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907A -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907A
KR20080035907A KR1020060102555A KR20060102555A KR20080035907A KR 20080035907 A KR20080035907 A KR 20080035907A KR 1020060102555 A KR1020060102555 A KR 1020060102555A KR 20060102555 A KR20060102555 A KR 20060102555A KR 20080035907 A KR20080035907 A KR 200800359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terminal
input device
sensor unit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2454B1 (ko
Inventor
이민수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2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454B1/ko
Priority to US11/874,787 priority patent/US8046039B2/en
Publication of KR20080035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본체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바디와, 상기 케이스 바디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장치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단말기 본체를 보호하는 동시에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별도로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CASE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케이스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 선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의 요부 부분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의 요부 부분 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의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말기 본체 110 : 터치 스크린
120 : 스피커부 130 : 마이크부
150 : 제1커넥터 200 : 케이스 바디
210 : 제1바디 211 : 제1고정부
212 : 제2고정부 214 : 제2커넥터
220 : 제2바디 221 : 록킹부재
222 : 제1고정부재 223 : 발광소자
230 : 커넥터 연결부 300 : 입력장치
310 : 연성회로기판(FPCB) 320 : 스위치
330 : 시트 340 : 키버튼부
350 : 에프피씨(FPC)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단말기 본체를 보호하는 동시에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중 하나인 터치 스크린은 그 편리한 입력방식과 GUI(Graphic User Interface)방식을 통한 디스 플레이 구성 등 사용자가 보다 쉽고 간편하게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인용 휴대 단말기에도 사용자의 손 또는 입력펜 등 여러 입력도구를 이용하는 키 입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이 구비되며, 사용자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상기 입력도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 또는 기호 등을 자유롭게 기재하거나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터치 스크린은 버튼과 같은 사용자의 누름 동작에 의해 입력되는 별도의 물리적인 입력장치가 없어 여러 불편함이 발생된다.
즉,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거나 단말기 상의 여러 기능들을 이용하고자 할 때는 터치 스크린 상에 알파벳이나 한글로 표시되는 키입력창을 통해서만 숫자나 문자를 입력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는 아이콘이나 메뉴 같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역과, 키 입력을 위한 키입력창이 터치 스크린 상에 따로 분할되어 표시되므로, 상대적으로 상기 터치 스크린의 큰 사이즈에도 불구하고 각종 정보나 컨텐츠를 이용할 때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체 영역을 다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휴대 단말기에는 차세대 이동 방송 서비스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와 같은 다양한 멀티 기능들이 지속적으로 추가되고 있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전체 영역을 사용하여 각종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스크린에 구비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정보입력을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키입력창 대신 별도의 입력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상에서 각종 컨텐츠를 키입력창이 제외된 전체 영역에 걸쳐 보다 큰 화면으로 사용하면서도 상기 입력장치를 통해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장치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단말기 본체를 보호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는 단말기 본체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바디와, 상기 케이스 바디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 바디는 가죽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배면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면을 덮어주고 그 내면에는 상기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제2바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바디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제2바디의 내면에 부착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누름 동작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는 다수의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상면에 배치되어 일면이 상기 제2바디의 외부로 일면이 노출되는 키버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키버튼부를 조명시키는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판은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버튼부는 완충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입력장치와 단말기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입력장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상기 단말기 본체로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입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신호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케이스 바디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면에 배치되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와 입력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에프피씨(Flexible Printed Circui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센서부와,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면에 상기 제1센서부와 상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센서부와, 상기 제2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센서부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제1바디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센서부와 제2센서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서로에게 전달해 주는 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달부재는 광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제2바디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신호전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케이스 바디에 수납되었을 때 전화가 걸려 오면 이에 연동되어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바디에는 단말기 본체의 배터리 단자와 유선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속단자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는 빛을 발산시키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일측에 배치되어 빛을 수신하는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는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광소자는 수신되는 빛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 로 한다.