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074B1 - 휴대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074B1
KR101028074B1 KR1020090014994A KR20090014994A KR101028074B1 KR 101028074 B1 KR101028074 B1 KR 101028074B1 KR 1020090014994 A KR1020090014994 A KR 1020090014994A KR 20090014994 A KR20090014994 A KR 20090014994A KR 101028074 B1 KR101028074 B1 KR 101028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pper case
terminal device
light sourc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939A (ko
Inventor
최강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4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0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9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빛을 방출하는 방출 영역과 빛을 차단하는 비방출 영역을 구비한 상부 케이스, 상부 케이스에 대응하는 하부 케이스, 비방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회로기판 상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 및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광원에 의해 발광된 빛을 상부 케이스의 방출 영역으로 전달하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휴대 단말 장치에 구비되는 광원의 수량을 줄이고,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며, 도광판 패턴에 따라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케이스, 광원, 반사판, 도광판

Description

휴대 단말 장치{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 장치에 구비되는 광원의 수량을 줄이고,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며, 도광판 패턴에 따라 빛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 장치는 휴대폰, 스마트폰, MP3,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 장치에는 케이스가 구비되며, 케이스에는 주로 손가락 누름 동작으로 문자, 숫자,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키가 포함된 입력부가 형성된다.
또한, 어두운 곳에서 상기와 같은 키를 작동하는 경우 또는 미관상의 이유로 상기 키 각각에 상응하는 광원(예를 들어, 엘이디)이 배터리의 전원을 인가받아 발광하면, 그 빛을 각각의 키에 상응하는 방출 영역으로 방출함으로써, 사용자는 문자, 숫자,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할 수 있는 키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 장치는 하나 이상의 광원(13, 14), 광원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방출 영역(16, 17)을 구비하는 상부 케이스(15), 기판부(12) 및 하부 케이스(11)를 포함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휴대 단말 장치는 상부 케이스의 방출 영역 각각 마다 별도의 광원을 구비해야 하며, 각각의 광원을 작동시키기 위해서 소비 전력이 상승되고, 이로 인해 본체의 배터리 전원 소모가 상승하여 휴대 단말 장치의 사용 시간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휴대 단말 장치 전면으로 전달되는 빛의 밝기가 고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 단말 장치에 구비되는 광원의 수량을 줄이고,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며, 도광판 패턴에 따라 빛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는 휴대 단말 장치의 제공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빛을 방출하는 방출 영역과 빛을 차단하는 비방출 영역을 구비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에 대응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비방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회로기판 상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 및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 의해 발광된 빛을 상기 상부 케이스의 방출 영역으로 전달하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방출 영역에 상응하며, 문자, 숫자,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 의해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비방출 영역에 대응하는 부위에 빛을 차단하는 필름을 구비한 필름 인서트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광판은 하나 이상의 패턴부를 형성하며, 각 패턴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구비된 방출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광원에 대응하는 위치에 홀(hol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로 구비되며, 상기 광원은 상기 도광판에 형성된 홀(hole)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로기판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광판과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상부 케이스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출 영역은 문자, 숫자, 도형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구비되는 광원의 수량을 줄이고,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도광판 패턴에 따라 빛의 밝기를 조정하고, 빛의 균일도를 높일 수 있고, 광원에서 멀리 떨어진 곳까지 빛을 전달할 수 있으며, 휴대 단말 장치 측면에 빛이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정보를 디 스플레이하는 표시부(23)를 구비하는 제1 케이스(21)와, 제1 케이스(21)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면에 정보를 입력하는 하나 이상의 버튼키(25)를 구비하는 입력부가 포함된 제2 케이스(24)로 구성된다. 또한, 제1 케이스(21)에는 정보를 입력하는 하나 이상의 터치키가 형성된 터치 키패드(22)가 구비된다.
