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3720A -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3720A
KR20020013720A KR1020010046522A KR20010046522A KR20020013720A KR 20020013720 A KR20020013720 A KR 20020013720A KR 1020010046522 A KR1020010046522 A KR 1020010046522A KR 20010046522 A KR20010046522 A KR 20010046522A KR 20020013720 A KR20020013720 A KR 20020013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nput
operating body
display sheet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2960B1 (ko
Inventor
가또가쯔미
사또다다미쯔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20013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2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02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manually operated with input through keyboard and computation using a built-in program, e.g. pocket calc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H01H9/0214Hand-held casings
    • H01H9/0235Hand-held 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remote control, e.g. of audio or video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01H2219/026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with programm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8Transmitter circuitry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조작체 (2) 에는 평면형 입력장치 (4) 가 설치되고, 평면형 입력장치 (4) 의 표면에는 착탈가능한 표시시트 (6) 가 중첩된다. 표시시트 (6) 는 입력항목이 다른 표시시트 (6A, 6B) 로서, 그 바깥 둘레부에 각각 절결 (6a, 6b) 이 형성되고, 이 절결 (6a, 6b) 을 검출하는 판별수단 (8) 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체 (2) 는 호스트와 무선으로 통신이 실행되고 있고, 호스트에서 실행되고 있는 기능에 따라 상기 표시시트가 (6) 가 교환된다.

Description

컨트롤러{CONTROLLER}
본 발명은 무선에 의한 조작이 가능한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작체의 조작면의 표시를 전환하여 복수의 조작대상의 조작을 가능하게 한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수상기 등의 전자기기에는 떨어진 위치에서도 각종 조작이 가능하도록 와이어리스 (wireless) 의 컨트롤러가 부속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러의 표면에는 채널선택이나 음량조절 등이 가능하게 되는 버튼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또, 최근에는 인터넷의 보급에 따라 텔레비젼 수상기의 화면을 이용하여 홈페이지 (웹페이지) 의 열람이나 메일의 송수신 등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에는 채널선택 등을 실행하는 상기 입력수단 외에, 메일조작시를 위한 입력수단 등이 형성되어 있다. 메일 조작시에는, 예컨대 텔레비젼 화면에 키보드장치의 키배열이 표시되어, 이 화면의 표시에 의거하여 입력수단이 조작된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의 컨트롤러에서는 많은 기능이 추가되면 그에 따라 입력수단을 구성하는 조작키의 수가 증가하여 조작성이 손상됨과 동시에, 컨트롤러자체가 대형화되어 취급이 번잡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채널선국용이나 인터넷용으로서 각각 별개로 컨트롤러가 구성된 것에서는 컨트롤러의 관리나 보관이 번거로워진다. 또한 텔레비젼 영상을 기록하기 위한 비디오레코더 등의 그 외의 장치나 그 외의 기능이 추가되면 조작키의 수가 더욱 증가하여 조작성 등이 악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조작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고 또한 많은 기능을 부가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에 사용되는 조작체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에 사용되는 다른 조작체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컨트롤러 2 : 조작체
2a : 케이스 3 : 절결부
4 : 평면형 입력장치 (입력수단) 5 : 삽입구
6 : 표시시트 6a, 6b : 절결
8 : 판별수단 10 : 제어부
20 : 호스트 (텔레비젼 수상기) 32 : 표시패널
본 발명은 하나이상의 송신수단을 구비한 조작체를 갖고, 상기 조작체와 호스트측의 사이에서 무선으로의 통신이 가능한 컨트롤러로서,
상기 조작체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의 입력개소를 표시하는 표시체를 갖고, 상기 표시체는 입력개소 및/또는 입력항목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조작체에는 상기 입력수단이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표시체의 상기 표시에 대응한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경우의 상기 입력수단은 좌표위치를 입력할 수 있는 평면형 입력장치로, 상기 표시체는 상기 평면형 입력장치에 중첩되는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서는 기능에 따라 입력개소나 입력항목의 표시가 전환되므로, 조작체에 복수의 많은 입력개소나 입력항목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져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체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또 입력개소나 입력항목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호스트에 대응한 전용 조작체를 구성하지 않고, 조작체를 공통화하여 표시체만을 변경함으로써, 여러 가지의 호스트에 대응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체는 상기 조작체에 착탈이 자유로운 표시시트로, 상기 조작체에는 장착된 상기 표시시트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판별수단으로 판별된 표시시트의 종류에 따라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표시시트에는 종류에 따라 다른 위치에 절결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절결 또는 돌기가 판별된다. 또한, 표시시트에 바코드가 형성되어 상기 바코드가 상기 판별수단으로 판별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 상기 표시체는 표시내용을 전환할 수 있는 표시패널로, 상기 호스트측으로부터 상기 조작체에 부여되는 전환신호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에서 표시되는 입력개소 및/또는 입력항목이 전환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표시패널에는 기본적인 입력개소만이 표시되는 것으로, 기능을 전환하는 경우에는 표시패널 위에 추가로 상기의 표시시트가 중첩되어 조작되는 것이어도 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일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를 나타낸 기능 블록도이다.
