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439B1 -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 - Google Patents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439B1
KR101166439B1 KR1020090112733A KR20090112733A KR101166439B1 KR 101166439 B1 KR101166439 B1 KR 101166439B1 KR 1020090112733 A KR1020090112733 A KR 1020090112733A KR 20090112733 A KR20090112733 A KR 20090112733A KR 101166439 B1 KR101166439 B1 KR 10116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flying
flight
leisur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054A (ko
Inventor
김재원
Original Assignee
김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원 filed Critical 김재원
Priority to KR1020090112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439B1/ko
Publication of KR20110056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3/00Cycles convertible to, or transformable into, other types of cycles or land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5/00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 B60F5/02Other convertible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in or on different media convertible into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26Attaching the wing or tail units or stabilis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00Wings
    • B64C3/10Shape of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7/00Convertible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9/00Adjustable control surfaces or members, e.g. rudders
    • B64C9/14Adjustable control surfaces or members, e.g. rudders forming slots
    • B64C9/16Adjustable control surfaces or members, e.g. rudders forming slots at the rear of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도로 주행 및 레저활동을 위해 이용되는, 통상의 자전거에, 비행유도기능을 갖는 전동 프로펠러와, 탈,부착 조립이 가능한 비행 유도체를 접목시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일반 자전거, 또는 하늘을 나는 비행수단 등으로, 변경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서, 별도의 숙련된 기술습득 내지 자격요건 구비없이도, 남녀노소 누구나 안전시설이 구비된 장소에서 손쉽게 즐길수 있도록 한 항공스포츠 물품으로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삼각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주행페달에 의해 구동되는 전륜 디스크휠과, 후륜 디스크휠이 장착되고, 여기에, 주행핸들과, 탑승안장, 그리고, 보조안장을 더 구비시킨 자전거를 비행동체 구성으로 하여;
상기 삼각프레임에 주 비행유도체를 장착시키고;
상기 보조안장에 보조 비행유도체를 장착시키며;
상기 주행핸들 중앙 전방에 전동프로펠러를 더 장착 구비되게 함으로서, 달성된다.

Description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The flying bicycle}
본 발명은, 레저용 비행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탈것 개념의 자전거 구조에, 비행 유도기능을 갖는 전동수단과, 탈,착 조립식 날개구조 등을 접목시켜, 단순한 도로주행 수단으로서 뿐만 아니라, 하늘을 나는 새로운 형태의 비행수단으로서,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도록 한 레저용 비행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사회발전에 따른 소득향상과, 그로 인한,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의 등장에 따라 여가 및 레저 스포츠 산업의 특수와 내수 소비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현실임을 알 수 있다.
즉, 고된 직장업무와, 바쁜 일상 생활에서 쌓인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심신을 재충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많은 사람들이 여행을 떠나거나, 야외 레저활동을 즐기는 경우가 그 일예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이러한, 단순한 휴식차원의 여가활동을 벗어나, 보다 짜릿한 경험과 쾌감을 맛보기 위한 새로운 레저분야, 예컨데, 한늘을 날고 싶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망을 스포츠 활동의 한분야로 발전시킨 항공레포츠가 널리 개발되어 점차 대중화 되어가는 추세이다.
