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9161A - 정전용량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정전용량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9161A
KR20190049161A KR1020170144717A KR20170144717A KR20190049161A KR 20190049161 A KR20190049161 A KR 20190049161A KR 1020170144717 A KR1020170144717 A KR 1020170144717A KR 20170144717 A KR20170144717 A KR 20170144717A KR 20190049161 A KR20190049161 A KR 20190049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etal
capacitance
touch
touch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259B1 (ko
Inventor
민철홍
신재욱
김병호
남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노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노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노펙스
Priority to KR1020170144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259B1/ko
Publication of KR20190049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01H36/0006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 H01H36/004Permanent magnet actuating reed switches push-button-operated, e.g. for key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탈터치 스위치의 상부에 구성된 오버레이 부분을 없애고 RX(Receive)단자와 TX(transmit)단자를 이용하여 메탈터치 구조를 구성하도록 하여 내구성과 터치 감도를 높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한 크기로 구분되어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고 내장되는 다수의 RX단자; 상기 RX단자를 상부에 구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의 오버레이 메탈로 구성되며 상기 RX단자와 캐패시턴스를 형성하는 TX단자; 상기 RX단자의 하부면에 구성되고 상기 RX단자 및 상기 TX단자를 투과하여 출력되는 빛을 방출시키는 LED; 및 RX단자 및 상기 TX단자의 캐패시턴스 변화를 인지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인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오버레이가 메탈로 형성된 경우라도 좌표인식을 할 수 있으며, 메탈로된 오버레이의 피로도를 줄이고 이로 인하여 포스 센서의 내구도를 높였고 노이즈를 저감시키고 감도를 높였으며 양산하는 경우 일정한 정전용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전용량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METAL TOUCH SWITCH STRUCTURE ADAPTED CAPACITIVE SENSOR}
본 발명은 정전용량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탈터치 스위치의 상부에 구성된 오버레이 부분을 없애고 RX(Receive)단자와 TX(transmit)단자를 이용하여 메탈터치 구조를 구성하도록 하여 내구성과 터치 감도를 높인 정전용량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금속광택에 의한 심미적 효과로 인해 노트북의 기능키 패널부 또는 자동차의 프론트 패널에 장착되는 기능키 패널 등에 정전용량 포스 센서가 적용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의 사진 및 스위치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종래기술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가 적용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는 기판(1)의 상부에 다수의 정전용량부(3)를 형성하고, 양면 테이프 등의 스페이서(5)를 개재하여 정전용량부(3)의 상부에 정전용량부(3)의 스위치 기능에 대응하는 기능 아이콘(6)들이 음각 또는 양각된 스테인리스 강판 또는 알루미늄 강판 등의 메탈 패널(7)을 안착시킨 구성을 가진다.
상술한 구성의 종래기술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가 적용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는 도 1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와 같이, 기능 아이콘(6)이 터치되는 경우 메탈 패널(7)의 미세 변형에 따라 대응되는 위치의 정전용량부(3)의 사이의 길이가 변화되어 정전용량부(3)의 정전용량이 가변되고, 이러한 가변되는 정전용량을 제어부가 검출하여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가 적용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의 경우 스위칭을 위해 메탈커버(7)가 반복적으로 눌려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눌림 부위가 완전하게 복원되지 않게 되어 오동작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도 2는 종래기술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탈스위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메탈커버(7)를 터치한 손에 대응하여 메탈커버(7) 전반에 걸쳐서 캐패시턴스 값이 변하게 되므로 터치용 패드는 터치된 손의 위치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메탈(7)로 된 커버를 터치하여 인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기술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에서 터치를 인식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에서 메탈커버에 밴딩(bending)을 발생시킨다. 메탈커버(7)에 밴딩이 발생하게 되면 메탈커버(7)와 정전용량부(3) 사이에 거리(d)가 변하게 되고 이로 인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제어부가 감지하여 터치 및 터치한 위치를 인지하게 된다.
도 4는 종래기술의 압전필름을 이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에서 터치를 인식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실시에에서의 구조는 메탈(7)의 뒷면에 압전필름(piezo-film)(9)을 붙여 구성하고 메탈커버(7)의 변형과 이에 따른 압전필름의 정전용량 변화를 제어부가 감지하여 터치를 인지한다.