제1 케이스(21)는 터치 방식으로 조작되는 하나 이상의 터치키, 터치키를 터치하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패드, 터치패드의 하부에 구비되어 터치키를 조명하는 광원, 광원에 의해 발광된 빛을 터치키 각각에 상응하는 방출 영역 각각으로 전달하는 도광판 등으로 구성된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27), 입력키에 상응하는 방출 영역(28), 복수의 방출 영역이 형성된 케이스(26)를 포함한다.
이때, 방출 영역(28)의 형상은 각각의 버튼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방출 영역(28)이 형성된 부분에 해당되는 케이스(26) 표면을 누르면 해당되는 버튼이 눌러진 것으로 된다.
터치패드는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휴대 단말 장치 전면에서 입력키에 상응하는 방출 영역(28)을 손가락 등으로 접촉하면 접촉된 부위에서 정전용량의 영향으로 주파수 주기가 변화됨을 감지한다.
또한, 터치 패트 하부에 광원과 광원에 의해 발광된 빛을 케이스의 방출 영역 각각으로 전달하는 도광판이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빛을 방출하는 방출 영역(37, 39)과 빛을 차단하는 비방출 영역을 구비한 상부 케이스(40), 상부 케이스에 대응하는 하부 케이스(31), 비방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회로기판(32) 상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33) 및 상부 케이스(40)와 하부 케이스(31) 사이에 배치되며 광원(33)에 의해 발광된 빛을 상부 케이스(40)의 방출 영역(37, 39)으로 전달하는 도광판(3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는 상부 케이스(40)와 하부 케이스(31) 사이에 배치되며, 광원(33)에 의해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3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도광판(30)과 하부 케이스(31) 사이에 위치하며 광원(33)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상부 케이스(40)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시트(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출 영역은 문자, 숫자, 도형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일 수 있다. 상부 케이스(40)와 반사판(34) 사이에는 터치패드(미도시)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케이스(40)는, 방출 영역에 상응하며, 문자, 숫자,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케이스(40)는 비방출 영역에 대응하는 부위에 빛을 차단하는 필름을 구비한 필름 인서트 사출물일 수 있다.
도광판(30)은 하나 이상의 패턴부(36, 38)를 형성하며, 각 패턴부는 상부 케이스(40)에 구비된 방출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며, 도광판(30)은 광원(33)에 대응 하는 위치에 홀(hole)을 포함한다.
도광판(30) 패턴부(36, 38)에 형성된 패턴에 따라 휴대 단말 장치 전면으로 전달되는 빛의 밝기가 조정될 수 있다.
광원(33)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로 구비되며, 광원(33)은 도광판(30)에 형성된 홀(hole)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회로기판(32)은 연성인쇄회로기판(FPCB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연성인쇄회로기판은 전자제품이 소형화 및 경량화가 되면서 개발된 전자부품으로서 작업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및 내가곡성, 내약품성이 강하며, 열에 강하므로, 모든 전자제품의 핵심부품으로서 카메라, MP3 플레이어, 핸드폰,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 단말 장치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이 형성된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50)에는 홀(52)이 형성되며, 홀(52) 내부에 광원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50)은 가시 광선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데, PMMA(Polymethly Methacrylate; 아크릴 수지의 일종으로서 MMA (Methylmethacrylate)를 주원료로 제조되며, 뛰어난 열가소성 투명성, 내후성, 착색성을 가짐), Polycarbonate 등과 같은 고분자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50)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패턴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 패턴부는 하나 이상의 렌즈 형상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턴은 인쇄 또는 아크릴판과 같은 도광판에 직접 가공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턴이 렌즈 형상인 경우 렌즈의 집광 원리에 의해 측면으로 새어 나가는 빛의 손실을 최소화하며 일정한 방향으로 빛을 전달하여 균일한 밝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를 다수개의 일정한 반구 또는 규칙적인 형상으로 압축 성형하여 도광판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규칙적인 형상은 삼각 등의 일정한 모양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하는 형상의 압출을 하여 수지판을 표준 크기로 절단한 후 자체 제작한 스탬퍼 또는 스크레퍼 장치에서 표면 가공을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61)에는 도트(dot)(63) 형상의 패턴부(62)가 구비된다.
또한,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64)에는 프리즘 형상의 패턴부(65)가 구비된다. 프리즘 형상의 패턴부(65)는 도광판(64)의 일면에서 어느 일 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하여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의 선형 프리즘을 포함하며, 선형 프리즘의 축 방향에 대한 수직 단면은 삼각형이 된다.
한편, 도 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66)에는 마이크로 렌즈 형상의 패턴부(67)가 구비된다. 마이크로 렌즈 형상의 패턴부(67)에는 반구 형태의 돌출부가 정렬되어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 장치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이 형성된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
도 5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30: 도광판 33: 광원
34: 반사판 35: 반사시트
37: 방출 영역 40: 상부 케이스