이에, 이와 같은, 레저활동의 한 분야로서, 일반인에게 대중화된 항공레포츠의 이용 종류별 물품형태를 살펴보면, 이는 고정날개에 의해 기류(氣流)를 타고 공중을 날수 있게 한 행글라이더와, 낙하산을 개조하여 구성한 패러글라이더, 그리고, 엔진동력을 이용한 경비행기 등이 그 대표적인 사용 기구라 볼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항공레포츠를 즐김에 있어, 먼저, 종래 이용되고 있는, 행글라이더와, 패러글라이더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사용기능을 살펴보면, 이는, 고정날개 또는 캐노피를 기류(氣流) 유도수단으로 하여, 여기에, 사람의 신체를 단순히 매달아 놓은 상태로 공중을 날개한 구성인 바, 따라서, 신체가 매달린 체로 공중을 비행하는 사용자는, 심리적 안정감이 결여된 상태로서, 심한 공포감을 갖게 되는, 구조상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으며, 아울러, 이러한, 행글라이더 및 패러글라이더는 단순히 하늘을 나는 인력활공(人力滑空機)수단에 불과 할 뿐, 이를 또 다른 레저용도로 사용을 변경하거나, 또는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은 전혀 갖추고 있지 못한 것으로, 매우 비경제적이고, 비효율적인 사용상의 폐단을 갖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르게, 상기 항공레포츠를 즐기기 위해 이용되는 종래의 경비행기는, 일반적인 항공기를 단순히 소형화시킨 구성, 예컨데, 비행사의 조정공간과, 사용자의 탑승공간을 마련하고, 엔진 구동력에 의해 하늘을 날개 한 구성으로서, 이러한 구성의 경비행기는 사용자 스스로가 비행을 즐기기 보다는, 단순한, 탑승자의 입장에서 간접 비행을 행하는 정도에 불과한 것이었던바, 따라서, 이러한, 간접비행에 만족하지 못하고, 사용자가 직접 경비행기의 조정을 원할 경우에 있어서는, 상당기간 교육과정을 통해 조종기술을 습득하고, 그에 준하는 인증된 자격조건을 갖추어야만 하는 것으로, 이는 매우 제한적이고, 난해한 이용상의 문제점을 상존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항공레포츠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개선시킨 형태로서, 새로운 개념의 레저용 비행수단을 제공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주행 및 레저활동을 위해 이용되는, 통상의 자전거에, 비행유도기능을 갖는 전동 프로펠러와, 탈,부착 조립이 가능한 비행유도체를 접목시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지면에서 이용하는 자전거, 또는 하늘을 나는 비행수단 등, 범용적인 형태로, 변경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아울러, 일반적인 패러글라이더 내지 행글라이더와 같은 인력활공수단으로서, 별도의 숙련된 기술습득 내지 자격요건 구비 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안전시설이 구비된 장소에서 손쉽게 즐길 수 있도록 한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강, 바다, 또는 호수 등, 일정 수심을 이루는 지역을 그 이용장소로 한정하고, 그 수면위에 활공유도타워를 설치하여, 레저용 비행자전거의 이륙과, 수면위로의 착륙을 안정적으로 유도되게 하고, 아울러, 자전거에 결합되는 비행유도체를 물에 뜰수 있는 구성, 예컨데, 부력작용이 우수한 발포수지 내지 비행유도체 내부에 소정공간의 부력발생부가 구비된 형태로 형성하여, 비행 자전거가 수면위로 착륙시, 탑승한 사용자가 안전하게 비행을 종료할 수 있게 하는 등, 육지와 하늘, 그리고, 수면에서 다용도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공스포츠 물품으로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삼각프레임의 전방과 후방에, 주행페달에 의해 구동되는 전륜 디스크휠과, 후륜 디스크휠이 장착되고, 여기에, 주행핸들과, 탑승안장, 그리고, 보조안장을 더 구비시킨 자전거를 비행동체 구성으로 하여;
상기 삼각프레임에 주 비행유도체를 장착시키고;
상기 보조안장에 보조 비행유도체를 장착시키며;
상기 주행핸들 중앙 전방에 전동프로펠러를 더 장착 구비되게 함으로서,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는, 도로 주행 및 레저활동을 위해 이용되는, 통상의 자전거에, 비행유도기능을 갖는 전동 프로펠러와, 탈,부착 조립이 가능한 비행유도체를 접목시켜, 단순한 자전거 기능으로서 뿐만 아니라, 하늘을 나는 비행수단으로서, 남녀노소 누구나, 별도의 숙련된 기술습득 내지 자격요건 구비 없이 안전장소에서 손쉽게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자전거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자전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자전거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 비행유도체의 측면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 비행유도체의 요부 결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 비행유도체의 요부결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동프로펠러의 요부 결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활공유도타워의 구성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자전거의 활공상태도로서, 그 일련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통상의 자전거(1)를 기초로 하여, 여기에, 주 비행유도체(2)와, 보조 비행유도체(3), 그리고, 전동프로펠러(4)를 장착, 구비되게 하여 구성한다.