그러나, 도 3 및 도 4의 실시예 모두에 있어서 메탈커버(7)의 변형이 필요하며 따라서 메탈커버(7)의 변형에 의한 내구성의 문제 및 기타 감도가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847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387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탈터치 스위치의 상부에 구성된 오버레이 부분을 없애고 RX(Receive)단자와 TX(transmit)단자를 이용하여 메탈터치 구조를 구성하도록 하고 구조를 단순화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감도를 높인 정전방식을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는,
일정한 크기로 구분되어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고 내장되는 다수의 RX단자;
상기 RX단자의 상부에 구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의 오버레이 메탈로 구성되며 상기 RX단자와 캐패시턴스를 형성하는 TX단자;
상기 RX단자의 하부면에 구성되고 상기 RX단자 및 상기 TX단자를 투과하여 출력되는 빛을 방출시키는 LED; 및
RX단자 및 상기 TX단자의 캐패시턴스 변화를 인지하여 터치를 인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TX단자 및 RX단자는,
투명한 재질의 기재 상에 메탈을 증착하고 상기 TX단자 상에 증착된 금속의 일부를 벗겨내어 상기 LED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부로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TX단자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TX단자 상에 벗겨진 메탈에 의해 변화된 캐패시턴스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TX단자 및 RX단자는,
메탈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TX단자 상에 금속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상기 LED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부로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TX단자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TX단자 상의 금속에 뚫려진 구멍에 의해 변화된 캐패시턴스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TX단자는 접지(ground)시키고, 상기 RX단자는 셀프캡(self-cap, self-capacitance) 방식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상기 TX단자는 상기 금속의 일부를 벗겨내되, 직선의 연결된 선 형태로 벗겨 내고 상기 LED에서 방출되는 빛이 RX단자에 형성된 구멍 및 상기 TX단자를 통해 상부로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는, 메탈터치 스위치의 상부에 구성된 오버레이 부분을 없애고 RX(Receive)단자와 TX(transmit)단자를 이용하여 메탈터치 구조를 구성하도록 하고 구조를 단순화시켜 오버레이가 메탈로 형성된 경우라도 좌표인식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는, 메탈이 오버레이로 적용된 경우라도 터치만으로 좌표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메탈로된 오버레이의 피로도를 줄이고 이로 인하여 터치 스위치의 내구도를 높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는, RX단자를 하부에 배치하고 TX단자를 상부에 배치하고 고 RX단자 및 TX단자에 작은 홀을 형성하여 노이즈를 저감시키고 감도를 높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는, 메탈의 밴딩에 의한 거리의 변화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에 의한 정전용량의 감지를 이용하므로 메탈터치 스위치를 양산하는 경우 일정한 정전용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성을 높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의 사시도 및 스위치 기능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기술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에서 터치를 인식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기술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에서 터치를 인식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포스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포스 센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는, 크게 TX단자(110), RX단자(120), LED(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X단자(120)는 일정한 크기로 구분되어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며, TX단자(110)에 의해 덮여져 내장되도록 구성된다. RX단자(120)는 도 5에서와 같이 홀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도 6에서와 같이 하부에 구성된 LED(130)에서 방사된 불빛이 TX단자(110)에 구성된 TX홀(112)을 통해 외부로 방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RX단자(120)는 격자형태의 별도로 분리된 다수개의 RX판(121)들이 모여 RX단자(120)를 구성한다. 한편 전술한 TX홀(112)은 캐패시턴스 값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X홀(112)은 도 6에서와 같이 수 밀리미터(milli-meter)에서 수 마이크로 미터(micro-meter) 크기의 미세홀 형태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7에서와 같이 문자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도 7에서와 같이 A, B, C, D, E, F...와 같은 문자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 RX판(121)과 TX전극(110)이 대항하는 금속면의 면적이 상호 다르기 때문에 캐패시턴스의 값이 각각 다르게 나타날 수 있지만, 양산과정에서 각각에 증착된 메탈을 벗겨낸 후에 메탈이 남은 면적을 일치시켜 RX판(121)과 TX전극(110)이 대항하여 발생하는 캐패시턴스값을 균일하게 맞출 수 있다.
TX단자(110)는 RX단자(120)의 상부에 구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의 오버레이 메탈이 된다. 즉, TX단자(110)가 외부로 노출되는 오버레이를 형성하게 된다. TX단자(110)는 RX단자(120)와 캐패시턴스를 형성한다. TX단자(110)가 외부에 노출되어 구성되고 사용자가 TX단자(110)를 직접 터치하면, 제어부(140)는 터치된 지점을 캐패시턴스값 변화를 인지하여 터치된 위치를 인지하게 된다.
LED(130)는 RX단자(120)의 하부면에 구성되고 RX단자(120) 및 TX단자(110)를 투과하여 출력되는 빛을 방출시킨다. LED(130)에서의 빛은 전술한 바와 같이 TX단자(110)에 각각 구성된 TX홀(112)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제어부(140)는 LED(130)의 하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TX단자(110), RX단자(120) 및 LED(13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LED(130)의 하부면 또는 측면에 연결되어 설치된 제어패널(미도시 됨)에 구성된 프로세서 일 수 있으며, 또는 제어패널 전체를 의미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RX단자(120) 및 TX단자(110)의 캐패시턴스값 변화를 인지하여 터치를 인지하고 TX단자(110)의 터치된 지점을 인지한다.
