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217B1 - 터치 센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217B1
KR100991217B1 KR1020080079123A KR20080079123A KR100991217B1 KR 100991217 B1 KR100991217 B1 KR 100991217B1 KR 1020080079123 A KR1020080079123 A KR 1020080079123A KR 20080079123 A KR20080079123 A KR 20080079123A KR 100991217 B1 KR100991217 B1 KR 100991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on
light
light guide
pad
touch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0370A (ko
Inventor
한상목
Original Assignee
한상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목 filed Critical 한상목
Priority to KR102008007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2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20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아이콘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터치되는 터치 센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빛을 투과시키는 도광부, 도광부에 구비되는 아이콘 형성부 및 도광부의 측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 센서의 패드에 발광소자를 설치하고,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빛을 패드를 투과하여 그 정면으로 방출되도록 하여 패드에 형성된 아이콘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의 패드에 발광소자를 설치하여 아이콘을 발광시키므로써, 아이콘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터치 센서의 크기나 모양을 변경할 필요가 없고, 이를 통해 터치 센서의 크기와 모양을 변경시키는 데 소요되는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터치 센서, 발광소자, 아이콘, 아이콘 발광, 확산시트

Description

터치 센서 디바이스{TOUCH SENSOR DEVICE}
본 발명은 터치 센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아이콘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 부위와 터치되는 터치 센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전자수첩 및 계산기 등을 비롯한 각종 제어 및 통신기기나 전자기기들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동작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복수의 버튼 스위치들로 이루어진 키보드를 입력장치로 구비하고 있다. 키보드의 복수의 버튼 스위치들은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소정의 누름 펜 등을 사용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버튼 스위치를 정확하게 눌러야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동작명령의 입력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전자수첩 등의 휴대용 기기들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중량을 가볍게 함은 물론 그 크기를 소형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휴대용 기기들을 소형화함에 따라 복수의 버튼 스위치들 간의 간격이 좁아지고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버튼 스위치들의 간격이 좁게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소정의 버튼 스위치를 누를 경우에 인접한 다른 버튼 스위치를 누르게 되거나 또는 소정의 버튼 스위치와 함께 인접한 다른 버튼 스위치들이 눌러지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소정의 압력으로 누르는 버튼 스위치 대신에 인체의 손가락이나 터치 펜 등의 소정 물체가 터치될 경우에 동작되는 정전용량형 터치 센서가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전술한 기술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터치 센서는 버튼을 직접 누르지 않고 신체 부위나 터치 펜을 터치시켜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지만, 물체나 신체부위가 터치되는 패드에 형성되는 아이콘의 크기나 모양에 대응되도록 그 크기를 적절히 변경하지 못하고, 설령 크기와 모양을 변경한다하더라도 이 경우 생산비가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물체나 신체부위에 터치되는 경우,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아이콘을 점등시켜 터치된 아이콘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아이콘은 디바이스마다 크기와 모양이 상이하게 제작되는 데 반해, 터치 센서는 아이콘에 비해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생산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 따라서, 아이콘의 크기나 모양이 터치 센서의 크기나 모양에 적절하지 못한 경우엔, 결국 아이콘 중 일부분에 발광소자를 설치하여 터치될 때마다 점등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물체나 신체부위가 터치될 때마다 발광소자를 점멸시킴으로써 시각적으로 아이콘을 구별하기가 어려운 어두운 장소에서는 아이콘을 터치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발광소자를 투광부의 측부에 설치하고,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빛을 패드를 투과하여 그 정면으로 방출되도록 한 터치 센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투광부의 측부에 발광소자를 설치하고 아이콘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동판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터치 센서의 크기와 모양을 변경시키는 데 소요되는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창안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터치 센서 디바이스는 배면에 균일하게 홈이 형성되고 빛을 투과시키는 도광부, 상기 도광부에 아이콘 모양으로 인쇄되거나 음각처리되는 아이콘 형성부, 상기 도광부의 측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도광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을 포함하는 패드; 및 상기 패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동판 패턴이 형성된 PCB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의 터치 센서 디바이스는 배면에 균일하게 홈이 형성되고 빛을 투과시키는 제1도광부, 상기 제1도광부의 측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 상기 제1도광부의 정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도광부로부터 입사된 빛을 정면으로 방출하는 제2도광부, 상기 제1도광부와 상기 제2도광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 및 상기 제1도광부에 아이콘 모양으로 인쇄되는 아이콘 형성부를 구비하는 패드; 및 상기 패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동판 패턴이 형성된 PCB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발광소자를 투광부의 측부에 설치하고, 발광소자로부터 방출된 빛을 패드를 투과하여 그 정면으로 방출되도록 하고, 아이콘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동판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터치 센서의 크기와 모양을 변경시키는 데 소요되는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발광소자를 투광부의 측부에 설치됨으로써 패드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디바이스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디바이스에 형성된 아이콘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디바이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디바이스는 PCB 기판(20)과 패드(100)를 구비한다. 패드(100)는 사용자가 스위치 신호를 입력시키기 위해 신체 부위 또는 터치 펜 등을 터치시킬 수 있도록 PCB(PRINTED CIRCUIT BOARD) 기판(2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1개 이상의 아이콘(10)이 형성된다.