여기서, 먼저, 상기 자전거(1)는, 도로주행 및 레저용으로 이용되는 통상의 자전거와 상이함이 없는 동일 구성을 취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통상의 자전거를 비행동체로 활용하게 되는 것인바, 이에, 이러한, 자전거를 비행동체로 적용함에 있어서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프레임(11)을 기초 골격구성으로 하여, 상기 삼각프레임(11)의 전방과, 후방면에 주행페달(12)에 의해 구동되는 전륜 디스크휠(13)과, 후륜 디스크휠(14)을 장착 구성하고, 상기 전륜 디스크휠(13) 상부면에 주행(비행)방향을 유도하는 주행(비행)핸들(15)을 형성 하며, 상기 삼각프레임(11) 상부 중앙면에, 탑승안장(16)을 설치하고, 재차, 상기 후륜 디스크휠(14) 상부면에 보조안장(17)을 구비시킨 형태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자전거(1)에 있어, 후륜 디스크휠(14)의 좌,우 양측면으로는, 도 1 또는 도 2,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페달(12)에 의한 동력 전달시, 후륜 디스크휠(14)과 함께 회전작용되는, 다수개의 마찰날개(f)가 구비된 구동 수차(141)를 더 장착, 구성한다.
또한, 상기 주 비행유도체(2)는, 비행동체로 구비된 자전거(1)를, 활공(滑空)가능하게 유도하는 수단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주 비행유도체(2)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대칭구조를 이루며, 일체화 결합된 한쌍의 익형날개(21)를 기초구성으로 하여, 상기 한쌍의 익형날개(21) 중앙부에 소정길이를 갖는 수평 커플링 구조로서, 체결유닛(22)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유닛(22)을 중심으로, 그 좌,우 양측면에 소정의 면적구성으로 관통된 탑승유도공(23)을 대칭, 형성하며, 상기 좌,우 한쌍의 익형날개(21) 중앙 전방과, 후방 하부면에 링크구조를 취하는 보강지지대(24)를 더 구비되게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주 비행유도체(2)에 있어, 익형날개(21)는, 중량감소와 부력발생을 위해 발포수지재를 그 소재로 이용하며, 선택에 따라, 익형날개 내부에 밀폐된 공간구조로서, 도 2의 부분확대도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발생부(211)를 더 구비하게 된다.
아울러, 주 비행유도체(2)에 있어, 좌,우 한쌍의 익형날개(21) 후방 중앙부로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실린더(C)에 의해 상,하 각도조절되는 양력조절날개(25)를 더 구비되도록 하되, 그 양력조절날개(25)의 각도를 조절되게 하는 구동실린더(C)는, 후술하는 전동프로펠러(4)에 있어, 전기에너지가 축전된 전동모터로 부터, 구동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제공받아 작동되는 통상의 기압실린더를 적용되도록 한다.
또 다르게, 주 비행유도체(2)에 있어, 좌,후 한쌍의 익형날개(21) 전방 중앙부로는,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탈,부착 구조로 조립되는, 한쌍의 보조프로펠러(26)가, 필요에 따른 선택적인 구성으로, 가변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조 비행유도체(3)는, 전술한 주 비행유도체를 보조하여, 비행동체로 구비된 자전거(1)를, 활공(滑空)가능하게 유도하는 비행수단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보조 비행유도체(3)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비행기에 적용되는 꼬리날개와 동일 형태로서, 수직안전판(31)과, 수평안전판(32)으로 구성하되, 그 수평안전판(32) 저면 중앙부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수평 요홈구조로서, 슬라이딩 체결유도홈(321)을 더 구비되게 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동프로펠러(4)는, 비행동체로 구비된 자전거(1)를, 후술하는 활공유도타워(5)로 부터, 하늘을 향해 안정적으로 이륙 유도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전동프로펠러(4)는, 도 1 또는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된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모터(41)를 기초구성으로 하여, 상기 전동모터(41) 후면 일측면에 커플링 구조를 취하는 결합설치유닛(42)을 형성하고, 상기 전동모터(41) 상부 일측면에 전원의 온/오프와, 전술한, 구동실린더(C)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 조작모듈(43)을 형성하며, 재차, 상기 전동모터(41) 전방 중앙부에 회동날개(44)를 결합, 형성되게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성을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자전거의 상호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행동체 구성으로 구비된 자전거(1)에 있어, 먼저, 삼각프레임(11)의 상부면 외경을, 주 비행유도체(2)의 체결유닛(22)에 의해,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싸여 지도록 한 후, 볼트 등, 체결수단에 의해 1차 결합시키고, 그 1차 결합된, 주 비행유도체(2)에 있어, 익형날개(21)의 보강지지대(24)를 삼각프레임(11)의 전,후면 부위에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결합되게 하여, 자전거(1)와, 주 비행유도체(2)를 상호 견고히 결합되게 한다.