도 1 에 나타낸 컨트롤러 (1) 는 호스트 (텔레비젼 수상기 ; 20) 와 조작체 (2) 의 사이에서 전파에 의한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조작체 (2) 가 조작됨으로써 호스트 (20) 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기능이 제어되는 것이다. 그 기능으로서는, 예컨대 텔레비젼 화면의 표시 외에 홈페이지의 열람이나 메일송수신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조작체 (2)와 호스트 (20) 사이에서는 적외선 등의 광에 의한 무선통신이 실행되는 것이어도 된다.
조작체 (2) 는 수지형성된 상자형의 케이스 (2a) 로 이루어지고, 케이스 (2a) 의 조작면측 (표면측) 에 사각형상의 절결부 (3)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 (3) 에는 입력수단으로서의 평면형 입력장치 (4) 가 탑재되어 있다. 평면형 입력장치 (4) 는 입력된 좌표위치 등을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으로, 예컨대, 감압식, X-Y 축 접점식, 정전용량식의 패드 등을 적절히 선택하여 탑재할 수 있다.
감압식의 패드로서는, 1 쌍의 저항시트가 미소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 것으로, 일방의 저항시트의 양단에 X 축 전극이 형성되고, 또한 타방의 저항시트의 양단에 Y 축 전극이 형성되어, 패드가 눌려져 서로의 시트가 접촉되었을 때의 X 축 전극과 Y 축 전극에 걸리는 전압값이 측정됨으로써 좌표위치가 검출되는 것이다. 또, X-Y 축 접점식의 패드로서는, X 축 전극과 Y 축 전극이 매트릭스상으로 배치된 것으로, X 축 전극을 순서대로 통전시켜 Y 축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좌표위치가 검출되는 것이다. 또, 정전용량식의 패드로서는, X 축전극과 Y 축 전극이 절연시트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직교하여 형성된 것으로, 조작자의 손가락이 닿음으로써 패드면에 발생하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검출되어 좌표위치가 검출되는 것이다.
상기 케이스 (2a) 의 일측면에는 가늘고 긴 형상의 삽입구 (5) 가 개구되어 있어, 이 삽입구 (5) 를 통하여 표시체로서의 표시시트 (6) 가 착탈된다. 표시시트 (6) 는 휨변형가능한 수지시트로 이루어져, 상기 평면형 입력장치 (4) 상에 중첩된다.
또한, 이 표시시트 (6) 는 지제 (紙製) 의 시트부재에 입력개소나 입력항목이 형성된 것을 투명한 수지시트로 라미네이트가공된 것이어도 된다. 또, 케이스 (2a) 에는 다른 조작부재 (9) 가 형성되어, 이 조작부재 (9) 에 의해 예컨대 기능이 변경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표시시트 (6) 에는 호스트 (20) 에 형성되어 있는 기능마다 다른 입력개소나 입력항목이 인쇄되어 있다. 예컨대 도 1 에 나타낸 표시시트 (6A) 는, 텔레비젼의 채널선택이나 음량조절용의 입력개소가 형성된 것으로, 표시시트 (6B) 는 메일조작시의 문자 등의 입력용으로 사용되는 키보드장치의 키배열을 모방한 입력개소가 형성된 것이다.