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제2바디가 제1바디에 대해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케이스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 록킹부는 상기 제2바디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를 지나 제1바디에 록킹되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의 일단에 장착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바디의 일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응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 록킹부는 상기 제2바디의 일단에 장착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바디에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응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 또는 제2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는 자석부재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보호 케이스에 대해 다음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구현과 관계없는 통상적인 휴대 단말기의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0)와, 상기 단말기 본체(100) 전면의 전 체면에 걸쳐 설치되는 터치 스크린(110)과, 상기 터치 스크린(11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기능버튼(140)과, 전화 통화시 음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 본체(100) 전면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스피커부(120)와 마이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110)은 전체면이 감지 가능한 액정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정보가 입력된다. 상기 터치 스크린(11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펜과 같은 입력도구가 표면에 직접 접촉되어야만 정보가 입력되기 때문에 단말기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케이스에 휴대 단말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케이스는 단말기 본체(100)를 보호하도록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외부를 감싸지게 배치되는 케이스 바디(200)와, 상기 케이스 바디(200)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3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 바디(200)는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배면에 장착되는 제1바디(210)와, 상기 제1바디(210)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전면을 덮어주고 그 내면에는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되는 제2바디(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 바디(200)는 부드러운 소재의 가죽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연성의 플라스틱 재질과 같이 단말기 본체(100)를 보호하면서도 부드러운 여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바디(210)와 제2바디(220) 사이에는 상기 제1바디(210)에 제2바디(220)를 연결하는 연결부(240)가 형성된다. 상기 제2바디(220)는 상기 연결부(240)에 의해 상기 제1바디(210)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바디(210)는 단말기 본체(1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100)가 수납되어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배면과 접하게 되는 제1바디(2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제1고정부(211)와 제2고정부(2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211)는 상기 제1바디(210) 상단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상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 단말기 본체(10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211)의 전면에는 단말기 본체(100)의 스피커부(120)가 제1고정부(21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스피커홀(213)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212)는 상기 제1바디(210)의 하단 양쪽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어, 단말기 본체(100)의 하단부 양쪽 모서리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단말기 본체(100)는 상기 제1고정부(211)의 수납 공간에 상단부가 먼저 삽입된 다음 상기 제2고정부(212)에 하단부의 양쪽 모서리 부분이 끼워져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휴대 단말기의 외형에 따라 그 외형에 맞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예를 설명하고 있지 만, 다른 여러 형상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100)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어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상단부 일측만 수납되고, 하단부는 탄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된 밴드(band)와 같은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100)가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디(220)는 상기 제1바디(210)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고 단말기 본체(100)의 전면과 맞닿는 면에는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300)가 장착된다.
도 4는 도 2의 I-I 선의 단면도이다.
상기 입력장치(300)는 상기 제2바디(220)의 내면에 부착되는 기판(310)과, 상기 기판(310)의 상면에 배치되어 누름동작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는 다수의 스위치(320)와, 상기 스위치(320)들의 상면에 배치되는 키버튼부(340)로 구성된다.
상기 기판(310)은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형성된다.
상기 기판(310)의 상면에는 누름동작에 의해 작동되는 스위치(320)들이 배치되고, 그 상면으로는 상기 스위치(320)들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시트(330)가 적층되어 장착된다.
또한, 상기 기판(310)에는 상기 키버튼부(340)를 조명시키는 발광소자(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320)는 돔 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트(330)의 상면으로는 얇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2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문자나 숫자에 대응되는 기호가 표시되는 키버튼부(340)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키버튼부(340)는 상기 케이스를 닫을 시 상기 제1바디(210)에 수납되는 단말기 본체(100)의 전면과 접하게 되기 때문에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스크래치(scratch)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 소재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일정 완충력을 지닌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상기 입력장치(300)에서 발생되는 신호가 상기 단말기 본체(100)로 전달되도록 상기 입력장치(300)와 단말기 본체(10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 전달부가 설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케이스의 요부 부분투시도이다.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제1커넥터(150)와, 상기 케이스의 제1바디(2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커넥터(150)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214)와, 상기 케이스 바디(200)의 내면에 배치되고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2커넥터(214)와 입력장치(3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에프피씨(Flexible Printed Circuit : 35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150)는 상기 케이스에 단말기 본체(100)가 수납되었을 때 상기 제2커넥터(214)와 결합될 수 있도록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2커넥터(214)는 상기 제1커넥터(150)의 형성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바디(210)의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커넥터 연결부(230)에 장착된다.