이어, 연속하여, 주 비행유도체(2)가 결합된 자전거(1)에 있어, 보조안장(17)에 보조 비행유도체(3)를,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시키고, 재차, 주행핸들(15) 중앙 전방에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설치유닛(42)에 의해 전동프로펠러(4)를 장착되게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를 구현한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는, 강, 호수, 바다 등과 같이, 일정수심을 유지하는 안전지대에 한정하여, 그 이용관계를 갖게 되는 것인바, 그에 따른 사용관계 및 상호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강, 호수, 바다 등과 같은 지역을 그 이용장소로 하여, 수면위에,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활공유도타워(5)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활공유도타워(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저용 비행 자전거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륙시키기 위해 마련된, 필수, 이용 구성인바, 이는, 도 7 또는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높이를 갖는 구조물 형태로서, 그 상부면에 이륙대기판(511)이 구비된 설치지주(51)를 형성하고, 상기 설치지주(51) 일측면에 동력모터(52)에 의해 승,하강 작동되는 승강안내판(53), 예컨데, 엘리베이터의 작동구성을 적용 설치하며, 상기 설치지주(51)의 이륙대기판(511) 전방면에 곡선구조로 하향 돌출된, 활공유도편(54)을 형성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안내판(53)을 이용하여, 레저용 비행 자전거를, 이륙대기판에 이동시켜 사용자를 탑승되게 한 후, 활공유도편(54)에 의한 활공유도작용에 의해 레저용 비행 자전거를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륙되게 함으로서, 하늘을 날개하는 것이다.
이때, 레저용 비행 자전거에 있어, 전동프로펠러(4)와, 양력조절날개(25)는, 자전거의 이륙을 안전하게 유도하는 기능을 행함과 동시에, 이륙 이후, 좌,우 비행 방향(주행핸들과 연계된 형태로서)과, 상,하 비행높이를 조절되게 하는 기능 또한 병행하게 된다.
또한, 비행이 완료된 자전거는, 수면위로 착륙하게 되는 것으로, 이에, 수면위로 착륙되는 자전거(1)는, 주 비행유도체(2)를 형성하는 익형날개(21)의 부력작용에 의해, 수중으로 가라앉음 없이 부유하며, 자전거(1)의 안전한 착륙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고, 아울러, 이와 같이, 수면에 착륙한 상태에서, 탑승자에 의해 주행페달(12)을 회동시키게 되면, 그 주행페달(12) 동력이, 후륜 디스크휠(14)과 연계된 구동수차(141)로 전달되어, 수면에서의 이동 또한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의 또 다른 실시예도로서, 이와 같은, 또 다른 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은, 전술한, 일실시예 구성에 있어, 주 비행유도체(2) 상부면에, 행글라이더 구조를 응용한, 안전유도날개(100)를 더 구비되게 하여, 활공기능과 함께, 안전성을 증대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단순한 설계변경에 불과할 뿐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자전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자전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 비행유도체의 측면 개략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 비행유도체의 요부 결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보조 비행유도체의 요부결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동프로펠러의 요부 결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활공유도타워의 구성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자전거의 활공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의 또 다른 실시예도
< 도면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전거 2 : 주 비행유도체 3 : 보조 비행유도체
4 : 전동프로펠러 5 : 활공유도타워 21 : 익형날개
22 : 체결유닛 23 : 탑승유도공 24 : 보강지지대
25 : 양력조절날개 31 : 수직안전판 32 : 수평안전판

Claims (8)

  1. 삭제
