상기 플라스틱알갱이를 압축용융하고, 냉각시킨 후 파쇄하여 펠릿을 생성하는 펠릿생성부(3); 및
    상기 펠릿을 연소시키는 버너(41)를 통하여 얻어진 고온의 화염으로 전기를 생성하는 발전부(4);를 포함하되, 상기 분류파쇄부(1)는,
    상기 반입된 플라스틱물 중 부피가 큰 플라스틱물을 선별하는 제1분류장치(111)와, 상기 제1분류장치(111)를 통하여 걸러진 부피가 큰 플라스틱물을 조분쇄하는 제1파쇄장치(112)를 포함하는 제1분류파쇄부(11); 및
    상기 제1분류파쇄부(11)를 거친 플라스틱물을 연질플라스틱물과 경질플라스틱물로 분류하는 제2분류장치(121)와, 상기 분류된 연질플라스틱물과 경질플라스틱물을 연소혼합비율로 재혼합하며 미분쇄하여 상기 플라스틱알갱이를 산출하는 제2파쇄장치(122)를 포함하는 제2분류파쇄부(12);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제2분류장치(121)에는 분리된 상기 연질플라스틱물이 수용되는 제1호퍼(1211)와, 상기 경질플라스틱물이 수용되는 제2호퍼(1212)가 포함되고,
    상기 제1호퍼(1211)와 제2호퍼(1212)에서 상기 연소혼합비율에 따라 배출되는 연질플라스틱물과 경질플라스틱물은 각 이송컨베이어(1213)를 통하여 상기 제2파쇄장치(122)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
  4. 제2항에서,
    상기 플라스틱알갱이에서 플라스틱분진을 분리배출하고, 상기 플라스틱알갱이를 상기 세척탈수부(2)에 투입하는 사이클론분리부(6)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펠릿생성부(3)는
    상기 플라스틱알갱이를 고온에서 압축하여 플라스틱괴를 형성하는 압축용융기(31)와, 상기 플라스틱괴를 냉각하는 냉각수조(32)와, 냉각된 상기 플라스틱괴를 파쇄하여 펠릿을 생성한 후 이송블로워(341)를 통하여 펠릿저장조(33)에 이동시키는 제3파쇄장치(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
  6. 제5항에서,
    상기 버너(41)는
    상기 펠릿생성부(3)에서 제조된 펠릿을 투입받아 연소시키는 연소실(411)이 구비되고,
    상기 연소실(411)은 유입된 상기 펠릿을 액화시키며, 전방을 향하여 점차 내경이 증대되는 액화공간부(4111)와, 상기 액화공간부(4111)의 전방에 점차 내경이 감소되게 형성되며, 액화된 상기 펠릿을 기화시키는 기화공간부(4112)와, 상기 기화공간부(4112)의 전방에 연장되게 형성되며, 기화된 상기 펠릿이 착화되어 전방으로 방출되는 토출부(4113)로 이루어지고,
    상기 액화공간부(4111)의 내벽면과 상기 기화공간부(4112)의 내벽면 후방에까지 고정되고, 상기 펠릿이 액화 또는 기화되게 하도록 고온을 유지시키는 적열봉체(41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적열봉체(412)에는 상기 액화공간부(4111) 또는 기화공간부(4112)의 내벽면에 수직되게 고정되는 수직봉(4121)과, 상기 수직봉(4121)의 끝단에 결합되어 적열면적을 크게 하는 수평판(4122)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
  7. 제5항에서,
    제2분류파쇄부(12), 사이클론분리부(6) 및 상기 펠릿저장조(33)에서 발생되는 플라스틱분진을 포집하는 필터장치(8)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
KR1020100006528A 2010-01-25 2010-01-25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 KR101166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528A KR101166903B1 (ko) 2010-01-25 2010-01-25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528A KR101166903B1 (ko) 2010-01-25 2010-01-25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073A KR20110087073A (ko) 2011-08-02
KR101166903B1 true KR101166903B1 (ko) 2012-07-19

Family

ID=44925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528A KR101166903B1 (ko) 2010-01-25 2010-01-25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280B1 (ko) * 2020-09-14 2021-04-07 아세아시멘트(주) 시멘트 소성공정의 폐기물 대체연료 연속투입을 위한 폐기물 전처리 인라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3008B (zh) * 2016-08-28 2019-05-10 浙江鑫煌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综合城市垃圾处理站
KR102387903B1 (ko) * 2021-03-10 2022-04-19 주식회사 케이스카이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1626A (ja) 1996-11-13 1998-05-29 Sumitomo Metal Ind Ltd 廃棄物のガス化溶融方法
JP2001011478A (ja) * 1999-06-28 2001-01-16 Sakata:Kk 廃棄物固形化燃料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1626A (ja) 1996-11-13 1998-05-29 Sumitomo Metal Ind Ltd 廃棄物のガス化溶融方法
JP2001011478A (ja) * 1999-06-28 2001-01-16 Sakata:Kk 廃棄物固形化燃料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280B1 (ko) * 2020-09-14 2021-04-07 아세아시멘트(주) 시멘트 소성공정의 폐기물 대체연료 연속투입을 위한 폐기물 전처리 인라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073A (ko) 201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18488B1 (en) Method for processing a mixture of cellulose/plastic waste particles to form a fuel
CN102137917A (zh) 可燃性废弃物的燃料化装置及燃料化方法
KR101275192B1 (ko) 가연성 폐기물을 고형연료화하기 위한 폐기물 선별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고형연료 성형방법
KR101166903B1 (ko) 펠릿 연소를 통한 발전 시스템
JP2011079709A (ja) 廃棄物のセメント燃料化方法及び燃料化装置
KR101091118B1 (ko) 고형연료용 폐기물 전처리장치
JP4108021B2 (ja) プラスチック混合物の分別処理システム
KR101194188B1 (ko) 반도체 및 태양광 실리콘 웨이퍼 제조시 발생되는 폐 슬러지로부터 유효성분들을 회수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69766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rubber
JP3580098B2 (ja) 廃棄物からの燃料製造方法
JP2010194860A (ja) 廃プラスチックを含む混合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6059022B2 (ja) 固体燃料製造システム及び固体燃料製造方法
KR102623343B1 (ko) 열분해를 사용하여 폐타이어로부터 카본블랙을 제조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4737741B2 (ja) 廃プラスチックの低温破砕設備及び該設備を備えた処理システム、並びに処理方法
CN101781594B (zh) 一种将固体垃圾转变为燃料或能量的方法及装置
JPH07300355A (ja) セメント製造方法
KR100665626B1 (ko) 폐건전지의 코발트 건식 분리방법
KR102318626B1 (ko) 폐비닐 재활용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재활용품
JP3729723B2 (ja) 廃棄物の前処理装置
JP2014019765A (ja) 廃棄物処理システム
JP2002294246A (ja) 可燃性廃棄物からの炭化物の製造方法
CN106701232A (zh) 褐煤干燥提质的方法
KR102503555B1 (ko) 태양광 공정에서 발생한 슬러지로부터 실리콘 음극재를 회수하는 시스템
KR20170096705A (ko) 폐주물사의 재생장치
JP2007204712A (ja) 廃棄物の炭化物とプラスチック含有固形燃料の製造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