상기 에프피씨(350)는 복잡한 회로를 유연한 절연 필름 위에 형성한 회로 기판으로써, 상기 케이스 바디(200)와 커넥터 연결부(230)의 내면을 통과하여 상기 제2커넥터(214)와 입력장치(30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상기 케이스의 제1바디(210)에 형성된 고정부에 단말기 본체(100)가 고정된 다음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일측면에 설치된 제1커넥터(150)에 상기 케이스 바디(200)의 일측에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제2커넥터(214)가 삽입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0)와 케이스 바디(200)는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커넥터(214)는 케이스 바디(200)의 내면에 배치되는 에프피씨(350)에 의해 상기 케이스 바디(200)에 장착된 입력장치(300)와 연결되므로, 상기 단말기 본체(100)와 입력장치(30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장치(300)에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단말기 본체(100)가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었을 경우, 사용자는 정보를 입력함에 있어 상기 터치 스크린(110) 상에 표시되는 키입력창(미도시)을 이용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입력장치(300)를 이용하거나 둘 다 이용할 것인지에 대한 입력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즉, 상기 단말기 본체(100)와 입력장치(300)가 서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터치 스크린(110)에는 입력 모드를 설정하는 메뉴가 표시되어 사용자는 어떤 입력 모드를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단말기 본체(100)를 보호함과 동시에 터치 스크린(110)의 키입력창 대신 케이스의 입력장치(300)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110)의 전체 영역을 사용하여 각종 컨텐츠를 보면서 각종 정보 입력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바디(220)의 일단에는 상기 제1바디(210)에 대해 제2바디(220)의 위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케이스 록킹부가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케이스 록킹부는 상기 제2바디(210)가 단말기 본체(100)의 전면을 덮도록 닫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록킹부재(221)와, 상기 록킹부재(221)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록킹부재(221)를 제1바디(210)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재(222)와, 상기 제1바디(210)에 장착되어 제1고정부재(222)와 대응되어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록킹부재(221)는 케이스 바디(200)의 제2바디(220)의 일단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0)를 지나 제1바디부(210)의 배면에 고정된다.
상기 록킹부재(221)의 일단에 장착된 제1고정부재(222)와 접촉되는 제1바디(210)의 배면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222)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222) 또는 제2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는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상기 케이스 록킹부를 이용하여 상기 제2바디부(220)를 제1바디부(210)에 대해 접힌 상태를 유지하여 단말기 본체(100)를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나아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케이스 바디(200)의 일측면에는 통화 수신 여부에 따라 연동되어 발광하는 발광소자(22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소자(223)는 상기 케이스의 제1바디부(210)에 대해 제2바디부(220)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장착된다.
상기 발광소자(223)는 케이스 바디(200)의 내면에 배치된 에프시씨(350)를 통해 제2커넥터(21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커넥터(214)는 단말기 본체(100)의 제1커넥터(150)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발광소자(223)는 단말기 본체(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만약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전화가 걸려 오면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미도시)상에 설치된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이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에 상기 발광소자(223)는 상기 단말기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화가 오면 그 신호에 반응하여 발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벨소리나 진동을 느낄 수 없을 정도로 상기 단말기 본체(100)와 떨어져 있을 때, 통화 수신에 따라 연동되어 발광하는 상기 발광소자(223)에 의해 통화 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일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동일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휴대 단말기는 단말기 본체(100)와, 상기 단말기 본체(100) 전면의 전체면에 걸쳐 설치되고 터치 동작에 의해 정보가 입력되는 터치 스크린(110)과,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센서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센서부는 빛을 이용한 장치로서, 빛을 발산시키는 발광소자(미도시)와, 상기 발광소자의 일측에 배치되어 빛을 수신하는 수광소자(미도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센서부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미도시)에는 상기 제1센서부에서 송수신되는 빛을 처리하는 신호처리모듈(미도시)이 장착된다.