또, 상기 표시시트 (6A 와 6B) 의 바깥 둘레부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삼각형상의 절결 (6a, 6b)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절결의 위치가 각 표시시트 (6) 에 따라 전환됨으로써 장착가능한 시트의 매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시트 (6) 에는 절결이 아니라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리고, 표시시트 (6) 는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호스트 (20) 에 비디오 레코더가 일체로 삽입되어 있는 것이면 비디오 레코더용의 표시시트가 구비되고, 또, 호스트 (20) 에 게임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게임용의 표시시트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또 홈페이지 열람용의 표시시트가 구비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작체 (2) 에는 판별수단 (8) 이 형성되어있다. 판별수단 (8) 은 케이스 (2a) 내의 상기 삽입구 (5) 가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이고 또한 상기 절결 (6a, 6b) 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판별수단 (8) 에 의해 표시시트 (6A) 와 표시시트 (B) 의 판별이 가능해지고 있다.
상기 판별수단 (8) 은 포토커플러 등으로 구성되어, 예컨대 표시시트 (6A, 6B) 를 사이에 두고 상측에 LED 등의 발광소자가 설치되고, 하측에 포토다이오드 등의 수광소자가 설치되어 광이 수광소자로 수광되는지의 여부가 검출된다. 또, 상기 판별수단 (8) 은 상기 절결 (6a, 6b) 이나 돌기 등에 의해 기계적으로 스위치출력이 전환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판별수단 (8) 에서는 절결의 위치에 의해 표시시트 (6) 의 판별이 실행되는 것이지만, 착탈되는 표시시트 (6) 가 2 종류이면 절결이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 판별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에 의해, 상기 절결 (6a) 의 위치만으로 광이 수광부에서 수광된 경우에는 판별수단 (8) 에서는 표시시트 (6A) 가 장착된 것이 인식되고, 상기 절결 (6b) 의 위치에서만 광이 수광된 경우에는 판별수단 (8) 에서는 표시시트 (6B) 가 장착된 것이 인식된다.
또 표시시트 (6A) 와 표시시트 (6B) 의 판별 외에, 상기 절결 (6a, 6b) 의 쌍방의 위치에서 광이 수광되는 상태와, 어느 위치에서도 광이 수광되지 않는 상태가 설정된 경우에는, 계 4 종류의 시트의 판별이 가능해진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체 (2) 에는 제어부 (10) 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 (10) 에는 평면형 입력장치 (입력수단 ; 4), 판별수단 (8), 송신부 (11),수신부 (12) 및 메모리 (13) 가 접속되어 있다. 한편, 텔레비젼 수상기측의 호스트 (20) 에는 CPU (21) 가 설치되고, 이 CPU (21) 에는 수신부 (22), 송신부 (23), 메모리 (24) 및 표시부 (25) 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형성된 조작체 (2) 에서는 표시시트 (6A) 또는 표시시트 (6B) 가 상기 삽입구 (5) 로부터 삽입된다. 상기 표시시트 (6A, 6B) 는 입력개소나 입력항목이 상기 절결부 (3) 로 구성되는 프레임내에서 보이는 위치까지 삽입되고, 또한 상기 시트 (6A, 6B) 가 상기 판별수단 (8) 으로 판별가능해지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상기 조작체 (2) 가 텔레비젼의 채널선국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시트 (6A) 가 상기 삽입구 (5) 로부터 장착된다. 이로써 상기 판별수단 (8) 에서는 절결 (6a) 이 검출되어 표시시트 (6A) 가 장착된 것이 인식된다. 이 때, 표시시트 (6A) 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판별신호가 제어부 (10) 로 보내져, 제어부 (10) 에서는 평면형 입력장치 (4) 에 중첩된 표시시트 (6A) 에 대응한 송신신호가 생성된다.