  2. 주 비행유도체(2)가 장착된 삼각프레임(11) 전방과 후방에, 주행페달(12)에 의해 구동되는 전륜 디스크휠(13)과, 후륜 디스크휠(14)이 장착되고, 여기에, 전동프로펠러(2)가 장착된 주행핸들(15)과, 보조 비행유도체(3)가 장착된 탑승안장(16), 그리고, 보조안장(17)을 구비시킨 레저용 비행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주 비행유도체(2)는, 좌,우 대칭 구조를 이루며 일체화 결합된 한쌍의 익형날개(21)를 기초구성으로 하여, 상기 한쌍의 익형날개(21) 중앙부에 수평 커플링 구조를 취하는 체결유닛(22)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유닛(22)을 중심으로, 그 체결유닛(22)의 좌,우 양측면에 관통구조를 취하는 탑승유도공(23)을 형성하며;
    상기 좌,우 한쌍의 익형날개(21) 중앙 전방과, 후방 하부면에 링크구조를 취하는 보강지지대(24)를 형성하고;
    상기 좌,우 한쌍의 익형날개(21) 후방 중앙부에, 구동실린더(C)에 의해 상,하 각도조절되는 양력조절날개(25)를 더 구비되게 하여,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익형날개(21)는, 그 내부에 밀폐된 공간구조로서, 부력발생부(211)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112733A 2009-11-20 2009-11-20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 KR101166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733A KR101166439B1 (ko) 2009-11-20 2009-11-20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733A KR101166439B1 (ko) 2009-11-20 2009-11-20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054A KR20110056054A (ko) 2011-05-26
KR101166439B1 true KR101166439B1 (ko) 2012-07-20

Family

ID=4436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733A KR101166439B1 (ko) 2009-11-20 2009-11-20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43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594Y1 (ko) 2005-08-09 2005-12-05 김동근 경비행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594Y1 (ko) 2005-08-09 2005-12-05 김동근 경비행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참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054A (ko)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07733B (zh) 仿生飞行器
US7815144B2 (en) Ground air water craft
CN107933914B (zh) 水空两栖观光电动旋翼飞行器
CN101885295A (zh) 陆空两用飞行器
CN102874408A (zh) 双涵道螺旋桨垂直起降电动载人飞行器及其实现方法
US1672163A (en) Aircraft
CN101722806A (zh) 一种可在陆地、空中和/或水中行进的交通工具
US20060255208A1 (en) Multipurpose winglet for aircraft
US7188580B1 (en) Variable-geometry graduated surface-foil for wing-in-ground effect vehicles
CN102424110A (zh) 可变翼微型水陆飞行器
WO2007073361A1 (fr) Procede de deplacement d&#39;un appareil de remorquage aerien muni d&#39;un vehicule de deplacement plus lourd que l&#39;air en mode de glissement ou de roulement et appareil de remorquage aerien
CN202357821U (zh) 可变翼微型水陆飞行器
KR101166439B1 (ko) 항공레포츠에 활용되는 레저용 비행 자전거
US3522785A (en) Semiairborne vehicle
CN201447063U (zh) 海空飞行器
CN207360563U (zh) 一种可折叠翼地效飞船
CN201291726Y (zh) 一种可在陆地、空中和/或水中行进的交通工具
CN210116642U (zh) 水上三角翼飞船
JP6975652B2 (ja) 自走式水上滑走滑空遊具
CN201338727Y (zh) 具三角翼的动力飞行器
US20060208133A1 (en) Personal aircraft vehicle
CN201729037U (zh) 陆空两用飞行器
CN103231803A (zh) 一种小型无人飞行器构型
KR20180031830A (ko) 수륙공 겸용 조립식 경비행기와 미끄럼대를 이용한 이륙 방법
RU2175298C1 (ru) Самолет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ой схемы &#34;несущий корпус&#34; с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ми гребня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