상기 신호처리모듈(미도시)은 상기 제1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센서부에서 송수신되는 빛의 주파수에 따라 각기 다른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상기 케이스는 단말기 본체(100)를 보호하도록 단말기 본체(100)의 외부를 감싸지게 배치되는 케이스 바디(200)와, 상기 케이스 바디(200)의 일측면에 장착되 고 상기 단말기 본체(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장치(30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 바디(200)는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배면에 장착되는 제1바디(210)와, 상기 제1바디(210)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전면을 덮어주고 그 내면에는 상기 입력장치(300)가 장착되는 제2바디(2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바디(210)에는 상기 단말기 본체(100)가 수납되어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배면과 접하게 되는 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제1고정부(211)와 제2고정부(212)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 바디(200)에는 단말기 본체(100)의 제1센서부와 대응되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센서부(410)가 장착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의 요부 부분 투시도이다.
상기 제2센서부(410)는 케이스 바디(200)의 내면에 에프피씨(350) 상에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2센서부(410)는 케이스 바디(200)의 내면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 바디(200)의 내면상에 배치되는 에프피씨(3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센서부(410)는 제1센서부와 같이 빛을 발산하기 위한 발광소자(411)와, 상기 발광소자(411)의 일측에 장착되어 빛을 수신하는 수광소자(412)로 구성된 다.
여기서, 상기 제1센서부와 제2센서부(410)는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센서부(410)의 주변에는 상기 제2센서부(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센서부(410)에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처리하는 신호처리모듈(400)이 장착된다.
상기 신호처리모듈(400)은 에프피씨(350)을 통해 케이스의 입력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센서부(410)에서 전달되는 빛의 주파수에 따른 각기 다른 신호를 상기 입력장치(300)에 송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센서부와 제2센서부(410) 사이에는 제1센서부와 제2센서부(410)의 신호를 서로에게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420)가 설치된다.
상기 전달부재(420)는 케이스의 제1고정부(211)의 내면에 상기 제1센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빛을 전달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달부재(420)는 광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섬유(optical fiber)란 굴절률이 다른 두 가지 투명체의 경계면에서 빛이 입사하는 각도가 조건에 맞을 경우 빛의 완전반사가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하여 빛의 전송을 목적으로 하는 섬유모양의 도파관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400)는 케이스의 제1고정부(211) 내면에 상기 제1센서부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410)에서 발생되는 빛을 서로에게 전달해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케이스의 제1바디(210) 하단 표면에는 입력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장치(3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접속단자(215)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단자(215)는 상기 입력장치(300)에게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케이스에 수납되는 단말기 본체(100)의 배터리 단자(미도시)와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배치되는 에프피씨(350)에 의해 상기 입력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장치(300)는 단말기 본체(100)와 연결된 상기 접속단자(215)를 통해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의 작동 블록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기 본체(100)에 케이스를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케이스의 제1고정부(211)에 단말기 본체(100)의 상단부를 삽입한 다음 하단부를 제2고정부(212)에 수납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100)를 케이스와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케이스 하단의 표면에 노출되게 장착된 접속단자(215)에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배면에 장착된 배터리의 단자가 서로 접촉되면서 상기 케이스의 입력장치(300)에 전원이 인가된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장치(300)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장치(300)의 스위치(320)가 눌림되어 신호가 인가되고, 상기 신호는 에프피씨(350)에 의해 입력장치(300)와 연결된 신호처리모듈(40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신호처리모듈(400)에서는 수신된 신호를 제2센서부(410)로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2센서부(410)의 발광소자(411)는 상기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빛을 전달부재(420)로 발산하게 된다.