상기에 의해, 예컨대 표시시트 (6A) 의 위로부터 채널 「1」의 표시가 눌리면, 표시시트 (6A) 에 형성된 「1」 의 부분만이 휨변형되어, 이 때의 누름력에 의해 표시시트 (6A) 의 아래에 중첩된 평면형 입력장치 (4) 가 눌린다. 이로써 상기 평면형 입력장치 (4) 에서 좌표위치가 검출되어, 이 좌표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제어부 (10) 에 보내진다. 제어부 (10) 에서는 상기 좌표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평면형 입력장치 (4) 를 조작한 위치가 채널 「1」의 표시부분에서 눌린 것으로 인식되어, 상기 표시에 대응한 송신신호가 생성된다. 또한, 이 때 채널 「1」에 상당하는 송신신호가 상기 좌표위치를 나타내는 데이터에 따라 메모리 (13) 로부터 판독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송신신호는 송신부 (11)를 통하여 호스트 (20) 로 송신되고, 호스트 (20) 의 수신부 (22) 에서는 상기 송신신호가 수신되어 호스트 (20) 에 설치된 CPU (21) 에서 표시부 (25) 의 화면을 채널 「1」 로 전환하는 제어가 실행된다.
또, 표시시트 (6A) 에 형성된 음량조절용의 조작키가 눌린 경우에는, 입력된 좌표위치의 데이터로부터 음량변경용의 송신신호가 생성되어 호스트 (20) 에서 소정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 상기 호스트 (20) 에 있어서, 표시부 (25) 가 텔레비젼 화면에서의 채널전환 등의 기능에서 메일송수신용의 기능으로 변경되어 메일송수신용의 화면이 표시부 (25) 에 표시된 경우에는, 상기 표시시트 (6A) 가 케이스 (2a) 에서 떼어지고, 표시시트 (6B) 가 장착된다. 이 때 판별수단 (8) 에서는, 절결 (6b) 이 검출되어 표시시트 (6B) 가 장착된 것을 나타내는 판별신호가 제어부 (10) 로 보내진다. 제어부 (10) 에서는 평면형 입력장치 (4) 에서 입력되는 조작이 표시시트 (6B) 에 대응한 송신신호가 생성되도록 전환된다.
상기의 경우, 호스트 (20) 에서는 CPU (21) 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 (24) 로부터 메일용의 소프트웨어가 판독되어, 표시부 (25) 에 메일송수신용의 화면이 표시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상기와 같이 하여 기능이 전환된 경우에, 호스트 (20) 로부터 조작체(2) 에 대하여 표시시트 (6) 의 교환을 촉구하는 전환신호가 부여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 전환신호로서는, 예컨대, 조작체 (2) 내에 음발생수단 (14) 이 형성되어, 텔레비젼 화면표시기능으로부터 메일송수신기능으로 전환되었을 때에, 상기의 음발생수단 (14) 으로부터 어느 표시시트 (6) 를 장착할 것인지의 지시가 소리로 발해지도록 하여도 된다. 또, 음발생수단 대신에 표시수단 (14)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이 경우에는 각 표시시트 (6) 에 일련번호 등의 식별번호를 기재해 놓고, 이 식별번호가 상기 표시수단 (14) 에 의해 표시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케이스 (2a) 내에 적절한 표시시트 (6) 가 장착되어 있지 않거나, 틀린 표시시트 (6) 가 장착되어 조작 등이 되었을 때에는, 음발생수단이면 부저음이 울리거나, 표시수단이면 에러를 나타내는 문자나 기호 등이 표시되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의 경우에는, 호스트 (20) 에 있어서, CPU (21) 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 (24) 로부터 표시시트 (6) 의 변경을 독촉하는 신호나 에러를 나타내는 신호가 판독되어 조작체 (2) 에 대하여 송신부 (23) 로부터 송신된다. 조작체 (2) 에서는 상기 신호가 수신부 (12) 에서 수신되어 음발생수단 (또는 표시수단 ; 14) 에 의해 소정의 제어가 실행된다.