PCB 기판(20)에는 패드(100)에 형성되는 아이콘(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적절한 위치에 동판 패턴이 형성되고, 이 동판 패턴은 상부에 형성되는 아이콘과 신체 부위 또는 터치 펜이 접촉하면, 그 정전용량이 변화하고 이 정전용량 변화에 따라 PCB 기판(20)이 디바이스의 각종 동작을 제어한다.
아이콘(10)은 사용자가 신체 부위 또는 터치 펜을 터치시켜 입력하는 스위치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디바이스의 동작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이미지로 형성되거나 문자 등으로 나타내어진다. 이러한 아이콘(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통상 이미지나 문자 등으로 나타내어지는 데, 이 아이콘(10)은 도광부의 배면 또는 정면에 인쇄되거나, 배면에 음각처리됨으로써, 패드(100)를 통해 사용자가 아이콘(10)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패드(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PCB 기판(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신체 부위 또는 터치 펜 등과 터치되는 데, 패드(100)의 정면으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111,121,131,141) 바람직하게는 다양한 색상의 LED(LIGHT EMITTING DIODE)가 패드(100)의 구조와 면의 개수 등에 대응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이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패드(100)의 측부에 적어도 1개 이상씩 다수 개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패드(100)는 측부에 설치된 발광소자(111,121,131,141)가 온되어 발광소자(111,121,131,141)로부터 방출된 빛이 그 내부를 투과하여 정면으로 방출됨으로써 발광하게 된다.
또한, 패드(100)의 측면에는 발광소자(111,121,131,141)로부터 방출된 빛이 측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반사막(113,123,133,143)이 부착된다. 이 반사막(113,123,133,143)은 발광소자(111,121,131,141)로부터 방출되어 패드(100) 내부를 투과한 빛을 반사시켜 패드(100)의 정면으로 방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패드(100)는 발광소자(111,121,131,141)로부터 방출된 빛을 정면으로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 상기한 패드(100)의 구조 및 기능을 각 제1 내지 제4실시예로 구분하여 도 3 내지 도 6 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울러,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광소자(111,121,131,141)가 패드(100)의 일측면에만 설치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패드(10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을 투과시키는 도광부(114)와 이 도광부(114)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광부(114) 내부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111), 도광부(114)의 측면에 배치되어 도광부(114)를 통해 투과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113) 및 도 1 의 아이콘(10)이 형성된 아이콘 형성부(112)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광부(114)는 아크릴, 유리 또는 사출물 등이 바람직하며, 도광부(114) 배면의 아이콘 형성부(112)는 동판 패턴(30)과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이콘 형성부(112)와 동판 패턴(30)이 밀착되지 않으면, 아이콘 형성부(112)와 동판 패턴(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터치 감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아이콘 형성부(112)는 도광부(114)의 배면에 형성되어 아이콘(10)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도광부(114)의 배면에 아이콘(10)의 모양으로 인쇄되어 이 인쇄된 부 분을 통해 빛이 방출됨으로써 아이콘(10)의 모양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한 아이콘 형성부(112)는 도광부(114)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아이콘(10)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도광부(114)의 정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아이콘 형성부(112)가 도광부(114)의 정면에 형성되는 경우, 신체 부위 또는 터치 펜이 아이콘(10)과 반복적으로 터치되어 아이콘(10) 지워지는 등의 이유로 그 모양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아이콘 형성부(112)의 정면에 코팅 처리를 하거나 보호막을 형성하여 아이콘(10)이 지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후술한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는 달리, 아이콘 형성부(112)는 도광부(114)의 배면에 아이콘(10) 모양으로 음각처리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광부(114)를 투과한 빛이 아이콘 형성부(112)의 음각처리된 부분에 의해 반사되어 방출됨으로써 아이콘(10)의 모양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의 점선은 발광소자(111)로부터 방출된 빛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발광소자(111)로부터 방출된 빛은 도광부(114)의 정면으로 직접 방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판(113)과 아이콘 형성부(112)에 의해 반사 또는 굴절될 수 있다. 