상기 발광소자(411)에서 발산된 빛은 전달부재(420)를 거쳐 단말기 본체(100)의 제1센서부로 전달되고, 상기 제1센서부의 수광소자는 상기 빛을 수신하여 그 신호를 단말기 본체(100) 내부에 설치된 신호처리모듈로 전달한다.
이 때, 상기 제1센서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는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신호처리모듈(미도시)에 전달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100)는 상기 입력장치(30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인식하게 된다.
즉, 상기 단말기 본체(100)의 터치 스크린(110) 상에는 상기 입력장치(300)에서 입력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의 입력장치(300)는 상기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와 전달부재(420)에 의해 상기 입력장치(3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단말기 본체(100)로 전달하여 터치 스크린(110)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입력을 위한 키입력창이 제외된 상기 터치 스크린(110)의 전체 영역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컨텐츠를 보면서 상기 입력장치(300)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거나 휴대 단말기를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이 실시예에서는 제1센서부와 제2센서부(410) 사이에 전달부재(420)가 설치되어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상기 전달부재(420)없이 상기 제1센서부와 제2센서부(410)가 직접 마주보도록 설치되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 본체(100)와 입력장치(300)가 서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체적인 여러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방법의 응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는 정보 입력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키입력창 대신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각종 컨텐츠 이용시 상기 키입력창의 디스플레이가 제거된 터치 스크린의 전체 화면을 사용하면서도 각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함에 있어, 별도의 입력도구 대신 상기 케이스에 구비된 입력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에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 없이 편리하고 정확하게 정보를 입력하는 동시에 상기 터치 스크린을 긁힘 현상이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에 별도의 입력 장치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로부터 단말기 본체를 보호함과 동시에 보다 큰 영역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3)

  1. 단말기 본체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외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케이스 바디와;
    상기 케이스 바디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는 가죽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배면을 감싸도록 장착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전면을 덮어주고 그 내면에는 상기 입력장치가 장착되는 제2바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제2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제2바디의 내면에 부착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누름 동작에 의해 신호가 입력되는 다수의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상면에 배치되어 일면이 상기 제2바디의 외부로 일면이 노출되는 키버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장치는 상기 키버튼부를 조명시키는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키버튼부는 완충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입력장치와 단말기 본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입력장치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상기 단말기 본체로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입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신호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케이스 바디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면에 배치되어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와 입력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에프피씨(Flexible Printed Circui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제2바디가 닫힌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2바디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단말기 본체가 상기 케이스 바디에 수납되었을 때 상기 단말기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화가 걸려 오면 이에 연동되어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센서부와, 상기 케이스 바디의 내면에 상기 제1센서부와 상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센서부와, 상기 제2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센서부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모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달부는 상기 케이스 바디의 제1바디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센서부와 제2센서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서로에게 전달해 주는 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광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에는 단말기 본체의 배터리 단자와 유선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입력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접속단자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는 빛을 발산시키는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의 일측에 배치되어 빛을 수신하는 수광소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부 및 제2센서부는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소자는 수신되는 빛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2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바디는 상기 제2바디가 제1바디에 대해 닫힌 상태를 유지시키는 케이스 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록킹부는 상기 제2바디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를 지나 제1바디에 록킹되는 록킹부재와, 상기 록킹부재의 일단에 장착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바디의 일측에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응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록킹부는 상기 제2바디의 일단에 장착되는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2바디에 상기 제1고정부재와 상응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와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23. 제 21 또는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 또는 제2고정부재 중 어느 하나는 자석부재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KR1020060102555A 2006-10-20 2006-10-20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KR101172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555A KR101172454B1 (ko) 2006-10-20 2006-10-20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US11/874,787 US8046039B2 (en) 2006-10-20 2007-10-18 Mobile terminal and case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2555A KR101172454B1 (ko) 2006-10-20 2006-10-20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907A true KR20080035907A (ko) 2008-04-24