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조작체 (2) 에 발광수단이나 부하발생수단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발광수단이면 케이스 (2a) 에 LED 등의 발광부재가 설치되어 조작미스를 했을 때 등에 상기 LED 가 발광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상기 부하발생수단이면 케이스 (2a) 내에 모터 등의 진동발생수단이 설치되어, 조작미스가 발생했을 때 등에 상기 모터에 의해 케이스 (2a) 가 진동되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트롤러 (30) 는 호스트 (텔레비젼 수상기 ; 20) 와 조작체 (31) 의 사이에서 전파에 의한 무선통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호스트 (20) 에 대해서는 상기 컨트롤러 (1) 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에 나타낸 조작체 (31) 에는 케이스 (31a) 의 표면에 액정패널이나 EL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는 박형의 표시패널 (32) 이 설치되어 있다. 표시패널 (32) 은 텔레비젼화면의 채널선택 등의 조작면이나 메일송수신의 조작면 등으로 되도록, 그 입력개소나 입력항목을 변경하여 표시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표시패널 (32) 은 그 표면이 조작되는 면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조작면이 손가락이나 펜 등으로 눌림으로써 상기 조작면에 따른 소정의 송신신호가 생성되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도 1 에 나타낸 평면형 입력장치 (4) 에 표시패널 (32) 로서 액정패널이 적층되어 표시패널 (32) 에 입력개소와 입력항목이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패널 (32) 을 누르면, 상기 평면형 입력장치 (4) 의 소정의 개소가 지시된다. 예컨대, 평면형 입력장치 (4) 가 감압식일 때에는, 상기 표시패널 (32) 이 변형됨으로써 평면형 입력장치 (4) 의 소정개소가 눌린다. 또, 평면형 입력장치 (4)가 정전용량형인 경우에는 표시패널 (32) 에 손가락 등의 도전체가 접촉함으로써, 평면형 입력장치 (4) 에서 좌표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체 (31) 에는 제어부 (33) 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 (33) 에는 상기의 표시패널 (32) 과 송신부 (34) 및 수신부 (35) 와 메모리 (36) 가 접속되어 있다.
호스트 (20) 에 있어서 표시부 (25) 가 텔레비젼 화면으로 전환되면, CPU (21) 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 (24) 로부터 표시데이터 (화상데이터) 가 판독되어, 송신부 (23) 로부터 조작체 (31) 에 대하여 송신된다. 조작체 (31) 에서는, 상기 표시데이터가 수신부 (35) 에서 수신되어, 제어부 (33) 의 제어에 의해 표시패널 (32) 의 표시가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채널선국이나 음량조절용으로 전환된다. 또, 표시부 (25) 가 메일송수신의 화면으로 전환되면, CPU (21) 에서는 메모리 (24) 로부터 도 1 의 표시시트 (6B) 에서 나타낸 문자 등의 입력용 표시데이터가 입력되어 조작체 (31) 에 대하여 송신된다. 조작체 (31) 에서는 제어부 (33) 에 의해 상기 표시데이터가 표시패널 (32) 로 보내져, 표시패널 (32) 의 표시가 문자 등의 입력용으로 전환된다.
또한, 표시데이터가 조작체 (31) 의 메모리 (36) 내에 저장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의 표시패널 (32) 의 표시의 전환은, 호스트 (20) 로부터 표시패널 (32) 에 표시되는 입력개소나 입력항목에 맞는 고유코드번호가 조작체 (31) 에 송신된다. 조작체 (31) 에서는 상기 코드번호가 수신되고, 수신된 코드번호에 상당하는 표시데이터가 메모리 (36) 로부터 판독되어 표시패널 (32) 로 보내짐으로써, 표시패널 (32) 의 표시가 전환되도록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박형의 표시패널 위에 상기의 표시시트의 착탈이 가능한 것이어도 되고, 표시장치만의 경우에는 채널선택용으로 사용되고, 그 외의 기능에 대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각 기능에 맞는 표시시트가 장착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 표시시트 (6) 가 착탈되어 사용되는 것에 있어서는, 케이스 (2a) 의 내측 등에 표시시트 (6) 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스페이스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표시시트 (6) 는 케이스 (2a) 에 있어서 권취가능하게 되어, 기능의 전환에 따라 소정의 표시시트가 평면형 입력장치 (4) 상에 배치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 표시시트 (6) 의 표면과 내면의 쌍방에 다른 입력개소나 입력항목이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조작체로 많은 기능을 부여할 수 있어, 조작체에 많은 입력개소나 입력항목이 형성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조작성이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한, 조작체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호스트와 조작체의 사이에서 쌍방향의 통신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기능이 변경되었을 때에 자동적으로 입력개소나 입력항목의 표시가 전환된다.

