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269B1 -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269B1
KR101166269B1 KR1020050113772A KR20050113772A KR101166269B1 KR 101166269 B1 KR101166269 B1 KR 101166269B1 KR 1020050113772 A KR1020050113772 A KR 1020050113772A KR 20050113772 A KR20050113772 A KR 20050113772A KR 101166269 B1 KR101166269 B1 KR 101166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use module
cursor
light
term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3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5262A (ko
Inventor
한동엽
조두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3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269B1/ko
Publication of KR20070055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5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를 갖는 단말기 바디와; 단말기 바디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이외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할 수 있는 마우스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마우스 모듈의 조작에 의하여 정밀하고 용이하게 커서 또는 포인터 조작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별도의 입력장치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휴대폰, 핸드폰, 단말기, 마우스, 디스플레이, 커서

Description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MOUSE MODUL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열린 상태를 보인 전면사시도,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모듈 부분을 도시한 도 3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마우스 모듈이 180도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 컴퓨터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하는 것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말기 본체 11: 키패드
12: 마우스 장착부 13: 제1투광창
14: 제2투광창 20: 디스플레이 유닛
21: 디스플레이 30: 마우스 모듈
31: 하우징 32: 발광부
33: 수광부 34: 기판
35: 샤프트 36: 투광성 패드
37: 에프피시비 38: 제어부
39: 외부신호 송출부 40: 외부 디스플레이
41: 인터페이스 42: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말기 바디에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포인터를 조작할 수 있는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전화기나 피디에이(PDA) 등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중에 이를 이용하여 무선 송수신이나 정보를 열람 또는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기의 하나이다.
최근들어 모바일용 메모리와 디스플레이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는 기본적인 무선전화 기능 외에도 다양하고도 고용량인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예를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는 그 전면에 다수의 키버튼을 갖는 키패드(110) 및 키패드(110)의 하측에 송화용 마이크(120)가 설치된 단말기 본체 (100)와, 단말기 본체(100)에 대하여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닫히는 내측면에 시각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210) 및 디스플레이(210)의 상측에 수신용 리시버(220)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유닛(20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에 사용자가 입력이나 제어를 하고자 하는 경우 디스플레이(210)를 보며 단말기 본체(100)에 설치된 키패드(110)의 해당 키버튼을 눌러 원하는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기가 이동중에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경량화되고 슬림화되는 추세에 따라 키버튼의 크기나 간격도 작아지게 되어 이들을 조작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키패드(110) 중에 방향 키버튼을 이용하여 포인터나 커서의 방향 이동을 지시할 수 있으나,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하기 위하여 손가락을 연속적으로 움직여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그러한 작은 키버튼을 누르는 방식보다는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방식을 추구하게 되었고,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손가락의 접촉을 인식하여 입력을 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하거나, 키패드와는 별도의 터치방식의 패드를 마련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의 화면상에 있는 커서 또는 포인터만을 위한 것이므로 그 사용 범위가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기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 또는 포인터를 정교하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외부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갖는 단말기 바디와; 단말기 바디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이외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할 수 있는 마우스 모듈을 포함하는 마우스 모듈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폴더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된 것을 보인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슬라이드 타입 또는 바(bar) 타입의 휴대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일실시예로서,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이 열린 상태를 보인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는 그 전면에 다수의 키버튼을 갖는 키패드(11)가 단말기 본체(10)와, 단말기 본체(10)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닫히는 내측면에 시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가 설치된 디스플레이 유닛(20)으로 구성된다.
키패드(11)의 하측에는 단말기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21) 이외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할 수 있는 마우스 모듈(30)이 설치된다. 여기서 외부 디스플레이는 컴퓨터나 기타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시각적인 표시장치를 말한다.
단말기 본체(10)에는 마우스 모듈(3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우스 장착부(12)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말기 본체(11)의 전면에는 마우스 모듈(30)이 단말기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할 때 위치되는 제1투광창(13)이 형성되며,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에는 마우스 모듈(30)이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할 때 위치되는 제2투광창(14)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모듈 부분을 도시한 도 3의 I-I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마우스 모듈(30)이 빛을 인식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형태인 것을 보인 것이다.
즉, 마우스 모듈(30)은 양단에 구비되는 샤프트(35)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우스 장착부(12)에 장착되는 하우징(31)과, 하우징(31)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32) 및, 발광부(32)에서 발광된 빛이 손가락이나 바닥면에 이른 후 그 반사된 빛을 수광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수광부(33)로 구성된다.
발광부(32)와 수광부(33)는 각각 하우징(31) 내에 지지된 기판(34) 상에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31)에는 발광부(32)와 수광부(33)의 전방에 마우스 모듈(30)이 단말 기 본체(10)의 전면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대고 커서나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게 투광성의 패드(36)가 구비된다.
하우징(31)의 일측에는 마우스 모듈(30)과 단말기 본체(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신호 연결하고, 하우징(31)이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우징(30)의 회전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리게 설치되는 에프피시비(37)가 구비된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마우스 모듈이 180도 회전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 컴퓨터 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하는 것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31)이 회전되면서 발광부(32)와 수광부(33)도 함께 180도로 회전되어 마우스 모듈(30)은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에 형성된 제2투광창(14)의 하부의 바닥면이나 패드(50)와 마우스 모듈(30)간의 상대적인 이동을 감지하여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외부의 디스플레이(21)에 송출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휴대 단말기는 마우스 모듈(30)에서 송출된 신호를 받아 이를 단말기 디스플레이(21)나 외부 디스플레이(40)에 전달하기 위한 제어부(38)를 구비한다.
제어부(38)에는 외부 디스플레이(40)에 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외부신호 송출부(39)가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외부신호 송출부(39)는 적외선(IR) 송신장치나 블루투스(bluetooth)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장치가 될 수 있다.
외부 디스플레이(40)는 휴대 단말기의 외부신호 송출부(39)의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42)에 보낼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41)가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작용을 설명한다.
도 2와 도 4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의 단말기 디스플레이(21) 상의 커서나 포인터를 조작하는 경우 손가락을 투광성 패드(36)에 대고 이동하면 수광부(33)에서는 손가락으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반사광을 인식하여 제어부(38)로 신호를 보내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38)에서는 디스플레이(21)에 화면제어 신호를 보내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커서나 포인터도 연동하여 이동되는 모습을 보며 편리하게 입력이나 제어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5와 도 6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31)을 돌려서 발광부(32)와 수광부(33)가 단말기 본체(10)의 후면으로 향하도록 하면, 휴대 단말기는 외부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할 수 있는 외부 입력장치가 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기를 상하좌우로 바닥면이나 패드(50)에 대하여 이동시키면 마우스 모듈(30)도 함께 상하좌우로 이동되고 수광부(33)는 그 신호를 제어부(38)에 보내게 된다. 제어부(38)에서는 수광부(33)에서 보내온 신호를 외부신호 송출부(39)로 보내어 출력신호를 외부 디스플레이(40)에 내보내게 된다.
외부 디스플레이(40)는 휴대 단말기의 신호를 받아 커서나 포인터의 이동을 지시하게 되고, 사용자는 외부 디스플레이(40)의 디스플레이(41) 화면을 보면서 마우스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 이외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할 수 있는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것이므로, 마우스 모듈의 조작에 의하여 정밀하고 용이하게 커서 또는 포인터 조작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별도의 입력장치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8)