KR101172454B1 KR101172454B1 (ko) 2012-08-07

Family

ID=39574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555A KR101172454B1 (ko) 2006-10-20 2006-10-20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45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920A (ko) * 2009-01-12 2010-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KR101016908B1 (ko) * 2008-09-01 2011-02-22 윤 호 김 하측 개폐형 휴대폰 케이스
KR101028074B1 (ko) * 2009-02-23 2011-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
KR101224740B1 (ko) * 2010-03-01 2013-01-22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464945Y1 (ko) * 2012-09-27 2013-01-24 엘프 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스마트폰 단축다이얼 기능이 수행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시스템
KR101301177B1 (ko) * 2011-12-30 2013-08-2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용 탈부착 방식의 케이스 일체형 키버튼 구분 커버
KR101324306B1 (ko) * 2011-11-25 2013-11-01 주식회사 이랜텍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WO2014107077A1 (ko) * 2013-01-07 2014-07-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WO2014175498A1 (ko) * 2013-04-23 2014-10-30 (주)로보티즈 보안 감시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기기 케이스
WO2016195127A1 (ko) * 2015-06-02 2016-12-08 맹용주 적외선 감지센서가 마련된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US9710022B2 (en) 2014-08-22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0338A1 (en) 2001-11-28 2003-05-29 Peter Lee Personal digital assistant cover with an integrated keypad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908B1 (ko) * 2008-09-01 2011-02-22 윤 호 김 하측 개폐형 휴대폰 케이스
KR20100082920A (ko) * 2009-01-12 2010-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
US9811115B2 (en) 2009-01-12 2017-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9235236B2 (en) 2009-01-12 2016-0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for portable terminal
KR101028074B1 (ko) * 2009-02-23 2011-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 장치
KR101224740B1 (ko) * 2010-03-01 2013-01-22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24306B1 (ko) * 2011-11-25 2013-11-01 주식회사 이랜텍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KR101301177B1 (ko) * 2011-12-30 2013-08-29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용 탈부착 방식의 케이스 일체형 키버튼 구분 커버
WO2014051290A1 (ko) * 2012-09-27 2014-04-03 엘프 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스마트폰 단축다이얼 기능이 수행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시스템
KR200464945Y1 (ko) * 2012-09-27 2013-01-24 엘프 주식회사 블루투스 통신에 의하여 스마트폰 단축다이얼 기능이 수행되는 스마트폰 보호케이스 시스템
WO2014107077A1 (ko) * 2013-01-07 2014-07-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기기용 보호 케이스
WO2014175498A1 (ko) * 2013-04-23 2014-10-30 (주)로보티즈 보안 감시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기기 케이스
US9710022B2 (en) 2014-08-22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6195127A1 (ko) * 2015-06-02 2016-12-08 맹용주 적외선 감지센서가 마련된 모바일 단말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454B1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454B1 (ko)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US10165839B2 (en) Protective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6777626B2 (en) Input device and portable equipment using the same
US7110796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utilizing a holographic screen
US8046039B2 (en) Mobile terminal and case for mobile terminal
KR100639732B1 (ko) 터치타입 버튼장치 및 이를 사용한 전자기기
KR100652750B1 (ko) 입력버튼 겸용 보호창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7547857B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US20100124956A1 (en) Mobile terminal
US8154521B2 (en) Mobile terminal
US9285829B2 (en) Mobile terminal
KR20020013720A (ko) 컨트롤러
JP4498999B2 (ja) 携帯端末装置
KR20120042545A (ko) 전자기기
KR20160122514A (ko) 이동 단말기
US7369119B2 (en) Handset device with dual side joystick
KR20160126453A (ko) 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KR101584537B1 (ko) 키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
JPH10190794A (ja) 収納ケース
KR200408473Y1 (ko) 개선된 키패드부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73689A (ko) 전기전자제품의 버튼장치
KR101604716B1 (ko) 터치 입력 유닛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60015388A (ko) 광마우스 기능이 구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82937A (ko) 휴대폰의 버튼장치
KR20060131521A (ko) 착탈식 터치판넬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