Claims (5)

  1. 하나 이상의 송신수단을 구비한 조작체를 갖고, 상기 조작체와 호스트측의 사이에서 무선으로의 통신이 가능한 컨트롤러로서,
    상기 조작체는 입력수단과 상기 입력수단의 입력개소를 표시하는 표시체를 갖고, 상기 표시체는 상기 입력개소 및/또는 입력항목의 표시를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조작체에는 상기 입력수단이 조작되었을 때에, 상기 표시체의 상기 표시에 대응한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좌표위치를 입력할 수 있는 평면형 입력장치로서, 상기 표시체는 상기 평면형 입력장치에 중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는 상기 조작체에 착탈이 자유로운 표시시트로서, 상기 조작체에는 장착된 상기 표시시트의 종류를 판별하는 판별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판별수단으로 판별된 표시시트의 종류에 따라 송신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시트에는 종류에 따라 다른 위치에 절결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판별수단에 의해 상기 절결 또는 돌기가 판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체는 표시내용을 전환할 수 있는 표시패널로서, 상기 호트측으로부터 상기 조작체에 부여되는 전환신호에 의해 상기 표시패널에서 표시되는 입력개소 및/또는 입력항목이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KR10-2001-0046522A 2000-08-11 2001-08-01 컨트롤러 KR1004129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43784 2000-08-11
JP2000243784A JP2002055763A (ja) 2000-08-11 2000-08-11 コントロー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720A true KR20020013720A (ko) 2002-02-21
KR100412960B1 KR100412960B1 (ko) 2003-12-31

Family

ID=18734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522A KR100412960B1 (ko) 2000-08-11 2001-08-01 컨트롤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61315B2 (ko)
JP (1) JP2002055763A (ko)
KR (1) KR100412960B1 (ko)
TW (1) TW51850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O20010402A1 (it) * 2001-06-26 2002-12-26 Meliconi Spa Unita' di controllo a distanza per apparecchiature elettriche
TW574719B (en) * 2001-10-29 2004-02-01 Sharp Kk Double-side keyboar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7055749B2 (en) * 2002-06-03 2006-06-06 Symbol Technologies, Inc. Re-configurable trigger assembly
US20050162569A1 (en) * 2004-01-06 2005-07-28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Televisio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with alphanumeric input
JP2005222522A (ja) * 2004-01-07 2005-08-18 Sony Corp 電子機器
CN101027104A (zh) * 2004-03-19 2007-08-29 运动创新公司 用于体育和比赛的垫子
WO2005106630A1 (en) * 2004-04-28 2005-11-10 Mohamed Samir Ahmed Atta The double keyboard
JP2006065611A (ja) * 2004-08-27 2006-03-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システム
US8382567B2 (en) 2004-11-03 2013-02-26 Mattel, Inc. Interactive DVD gaming systems
US20060287028A1 (en) * 2005-05-23 2006-12-21 Maciver Peter Remote game device for dvd gaming systems
JP4758727B2 (ja) * 2005-10-20 2011-08-31 京セラミタ株式会社 電子機器装置
JP4797785B2 (ja) * 2006-05-10 2011-10-19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設定変更方法、および設定変更プログラム
US20080001773A1 (en) * 2006-06-29 2008-01-03 X10 Ltd. Programmable remote control and methods of using same
US20090244402A1 (en) * 2006-06-29 2009-10-01 Rye David J Favorite channel remote
JP2014199666A (ja) * 2006-10-05 2014-10-23 吉田 健治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ドットパターンが印刷された媒体
JP4216311B2 (ja) * 2006-11-28 2009-01-28 Smk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機
CN102124429B (zh) 2008-06-20 2015-06-24 美泰有限公司 电容性触摸板和结合了相同触摸板的玩具
WO2010023633A1 (en) * 2008-09-01 2010-03-0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 apparatus with touch-sensitive area
US20100127912A1 (en) * 2008-11-26 2010-05-27 X-10 Ltd. Remote control
US20100164745A1 (en) * 2008-12-29 2010-07-01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control device with multiple active surfaces
JP5263006B2 (ja) * 2009-06-02 2013-08-14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補助装置
US8531485B2 (en) * 2009-10-29 2013-09-10 Immersion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ensating for visual distortion caused by surface features on a display
TWI464765B (zh) * 2010-06-01 2014-12-11 Inventec Corp 無線鍵盤
KR101807622B1 (ko) * 2010-12-27 201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리모콘 및 이에 적용되는 제어방법