한편, TX단자(110) 및 RX단자(120)는 투명한 재질의 기재, 예컨대, 유리기판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상에 메탈을 증착하고 TX단자(110) 상에 증착된 금속의 일부를 벗겨내어 TX홀(112)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LED(130)에서 방출되는 빛이 RX단자(120)의 얇은 금속막을 투과하고 TX홀(112)을 통해 상부로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TX홀(112)은 미세홀로 구성하게 되면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X홀(112)로 인해 캐패시턴스를 증가시켜 구성하면, 캐패시턴스값을 인지하는 범위가 증가되므로 본 발명을 채용하여 구성된 제품의 감도를 높일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상기 TX단자(110)를 터치하는 경우 TX단자(110) 상에 벗겨진 메탈과 RXeks자(120) 간에 생성되는 캐패시턴스값 변화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지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예에서는 유리기판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 기판 상에 메탈을 증착하고 TX단자(110) 상에 증착된 금속의 일부를 벗겨내어 TX홀(112)을 구성할 수도 있지만, 얇은 금속판을 각각 TX단자(110) 및 RX단자(120)로 구성하고 각각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캐패시턴스값이 형성되고 이를 인지하여 메털 금속 스위치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TX단자(110) 및 RX단자(120)는 메탈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TX단자(110) 상에 금속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LED(13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부로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TX단자(110)를 터치하는 경우 TX단자(110) 상의 금속에 뚫려진 TX홀(112)을 통해 변화된 캐패시턴스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동일한 구조로 아래 그림과 같이 LED(130)를 RX전극(120)의 측면에 구성한다. 오버레이 메탈인 TX전극(110)과 RX전극(120) 사이에 확산시트(115)를 구성하여 LED(130)로부터 방출된 빛이 확산시트(115)를 통해 TX전극(110)의 상부로 방출되도록 구성된다. 확산시트(115)는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의 실리콘이나 아크릴 재질을 사용한다.
한편, 도면식별번호 140은 제어보드를 나타내며, 전술한 제어부(140)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TX단자(110)는 접지(ground)시키고, RX단자(120)는 셀프캡(self-cap, self-capacitance) 방식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RX단자(120)에 구성된 셀프캡 방식의 연결은 RX단자 스스로 캐패시턴스가 생성되는 연결 상태를 의미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TX단자(110)는 상기 금속의 일부를 벗겨내되, 직선의 연결된 라인(114) 형태로 벗겨 내고 LED(130)에서 방출되는 빛이 RX단자(120)와 TX단자(110)를 통해 상부로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RX단자(120)는 RX판(121)으로 구분되어 있어 제어부(140)가 터치된 지점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RX단자 120 : TX단자
130 : LED 140 : 제어부

Claims (14)

  1. 일정한 크기로 구분되어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고 내장되는 다수의 RX단자;
    상기 RX단자의 상부에 구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의 오버레이 메탈로 구성되며 상기 RX단자와 캐패시턴스를 형성하는 TX단자;
    상기 RX단자의 하부면에 구성되고 상기 RX단자 및 상기 TX단자를 투과하여 출력되는 빛을 방출시키는 LED; 및
    RX단자 및 상기 TX단자의 캐패시턴스 변화를 인지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인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X단자 및 RX단자는,
    투명한 재질의 기재 상에 메탈을 증착하고 상기 TX단자 상에 증착된 금속의 일부를 벗겨내어 상기 LED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부로 방사되도록 하는 것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TX단자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TX단자 상에 벗겨진 메탈에 의해 변화된 캐패시턴스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X단자 및 RX단자는,
    메탈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TX단자 상에 금속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상기 LED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부로 방사되도록 하는 것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TX단자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TX단자 상의 금속에 뚫려진 구멍에 의해 변화된 캐패시턴스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X단자는 접지(ground)시키고, 상기 RX단자는 셀프캡(self-cap, self-capacitance) 방식으로 연결시키도록 하는 것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X단자는 상기 금속의 일부를 벗겨내되, 직선의 연결된 선으로 벗겨 내고 상기 LED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TX단자를 통해 상부로 방사되도록 하는 것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8. 일정한 크기로 구분되어 이격된 상태로 구성되고 내장되는 다수의 RX단자;
    상기 RX단자의 상부에 구성되고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의 오버레이 메탈로 구성되며 상기 RX단자와 캐패시턴스를 형성하는 TX단자;
    상기 RX단자와 TX단자 사이에 구성된 반투명 또는 투명한 재질의 확산시트;
    상기 RX단자의 측면에 구성되고 확산시트를 통하여 빛이 상기 TX단자의 상부로 통과하도록 빛을 방출시키는 LED; 및
    RX단자 및 상기 TX단자의 캐패시턴스 변화를 인지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인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X단자 및 RX단자는,
    투명한 재질의 기재 상에 메탈을 증착하고 상기 TX단자 상에 증착된 금속의 일부를 벗겨내어 상기 LED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부로 방사되도록 하는 것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TX단자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TX단자 상에 벗겨진 메탈에 의해 변화된 캐패시턴스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X단자 및 RX단자는,
    메탈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TX단자 상에 금속에 미세한 구멍을 뚫어 상기 LED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부로 방사되도록 하는 것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TX단자를 터치하는 경우 상기 TX단자 상의 금속에 뚫려진 구멍에 의해 변화된 캐패시턴스를 감지하여 터치를 인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X단자는 접지(ground)시키고, 상기 RX단자는 셀프캡(self-cap, self-capacitance) 방식으로 연결시키도록 하는 것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X단자는 상기 금속의 일부를 벗겨내되, 직선의 연결된 선으로 벗겨 내고 상기 LED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기 TX단자를 통해 상부로 방사되도록 하는 것인 정전용량 포스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구조.