  1. 디스플레이를 갖는 단말기 바디와;
    상기 단말기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함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 이외의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할 수 있는 마우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바디에는 상기 마우스 모듈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우스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상기 마우스 모듈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할 때 위치되는 제1투광창이 형성되며, 상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상기 마우스 모듈이 상기 외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할 때 위치되는 제2투광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모듈 구비한 휴대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모듈은 빛을 인식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모듈은
    상기 마우스 장착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을 수광하여 신호를 전달하는 수광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의 전방 상기 마우스 모듈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위치할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을 대고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게 투광성의 패드가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는 상기 마우스 모듈과 상기 단말기 바디 사이를 신호 연결하고, 상기 하우징이 회전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의 회전방향으로 감기거나 풀리게 설치되는 에프피시비를 더 포함하는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우스 모듈이 외부 디스플레이의 커서 또는 포인터를 조작할 때 상기 마우스 모듈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외부의 디스플레이로 전달하는 외부신호 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신호 송출부는 적외선(IR) 송신장치나 블루투스(bluetooth) 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20050113772A 2005-11-25 2005-11-25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166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772A KR101166269B1 (ko) 2005-11-25 2005-11-25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3772A KR101166269B1 (ko) 2005-11-25 2005-11-25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262A KR20070055262A (ko) 2007-05-30
KR101166269B1 true KR101166269B1 (ko) 2012-07-17

Family

ID=38276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3772A KR101166269B1 (ko) 2005-11-25 2005-11-25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2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9088B1 (ko) * 2013-11-20 2015-07-24 박선용 무선마우스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284Y1 (ko) 2001-11-27 2002-02-27 최성훈 무선 광마우스의 장치를 구비한 핸드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284Y1 (ko) 2001-11-27 2002-02-27 최성훈 무선 광마우스의 장치를 구비한 핸드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5262A (ko)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63948B1 (en) Wireless handheld device and method with gui control
EP2343630B1 (en) Multi-functional pen and method for using multi-functional pen
KR101301521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06737A (ko) 입력 장치, 기억 매체, 정보 입력 방법 및 전자 기기
WO2016197697A1 (zh) 手势控制方法、装置及系统
WO2001028194A1 (en) Multiple mode wireless telephone
US20060109239A1 (en) Integrated module combining cursor control and numeric keypad
JP4311254B2 (ja) 携帯型電子機器
KR20080035907A (ko)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EP2017699A2 (en) Wireless mouse capable of controlling a handhel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8195252B2 (en) Input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ing scroll key
US20070216648A1 (en) Mouse
KR101166269B1 (ko) 마우스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9832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1237941A (ja) 携帯電話装置
JP2006042123A (ja) 携帯電話
JP6022898B2 (ja) 電子機器
KR100641199B1 (ko) 터치스크린 오작동 방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258804Y1 (ko) 텔레비젼 리모콘의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KR200305276Y1 (ko) 휴대용 조이스틱
JP2005354243A (ja) 電話装置
KR1012019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입력장치
JP2007537657A (ja) 電子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KR101301522B1 (ko) 휴대 단말기
JP2008263454A (ja) 折り畳み型携帯端末装置及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