US20120237919A1 (en) * 2011-03-15 2012-09-20 Sandra Kelly Interactive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struction
TWI512545B (zh) * 2014-06-24 2015-12-11 Leadot Innovation Inc 萬用型遙控器
USD793346S1 (en) * 2016-04-12 2017-08-01 Trippe Manufacturing Company Face plate for a remote user interface
USD920262S1 (en) * 2019-12-13 2021-05-25 Hangzhou Yixianglai Electronic Technology Limited Remote control switch box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8257A (en) * 1976-08-23 1978-03-07 Hewlett-Packard Company Calculator apparatus with electronically alterable key symbols
JPS5968072A (ja) * 1982-10-13 1984-04-17 Sharp Corp 機能変換用小形電子機器
US5235328A (en) * 1988-08-23 1993-08-10 Sony Corporation Remote command apparatus
JP3085471B2 (ja) * 1991-01-24 2000-09-11 ソニー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マンダ
JP3318897B2 (ja) * 1991-01-29 2002-08-26 ソニー株式会社 ビデオモニタ付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
JPH052446A (ja) 1991-06-20 1993-0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端末装置
CA2087503A1 (en) * 1992-04-13 1993-10-14 Lester Wayne Dunaway Multimodal remote control device having electrically alterable keypad designations
US5422783A (en) * 1992-07-06 1995-06-06 Universal Electronics Inc. Modular casing for a remote control having upper housing member slidingly received in a panel section
USD363932S (en) * 1993-09-07 1995-11-07 Scientific-Atlanta, Inc. Combined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and overlay
JPH07104904A (ja) * 1993-10-08 1995-04-21 Hitachi Ltd キーボードカード
JP3113146B2 (ja) * 1994-05-13 2000-11-27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キースイッチ制御装置
JPH08179922A (ja) * 1994-12-26 1996-07-12 Kokusai Electric Co Ltd 情報端末装置
JPH1011199A (ja) * 1996-06-24 1998-01-16 Omron Corp 表示装置
JPH1020986A (ja) * 1996-06-30 1998-01-23 Shimadzu Corp 操作盤
KR19990048990A (ko) * 1997-12-11 1999-07-05 윤종용 각 가전기기에 맞는 기능키들을 액정화면에 터치패널로표시하는 통합 리모콘과 통합 원격 제어방법
US6437836B1 (en) * 1998-09-21 2002-08-20 Navispace, Inc. Extended functionally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fore
US6532592B1 (en) * 1998-11-09 2003-03-11 Sony Corporation Bi-directional remote control unit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407779B1 (en) * 1999-03-29 2002-06-18 Zilo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uitive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US6553345B1 (en) * 1999-08-26 2003-04-2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Universal remote control allowing natural language modality for television and multimedia searches and reques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18507B (en) 2003-01-21
KR100412960B1 (ko) 2003-12-31
US20020020749A1 (en) 2002-02-21
JP2002055763A (ja) 2002-02-20
US6761315B2 (en) 2004-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2960B1 (ko) 컨트롤러
EP1653338B1 (en) Mobile information terminal
EP1179767B1 (en) Input device which allows button input operation and coordinate input operation
US6002387A (en) System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a pointer and a display interface
US6232960B1 (en) Data input device
US5880712A (en) Data input device
US6437774B1 (en) Display and input device and display and input system
KR101172454B1 (ko) 휴대 단말기의 케이스
US20040125078A1 (en) Input device
EP2075672A1 (en) Keyboard module with tactile feedback mechanisms and eletronic device with the same
JP2007207107A (ja) 携帯端末装置
JP2001005598A (ja) 座標入力装置及び記憶媒体
JP2008225541A (ja) 入力装置および情報機器
US6814294B2 (en) User configurable remote control
US20210385344A1 (en) Operation inpu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501680B2 (ja) 表示装置、操作指示装置および方法
KR101149397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용 초소형 포인팅 키
JPS621314A (ja) リモ−トコントロ−ル送信装置
JPH09322013A (ja) アイコン表示方式のリモコン
JP2003122484A (ja) キーボード及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