여기서, 도광부(114)와 아이콘 형성부(112)간의 경계면에서의 반사 및 굴절은 이들의 매질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빛의 반사와 굴절은 하기한 제2,3,4실시예에서 각 매질 간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패드(100)의 후방에는 PCB 기판(20)이 설치되는 데, 이 PCB 기판(20)에는 아이콘 형성부(112)에 형성된 아이콘(10)의 위치에 대응하여 동판 패턴(30)이 형성된다. 이 동판 패턴(30)은 아이콘 형성부(112)의 배면에 밀착되어 신체 부위 또는 터치 펜이 아이콘(10)에 터치되는 경우, 그 정전용량이 변화하게 되고, PCB 기판(20)이 동판 패턴(30)의 정전용량 변화에 따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PCB 기판(20)의 설치 위치는 후술한 제2,3,4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패드(100)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을 투과시키는 도광부(124)와 이 도광부(124)의 일측에 설치되어 도광부(124) 내부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121), 도광부(124)의 측면에 배치되어 도광부(124)를 통해 투과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123) 및 도 1 의 아이콘(10)이 형성된 아이콘 형성부(122)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광부(124)는 아크릴, 유리 또는 사출물 등이 바람직하며, 도광부(124) 배면의 아이콘 형성부(122)는 동판 패턴(30)과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이콘 형성부(122)와 동판 패턴(30)이 밀착되지 않으면, 아이콘 형성부(122)와 동판 패턴(3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터치 감도가 저하되기 때문이다.
아이콘 형성부(122)는 도광부(124)의 배면에 형성되어 아이콘(10)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도광부(124)의 배면에 아이콘(10)의 모양으로 인쇄되어 이 인쇄된 부분을 통해 빛이 방출됨으로써 아이콘(10)의 모양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한 아이콘 형성부(122)는 도광부(124)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아이콘(10)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예를 들어 도광부(124)의 정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아이콘 형성부(122)가 도광부(124)의 정면에 형성되는 경우, 신체 부위 또는 터치 펜이 아이콘(10)과 반복적으로 터치되어 아이콘(10)의 지워지는 등의 이유로 그 모양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아이콘 형성부(122)의 정면에 코팅 처리를 하거나 보호막을 형성하여 아이콘(10)이 지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는 달리, 아이콘 형성부(122)는 도광부(124)의 배면에 아이콘(10) 모양으로 음각처리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도광부(124)를 투과한 빛이 아이콘 형성부(122)의 음각처리된 부분에 의해 반사되어 방출됨으로써 아이콘(10)의 모양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 의 점선은 발광소자(121)로부터 방출된 빛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발광소자(121)로부터 방출된 빛은 도광부(124)의 정면으로 직접 방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판(123)과 아이콘 형성부(122)에 의해 반사 또는 굴절될 수 있다. 여기서, 도광부(124)와 아이콘 형성부(122)간의 경계면에서의 반사 및 굴절은 이들의 매질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패드(100)의 후방에는 PCB 기판(20)이 설치되는 데, 이 PCB 기판(20)에는 아이콘 형성부(122)에 형성된 아이콘(10)의 위치에 대응하여 동판 패턴(30)이 형성된다. 이 동판 패턴(30)은 아이콘 형성부(122)의 배면에 부착되어 신체 부위 또는 터치 펜이 아이콘(10)에 터치되는 경우, 그 정전용량이 변화하게 되고, PCB 기판(20)이 동판 패턴(30)의 정전용량 변화에 따라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특히, 도광부(124)는 배면에 다수 개의 홈(125)이 형성되는데, 이 홈(125)과 도광부(124)의 경계면에서 발광소자(121)로부터 방출된 빛이 반사 또는 굴절하게 된다. 이러한 홈(125)은 도광부(124) 정면에 빛이 골고루 방출될 수 있도록 균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홈(125)의 크기와 개수 및 모양은 도광부(124)의 넓이와 빛의 경로 및 터치 감도 중 적어도 1개 이상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감도는 홈(125)의 개수가 지나치게 많거나, 크기가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동판 패턴(30)과의 접촉면의 넓이가 작아져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부(124)의 배면에 홈(125)을 형성하여 빛을 반사시키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광부(124) 내부에 빛의 반사를 위한 반사체나 공기 등을 균일하게 주입 및 형성하여 이들을 통해 빛을 반사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패드(100)는 빛을 투과시키는 제1도광부(134)와 제2도광부(137), 제2도광부(137)의 배면에 형성되어 아이콘(10)을 형성하는 아이콘 형성부(132), 제1도광부(134)의 측부에 설치되어 제1도광부(134) 내부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131), 제1,2도광부(134,13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배치되어 제1,2도광부(134,137)를 통해 투과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133)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2도광부(134,137)는 아크릴, 유리 또는 사출물 등이 바람직하다.