Claims (10)

  1. 빛을 방출하는 방출 영역과 빛을 차단하는 비방출 영역을 구비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에 대응하는 하부 케이스;
    상기 비방출 영역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회로기판 상에 구비되어 빛을 발광하는 광원;
    상기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에 의해 발광된 빛을 상기 상부 케이스의 방출 영역으로 전달하는 도광판;
    상기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 중 상기 광원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 의해 발광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 및
    상기 도광판과 상기 하부 케이스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상부 케이스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시트;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방출 영역에 상응하며, 문자, 숫자,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비방출 영역에 대응하는 부위에 빛을 차단하는 필름을 구비한 필름 인서트 사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하나 이상의 패턴부를 형성하며, 각 패턴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에 구비된 방출 영역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 영역은 문자, 숫자, 도형의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장치.
KR1020090014994A 2009-02-23 2009-02-23 휴대 단말 장치 KR101028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994A KR101028074B1 (ko) 2009-02-23 2009-02-23 휴대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994A KR101028074B1 (ko) 2009-02-23 2009-02-23 휴대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939A KR20100095939A (ko) 2010-09-01
KR101028074B1 true KR101028074B1 (ko) 2011-04-08

Family

ID=43003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994A KR101028074B1 (ko) 2009-02-23 2009-02-23 휴대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80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939B1 (ko) 2014-11-19 2015-11-10 주식회사 두성테크 모바일 장치의 라이트 인디케이터 어셈블리 및 그 조립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942B1 (ko) * 2012-09-27 2018-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5640A (ko) * 2006-08-16 2008-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조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80035907A (ko) * 2006-10-20 200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KR20080002166U (ko) * 2006-12-21 2008-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KR20080112848A (ko) * 2007-06-22 2008-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휴대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5640A (ko) * 2006-08-16 2008-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키조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20080035907A (ko) * 2006-10-20 2008-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KR20080002166U (ko) * 2006-12-21 2008-06-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KR20080112848A (ko) * 2007-06-22 2008-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용 케이스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939B1 (ko) 2014-11-19 2015-11-10 주식회사 두성테크 모바일 장치의 라이트 인디케이터 어셈블리 및 그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939A (ko)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8291B1 (en) Illumination structure for uniform illumination of keys
KR100689392B1 (ko) 키 패드와 그를 이용한 키 패드 어셈블리
CN1925513B (zh) 移动终端的触摸式按键组件
US8480285B2 (en) Light guide plat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3839715B (zh) 发光键盘
TWI441044B (zh) Self-luminous board with keyboard
US20100271839A1 (en) Light guide display with mulitple light guide layers
JP2007068173A (ja) タッチキ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
US20140085860A1 (en) Light guide module for keypad
TW201421511A (zh) 發光鍵盤
US20130021297A1 (en) Touch panel
TWM534889U (zh) 具薄膜開關功能之背光模組
CN109417577A (zh) 便携式通信设备
TW201530588A (zh) 發光鍵盤
KR101028074B1 (ko) 휴대 단말 장치
CN201181661Y (zh) 背光按键结构
CN102253720A (zh) 发光键盘
CN100576393C (zh) 导光结构及具有该导光结构的键盘
CN218298971U (zh) 一种一体化背光触控模块
TW201630018A (zh) 發光鍵盤
TWI395245B (zh) 具發光亮度變化的按鍵裝置
KR100774971B1 (ko) 키패드용 백라이트 유닛
KR100991217B1 (ko) 터치 센서 디바이스
CN201084582Y (zh) 电子装置
KR101334854B1 (ko) 백 라이팅 키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