KR1020170144717A 2017-11-01 2017-11-01 정전용량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장치 KR101998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17A KR101998259B1 (ko) 2017-11-01 2017-11-01 정전용량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717A KR101998259B1 (ko) 2017-11-01 2017-11-01 정전용량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161A true KR20190049161A (ko) 2019-05-09
KR101998259B1 KR101998259B1 (ko) 2019-10-01

Family

ID=6654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717A KR101998259B1 (ko) 2017-11-01 2017-11-01 정전용량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2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052B1 (ko) 2019-06-07 2020-11-12 주식회사 시노펙스 하이브리드 스위치가 구비된 키패드
KR102300345B1 (ko) * 2020-10-26 2021-09-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용 스마트 인테리어 부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256A (ko) * 2003-04-21 2004-10-28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정전 용량 감지 스위치
JP2008269950A (ja) * 2007-04-20 2008-11-06 Shin Etsu Polymer Co Ltd 操作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及び操作スイッチ
JP2011096369A (ja) * 2009-10-27 2011-05-12 Fujikura Ltd 静電容量式スイッチ装置
KR20170003874A (ko) 2015-06-30 2017-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스 터치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KR20170038479A (ko) 2015-09-30 2017-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스 터치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1256A (ko) * 2003-04-21 2004-10-28 주식회사 이에스에스디 정전 용량 감지 스위치
JP2008269950A (ja) * 2007-04-20 2008-11-06 Shin Etsu Polymer Co Ltd 操作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及び操作スイッチ
JP2011096369A (ja) * 2009-10-27 2011-05-12 Fujikura Ltd 静電容量式スイッチ装置
KR20170003874A (ko) 2015-06-30 2017-01-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스 터치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KR20170038479A (ko) 2015-09-30 2017-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스 터치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052B1 (ko) 2019-06-07 2020-11-12 주식회사 시노펙스 하이브리드 스위치가 구비된 키패드
KR102300345B1 (ko) * 2020-10-26 2021-09-09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용 스마트 인테리어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259B1 (ko) 201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0468B2 (en) Touch device comprising pressure-sensing layer and flat touch sensing layer
JP6903726B2 (ja) 力センサ付き入力デバイス
EP2135154B1 (en) Keypad
US8400402B2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with integrated user input capability
US20110037624A1 (en) Sensing capacitance changes of a housing of an electronic device
WO2016192642A1 (zh) 按键装置的操控方法、按键装置及终端
US20130095885A1 (en) Handheld electronic apparatus
US10353485B1 (en) Multifunction input device with an embedded capacitive sensing layer
KR20100084252A (ko) 터치 스크린 패널
US10268301B2 (en) Three-dimensional touch panel
US9569007B2 (en) Touch pad using piezo effect
KR20100084262A (ko) 터치 스크린 패널
TW201428575A (zh) 觸控面板
US9639196B2 (en) Dynamic hardware controls with haptic and visual feedback
KR20190049161A (ko) 정전용량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 장치
US10318082B2 (en) Touch-sensing electronic device with press-sensing function
EP3043474B1 (en) Touch pad using piezo effect
US8198990B2 (en) Touch-sensitive front panel for a touch screen
JP2014170334A (ja) 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手持ち式電子機器
KR20150101859A (ko) 정전식 터치패널을 갖는 개인휴대단말기용 방수팩
KR20110127526A (ko) 터치 입력 방식의 단말기에서 독립입력 감지방법 및 터치패널
JP2011154564A (ja) 電子機器用の入力装置、入力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CN110308770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TWI683240B (zh) 觸控裝置
WO2020133645A1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运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