반사막(133)는 제1도광부(134)와 제2도광부(13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어 이들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반사시킨다.
아이콘 형성부(132)는 제2도광부(137)의 배면에 형성되어 아이콘(10)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2도광부(134)의 배면에 아이콘(10)의 모양으로 인쇄되어 이 인쇄된 부분을 통해 빛이 방출됨으로써 아이콘(10)의 모양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한 아이콘 형성부(132)는 제2도광부(137)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아이콘(10)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제2도광부(137)의 정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아이콘 형성부(132)가 제2도광부(137)의 정면에 형성되는 경우, 신체 부위 또는 터치 펜이 아이콘(10)과 반복적으로 터치되어 아이콘(10)의 지워지는 등의 이유로 그 모양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아이콘 형성부(132)의 정면에 코팅 처리를 하거나 보호막을 형성하여 아이콘(10)이 지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는 달리, 아이콘 형성부(132)는 제2도광부(137)의 배면에 아이콘(10) 모양으로 음각처리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1도광부(134)를 투과한 빛이 아이콘 형성부(132)의 음각처리된 부분에 의해 반사되어 방출됨으로써 아이콘(10)의 모양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 의 점선은 발광소자(131)로부터 방출된 빛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발광소자(131)로부터 방출된 빛은 제1도광부(134)를 투과하여 제1도광부(134)의 배면에 반사되거나 반사막(133)에 의해 반사되어 제2도광부(137)의 정면으로 방출된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디바이스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패드(100)는 빛을 투과시키는 제1도광부(144)와 제2도광부(147), 제2도광부(144)의 배면에 형성되어 아이콘(10)을 형성하는 아이콘 형성부(142), 제1도광부(144)의 측부에 설치되어 제1도광부(144) 내부로 빛을 방출하는 발광소자(141), 제1,2도광부(144,147)의 측면에 배치되어 제1도광부(144)를 통해 투과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143)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2도광부(144,147)는 아크릴, 유리 또는 사출물 등이 바람직하다.
반사막(143)은 제1도광부(144)와 제2도광부(14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구비되어 이들로부터 투과되는 빛을 반사시킨다.
아이콘 형성부(142)는 제2도광부(147)의 배면에 형성되어 아이콘(10)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2도광부(147)의 배면에 아이콘(10)의 모양에 따라 인쇄되어 이 인쇄된 부분을 통해 빛이 방출됨으로써 아이콘(10)의 모양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로, 상기한 아이콘 형성부(142)는 제2도광부(147)의 배면에 형성되는 것 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아이콘(10)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예를 들어 제2도광부(147)의 정면 등을 포함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아이콘 형성부(142)가 제2도광부(147)의 정면에 형성되는 경우, 신체 부위 또는 터치 펜이 아이콘(10)과 반복적으로 터치되어 아이콘(10)의 지워지는 등의 이유로 그 모양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아이콘 형성부(142)의 정면에 코팅 처리를 하거나 보호막을 형성하여 아이콘(10)이 지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는 달리, 아이콘 형성부(142)는 제2도광부(147)의 배면에 아이콘(10) 모양으로 음각처리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제1도광부(144)를 투과한 빛이 아이콘 형성부(142)의 음각처리된 부분에 의해 반사되어 방출됨으로써 아이콘(10)의 모양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1도광부(144)는 배면에 다수 개의 홈(146)이 형성되는데, 홈(146)과 제1도광부(144)의 경계면에서 발광소자(141)로부터 방출된 빛이 반사 또는 굴절하게 된다. 이러한 홈(146)은 제1도광부(144) 면으로 빛이 골고루 방출될 수 있도록 균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홈(146)의 크기와 개수 및 모양은 제1도광부(144)의 넓이와 빛의 경로 및 터치 감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감도는 홈(146)의 개수가 지나치게 많거나, 크기 지나치게 큰 경우에는 저하될 수 있는 데, 이는 제1도광부(144)와 동판 패턴(30) 사이에 많은 공간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도 6 의 점선은 발광소자(141)로부터 방출된 빛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것으로서, 발광소자(141)로부터 방출된 빛은 제1도광부(144)를 투과하여 제1도광부(144) 의 배면에 반사되거나 또는 반사막(143)에 의해 반사되어 제2도광부(147)의 정면으로 방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디바이스에 형성된 아이콘을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디바이스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디바이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패드 10: 아이콘
20: PCB 기판 30: 터치 센서
111,121,131,141: 발광소자 113,123,133,143: 반사막
114,124: 도광부 125,146: 홈
134,144: 제1도광부 137,147: 제2도광부

Claims (16)

  1. 배면에 균일하게 홈이 형성되고 빛을 투과시키는 도광부, 상기 도광부에 아이콘 모양으로 인쇄되거나 음각처리되는 아이콘 형성부, 상기 도광부의 측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도광부의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을 포함하는 패드; 및
    상기 패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동판 패턴이 형성된 PCB 기판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배면에 균일하게 홈이 형성되고 빛을 투과시키는 제1도광부, 상기 제1도광부의 측부에 설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소자, 상기 제1도광부의 정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도광부로부터 입사된 빛을 정면으로 방출하는 제2도광부, 상기 제1도광부와 상기 제2도광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 및 상기 제1도광부에 아이콘 모양으로 인쇄되는 아이콘 형성부를 구비하는 패드; 및
    상기 패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동판 패턴이 형성된 PCB 기판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디바이스.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80079123A 2008-08-12 2008-08-12 터치 센서 디바이스 KR100991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123A KR100991217B1 (ko) 2008-08-12 2008-08-12 터치 센서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9123A KR100991217B1 (ko) 2008-08-12 2008-08-12 터치 센서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370A KR20100020370A (ko) 2010-02-22
KR100991217B1 true KR100991217B1 (ko) 2010-11-01

Family

ID=4209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9123A KR100991217B1 (ko) 2008-08-12 2008-08-12 터치 센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2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131B1 (ko) * 2013-03-27 2019-09-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터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512A (ja) * 1999-04-26 2000-11-07 Seiko Epson Corp 面照明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電子機器
KR100678067B1 (ko) 2006-02-28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센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1512A (ja) * 1999-04-26 2000-11-07 Seiko Epson Corp 面照明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電子機器
KR100678067B1 (ko) 2006-02-28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센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370A (ko) 2010-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380B1 (ko) 동적 트랙패드를 구비한 조명식 디바이스 인클로저
US8487751B2 (en) Keypad
TWI399681B (zh) 發光觸控板模組
JP5663560B2 (ja) ユーザ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382360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hanging the appearance of a position sensor with a light effect
US8666456B2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JP4716956B2 (ja) タッチキー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通信端末機
KR20110084260A (ko) 터치스크린 구조와 그의 제조방법
US20120052929A1 (en) Interactive phone case
US20130076635A1 (en) Membrane touch keyboard structure for notebook computers
TWI532067B (zh) 鍵盤
TW201426801A (zh) 具有發光按鍵之感應式鍵盤裝置
US20140085860A1 (en) Light guide module for keypad
TW201503195A (zh) 發光鍵盤
CN110568942A (zh) 发光触摸板
US20110050582A1 (en) Input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KR101600803B1 (ko) 터치형 키입력바
US8339288B2 (en) Light guide having a capacitive sensing grid for a keypad and related methodology
KR100858737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버튼 모듈
KR100991217B1 (ko) 터치 센서 디바이스
TWI545494B (zh) 游標裝置及鍵盤
KR10086923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버튼 모듈
CN201725285U (zh) 触控鼠标改良装置
KR20190049161A (ko) 정전용량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장치
CN107949147A (zh) 一种柔性电路板和触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